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The Effects on Attitudes of Under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Physical Education toward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with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김경진 아시아지적장애인연맹 산하 아시아저널센터 2018 Asia-Pacific Journal of Intellectual Disabilities Vol.5 No.2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n attitudes of under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physical education toward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with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278 under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physical education were selected and the modified questionnaire related attitudes toward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was used. Further, the frequency analysis and one-way analysis of variance were used to determine differences in attitudes of under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physical education toward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with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by sex, grade, and experience teaching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using IBM SPSS 24.0.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ttitudes of undergraduate students specializing in physical education toward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with students with ID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ex. Second, the junior and senior undergraduate students studying in physical education had more positive attitudes toward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than sophomore undergraduates. Third, the undergraduate students specializing in physical education who had experience teaching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had more positive attitudes toward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than other undergraduates who did not have experience teaching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 KCI등재

        대학생의 낙관성, 감성지능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이하나(Ha-na Lee) 한국산학기술학회 2016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7 No.11

        본 연구는 대학생의 낙관성, 감성지능 및 우울정도를 확인하고, 우울에 관련된 요인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으며 서술적 조사연구로 설계되었다. 자료수집은 D시와 S시의 2개의 대학교에서 2016년 4월 8일에서 30일까지 수집되었고, 연구참여에 동의한 166명의 대학생들이 참여하였으며, 참여자들은 자가설문지를 통해 낙관성, 감성지능 및 우울정도를 작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2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Pearson 상관계수,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 결과, 대학생의 낙관성 평균점수는 3.67±0.51, 그 중 간호대학생의 낙관성 평균점수는 3.66±0.49, 일반대학생의 낙관성 평균점수는 3.69±0.55, 대학생의 감성지능 평균 점수는 3.56±0.49, 그 중 간호대학생의 감성지능 평균점수는 3.53±0.49, 일반 대학생의 감성지능 평균점수는 3.60±0.51, 대학생의 우울 평균점수는 8.28±7.48, 그 중 간호대학생의 우울 평균점수는 10.97±7.65, 일반대학생의 우울 평균점수는 5.50±5.54로 나타났다. 한편, 본 연구의 대학생의 낙관성과 감성지능은 우울과 강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강한 상관관계 정도는 간호대학생이 일반대학생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낙관성과 감성지능은 우울에 영향력 있는 변수로 나타났으며, 영향력을 행사하는 정도도 간호대학생이 일반대학생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대학생은 물론 간호대학생의 우울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낙관성과 감성지능을 증진시키는 프로그램이 요구됨을 확인할 수 있다. This study quantified optimism, emotional intelligence, and depression levels, and explored potential key factors affecting the depression level in undergraduate students. We performed a survey targeting undergraduate students in two Universities at D city and S city, between April 8th and 30th of 2016. After receiving informed consent, a total of 166 university students were recruited. They were asked to fill in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about optimism, emotional-intelligence, and depression. The data were analyz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IBM SPSS version 22.0. The data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mean score for optimism was 3.67±0.51, 3.66±0.49, and 3.69±0.55 for overall undergraduate students,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and undergraduate non-nursing students, respectively. Moreover, the mean score of emotional intelligence was 3.56±0.49, 3.53±0.49, and 3.60±0.51,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mean score of depression was 8.28±7.48, 10.97±7.65, and 5.50±5.54, respectively. It was revealed that a strong negative correlation exists among optimism, emotional intelligence, and depression. This correlation was stronger for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than undergraduate non-nursing students. Optimism and emotional intelligence were key factors influencing depression. The degree of this influence was higher for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than undergraduate non-nursing students. In conclusion, a program that empowers optimism and emotional intelligence is necessary to manage depression for undergraduate students.

      • KCI등재

        미국의 성인대학생 적응지원 사례 분석

        채재은(Chae Jae-Eun) 한국비교교육학회 2008 比較敎育硏究 Vol.18 No.3

          본 논문은 미국의 성인대학생 지원 사례를 분석하여 “성인대학생 친화적인” 대학 운영과 정부의 고등교육정책 방안 수립에 필요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미국에서 성인대학생이 증가한 역사적 배경, 이로 인한 고등교육의 변화, 성인대학생들의 적응 장애 요인, 그리고 미국 대학과 정부 차원의 성인대학생 지원정책을 분석하였다. 미국 사례를 선택한 이유는 성인대학생이 전체 미국 대학생의 약 40%를 차지하고 있고, 이들을 위한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과 정책이 실행되고 있기 때문이다. 연구 결과, 미국 사례는 성인대학생 친화적인 정책 수립에 필요한 여러 시사점을 제공한다. 첫째, 미국 사례는 종전의 ‘대학 중심’의 고등교육 행정패러다임이 ‘학습자 중심’으로 변화되어야 함을 보여준다. 둘째, 전통적인 대학생 위주로 운영되는 현재의 고등교육시스템을 성인대학생들이 학업과 일을 병행할 수 있도록 혁신해야 한다. 셋째, 성인학습자의 고등교육기회 확대를 위해서는 학자금 지원 확대, 시간제 등록 활성화 등과 같은 정부 차원의 적극적인 이니셔티브가 필요함을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전일제, 수업연한(기간)중‘의 정형화된 고등교육모델을 보다 유연하게 변화시킬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draw policy implications for the Korean government as well as universities in designing "older undergraduate students friendly" policies and programs by examining the United States" support system for these students. For this purpose, the study discussed the historical backgrounds of the increase of undergraduate students, the changes in the US" higher education brought by the increase in those students, the challenges facing older students and the support systems for these students created by the US government and universities. The case of the US was chosen because older undergraduate students consist of about 40% of the total college students and thus various programs for these students were developed.<BR>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several policy implications regarding policies on Korean older undergraduate students. First, "student centered" higher education paradigm should be replaced with the current "universities centered" paradigm which has been strengthen by the overdemand for higher education. Second, the current higher education system which mainly serves the traditional undergraduate students should be transformed in a way that enable adults to combine work and study. Third, the government should be proactive in supporting older students by increasing the student aid. Lastly, it should make the current university education more diverse and flexible to accommodate various needs of older students.

      • KCI등재

        일 대학교 의과대학생과 의학전문대학원생의 심리적 특성 비교

        전지은,이승재,이병대,이정재,배금예,임효덕 대한신경정신의학회 2009 신경정신의학 Vol.48 No.5

        의대생과 의전원생 간에 유의한 심리학적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차이는 남자 집단 간의 비교에서 두드러졌으나 여자집단 간 비교에서는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전반적으로 의대생에 비해 의전원생이 정신병리에 대한 점수가 더 낮고, 심리적인 문제가 적은 경향을 나타냈다. 세부 항목에서는 남자 의대생이 남자 의전원생에 비해 우울증, 내향성, 강박증 경향이 더욱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자료는 변화된 제도 하에 입학하게 된 의전원생의 심리적 특성을 파악하여 의전원 교육과정 및 학생 생활지도를 발전시키는데 있어 주요한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향후 보완 연구를 통해 보다 정확히 의대생과 의전원생의 심리적 특성 차이를 규명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Objectives: The conversion of medical colleges into medical schools has been attempted by the Korean government since 2005.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undergraduate and graduate medical students before and after changes in the medical educational system. Methods: Four hundred-and-twenty-eight medical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247 were undergraduates and 181 were graduate students. The participants completed psychological assessments including the 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 (MMPI), the Symptom Checklist-90-Revision (SCL-90-R), the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and the Alexithymia Scale. Results: Overall, undergraduate medical students demonstrat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than the graduate medical student on three of MMPI subscales (F, depression, and social introversion) and two of SCL-90-R subscales (somatization and obsessive-compulsive). When comparing the four groups (male undergraduate, female undergraduate, male graduate, female graduate) using analysis of covariance and controlling for age as a covariat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male graduate and male undergraduate medical students in the same subscales except somatization, wherea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female groups.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male graduate medical students may have better mental health states and less psychological problems than undergraduate medical students even after controlling for age. However, these differences were not found between female groups. Although every score of all items was within normal range regardless of group, distinctive differences between male graduate and undergraduate students were revealed for some psychological profiles such as depression, social introversion, and obsessive-compulsive traits.

      • KCI등재

        대학생의 학습인식과 교육만족도의 관계: 인문․사회계열과 자연․이공계열의 비교

        신효정,민혜리 한국교육학회 2009 敎育學硏究 Vol.47 No.3

        이 연구는 대학생들의 학습에 대한 인식과 교육만족도의 관계가 전공계열에 관계없이 유사하게 나타나는지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S대학교에서 학부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온라인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전공계열을 인문․사회계열과 자연․이공계열로 구분하여 다집단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대학생들의 학습에 대한 인식은 인문․사회계열과 자연․이공계열에서 유사한 개념으로 타당하게 적용될 수 있었다. 학습결과와학습과정에 대한 인식의 요인구조 및 요인부하량이 전공계열에 따라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두 집단 모두에서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 해당주제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는 것, 학문분야에 대한 내용을 이해하게 되는 것이 학습에 대한 인식을 측정하는 주요한 문항들로 분석되었다. 또한 대학생들의 학습에 대한 인식과 교육만족도간의 관계는 인문․사회계열과 자연․이공계열간에 유사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학습에 대한 인식이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전공계열에 따라 차이가 없으며, 인문․사회계열의 학생들과 자연․이공계열의 학생들 모두학습과정에 대한 인식보다 학습결과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가 교육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figure out the effects of students' major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learning experiences and course satisfaction of undergraduate students. In this study, whether the survey items can be conducted on both groups - humanities/social science majors and natural science/engineering majors - and whether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learning experiences and course satisfaction shows similar trend in both groups were investigated. The data for this research came from the online survey of undergraduate students in S University, and multi-group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multi-group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employed.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concepts of undergraduate students on learning experiences had configural invariance and metric invariance. Also,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experiences and course satisfaction of different major groups had configural and metric invariance but no scalar invariance. Undergraduate students in both major groups showed that their opinions on learning outcomes had much larger effects on course satisfaction than the learning activities.

      • KCI등재

        대학 진로교육의 내실화를 위한 대학생 진로교육 인식과 요구분석

        이지은,정윤경,나현미,임해경 한국취업진로학회 2019 취업진로연구 Vol.9 No.1

        According to the Ministry of Education(MOE) and the Korean Education Development Institute(KEDI), overall college enrollment rate in 2018 was 69.7%.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develop a systematic career education not only undergraduate students but also countries due to universalization of college enrollment. It is required to find out students’(demand-side) needs, however, numerous studies researched the supply-side of university career education generally.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university career education awareness and needs for undergraduate students, and to provide foundation of career education policies in higher education and the operational strategies for effective career education systems. To do this, we selected the subjects of the questionnaire by random sampling using the Access Panel, groups of people who have agreed to regularly participate in surveys, extracted the specimen by random assignment method by grade / majors. By using Access Panel, the students with career education and without career education can be extracted the specimen. This study used 897 samples, the target sample size was 840, of online survey from May 22 to June 21, 2017. In the current status of career education for university students, the career preparation was much more prepared for the higher grades of students and men. It was found that the percentage of conducting to the career related courses was high in the higher grade. However, 44% of the respondents said that they did not benefit from career-related classes and the students of higher grades responded that the career class did not assist to career design. It was suggested that the quality of the career-related lessons provided by the university should be urgently improved. The higher grade of university students were expected to have a job intern, a hands-on internship. As the lower grades, the students wanted job - oriented lessons related to the major. In addition, the most preferred career training approach was shown to be on-site practice type(52.3%) to help students learn their duti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direction of university career education for the improvement of career education was proposed. The wider range of subject and variables is required for the future studies based on this study. 교육부·한국교육개발원(2018)에 따르면 2018년 고등학생의 대학교 진학률은 69.7%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렇듯 고등교육이 보편화되어 대학생의 체계적인 진로준비를 위한 진로교육은 학생뿐만 아니라 사회·국가적으로 매우 중요해졌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많은 선행연구에서 대학의 진로교육을 공급자 측면에서만 주로 연구하여 수요자(수혜자)인 대학생의 진로교육에 대한 인식과 요구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대학 진로교육 인식과 요구를 파악하여 고등교육 단계에서의 진로교육 정책방향 및 효과적인 진로교육 체제와 운영 방안 마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정기적으로 조사에 참여한다고 동의한 Access Panel을 이용한 무작위추출법(random sampling)으로 대상자를 선정하고, 학년별/계열별 임의할당 방법으로 표본을 추출하였다. Access Panel을 이용함으로써 재학 중인 학교에서 진로 및 취업, 창업 등을 준비하기 위해 진로관련 수업을 수강한 적이 있는 학생과 수강하지 않은 학생이 표본으로 추출될 수 있었다. 조사는 2017년 5월 22일부터 6월 21일까지 온라인으로 진행되었고, 조사 시 목표 표본 수는 840명이었으나, 조사 후 유효 표본 수는 897명이다. 대학생 진로교육 인식을 살펴보면, 진로준비는 남학생과 고학년일수록 진로 준비를 많이 하고 있었고, 진로관련 수업은 고학년일수록 수강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진로관련 수업 수강자 중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부정적 응답이 44%로 나타났고 고학년일수록 수업이 진로설계에 도움을 주지 않는다고 응답하여 대학에서 제공하는 진로관련 수업의 질 향상이 시급히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대학생들이 원하는 진로관련 수업 방식은 학년이 높을수록 취업인턴, 현장 실습 위주의 수업을 저학년일수록 전공 관련 직무 중심의 수업을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장 선호하는 진로교육 방식은 실무적으로 직무를 배울 수 있도록 하는 현장 실습형(52.3%)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이 연구의 의의 및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Comparison of Difficulties Experienced by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 in Learning Lagrange's Equation in Mechanics Courses

        Seunghui Lee,이경호 한국물리학회 2011 새물리 Vol.61 No.3

        This paper describes what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really perceive as difficulties in learning Lagrange's equation and how those difficulties are different between these groups.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Classical Mechanics' an upper-level mechanics course for second-year students and advanced-level mechanics course for graduate students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Eighteen undergraduate students and ten graduate students, all physics education majo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For data collection,we used weekly reports. From the data analysis, we found that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perceived various types of difficulties in learning Lagrange's equation (57 specific difficulties in total); moreover, those difficulties were not limited to just conceptual or reasoning difficulties. There were 19types of conceptual difficulties and 16 types of mathematical difficulties. Additionally, we identified 13 types of difficulties commonly perceived by both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These results could provide helpful information for instructors to understand their students and to develop more effective teaching strategies in order to address students' difficulties in learning Lagrange's equation.

      • KCI등재

        영어 강의 교양 교육에 관한 학부생 인식연구 - 이공계 특성화 대학의 설문조사를 중심으로

        박천웅,이재연,이주영 한국교양교육학회 2018 교양교육연구 Vol.12 No.1

        This article examines the attitudes of undergraduate students toward non-science subjects taught in English at a government-funded science and engineering school in South Korea. It analyzes the reasons for students’ perceptions of courses regarding art,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AHS) as insignificant and lacking in value. The university, which serves as an example in this study, teaches almost all its subjects in English except for a few language classes, and the AHS courses are offered as part of liberal education. The existing literature on general education reveals that disregard for liberal education tends to occur in institutional settings which place too much emphasis on courses related to academic majors. Research also shows that the students’ satisfaction with courses taught in English closely correlates to their level of English skills. Yet, few studies have dealt with the low levels of student motivation for non-major courses taught in English in science and engineering schools. Furthering the results of pervious literature, this study sets a premise that the reasons for considering AHS course valueless include the pressure to use English in class, passivity in acquiring knowledge, students’low interest in AHS subjects, and an overemphasis on science and engineering majors. To test such hypotheses empirically, data was collected from a survey of more than 1000 undergraduate students in a science and engineering school, and analyzed using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analysis showed that 1) students who felt burdened in the areas of English reading, writing, and listening, 2) students less interested in deepening and expanding AHS programs, and 3) students who spent more hours on their majors than on AHS courses, tended to complain that the reading and assignments for AHS courses were excessive and less effective for learning. On the basis of our findings, we propose the following suggestions for the betterment of AHS education in science and engineering universities: tailored English education fitting the different levels of the students’ language capacities, pedagogy to draw the attention of more students to liberal education, as well as structured curricula meeting the diverse academic needs and interests of students. 이 연구는 한 국립 이공계 특성화 대학에 재학중인 학생들이 왜 영어로 교수되는 인문/사회/예체능 계열 수업(Art,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이하 AHS 수업)을 사소하게 여기는지를 학부생 설문 조사 결과를 토대로 분석하였다. 이 연구가 분석 사례로 삼은 이공계 특성화 대학교는 2018년 현재 소수의 어문 계열 수업을 제외한 모든 수업을 영어로 강의하고 있으며, AHS 계열 수업은 재학생들이 졸업 전에 이수해야하는 교양 과목으로 편성되어 있다. 기존 연구에서는 교양 교육에 대한 홀대와 무관심이 전공 중심의 대학 학사 구조의 문제와 관련이 있다는 점, 영어로 강의되는 수업의 경우 학생들의 영어 숙련도에 따라 만족도가 달라진다는 점 등을 밝혔다. 그러나 영어로 교수되지만 전공 과정과 직접 관련이 없는 수업의 경우 어떤 요인들이 학생들로 하여금 낮은 수준의 학습 유인과 학업 동기를 가지게 하는지를 살핀 연구는 드물었다. 기존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와 이론적 자원을 발전시켜 우리는 영어에 대한 부담, 지식 습득의 수동성, 인문-사회 영역에 대한 낮은 관심도, 그리고 전공 몰입을 강요하는 대학 학사 구조 등의 요인으로 인하여 이공계 학생들이 AHS 수업을 사소하거나 무용한 것으로 생각한다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로지스틱 회귀 분석을 실시한 결과, 우리는 1)영어의 읽기, 쓰기, 듣기 영역에서 부담감이 많은 학생들이, 2)AHS 수업의 심화, 확장된 프로그램에 관심이 없는 학생들이, 3)AHS 수업에는 적은 시간만을 할애해야한다고 생각하는 학생들이, 4)전공 수업에 많은 시간을 할애해야 하는 학생들이 영어로 교수되는 AHS 수업의 읽기 자료의 양과 과제가 과도하게 많고 학습에 별 도움이 되지 않았다고 답하였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우리는 이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이공계 특성화 대학교 및 4년제 종합 대학의 자연 공학 계열 학생들에게 영어로 교수되는 AHS 교육이 보다 효과적으로 다가가기 위해서는 수준별 영어 학습이 이루어질 환경의 조성, 학생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고 관심을 확대시킬 수 있는 교수법의 개발, 학생 수준과 관심에 부합하는 계층화된 AHS 수업 교과 과정 편성 등을 제안한다.

      • KCI등재

        학생설계전공 제도 운영 현황 분석 및 학생 지원방안 연구: 서울 소재 11개 대학을 중심으로

        임태원,박혜림,홍후조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3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 support plan to reinforce the students' major design capabilities for substantiality of student designed major. Methods This study was to suggest a support plan by analyzing major approval process and support system of 11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and execute a perception survey targeted to the students in the university ‘A’. Results First, the approval process for the student designed major was operated in form of deliberation by committee at the department level and committee at the university headquarter level. At that point, the students were given a high-stakes task to describe designed major name, curriculum design table and subject planning, and plan for completion, etc. in detail. Second, in order to use the student design major system, students must have ‘understanding systems and procedures’, ‘cultivation of basic knowledge for curriculum design’, and ‘curriculum design competency’. Each can be proposed for the purpose of a student design major support plan, and differentiated support must be provided according to the university-affiliated. Third, as a result of conducting the perception survey for support plan to reinforce the students' major design capabilities as an object of 281 students in the university ‘A’, they answered that it was necessary to reinforce the major design capabilities to provide actual data supply and supply of learning opportunity in order of data distribution of major design exemplification, sharing meeting of major design exemplification, and distribution of guidebook.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degree of recognition of the need for support measures by university-affiliated. Conclusions To conclude, based on these research findings above, this study was to suggest a practical plan to support the students who wanted to complete their student designed majors in the future, and concept and procedural knowledge that must be guided. 목적 본 연구는 대학 교육에서 학생맞춤형 교육의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는 학생설계전공의 활성화를 위하여 대학의 제도 운영 현황을 분석하고, 학생의 전공설계 지원방안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이를 위하여 서울 소재 11개 대학의 홈페이지 안내자료, 전공 신청서, 가이드북, 사례집 등을 수집하고 전공 승인 절차, 전공설계 지원체계, 전공 설계 필요지식으로 구분하여 내용을 분석하였다. 또한 문헌분석을 토대로 도출한 지원방안에 대하여 ‘A’대학의281명을 대상으로 각 지원방안의 필요성 인식정도를 확인하는 조사연구를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학생설계전공의 승인 절차는 신청서를 토대로 학부(과) 차원의 위원회, 대학 본부 차원의 위원회의 심의를 거치는 형태로운영되었다. 이때 학생들은 설계한 전공의 명(名)부터 교육과정 설계표 및 교과목 구성안, 이수 계획 등을 상세히 기술하라는 고부담과제를 부여받고 있었으나 사전 준비 단계의 지원이 미흡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학생설계전공 제도를 이용하기 위하여 학생들이 갖추어야 하는 것은 ‘제도 및 절차의 이해’, ‘교육과정 설계를 위한 기초지식’, ‘교육과정 설계역량’이었다. 각각은 학생설계전공지원방안의 목적으로 상정될 수 있으며 내용적 특성에 따라 차별화된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A대학교 학생 281명을 대상으로 학생의 전공설계 지원방안에 대하여 인식조사를 수행한 결과 전공설계 예시 자료 배포 등 실질적인 자료 제공과 학습 기회 제공이전공설계 역량강화에 필요하다고 응답하였으며, 계열별로 지원방안에 대한 필요성 인식에 차이가 있었다. 결론 위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향후 학생설계전공을 이수하고자 하는 학생들을 지원할 수 있는 실제적 방안과 필수적으로 안내되어야 할 개념과 절차적 지식에 대하여 제언하였다.

      • KCI등재

        상담전공 학부생의 기본심리욕구와 삶의 만족도 및 우울의 관계: 타전공과 비교하여

        김경미 한국상담학회 2019 상담학연구 Vol.20 No.5

        The basic psychological need based on the theory of self-determination affects a person’s psychological health and well-being. Recent researches claim that the effects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vary according to culture. Based on this, this study sought to find out how college students’ basic psychological needs affect their life satisfaction and depression, and also how basic psychological needs of undergraduate students in counseling major affect other majors compared to those of other undergraduate students. To this end, basic psychological needs, life satisfaction and depression(CESD) were measured on 146 undergraduate students in counseling major and 187 other majors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Study results showed that college students’ basic psychological needs had a positiv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and a negative effect on depression. And there was a difference in influence of autonomy between counseling and other major student on life satisfaction and depression. In addition, the influence of relatedness on the life satisfaction of counseling major students differed from other major undergraduate students. Based on these results, the ways to increase their basic psychological needs in the course of fostering counseling major undergraduate students were discussed. 자기결정성 이론에 근거한 기본심리욕구는 개인의 심리적 건강과 안녕감에 영향을 미친다. 최근 연구는 기본심리욕구의 영향이 문화에 따라 다르다고 주장한다. 이에 근거하여 본 연구는 대학생의 기본심리욕구가 삶의 만족도와 우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또한 상담전공 학부생의 기본심리욕구가 타전공 학부생과 비교하여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상담전공 학부생 146명, 타전공 학부생 187을 대상으로 기본심리욕구, 삶의 만족도, 우울을 측정하였으며. 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대학생의 기본심리욕구는 삶의 만족도에 정적영향을, 우울에는 부적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상담전공 학부생과 타전공 학부생간의 자율성이 삶의 만족도와 우울에 미치는 영향력에서 차이가 있었다. 또한, 관계성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상담전공 학부생과 타전공 학부생 간에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중심으로 상담전공 학부생 양성과정에서 이들의 기본심리욕구를 높이는 방안들을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