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易學을 통해본 圓覺經의 成佛論 -周易과 正易을 중심으로-

        이현중 한국동서철학회 2019 동서철학연구 Vol.0 No.94

        In this pap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riginal destiny to attain Buddhahood and spiritual practice, as set forth in the Complete Enlightenment Sutra, was considered based on the principle of inverted and reverse generation and completion (倒逆生成) in the Jeong Yeok (正易), which is a classic text of studies in the Book of Changes, based on thoughts unique to Korea. If a person is destined to attain Buddhahood, not only is spiritual practice unnecessary, but also ignorance cannot exist—and if ignorance exists, a person cannot be said to be a Buddha. This is a problem that arises when spiritual practice is discussed from the dichotomous viewpoint that understands nature and phase, people and Buddha, and ignorance and complete enlightenment separately from the viewpoint of things. Problems arising from the viewpoint of things or the viewpoint of “beginning followed by ending” are resolved only when the problems are understood from the viewpoint of “ending followed by beginning.” This is a method for considering spiritual practice—not from the opposite viewpoint, which is from people directed toward Buddha—but from the viewpoint of the original destiny to attain Buddhahood, that is, in the forward direction, from Buddha toward people. The two approaches are not two, but the representation of what was originally one approach but from two separate viewpoints. The Book of Changes indicates changes from ending to beginning as inverted generation and reverse completion (倒生逆成), and changes from beginning to ending as reverse generation and inverted completion (逆生倒成), thereby indicating that the two ways are one body but can be distinguished from one another. If spiritual practice is understood from the viewpoint of reverse generation and inverted completion, based on inverted generation and reverse completion, life per se will be a spiritual practice. If life is represented from the viewpoint of inverted generation and reverse completion centering on wisdom, life itself will be a manifestation of complete enlightenment. If the manifestation of complete enlightenment is represented from the viewpoint of reverse generation and inverted completion, it will be ignorance, people, and an inherent sense of the past, that is, of the aspect of all phenomena, the final, complete enlightenment and Buddhahood in the the future—that is, the aspect of the main body—and an awakening and epiphany in the present. These three viewpoints can be represented as one, following awareness. 본고에서는 『원각경』의 成佛論을 中國易學의 전적인 『周易』의 順逆合一과 韓國易學의 전적인 『正易』의 倒逆生成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우리는 일상의 삶으로부터 遠離心을 發하여 수행을 일으키도록 하기 위하여 實相의 세계를 물건적 관점에서 가치상의 우열을 가진 性과 相, 중생과 부처, 무명과 圓覺의 양자로 구분하여 중생, 무명을 벗어나서 원각, 부처에 이르는 수행과 成佛을 논한다. 그러나 相에서 性을 향하는 상구보리는 逆방향 중심의 證悟成佛論으로 順방향의 衆生本來成佛論과 모순을 일으킨다. 중생이 본래성불이라면 무명이 없어서 수행을 할 필요가 없고, 무명이 있다면 부처라고 할 수 없음은 물론 수행을 통하여 성불할 수 없다. 따라서 물건적 관점에서 제시된 실상의 두 측면인 본래성불과 증오성불이 하나가 되는 合一이 필요하다. 물건적 관점에서 중생이 수행을 통하여 成佛함은 사건적 관점에서는 불성, 圓覺이 씨가 되어 수행이라는 사건으로 나타나는 생성이다. 그것은 수행이란 중생이 부처가 되는 물건적 변화가 아니라 본래 부처가 자기를 드러내는 始終의 事件임을 뜻한다. 따라서 물건적 관점에서 實相을 이해하는 것을 바꾸어서 사건적 관점에서 이해할 필요가 있다. 『正易』에서는 세계를 사건적 관점에서 倒逆生成으로 나타내고 있다. 역생도성이 씨를 뿌려서 가꾸는 과정이라면 도생역성은 열매가 씨로 사용되는 과정으로 씨도, 싹도, 꽃도 모두 열매의 다양한 모습이다. 도역생성의 관점에서 보면 수행은 佛性의 작용, 圓覺의 작용인 점에서 不修之修이고, 성불 또한 이룸이 없는 成佛이며, 삶과 수행이 일체인 점에서 삶이 그대로 淨覺을 隨順함이다.

      • KCI등재후보

        영신수련의 진행 원리와 목표

        정제천 서강대학교 서강대학교 신학연구소 2009 신학과 철학 Vol.- No.15

        성 이냐시오의 영신수련이 1548년 교황의 인가를 받은 이래 많은 이들이 영신수련에 따라 피정을 하였고 수많은 지침서가 나왔고 연구가 행하여졌다. 본고는 그동안 영신수련의 연구에서 부족하였던 관점, 즉 영신수련을 하나의 전체로 이해하는 안목을 제공하려는 의도로 작성하였다. 영신수련 지도자가 나무를 보고 숲을 보지 못하는 우를 범하여서는 안 될 것이다. 본고에서는 지도자를 염두에 두고 영신수련을 전체적인 관점에서, 즉 영신수련에 들어가는 문과 진행 원리 그리고 나가는 문을 다루었다. 먼저 영신수련에 들어가기 위해서는 하느님을 사랑하고 섬기려는 열망이 있어야 함을 분명히 하고 시작하였다. 이어서 영신수련의 원리가 반복과 심화에 있음을 간파한 H. Alfonso의 논지를 소개하고, 영신수련을 떠받치는 원리와 기초, 그리스도의 나라 및 사랑을 얻기 위한 관상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로써 반복 심화의 진행 원리가 전체 구도에 적용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끝으로 이런 과정을 거치는 영신수련이 어떤 인간형을 목표로 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 KCI등재

        한국전통사찰 전각과 봉안(奉安) 불·보살(佛·菩薩)에 따른 주련(柱聯) 양상 및 공간 인식 고찰 - 조계종 25교구 본산을 중심으로 -

        신현실,박소현 한국전통조경학회 2022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40 No.1

        Focusing on head temples in 25 parishes of Jogye Order,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ancient literatures involved in the writing source of pillar tablets and the space layout drawings in order to examine awareness patterns of space in terms of contents of pillar tablets and Buddha and Bodhisattva enshrined in major temple sanctums in Korea. The research findings are briefed as follow: First, the different Buddhas enshrined in sanctums can be categorized and explained in accordance with their body(體), form(相) and use(用) based on Awakening of Mahayana Faith. In particular, Sakyamuni Buddha is for form(相), Amitabha Buddha and Avalokiteśvara for use(用), and Vairocana Buddha for body(體). Second, the pillar tablets of main sanctums signify oath and thoughts of the enshrined Buddhas and Bodhisattvas focusing on main Buddhas and serving Buddhas. Third, the content of pillar tablets is to symbolize and signify Buddha land where main Buddhas are always existing as they are focusing on the enshrined main Buddhas. That is, such content is to praise for Buddha. Fourth, every sanctum pillar tablets of temples express the content of attaining spiritual enlightenment for the self-cultivating truth seekers and saving all sentient beings for main Buddhas who are saving human. That is, every space of temples are perceived as “escaping torment and achieving pleasure(避苦得樂)”. 본 연구는 조계종 25교구 본산을 중심으로 한국 전통 사찰의 주요 법당 내 주련의 내용과 봉안된 불·보살과의 공간의 인식 양상을 살펴보기 위해 주련의 출전에 해당하는 고문헌과 공간배치도를 비교·분석하였으며, 도출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찰 봉안 제불(諸佛)의 분류 특징은 『대승기신론』의 기록을 바탕으로 체(體), 상(相), 용(用)에 따라 분류하여 설명이 가능하였다. 구체적으로 석가모니불은 ‘상(相)’, 아미타불과 관세음보살은 ‘용(用)’, 비로자나불은 ‘체(體)’에 상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주요 법당의 주련은 주존불과 협시불을 중심으로 각 봉안 불·보살의 서원(誓願)과 사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주련의 내용은 봉안한 주존불을 중심으로 각 주불이 항상 자재(自在)하고 존재하는 불국토를 상징하고 의미하는 것으로, 찬불(讚佛)의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넷째, 사찰의 각 주요 법당의 주련은 참방하는 구도자(求道者)들에게는 상구보리(上求菩提)의 내용과 중생들을 제도하는 주존불의 입장에서 하화중생(下化衆生)을 표현하여, 사찰의 각 공간이 ‘피고득락(避苦得樂)’으로 인식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궁중 풍 사랑의 한 예: 예이츠와 모드 곤의 사랑

        홍성숙 한국예이츠학회 2010 한국예이츠 저널 Vol.34 No.-

        The relationship between Yeats and Gonne seems to show an example of the traditional courtly love. Courtly love was a medieval Europe conception of nobly and chivalrously expressing love and admiration. Under this relationship, although a male expresses the devotional love to a female, a woman shows no love and pity for a man and a woman is an object who uplifts a man's spirit. This relationship may be said to show the man's fear of castra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Yeats and Gonne starts by his admiration for her beauty and sternness as a nationalist for the Irish Independence. Also, he glorifies her as a secret being. Moreover, Yeats's love for her shows the doubleness: erotic and spiritual, humane and transcendental, and humiliating and proud. However, Gonne's coldness leads Yeats to desperation. And the last step shows Yeats's fear of castration for the politically-minded Maud Gonne. In Rose, there is Yeats's admiration for the secret woman, Maud Gonne. Yeats's unrequited love leads finally to desperation and sorrow for love, facing Gonne‘s unwavering coldness as a nationalist, which leads Yeats to give her up, showing a kind of fear of castration.

      • KCI등재

        대승불교의 실천 덕목 재조명- 6바라밀을 중심으로 -

        손병욱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7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32

        In this paper, the author tried to research the reason why the reality of Korean buddhism had not agreed with the name as Mahayana buddhism. And I arrived at the conclusion that Korean buddhism didn’t go the way of Mahayana bodhisattva[大乘菩薩道] sincerely. Mahayana bodhisattva[大乘菩薩] is the man who try to attain the ultimate spiritual enlightenment[成佛] on the base of individual enlightenment by saving all sentient beings[下化衆生]. At this time, the point of individual enlightenment is the Prajana Paramita[般若波羅蜜]. And the trainees can attain the Prajana Paramita by training Four Noble Truths & Eight Right Paths[四諦八正道]. And Six Paramitas[六波羅蜜] or Ten Paramitas[十波羅蜜] are regared as the practical virtues of bodhisattva for saving all sentient beings. To the present time, individual enlightenment has been regarded as very important, but the thing saving all sentient beings has been treated lightly in Korean buddhism. At the same time, the Korean buddhism trainees have treated lightly Four Noble Truths & Eight Right Paths, which are very important virtues to become Mahayana bodhisattva. Futhermore, they could not read the correct meaning of Six Paramitas as the saving all sentient beings or the virtues for mercy. They read the wrong meaning of Six Paramitas as the virtues for the Prajana Paramita. As the result, Korean buddhism has seen the features of mountain buddhism for only training truth. On the view of this features, Korean buddhism is similar to Hynayana[小乘]. In order to recover the way of Mahayana bodhisattva, I thought that it was very important to understand the meanings of Six Paramitas. I tried to present the correct meanings. And futhermore, I tried to research the messages of the re-lighting up Six Paramitas about Korean buddhism. 본고에서는 한국불교가 대승불교이면서도 명실상부(名實相符)하지 못하는 이유로서 그것이 대승보살도(大乘菩薩道)를 제대로 살리지 못한데 기인한다고 봤다. 대승보살도의 핵심인 대승보살은 개인적인 깨달음을 바탕으로 하화중생에 의거하여 성불(成佛)을 추구하는 존재이다. 이때 개인적 깨달음의 핵심이 반야바라밀인데, 이 반야바라밀을 얻기 위한 수행방법이 4제8정도이다. 그리고 하화중생을 위한 실천덕목은 6바라밀 내지 10바라밀이다. 그런데 한국불교는 개인적인 깨달음에만 치중하고 하화중생을 소홀히 하였다. 그러면서 8정도가 보살이 되기 위한 중요한 덕목이라는 사실을 간과하였다. 나아가 6바라밀을 하화중생이나 자비행이 아닌 상구보리의 덕목으로 오독(誤讀)하였다. 그 결과 한국불교는 실제로 대승과 동떨어진 수행지상(修行至上)의 산중불교(山中佛敎)적 특징을 강하게 지녀왔다. 이는 도리어 소승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이제 대승보살도를 회복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6바라밀과 그 연장선상에서 10바라밀을 제대로 이해하는 일이 매우 긴요하다고 봤다. 그리하여 그 바른 이해가 어떠해야 하는지, 그리고 이러한 6바라밀에 대한 재조명(再照明)이 한국불교에 주는 메시지가 무엇인지 탐구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