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프랑스어 명사의 문법성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박은미 한국프랑스문화학회 2018 프랑스문화연구 Vol.39 No.1

        Le genre grammatical des noms en français a fait l’objet de nombreux travaux depuis longtemps, travaux qui considèrent le système d’attribution du genre grammatical. Les locuteurs natifs maîtrisent le système du genre des noms non-animés mais les apprenants coréens du FLE doivent le mémoriser. Cet article a l’intention de chercher quelques procédés d’enseigner le genre grammatical des noms en français aux apprenants coréens du FLE. Pour ce faire, d’abord, nous observons des études précédentes qui se concentrent sur l’analyse du corpus des noms pour la relation entre terminaison du nom et genre grammatical, c’est-à-dire l’information phonétique. Ensuite nous formulons les règles sur des critères morphologique, sémantiques ou orthographiques. L’acquisition du genre par les natifs s’appuie sur le mécanisme de discernement acquis par l’usage tandis que le choix du genre par les non-natifs se fonde sur ces règles. Puis nous proposons la description du système d’attribution du genre grammatical pour aider les apprenants coréens à choisir les genres.

      • KCI등재

        상적(相的) 속성(屬性)과 관련(關聯)한 ‘-느라고’의 문법적(文法的) 제약(制約)과 한국어(韓國語) 교육(敎育) 방안(方案)

        유민애(劉旼愛) ( Yu Min-ae ),박형진(朴亨振) ( Park Hyoung-jin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21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9 No.4

        본고의 목적은 상적 속성과 관련한 ‘-느라고’의 문법적 특성과 제약을 기술하고, 이를 한국어 교육에 적용하는 방안을 논의하는 것이다. ‘-느라고’는 선행절과 후행절의 의미론적 관계 측면에서 ‘이유/원인’, ‘목적/의도’의 의미를 가진다. ‘-느라고’에서는 상적 의미도 포착되는데, ‘-느라고’는 비완망상의 상적 의미를 가진다. ‘-느라고’의 상적 의미로 인해 발생하는 문법적 제약은 서술어 결합 제약과 후행절 결합 제약으로 나누어 살필 수 있다. 서술어 결합 측면에서 ‘-느라고’에는 [+지속성], [-상태성]의 속성을 가지는 동사만 결합할 수 있다. 후행절 결합 측면에서 ‘-느라고’의 선행절 사태와 후행절 사태는 일정한 시간 폭을 공유해야 한다. 그리고 ‘-느라고’의 후행절에는 선행절 사태에 대한 완망적 인식이 전제되었을 때만 성립되는 결과 사태가 결합하지 못한다. 이와 같은 ‘-느라고’의 상적 의미와 상적 의미로 인한 문법적 제약은 한국어 교육에도 적용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grammatical restrictions and characteristics of “-neurago” and to discuss their possible appli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meanings of “-neurago” are summarized as [reason], [purpose], [imperfective], etc. Grammatical restrictions, caused by aspectual meanings of “-neurago,” can be divided into predicate restrictions and following clause restrictions. The reason the verbs which mean [+durative] [-stative] can be combined with “-neurago” is that “-neurago” has predicate restrictions. Because of following clause restrictions, the preceding clauses of “-neurago” and following clause of “-neurago” have to share the same time span. Furthermore, result events that are established only when imperfective perceptions of preceding clauses are premised cannot be combined with following clauses of “-neurago”.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such aspectual meanings, and grammatical restrictions of “-neurago” need to eventually be taught to Korean learners.

      • KCI등재

        역사적 문법적 해석의 한계 극복하기: 이사야 53장을 시험 사례로

        김진규 ( Jinkyu Kim ) 한국복음주의신학회 2015 성경과신학 Vol.76 No.-

        역사적 문법적 해석은 성경주석의 절대적인 방법론으로 여겨진다. 주석가들은 본문의 유형에 상관없이 먼저 본문의 원래의 역사적 의미를 찾으려고 한다. 이들이 말하는 역사적 의미란 저술 당시의 특정한 지칭대상(referent)을 가리키는 것을 거의 항상 의미한다. 그런데 좁은 역사적 맥락에서 지칭 대상을 항상 찾으려는 ‘경직된’ 역사적 문법적 성경해석 방법론은 의미의 이해에 있어서 단어와 대상을 바로 연결해서 이해하는 잘못된 의미론에 기초한 것이다. 이런 ‘경직된’ 역사적 문법적 해석은 순수하게 미래를 예언하는 본문을 해석하는데 어려움을 줄 수 있다. 예를 들면 그리스도의 재림에 대한 순수한 미래 예언(예, 살전 4:15-17)은 예수께서 재림하실 때 일어날 미래의 사건을 분명히 지칭하기 때문에 성경 기록 당시의 역사적 맥락에서 지칭 대상을 찾을 수 없다. 언어학이 발전하면서 성경 해석자들은 ‘뜻이 통하는 것’과 ‘지칭대상을 찾는 것’ 사이에 구별이 있어야 함을 깨닫기 시작했다. 이 논문에서 의미론 연구에 혁명적인 변화를 일으킨 오그덴-리챠즈의 ‘의미의 삼각형’을 사용하고 있다. 의미의 삼각형은 ‘단어와 대상’이 바로 연결된 것이 아니라, ‘기호’, ‘뜻’, ‘지칭대상’의 삼각관계를 통해 이해에 도달하게 된다고 본다. 오그덴-리챠즈의 연구는 ‘기호’와 ‘지칭대상’ 간에 간접적인 관계가 있다고 강조한다. 기호는 반드시 뜻을 통해 지칭대상을 이해한다고 보고 있다. 그리고 ‘뜻’과 ‘지칭대상’ 사이를 구별하고 있다. 뜻이 통한다는 것은 반드시 지칭하는 구체적인 대상을 파악함을 의미하지 않는다. 이 구별은 이사야 52:13-53:12와 같이 순수하게 미래를 예언하는 본문을 이해하는데 큰 도움을 준다. 만약 이 본문에 나오는 종에 대한 지칭대상이 원래의 역사적 맥락에서 분명하지 않으면, 해석자는 그 본문의 뜻이 통하는 것으로 만족할 수 있을 것이다. 구속사가 전개됨에 따라 해석자는 누가 진짜 지칭대상인가를 나중에 알게 될 것이다. Grammatical-historical interpretation is regarded as an absolute norm of biblical exegesis. Almost all commentary writers start by finding the original meaning of the text regardless of its literary genre. They assume that historical meaning almost always denotes a particular referent at the time of its composition. However, rigid use of grammatical-historical interpretation may inherit difficulties in interpreting a future-predictive prophecy, for example, the Second Coming of the Christ (e.g., 1Thess 4:15-17). The parousia of the Christ refers to the future event which will happen when he comes again. As linguistics develops, Bible exegetes begin to realize that there is a distinction between ‘sense-making’ and ‘referent-finding.’ In this paper, I have utilized Ogden-Richards’s renowned ‘triangle of meaning,’ which revolutionized the study of linguistic semantics. The triangle of meaning is composed of ‘symbol,’ ‘sense,’ and ‘referent.’ The meaning of a word is to be understood by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se three elements. The triangle reveals the problem of the “word-and-thing” method. Ogden-Richards’s study stresses the indirect relationship between ‘symbol’ and ‘referent.’ A symbol does not directly refer to its referent, but indirectly comes to the understanding of its referent only by means of its sense. It also distinguishes the meanings between ‘sense’ and ‘referent.’ Sense-making does not necessarily mean grasping the concrete object of the referent. This distinction will greatly contribute to one’s understanding of predictive prophecies such as Isa 52:13-53:12. As a test case, I have applied Ogden-Richards’s method to the interpretation of this text. If the referent of the servant in this text is not clear in its original, historical context, the interpreter may become complacent about the sense-making of the passage. As redemptive history unfolds, he will later realize who the real referent is.

      • KCI등재

        ‘-고/어 있-’ 구성의 통사성과 상적 의미

        이계현 중앙어문학회 2019 語文論集 Vol.77 No.-

        The so-called auxiliary constructions of ‘-eot it-’ and ‘-go it-’, which are considered to have grammatical functions, are key issues in analyzing causes of semantic ambiguity. A new grammatical process will be proposed for the constructions of ‘-eot it-’ and ‘-go it-’ on this issue and an attempt will be made to analyze the semantic structure and find a solution to this problem. Another issue will be explained through a syntactical and semantic approach about the same relative meaning of “resultive” in homonymy constructions of ‘-eot it-’ and ‘-go it-’. In this discussion, there are many advantages to seeing the configuration of ‘-eot it-’ and ‘-go it-’ as a combination of “adverbial” and “verb” rather than as an auxiliary verb. First, setting the scope of the meaning of events by the “process” and “results” that are presented by the constructions can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 Second, it can help to clearly demonstrate that the resulting ‘-eot it-’ and ‘-go it-’ constructions are in a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The final product would be a reasonable basis for explaining the aspectual meaning of these constructions lexically, although not grammatically. We also expect that the criteria for “process” and “result” set in the discussion will help to classify Korean verbs regarding their aspectual properties. 문법상(grammatical aspect) 범주의 기능을 하는 것으로 보는, 이른바 보조 동사 구성인 ‘-고 있-’과 ‘-어 있-’ 구성은 상적 의미의 규명과 중의성의 원인 분 석이 주요 쟁점이다. 이 문제에 대해 ‘-고 있-’과 ‘-어 있-’ 구성에 대해 새로운 문법 처리를 제안하고 이를 바탕으로 의미 구조를 분석하여 해결 방안을 찾으 려는 시도를 할 것이다. 또 다른 문제로 별개의 형식인 ‘-고 있-’과 ‘-어 있-’ 구 성이 ‘결과 지속’이라는 동일한 상적 의미를 갖는 문제에 대해서도 통사론적 접근과 의미론적 접근을 통해 설명할 것이다. 기존의 논의와는 달리 이 논의에서는 ‘-고 있-’과 ‘-어 있-’ 구성을 ‘부사(어)와 동사가 결합한 복합동사’로 보고 어휘상(lexical aspect)을 지닌 것으로 파 악한 데에는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다. 첫째, ‘-고 있-’ 구성을 과정과 결과라고 하는 중의성 문제를 단순하게 설명할 수 있다. 둘째, ‘-고 있-’과 ‘-어 있-’의 배 타적 관계를 확연하게 드러내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이 구성의 상적 의미가 때로는 미완결상으로 해석되기도 하고 완결상으로 해석되기도 하 는 문제에 대한 합리적 설명이 가능하다고 본다. 그리고 마지막은 이 구성의 상 적 의미를 문법상이 아닌 어휘상으로 설명할 수 있는 합리적 근거가 될 것이다. 또 이 논의에서 설정한 ‘과정’과 ‘결과’라는 의미 기준은 동사의 상적 분류에 도 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한다.

      • KCI등재

        프랑스어 상(aspect) 교육에 관한 연구

        최윤희 ( Choi Yoonhee )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2016 프랑스어문교육 Vol.54 No.-

        Cette étude montre comment l'énseignement lié aux concepts aide les apprenants coréens à comprendre l'aspect en français. Nos enquêtes montrent que les apprenants coréens ne possèdent pas une compréhension précise de l'aspect lexical ainsi que de l'aspect grammatical. Par exemple, ils ne possèdent pas une solide connaissance des usages des prépositions temporelles telles que ‘pendant’, ‘pour’, ‘depuis’, ‘en’, ‘dans’ etc, autrement dit celles qui sont liées à l'aspect lexical. En outre, ils ont des difficultés de choisir entre le passé composé et l'imparfait. Les deux sont liés à l'aspect grammatical. En ce qui concerne l'aspect lexical en français, nous proposons que les quatre classes verbales aspectuelles fournies par Vendler (1967) ont des caractéristiques universelles, et peuvent être un paramètre pour les apprenants coréens. Notre étude montre que les apprenants peuvent facilement comprendre les concepts de télicité ou non-télicité ainsi que dynamicité, la durée et la ponctualité qui déterminent l'aspect lexcial. Cependant, les apprenants coréens ont aussi des difficultés à comprendre l'aspect lexcial de quelques verbs, en raison de l'interférence de la langue maternelle. Par exemple, ils ne comprennent pas pourquoi le progressif (« être en train de ») ou l'inchoatif (« commencer à ») ne peut pas être accompagné d'un verbe « état » comme « connaître » ou d'un verbe « accomplissement » comme « arriver ». La raison pour le verbe « connaître (savoir) » est que le progressif en coréen donne le sens résultatif quand il est utilisé avec les verbes « état ». La raison pour le verbe « arriver » est que le coréen est une langue sans article. Donc quand le sujet du verbe « arriver » est indéfini pluriel, le verbe « arriver » peut s'entendre comme le verbe activité et peut être utilisé avec le progressif ou l'inchoatif. Quant à l'aspect grammatical, le coréen n'a qu'un seul marqueur de passé ‘-ess’ pour l'mparfait ainsi que le passé composé. C'est un obstacle pour les apprenants coréens à distinguer les deux temps du passé en français. En outre, les apprenants souvent se sentent désorientés, parce que quelques manuels décrivent l'imparfait tel que « événement continu », « événement duratif », « événement répété », alors que le passé composé tel que « événement ponctuel », « événement unique ». Mais cela ne correspond pas exactement aux usages des deux aspects grammaticaux. Dans cette étude, nous avons discuté avec les apprenants pour savoir comment ils traduiraient l'imparfait français en coréen et les aider à penser par eux-mêmes. Sur la base des phrases traduites en coréen, les apprenants ont conclu que l'imparfait correspondait généralement au progressif dans le passé « -ko.iss.ess », l'habituel dans le passé « -kon.hay.ss » et le marqueur passé « -ess » pour les verbes statifs. Cette étude fournit une preuve que les interférences de la langue maternelle, ainsi que les caractéristiques aspectuelles universelles devraient être traitées pour les apprenants adultes pour construire une conscience plus précise de l'aspect en français.

      • KCI등재

        19세기 초기부터 20세기 초기까지의 한국어는 어떤 모습이었나

        李賢熙(Lee Hyeon-hie) 우리말글학회 2007 우리말 글 Vol.41 No.-

        The Korean from the beginning of the 19th century to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showed more or less the systematic appearance. It did not merely have the character of the transition period. The need of the description on the new materials was focused on, and the cases of the lexical forms, the grammatical forms and the syntactic expressions in that period were described grammatically. It was made clear that the appearance of the Korean before this period remained, but a lot of grammatical phenomena appeared newly at this time.

      • KCI등재

        19세기 초기부터 20세기 초기까지의 한국어는 어떤 모습이었나 - 주로 문법사적 기술을 중심으로

        우리말글학회 2007 우리말 글 Vol.41 No.-

        <P>The Korean from the beginning of the 19th century to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showed more or less the systematic appearance. It did not merely have the character of the transition period. The need of the description on the new materials was focused on, and the cases of the lexical forms, the grammatical forms and the syntactic expressions in that period were described grammatically. It was made clear that the appearance of the Korean before this period remained, but a lot of grammatical phenomena appeared newly at this time.</P>

      • KCI등재

        체계기능언어학의 ‘양태 표현’ 온라인 학습 가능성 탐색

        신정아(JeongA Shin), 한정한(Jeonghan Ha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9

        목적 이 글의 목적은 체계기능언어학(SFL)의 양태 표현을 학습하는 데 도움이 되는 온라인 수업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방법 체계기능언어학의 용어인 ‘일치적 실현’, ‘비일치적 실현(문법적 은유)’, 그리고 양태의 전체 시스템인 ‘양태의 체계망’을 소개한다. SFL 문헌에서 말하는 이 세 가지 개념은 본고에서 한국어의 양태 범주를 분석하고, 교육하는 원리가 되며, 후술 4장과 5장의 온라인 프로그램 매뉴얼을 구성하는 실제적인 연구 방법론으로 활용된다. 즉 문헌의 원리를 온라인 교육 프로그램에 적용하는 문헌 조사의 방법을 취한다. 온라인 비대면 수업에서 ‘화상 밖’의 학습은 학습자의 자기 주도적이면서 반복적인 학습 활동을 성취하는 데 꼭 필요한 요소이다. 구체적으로 ‘화상 밖’ 수업은 2단계로 수행된다. 먼저 목표 학습에 친숙해지기 위한 ‘AI튜터 예습’ 단계는 5단계 활동으로 세분된다. 지식활성화 단계, 대화형 읽기 단계, 이해력 검사 단계, 받아쓰기 단계, 역할극 단계가 바로 그것이다. 그리고 본 수업은 명작동화에서 목표 문형을 추출한 것을 중심으로 수업이 진행된다. ‘복습 활동 및 피드백’ 단계는 본 수업에서 배운 문형을 중심으로 확장된 활동을 수행하는 단계이다. 본고는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업 매체로 학습자의 기본 지식과 정보가 학습의 흥미를 돋울 수 있도록 오스카와일드의 ‘행복한 왕자’를 이용한다. 결과 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양태 표현’을 익힐 수 있는 수업 방안을 탐색한 결과 양태의 어휘문법적 실현과 문법은유적 실현을 구분하고 확률, 빈도, 의무, 의향 등 양태의 유형에 따라 결과값(고, 중, 저)을 파악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목표 문형을 반복적으로 연습하는 온라인 수업 체계로 언어 교육에 필요한 읽기, 듣기, 말하기, 쓰기 영역의 총체적 학습이 가능하며, 온라인 학습 결과물은 대체로 수행 즉시 평가가 가능하나, 쓰기 활동의 경우 교사의 주기적 피드백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 학습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론 본 논의는 SFL의 이론 주입식 교수법에서 탈피한 실질적인 교수법을 제안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환언하면, SFL 전공서가 아니더라도 위와 같은 온라인 접근법을 통해서 학습자들이 SFL 교육과정에 흥미를 느끼고 학습할 수 있는 대안을 마련한 것이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pose an online teaching method to help learn “Modality” expressions of System Functional Linguistics (SFL). Methods We introduce the SFL terms “coherent realization,” “incongruent realization (grammatical metaphor),” and “systemic network of modality,” which is the entire system of modality. These three concepts from the SFL literature serve as the principles for analyzing and teaching the modality categories of Korean in this paper, and as the practical research methodology for constructing the online program manual in Chapters 4 and 5. Therefore, this paper takes the method of literature review, i.e., applying the principles of the literature to an online education program. “Out-of-video” learning is an essential factor in achieving learners' self-directed learning activities in online non-face-to-face classes. To be specific, the ‘out-of-video’ class is conducted in two stages. First, the ‘AI-tutor- preparation’ stage is subdivided into five sub-stages of activities. They are the knowledge activation stage, the interactive reading stage, the comprehension test stage, the dictation stage, and the role play stage. The paper is organized around the target sentences extracted from the masterpiece fairy tale. The “Review Activities and Feedback” stage is the stage where the students perform extended activities centered on the characters learned in this paper.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paper uses Oscar Wilde's “The Happy Prince” as a teaching medium to make learners' basic knowledge and information more interesting. Results As a result of exploring teaching methods for advanced learners to learn ‘Modality express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lexico-grammatical realization of, Modality and the grammatical-metaphor of Modality can be distinguished and the Values (high, middle, and low) can be identified according to the type of Modality such as probability, usuality, obligation, and inclination. In addition, the online class system of repeatedly practicing target texts enables holistic learning in the areas of reading, listening, speaking, and writing necessary for language education, and online learning outcomes can usually be assessed immediately. However, in the case of writing activities, it was confirmed that the learning effect can be maximized only when the teacher's periodic feedback is actively conducted. Conclusions The significance of this paper is that we have proposed a practical teaching method that departs from the theory-infused teaching method of SFL. In other words, we have provided an alternative way for learners who are not SFL majors to engage with the SFL curriculum through the above online approach.

      • KCI등재

        프랑스어 교육에서 문법과 상황화 - 한국어 문법 비교를 통한 문법교육 -

        박동열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2013 프랑스어문교육 Vol.42 No.-

        Dans cette étude, nous avons pour ambition générale de proposer la méthode effective de l'enseignement de la grammaire de FLE par la comparaison de la grammaire coréenne, en tant que forme de contextualisation de l'enseignement de la grammaire française. Le premier geste à accomplir a consisté à décomposer le mot de grammaire, parce que le terme grammaire est employé selon les différentes perspectives et ce terme reste au coeur d'une polysémie souvent génératrice d'ambiguïté. Avant d'entreprendre notre démarche, il fallait aussi procéder une précision préliminaire sur le procèssus de l'apprentissage de la grammaire des apprenants pour montrer l'importance de la prise de conscience d'un apprenant sans laquelle son auto-correction n'est pas possible. Pour mettre en relief cette conscientisation, notre recherche propose l'exploitation de correspondance français-coréen en distinguant les niveaux de correspondance: niveaux de la catégorie grammaticale, du type de phrase et du discours grammatical. Cette correspondance porte sur la comparaison entre les structures grammaticales françaises et leurs équivalentes coréennes qui sont presque formulées en tant que règles ou mécanisme identique. Nous montrons, dans le présent article, la relation de correspondance des structures grammaticales pour un exemple de chaque niveau. Pour fonder les bases sur ce projet, nous avons analysé d'abord les apects de la correspondance entre les articles français (défini/indéfini) et Josa (mot d'aide) coréen (Ka/Nun), parce que l'article français est considéré comme une des catégories grammaticales les plus difficiles à acquérir pour les apprenants coréens. Pour correspondre le fonctionnement des articles français et Josa, nous avons relevé selon les effets de sens les divers types d'emploi : générique/spécifique, sens défini/ sens indéfini, comptable/non comptable. Ensuite, nous présentons les correspondances entre les constructions à double sujet du coréen et celles en avoir du français. Pour finir, nous avons expliqué, à traver l'obsevation des discours grammaticals coréens des apprenants, la confusion de la notion de durée des apprenants coréens qui est considérée comme le sens fondamental de l'Imparfait. Notre recherche peut contribuer à la construction des données nécessaires à l'approfondissement de l'enseignement de la grammaire du français pour des apprenants coréens.

      • KCI등재

        칼빈의 제왕시 주석 방법론 연구

        김진규 한국구약학회 2017 구약논단 Vol.23 No.4

        On the occasion of the 500th anniversary of the Protestant Reformation, this paper aims to analyze and evaluate Calvin’s exegetical methodology for the Psalms, with a specific focus on the royal psalms. Because of the limited space, Psalms 2, 72, 89, 110, and 132 were selected to be studied. This study analyzes Calvin’s exegetical methodology for these psalms, specifically from a grammatical/literary, historical, and theological perspective. It also examines Calvin’s method of application. This study investigates the following details: First, Calvin’s grammatical interpretation such as the pursuit of the plain literary sense of words, the study of etymology, the usage of words, the context of words, and the study of the original language. Second, Calvin’s literary interpretation and utilization of literary features such as personification, metaphor, figures of speech, imagery, metonymy, synecdoche, hyperbole, and so on. Third, Calvin’s historical interpretation, specifically in terms of how he understands the author, historical background, original meaning of the text, and its relation to the New Testament. Fourth, Calvin’s theological interpretation, which further examines typological, prophetic, Christ-centered, and inner-biblical interpretation. Fifth, Calvin’s effective application of the message of the text to the situations of the audience when he has finished exegeting the text. As a result of this study, I came to realize that we can still utilize some of Calvin’s exegetical methods today. Calvin makes use of many useful methods of interpretation, such as the study of the original language and words, literary analysis, historical interpretation considering the original historical context, and theological interpretation including typology, promise-fulfillment, and Christ-centered interpretation. However, the readers who use Calvin’s commentaries should discern when he reads the meaning of the New Testament into the translation and interpretation of the Old Testament text. Besides, the readers should be aware of inaccuracies in Calvin’s interpretation of the original language, which occur in his commentaries from time to time. 종교개혁 500주년을 맞아 이 논문은 칼빈의 제왕시 주석 방법론을 검토 및 재평가하는 것이다. 제한된 지면상 본 연구를 위해 시편 2, 72, 89, 110, 132편을 선별했다. 본 연구는 칼빈의 이들 시편에 대한 주석 방법을 문법적/문예적, 역사적, 신학적 해석 방법론의 관점에서 분석한다. 아울러 칼빈의 적용 방법까지 분석한다.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세부적인 내용을 분석한다. (1) 칼빈의 명료한 문자적 의미의 추구, 어원 연구, 단어의 용례, 문맥, 원어 연구와 같은 그의 문법적 해석 방법; (2) 칼빈의 문예적 해석과 의인법, 은유법, 비유적 표현, 이미지의 파악, 환유법, 제유법, 과장법 등과 같은 문예적 범주의 사용; (3) 칼빈의 저자에 대한 이해, 역사적 배경 연구, 본문의 원래 역사적 의미와 아울러 신약성경과의 연결 방법과 같은 그의 역사적 해석 방법; (4) 모형론적 해석, 예언적 해석, 그리스도 중심적 해석, 성경으로 성경을 해석하는 방법 등과 같은 칼빈의 신학적 해석 방법; (5) 마지막으로 칼빈이 주석 작업을 마친 후에 분문의 메시지를 얼마나 효율적으로 청중들의 상황에 적용하고 있는지도 분석한다. 연구 결과 칼빈의 성경해석 방법은 오늘날에도 사용할 수 있는 유용한 주석 방법들임을 깨닫게 되었다. 칼빈의 원어 및 어휘 연구, 문예적 분석, 원래 역사적 맥락에서의 의미를 먼저 찾는 역사적 해석과 모형론, 예언과 성취, 그리스도 중심의 해석 등과 같은 신학적 해석 방법도 오늘날까지 유용한 방법들이다. 그러나 신약의 의미를 과도하게 구약본문의 번역이나 해석에 도입하는 것이나 그의 주석에 가끔씩 나타나는 원어 해석의 부정확성 등은 그의 주석을 사용하는 독자들이 조심해야 할 부분들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