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기불교에 있어 행복과 욕망

        조준호(Cho, Joon-Ho)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5 佛敎學報 Vol.0 No.73

        본고는 붓다가 제시한 행복론과 욕망론의 상관관계에 대한 논의이다. 불교의 출발은 행복의 대응개념인 고통에 대한 통찰에 있고 목적은 고통의 극복에 있다. 사성제가 붓다의 중심 가르침으로 이해되는 이유이다. 붓다는 인간의 존재현실이 괴로운 상황에 처해 있음을 밝히고 이는 욕망과 관련한다고 한다. 그래서 괴로움이 제거된 행복의 조건은 바로 욕망의 제거에 있음을 강조한다. 불교행복론은 기본적으로 빠알리나 산스끄리뜨의 sukha 개념을 중심으로 살펴보아야 하며 붓다는 욕망과 행복을 여러 종류와 위계로 설하고 있다. 또한 행복을 수온의 범주로 배속시킨다. 기본적으로 소욕지족이라고 하는 붓다의 행복론은 욕망과 행복의 상관관계에 있어 현대 행복론과 상통하는 점이 있다. 또한 불교 행복론은 보시와 지계라는 도덕적 실천에 기초한다. 행복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도덕적이어야 함을 의미한다. 하지만 불교 행복론은 무엇보다도 붓다의 중심 가르침인 사성제 체계에서 그 대의가 있다. 사성제법에 의하면 행복감은 원인적인 그 무엇이 아니라 원인에 따른 결과이다. 수온과 관련한 행복과 고통은 인과(因果)적 차원으로 이해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때문에 인과의 차원에서 행복감은 좋다고 하여 무작정 얻으려하거나 지속시키려 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느낌과 감정으로서 행복감은 원인적인 행위에 대한 결과로 일어나기 때문에 의지적으로 의도적으로 지속시키기에는 한계를 갖는다. 마찬가지로 사성제의 체계에서 보여주듯 고통이 싫다고 해서 바로 버릴 수 있는 성질이 아님을 분명히 한다. 대신 고통은 철저히 이해해야 할 성질이다. 철저하게 이해할 때 고통의 원인 또는 이유는 제거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고통의 근거를 제거할 때 행복의 결과가 뒤따를 수 있다는 것이 바로 사성제에서 보여주는 행복론이다. 결과적으로 고통이란 것이 원인이 아니고 결과이기에 결과에서는 문제를 해결할 수 없고 원인에서 해결점을 찾아야 한다는 것이다. 이는 괴로움에서 벗어나려면 괴로움을 제대로 통찰해야 만이 가능하다는 행복의 역설이 내포되어 있다. This paper is a discuss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happiness and desire in early phase of Indian Buddhism. As we know that heart of Buddhist thought is to overcome the suffering through the insight of human condition. That is why the Four Noble Truths of the Buddha are the framework of Buddhism to eliminate the cause of suffering. According to the Buddhism, human beings are subjected to be in the state of undergoing suffering. Moreover, such suffering is associated with desire. For this reason, the Buddha emphasized this condition of happiness is depended upon the removal of desire. First of all, Buddhist concept of happiness have to discussed on the term sukha. The word is a Sanskrit or a Pali that is translated happiness, ease, pleasure. In the early Buddhist text, the term is used in a general sense to refer to happiness and well-being in either this present life or future lives. Happiness is placed the aggregate of sensation (vedanākkhaudha) under the basic category of the five aggregates(pañcakkhandhā). In the Buddhist frameworks of the five aggregates and dependent origination(paticcasamuppāda), feelings or sensations(vedanā) arise from the contact of an external object with a sensory organ and consciousness. Such feelings are generally described to be one of three types: pleasant (sukha), unpleasant(dukkha), or neither-unpleasant-nor-pleasant (adukkha-asukha). Moreover, this technical term is described different types and hierarchies of the desire and happiness. The highest happiness(nibbāna) entails the foundational extinction or blowing out of the processes of unwholesome desire, aversion, and delusion. From the perspective of awakened experience, the latter deleterious processes are appreciated as agitations of the mind. In comparative contrast to such agitation, sukha and its cognates are at places in the Buddhist texts used to characterize the calmness of nibbāna. Buddhist concept of happiness have something in common with the modern theories of happiness at various point. Above all, the Buddhist way of happiness is on the Four Noble Truths at the core of the Buddhism. Analytical study of the Four Noble Truths makes us conclude that happiness is the result of the cause, not the cause in the cause-effect link. Happiness and suffering can be understood and appreciated from a cause-and-effect level. It means happiness as a result of the cause limits to continue deliberately sustained. Similarly, it is not natural that suffering is discarded immediately according to system of the Four Noble Truths. Instead, suffering is natural to understand completely. The cause of the suffering might be removed through understanding. Proper penetration of suffering leads to eliminate the causal grounds. It is thereby subsequent to the result of happiness. Suffering as the matter of result can not be solved in the cause. This may imply that the paradox of happiness is only possible to have insight into the bitter well away from the suffering.

      • KCI등재

        초기불교의 궁극적 행복과 이상적 인간― 인간의 완전성 개념을 중심으로

        조준호 보조사상연구원 2018 보조사상 Vol.52 No.-

        This paper is a discussion about the highest happiness and ideal man in the early Buddhism. Buddhist theory of grade happiness discussed the direction of ultimate happiness in my previous work. Likewise, the process of ultimate happiness is also said to be happiness. In other words, stages of meditation appear as grade happiness. The highest point of happiness is to be called 'parama sukha' or 'nibbāna sukha' in the early Buddhist texts. nibbāna/nirvāṇa is the perfect happiness to no longer pursue. In the early Buddhism, concept of ultimate happiness and ideal man is based on the perfectibility of human nature. The Buddhist concept of grade happiness has a final purpose in the perfectibility. In the early Buddhist scriptures of many places, "Nirvāṇa is the highest happiness(nibbānaṁ paramaṁ sukhaṁ)" is mentioned. Here 'parama' is meaning of the ultimate. Therefore, the highest happiness and the ultimate happiness of Nirvāṇa immediately mean perfect happiness. More precisely, the word 'ekanta sukha' as perfect happiness is used directly. The concept of arahat is to be implemented perfect happiness in the early Buddhism. The incompleteness of nirvāṇa and arahat is not suggested, as was attempted in the late phases of Buddhism. The arahat who achieved nirvāṇa, was declared to himself and to others. His happiness is that a constant and unconditional without any shaking. In the early Buddhism, the perfectibility of human nature lies in the very existence of nirvāṇa and arahat. Because of this, arahat is also expressed as the foremost human being(seṭṭha purisa) and the excellent human. It is also why arahat is called 'uttama purisa' and 'uttari manussā'. Furthermore, the stage of arahat is represented by agga (the topmost), anuttara(the highest), and parama(ultimate). The perfectibility of arahat is also known as a perfect man and righteous man(sappurisa). In conclusion, the Buddhist ideal of a perfect man is the arahat, the very beginning of Buddhism clearly emphasizes the perfectibility of human nature by the concept of nirvāṇa and arahat. Therefore, the final goal of Buddhism is to become a perfect happiness and a person who has achieved such perfect happiness. Thus, this paper argues in the early Buddhism that arahat has the concept the perfectibility in various aspects. 불교 행복론의 위계는 궁극적 행복에 방향이 있음을 논자의 선행연구에서 논의하였다. 마찬가지로 궁극적 행복에 이르는 과정도 행복이라 함을 밝혔다. 선정단계가 행복등급 또는 행복위계로 나타난다. 불교 행복론에서 위계의 정점은 ‘최상락(最上樂 : parama sukha)이라는 ‘열반락(涅槃樂: nibbāna sukha)’으로 표현된다. 열반은 더 이상 추구할 바가 없는 완전한 경지이다. 할 일을 모두 마친 일없는 궁극의 지점인 것이다. 이렇듯 초기불교경전에 나타난 궁극의 행복과 이상적 인간은 여러 측면에서 완전성 개념에 바탕을 두었다. 불교 행복위계 또는 불교 행복등급은 완전성에 최종 목적이 있다. 초기불교경전의 여러 곳에서 “열반이 최상의 행복이다(nibbānaṁ paramaṁ sukhaṁ)”라고 한다. 여기서 parama는 궁극을 의미하는 말로서 열반의 궁극성을 보여준다. 이 같은 최상의 행복과 궁극의 행복은 곧바로 완전한 행복을 의미한다. 더 분명하게 완전한 행복(ekanta sukha)이라는 말이 직접적으로 사용된다. 초기불교에서 완전한 행복을 성취한 존재는 아라한이다. 그렇기에 아라한은 ‘완전한 인간존재’인 것이다. 후대불교에서 시도했던 것처럼 열반과 아라한의 불완전성이 시사되어 있지 않다. 이 때문에 열반성취의 아라한 선언은 어떠한 흔들림도 없이 지속적이며 조건성을 떠난 행복임이 자타에 천명되었다. 이처럼 초기경전에서 완전성은 바로 열반의 경지와 아라한이라는 존재에 있다. 이 때문에 아라한은 최존의 인간(seṭṭha purisa)과 최고의 인간으로도 표현된다. 또한 아라한을 uttama purisa, uttari manussā 등으로 불리는 이유이기도 한다. 더 나아가 아라한 경지는 최고정점을 의미하는 agga(頂點), anuttara(無上), parama(최상) 등으로 나타난다. 이렇게 아라한의 완전성은 참된 존재로서 진인(眞人: sappurisa)이라 불리기도 한다. 이러한 완전성은 환멸(還滅)의 완성에 도달하여 성취된다. 즉 ‘욕망을 남김없이 지멸(asesa virāganirodhā)’한 것으로 표현된다. 따라서 열반의 완전성은 욕망 지멸의 완전성을 의미한다. 번뇌와 욕망의 남김 없는[無餘 : asesa] 무여열반이 종극(終極 : parāyaṇa)이라 적시된다. 이러한 완전한 욕망지멸을 깨달은 아라한의 증지(證智 : aññā)는 또한 완전지(完全智)나 구경지(究竟智)의 성취자로서도 표현된다. 반열반(parinibbāna)의 pari의 수식어에서도 완전성은 담겨있지만 무학자(無學者 : asekha)라는 아라한의 별명에서도 또한 완전성이 나타나있다. 이외에도 아라한의 별칭인 kevalin도 완전자 개념이다. 이와 같이 본고는 초기경전에서 아라한이 완전성 개념에 놓여있음을 다양한 측면에서 논증하고 있다.

      • KCI등재

        ‘해체론’에 근거한 도가행복담론의 윤리교육적 함의

        장승희 ( Jang Seung-hee ) 한국윤리교육학회 2022 윤리교육연구 Vol.- No.63

        이 글은 서양철학의 ‘해체론’을 적용하여 도가의 행복담론과 그 윤리교육적 함의를 탐구한 것이다. 인간의 욕망과잉으로 ‘대전환기’가 도래하였고, 윤리교육은 기존 가치규범과 윤리체계로는 사회질서유지가 어려워지는 ‘윤리적 특이점(ethics singularity)’을 대비할 필요가 있다. 대전환기와 윤리적 특이점을 촉발한 원인은 다름 아닌 인간의 욕망이다. 욕망의 이중성은 욕망 자체가 끝이 없고 욕망과잉이 불행을 초래하는 ‘행복의 역설’에서 잘 드러난다. 스피노자의 욕망담론 이후 욕망을 긍정한 니체를 이어, 들뢰즈와 가타리는 자본주의 욕망을 분석함으로써 욕망담론의 새 지평을 열었다. 이들은 서양 형이상학 전통이 현대문명의 위기를 가져왔다고 진단한 해체철학의 이념과 방법을 이어받고 있다. ‘해체론’은 로고스와 형이상학에 기초한 서양문명의 본성과 내력을 문제 삼는 ‘철학적 문명론’이다. 한국의 도가해체담론은 찬반이 존재하는데, 해체론은 노장철학의 핵심에 접근하는 비교철학적 독법이라는 긍정적 의미를 수용하여 해체론과 도가를 연결시켜 보았다. 유교의 유위(有爲)를 비판한 도가의 해체원리인 무위(無爲)가, 결코 아무것도 안하는 카오스를 의미하지는 않는다. 노장 모두 무위를 핵심으로 삼지만, 노자가 무위(無爲) 무욕(無欲)의 지향으로 해체방향을 제시했다면, 장자는 유(遊) 제물(齊物)이란 해체방법으로 무차별과 정신의 절대자유로서의 행복에 이르고자 한다. 서양사상 중심의 윤리교육 행복담론에서 도가행복담론은 비록 완전한 해답을 주지는 못하지만, 대전환기의 젊은 세대에게 중요한 윤리교육적 시사점을 제시해준다. 첫째, 경쟁적 사회구조와 가치혼란 상황에서 ‘불언지교(不言之敎)’의 중요성을 제고해 준다. 둘째, 이를 바탕으로 각자의 ‘개성’을 존중하고 ‘정신의 자유로움’을 추구할 수 있다. 셋째, 어쩔 수 없는 불가피한 상황에서는, ‘양생(養生)’을 위한 방편으로 ‘인순(因循)’을 수용하여 승화시킴으로써 행복에 다가갈 수 있다. 결론에서는 도가행복의 문제점으로 개인주의와 현실회피, 그리고 이를 보완하기 위한 유교세계관과 공동체적 행복과의 조화를 제시해 보았다. This article explores Taoism’s happiness problem and ethical educational implications by applying the ‘deconstruction theory’. The great transition has arrived due to excessive human desire, and ethical education should prepare for the "ethics singularity"; the difficulty in maintaining social order with existing value norms and ethical systems. The great transition and ethical singularity come from human desire. The duality of desire is revealed in the paradox of happiness, in which desire itself is endless and over-desire results in unhappiness. In western philosophy, Nietzsche affirmed the desire after Spinoza's discourse of desire. Subsequently, Deleuze and Gatari analyzed the desires of capitalism and opened a new horizon for the discourse of desire. They all inherit the ideology and method of the deconstruction philosophy. Deconstruction theory is a philosophical civilization theory that takes issue with the nature and history of Western civilization based on logos and metaphysics. In Tao, the principle of deconstruction of Taoism, which criticized Confucianism, does not mean Chaos. Laozi suggests a direction of deconstruction with the aim of Muwi(無爲) and Muyok(無欲). Furthermore, Zhuangzi intends to reach happiness through the deconstruction of absolute freedom of mind and indiscrimination based on Yu(遊) and Jemul(齊物). Although the discourse of happiness in Taoism does not provide a complete answer in ethical education based on Western thoughts, it presents important ethical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adolescents. First, it enhances the education of ‘unspoken education(不言之敎)' in a crisis of competitive social structure and value confusion. Second, based on this, one can respect one's individuality and pursue 'spiritual freedom'. Third, if the situation is inevitable, happiness will be approached by accepting and sublimating Insun(因循) as a means for preservation of life(養生). In the conclusion, as a problem of Taoism's happiness discourse, I presented the problem of individualism or avoidance of reality. As a note point in education, I suggest harmony with the Confucian viewpoints and community happiness.

      • KCI등재

        행복에 관한 주관주의와 객관주의 비교와 과제

        전대석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2 人文科學 Vol.- No.84

        행복에 관한 이론과 견해들은 다양하다. 하지만 행복에 대한 일반적인 관념은 주관적이고 상대적인 것에 가깝다. 또한 행복에 대해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는 형식적 정의는 ‘인생에서 가장 좋은 것 또는 궁극적인 목적’이다. 또한 행복의 추구는 일종의 권리인 동시에 의무로 인식된다. 이러한 측면에서, 행복은 우리의 삶을 규제하는 성격을 가진다. 그것은 우리의 삶에 동기를 부여하며 방향성을 설정한다. 행복에 관한 다양한 견해를 이해하기 위해 우선 행복이 가지고 있는 규범성을 밝히고, 행복에 대한 이론들을 두 개의 관점, 즉 주관주의와 객관주의를 중심으로 구분하여 살펴볼 것이다. 다음으로 행복이 가지고 있는 규범성이 행복에 대한 관점들과 맺는 관계들을 밝히고자 한다. 결론적으로, 행복이 갖고 있는 규범성은 행복에 대해 주관주의적 관점을 취할수록 약화되고 객관주의적 관점을 취할수록 강화된다는 점을 논증할 것이다.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main issues of various views on happiness and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happiness and normativity. Theories and views about happiness can be explored from various perspectives. However, the general notion of happiness is being discussed more in relation to subjectivism and relativism. In general, the pursuit of happiness is recognized as both a right and a duty. Besides, the generally accepted formal definition of happiness is ‘the best thing or ultimate purpose in life (Telos)’. In this respect, happiness has a regulating character in our lives. And it motivates and sets a direction in our lives. In order to understand the various views on happiness, we will first clarify the normativity of happiness and examine it based on subjectivism and objectivism. Then we will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normativity of happiness and various views on happiness. In conclusion, we will argue that the normativeness of happiness is weakened as we take a subjective view of happiness but is strengthened as we take an objective one.

      • Happiness, Its Desirability and Feasibility

        Lydia Amir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5 Journal of Humanities Therapy Vol.6 No.2

        In this article, I address the questions of the desirability and feasibility of happiness. We generally understand by happiness the state one desires for itself rather than a means for something else. Although its desirability seems obvious enough, happiness has been sometimes deemed egoistical, even cynical. Thus, we should further inquire, for whom is happiness desirable? In what follows, I offer an argument that makes happiness desirable not only for its beneficiary, but also for those surrounding her. This makes the question of the feasibility of happiness all the more pressing. Following an examination of various views of happiness that philosophy offers as well as visions of well-being positive psychology advances, I argue that happiness is not only desirable, but feasible, and I explain how it can be attained.

      • KCI등재

        한국인의 행복과 종교의 관계:

        이민정(Lee Min Jeong) 동양사회사상학회 2016 사회사상과 문화 Vol.19 No.4

        일반적으로 종교는 행복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규정된다. 그러나 불평등의 심화와 함께 물질주의가 강조되고 있는 현 한국사회에서 종교와 행복의 관계는 어떠할까? 본 연구는 이러한 물음에 출원하여 1996년부터 2014년까지 약 이십여 년 동안에 걸쳐 종교와 행복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분석자료로 세계가치관조사(World Value Survey) 3차(1996년), 5차(2005년) 조사 및 이와 유사한 문항으로 조사된 불교사회 연구소의 2014년 조사를 활용되었다. 구체적인 연구내용은 우선 한국인들이 삶에서 무엇을 중요하게 인식하는지 9년의 시간적 격차를 중심으로 확인해본다. 그리고 행복에 대한 종교의 영향력을 검증하기 위해 행복의 영향요인을 종교를 포함한 인구사회학적 특성, 존재영역, 관계영역, 성장영역으로 구분하여 살펴본 결과, 존재영역이 행복에 강한 영향을 미쳐왔으나 최근에는 가족관계가 가장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은 가족이 현 한국사회의 가장 중요한 조건이자 목적임을 함의한다. 하지만 전 시기에 걸쳐 확인되는 행복에 대한 종교의 영향력이 존재하지 않는 현상은 현 한국사회에서 종교의 역할에 대해 본질적 의문을 제기한다. In general, the religion is defined as a factor positively influencing on the happiness. However, in current Korean society, what appearance do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ligion and happiness have? Starting from this question, this study has investigated the relation between religion happiness for about twenty years from 1996 to 2014, and utilized the World Value Survey’s 3rd survey data(1996) and 5th survey data (2005) and the The Jogye Order Institute of the study of Buddhism and Society’s 2014 survey as its analysis data. As the research contents, this study first identified what factor Korean recognized importantly in their lives around the temporal gap of 9 years. Next, this study classified the influential factors on happiness in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existence area, the relationship area, and the growth area and investigated them in order to verify the religion’s influence on happiness. As the results from the investigation, it was identified that while the existence area has strongly influenced on happiness, but in recent days, the family relationship was emerged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happiness. Eventually, the results of this study agreed that the family was the most important condition and the purpose in current Korean society. However, the no-relation between the religion and the happiness being identified through the whole research period raises a fundamental question about the role of religion in current Korean society.

      • KCI우수등재

        소중히 여기는 것에 관한 욕구와 행복

        한곽희(Gwakhee Han) 한국철학회 2016 철학 Vol.0 No.127

        이 논문은 행복에 관한 이론 중 욕구만족이론의 한 형태를 탐구한다. 본 논문에서 추구하는 목표는 두 가지이다. 첫째는, 프랭크프르트(Harry G. Frankfurt)가 제시하는 ‘소중히 여김’(caring)과 ‘의지적 필연성’(volitional necessity)이 행복에 관한 견해를 설명해 주고 있음을 보이는 것이다. 둘째는 행복에 관해 프랭크프르트가 견지하는 입장의 문제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첫째 목표를 성취하기 위해 나는 프랭크프르트의 견해에서 ‘소중히 여김’과 ‘의지적 필연성’이 진정으로 원하는 것을 나타내는 근거가 된다는 것을 주장한다. 한 개인이 진정으로 원하는 것의 성취가 행복이라고 할 때, 소중히 여기는 것을 하는 것과 의 지적 필연성에 의한 힘에 의해 행동하는 것은 행복해지는 길이라는 것이 프랭크프르트의 주장이다. 둘째 목표의 성취를 위해, 나는 ‘소중히 여김’과 ‘의지적 필연성’이 진정으로 원하는 것을 잘 드러낼 수 없다고 주장한다. 프랭크프르트의 견해를 따르게 되면 한 개인이 불운으로 여기는 것이 자신이 진정으로 원하는 것을 드러내는 경우가 있게 된다는 것을 지적한다. 또한 가치 있다고 여기는 것과 소중히 여기는 것이 일치하지 않을 때 전자가 아닌 후자가 자신이 원하는바를 드러낸다고 할 설득적인 이유가 없다고 주장한다. 만약 소중히 여기는 것이 가치 있게 여기는 것이나 판단하는 것과 완전히 독립적이라면, 소중히 여기는 것이 한 개인의 진정한 욕구를 표현한다는 것은 이상할 수 있다. 의지적 필연성에 관해선, 의지적 필연성의 힘도 한 개인의 진정으로 원하는 바를 잘 표현한다고 할 수 없다고 주장한다. 또한 의지적 필연성의 힘과 그 힘에 반대되는 것 중 어느 것이 진정한 욕구의 표현인지 결정하기 어렵다는 것을 주장한다. This article explores a possible account of happiness (a kind of desiresatisfaction theory) that I think Harry G. Frankfurt suggests. I pursue two aims in this paper, one of which is to explain some arguments that Frankfurt holds with respect to happiness. The other is to argue that Frankfurt’s arguments have some problems. My view is that two notions can illuminate Frankfurt’s view of happiness. The notion of ‘caring about something’ and the notion of ‘volitional necessity’ are the two notions. I argue that on Frankfurt’s view, happiness consists in getting or doing what one cares about. I also argue that Frankfurt’s view is that happiness can come from doing what the force of volitional necessity asks one to do In arguing against Frankfurt’s view of happiness, I explain why Frankfurt’s view of happiness is not completely acceptable. I argue that the notion of caring and of volitional necessity do not express very well what one really wants or one’s true self. I also point out that on Frankfurt’s view what one regards as a misfortune can be what one really wants. In addition, I argue that there is no compelling reason to think what one really wants can be expressed not by what one values but by what one cares about when they conflict with each other. I also argue that what one cares about cannot be completely independent of one’s valuing or judging. If caring can be independent of valuing or judging, it would be odd to think that what one cares about expresses what one really wants or one’s true self. With respect to volitional necessity, I argue that Frankfurt fails to convince us to accept that the force of volitional necessity expresses what one really wants. I also argue that it might be impossible to decide which higher-order desire expresses one’s true desire when one has lots of higher-order desires. In addition, I argue that notion of self-satisfaction cannot help us to decide which higher-order desire expresses what one really wants.

      • KCI등재후보

        밈(meme)의 문화적 구조와 행복의 마음에 관한 고찰 연구

        윤일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2010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논문집 Vol.- No.30

        Cultural anthropology that began in the late 19th century from cultural absolutism has advocated cultural relativity through empirical scientific study in the United States in early 20th century, and found that the culture of each ethnic group has its own advanced logic and system. Culture is a way of life shared by the constituents of a society, and can be seen to have the longest history in the evolution process of human beings. This study inquires into literature on culture and happiness by looking into the cultural structure from the perspective of meme as presented by Richard Dawkins, and happiness from Sigmund Freud’s theory on personality structure. Through such process, cultural structure and happiness is classified by activeness, passing down, and sharing to find a linkage between the evolution and development process of culture and happiness. Although it is difficult to define happiness due to its subjective characteristic, this study allows us to say that happiness can be obtained as it changes from the unconscious to the conscious through gradual social activities starting from id to ego, and finally to super-ego from the perspective of meme. Culture has a high value when it has been evolved by learning, and when it can be shared between generations through passing down. Furthermore, the satisfaction of happiness is sublimated through the process of cultural structure. As such, cultural activities that bring sustainable happiness for humans are not the ones that focus on the result to give “joy”, “pleasure”, and “delight”, but creative activities that deliver happiness through motive and process of experience.

      • KCI등재

        건강식생활 유형 및 건강증진 동기가 힐링체험 욕구에 미치는 영향

        이상민,윤지영,정희선,Lee, Sang-Min,Yoon, Jiyoung,Jeong, Hee Sun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015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Vol.31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lifestyle consisting of a health oriented diet and personal motivation toward health improvement on an individual's desire to participate in condolence or "healing" -workshops and programs. In order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he "health diet" and motivation, the "health diet" lifestyle was classified into nutrition pursuit factors, psychological factors, food safety factors, and health conscious consumption factors. Personal motivation was categorized into perceived benefits, environmental factors and the individual's desire for happiness. Empirical analysis showed that nutrition pursuit factors had an impact on perceived benefits and the desire for happiness. Psychological aspect factor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perceived benefits, environmental factors and the desire for happiness. However, food safety factors and health conscious consumption factors did not have an effect on individual motivation to improve health. Regarding personal motivation toward health improvement on the desire for "healing", perceived benefits and environmental factors had significant influence. However, the individual's desire for happiness did not influence the demand for "healing". Regarding the effect of a "health diet" on the desire for "healing", only the psychological aspects of a "health diet" had any significant effects on the desire for "healing". The results from this study can help local organizations or service companies that provide "healing" programs with developing effective marketing strategies that could lead to greater customer satisfaction. Especially, the significant influence of psychological aspects of a "health diet" on the demand for "healing" is noteworthy in that this could play a key role in establishing a more effective marketing strategy to attract increasing numbers of consumers using health conscious diets.

      • KCI등재

        주돈이의 ‘공안락처(孔顏樂處)’ 해석과 도덕 실천적 함의

        왕홍쥐안,김혜수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23 儒學硏究 Vol.62 No.-

        This paper examines the meaning of the moral practice from the viewpoint of Confucian morality and philosophy through Zhou Dunyi's ‘Harmonious and Happy Life Attitude of Kong and Yan’. In previous research, it was basically believed that Zhou Dunyi's ‘Harmonious and Happy Life Attitude of Kong and Yan’ represents a moral and transcendent spiritual realm, or that Yanhui's happiness lies in ‘Dao’ and ‘Benevolence’. In order to achieve the realm of the joy of saints, the benchmark research mainly puts forward the cultivation methodology of ‘returning silence to eliminate desire’. However, from the author's point of view, the “Harmonious and Happy Life Attitude of Kong and Yan” is testified from another perspective, that is, the ultimate direction of "Harmonious and Happy Life Attitude of Kong and Yan" is to ‘cultivate oneself and govern others’ or “to be an interior thoughtful saint and exterior mighty king”, which is also the ‘happiness’ of Confucius as a saint. Yanhui's ‘pleasure’, however, focuses on the personal inner cultivation, which is mainly manifested at the level of ‘self-cultivation’, while Mencius's pleasure mainly comes from ‘sharing happiness with the people’, focusing on the level of ‘governing people’ or ‘exterior mighty king’. Regarding Zhou Dunyi's interpretation of 'Harmonious and Happy Life Attitude of Kong and Yan', it can be seen that the joy of Confucius and Yanhui are also expressed on different levels. Zhou Dunyi distinguishes and interprets the realm of the joy of Confucius and Yanhui. According to his interpretation, the joy of Confucius is a kind of ‘saints’ happiness’ full of completeness of the meaning of ‘self-cultivation and governing others’ and ‘interior thoughtful saint and exterior mighty king’, while the joy of Yanhui represents that of the sages. Based on this, what Zhou Dunyi pursues is exactly ‘Confucius' happiness’. The source of Zhou Dunyi’s pleasure flows in the same view as that of Confucius, and then, further completes the moral call for the unity of man and nature by educating the people and harmonizing everything. To become a saint, Zhou Dunyi believes that it is necessary to realize the internal and external moral cultivation from three aspects of ‘returning silence to eliminating desire’, ‘thinking’ and “teaching and learning among teachers and friends”. Realizing self-worth through the process of self-cultivation, sticking to the moral mission, and enjoying happiness with community members, are Confucius’ views on happiness. Zhou Dunyi’s interpretation of the “Harmonious and Happy Life Attitude of Confucius and Yanhui” also has the significance of the moral practice. 본 고는 유가의 도덕철학에서 주돈이의 ‘공안락처(孔顔樂處)’에 대한 해석을 통해그 도덕 실천적 함의를 고찰한 연구이다. 기존 연구에서는 대체로 주돈이의 ‘공안락처’가 도덕적이고 초월적인 정신 경지이거나, 안자의 ‘락처(樂處)’를 ‘도(道)’와 ‘인(仁)’이라 하고 성인이 ‘락처’에 도달하기 위한 수양 방법론으로 ‘주정무욕’을 제시하고 있다. 필자의 관점에서는 공자와 안자, 그리고 맹자의 ‘락처’는 최종적 지향점이일치하지만 각자 서로 다른 시각에서 주목할 수 있다고 보인다. 먼저, 공자의 ‘락처’ 는 내면적인 개인의 수양 또는 자아실현에서 출발하여 외적인 대동 사회의 완성으로 나아가는 과정에 있다. 이러한 ‘락처’는 ‘수기치인(修己治人)’의 의미를 보여준다. 안자의 ‘락처’는 개인의 수양 또는 자아실현에 주목한 ‘락처’로서 ‘수기(修己)’의 측면에 머물러 있다. 한편, 맹자가 말하는 ‘락처’는 대체로 군자의 인정(仁政)을 통해외적인 왕도 정치를 이루어 ‘여민동락(與民同樂)’하는 ‘치인(治人)’의 측면에 초점이맞춰져 있다. 주돈이는 기본적으로 공자와 안자의 ‘락처’에 대한 경계를 구분하여 해석하고 있다. 그에 따르면, 공자의 ‘락처’는 ‘수기치인’ 또는 ‘내성외왕’의 완전하고완성된 의미를 갖는 성인의 ‘락처’이며, 안자의 ‘락처’는 ‘수기’·‘내성’의 측면에서개인의 내적 수양을 통해 ‘도’를 체득한 ‘락처’로서 성인 바로 아래 단계인 현인의 ‘락처’이다. 여기서 주돈이가 추구하는 진정한 ‘락처’는 곧 성인으로서 공자의 ‘락처’이다. 이러한 주돈이의 ‘락처’는 내적 수양을 통해 성인을 이룸으로써, 이 세상의 만민을 교화하고 만물을 조화롭게 만드는 ‘천인합일’의 도덕적 소명을 완성하는 것이다. 주돈이의 관점에서 성인의 ‘락처’에 도달하는 수양 방법론은 세 가지 과정을 정리할 수 있다. 먼저 내면의 ‘주정무욕(主靜無欲)’과 ‘사[思: 깊은 사려와 반성]’을 진행한 다음, 외적인 사우(師友)와의 교학(敎學)으로 나아가는 것이다. 이러한 수양 과정을 통하여 우리는 자아 가치를 실현하고 이 세상의 도덕적 사명을 완수하여, 공동체구성원과의 행복을 향유할 수 있는 것이다. 이것이 바로 유가의 행복관이며, 주돈이의 ‘공안락처’ 해석에 대한 도덕 실천적 의미가 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