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율곡의 인격과 공부에 관한 견해 검토

        박균섭 ( Kyoon Seop Park ) 한국교육사학회 2008 한국교육사학 Vol.30 No.2

        성리학의 교육사상은 성인을 스스로 기약하는 일(聖人自期論)과 이의 실현을 위한 공부의 체계(工夫論)를 중심으로 짜여져 있다. 누구나 수양과 공부가 제대로 이루어진다면 성인이라는 인격의 내적 표준을 확보할 수 있다. 율곡의 인격과 공부에 대한 설명은 이기의 기본적 구성, 즉 이기론의 일반적 접근을 통해 이루어져왔다. 여기에 율곡철학의 전문성을 보여주는 ``기발이승일도설``과 ``이통기국론``은 인격과 공부에 대해 구조적·정합적 설명력을 갖는다고 확언하기 어렵다. 율곡은 이기의 기본적 구성에 주목하는 가운데, 교육의 목적은 덕성 함양과 인격 완성을 본연의 과제로 삼으며, 이는 지식과 행위의 병진관계와 교호작용을 통해 실현될 있다고 보았다. 성리학의 세계에서 인격에 대한 담론이 사상된다면 거기에서 진정한 교육을 거론하기는 어렵다. 교육의 본연은 단순한 교과서적 지식의 집성과는 결을 달리하며 삶의 내재적·본질적 목적을 추구하기 위한 수양과 공부의 과정을 중시하는 데 있다. 지식의 집성만으로는 인간의 활동과 교육의 목적에 기여할 수 없으며, 인간의 품격을 떨어뜨리는 반교육의 사태에 직면할 수 있다. 율곡은 수양과 공부를 삶의 본질적인 사태로 규정하였다. 공부는 덕성 함양과 인격 완성을 전제로 하는 기획이며,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초월하여 이루어지는 종신사업이다. 율곡철학에서 규정하는 인격과 공부의 과제는 지식의 전수나 기술의 습득이 아니라 모든 삶의 맥락을 규율하는 윤리적 원칙의 내면화라고 말할 수 있다. In neo-Confucianism, the highest and most ideal man is the sage. If our self-cultivation is carried out thoroughly, we will be equipped with the inner requirements of the sage who is an exemplary man. In my estimation, the elucidation of the discourse on moral character and self-cultivation through yi-gi paradigm is not the appointed task of neo-Confucianist. Yulgok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emperamental change to cultivate character. It is based on the basic structure of yi-gi paradigm. But Yulgok`s special philosophical expertise such as gi-bal-yi-seung and yi-tong-gi-guk has not an active role in the discourse on moral character and self-cultivation. I think the educational aims of neo-Confucianism are not derived from a special philosophical expertise. According to Yulgok Yi Yi`s philosophical paradigm, moral character is categorized as the collaboration of knowledge and virtuous conduct. Knowledge and virtuous conduct must exist side by side for they are like the two wheels of a cart or the two wings of a bird. The end of neo-Confucian education is the building of moral character. Education without moral character is meaningless. The essence of education is not the collection of mere bookish knowledge but the concentration of the mind. Mere collection of knowledge will not serve any purpose in the field of life and education. That knowledge would degrade the moral character. An educated person should not have bad qualities and must not indulge in bad deeds. Self-cultivation is not limited to strict time schedules. Yulgok emphasized self-cultivation is the essence of life and education. Self-cultivation is what constantly interacts within the spatio-temporal situation in the perspective of lifelong learning. The major goal of Yulgok`s philosophy is not so much the transmission of knowledge or the learning of skills as the internalization of a set of ethical principles which governs human behavior in all conceivable situations.

      • KCI등재

        기독교 대학의 기독교 교양 과목이 대학생들의 인성 개발에 끼친 영향 분석

        김춘이 ( Choon-yi Kim ) 한국대학선교학회 2017 대학과 선교 Vol.33 No.-

        기독교 대학의 설립 목적과 교육 목표를 반영한 기독교 교양 교육은 인성교육으로 정의되고 있는 정직, 존중, 소통 등의 마음가짐이나 사람됨과 관련되는 가치가 기독교의 핵심적 가르침과 같음을 인식하고 새로운 교육 방법 연구, 다양한 커리큘럼 개발 등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적으로 기독교 대학에서 인성 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인성 교과목 및 다양한 인성 프로그램 개발 등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효과에 대한 조사 및 그 결과를 바탕으로 이루어진 연구는 미비한 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수의 기독교 대학에서 교양 필수로 지정되어 있고, 비기독교인의 비율이 수강생의 90%를 차지하고 있는 기독교 교양 과목을 통해 학생들의 인성 함양을 위한 교육방법과 인성 프로그램 개발 등을 실현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 및 방법은 대구 소재 기독교 대학인 K대학교의 인성함양 영역 과목 중 기독교 교양 과목 수강생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검사 도구는 서울 여자 대학교에서 개발한 `바롬 인성척도`를 사용하여 학기초와 학기말 2회로 나누어 사전, 사후 검사를 실시해서 기독교 교양 과목이 학생들의 인성 함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기독교 교양과목을 수강한 학생들은 과목 수강을 통해 연구에서 나눈 세 가지 영역(인지, 정의, 행동)에서 인성 지수 점수의 증가율을 보였으며 특히 행동 영역의 점수는 인지 영역과 정의 영역보다 더 높은 점수의 증가율을 보였음을 알 수 있다. 이는 학생들이 알고 생각하고 있는 것을 행동으로 실천하고자 하는 의지와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이런 가능성이 전공이나 일반교양 과목이 아니라 기독교 교양 과목을 수강함으로 인해 나타났다는 것은 고무적인 일이며 인지, 정의, 행동 이 세 가지가 충족되었을 경우 인성 교육과 기독교 교양 교육이 공통적으로 추구하는 신앙과 학문과 인격의 풍요로움을 전인적으로 더해주는 교육이 될 것이다. 결론적으로 기독교 대학의 기독교 교양 과목을 통한 인성교육은 `기독교 교육`이 아니라 `기독교적 교육`이 되어야 함을 인식하고 더 많은 교육적인 관심과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Reflecting the purpose of Christian university establishment, Christian liberal arts education recognizes attitudes of mind, such as honesty, respect and communication, which are defined by character education, or personality-related values, as core teachings of Christianity and there is much effort to develop new education methods and diverse curriculums. In reality, Christian universities know the necessity of character education and they are putting a lot of effort into development of character-related subjects and diverse character programs. But there is an insufficiency of studies on the effect and the result of character education.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rovide data for development of character education methods and character programs, based on Christian liberal arts education, which is an essential liberal arts subject at many Christian universities and studied by about 90 percent of non-Christians. This study targets students attending the Christian liberal arts course for character cultivation at Keimyung Christian University situated in Daegu and using the `Bahrom Character Scale` developed by Seoul Women`s University, a pre-test in the beginning of the semester and a post-test in the end of the semester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effect of Christian liberal arts education on character cultivation of students. The study result showed that the students attending the Christian liberal arts course had character index scores increased in the three domains(cognitive domain, affective domain and behavioral domain) of the study. Especially, the score in the behavioral domain increased more than the scores in the cognitive domain and affective domain. This means that the students have a will and the potential to put what they know and think into action. Moreover, it is encouraging that this potential appeared by attending the Christian liberal arts course, not the courses for majors or normal liberal arts courses and when cognition, affection and behavior are all fulfilled, it would be possible to holistically add richness of faith, learning and character that are commonly sought after by character education and Christian liberal arts education. In conclusion,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at character education using Christian liberal arts education at Christian universities has to `Christian education`, not `Christianity education` and there should be more educational interests and efforts in it.

      • KCI등재

        맹자 수양론과 장자 양생론에서 본 인격 함양의 접점

        정영희 한국인격교육학회 2022 인격교육 Vol.16 No.4

        맹자는 성 ․ 심 ․ 기를 통한 수양론을 제시하고 있고, 장자는 정 ․ 기 ․ 신을 통한 양생론을 제시한다. 이들의 공통점은 바로 ‘기’에 있으며 ‘양기(養氣)’를 통한 인격 함양을 제시하고 있다. 맹자는 양호연지기(養浩然之氣), 존야기(存夜氣), 존평단지기(存平旦之氣)를 의(義)와 결합시키고 있다. 이들을 잘 기르고 보존하면 기가 천지간에 가득하게 되고 부동심을 확장 확충할 수 있음을 강조한다. 또한 기는 마음의 뜻(志)을 통해 움직일 수 있고, 기가 마음에 가득 차게 되면 마음의 뜻을 움직일 수 있게 하는 존재가 된다. 인간의 내부와 외부의 교류와 소통을 촉진할 수 있는 요소가 될 수 있게 하며, 이를 통해 인격 수준을 높일 수 있게 된다고 보고 있다. 한편, 장자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도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도는 그 자체로 만물을 생성시키지는 않는다. 그 도에서 나온 하나의 기가 만물을 이룬다는 관점을 제시한다. 만물은 기를 통해 생성되고 인간 역시 이에 해당된다. 그러므로 인간은 양기(養氣)를 통해 양생을 이룩할 수 있으며 그 핵심은 ‘비움’이다. 심재와 좌망은 비움을 통해 기가 들어오고 나갈 수 있음을 보여주는 방편들이다. 기는 내부적 외부적 소통과 교류의 매개이자 핵심이 되며, 성인, 진인, 지인이 될 수 있는 방법적 수단이기도 하다. 기는 맹자와 장자에서 공통적으로 내부와 외부의 상호 소통과 교류를 할 수 있게 하며 그것을 통해 서로가 궁극적으로 지향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이상적 인격 함양의 기제가 된다. 맹자와 장자의 비교를 통한 수양론과 양생론은 제한된 지면에서 한꺼번에 논의하기에는 충분하지 않다. 향후 인격 함양 기제와 인격교육적 의의 등을 도출할 수 있는 연구가 더 필요하다. This paper attempts to find the point of intersection between Mengzi's Self-Cultivation and Zhuangzi's Nurturing-Life. Mengzi presents the theory of self-cultivation through Human Nature (性), Mind (心), Qi (氣), and Zhuangzi emphasizes the theory of nurturing-life through Vital Force (精), Qi (氣), Sprit (神). What they have in common is Qi, to put it further, it can be said nurturing-qi. Mengzi says if you combine the virtues of Developing Great Spirit (養浩然之氣), Preserving the Night Air (存夜氣), Preserving the Daybreak Air (存平旦之氣) with moral Righteousness (義) and nurture them well, Qi will be filled with heaven and earth and expand the imperturbable mind (不動心). In Mengzi, the Qi can move through the will of the mind, when Qi fills the mind, it becomes a being that can move the will of the mind. This can be a factor that can promote internal and external exchanges and communication between human and nature, and through this, the level of personality can be raised. The most important element in Zhuangzi is the Tao itself, not to create all things, he proposes the theory of Qi, which assumes that the one Qi from the Tao creates all things. Therefore, humans can obtain nurturing-life through nurturing-qi, and the key is emptying. He believed that qi could come in and out by emptying and approach the Tao. Qi is the medium and core element of internal and external communications and exchange, and it is also a methodical means to become the sage or the true person. It can be seen that Qi is the point of character-cultivation in Mengzi and Zhuangzi.

      • KCI등재

        운동재활 자원봉사활동 참여자의 심층적 분석을 통한 인성함양 요인 탐색

        김옥주(Kim, Ok-Ju),이태형(Lee, Tae-Hyeong),박은석(Park, Eun-Seok),김승봉(Kim, Seung-Bong),김공(Kim, Kong) 한국체육과학회 2017 한국체육과학회지 Vol.26 No.2

        This study is for in-depth analysis(targeting volunteer worker) in order to understand which factor affects volunteer worker for their cultivation of character when rehabilitation exercise is applied into a volunteer exercise program. And the result is as below. It was found that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volunteer activity for rehabilitation exercise have improved their character in ‘personnel aspect’ and ‘social aspect’. More specifically, for ‘personnel aspect’, formation of positive mind-set, formation of self-identity, practicing potential leadership, enhancement of self-respect and confidence, establishment of proper values and reinforcement of sense of responsibility were analyzed. Meanwhile, for ‘social aspect’, a behavior respecting the elderly, thoughtful mind-set, sense of social solidarity, formation of relationship with others and ability to solve problem in reasonable way were analyzed. Which means, for character cultivation factor among those who participated in rehabilitation exercise, each factor included in ‘personnel aspect’ and ‘social aspect’ was analyzed for understanding on character cultivation of university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activity. And it was found that correlation between ‘personnel aspect’ and ‘social aspect’ exists in the process of character cultivation.

      • KCI등재

        서예의 인성교육적 가치에 대한 고찰

        한승훈(Han Seung Hun) 한국미술교육학회 2013 美術敎育論叢 Vol.27 No.2

        본 연구는 우리의 서예교육이 지난 한 세기 동안 근대적 교육제도 속에서 주로 ‘조형미’를 중심으로 연구되고 교육되어왔다는 반성에서부터 출발한다. 서예는 ’실용’,‘ 예술’ ,‘인격수양’의 을 포괄하는 독특한 특정을 지닌다. 그럼에도 불구 하고 근대적 미술개념인 ’조형성에 초점이 맞추어져 교육이 이루어지다보니‘ 서예에 내재해 있는 ’인격미’ 가 간과되어 온 것이 사실이다. 또한 현재 우리 사회와 교육현장에서 인성교육이 미흡한 실정을 감안해 볼 때‘ 이러한 문제의식을 기초로 수양론을 대표하는 서여기인론(書如其人論)’을 고찰하고, 이를 통해 서예가 지니는 인성교육적 가치를 재조명하는 일은 의미가 있을 것이다. ‘서여기인’ 은 서예작품의 창작과 감상에 있어 창작주체의 인품을 함께 논하는 인식구조를 기반으로 한다. 즉 ‘조형미’와 함께 ‘인격미’를 강조한다. 또한 이러한 서예의 가치 인식을 기반으로 하여 서예학습 자체에 내재해 있는 정의적 요소를 살펴본다면, 중화미(中和美)의 체득을 통한 감정의 절제, 몰입을 통한 자기정화의 효과, 서제(書題)의 교훈을 통한 자아성찰 건전한 여가문화의 활용 등을 생각해 볼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of our calligraphy education will begin with the reflection of our experiences with 'formative beauty' which is the center of our modern educational system for the past century. The structure of calligraphy is essentially established upon 'practical use', 'Art', and 'Personality Cultivation'. Despite having applied 'formativeness', a concept of modern art, into our education system, 'Personality Beauty', which is an inherent part of calligraphy has been allowed to be overlooked. In addition, by considering the insufficient consideration given upon the education of character in our society and educational system. and examining Seo-Yeo-Gi-In theory, which is a cultivation theory representing the basis of our awareness of these issues, it will be meaningful to refocus the values of education of character. which is through calligraphy. 'Seo-Yeo-Gi-In', this mean is consideried creator's personality when someone appreciate his or her work. Through 'Formative beauty', 'Character Beauty' will be emphasized, Also, by examining for affective elements in the learning of calligraphy itself. based upon calligraphy's values, we will be able to find the applications of emotional discipline through 'Harmony of beauty', self-purification through being immersed, self-reflection through calligraphy's titles. and healthy recreational cultures.

      • KCI등재

        초등체육의 인성함양 메커니즘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장용규,이정택 한국초등체육학회 2020 한국초등체육학회지 Vol.26 No.4

        본 연구는 초등체육의 인성함양 메커니즘을 알아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초등체육을 통한 인성교육 의 질적 연구물의 결과를 종합하여 그 원리나 의미를 찾아보는 질적 메타분석 연구방법을 활용했다. 그 결과, 초등 체육을 통한 학생들의 인성은 투입(교사의 의도적인 수업 계획 및 실천)-작용(개인적·사회적 변화)-산출(삶 속에서의 실천)의 메커니즘을 통해 함양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학생들의 인성 함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는 자기이해, 자기반성, 자기통제 등의 개인적 차원의 성공경험과 격려하기, 협력하기, 배려하기 등과 같이 사회적 차원에서 칭찬하기가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본 연구는 초등체육을 통해 인성을 가르치고자 하는 교사에게 그 과정 과 원리를 제시하여 교육현장에서 체육을 통한 인성함양 수업을 보다 용이하게 하는 기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chanism that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has had on students' cultivating character. To this end, a qualitative meta-synthesis research method was used to find character education’ principle or meaning through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students' character through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was fostered through mechanisms of input(teacher's intentional lesson plan and practice)-action(individual and social change)-output(practice in life). With this, the factors influencing students' cultivating character were like this: 1)success experiences such as self-understanding, self-reflection, self-control at personal level, 2)praise such as encouragement, cooperation, and consideration were influencing at the social level. This study has important implications for two reasons. First, this study presents the process and principles to teachers who teach character through physical education. Second, this study provides an opportunity to apply character education through physical education more easily.

      • KCI등재

        교육과정 재구성을 통한 학교성교육 효과에 대한 현장연구

        강미영 한국학교보건학회 2019 韓國學校保健學會誌 Vol.32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atisfaction level toward school sex education and its effect on character cultivation by reconstructing a unit, sex and health, included in the current health education curriculum. Methods: The study is a mixed research which utilized both two-way ANOVA & MANOVA methods, and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A total of 279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pre-test and the sex education program using the reconstructed curriculum. Then, a total of 253 participated in the post-test. Results: The results showed an increase in the satisfaction level toward school sex education (p<.05) and in character (p<.05) in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In the total test for character cultivation, there were no interacting effects between the test and gender (p>.05). Also, in the qualitative analysis, the program helped students to build character including self-care skills Conclusion: By revising the unit of sex and health to meet the needs and demands of the students, curriculum reconstruction increased the students’ satisfaction and had a positive effect on their character cultivation.

      • KCI등재

        朝鮮性理學「未發工夫」硏究

        최일범 ( Il Beom Choi ) 한국철학사연구회 2015 한국 철학논집 Vol.0 No.45

        詮釋「未發」槪念及其工夫,堪稱決定宋明理學學脈的關鍵議題。從二程下發端的未發體認工夫,到了朱子開始展現新的局面。朱子通過其師李延投入未發工夫,後又與張南獻相互交流,受到湖湘學的影響,遂發表中和舊。但不久之後,對湖湘學産生質疑, 便轉向於中和新說。在朱子學建構上屬關鍵性議題的未發工夫,朝鮮性理學家亦視之爲重要議題。到了16世紀, 如冥曹植、退溪李滉、栗谷李珥等代表朝鮮當代的一群學者,他們不僅談論未槪念的분圍相當活潑,對未發工夫也加以認眞試圖實踐。自從16世紀起發端未發議題, 經過17世紀更加熱烈談論, 直到18世紀已達登峰造極之勢。在18紀朝鮮性理學展開的主要論辯之一的「人物性同異論辨」中, 「未發心體」正屬最要的核心議題,這一點足以證明此事實。朝鮮性理學所展開「未發」相關的談論,主要圍繞著「知覺」及「氣質」議題而行。「知覺」相關談論的焦點便落於未發時的「知覺不昧」。與「氣質」相關的未槪念及其工夫的談論特徵, 可謂在於若說以往未發心體論的工夫主要强調存這一面的單純結構,南塘與巍巖的未發工夫論則進一步提出未發時氣質影響否問題,更加追求動態且重層的氣質變化。朝鮮性理學所進行未發槪念及其工夫相關的談論, 除了主要繼承朱子的未論這一點之外, 령留下兩個問題。第一, 在如何把李延平的未發體認與「知」結合而認識這一點上仍有異見1);第二, 與「氣質」結合的未發心體,是否不過是「氣」?抑或尙有與「理」相聯的可能性?等的問題。 The purpose of this report is to research the theory of self-cultivating at the state of pre-occurrence in Chosun Neo-Confucianism. It would be a key solution to find the character of Chosun Neo-Confucianism in the point of thoughts and practice, and may help draw future research subjects. The self-cultivating at the state of pre-occurrence is one of the urgent problems in Neo-Confucianism not only at Chosun but also at China. All the representative Neo-confucianists in 16th Century, besides Cho Sik, Yi Hwang, Yi Yi, had studied this subject and practiced their own answer. The study of this was developed in 17th century, and reached the peak in 18th century. The theory of self-cultivating at the state of pre-occurrence had been discussed with the awareness and the human characters in Chosun Neo-Confucianism. For awareness, it has been discussed how one can have the state of awareness without thinking. And for human characters, the relation of Spirit itself and human characters was the theme. Is human spirit in the state of pre-occurrence free from the influence of human characters? If not, is it still in the influence of human characters? That`s the question. The conclusion of this paper is that the self-cultivating at the state of pre-occurrence in Chosun Neo-Confucianism can be estimated the develop of Neo-Confucianism but it still has two problems too. One is how can we understand Li Dong`s awareness in pre-occurrence theory, relevance to awareness. The other is the human spirit itself is only Qi or it can be related with Li.

      • KCI등재

        인격형성의 원리로서의 교학상장

        박대호 ( Park Dae-ho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24 초등도덕교육 Vol.- No.86

        도덕과교육은 인격형성을 가장 직접적이고 구체적으로 겨냥하는 교과이다. 그러나 그것은 교사와 학생 가운데 어느 쪽을 강조하느냐에 따라 수업이 완전히 다른 성격을 나타내는 것과 완전히 동일한 문제를 안고 있다. 아닌 게 아니라, 교사에 초점을 둔 수업과 학생에 초점을 둔 수업을 극단으로 밀어붙이면, 그 끝에 바로 ‘교화와 상대주의’라고 일컬어지는 문제가 나타난다. 본 연구는 교화와 상대주의 문제가 교사와 학생의 관계 문제와 근본적으로 동일한 문제라는 가정에서 출발하여 교학상장이라는 말을 중심으로 그 문제의 극복을 시도한다. 교사와 학생 어느 한 편을 일방적으로 강조하지 않는, 그리하여 교화와 상대주의 문제에 빠지지 않는 도덕과 수업을 가장 탁월하게 예시한 인물은 소크라테스라고 볼 수 있으며, 그가 예시한 수업에서는 교사와 학생이 서로 동일한 일을 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그의 시범은 도덕교육의 목적으로서의 인격이 교사와 학생의 바람직한 관계, 즉 교육적 관계라는 토대 위에서 확립될 수 있다는 점을 여실하게 보여준다. Moral education as a subject is the subject that most directly and specifically aims at cultivating character. However, it suffers from the same problem in that the instruction has completely different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whether the emphasis is placed on the teacher or the student. If we push it to both extremes, what emerges at the end is the problem called indoctrination and relativism. This study starts from the assumption that the problem of indoctrination and relativism is the same as the problem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and student, and attempts to overcome the problem by focusing on the term Jiao-Xue-Xiang-Zhang(敎學相長, ‘Teaching-and- Learning-Raise-Up-Each-Other’). Socrates can be seen as the most outstanding example of a moral instructional activity that does not unfairly emphasize either the teacher or the student, and in the instruction he exemplifies, both of them are understood to be doing the same thing. He clearly shows that successful moral education can be expected based on a desirabl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and student.

      • KCI등재

        선진 유가의 덕 윤리에서 감정 수양의 체계에 대한 시론

        김형중 대동철학회 2019 大同哲學 Vol.87 No.-

        이 논문은 현대인이 앓고 있는 감정 과잉의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전통적 감정 담론, 특히 풍부한 감수성을 계발하도록 하면서도 감정의 적절한 표출을 위한 조절을 강조했던 선진 시기의 유가 철학에서 참고해보고자 하는 시도이다. 이러한 연구는 덕 윤리로서 유가 윤리가 인격 수양으로 표현되는 덕 획득의 구조 내에서 감정을 어떻게 다루었는지를 체계 적으로 재구성하는 작업이다. 이러한 작업은 당연히 덕 윤리의 일반적 체계 속에서 감정이 어떤 위상을 가지고 있는지, 어떻게 교육(계발)될 수 있는지 혹은 감정의 특성을 고려할 때 교육(계발)이라는 것 자체가 가능한지, 그리고 여러 덕들의 획득 방식과 어떤 유사성이 나 차이점이 있는지를 먼저 검토하는 것으로 이루어졌다. 그리고 이것을 바탕으로 선진 유 가가 자아 수양의 방식으로 활용한, 대표적인 양식인 예를 중심으로 규칙, 감정과 습관화 라는 큰 틀에서 유가의 감정 수양 방식, 즉 감정의 습관화 방식을 재구성하였다. 이러한 검토는 감정 조절(혹은 감정 교육이나 수양)이 얼마나 복잡한 문제이고 다양한 요소들을 함께 고려하는 문제임을 알 게 해 줄 것이며 유가의 인격 수양 이론을 다시 검토하는 계기 를 제공할 것이다. This paper attempts to find the solution to the problem of emotional excess suffered by modern people in the Pre-Qin confucianism, which talked about traditional emotional discourse, especially philosophy that said the control for the proper expression of emotions while fostering a rich sensitivity. It is the task of systematically reconstructing how Pre-Qin confucianism handled emotions within the structure of virtue acquisition, which is said to be character cultivation. This work was naturally done by first examining what stutus does emotion has in the general framework of virtue ethics, how it can be taught(or developed), or how education(or development) itself is possible when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emotion, and what similarities or differences there are with how the various virtues are acquired. Based on this, we reconstructed the way of cultivating the emotions of Pre-Qin confucianism, that is, the habituation method of emotion in a large frame of rule, emotion, and habituation centering on Li(the ritual) which is the typical style which advanced Pre-Qin confucianism utilized as the method of self-cultivation. These tasks will enable us to see how complex emotional control (or emotional education/training) is and how various factors are considered together, and will serve as an opportunity to review the theory of character cultivation in Pre-Qin confucianism agai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