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다원주의 시대에서 대순사상의 세계시민성 가치연구

        김용환 대진대학교 대순사상학술원 2014 대순사상논총 Vol.23 No.-

        This article intends to examine the value of the world citizenship in the perspective from the root meaning that is stressed as the behavior style of Daesoon thoughts in relation with ‘desirable attitude of life in education of morality. Traditional root meaning of Daesoon thoughts turned out to be proper moral behavior principle such as Yin Yang harmonious virtue, God Humane keeping unity, and conviviality with regrets settlement. Such three principles of Daesoon Thoughts show the characteristic of global code such as respect of life, solidarity unity, and tolerant trust. To revise the phenomenon of duality, and to realize the human awakening in radically changing reality, we need to cultivate world citizenship based on the root meaning of Daesoon thoughts. Daesoon thoughts covering the East and the West, especially the key features of religion, can cultivate the world view of citizenship in the era of plural society based on folk beliefs toward Gucheon Sangje faith as the essence of the multiplism. The world citizenship of human society is necessary to unite the world in the unified construction cooperative spirits. All beings need to be away from antagonistic confrontation with the practice of mutual conviviality. The diameter of acquired joining world citizenship can have the opportunity to realize of Gucheon Sangje’s Heaven and earth construction. The root meaning of Daesoon thoughts can contribute to moral practicality with world citizenship by practice of heavenly truth and human truth. First, cultivating heavenly truth by means of insight can develope the profound world citizenship. Secondly, the solidarity of the public and private can cultivate public citizenship. Thirdly, in the crisis of the mankind, this awakening conviviality can be foundation for world citizenship of public communication. Fourthly, the spirit that would not deceive ownself can be contributed to cultivating the world citizenship by means of the process of internalizing Daesoon thoughts. Nowadays in the plural society demanding world citizenship, the public citizenship can deepen the spirit of respect of life, solidarity unity, and tolerant trust in the process of world citizenship cultivation. In the future, the world citizenship can be deepen the alternative of practice in the continuous cultivation of world citizenship. In this process, we can form the culture of coexistence which can contribute to human society as well as korean society by developing the value of living together happiness through the guide of this phonesis.

      • KCI등재

        세계윤리와 명상의 맥락화용

        김용환 ( Yong Hwan Kim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0 윤리교육연구 Vol.0 No.22

        세계윤리교육에서 도덕적 특수맥락에 기울게 되면 이기주의, 분파주의, 구획주의 등의 결과를 초래한다. 보편성을 지나치게 강조하면 윤리적 사고의 획일화를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맥락화용의 방법으로 보편과 특수의 긴장관계를 상통시켜 세계시민성 함양에 기여하면서 생명존엄을 살려낼 필요가 있다. 이제까지 세계시민성에 관련된 대부분의 논의들은 이러한 긴장관계를 간과한 채 보편성 논증과 특수성 논증 가운데 특정 관점에 경도되어 이루어진 것이 현실이다. 그 결과 세계시민성의 토대와 방향에 있어서 보편성, 또는 특수성에 사로잡혀 지역 간 국가 간 세계 간의 사이를 이어주고 매개하는 노력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세계윤리의 보편성과 명상의 특수성을 횡단매개하는 가운데 맥락화용의 ``공공 시민성``(public common citizenship)과 ``깊은 시민성``(deep citizenship) 함양을 진단하고자 한다. 이와 같이 지구촌의 세계시민성의 함양을 위하여 ``줄탁동시``(쵀啄同時)의 교육방법을 통한 세계윤리와 명상문화의 맥락화용이 요청된다. 윤리교육에서 명상문화의 특수맥락을 세계윤리와 화용함으로써 자아, 타자, 그리고 세계의 상호 연계성과 상호 의존성을 깨닫는 가운데 타자와의 공감능력을 확충할 수 있다. 이처럼 특수성에서 출발하여 요가명상을 통한 연대성과 화두참선을 통한 관용성의 함양으로 세계시민성과 화용하는 가운데 국가시민성을 초월하여 세계시민으로서 자각하고 책임지는 역량을 배양시킬 수 있다. 이처럼 세계윤리와 명상의 맥락화용은 구성주의 관점에서 지구촌의 세계시민성으로서 공공 시민성과 깊은 시민성을 일깨우는 데 기여하게 될 것이다. 이와 같이 공공 시민성과 깊은 시민성이 확보하게 되면, 개별 국가내의 시민 사회와 이들 사이의 국제적 연대를 보다 활성화시키면서 국가사이를 능동적으로 횡단매개하는 가운데 의식공간을 세계로 확장시킬 수 있을 것이다. 명상문화와 화용을 통해 구성주의 관점에서 세계시민성에 접근하여 인류의 자유와 소망, 그리고 공공가치에 접근하는 방안을 새롭게 마련할 수 있다. This study focuses on implications of the contextual pragmatics between global ethics and meditation. Meditation practice has a long history of healing spirituality of human being. In inner yoga meditation practice, it focuses on more subtle and minute mutual communication. In this solidarity samadhi state, the meditator can cultivate public common citizenship through meditation. From the practical viewpoint, this study explores the possibilities of implementation of meditation as a trans-versal mediation toward solidarity and awareness of consciousness. It can fulfill not mystical vision and super power but awareness of world citizenship and freedom from national citizenship. It would cultivate solidarity value of global ethics to live on desirable life as world citizenship free from karmic force. It focuses on the deep interconnection between self and others, which can be experienced directly by disciplined attention to the communicative sensations, and that continuously interconnect condition the life of the other mind. The question for meditation can be divided into Invocation of dharma topic and Inquiry mutual insight. It is a way of self-awareness through self-observation and introspection. The aim of dharma topic invocation is the abolition of past karmic force and rediscovery of world citizenship as intermediatory subjectivity. It could help to reach global citizenship consciousness to practice the tolerance toward the others. It can contribute desirable life as world citizenship to practice tolerance to be free from agnosic circulation life. In meditation practice, intermediatory consciousness practice can calm the mind, awareness can reveal how the mind was disturbed to start with, which leads to prajna(Pali). Regarding this fact, it is essentially non-sectarian in character and has universal application toward world citizenship. We can conclude it is possible to make a contributing life of world citizenship through public communication and tolerance to contribute human freedom, hope and conviviality.

      • KCI등재

        지구적 시민성과 초등 도덕교육의 과제

        변종헌 ( Jong Heon Byeon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2 초등도덕교육 Vol.0 No.38

        세계화가 진행되면서 개별국가에 기초한 국가시민성의 변화가 불가피해지고 있다. 인류 공동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국가 간 상호의존과 공동노력의 필요성이 커지면서 지역적 경계를 넘어서는 새로운 시민성 관념이 요청되고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세계시민성 관념에 대한 관심과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지만, 동시에 그 한계 내지 문제점 또한 노정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세계시민성과 구분해서 지구적 시민성 개념을 새로운 대안으로 제시하고 있다. 도덕과 교육은 국가시민성과 지구적 시민성의 조화를 하나의 목표로 하고 있다. 초등학교 도덕과의 경우에도 나라·민족·지구 공동체와의 관계 영역을 설정함으로써 지구적 시민성의 함양과 관련된 내용요소들을 다룰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고 있다. 하지만 초등학교 도덕과의 내용체계를 분석한 결과, 국가시민성과 세계시민성의 관계, 나아가 세계시민성을 대신할 수 있는 지구적 시민성의 의미와 내용에 대한 원론적이고 기본적인 접근과 이해가 부족하다. 따라서 초등학교 도덕과의 세계시민교육은 지구촌 인류와 모든 개별국가들이 상호의존하고 협력해야 한다는 사실을 일깨워 주고, 이를 토대로 지구적 의식과 책임감을 지닌 시민으로서의 삶의 자세를 자극하는 것에서부터 출발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the idea of world citizenship that assumes a world state with one sovereignty, and suggest the notion of global citizenship instead. The notion of global citizenship can promote global awareness and the recognition of the significance of mutual cooperation beyond particular national interests. In terms of global perspectives, moral education has to be strengthening the significance of global citizenship. However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elementary moral education for global citizenship has turned out to be a failure. In this vein, elementary moral education has to try to make students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global understanding and responsibility.

      • KCI등재

        子どもの身近な生活から始まる世界市民教育(GCED) - 世界市民教育の観点に基づく生活科の再評価 -

        김종성 글로벌교육연구학회 2017 글로벌교육연구 Vol.9 No.2

        UNESCO says, for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t is important to reach learners early, in their formative early childhood stages of development.” However, in Japan’s “Life Environment Study,” which is a subject that teaches student’ competencies for everyday life, there is no content related to the world. To reconstruct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Environment Study an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his research analyzed current “Life Environment Study’s” Gakusyusidouyouryo (Japanese national curriculum) and a textbook based on the perspective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s a result, I could discover the fact that there is no spatial scale called world in “Life Environment Study.” However, the competencies such as “knowledge of and respect for key universal values,” “problem-solving,” “identity,” “openness to experiences and other perspectives,” “interacting with people and service activity,” were pursued commonly in “Life Environment Study” an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lso, (1) newly interpreting the current contents of “Life Environment Study” and giving new meanings to them based on the perspective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nd (2) teaching the effect and results of globalization that have already been reflected in students’ everyday life would make the relationship of the two closer. For realizing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hat starts from students’ everyday lives, teachers need to recognize the value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nd practice active gatekeeping of their “Life Environment Study” lessons. ユネスコは, 発達の初期段階である幼児期から世界市民教育を奨励している。 しかし, 子どもの身近な生活を学習対象とする日本の生活科では, 世界と関わる内容はまったく登場していない。 このように向かう方向が一見すると異なるかのように見える生活科と世界市民教育の関係性を再構築するために, 本稿では世界市民教育の観点から現行の生活科の学習指導要領と教科書を分析した。 その結果, 世界という空間スケールは存在しないものの, 「普遍的価値の認識と尊重」 「問題解決のプロセス」 「帰属意識」 「多文化共生」 「交流・サービス活動」 のような資質・能力は両者が共通に育成を目指していることが明らかとなった。 さらに, 両者の関係性を緊密にするためには, (1)世界市民教育の視点から既存の生活科の内容を新たに意味付けること, (2)子どもの生活に反映しているグローバリゼ─ションの影響を学習対象に取り入れることが重要である。 子どもの身近な生活から始まる世界市民教育のためには, すなわち 「世界なき」 世界市民教育から 「世界ある」 世界市民教育へ変革するためには, 教師が世界市民教育の価値を認識し, 積極的に生活科授業をゲートキーピングしていく姿勢が求められる。

      • KCI등재

        이케다 다이사쿠의 세계시민성 함양연구

        김용환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9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38

        이 글은 일본의 현대불교와 관련하여 SGI(Soka Gakkai International, 國際創價學會) 명예회장, 이케다 다이사쿠의 군사부일체(君師父一體) 정신의 ‘복덕혜전(福德慧田)’에 근거한 세계시민성 함양연구를 목적으로 한다. 21세기는 종교전통에서 벗어나 생명의 보편적 영성을 중시하는 방향으로 선회한다. 붓다가 발하는 반야지혜의 대광(大光)’은 ‘생명보탑을 빛내는 빛’으로 해석된다. 인류가 20세기까지 물질토대의 진보주의 가치를 중시한 결과 인간생명의 존엄가치를 상실하거나 경시하게 되었다. 붓다 가르침의 정수, 『법화경』은 인간 내면 깊이의 우주생명을 표상하여 개체생명에 성불종자를 뿌리는 ‘하종익(下種益)’을 중시한다. 붓다는 ‘하종익(下種益)’을 서원(誓願)함으로 개체생명과 우주생명을 이어주고 매개하는 선교방편을 마련하였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와 해석학 방법을 병행하여 이케다 다이사쿠의 세계시민성 함양 방안을 탐색한다. SGI는 현대문화에 보살운동을 접맥시켜 생명존중과 인권운동 이념에 바탕을 두면서 생명에 대한 경외심을 실천으로 이행함을 목표로 삼았다. 세계화가 물질문명에 의한 획일화를 강요하기에, 그 대안으로 다양한 문명과의 대화와 융합을 모색한 SGI는 새로운 가치를 창조하고 회복하는 실천운동을 전개하였다. SGI는 생명혁명, 가치혁명, 생활혁명의 삼차연동을 요구하면서, 개체생명이 우주생명이 ‘불이(不二)’ 연동임을 실천적 생명자각운동으로 전개하였다. ‘지금 여기’ 행복 가치를 창조함에 있어서 ‘복덕혜전(福德慧田)’에 근거하여 평화, 교육, 문화가 삼위일체로 아우러진 세계시민성 함양 실천을 모색한다. 군사부일체 정신을 현대에 살려, ‘주덕(主德)’ 책임의식으로 세계시민성을 함양하며, ‘세계지속평화’ 가치를 창조한다. ‘사덕(師德)’ 반야지혜로 세계시민성을 함양하며, ‘세계시민교육’ 가치를 창조한다. ‘친덕(親德)’ 자비실천으로 세계시민성을 함양하며, ‘세계연대문화’ 가치를 창조한다. 이처럼 해석학 방법에 근거하여 SGI의 세계시민성 함양을 분석함에 있어 ‘복덕혜전(福德慧田)’의 밭에 세계시민과 더불어 행복한 공공행복(公共幸福) 담론에 초점을 두고자 한다. 창가(創價)는 가치창조로서 현대문화와 접목하여 SGI가 어떤 방향으로 가치창조를 이루는가를 이해하면, 일본 현대불교, SGI를 보다 새롭게 이해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article is aimed at researching global citizenship based on SGI’s honorary president, Ikeda Daisaku's' teachings in the fields of happiness, virtue and wisdom. The 21st century is devoid of the traditions of individual religions and emphasizes the universal spirituality of life. As humanity pursued the progressive value of the material base by the 20th century, it has been depreciated the value of human dignity. The Buddha's teachings in the Saddharma Puṇḍarīka Sūtra, emphasizes the ‘Sprinkle seed down’, which represents the universe life deep inside human beings and distributes seeds to the regenerated life. This study is composed of literature and hermeneutics. SGI has developed a Bodhisattva movement. Bodhisattva movement is based on respect for life and the human rights movement. We cultivate the awe of life to global citizenship. If the globalization forces uniformization by material civilization, it calls for action movement to create and restore value through dialogue with various civilizations. Therefore, it is required to link life revolution, value revolution and living revolution. Although the individual life is not the universe life, it develops into the action movement that is unified with the universe by the subjective change. The happiness value creation of ‘here now’ is related to the way of cultivating global citizenship based on the fields of happiness, virtue and wisdom, where peace, education, and culture are trinity. It will cultivate the citizenship of the world through the responsibility of Ruler's virtue and create the value of ‘World Sustainable Peace’. It cultivates global citizenship and creates ‘Global Citizen Education’ value through Master's virtue. It will cultivate global citizenship through the mercy of ‘Parental virtue’ and the value of ‘World Solidarity Culture.’ In this way, SGI's global citizenship cultivation can be analyzed in a hermeneutic way, and public common happiness discourse can be developed with the citizens of the world in the field happiness, virtue and wisdom. The window is a value creation. By understanding the way in which value creation takes place by combining with modern culture, it is possible to create an opportunity to renew SGI understanding in the form of Modern Buddhism.

      • KCI등재

        세계시민성의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초국적 기구의 정책 결정에 대한 선호를 중심으로

        구정우,이수빈 한국이론사회학회 2017 사회와 이론 Vol.31 No.1

        The attention to global citizenship as the virtue suitable for global era grows by intensification of economic, political and cultural globalization, Studies of global citizenship to date focused on corporate citizenship, transnational civil society, and the changes of public education. However, the studies clarify the factors form global citizenship at personal level are still pretty rare. Social survey items related to global citizenship are yet uncommon, and the degree of agreement associated with its measurement is low. Based on this critical mind, this study, analysing the 5th World Values Survey Data by multi-level analysis, verifies the factors affect global citizenship. We focus on whether respondents consider international social problems as global issues beyond boundaries of nation-state and degree of it to measure global citizenship. The findings reveal that individual factors, such as education, and the degree of which states ratify and institutionalize the norms of world society ― human rights and environment ― are the important catalysts for forming global citizenship. 경제, 정치, 문화적 세계화가 심화되면서 세계화 시대에 걸맞은 새로운 덕목으로서 세계시민성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세계시민성에 대한 그간의 연구는 기업시민성, 초국적 시민사회, 그리고 공교육의 변화에 초점을 맞추어 전개되었다. 그러나 개인의 인식과 태도의 차원에서 세계시민성의 영향요인을 밝히는 연구는 매우 드물다. 세계시민성과 관련된 사회조사 문항은 여전히 희소하며, 측정 방법과 관련된 합의 수준도 낮은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인식 속에서 본 연구는 2005년도에서 2009년도까지 수행된 제 5차 세계 가치관 조사(World Values Survey) 자료를 바탕으로 세계시민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어떤 것들이 있는지를 다층모형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최종적으로 분석에 활용된 표본은 39개 국가와 42,195명의 개인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는 세계시민성을 측정하는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도 특히 글로벌 이슈들을 해결하는 정책적 주체로서 각국 정부와 국제기구 중 어느 쪽을 더 선호하는지에 주목한다. 분석결과 교육, 소득수준 등 개인수준의 영향요인의 중요성과 더불어, 각 국가의 세계사회의 편입도를 보여주는 인권조약 비준수준, 국제민간단체 가입숫자, 그리고 환경보호 수준 등이 세계시민성 형성에 긍정적인 기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코메니우스의 세계시민교육론: 세계 개선자를 위한 교육

        이응모(Eug-Mo Lee)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20 기독교교육정보 Vol.0 No.64

        본 논문의 목적은 코메니우스의 교육사상 속에 나타난 세계시민교육에 대해 고찰하는 것이다. 코메니우스가 활동한 17세기의 유럽 사회는 30년 전쟁, 종교박해, 빈부격차 등으로 피폐해져 갔다. 그는 보헤미안 형제교단으로부터 천년왕국에 대한 믿음을 전수받았다. 그리고 그는 천년왕국의 도래가 곧 임박 했다는 것을 당시 유럽의 상황을 통해 직감하였다. 그는 천년왕국의 도래라는 측면에서 당시 사회와 세계의 개선에 관심을 가지고 교육 활동을 전개하였다. 그의 교육활동과 사상은 기본적으로 세계시민교육의 성격을 담지하고 있다. 그의 세계시민교육의 목표는 ‘세계의 형성’과 ‘활동’이다. 그에 따르면 인간에게 주어진 그리고 인간이 개선하고, 만들어 가야 하는 세계는 ‘학문,’ ‘정치,’ ‘종교’의 영역으로 인간은 누구나 이 영역들에서 활동을 하며, 세계를 만들어 간다. 세계의 형성을 위해 코메니우스는 세계에 대한 ‘이해’와 ‘판단’을 강조하였다. 왜냐하면 세계의 형성은 세계 사물에 대한 바른 사용에서 시작되는데, 사물의 바른 사용은 사물에 대한 바른 이해와 판단 속에서 가능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는 바른 이해와 판단을 위한 관계적 사유의 방식을 제안했다. 관계적 사유는 ‘분석,’ ‘종합,’ ‘비교와 연결’의 사유로, 한 사물을 종합적으로 검토하는 것이다. 관계적 사유를 통해 우리는 각 사물의 고유한 의미를 발견할 수 있고 그 사물을 세계 내에서 바르게 사용·활용 할 수 있다. 코메니우스는 당시 유럽 사회에 내재된 문제들을 기독교 신앙으로 극복하고자 노력하였다. 그는 세계시민교육의 선구자로 그의 조언들은 세계화로 더 한층 중요해진 현시대의 세계시민교육에 다양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rvey th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the educational thought of J. A. Comenius. In the 17th century, when he was active, Europe was being devastated by Thirty Years’ War, religious persecution, and the gap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He had been taught of Christian millenarianism by Bohemian-Moravian United Brethren Church. The chaotic situation in Europe at the time made him realize the advent of the millennium kingdom is imminent, and he unfolded educational activities to improve the world. We could find the fundamental characteristics of a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Comenius’ educational activities and thoughts. His goals of a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s the world formation and world-in-activities by human. He explains that the worlds given to us is that of science, politics, religion and we should make the worlds more better. And he emphasized understanding and judgment for the formation of the world. Because the formation of the world begins with the right use of things in the world, and it is possible in the right understanding and judgment of things. As tried to overcome the problems of European society at that time in Christian faith, he is a pioneer i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His advices would offer to us a variety of implications for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 KCI등재

        학생들이 세계사에서 ‘중요한 역사’를 판단하는 기준

        金珍?(Kim, Geena) 역사교육연구회 2017 역사교육 Vol.143 No.-

        This study investigated how students make sense of historical significance in world history. Using qualitative, task-based interviews, I interviewed 40 secondary students who had taken world history courses. Findings indicated that students thought that it is important to learn how current globalized societies have developed. Students also tried to understand different ideologies, values, or customs over the world by learning world history. Furthermore, they hoped to learn historical lessons in world history, particularly from historical narratives of overcoming the hardship. Finally, students tried to emphasize the greatness of Korean history and culture by comparing and contrasting between Korean and world history. These findings suggest that students are under conflicts of different kinds of identities between global citizenship and national citizenship. Although they recognized that they have to improve tolerance toward differences, their patriotic ideas toward Korean history were conflicted with this recognition, and students’ national identity limited their multifaceted understandings of world history topics. Therefore, I conclude that history education in Korea needs to purse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in order to overcome narrow-minded national identity, and world history must help students think of various perspectives from others that counter patriotic narratives in Korean history.

      • KCI등재

        대학생 인성함양과 세계시민교육을 위한 비교과프로그램 운영 사례 연구 - S대학교 인성캠프를 중심으로

        성신형,차봉준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20 리터러시 연구 Vol.11 No.6

        This study examines the status of character education an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Korean universities through an extracurricular program set up for this purpose. Korean universities have utilized character and global citizenship as a part of general education. This can be attributed to the enactment of Korea's Character Education Promotion Act of 2015 and the heightened interest i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However, a more fundamental reason is that local universities are now trying to improve the quality of liberal education through character education an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Based on this understanding, this study takes a deeper look at the global citizenship of the Glocality in the context of world citizenship education. This case study examines Soongsil University's character camp as a sample. The results and limitations of the camp's progress were measured through an analysis of student satisfaction. The study found that camp-type non-curricular education can be a useful tool for promoting the sense of global citizenship. These results suggests that an important task lies ahead for educators to further implement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Korean universities 본 연구는 국내 대학의 인성교육과 세계시민교육의 현황을 살피고,이를 위한 비교과 프로그램의 사례를 연구하고 있다.국내 대학은 인성과 세계시민을 서로 적절하게연결하여서 교육의 주제로 활용하고 있다.그러한 흐름은 한국의 인성교육진흥법이발표된 시기와 세계시민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시기가 비슷한 데에서 그 원인을찾을 수 있지만,보다 더 근본적인 이유는 현재 국내 대학이 인성교육과 세계시민교육을 매개로 교양교육의 질을 높이려고 하는데 있다.본 논문은 이러한 상황에 대한이해를 시작으로,세계시민교육의 내용 중에 글로컬 시대의 세계시민성에 대해서 조금 더 깊게 살펴보고 있다.이는 본 사례연구가 가지고 있는 캠프형 인성교육프로그램에 적합한 내용이기 때문이다.아울러서 본 연구는 그 구체적인 사례로S대학교의인성캠프를 살펴보고 있다.인성캠프가 발전되어 오면서 세계시민성을 그 주제로 취하게 된 배경과 함께,학생들의 만족도 분석을 통해서 캠프 진행의 성과와 한계를 진단하고 있다.이 분석을 통하여 캠프 형식의 인성교육 프로그램이 세계시민교육에 비교과 프로그램의 하나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아울러서 본 연구는세계시민교육이 국내 대학에 정착하기 위한 과제도 제언하고 있다.

      • KCI등재후보

        ʻ지구적 숙의 거버넌스ʼ 로서 유엔기후변화협상에 관한 세계시민회의

        이영희(Lee, Young Hee),정인경(Jeong, In Kyung) 한국과학기술학회 2015 과학기술학연구 Vol.15 No.2

        2015년 6월 6일 “유엔기후변화협상에 관한 세계시민회의” 이라는 이름의 전 세계적 시민참여 프로그램이 세계 77개국에서 동시에 개최되었다. 세계시민회의는 올해 말에 프랑스 파리에서 열리는 유엔기후변화협상을 겨냥하여 지구촌 곳곳의 시민들의 목소리를 집약함으로써 기후변화에 대한 국제적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고자 하는 범지구적 기후변화 공론장인데, 한국도 올해 처음으로 여기에 참여하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세계시민회의의 배경과 목적이 무엇이고, 한국에서는 세계시민회의가 어떻게 전개되었으며, 궁극적으로 그것이 ʻ지구적 숙의 거버넌스ʼ(global deliberative governance)의 구축이라는 관점에서는 또한 어떻게 평가될 수 있는가를 분석하였다. ʻ지구적 숙의 거버넌스ʼ의 구축에 대한 평가에 있어서는 숙의 민주주의, 과학기술 시민참여, 지구적 시티즌십이라는 개념들을 지적 자원으로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유엔기후변화협상에 관한 세계시민회의는 기후변화라는 지구적인 문제에 대해 지구적인 차원에서 숙의하는 ʻ지구적 숙의 거버넌스ʼ로 파악될 수 있으며, 거기에 참여한 한국의 시민들은 지구시민사회의 일원으로서 지구적 시티즌십을 형성할 기회를 갖게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World Wide Views on Climate and Energy held on 6 June 2015 was a structured citizens" deliberative consultation forum involving 10,000 citizens in 77 countries, and South Korea was one of the participating countries. Citizen participants, selected to reflect the demographic diversity in their countries or regions, were given information beforehand and deliberated for a full day with other citizens and voted on an identical set of questions, designed to reflect policy controversies at the UN COP negotiations to be held in Paris on December 2015. This study, firstly, analyzes the backgrounds and purposes of World Wide Views on Climate and Energy and reports the WWViews event held in Seoul, Korea before examining the theoretical implication of it. And then, this study discusses about the features and opportunities of World Wide Views on Climate and Energy as a way of forming a global deliberative governance by focusing on deliberative democracy, citizen participatory governance, and global citizenshi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