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 상해시 수습교사제의 도입과 운영 분석

        박수정,방효비 한국교원교육학회 2019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6 No.3

        신임교사에 대한 체계적인 입문교육과 적응 지원의 중요성을 바탕으로, 이 연구는 중국 상해시에서 2012년에 도입한 ‘수습교사 규범화 훈련제도'(이하 수습교사제)의 운영 현황과 특성을 분석하고, 한국의 신임교사 입문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중국 상해시의 수습교사제와 관련된 문헌 고찰, 현장 참관, 인터뷰 등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중국 상해시 수습교사제의 도입배경 및 목적, 운영체계, 운영 기관, 운영 관리 및 운영 지원 등을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습교사제를 통해 신임교사 교육의 표준이 통일되고 교육의 질을 균등하게 담보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둘째, 수습교사 교육은 임용학교, 훈련학교, 교사연수원에서 동시에 이루어지는 ‘네트워크형’ 구조로 이루어지고 있다. 셋째, 수습교사들을 교육하는 훈련학교는 일종의 ‘전문성개발학교(PDS)’로서 수습교육을 전문적으로 담당하고 있다. 넷째, 수습교사와 지도교사에 대한 지원 정책은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종합적으로 볼 때, 중국 상하이 수습교사제는 교사 평가와 선별보다는 교육과 지원에 중점을 둔 입문교육 프로그램의 성격이 강하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신임교사 입문교육에 있어서 체계적인 적응과 성장 지원, 현장 중심형 교육, 관련 기관과 학교 간의 협력 등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Based on the importance of systematic introductory education and adaptive support for new teachers, this study analyzed the current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the "Standardized Training System for beginning teachers" (refer to as the Training System for Beginning Teachers) that was conducted in 2012 by Shanghai of China, and found out the implications for Korea's new teachers education. For this purpos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systematic reviews, field observation and interview related to the Training System for Beginning Teachers in Shanghai. The beginning teachers’ background of introduction and purpose, operating system, operating institution, operation management and operation support were analyzed. The main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rough the Training System for Beginning Teachers the standards of new teacher education are unified and moving toward equal assurance of the quality of education. Second, Training System for Beginning Teachers consists of a 'network-type' structure, which is conducted simultaneously at an appointment school, a training school, and a teacher training institute. Third, the training school that educates training teachers is a kind of ‘PDS(Professional Development School)’, which specializes in training. Fourth, there are various support policies for beginning teachers and mentors. Overall, Training System for Beginning Teachers in Shanghai has a strong personality in its introductory education program focusing on education and support rather than evaluating and screening teachers.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it presented suggestions such as systematic adaptation and growth support, field-centered education, and cooperation between related institutions and schools in the introductory education of new teachers.

      • KCI등재

        경기도교육청의 교원연수체제 및 교원연수프로그램 모형 개발 연구

        박철희(Park Cheol Hee),최화숙(Choi Hwa Sook),장인실(Chang In Sil)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2 No.4

        This study is aim to develop the proper teacher training system and teacher training programs model development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of Gyeonggi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based on the needs that require the formulation of a new teacher training program that can actively support the growth of innovation in school education and teacher. In order to achieve these objectives, analysis on Gyeonggi-do teacher training on, teachers’ perceptions and needs for teacher training and so on were investigated.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e research process is as follows. First, Gyeonggi-do teacher training status are like weak teacher training planning and co-ordination and development capabilities, disorganized training program of the teachers, the low accessibility of research and training institute and the need to strengthen the training of specialized personnel competency, the characterization and specialization of research and training institute, insufficient teacher training quality management, the gap between training content and school reality. Second, through recognition of teachers and the needs survey, new teacher training system and teacher training programs model could be required. Therefore, learning network model as teacher training system considering for the lifelong learning system proposed in this study and teacher training programs according to the teaching career are significant implications to the teacher training. 본 연구는 학교교육의 혁신과 교사들의 능동적 성장을 지원할 수 있는 새로운 교 원연수프로그램의 정립이 요구된다는 필요에 근거하여 경기도교육청 소속의 초·중 등학교 교사에게 적합한 교원연수체제와 교원연수프로그램 모형을 개발하는 데 목 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경기도 교원연수 현황 분석, 교원연수에 관 한 교원들의 인식과 요구를 조사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분석, 연수원 담당자 면담, 교원 대상 설문조사 등을 실시하였다. 연구과정을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기도 교원연수의 현황으로는 미약한 교원연수의 기획·조정·개발 기능, 체계적이지 못한 교원연수프로그램, 연수 원의 낮은 접근성과 연수담당자의 전문역량 강화 필요, 연수원의 특성화·전문화 필 요, 미흡한 교원연수의 질 관리, 연수내용과 학교 현실 간의 괴리 등이다. 둘째, 교원 들의 인식과 요구조사 결과 새로운 교원연수체제와 교원연수프로그램 모형이 요구 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안한 평생학습체제를 고려한 교원연수체제인 학습 네트워 크 모형과 교직경력에 따른 교원연수프로그램 모형은 교원연수에 시사하는 바가 크 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중등 일반교사의 진로연수 참여 경험에 대한 합의적 질적 연구

        정성진 한국질적탐구학회 2024 질적탐구 Vol.10 No.1

        이 연구는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중등 일반교사가 진로 직무연수에 참여한 경험을 확인하여 일반교사의 진로교육 전문성 확보를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첫째,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중등 일반교사의 진로연수 참여 동기는 무엇인가? 둘째,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중등 일반교사의 진로연수 참여 과정은 어떠한가? 셋째,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중등 일반교사의 진로연수 참여 결과는 무엇인가?를 규명하였다. 이 연구는 합의적 질적 연구(CQR: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를 통해서 분석하였다. 이 방법은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일반교사의 진로연수 참여 경험이 가지는 주제와 구조, 상관 등을 구조적으로 파악하고 설명(Hill, Thompson, Williams, 1997)하는데 유용하다. 이 연구의 결과는 첫째,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중등 일반교사의 진로연수 참여 동기는 ‘진로교육의 어려움’과 ‘진로 교과수업에 대한 관심’의 2개 범주와 6개의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둘째,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중등 일반교사들의 진로연수 참여 과정은 ‘진로교육 관련 정보 습득’, ‘교사역할로서 진로교육 인식’, ‘진로교육 실제에 적용’의 3개 범주와 9개의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셋째,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중등 일반교사들의 진로연수 참여 결과는 ‘진로 교과수업의 역량 향상’, ‘진로교육에 대한 신념 형성’, ‘진로교사로서 도약’의 3개 범주와 9개의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이 연구결과는 중등 일반교사의 진로교육 관련 책무와 과업을 확인하여 2025년 고교학점제 전면 도입을 앞둔 시점에서, 진로교육 연수의 세부 교육과정 구성에 실질적인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prepare basic data to secure career education expertise for general school teachers by confirming the experience of secondary school general teachers participating in career training following the introduc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To this end, first, what is the motivation for secondary school general teachers to participate in career training following the introduc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Second, what is the process of secondary school general teachers participating in career training following the introduc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Third, what are the results of secondary school general teachers’ participation in career training following the introduc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This study was analyzed through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CQR). This method is useful for structurally identifying and explaining the themes, structure, and correlation of general teachers’ career training participation experience following the introduc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Hill, Thompson, Williams, 1997).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otivation for secondary school general teachers to participate in career training following the introduc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was derived into two categories and six subcategories: ‘difficulty in career education’ and ‘interest in career subject classes’. Second, the process of participating in career training for secondary school general teachers following the introduc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is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and nine subcategories: ‘acquisition of career education-related information’, ‘recognition of career education as a teacher’s role’ and ‘application of career education to practice’. Third, the results of secondary school general teachers’ participation in career training following the introduc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wer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and nine subcategories: ‘Improvement of career subject teaching capabilities’, ‘Formation of beliefs about career education’, and ‘Leap forward as career teac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confirm the career education-related responsibilities and tasks of secondary school general teachers and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detailed curriculum composition of career training ahead of the full introduc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in 2025.

      • KCI등재

        교원능력개발평가 결과에 따른 맞춤형 교원연수 운영 지원 실태 분석

        전제상(Jeon, Je Sang) 한국교육평가학회 2012 교육평가연구 Vol.25 No.4

        교원능력개발평가는 2010년부터 초ㆍ중등학교에 전면 도입되면서 교원능력개발평가 결과 활용을 위한 맞춤형 교원연수 운영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 연구는 교원능력개발평가 결과에 대한 현장 교원들의 맞춤형 교원연수 운영 지원 요구가 무엇이고 이의 대안을 탐색하는데 있다. 맞춤형 교원연수 운영지원 요구는 교원능력개발평가 도입 이래로 교직사회의 핵심 과제로 부각되었으며, 교원연수지원 운영 및 지원사항 등 대한 요구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대상은 대구교육지역의 교원을 대상으로 총 4,811명이었다. 자료처리는 SPSS Win을 이용하여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현장교원들의 맞춤형 연수요구는 높으나 연수지원환경에 대한 만족도는 높지 않았다. 또한 교원능력개발평가 도입에 따른 맞춤형 교원연수 수요가 증대될 것으로 예상되나, 다양한 교원요구를 반영한 연수프로그램이 미흡하였다. 교원연수운영지원으로는 맞춤형 연수프로그램 개발 지원, 미흡교원을 위한 능력향상연수 지원강화, 맞춤형 연수 시기와 홍보 강화, 교직생애별 맞춤형 연수프로그램 개발, 교육청의 연수기능 전문화 및 특성화 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in-service training of teachers according to teacher expertise development evaluation on the theoretical basis, to inquire operation for the training system, and to present and an professional development plan for the training system. The great interesting of the in-service training system according to teacher expertise development evaluation in 2010 has been a topic for model operation of new teacher's evaluation system in Korea. Based on literature review, a survey questionnaire of 3 category were developed for distribution to subjects. 4,811 survey sheets were distributed to teacher and educational supervisors, and treated for frequency and cross-tab analysis using SPSSWIN. Also, it was shared among those teachers that a new in-service training system should be developed which would promote teachers to develop professional development in the teaching and learning implementation. The results of the requires analysis for teacher should be shared among trainees and staffs in training centers. The new teacher's expertise development evaluation system will sharply expand the teacher-made in-service training. This study should be operated voluntarily and converted into various training for field experiences, major in-service training rating agencies, a customized education suited to in-service training, the program of specialization and specialization for in-service training teacher system according to teacher expertise development evaluation.

      • KCI등재

        대학입학사정관제와 관련 연수에 대한 교사의 인식 연구

        박성혁(Park, Sunghyeok),조영달(Cho, Youngdal),성경희(Sung, Kyunghee),박선운(Park, Sunun) 한국열린교육학회 2013 열린교육연구 Vol.21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배경의 교사들이 입학사정관제 및 관련 언수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조사하여 적합한 연수과정 마련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는 것이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입학사정관제에 대한 관심이나 인지도, 제도 및 연수 만족도 측면에서는 진학지도 담당/일반계고 교사, 고3 지도 경력 및 연수 경험이 있는 교사, 작은 규모의 지역에 근무하는 교사일수록 놈은 경향이 나타났다. 이러한 집단간 차이에도 불구하고 연수 만족도 항목은 3점대 이하의 낮은 점수를 보였다. 다음으로 입학사정관제에 대한 기대효과 측면에서는 부장교사, 진학지도 담당 교사, 연수 경험이 있거나 작은 규모의 지역에 근무하는 교사일수록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연수 내용의 중요도 측면에서는 세 집 단 모두 모든 항목에 대해 중요도를 높게 응답하였으며, 특히 입학사정관 전형의 실제적인 준비와 관련된 내용은 상당히 높은 점수를 보였다. 본 연구의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수 만족도가 낮으면서도 연수 내용의 중요도에 대 한 인식이 높다는 점, 연수 경험이 있는 교사들일수록 긍정적인 반응을 보인다는 점에서 교원 연수가 입학사정관제의 안정적 실행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고 하겠다. 다음으로 직급, 담당교과, 학교 유형, 근무지 등 다양한 배경에 따라 입학사정관제 및 관련 연수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보인다는 점에서 이들의 세부적인 요구를 반영하여 차별화된 맞춤형 연수 과정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eachers' perception of the admission officer system and teacher training program and to obtain implications for the proper content of the in-service teacher training program.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eachers who are a chief teacher, work at a general high school and in a small-sized region, have experiences of senior class, and have experiences of an in-service training program about an admission officer system showed more positive attitudes to the questions of interest/recognition/satisfaction of an admission officer system and satisfaction of a teacher training program. Even though teachers answered each items differently according to their backgrounds, they were dissatisfied wi th the in-service program of admission officer system. Second, teachers who are a chief teacher, work in a small-sized region, and have experiences of an in-service training program answered more positively to the questions of expected effects about an admission officer system, They agreed that the admission officer system could select qualified and potential students, but all the other effects would be limited. Third, in the questions of importance of training content, all the teachers answered with high scores in all the sub-items of an in-service training program. Especially, the content related to practical preparation of college admission showed the highest score.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suggests constructing the proper in-service teacher training for teachers' understanding of an admission officer system as follows. First of all, in order to stabilize an admission officer system, in-service teacher training should be sustained and strengthened considering the fact that training satisfaction scored low, while significance of training content scored high and the teachers who have training experiences showed positive response. Next, an in-service teacher training program should consist of diverse content that can meet the diverse needs of teachers.

      • KCI등재

        교원양성체제 개편 관련 연구 동향 검토

        김갑성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21 敎員敎育 Vol.37 No.1

        This study’s purpose was to review related research trends with the aim of reinforcing the capabilities of teachers as demanded by the future society, and to understand the aspects of discussions on the reform of the teacher training system so as to cope with the structural changes in teacher training due to the decrease in the school age population. In order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related to the reform of the teacher training system, 13 of the research studies were related to articles about the teacher training system published since 2000, which were reviewed using the research topics and contents as the analysis criteria. As a result of the reviews, the establishment of a graduate school course, the consolidation of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and the internalization of the curriculum are suggested according to the method of reforming the teacher training system. Based on this, the core contents of each study were presented, and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each plan for reforming the teacher training system were analyzed and presented. This analysis indicated that the reorganization of the teacher training system emphasized the efficiency of the education scale, suggested the need to restructure teacher qualifications, and pointed out the necessity of reorganization of the curriculum operation of the teacher training institution. In addition, it was argued that the reduction of the number of teachers to train was inevitable, and ultimately suggested the necessity of restructuring the system in terms of teacher expertise or future teacher competency. 이 연구는 미래사회가 요구하는 교원의 역량을 강화하고, 학령인구 감소로 인한 교원 양성의 구조적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교원양성체제 개편 논의의 양상을 파악하기 위해 관련 연구 동향 검토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교원양성체제 개편과 관련된 연구 동향을 분석하기 위해 연구 주제와 연구 내용을 분석 기준으로 삼아 2000년 이후 현재까지 발표된 교원양성체제 관련 연구 중 13편을 검토하였다. 검토 결과, 교원양성체제 개편 방식에 따라 대학원 과정 신설, 교원양성기관 통폐합, 교육과정 내실화를 통한 체제 유지의 세 가지 방식이 제시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각 연구의 핵심내용을 제시하였고, 교원양성체제 개편 방안별 장단점을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교원양성체제 개편 관련 연구는 교육 규모의 효율성을 강조하고 있고, 교사 자격의 재구조화가 필요함을 제시하고 있으며, 교원양성기관 교육과정 운영의 정비가 필요함을 지적하고 있었다. 또한, 교원 양성 인원의 축소가 불가피함을 주장하고 있었고, 궁극적으로는 교원의 전문성 또는 미래 교원 역량에 체제 개편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었다.

      • KCI등재

        사범대학과 연계된 특수교사 양성체제의 재구조화 및 개혁방안 -볼로냐 프로세스 개혁 모델 분석을 바탕으로-

        고은 ( Eun Ko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5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7 No.2

        교원양성체제의 개혁은 국가수준의 과제로서 오랫동안 담론의 주제가 되어왔다. 본 연구주제는 ‘사범대학과 연계된 특수교사 양성체제의 재구조화 및 개혁방안’으로서 다음 두 가지 연구문제를 갖는다. 첫째, 특수교사 양성체제의 재구조화는 왜 필요한가? 둘째, 특수교사 양성체제의 개선방안은 무엇인가? 특수교사 양성체제는 사범대학의 외적·내적 요인과 밀접한 관계를 갖는다는 점에서, 연구자는 사범대학 개혁과의 연계성에서 문제점과 개혁방안을 도출해 내고자 하였다. 국내 사범대학의 위기요인으로는 교원자격증의 남발과 양성기관의 난립 그리고 전문성과 정체성 부재를 들 수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은 고스란히 특수교사 양성체제 문제로 이어졌다. 연구자는 그에 대한 대안으로 볼로냐 프로세스 이후의 독일의 개혁흐름을 살펴보고,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을 찾고자 하였다. 여기에는 정부차원에서 논의되고 있는 교육전문대학원 체제 하에서의 특수교사 양성체제가 주요 쟁점 중 하나로 다루어졌다. 연구자는 일차적으로는 사범대학의 종합대학 내 통합과 대학원 수준의 교사양성 체제를 지지하며, 아울러 특수교육과는 교직과 비 교직으로 분리운영될 것을 제안하고 있다. 또한 부가적으로 통합교육에 적합한 교사양성, 일반교육과의 연대강화 그리고 교과교육 전문교사 양성으로 그 개혁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reform of teacher training system has been the topic of discourse as the project at the national level for a long time. The topic of this research was the ‘ways of restructuring and reforming the special teacher training system associated with college of education’. There were two research questions. First, why do we need to restructure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 training system? Second, how can we improve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 training system? Since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 training system is closely associated with external and internal factors of college of education, we would like to identify problems and propose ways of reforms in terms of the association with reforming college of education. Risk factors of college of education were the overissue of teachers certificate, high number of training institutions, and absence of expertise and identity in Korea. These problems had led to the problems of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 training system. We looked into the flow of the reform in Germany after Bologna Process as the alternative way, and we would like to find the implications for us.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 training system under professional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as being discussed at the government level, and it was addressed as one of major issues. We primarily support the integration of college of education into University and the teacher training system at graduate school levels. In addition, we propose to operate department of special education once it is divided into teaching and non-teaching. We present the ways of reforming the system such as the teacher training suitable for integrative education, the enhancement of association with general education and curriculum professional teacher training system.

      • KCI등재

        중등 교원양성체제 발전모형 연구

        장종원(Jong Won Jang) 한국직업교육학회 2021 職業 敎育 硏究 Vol.40 No.6

        본 연구는 중등교원 양성체제를 발전시키는 모형을 개발하여 교원양성체제의 발전에 기여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직업교육현장에 재직하는 교원들을 중심으로 심층의견을 수렴하는 방식으로 조사하고 이 자료를 바탕으로 교원양성체제의 바른 이해와 교원들의 요구를 분석하여 교육의 질을 높이고 교원양성체제 모형을 제안하여 중등교원 양성체제를 발전시키는 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교원양성체제 혁신위원회에서 제시한 교원양성체제 개편안을 중심으로 현장의 목소리를 더하고 의견을 심층 조사한 내용을 중심으로 시대변화를 반영하고 미래가 요구하는 교원양성체제의 발전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에서 나타난 교원양성체제 현황의 문제점은 학생들과 교원들의 요구를 수용하고 있지 못하며, 운영방식과 교과목에 대해 체계적으로 교육을 실시하고 있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교육실습과 임용 연계의 미흡, 적정화 되지 못한 중등 교원의 양성규모, 실습 현장의 실습생 기피 현상 등의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교원양성체제의 추진방안으로는 거버넌스 구축으로 소통・협업을 위한 협의기구 마련, 교원양성 교육과정이 현장 이해를 바탕으로 미래 대응, 적・인성 검증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시대정신의 반영과 학문의 균형적인 발전을 위해 실습학기제 도입, 중등교원 양성체제의 경로 정비, 교과 특성을 고려한 양성기관 특성화, 소수 선발교과 임용 개선, 교육의 다양성, 교양 교육 및 비교과 교육과정(학생 동아리 등) 등에서 예비 교원의 교육과정 선택권 확보, 직업교육 교원양성의 사범대・사범계학과에서의 양성 등 시대에 맞는 중등교원 양성체제 필요하다고 판단되어 그에 맞는 모형을개발하여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eacher training by developing a model for developing a secondary teacher training system. The research method was conducted by collecting in-depth opinions from the teachers. Based on this data, the needs of teachers were analyzed.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 and propose a teacher training system model. In this way, we intend to come up with a plan to develop a system for nurturing secondary school teachers. The voices of the field were added, focusing on the reform of the teacher training system proposed by the Innovation Committee. Focusing on the contents of the in-depth investigation, it is intended to reflect the changes of the times and present a development model for the teacher training system that the future requires. The problem with the current teacher training system is that it does not accommodate the needs of students and teachers, and does not provide systematic education on the operation method and subject. In addition, there are problems such as insufficient linkage between education and practice and appointment, inadequate training scale of secondary school teachers, and avoidance of trainees in the field of practice. As a way to promote the teacher training system to solve this problem,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consultative body for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governance, and the teacher training curriculum should respond to the future based on field understanding, and verify aptitude and personality. In order to reflect the spirit of the times and to achieve balanced academic development, the introduction of the practical semester system, the development of pathways for the secondary teacher nurturing system, the specialization of training institutions in consideration of subject characteristics, improvement of the appointment of a small number of selected subjects, diversity of education, liberal arts education and non-curricular (students) Clubs, etc.), etc.), secure the right to choose the curriculum for prospective teachers, prepare a system for nurturing secondary school teachers that solves problems such as securing vocational education teachers training in teachers’ colleges and teachers’ departments.

      • KCI등재

        독일 교원양성체제의 역사적 전개와 시사점 -계몽주의에서 20세기 후반까지-

        조상식 ( Sang Sik Cho ),김빛나 ( Binna Kim ) 한국교육사학회 2016 한국교육사학 Vol.38 No.1

        비교 교육의 관점에서 독일의 교사양성체제에 대한 연구는 이미 국내에 적지 않게 소개되었다. 각 급 학교별 교사양성체제 뿐만 아니라, 특수교사나 각 교과별 교사양성제도의 특성에 관한 ``특수화된 단일 연구주제``도 등장하였다. 이와 별도로 독일 교사양성제도를 역사적 근원에서 추적하려는 연구도 없지 않다. 특히 19세기 전후는 독일적 전형으로서 신(新)인문주의 교육이념이 고안, 실현된 독특한 시기이기에 많은 주목을 받아 왔다. 이에 비해 독일의 교사양성제도에 관한 일반사가 없다는 점은 이해하기 힘들지만, 이는 독일적 특수성을 반영하고 있다. 통일국가 형성의 지체와 지역적 편차로 인해 특정 지역을 중심으로 한 연구들이 많은 반면, 전체를 개관하는 연구는 드물다. 이에 본 연구는 계몽주의 시기부터 20세기 후반까지를 시기로 하는 일반사적인 접근을 하고 있다. 18세기 계몽주의 시기부터 ``학교조직의 차원에서 제도화된 학교제도가 본격적으로 진화하는 체제형성 과정``이라는 점에서 역사적 개관을 위한 합당한 기점(起點)으로 보인다. 하지만 20세기 후반 이후는 신자유주의의 보편화 추세와 ``볼로냐 프로세스``의 표준화 경향으로 인해 별도의 연구가 필요하다는 이유에서 제외하였다. 이에 논문에서는 초·중등 교사양성제도를 중심으로 기술하되, 여교사 양성이나 김나지움 교사의 특권화와 같은 주제도 아울러 다루었다. 독일 교사양성체제의 특이점은, 초중등 교원 사이의 양성과정 및 교사 신분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상당히 이질적인 과정이었다는 사실과, 양성과정에서 교육학의 역할이 각 시대별로 다르게 규정되어왔다는 사실이다. There have already been many articles which have covered a subject of the German teachers` training system from the comparative-educational viewpoints. Their perspectives are so various from the teachers` training system in the different school types to the particular topics such as teachers` training in the special education and teachers` training according to subjects. In addition, there have been not a little researches to investigate the historical origin of the German teachers` training system. On the contrary it is more or less interesting that the general-historical researches are uncommon. But it has reasonable grounds: the delayed national unification in Germany and a deep gap between the German states(Bundeslaner). For this reason this article aims at a general-historical approach to the teachers` training system in Germany from the enlightenment to the second half of the 20th century. The enlightenment in the late of the 18th century is the proper starting point, as it sent out a signal that the institutionalized school system in the dimension of the school organization originated the evolutional process of the system formation in earnest. The early of the 21th century was excluded from the analysis of this paper, as it requires an additional research. In particular, this period gives a rich demonstration of the generalization tendency of so-called new liberalism and the standardization one of the ``Bologna process``. This article describes the teachers` training system, and gives attentions to the schoolmistress training and the privileged status of the gymnasium teachers. The singular points of German teachers` training system are that the training process of elementary and gymnasium teacher have been differentiated considerably, and that the role of pedagogy in the training process have been defined very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epoches.

      • KCI등재후보

        한국 근대 교원양성에 관한 연구

        서재복 교육종합연구원 2008 교육종합연구 Vol.6 No.1

        The recent discussions about the quality of education are closely related to the improvement of teachers' expertise, because the quality of teachers determines that of education. In this regard, the training system for cultivating great teachers is very important. The studies about the importance of teachers in Korean society were found in several documents, however, it was after the Enlightenment that the teachers training was institutionalized. According to the new school system of the Gabo Reform, Hanseong normal school was established, which was the first official teachers training institution in the history of Korean education and fostered teachers who would implement modern primary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In this thesis I tried to investigate the modern teachers training system which was the start of Korean teachers training system. With this view, I intend to examine some suggestions in modern education through analyzing the background and the purpose of teachers training, the role and the duty of teachers, the curriculum of the progra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