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건축공간계획에 있어서 스페이스 프로그램 교육 활용 사례연구

        김치환(Chi Hwan Kim) 한국퍼실리티매니지먼트학회 2017 한국퍼실리티매니지먼트학회지 Vol.1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model of space program to students and the important points of its educational application in architectural space planning based on the student performance criteria of architectural accreditation and national competency standard. Students made a space program of designated form and was criticized for their space program. The space program of this study was consist of three categories of spatial condition such as the amount of space, the character of space and interrelation of space to generate bubble diagram for spatial organization. A quantity of data and information which students surveyed and collected related to unit space was attached to the space program. Such data and information was very useful to space planning. The space program made by students was criticized for its contents based on user’s activity and generation of bubble diagram to develop layout planning influenced by legal checks, site condition and mass study. It will be necessary to make further developed space program to operate expert course of architectural design education.

      • KCI등재

        변화된 노인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노인복지관 여가프로그램 및 공간구성 연구 - 광주광역시 사례를 중심으로 -

        주현진,문정민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5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Vol.24 No.3

        Senior citizens` new life style has appeared according to the massive retirement of the baby boom generation since 2010. Consequently, Senior Welfare Centers ,the provider of elderly leisure programs, has been asked for the programs and spaces which are able to meet the changing life style of the elderly. This study focuses on the survey for current status of leisure programs in accordance with the changing life style and on the investigation for sensible usage of space in senior welfare centers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The result shows the portion of the programs which every center provides is quite different according to the life style. The program types for challenge and utility are provided 192 times a week and the program types for health and sociality 133 times a week. Both types shows high frequency of supply and use of the program especially 85 times of information-oriented education, 64 times of musical instruments, and 42 times of foreign language are supplied vividly. On the contrary, the program types for fashion and self-management and the program types for volunteer work and achievement are insufficient, so It should be reconsidered to establish the programs and to supply the space for the program from now on. The current status for spatial usage shows that most of the centers share a space for several programs. It means that the space of the Senior Welfare Center is limited and various programs should be run in the narrow space. High frequency programs like the program types for challenge and utility secure sufficient spaces not to miscarry the use for the programs. The center of case B has well equipped and large space and provides proper space for each programs to meet the demand of the senior citizens. Like these, Senior Welfare Centers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have supported Senior citizens` Life Style by supplying various leisure programs to meet the demand for it. This research could be used as the basis for the programs about the spatial utilization in accordance with various future life style of Senior citizens`.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가 2010년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됨에 따라 라이프스타일이 변화한 노인세대가 등장했다. 따라서 노인 여가프로그램을 제공하던 노인복지회관은 변화한 노인의 라이프스타일을 수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과 공간의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노인의 변화하는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여가프로그램을 광주광역시의 노인복지회관이 반영하고 있는지 현황 파악과 제공되는 프로그램의 기능과 목적에 맞는 공간을 활용하고 있는지에 대해 조사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노인의 라이프스타일별 노인복지회관에서 제공되는 프로그램 비중은 상이하게 나타났다. 도전·실리추구형은 주 192회, 건강·사회교류추구형은 주 133회로 제공 빈도수가 높고 실제로 프로그램 이용률이 높았다. 특히 도전을 추구하는 노인을 위한 정보화 교육 주 85회, 악기 연주 주 64회, 외국어 강의 주 42회로 여러 프로그램이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었다. 그에 반면 유행추구·자기관리형과 봉사활동성취지향형을 위한 프로그램 개설 수는 미비했으며, 봉사활동성취지향형을 위한 프로그램 개설과 공간 제공을 고려해야 하며, 향후 다양한 노인의 라이프스타일별 프로그램 운영을 위해 이를 참고할 필요가 있다. 다음, 프로그램 공간 사용 현황을 살펴본 결과 대다수의 시설에서 하나의 공간을 다목적인 기능으로 운영하고 있었다. 이는 노인복지회관 공간의 규모 자체가 협소하고 다양한 프로그램들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게 하기 위함으로 보인다. 또, 도전·실리추구형과 같은 제공의 빈도가 높은 프로그램의 경우 공간의 개수를 확보해 많은 인원의 노인들이 이용에 차질이 없도록 제공하고 있었다. 특히, 사례 B의 시설은 공간의 규모가 크고 시설을 이용하는 노인의 욕구를 반영하기 위해 프로그램 성격에 맞는 공간을 가장 적절하게 제공하고 있었다. 이처럼 광주광역시의 노인복지회관은 변화한 노인의 라이프스타일을 수용하기 위해 여가프로그램 제공으로 노인의 여생을 지원하고 있었고, 본 연구는 향후 미래의 노인의 라이프스타일의 다양성을 고려한 프로그램과 그에 따른 공간의 활용에 대한 기초자료로서 제언하고자 한다.

      • KCI우수등재

        도서관 복합문화공간에 대한 이용자 인식 연구

        노영희,김윤정 한국문헌정보학회 2019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53 No.4

        Libraries have recently sought to diversify their roles to meet the changing needs of local residents, while faithfully playing the library’s original roles. The creation of a complex cultural space and the provision of services based on it are one of the ways to expand its role. In this study, a surveyed and analyzed the awareness of the complex cultural space of the library and the preference and awareness of the program operated in the complex cultural space by conducting a survey on the users of the library currently operating the complex cultural space. As a result, first, it was found that they preferred information space, education space, and rest space in space preference. On the other hand, community space and experience space showed low preference. Second, they prefer educational programs, exhibition programs, and performance programs that utilize complex cultural spaces, but experience programs and community programs have low preferenc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operate the program by providing exhibitions and performance spaces while providing information and education spaces to users. The librarian should also promote the fact that library can be only the space of information and education, but also the space where culture, healing, experience and communication take place. In addition, libraries should strive to improve user awareness of library space. 최근 도서관들은 도서관의 본연의 역할을 충실히 하면서도 지역주민의 변화하는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역할다양화를 모색하고 있다. 복합문화공간의 조성과 이를 기반으로 한 서비스 제공이 역할확대방안 중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복합문화공간을 조성하여 운영하고 있는 도서관의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함으로써 도서관의 복합문화공간에 대한 인식도, 복합문화공간에서 운영되는 프로그램에 대한 선호도와 인식을 조사․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공간 선호도에서 정보공간, 교육공간, 휴게공간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커뮤니티공간과 체험공간은 낮은 선호도를 보였다. 둘째, 복합문화공간을 활용한 교육프로그램, 전시프로그램, 공연프로그램을 선호하지만 체험프로그램과 커뮤니티프로그램은 선호도가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용자에게 정보․교육의 공간을 제공함과 동시에 전시 및 공연공간을 마련하여 프로그램을 운영할 필요가 있으며, 도서관 복합문화공간은 정보․교육의 공간뿐만 아니라 문화와 힐링, 체험, 소통 등이 이루어지는 공간임을 홍보하고 이용자의 인식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 KCI등재

        국내 고속도로 휴게소의 공간 프로그램 변화에 대한 연구

        이범동,이종세,김주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5 No.1

        (Background and Purpose) Recently, the concept of domestic highway rest areas has been changed as a place for various purposes during travel in selective transit spaces for physiological solutions. In this change of life, the spatial design change of the rest area of ​​the future will continue to be requir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space program through research on the physical & value change of the space program in current rest area by focusing on the connection with social change. (Method) First, a framework for research analysis is prepared through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s on the definition and role of rest areas and existing spatial programs. Second, this study suggests an analysis of the important recognition spaces of rest areas by age group through a survey of male and female rest stop users in their 20s and 70s. Third, based on the planes of the rest area spaces established at each time period from 1970 to 10 years,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ace and the occupancy ratio of the area by characteristics compared to the total analysis space are analyzed. Fourth, we compare and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mportant spatial awareness of the customer space and the changes in the space program of rest areas by time and interval through graphs for each result. Fifth, based on the results obtained, this study proves the connection between changes in the rest area program and the lifestyle of the guests. (Results) As a result of the survey, the past generation of main users as the 60s and 70s are increasingly aware of the importance of space for business and relief from physiological needs. Otherwise, the importance of cultural experience space and service space for user toward the future generation of 20~30 generations was found to be greatly recognized. As to analysis results of spatial program changes in rest area, in the past, dining spaces, business spaces such as convenient shops, and space for relieving physiological needs were focused on, but the current rest area was gradually expanding to provide user service spaces such as relaxation experiences and spaces to resolve cultural experience needs.(Conclusions) Two results of graphing the changes in the space program of rest areas by age and the proportion of the important recognition spaces of rest areas by age group are similar formally, so this is the result that the change of the rest area program is closely related to the change of lifestyle by age group. With upcoming the commercialization of future autonomous vehicles, it is necessary to prepare for a variety of new concept space programs by preemptively predicting the users lifestyle of rest area. (연구배경 및 목적) 최근 국내 고속도로 휴게소의 개념은 생리적 해결을 위한 선택적 경유 공간에서 여행 중 다양한 목적의 장소로서 변화되어가고 있다. 그 배경으로는 운영사의 경쟁에 의한 자체적 시설투자 뿐 아니라 이용객의 생활수준 향상에서 오는 다양한 라이프 스타일의 변화와 급변하는 기술의 발전 등을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삶의 변화 속에서 미래의 고속도로 휴게소의 공간디자인 변화는 지속적으로 요구되어질 것이다. 본 연구는 사회적 변화와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현재 휴게소의 물리적 변화와 공간프로그램은 어떠한 가치로 변화되어 왔는가에 대한 연구를 통해 미래의 고속도로 휴게소의 공간 프로그램을 제시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연구방법 및 범위) 연구의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고속도로 휴게소의 정의 및 역할, 기존의 공간 프로그램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연구 분석의 틀을 마련한다. 둘째, 20대부터 70대까지 남, 여의 휴게소 이용객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연령대별 휴게소의 중요 인식공간에 대한 분석을 제시한다. 셋째, 1970년부터 10년 단위로 각 시기에 개설된 휴게소 공간의 평면을 기반 하여 공간의 특성 및 전체 분석 공간 대비 특성별 면적의 점유비율을 분석한다. 넷째, 고객층의 중요 공간 인식도와 시대별 고속도로 휴게소 공간 프로그램 변화와의 관계성을 각 결과별 그래프를 통해 비교분석 한다. 다섯째,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휴게소 공간 프로그램의 변화와 이용객의 라이프 스타일과의 연관성을 증명하고, 미래 고속도로 휴게소 공간 프로그램 변화에 대한 방향을 제시한다. (결과) 라이프 스타일 분석을 위한 설문조사 결과 과거의 주 이용객 세대인 60~70대로 갈수록 생리적 욕구 해소를 위한 공간과 영업적 공간의 중요성을 크게 인식하는 반면 미래의 주 이용객 세대인20~30대로 갈수록 문화 체험적 공간과 이용자 서비스 공간의 중요성을 크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공간 프로그램 변화의 분석 결과 과거 식사 공간, 매점 등의 영업 공간, 생리적 욕구 해소를 위한 공간 위주에서 현재의 휴게소 공간은 휴식 체험 등 이용자 서비스 공간, 문화 체험욕구 해소를 위한 공간 등이 점차 확대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 시대별 고속도로 휴게소의 공간 프로그램의 변화 형태와 연령대별 고속도로 휴게소 중요 인식 공간의 비율 형태를 그래프 화하여 비교한 결과 두 그래프의 형태가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이는 고속도로 휴게소 공간 프로그램의 변화가 연령대별 대별 라이프 스타일의 변화와 밀접한 관련성을 가지고 있다. 다가올 미래의 자율주행 자동차 상용화는 고속도로 휴게소 이용객의 라이프 스타일의 선제적 예측으로 보다 다양하고 새로운 개념의 공간 프로그램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

      • KCI등재후보

        공공도서관 프로그램에 따른 공간활용실태에 관한 연구

        손여림,장아리,황연숙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2008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논문집 Vol.- No.2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set to assess the plans of program spaces and to suggest more appropriate use of those spaces. The methods used are field surveys on 6 samples of public libraries in Seoul and interviews with their administrators.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facilities, their program operations, and the use of spaces for current library programs are analyz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Most programs of the public libraries surveyed can be categorized into five types: 1) reading-related classes, 2) linguistic information sessions, 3) fine arts appreciation sessions, 4) health information sessions, and 5) practical education programs for everyday life. The quantity of both program room and its furniture for children is insufficient though programs for children outnumbered those for grown-ups. It is, therefore, necessary to secure and furniture more program rooms appropriately designed for actual users, especially children. In the majority of the program rooms, the seats are arranged forward-facing. However, some of the rooms need mutually-facing seat arrangements and furniture for the programs which require activities such as after-reading discussions or fine arts practical train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set to assess the plans of program spaces and to suggest more appropriate use of those spaces. The methods used are field surveys on 6 samples of public libraries in Seoul and interviews with their administrators.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facilities, their program operations, and the use of spaces for current library programs are analyz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Most programs of the public libraries surveyed can be categorized into five types: 1) reading-related classes, 2) linguistic information sessions, 3) fine arts appreciation sessions, 4) health information sessions, and 5) practical education programs for everyday life. The quantity of both program room and its furniture for children is insufficient though programs for children outnumbered those for grown-ups. It is, therefore, necessary to secure and furniture more program rooms appropriately designed for actual users, especially children. In the majority of the program rooms, the seats are arranged forward-facing. However, some of the rooms need mutually-facing seat arrangements and furniture for the programs which require activities such as after-reading discussions or fine arts practical training.

      • 우주방사선의 인체영향 연구 동향

        김미숙,정성철,이희령,김미영 한국항공우주학회 2015 한국항공우주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Vol.2015 No.4

        우주개발에 따라 우주왕복선, 우주정거장 체류, 민간 우주여행 등 다양한 형태로 유인 우주여행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우주여행은 고에너지 입자방사선과 양성자, 중성자 등 우주방사선 노출 위험을 피할 수 없다. 우주방사선의 생물학적 영향에 대한 규명과 우주방사선 노출에 대한 리스크 관리는 향후 우주개발에서 풀어야할 숙제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는 우주방사선 프로그램을 통해 우주방사선생물학을 연구해오고 있고, 미국 내의 대학 및 의료기관들과 다양한 연구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유럽연합과 일본도 우주방사선의 인체영향에 대한 연구를 추진하고 있으나, 한국은 아직 우주방사선의 인체영향에 대한 연구가 활성화되어 있지 않다. 우주인 배출, 나로호 발사 이후 국민적 관심과 함께 정부에서도 우주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바, 우주방사선의 인체영향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As humans have explored space, manned space travel such as space shuttle, International Space Station, private space tourism has been enabled. However, it is accompanied by exposure to the high energy charged particles of galactic cosmic rays and solar particle events, and secondary protons and neutrons. The effects of space radiation on the human body and the risk assessment are to be addressed in the future. NASA established Space Radiation Program Element and has conducted researches on space radiobiology in collaboration with universities and medical centers. EU and Japan have also conducted researches on the biological effects of space radiation. However, Korea has not established any space radiation research program yet. Along with growing public attention after the Korean Astronaut Program and successful launch of the Korea Space Launch Vehicle-1(the NARO), the Korean government is accelerating the space development which increases the necessity of space radiation research program.

      • 프로그램 재해석에 따른 공간구조의 분석 : 렘 쿨하스의 뉴욕 프라다 매장을 중심으로 Focused on the New York PRADA designed by Rem Koolhaas

        박진희,김영욱,장림종 대한건축학회 2003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계획계/구조계 Vol.23 No.1(계획계)

        Program always has been the element of the architecture, which advent since 18C. And it has been changed simultaneously with architecture. In modernism, Functionalism of architecture handled program with rational and functional side. New translation about program appeared repulse of functionalism, which form and configuration of building was decided with its use. Which building included singular program, now includes diverse program. Program itself aspects not just with function but also with social sense. As a result form and configuration of space changes. This paper considers program change accompanied with social change and find out the relation between new programs and space configuration. Give quantitative method a trial, space syntax, to analyze physical space configurations. New York PRADA, designed by Rem Koolhaas, coexists with two programs commerce and culture. Prospect the relation between contemporary society and new program and find out what kind of relation to confirm contemporary social change of space configuration. This could develop comparative study of space configuration in same used modernism buildings. Also space analysis based on scientific theory will be a foundation in new space analysis.

      • KCI등재

        사회복지관의 시설유형에 관한 조사 연구

        정아영(A Young Ju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2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8 No.2

        본 연구는 사회복지관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기 위한 연구의 기초조사 단계의 연구로서, 현재 사회복지관에서 시행중인 복지프로그램 내용과 보유시설, 복지공간 환경 현황 분석을 바탕으로 사회복지관을 유형화하고 그 특성을 살펴봄으로서, 복지프로그램과 복지공간 환경의 연계적 고찰을 통하여 사회복지관의 활성화 방안 제안을 위한 기초적 데이터를 마련하고자하였다. 연구 조사는 서울, 경기도, 6대 광역시 소재종합사회복지관 278개관 가운데 1,000㎡이상 규모의 시설로 현장조사를 허락해준 14개관을 대상으로 시설방문을 하였으며, 시설개요, 운영개요, 보유시설, 공간구성, 공간면적 등 복지 공간 환경현황 및 행사, 학습,공작, 레크레이션, 문화, 봉사 등의 실시중인 복지프로그램 내용 현황을 조사하였다. 조사된 복지 공간 환경내용과 복지프로그램 내용은 수량화3류 분석, 군집분석 등 다차원데이터분석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조사 분석결과, 1) 복지프로그램은 연간 정기적으로 실시하는 이벤트 행사의 비중이 높고, 아동과 고령자를 중심으로 하는 특정 세대에 국한된 내용이 주를 이루고 있다. 2) 복지 공간환경은 방과 후 교실, 어린이집, 노인주간보호시설의 보유 비율이 높으며, 공간구성은 가족복지, 지역사회보호, 지역사회조직, 교육문화, 자활, 관리운영 부분으로 구분되었다. 특히 교육문화공간은 집회, 정보, 실습, 스포츠, 아동청소년, 고령자관련공간으로 분류되며, 부문별 면적 비는 교육문화부문의 비율이 높게 조사되었다. 3) 사회복지관 시설 유형은 복지 프로그램내용, 시설범위, 시설이용 및 프로그램참가대상을 설명하는 축을 중심으로 고령자가 주도가 되어 다양한 복지 프로그램을 전개하는 제 1유형, 시설 이용자 간의 유대관계를 증진시키는 것에 중심을 두는 제 2유형, 복지시설의 남은 공간과 연계가 가능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시하고 있는 제 3유형, 지역사회를 위한 아동청소년 주도의 봉사활동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실시하고 있는 제 4유형으로 분류되었다. This is a basic stage study for a higher level study which will suggest a vitalization plan for social welfare centers. Facility type characteristics of social welfare centers had been studied based on a status survey on the welfare program contents being practiced now, facilities owned by social welfare centers and environment of welfare spaces. There are 278 social welfare centers in Seoul Metropolis, Gyeonggi-do Province and six major Metropolitan Cities. Among them, 14 social welfare centers have the facility areas bigger than 1,000㎡ and they allowed the status survey visit for this study. Welfare space environment, such as facilities description, operation description, facilities owned, space constitution and space area had been investigated together with the welfare program contents, such as the events, classes, handicraft classes, recreation, culture and volunteer services. The collected welfare space environment contents and welfare program contents had been analyzed by multi-dimensional data analysis methods such as the "quantification theory analysis type 3" and "cluster analysi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ing. 1) There are more periodical events held yearly than spot events. The event contents are focused on specific age groups such as children or the aged. 2) Regarding the welfare space environment, there are more classrooms, day care centers and "day care centers for the aged" than other welfare spaces. The welfare spaces can be classified into family welfare, local welfare recipient administration, local community organizing, education/culture, self-support and management/operation. Especially, the education/ culture spaces consist of spaces for gatherings, IT classes, practical trainings, sports, children/juveniles and the aged. Regarding the areas of occupation, the weight of education/culture spaces was high. 3) The facility types of social welfare centers had been classified into four types based on the contents of welfare programs, scope of facilities, facilities use and program participants. In Type 1, various welfare programs are led by the aged. Type 2 focuses on the promotion of personal relation among the facility users. Type 3 is the programs that had been developed to utilize the remaining spaces of welfare facilities. Type 4 is volunteer service programs for local communities led by children/juveniles.

      • KCI우수등재

        프로그램 재해석에 따른 공간구조의 분석 : 렘 쿨하스의 뉴욕 프라다 매장을 중심으로 Focused on New York PRADA designed by Rem Koolhaas

        박진희,김영욱,장림종 대한건축학회 2003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19 No.11

        A Program always has been the element of architecture, which has advented since 18C. And it has been changed simultaneously with the alteration of architecture. In modern architecture, the functionalism handles with a program as rational and functional side of architecture. When a social change progresses and gets complex, a program of architecture also gets complex. A new interpretation about program appeared in response to the functionalism, in which the form and the configuration of a building was decided with its use. One building denoted singular program, but now it includes diverse programs. The program itself shows not only with the function of a building but also with social sense. As a result, the form and the configuration of a space is closely related to a program. This paper considers alterations of program accompanied by social changes and finds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new programs and space configurations. And also, we are trying to use space syntax which is a quantitative method to analyze physical space configurations. New York PRADA, designed by Rem Koolhaas, coexists with two programs such as commerce and culture, and shows the relationship between a contemporary society and a new program. Searching for the relationship of space configuration and program, we find out the alteration of space configuration in the contemporary society. In the future, this could develop a comparative study of space configuration in modernism buildings which are used with the same purpose. Also space analysis based on the scientific theory will be a foundation in understanding various complex spaces.

      • 2013년 국내외 우주개발 투자 및 연구 정책 동향

        최남미(Choe, Nammi),임종빈(Im, Jongbin),정서영(Chung, Soyoung),박정호(Park, Jung Ho),김영규(Kim, Youngkyu),정승미(Chung, Seungmi) 한국항공우주연구원 2013 항공우주산업기술동향 Vol.11 No.1

        2008년 미국 발 경제위기에도 불구하고 세계 우주 예산은 계속 상승세를 보이며 2012년 729억 달러로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미국과 유럽의 우주 분야 투자는 감소하거나 성장 둔화세를 보이고 있으나 우주 분야에 새롭게 진입한 국가들의 증가와 러시아, 중국과 남미와 중동의 국가들이 공격적인 투자를 하면서 우주 예산의 증가를 이끌었다. 2012년에 세계 여러 국가들은 앞으로의 우주개발 계획과 정책을 발표하였다. 러시아는 2020년까지의 우주개발 계획과 2030년까지의 우주활동의 방향을 담은 정책을 각각 발표하며 우주분야에 대한 투자를 강조했다. 유럽 또한 ‘경쟁력 지속을 위한 새로운 우주산업 정책’을 발표했으며, 일본과 중국, 인도 등도 각각 앞으로의 로드맵과 개발 계획을 발표하여 앞으로의 활발한 우주 활동을 예상하게 했다. 우리나라는 2012년과 2013년 상반기에 걸쳐 다목적 실용위성 3호와 나로호 3차 발사를 성공함으로 우리나라의 우주개발에 중요한 이정표를 세웠다. 또한 새로 출범한 박근혜 정부에서 우주 분야를 주목하고 있다. 2012년 예산은 전년도에 비해 다소 감소하였으나 2013년 들어 한국형 발사체 개발 사업이 본격화 되면서 우주예산이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본 논문에서는 세계 각국의 우주개발 투자와 연구 개발 활동을 살펴보았으며, 우리나라와의 비교를 통해 우리나라 우주 정책의 현 주소를 가늠해보았다. The world governments" investments on space program have continuously increased and reached a historical peak of $72.9 billion in 2012 despite of the financial crisis of 2008 from the U. S. The investments of the U. S. and European countries reduced or maintained their investment on space program, however, the new starters of space program in Middle Asia and Latin America, Russia, and China show enormous growth of space budget. The Space Powers announced their plans of space programs and policies in 2012. Russia showed the will of space activities through the new plan of space development until 2020 and policies for space activities until 2030. Europe, China, Japan, and India also showed various future space programs through new plans and roadmaps of their space programs. Korea succeeded the launches of KOMPSAT-3 and KSLV-1 in 2012 and early 2013. These successes are the milestones of Koreans space history. And the new administration of President Geun-hye Park considers the important policy issues and started strong support on space programs. Korean space budget in 2013 is expected to reach the peak with KSLV-2 project. In this paper, the investment of world governmental space program and research activities were presented and compared with Korean space activities and policies. Through these, current status of Korean space policies was review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