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통공간 재현을 위한 광한루원의 수목정비방안 연구

        이원호 ( Won Ho Lee ),김동현 ( Dong Hyun Kim ),김재웅 ( Jae Ung Kim ),안혜인 ( Hye In Ahn ),김대열 ( Dae Yeol Kim ),조운연 ( Un Yeon Cho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2014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2 No.3

        본 연구는 전통공간의 수목정비방안 마련을 위해 광한루원을 사례로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전통공간의 수종 선정과 수목정비 동향에 대한 이론적 고찰이 선행되었으며, 광한루원의 현장조사를 통한 식재현황을 분석하고, 과거 문헌 및 기록 등에 나타나는 수종 및 식재경관을 토대로 광한루원의 수목정비방안을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통공간의 수종 선정과 수목정비에 관한 동향을 살펴본 결과, 전통공간 내에 식재된 외래수종에 대하여 맹목적인 지양은 한계가 있으며 전통공간의 수종 선정에 대한 논의는 오늘날까지 이어져오고 있는 시점에서 수목정비에 대한 외래수종의 무분별한 제거 및 향토식물의 맹목적 식재 등의 이분법적 정비방안 및 비검증된 사료의 맹신은 배제되어야 한다. 둘째, 광한루원 내에 식재된 수종을 조사한 결과 소나무, 느티나무, 은행나무, 배롱나무 등 전통공간에서 애용되었던 수종들이 주로 식재되어 있으나 각 공간의 성격을 고려할 때, 광한루 일대를 제외한 광한루원 경내의 수목 식재는 전통공간의 성격과는 무관한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문헌이나 문학작품 등에서 나타나는 광한루원의 수목식재 관련 기록을 살펴본 결과, 현재 광한루원 내에 식재된 수종 중 버드나무류, 배롱나무, 대나무(이대), 연꽃만이 나타나고 있어 고증을 통한 수목정비에는 무리가 따른다. 넷째, 광한루원의 각 권역별 수목정비방안을 모색한 결과, 광한루 권역은 역사적 시대성과 장소성을 지니고 있으며 오늘날 그 모습을 복원해나가고 있어 현재의 상태를 유지하는 방향으로 설정되어야 한다. 완월정 권역은 광한루의 건조물군과 유사한 형태로서 자칫 원형으로 오인될 수 있으므로 완충식재를 통한 전이 공간 조성 등 광한루 권역과는 다른 별도의 장소성 확보가 필요하다. 월매집 권역과 잔디광장 권역은 과거 성외 장시이자 대규모의 숲으로서 율림의 상징적 복원과 동시에 경내의 편의시설 및 관리시설의 집적을 통해 성외 장시의 모습을 재현하도록 하며, 완월정 동측 잔디광장은 완월정 권역과 연계하여 활용적 측면에서 현재와 같이 개방된 형태를 유지하는 방안을 제언하고자 한다. 광한루원 경계 권역은 고증의 측면과 현존요소의 진정성 여부를 살펴보았을 때 전통공간의 장소성과는 연관 짓기 어려운 장소로서 과거 문학작품에서 나타나는 문화경관을 반영하는 것 또한 하나의 정비방안으로 고려할 만하다 판단된다. This study aims to draw up measures to planting tree and maintain a landscape in traditional space. Preceding comprehensive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selected species of trees and tree maintenance. And analysis of present condition of planting in cases of Gwanghalluwon Garden, then draw a maintenance plans of planting through species of trees and landscape of planting recorded in literatur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nalysis of selected species of trees and tree maintenance that traditional space. A dispute about the selection species of trees in traditional space has been continued until today. Because unconditional reject of foreign trees are limited. In this context, should be sublated that hasty blind faith of records and dichotomous preparation plans such as removal of foreign trees and implicitly planting of native plants. Secondly, Planted trees in Gwanghalluwon garden was investigated and found to the species of trees used in traditional space such as Pine(Pinus densiflora S. et Z.), Sawleaf Zelkova(Zelkova serrata), Ginkgo(Ginkgo biloba), Crape Myrtle(Lagerstroemia indica L.). But, present planting irrelevant to traditional space, except Gwanghallu pavilion area from the spatiality. Thirdly, A look at the records or literature that maintenance of planting through historical research are limited. Because literature was recorded Salix spp., Crape Myrtle, Bambusoideae(Pseudosasa japonica), lotus only among planted trees in Gwanghalluwon garden. Fourth, Gwanghallu zone have nature of history and sense of place. And It was going to restore the appearance on historical. Consequently maintenance plan of planting of Gwanghallu zone should be maintain the current state. Wanwol pavillion zone can be recognized as the original form because they look similar to the Gwangallu zone``s building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ecure the sense of place different from Gwanghallu zone by buffer planting for composition of transition space. Wolmaejip zone and lawn zone was marketplace in outside of castle and large forest. Accordingly, this area should be symbolic restoration of the Yulrim(.林) and representation of the marketplace in outside of castle through aggregation of facilities and administrative facilities in Gwanghalluwon garden. East lawn of the Wanwol pavilion zone is should be maintained the current state that opened place in terms of using thought linked with the Wanwol pavilion zone. Boundary zone of the Gwanghalluwon garden is difficult to associate in terms of historical research and authenticity. Therefore, application of cultural landscape that appeared in literature is be worth.

      • KCI등재

        공개공지의 지속 가능한 활성화를 위한 운영체계 분석 - 뉴욕 공개공지 운영사례를 중심으로 -

        유재호 ( Yoo Jaeho ),김정빈 ( Kim Jungbi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3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8 No.8

        (연구배경 및 목적) 현재 서울의 공개공지는 새로운 설치보다는 기존의 공개공지를 관리하고 재정비하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공개공지의 유지관리와 운영에는 단순한 점검과 단속을 넘어 다양한 측면을 고려한 운영체계의 필요성에서 시작한 연구이다. 공개공지는 시민에게 쾌적한 도시 환경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법·제도적으로 지정되고 설치되어있는 공간이다. 본 연구는 뉴욕의 공개공지 운영체계의 분석과 운영체계에 따른 공개공지 운영사례를 분석하여 서울시 공개공지의 운영체계 분석과 차이점과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에 있다. 운영체계 분석 비교를 통해 서울시 공개공지의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유지관리와 운영을 통해 서울시 공개공지의 질적 수준의 향상과 조성 목적의 달성에 연구의 목적을 둔다. (연구방법) 서울과 뉴욕의 전문기관, 문헌 조사를 통해 운영 주체, 유지관리 방식, 소통 방식 등 공개공지 운영에 영향을 미치는 부분들을 조사하고 전체적인 운영체계를 분석하였다. 이후 각 도시의 공개공지의 운영체계에 따른 사례분석을 통해 운영체계가 공개공지에 미치는 결과를 파악하였다. (결과) 뉴욕의 공개공지 운영체계는 역할이 중복되지 않고 수평적인 구조로 각 운영 주체가 개별적으로 나뉘어 있으며, 감사 및 비영리 단체 참여를 통해 다양성과 효과적인 소통을 구현하고 있었다. 반면, 서울시의 운영체계는 중복된 역할을 하는 수직적인 구조로 국토교통부, 서울시, 구 단위 지자체가 협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으며, 감사 및 비영리 단체의 참여 부족과 각 구청의 통일성 부재로 인해 혼란이 발생하고 있었다. 또한, 서울시 구 단위 지자체의 공개공지와 관련한 시민 소통의 내용들이 정보공개에 제한이 있어 뉴욕과 서울의 대등한 비교가 불가능했다. (결론) 이러한 결과를 통해 뉴욕은 다양성과 효과적인 소통을 갖춘 운영체계로 평가되었으며, 반면에 서울시는 지자체별로 각기 다른 공개공지 운영체계를 통일시킬 필요성이 있었으며, 정보공개에 대한 범위를 확대하고 운영체계의 구조적인 개선과 표준화된 프로세스 도입이 필요하다는 결론이 도출되었다. (Background and Purpose) Currently, public notice areas in Seoul are shifting towards managing and revitalizing existing spaces rather than installing new ones. This research emphasizes the need for an operational system that goes beyond simple inspections and enforcement, and considers various aspects of the maintenance and operation of privately owned public spaces. Privately owned public spaces are designated and installed through legal and regulatory frameworks to provide citizens with a pleasant urban environment. This study analyzed the operational system of public notice areas in New York, and examined cases based on the operational system to determine differences and implications for Seoul's privately owned public spaces. This study aimed to enhance the qualitative basis and purpose for creating Seoul's privately owned public spaces through systematic and efficient maintenance and operation, as identified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of operational systems. (Method) A literature review identified specialized institutions in Seoul and New York, and areas that affect the operation of privately owned public spaces, such as operating entities, maintenance methods, and communication method; further, the overall operating system was analyzed. Subsequently, the results of the operating system of privately owned public spaces were identified through a case analysis according to the operating system of each city's privately owned public space. (Results) New York's privately owned public space operating system has no overlapping roles, and each operating entity is divided individually into a horizontal structure. Diversity and effective communication are implemented through participation in audits and non-profit organizations.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s operating system has a vertical structure that plays a duplicate role, making it difficult for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and district-level local governments to collaborate; confusion is caused by the lack of participation of auditors and non-profit organizations and the lack of unity of each district office. It was impossible to compare New York and Seoul equally because the content of civic communication related to the privately owned public space of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was limited to information disclosure. (Conclusion) These results led to the conclusion that New York is evaluated as an operating system with diversity and effective communication, while Seoul needs to unify its different privately owned public space operating systems for each local government, expand the scope of information disclosure, structurally improve the operating system, and introduce standardized processes.

      • KCI등재

        공개공지의 지속 가능한 활성화를 위한 운영체계 분석 - 뉴욕 공개공지 운영사례를 중심으로 -

        유재호,김정빈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3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8 No.8

        (연구배경 및 목적) 현재 서울의 공개공지는 새로운 설치보다는 기존의 공개공지를 관리하고 재정비하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공개공지의 유지관리와 운영에는 단순한 점검과 단속을 넘어 다양한 측면을 고려한 운영체계의 필요성에서 시작한 연구이다. 공개공지는 시민에게 쾌적한 도시 환경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법·제도적으로 지정되고 설치되어있는 공간이다. 본 연구는 뉴욕의 공개공지 운영체계의 분석과 운영체계에 따른 공개공지 운영사례를 분석하여 서울시 공개공지의 운영체계 분석과 차이점과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에 있다. 운영체계 분석 비교를 통해 서울시 공개공지의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유지관리와 운영을 통해 서울시 공개공지의 질적 수준의 향상과 조성 목적의 달성에 연구의 목적을 둔다. (연구방법) 서울과 뉴욕의 전문기관, 문헌 조사를 통해 운영 주체, 유지관리 방식, 소통 방식 등 공개공지 운영에 영향을 미치는 부분들을 조사하고 전체적인 운영체계를 분석하였다. 이후 각 도시의 공개공지의 운영체계에 따른 사례분석을 통해 운영체계가 공개공지에 미치는 결과를 파악하였다. (결과) 뉴욕의 공개공지 운영체계는 역할이 중복되지 않고 수평적인 구조로 각 운영 주체가 개별적으로 나뉘어 있으며, 감사 및 비영리 단체 참여를 통해 다양성과 효과적인 소통을 구현하고 있었다. 반면, 서울시의 운영체계는 중복된 역할을 하는 수직적인 구조로 국토교통부, 서울시, 구 단위 지자체가 협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으며, 감사 및 비영리 단체의 참여 부족과 각 구청의 통일성 부재로 인해 혼란이 발생하고 있었다. 또한, 서울시 구 단위 지자체의 공개공지와 관련한 시민 소통의 내용들이 정보공개에 제한이 있어 뉴욕과 서울의 대등한 비교가 불가능했다. (결론) 이러한 결과를 통해 뉴욕은 다양성과 효과적인 소통을 갖춘 운영체계로 평가되었으며, 반면에 서울시는 지자체별로 각기 다른 공개공지 운영체계를 통일시킬 필요성이 있었으며, 정보공개에 대한 범위를 확대하고 운영체계의 구조적인 개선과 표준화된 프로세스 도입이 필요하다는 결론이 도출되었다. (Background and Purpose) Currently, public notice areas in Seoul are shifting towards managing and revitalizing existing spaces rather than installing new ones. This research emphasizes the need for an operational system that goes beyond simple inspections and enforcement, and considers various aspects of the maintenance and operation of privately owned public spaces. Privately owned public spaces are designated and installed through legal and regulatory frameworks to provide citizens with a pleasant urban environment. This study analyzed the operational system of public notice areas in New York, and examined cases based on the operational system to determine differences and implications for Seoul's privately owned public spaces. This study aimed to enhance the qualitative basis and purpose for creating Seoul's privately owned public spaces through systematic and efficient maintenance and operation, as identified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of operational systems. (Method) A literature review identified specialized institutions in Seoul and New York, and areas that affect the operation of privately owned public spaces, such as operating entities, maintenance methods, and communication method; further, the overall operating system was analyzed. Subsequently, the results of the operating system of privately owned public spaces were identified through a case analysis according to the operating system of each city's privately owned public space. (Results) New York's privately owned public space operating system has no overlapping roles, and each operating entity is divided individually into a horizontal structure. Diversity and effective communication are implemented through participation in audits and non-profit organizations.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s operating system has a vertical structure that plays a duplicate role, making it difficult for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and district-level local governments to collaborate; confusion is caused by the lack of participation of auditors and non-profit organizations and the lack of unity of each district office. It was impossible to compare New York and Seoul equally because the content of civic communication related to the privately owned public space of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was limited to information disclosure. (Conclusion) These results led to the conclusion that New York is evaluated as an operating system with diversity and effective communication, while Seoul needs to unify its different privately owned public space operating systems for each local government, expand the scope of information disclosure, structurally improve the operating system, and introduce standardized processes.

      • KCI등재

        농촌중심지 면사무소의 입지 및 외부공간 공공성에 관한 특성 연구 - 함평군 3개 면사무소를 중심으로 -

        염대봉,노세희,박선욱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9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2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asp the perception of the local public interest of location and external space in three Myeon pulic offfic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 First, in the case of publicness, A type concentrated on the center is able to utilize the external space through centralized arrangement, to secure the scalability of utilization, to participate in residents in the process of arranging new public facilities, Satisfaction was relatively high due to the increase of meeting in the use process of local residents due to centralization of facilities. However, the type B, which is the isolated type around the periphery, and the type C, which is the outer type alone, were relatively low. Second, the factors related to the publicness related to the publicness of the outer space of the Myeon public office were found to be appropriate location considering the connection with surrounding facilities and space for the rest of the local residents. The type B, which is related to the outskirts and surrounding facilities, appeared to be a constitution capable of outdoor events such as local residents and residents' participation in planning of external spaces. Type C, which is an independent type, is analyzed by composition of various external spaces for residents' community activities and external space structure considering characteristics of adjacent streets. Third, in the case of the Myeon public office in the center of the rural area, it should be maintained at the existing center as much as possible, so as to accommodate various functions, securing multi-use space through sharing of external space through centralization, opening of shared space and conversion of external space to a walking center system It is necessary to secure the public interest. However, in the case of the outsourced single - faced non - standard Myeon public offices,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connection through the intensification of the additional facilities and to transform the town into a center for open. 본 연구는 함평군의 3개 면사무소를 대상으로 입지와 외부공간의 지역 공익성에 대한 인식도를 파악하고 향후 공간계획의 합리적인 조정과 정비방향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공성과 관련해 중심지 집중형인 A형은 집중배치를 통한 외부공간의 공유적 사용이 가능함으로 인한 이용의 확장성 확보, 신규 공공시설들의 배치과정에서의 주민 참여 및 기존시설과 연계한 공간정비, 공공시설의 집중화로 인한 지역주민의 이용과정에서 만남 증가 등에 의해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하지만 외곽 주변연계 단독형인 B형과 외곽 단독형 C형은 상대적으로 평가가 낮게 나타났다. 둘째, 면사무소 외부공간의 공공성에 대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공공성 관련 계획요소는 중심지 집중형인 A형은 주변시설과 연계성을 고려한 적절한 위치, 지역주민의 휴식을 위한 공간구성으로 나타났다. 외곽 주변시설 연계형인 B형은 지역주민 야외행사 등이 가능한 구성, 외부공간 계획 관련 주민 참여로 나타났다. 외곽 단독형인 C형은 주민 커뮤니티 활동을 위한 다양한 외부공간의 구성, 인접가로의 특징을 고려한 외부공간 구성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농촌지역 중심지의 면사무소의 경우는 최대한 기존 중심지에서 유지를 하여야 다양한 기능 수용을 위해 집중화를 통한 외부공간 공유를 통한 멀티 유즈공간의 확보, 공유공간의 개방성과 보행 중심체계로의 외부공간의 전환을 통해 공익성을 확보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현재 외곽 단독형의 면사무소들의 경우 추가 시설들의 집약화를 통한 연계성 강화와 원스톱 서비스화를 위한 타운 형성과 폐쇄형의 외부공간 구성이 아닌 개방형의 보행이용 중심의 공간으로 전환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 교육환경개선사업 공간단위 업무프로세스 개선방안

        배창준 ( Bae Chang-joon ),박상헌 ( Park Sang-hun ),조동현 ( Cho Dong-hyun ),구교진 ( Koo Kyo Jin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9 한국건축시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19 No.1

        As the physical functions of school buildings and the changes in the functions of educational facilities due to social change are increasing, the demand for fundamental and long-term measures for the maintenance of educational facilities is expanding. However, depending on the function of the facility, the maintenance work has been carried out only when it is directly related to the safety problem, or when the request of the school facility manager is requested, rather than supporting preventive maintenance.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the maintenance process of educational facilities and propose a method to manage the maintenance process of the educational facilities in the unit of space for establishing an efficient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 KCI등재

        도로 공간의 입체적 개발을 위한 일본 입체도로제도에 관한 분석

        백승관 한국산학기술학회 2020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1 No.11

        This study analyzed Japan's three-dimensional road system as part of a study on urban regeneration plans through the three-dimensional use of road space. The three-dimensional road system integrates the Road Act, Urban Planning Act, and the Building Standard Act. The advantage of the three-dimensional road system is that landowners can freely use the space above and below the road so that they can live and operate sustainably, and road managers have the advantage of reducing the land acquisition costs because they only acquire rights to the road. In terms of type, it is applied to a variety of integrated and separated structures in elevated roads, underpasses, free passages, parking lots, and monorails. In addition, in the case of development methods, the degree of freedom of development plans is improved by enabling integrated maintenance of roads and buildings. Management stability is improved by applying management and law-based authority according to the Road Act. In this way, the three-dimensional road system provides support to maximize the use of limited available land through the three-dimensional use of road space, and to develop sustainable and good urban areas in development areas. 본 연구는 도로 공간의 입체적 활용을 통한 도심재생 방안연구의 일환으로 일본의 입체도로제도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일본의 입체도로제도는 도로법, 도시계획법, 건축기준법의 3개의 법률을 일체적으로 운용해 왔으며, 특히 최근에는 도시계획법과 건축기준법이 개정되어 지구정비계획으로 중복이용구역이 설정된 모든 도로에서 입체도로제도의 적용이 가능해졌다. 입체도로제도 장점은 토지소유권자의 경우 도로상하공간의 이용이 자유로워지기 때문에 거주·영업이 지속가능하며, 도로관리자의 경우 도로로 이용하고자 하는 부분만 권리를 취득하기대문에 용지 취득비가 절감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지역개발 측면에서 대규모 도로정비에 있어서 지역단절 개선 및 양호한 시가지를 형성할 수 있다. 입체도로제도의 적용 유형에 있어서는 고가도로, 지하도로, 자유통로, 주차장, 모노레일 등에서 일체구조와 분리구조의 형태로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는데 도로를 일체적으로 정비하여 도로 상공에 건축물이 들어서 사업성 향상을 도모하고 있다. 또한 개발수법의 경우 도로와 건축물의 일체적 정비가 가능하여 개발계획의 자유도가 향상되며 도로법에 의한 관리 및 법률에 기초한 권한을 행사하여 관리상의 안정성 향상을 도모하고 있다. 이처럼 입체도로제도를 적용, 도로 공간의 입체적 활용을 통하여 제한된 가용부지를 최대한으로 활용하고 필요한 기능을 확보하여 개발지역의 지속가능성 및 양호한 시가지를 형성하고 있다.

      • KCI등재

        도서 국가 초원식 식재의 필요성과 국내지역 적응성 검증

        나해영 ( Na Hae-young ),남진보 ( Nam Jin-vo ),박지환 ( Park Ji-hwan ),강현미 ( Kang Hyun-mi ),정민주 ( Jung Min-ju ),이재근 ( Lee Jae-kuen ) 한국도서(섬)학회 2021 韓國島嶼硏究 Vol.33 No.1

        최근 많은 국가에서 공원 녹지에 적용하기 위한 다양한 식재기법을 소개하고 있다. 그러나, 공원 및 녹지 관리를 위한 예산 부족으로 인한 관리비용 부담으로 식재기법의 선택이 제한적으로 변하였다. 이에 식재기법 선정에 있어 저비용 식재기법의 도입을 고려 중이다. 예로, 긴길이 지피류 식재는 저비용 식재로 소개되었으나, 비사회적 행위와 낮은 선호도로 좋은 사례로 지속되지 못하였다. 반면, 화단식 식재는 높은 선호도를 보이나 높은 관리비용 문제로 현실적으로 긍정적으로 평가 받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도서 국가인 영국에서 최근 초원식 식재는 저비용 관리와 이용자의 선호도에 긍정적으로 평가되고 있다. 본 연구는 영국 초원식 식재를 국내 도입 필요성을 위해 영국 식재 패턴 변화 흐름의 이해를 선행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현재영국 셰필드에서 조성 중이며, 긍정적으로 평가를 받는 초원식 식재 종자에 대하여 온도에 따른 국내 지역 적응성 검증을 수행하였다. 2020년 9월부터 12월까지 6개 종자 (금영화(Eschscholzia californica), Dimorphotheca sinuata, 기생초(Coreopsis tinctoria), Chrysanthemum carinatum, Iberis umbellata, Nigella damascena)에 대한 발아실험을 패트리디쉬와 화분의 다른 파종 방법을 4개의 다른 온도로 설정된 챔버에서 실시하였다. 그 결과, 화분에서의 발아율이 패트리디쉬 보다 높았으며, 발아율에 안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첫발아 및 본격적인 발아도 화분에서 패트리디쉬보다 약 2주간 단축되었다. 이에 흩어뿌림(Seed Spreading) 방법이 효율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발아율이 종자마다 다소 상이하여, 발아율 안정을 위한 처리가 요구되었다. 이에 종자 프라이밍(Seed Priming) 방법을 통해 종자별 발아율이 일정하도록 조작할 필요성을 제시한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파종 방법과 온도에 따른 파종 시기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었다. 그러나, 본 연구의 한계점이 발견되었다. 종자가 외래종으로 최근 부정적 쟁점으로 떠오른 외래종 생태계 교란과 관련하는 검증에 대한 연구 부족이 지적된다. 이는 반드시 검증되어야 하며, 이와 관련된 연구는 향후 연구 과제가 될 것이다. There have been a lot of different planting types introduced over the world. However, many countries have recently been under threat because of budget cuts. For this reason some countries have been introducing low-cost based planting maintenance. In line with this, such low-maintenance planting like that of long grasses was shown to be a common solution. However, this planting often led to many negative impacts such as anti-social behavior, vandalism, and a low preference. However, positive issues were found in some cases for instance the UK. As the United Kingdom is an island nation, interesting types of meadow plantings have recently been positively evaluated for low-cost management and user preferences. This study preceded the understanding of the driver changes of the UK planting to contextualize the need for the introduction of the UK’s meadow planting to domestic procedures in Korea. To address this, local adaptability verification was carried out for meadow plant seeds which are currently under construction in Sheffield, England, and positively evaluated. From September to December 2020, four different plant species were tested on the germination of six seeds (Eschscholzia californica, Dimorphotheca sinuata, Coreopsis tinctoria, Chrysanthemum carinatum, Iberis umbellata, Nigella damascena) under two different settings (patri-dish and pots) where temperatures were also set differently. As a result, the germination rate in the pots was higher than that of the petri-dishes, even with more stability in the pots. The first and full-scale germination in the pots were also earlier by about two weeks than in the petri-dishes. Accordingly, the Seed Spreading method was proposed to be efficient. However, the germination rate varied between seeds in which such treatment to stabilize the germination rate was required. Therefore this study presents the need to manipulate seed-specific germination rates to be constant through the Seed Priming method. Based on this study, it was possible to provide fundamental data for the method of sowing and the timing of sowing depending on different conditions of temperature. However, this study will have to be magnified in that the seeds tested in this study could be introduced species and will have to tested negative with regards to their impact as invasive alien plants on the domestic ecosystem. This will help contribute to delivering positive impacts on developing the natural ecosystem and maintaining low cost/ labor as well as green space management.

      • KCI등재

        상악 유중절치 조기 상실시 개창 금속관을 이용한 심미적 수복

        이정진,최병재,김성오,이제호,최형준,손흥규 大韓小兒齒科學會 2006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3 No.4

        상악 유절치가 조기 상실되는 경우는 유년기 우식증이나 외상 등으로 인하여 종종 발생한다. 상악 유절치 조기 상실시 치아간의 접촉이 긴밀하거나 총생이 있는 유치열의 경우와 유견치 맹출 전에 유절치가 상실된 경우에는 공간의 상실이 일어날 수 있으나, 그 외에 치간 공간이 있는 유치열이나 유견치 맹출 후에 유절치가 상실된 경우에서는 공간의 상실이 거의 없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유절치 조기 상실시 수복의 목적은 공간 유지라기 보다는 심미성 회복과 발음문제 해결, 혀내밀기 등의 구강습관 방지에 있다고 하겠다. 본 증례에서는 4세 5개월 된 여아에서 ECC로 인하여 상악 우측 유중절치를 조기 발거한 후 심미적 문제 해결을 위하여 상악 우측 유중절치 부위를 납접한 개창 금속관으로 수복하여 양호한 결과를 얻었다. Premature loss of maxillary primary incisors often results from early childhood caries (ECC), trauma. While space maintenance in the posterior region is an important consideration when there is early loss of primary molars, the anterior segment appears to be stable, even with the early loss of several incisors, once the primary canines erupt. However, collapse of anterior arch integrity is evident in cases where incisor teeth are in a crowded dentition prior to extraction or lost before the eruption of the primary canines. So, when early loss of maxillary primary incisors, the aim of restoration is esthetics, speech problem, oral habit such as tongue thrusting than space maintenance. This paper reports that the esthetic problem due to premature loss of maxillary incisors can be successfully resolved by soldered open-faced stainless steel crown.

      • KCI등재

        유치의 융합과 연관된 하악 전치부의 과잉치 : 증례 보고

        윤수미(Soo-mi Yun),라지영(Ji-young Ra),이제우(Je-woo Lee) 대한치과의사협회 2020 대한치과의사협회지 Vol.58 No.7

        Odontogenic anomalies can occur as a result of conjoining defects. These include fusion, gemination and concrescence. The presence of fused teeth can lead to various clinical problems, including the aplasia of permanent successor, the supernumerary teeth and delayed eruption of permanent teeth. In general, the supernumerary teeth associated with fusion is mainly found in the maxillary anterior region. This report describes rare cases of supernumerary tooth associated with fused teeth of mandibular primary lateral incisor and canine. In the first case, fused teeth was extracted. The supernumerary teeth was erupted at canine space. The second case is still being observed. Extraction of fused teeth and observation of supernumerary teeth is planned.

      • KCI등재

        Histomorphometric Evaluation of Onlay Freeze-Dried Block Bone and Deproteinized Bovine Bone with Collagen in Rat

        정겨운,홍성진,홍지연,방은경 한국조직공학과 재생의학회 2016 조직공학과 재생의학 Vol.13 No.1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human freeze-dried bone block (FDBB) and deproteinized bovine bone with collagen (DBBC) on bone formation when applied as an onlay graft in rat calvariums. Thirty male Sprague-Dawley rats received collagen sponge (control), FDBB, or DBBC onlay grafts trimmed into 8-mm disks measuring 4-mm height. Each graft was secured onto the calvarium surface using horizontal mattress sutures. Rats in each group were killed at 2 (n=5) or 8 (n=5) weeks postoperatively for histologic and histomorphometric analysis. The total augmented area (mm2), new bone area (mm2), and bone density (%) were measured. The FDBB and DBBC groups showed significantly more new bone formation and bone density than the control group at 2 and 8 weeks. The increased new bone area was significantly greater in the FDBB group than in the DBBC group (p<0.05). The total augmented area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FDBB and DBBC groups at 2 and 8 weeks than in the control group (p<0.05), and at 8 weeks, the area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DBBC group compared to that in the FDBB group and the area at 2 weeks (p<0.05). Within the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we concluded that onlay FDBB and DBBC grafts caused new bone formation through an osteoconductive mechanism. In addition, compared to FDBB, DBBC had less capacity to form new bone and maintain the spa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