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문학가동맹 '詩部'의 시 대중화 운동과 시론

        박민규(Park Min-kyu) 한국시학회 2012 한국시학연구 Vol.- No.33

        이 논문은 해방기 남한의 대표적인 진보적 민족문학 단체였던 조선문학가동맹(문맹)의 조직적 시운동을 검토하고, 문맹의 시론들을 그 당시 시운동과의 상관성 하에 맥락화하면서 분석, 평가하였다. 특히 문맹의'시부위원회'가 전개한 활동의 궤적에 주목하였다. 시부(詩部)는 46년 2월에 문맹의 결성과 함께 조직되었다. 결성 초기에 시부는 '시의 대중화'를 주요 활동 방향으로 선언하지만, 추상적이고 감정적인 구호에 그쳐 있었다. 이후 시 강연과 시 낭독을 활발히 전개하면서 시 대중화 운동은 구체적인 것이 되어 갔다. 특히 각종 행사에서의 시 낭독은 대표적인 조직적 활동에 해당하는 것이었다. 초창기인 46년 상반기에 시부는 계몽화 운동의 소박한 취지에서 비정치적인 시까지도 다양하게 대중에게 보급하였다. 그러나 46년 중반에 미소공위가 휴회하면서 시 낭독은 대중에게 정치적 메시지를 전달하는 쪽으로 변화하게 된다. 특히 정치적 '분노'의 시와 시 낭독이 성행했는데, 김기림은 이를 신인의 육성이란 차원에서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46년 하반기에 문맹은 잇따른 조직 개편과 대중화 결정서들을 마련하면서 문학대중화 방침을 더욱 강화해간다. 10월 항쟁을 거치면서 새로운 활로의 모색을 위해 문화 투쟁을 통한 대중과의 적극적 결속으로 방향을 전환한 것이다. 시인들은 개편된 조직들의 전면에 배치된다. 특히 대중에 대한 관점이 기존의 계몽적 시혜성에서 정치적 연대성으로 변모하게 되자, 문맹의 서울지부 시부 위원장인 김광균이 이를 강하게 비판한다. 당시 추진되고 있던 문화공작자 혁신안이 결정적 원인이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47년에 접어들어 시부의 시 낭독 행사는 대형화되고 종합예술화되는 특징을 보인다. 시 자체의 낭독에 그쳤던 46년과 달라진 것이라 할 수 있다. 이제 시 낭독은 대형 예술제와 문화공작대 등에서 음악, 연극, 무용 등과 협연된다. 이는 시 낭독의 종합예술화를 제안했던 조허림의 시론이 현실화됐음을 뜻한다. 그러나 일차적으로는 대중의 정치적 결집을 최대한 끌어내기 위한 데 그 목적이 있었다. 훗날 김기림은 시 낭독의 공과를 리얼리즘의 관점에서 검토하면서 앞으로 시 낭독이 대중의 전형을 파악해야 하며, 시사적 내용에 치우치지 말아야 한다고 주문하였다. 하지만 문맹의 활동이 봉쇄된 상태에서 그의 주문은 현실화되기 어려운 과제로 남게 되었다. This paper examines the organized movement for poetry by Korean Writer's Alliance(Chosŏn-Munhakga-Dongmaeng), the representative organization of national literature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and analyzes and evaluates the poetics of it, contextualizing under the relation with poetry movement of the time. Especially, it focuses on the trajectory of activities developed by the Committee of Poetry Division in Korean Writer's Alliance. Poetry Division was organized with the establishment of Korean Writer's Alliance in February 1946. At the early period, it announces 'Popularization of Poetry' as an important direction of its activities, however, it ends in an abstract and emotional slogan. Movement for popularizing poetry becomes more detailed with the active development of poetry lecture and reciting. Reciting poems in various events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organized activities. In the first half of 1946, Poetry Division introduces various types of poems including nonpolitical ones with the simple purpose of enlightenment movement. However, in the mid-1946, the Joint Soviet-American Commission declared a recess and poem reciting changed into delivering political message to the public. Especially, reciting poems expressing political 'rage' is prevailed and Kim, Gi-rim positively assessed it at the level of fostering new figures. In the second half of 1946, Korean Writer's Alliance intensifies the policy of popularizing literature, carrying out a successive reshuffle and preparing Written Decision for Popularization. It changes the direction toward active unity with the public through culture struggle to seek a way out going through People's Uprising in October 1946. Poets are dispatched in the front line of reshuffled organization. When the viewpoint toward the public changes from the existing enlightening dispensation to political solidarity, Kim, Kwang-gyun, chairman of Poetry Division of Korean Writer's Alliance in Seoul strongly criticizes this. Innovation plan of culture craftsman seems to be the decisive reason for his criticism. Entering into 1947, the scale of poem reciting event of Poetry Division becomes larger and bigger and composite art. It is different from the event of 1946, which ends in reciting poem. From 1947, poem reciting accompanies with music, play, dance and so on at large scale art festival and by the group of culture craftsman. This means that the poetics of Cho, Hur-rim who suggested make poem reciting as a composite art has realized. However, the primary purpose of it was to draw political concentration of the public to the maximum. Later, Kim, Ki-rim said that poem reciting should grasp the stereotype of the public and not be biased to contents of current events, examining merits and demerits of poem reciting from the perspective of realism. However, his suggestion remains as a difficult task to be realized when the activity of Korean Writer's Alliance is blocked.

      • KCI등재후보

        문화교육적 관점에서 실천한 중학교 시낭송 교육

        박안수(Park, An-su)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012 우리말교육현장연구 Vol.6 No.2

        이 글은 문화교육적 관점에서 실천한 중학교 시낭송 교육에 관한 연구이다. 문화교육이란 독자를 ‘수동적인 소비자’가 아니라 ‘생산자로서의 소비자[생비자(生費者), (prosumer)]’로 그 위상을 재정립하여 바라보자는 입장이며, 텍스트의 관점에서도 순수 서정시나 모더니즘 계열의 시보다는 민중이나 대중에게 쉽게 향유되는 시들도 교육과 연구의 대상으로 삼자는 입장이다. 또한 이러한 ‘시의 생산, 분배, 소비’의 측면을 중요한 ‘실천으로서의 문화, 문학’ 현상으로 인정하자는 입장을 말한다. 이와 같은 문화교육의 관점은 ‘민족지학의 관점’의 연구와 깊은 관련이 있다. 이 관점은 20세기 산업사회가 발달하면서 생긴 산물들인 드라마와 영화, 사진 등의 장르에 관심을 갖는 연구이다. 또한 계급적, 사회적 관점으로는 노동자나 여성, 이민자와 같은 영국 민중들이 향유하는 문화에 관심을 가지고, 이러한 문화 텍스트를 분석하고, 이를 소비하는 시청자나 독자들에게 관심을 가지는 연구 방식이다. 이들 모두를 ‘확장된 문화’라는 개념으로 수용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이 연구는 1장에서는 문화교육적 관점에서 시낭송 교육의 현실에 관해 문제 제기를 하였고, 2장에서는 문화교육적 관점에서 본 작가‧텍스트‧독자를 살펴보고, 3장에서는 문화교육적 관점을 잘 반영할 수 있는, ‘반응활동의 객관화를 위한 의사소통 모형’을 중심으로 시낭송 교육 방안 설계와 시낭송 교육의 실제를 보였고, 4장에서는 문화교육적 관점에서 실천한 시낭송 교육의 의의와 한계, 제언을 정리하였다. 이 연구의 의의를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시 낭송자와 청중들은 시 텍스트를 활용한 낭송의 개념과 범주를 폭넓게 허용함을 알게 된다. 둘째, 다양한 시낭송 방식의 체험은 반응비평 중심의 시 감상 교육을 적절하게 수행하는 학습 과정임을 알게 된다. 셋째, 학생들은 시를 주체적으로 감상하고 즐기며, 적절하게 반응하고 소통할 있는 능력을 경험한다. 위와 같은 시낭송 교육은 부정적 영향과 한계에도 유의해야 한다. 감상의 과정에서 주객전도의 딜레마가 작용하여 학생들이 스스로 생각하고 즐길 수 있는 재미를 빼앗아 버릴 수 있고, 부정확한 선입견을 가지고 많은 보조 자료를 동원하여 배경 음향과 화면으로 채우는 것에 골몰할 수 있다. This research deals with poem recitation education in middle school conducted from the cultural education standpoint. In cultural education, the status of reader is upgraded to be viewed as 'producer and consumer (prosumer)' instead of just a 'passive consumer'. Such perspective of cultural education has a lot to do with 'ethnographic perspective' research. This perspective stemmed from paying attention to genre such as dramas, movies, and photos ― products of the developed industrial society in the 20th century. The research analyzes such cultural texts and pays attention to the consumers, the viewers or readers, who are all accepted in the concept of 'extended culture'. This research raised issues associated with poem recitation education from the cultural education standpoint in the chapter 1. In Chapter 2, writers and texts are examined from the cultural education perspective. In Chapter 3, planning of poem recitation education and its reality was revealed based on the communication model for objectification of reaction activities, reflecting the perspectives of cultural education. In Chapter 4, the significance, limitations, and suggestions on poem recitation education from the cultural education standpoint were presented. The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Firstly, the poem reciters and audience will be introduced to the concepts and categories of poetry recitation. Secondly, they will learn that reactive criticism is the foundation for poetry appreciation and so fuels a variety of poetry recitation experiences. Thusly, through the mentioned learning points, students will be able to independently communication abilities as well as an appreciation for poetry. Such poem recitation education had to be mindful of negative effects and limitations as well. In the process of appreciation, it might produce side effects of taking away the freedom and enjoyment of students, contrary to its goal. Second, the education might negatively focus on the background music and images with lots of supplementary materials and inaccurate approach.

      • KCI등재

        영어 수업을 위한 영화 속 영시의 활용 방안

        윤재웅(Yoon Jae Woong) 영상영어교육학회 2007 영상영어교육 (STEM journal) Vol.8 No.2

        This study aims at exploring the feasibility of using poems in movies for ELT classroom. Poetry can offer many advantages in the foreign language classroom. It is primarily a source of enjoyment in use of language for learners. Poems also have the advantage of shortness of length-many poems are generally considered to be well-suited to a single classroom lesson. Poetry moreover enables learners to experience the power of language beyond that used in standard written sentences. Nevertheless, the difficulties of comprehension caused by the complexity of the poetic language turn the teaching of poems into a boring process of explanation. However, if learners can be given help with the resources for understanding poems, they will be able to attain the deeper understanding and full enjoyment of a poem that comes from a sense of shared intimacy with the poet's created world. This kind of help can best be offered through scenes where poems are recited. Learners often feel difficulty gaining the meaning because they lack understanding of the context of the poems. So if, before learning poems, learners become familiar with their context or themes through watching them performed, their understanding should be increased. In this case, the language learning process is promoted by involving the learners' visual and emotional faculties. In other words, watching the scene from a movie before learning can be a substantial warm-up to arouse the learners' curiosity or their schemata.

      • 시낭송 표현 형식의 유형별 특징 분석을 통한 시낭송교육 방안 탐구

        박안수 국어교과교육학회 2012 국어교과교육연구 Vol.21 No.-

        이 글은 시낭송교육자와 학생들이 시낭송 교육에 들어가기 전에 유의해야 할 시낭송의 목적과 표현 형식에 대한 일정한 기준과 원리를 분석하고, 시낭송교육에 적용할 때 생길 효과를 예측해 보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Ⅰ장에서는 시낭송교육의 현실을 진단하였고, Ⅱ장에서는 시낭송의 여려 음원자료 분석을 바탕으로 시낭송 표현의 목적을 살펴보고, 시낭송 형식의 원리와 특징을 주로 분석하였다. Ⅲ장에서는 시낭송 형식의 원리와 특징을 적용하여 시낭송교육에 적용할 때에 생길 문학교육적 의의와 한계, 과제 등을 정리하였다. Ⅱ장에서 시낭송의 실제 음원과 동영상 자료를 통해 시낭송의 상황을 살펴보면, 시낭송은 표현의 목적에 따라 원작(原作)의 갈래 특성을 고수하려는가, 원작의 갈래 특성을 변형하여 전달하려는가로 나눌 수 있었다. 원작의 갈래 특성을 고수하는 시낭송의 경우, 시의 갈래적 특성인 운율성, 회화성, 주제성을 지키려고 노력한다. 낭송의 양상은 이 세 가지 요소를 종합적으로 구현하는 낭송, 그 가운데 일부 특성을 강조하여 구현하려 양상 등으로 나눌 수 있었다. 원작의 갈래 특성을 변형하여 전달하려는 경우로는 시의 갈래를 ‘음악’, ‘연극’으로 변형하여 표현하려는 양상을 보인다. 이에 따른 세부 경향으로는 ‘원작 시에 작곡만 한 경향, 원작 시를 약간 변형 개사하여 작곡한 경향, 원작 시에 많은 변형 개사 후 작곡한 경향’으로 나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시낭송 표현 형식의 유형별 특징을 정리하고, 이를 시낭송 교육에 적용할 때 생길 문학교육적 의의를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시 텍스트를 낭송하면서도 다양한 감상과 향유의 방식이 있다는 사실을 청중들이 느낄 수 있고 상호 용인할 수 있게 할 것이다. 둘째, 다양한 시낭송 방식의 체험은 반응비평 중심의 시 감상교육을 적절하게 수행하는 학습과정이 될 것임을 추론할 수 있다. 셋째, 학생들에게 시를 주체적으로 감상하고 즐기며 적절하게 반응하고 소통할 있는 능력을 길러주는 소중한 경험을 마련해 줄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은 시낭송 교육은 부정적 영향과 한계에도 유의해야 한다. 감상의 과정에서 주객전도의 딜레마가 작용하여 학생들이 스스로 생각하고 즐길 수 있는 재미를 빼앗아 버릴 수 있다. 둘째, 부정확한 선입견을 가지고 많은 보조자료를 동원하여 배경음향과 화면으로 채울 것에 골몰할 수 있다. 또한 시낭송교육 과정에서 교사와 학생이 유의해야 할 사항은 낭송을 하는 목적을 분명히 하고, 청중의 수준에 따라 텍스트와 낭독 기법의 변화를 주는 열린 태도를 가져야 한다는 점이다. 이 연구에서 원고의 길이 때문에 다루지 못한 수신자(청중 변인), 표현 내용(낭송 텍스트 변인), 낭송 상황(낭송 시간․장소 변인)에 관한 논의는 후속 연구에서 보완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이와 같은 연구의 성과를 실제 검증할 수 있는 수업을 설계하고, 그 수업을 체계적으로 진행할 수업지도안을 구안하고 적용할 작업이 남아있다. 특히 시낭송이 개인적인 반응이나 감수라는 주관적 감상에 머무르지 않고 해석공동체에서 용인될 수 있는 내용해석과 시낭송 형식으로 소통될 수 있도록 객관화하여 지도해야 하는 과제가 남아있다. 이와 같은 과제는 문화교육적 관점과 민족지학 관점에서 질적연구 방식을 통해 접근하고자 하며, ‘반응활동의 객관화를 위한 의사소통 모형’을 중심으로 시낭송교육 방안을 설계하고 시낭송교육의 실제를 통해 그 효과를정리하는 작업으로 보완하고자 한다. This article aims to analyze certain standards and principles pertaining to the purpose and expression mode of poetry recitation - two things that both students and educators should keep in mind before beginning the educational process. This article predicts that following the proposed ideas set forth will yield desired result. Firstly, in Chapter 1, I discussed the reality of poetry recitation education. Secondly, in Chapter 2, I presented the purpose of poetry recitation upon the analysis of various poem recitation sources followed by an analysis of the principles and characteristics of poetry recitation. In the last chapter, I discussed poetry recitation’s tasks and significance to literature education as well as its limitations when its principles and characteristics are applied to poetry recitation education. In Chapter 2, I divide poetry recitation into two types according to its expressive purpose by examining real sound and video resources. One sticks to characteristics of the original type while the other modifies characteristics of the original type. The first type of poetry recitation tries to keep close to the properties of rhythm, image and theatrical play which are the original characteristic of poetry. The aspect of recitation is divided into two: overall realization of poetry by balancing the three properties and partial realization poetry by emphasizing one property among the three. The second type of poetry recitation tries to transfer poetry into other genres for example music or theater. Specifically I can categorize this tendency into three sections: 1) original poem + composition, 2) little modification of lyrics + composition, and 3) more lyrical change + composition.

      • KCI등재

        고소설에 있어 ‘流通’과 ‘詩運用’의 상관성에 관한 검토:<구운몽>을 중심으로

        신은경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0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47 No.-

        It is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premodern novels that most of them include some poems within them. Upon briefly examining the whole of the novels, we readily come to find that the use of the poems becomes different depending on how the novels are circulated. Working with Guunmong, this article intends to explore the correlative aspect of the use of poems and various ways of circulation such as written channel and oral channel, version in Korean and version in Chinese, handcopied one and commercial one, etc. As for the poems concerned, this article includes titles of 16 chapters, which are of the form of couplets as well as general poems inserted into premodern narratives. In case of the titles of 16 chapters, Chinese version is more manifest than Korean version in its poetic effect; in case of the inserted poems, the number of the poems is much less in commercially-printed edition than handcopied version. With no corroborative evidence of the oral performance of Guunmong, I would consider several points as clues for solving the problem: the frequency of the publication of commercially-printed edition, theme and content, oral cultural tradition which most of the premodern narratives have preserved, the phenomenon of storybook reciters' switching their occupation to the writers of commercially-printed storybooks.

      • KCI등재

        漢詩吟誦의 時調吟誦에의 適用 可能性 試探

        姜求律(Kang Koo-Youl) 한국시조학회 2010 시조학논총 Vol.33 No.-

        모든 생명체는 태어나서 자라고 노쇠하여 결국 사멸하듯이 문학의 장르도 예외는 아닌 듯하다. 우리 시조문학도 고려말엽에 발생하여 조선시대에 전성기를 구가하다가 지금에 와서는 쇠퇴기를 보내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시조문학에만 국한된 현상은 아니다. 다만 국민문학이요 민족문학이라고 할 수 있는 시조가 현재 쇠퇴기에 있다는 사실만은 부인하기 어렵다. 이제 시조의 부흥까지는 아니라하더라도 많은 국민들이 시조에 관심을 가지고 시조를 향유할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해 보아야 할 것이다. 이러한 고민의 일환으로 융복합의 시대에 걸맞게 이질적인 장르간의 교섭을 생각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다시 말하면 이질적이기는 하지만 어느 정도 친연성도 가지고 있는 한시와 시조에 있어서 한시의 음송방법을 우리 시조의 음송에 적용할 가능성을 검토해본 결과 그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이제 이 가능성을 바탕으로 하여 가장 먼저 어린이들에게 시조음송법을 가르쳐서 어린이들이 시조에 관심을 가지도록 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런 방법에서 일정한 성과를 거둔다면 성인을 포함하여 사회전반으로까지 이런 분위기를 확산시켜서 국민문학과 민족문학인 시조에 대한 우리의 자존심을 회복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노력에 조그만 기여를 하고자 시도되었다. As all living things are born, grow, get senile and finally die, literary genre seems to be no exception. We can say that our Sijo-literature also was born at the end of Korea Dynasty, flourished in Joseon Dynasty and now is at its ebb tide. This phenomenon is not limited only in Sijo-literature as well. It is hard to deny that Sijo-literature, which is our national literature and nation literature, is currently at its ebb tide. Now we need to seriously think about the way that many people can get interested in Sijo-literature and enjoy it, not even to say Sijo-literature's revival. For this effort we may consider compromise and interaction between heterogeneous genre, which can be well-matched in the age of fusion and composition. In other words, although Hansi and Sijo are heterogeneous genre but have a close affinity each other, we confirmed the possibility of applying the recitation method of Chinese poem to our Sijo-literature recitation. Now it is necessary to have children get interested in Sijo-literature by teaching children Sijo-Recitation method developed from this possibility. If this results to the success, we can expand our effort to the various spectrum of society and may recover our self-respect about Sijo, which is our national literature and nation literature. This research was attempted to make a small contribution in this effort.

      • KCI등재

        인문 소양 강화 교육으로서 문학교육의 모색:D중학교 ‘한국의 암송 명시’ 프로그램에 주목하여

        이원영(Lee Won-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1

        목적 본고는 현재 과도기적 모습을 보이는 학교 문학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으로 인문 소양 강화 교육을 제안하고, 실제 사례 분석을 통해 인문 소양 강화 교육으로서 문학교육 실천을 위한 시사를 제공하려는 시도다. 방법 먼저 교육 패러다임의 변화를 중심으로 학교 문학교육에 나타나고 있는 과도기 현상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과도기적 현상의 비판적 검토 속에 앞으로의 학교 문학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으로 ‘인문 소양 강화 교육’을 제안하고 그 타당성을 논구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교육의 실천 사례인 D중학교 ‘한국의 명시 암송’ 교육 프로그램을 분석하고, 인문 소양 강화를 위한 문학교육의 설계를 위한 시사를 도출하였다. 결과 학교 문학교육에서 자유 교양 교육과 기능 교육의 흔적이 혼재된 과도기적 모습이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자유 교양 교육의 이념을 재인식하여 문학 텍스트를 기반으로 사유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는 인문 소양 강화 교육이 앞으로의 학교 문학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성으로 타당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D중학교 ‘한국의 명시 암송’ 교육 프로그램의 사례를 통해 인문 소양 강화를 위한 문학교육이 현장에서 실제로 실현이 가능하다는 점과, 인문 소양 강화를 위한 문학교육의 실천을 위한 다양한 시사를 확인하였다. 결론 인문 소양 교육으로서 문학교육은 앞으로의 학교 문학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성으로서의 적절성과 타당성, 실현 가능성을 갖추고 있다. Objectives This study is an attempt to suggest an education for intensifying humanities literacy in the direction that school literature education, which is currently in a transitional state, should move forward, and to provide suggestions for the practice of literature education as intensifying humanities through actual case analysis. Methods First, the transitional chaos in the current school literature education was identified, focusing on the change in the educational paradigm. Next, by critically examining this phenomenon, the “intensifying humanities literacy education” was proposed as the direction for the future school literature education and its validity was discussed. Finally, the D middle school s ‘Recitation of Korean Great poem’ education program, a practical case of literary education for intensifying humanities literacy, was analyzed, and implications for the design of literary education for intensifying humanities literacy were derived.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a transitional state in which the traces of free liberal arts education and functional education were mixed in school literature education appeared.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intensifying humanities literacy education, which aims to improve the quality of thinking based on literary texts by re-recognizing the philosophy of liberal arts education, is valid as the direction for the future school literature education. In addition, through the case of the D Middle School s “Recitation of Korean Great poem” education program, it was confirmed that literary education for intensifying humanities literacy can be realized in practice and various implications for the practice of literary education for intensifying humanities literacy. Conclusions Literature education as a humanities literacy education has appropriateness, validity, and realization potential as a direction for school literature education in the future.

      • KCI우수등재

        박용철의 인쇄리터러쉬를 향한 捨身的 課業과 ‘외여지기’의 조선말 시의 이념

        조영복 국어국문학회 2019 국어국문학 Vol.0 No.188

        박용철의 ‘외여지기로서의 조선말 시’의 핵심은 조선말 구어체 시의 문자화(‘쓰기’)와 그것의 미학적 양식화(‘쓰기의 쓰기화’)에 있고 이는 근대시사가 ‘노래(성)’의 탈각이 아니라 그것의 강력한 충동을 지속하면서 전개되었음을 증거한다. 박용철은 시(가)양식에 대한 분명한 자각을 기반으로 근대적 리터러쉬가 뉴미디어인 인쇄매체로 실현된다는 잡지, 시집의 著作人이자 발행인으로서의 인식을 긴밀하게 견지한다. 박용철이 관심을 기울였던 조선말 시의 음악적 체현, 어절과 시행의 맞춤규칙 준수, 외국어 표기법 고민, 4행시체 양식의 엄격한 미학성 추구 등은 조선말 쓰기 및 조선말 구어체 시양식의 모색과정에 연결되며 이는 그가 펴낸 잡지와 시집의 판면, 표식에 투영되어 있다. 더불어 박용철이 관심을 가졌던 ‘조선말 구어체 시의 양식화’ 문제는 최남선으로부터 김안서를 거쳐 1930년대 시인들에까지 관통하는 것으로, 이는 근대시사의 계보를 설정하는 관점에 연동된다. 본고의 관점은 ‘사조론’, ‘문단론’, ‘경향론’, ‘비교문학론’ 등 기존의 관점보다 ‘박용철’을 이해하는 데 있어 근본적인 문제에 접근한다. This paper notes that the core of Park Yongcheol(박용철)'s 'Korean poetry as something recited' is in 'the writing' of the Korean language(조선말) and its aesthetic stylization ('literation of writing'). Park Yong-cheol's life as a publisher of magazine and poetry comes from a clear awareness that the modern literal rush is realized as, a new media, print medium. It is composed of the musical embodiment of Korean poetry, the spelling method of Korean colloquial poetry, and the pursuit of rigorous aesthetics of the four-rowed poem style, and they are the process of searching for colloquial forms in the Korean poetry which are also projected on the plates and the printing faces of his published magazines and poetry. In addition, the issue of 'colloquial formalization' in Modern Korean poetry, which Park Yong-cheol was interested in, is penetrated from Choi Namsun(최남선) through Kim Anseo(김안서) to the poets of the 1930s, and this leads to the viewpoint of establishing a lineage of modern Korean poetry. In this point of view, it is more fundamental than the existing one to divide and interpret poetry by 'the Literary arts circles theory', 'the literary group theory', or 'the ideological trends theory' etc.

      • KCI등재

        칙찬한시집의 하양( 河陽)시 연구 - 『능운집(凌雲集 )』 과 『문화수려집( 文華秀麗集)』 의 비교를 중심으로-

        김임숙(Kim, Im-Sook) 일본어문학회 2017 일본어문학 Vol.79 No.-

        In this article, we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Kayou” poems included in Ryōunshū and Bunkashūreishū, both of which were compiled during the time of Emperor Saga. “Kayou” originally means Mengzhou in the Henan province of China, but during the era of Kōnin in Japan, it was used as an alternative name of Yamasaki, located at the north part of the Yodo river. Kayou (or Yamasaki) in Japan was located close to Katano and Minase, where the Emperor used to enjoy hunting, and it also served as a place where Emperor Saga stayed after the emperor enjoyed hunting. According to Nihon Kōki, Emperor Sage, together with his bureaucrats, visited Kayou for several purposes (including hunting) every February, and they enjoyed reciting Kayou-themed poems in the palace of Kayou. This has been called the “Kayou” poem, which is composed in form of “Kunshin Shouwa” (the style in which the emperor and his bureaucrats recite poems together). Such Kayou poems are found in Ryōunshū (8 poems) and in Bunkashūreishū (18 poems). In the former, most poems describe the nature of Kayou, conveying the amicable atmosphere of the emperor and his bureaucrats, while in the latter, most poems describe quiet space apart from the contaminated outer world. In this way, although Ryōunshū and Bunkashūreishū were both compiled at the behest of the emperor, poems included therein exhibit distinct characteristics.

      • KCI등재

        유우석(劉禹錫)의 회고시(懷古詩)와 그 영향고(影響考) ― 김릉회고시류(金陵懷古詩類)를 중심으로

        박인성 ( Park In-sung ) 중국어문연구회 2016 中國語文論叢 Vol.0 No.77

        As mentioned above, Liu Yuxi`s reminiscent poems of Jinling reminiscent poems series and its influence on the reminiscent poems of Du Mu·Li Shangyin of late Tang Dynasty and Wang Anshi·Su Shi of North Song Dynasty. This study is focus our attention on seeking for the same and similar description between Liu Yuxi and other poets. The basic atmosphere of reminiscent poems is emotional recitation with sorrow. It is different from reciting history poems which attaches importance to argument and satire. Liu Yuxi`s reminiscent poems of Jinling reminiscent poems series maintains emotional recitation with sorrow, he also expressed the rise and fall of human affairs depend on human being and matters. According to the text, the poets of the next generation borrowed and claimed Liu Yuxi`s reminiscent poems of Jinling reminiscent poems series. We can summarize two aspects. First, deep pathos about perished dynasty and emotional recitation about mutable time generally quoted verses of <西塞山懷 古>·<金陵五題·石頭城>·<金陵五題·烏衣巷>. Second, during reciting emotional recitation verses, the messages which should be delivered was through `萬戶千門成野草, 只緣一曲後庭花.`(<金陵五題·臺城>) and `興廢由人事, 山川 空地形.`(<金陵懷古>). This appearance is that the next generation apply well Liu Yuxi`s distingshing character and merit which Liu Yuxi use the philosophical principles fre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