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From Revolt to Order; The Career of Walter Lippmann`s Progressivism, 1913-1914

        김일년 ( Ilnyun Kim ) 서울대학교 미국학연구소 2013 미국학 Vol.36 No.1

        This article is an attempt to reinterpret Lippmann`s progressive thought. By comparing his early major work Drift and Mastery (1914) with his debut book A Preface to Politics (1913), this article argues that his intellectual journey can be divided into two closely related but yet distinctive phases. Whereas Lippmann believed in 1913 that the search for a new order should be waited until liberation from the old order was fully accomplished, in 1914 he clearly revealed the belief that the old order was already demised. In this regard, this article delineates the career of Lippmann`s progressivism as the journey from a revolt against an old order to a search for a new order. By tracing his intellectual trajectory of the same era, it also maintains that Lippmann`s main object was to resolve a series of tensions between desire for liberation and for order, between liberalism and collectivism, and between the ideal of self-government and the human epistemological limitations. Lippmann, employing the concept of hypothesis, consistently struggled with those tensions. By giving a more complex picture on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A Preface to Politics and Drift and Mastery, and situating those books within its intellectual lineage, this article demonstrates both the protean and coherent nature of Lippmann`s progressivism.

      • KCI등재

        누가 어떤 정부정책을 선호하는가? 보수와 진보의 이념가치인가?

        황윤원 ( Yun-Won Hwang ),신중호 ( Joongho Shin ),박희봉 ( Hee-Bong Park ) 한국정책학회 2012 韓國政策學會報 Vol.21 No.1

        본 연구는 한국사회에서 개인의 가치관을 보수와 진보로 나누고, 또한 보수와 진보의 가치관이 정부정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는 것이 올바른 것인지를 검증하였다. 그리고 보수와 진보가 정책선호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다면 어떤 가치가 정책선호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또한 다양한 개인의 가치관이 정책선호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개인의 사회적 배경은 가치관과 정책선호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도 살펴보았다. 조사결과, 보수가치는 위계가치와 전통가족가치와 관련성이 높고, 물질-탈물질주의가치와는 관련성이 약하게 나타났다. 또한 보수가치는 자유경제가치, 경제성장가치, 사회질서 가치와 관련성이 높게 나타났다. 반면, 진보가치는 전통가치와는 관련성이 낮고, 정책참여가치와 관련성이 높았다. 그리고 진보가치는 사회경제가치, 복지지향가치, 약자존중가치와 관련성이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응답자 스스로 판단하는 보수와 진보가치는 정책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즉 자신이 보수적, 또는 진보적이라고 하는 사람들의 자체진단이 잘못되었거나 한국인의 정치적 이데올로기로 보수주의 또는 진보주의로 구분하던 것을 수정할 필요가 있다. 다만 경제에 관한 가치관의 차이가 정책선호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에는 일관성을 보이는 측면이 나타났다. 따라서 한국인의 가치관을 자유시장가치와 사회평등가치, 즉 경제적 우파와 좌파로 구분할 수 있을 것으로 보였다. 또한 전통가치와 물질-탈물질가치가 자유시장가치 및 사회평등가치와 서로 혼합되어 있었다. 한국인의 가치가 다양화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examines some researcher's findings that ideological conservatism and progressivism have an influence on government policy preference. It argues that Korean’s policy preference is influenced by various individual’s values rather than political ideology. For this research, 1,000 surveys are used for data in Seoul, Busan, Gwangju, and Daejeon in Korea. This research findings include that ① ideological conservatism is highly related to hierarchical value and traditional family value, but not related to material and non-material value, ② ideological progressivism is not related to traditional value, but related to policy participation value, ③ ideological conservatism is related to free market value, economic development value, and social order value, ④ ideological progressivism is related to social economy value, welfare value, and disadvantaged preference value. However, self-expressed political ideology doesn’t impact on government policy preferences. On the other hand, various values have an influence on various government policy preferences. It means that Korean political ideology is more diversified.

      • KCI등재후보

        통일관련 여론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박균열 한국통일전략학회 2013 통일전략 Vol.13 No.3

        The unification of North Korean and South Korea is not only a national problem, but also an international affairs. The unification in the Korean Peninsula is not the ultimate objective which is established without failure, but the process which should be cultivated. However, although security & unification education in the modern Korean society is a very important obligation which is specified in the Constitution of Republic of Korea, there are a lot of controversial points on that. The argument between conservatism and progressivism may be briefly summarized as follows: 'the anti-state group' and 'the extremely conservative and anti-national group.' Debates between conservatism and progressivism in the contemporary Korean society are premised on the assumption that freedom and equality are the right of everyone. The raison d'être and the traditional identity of ROK ought to be based upon these values, too. Peoples who have denied the Korean constitutional order should not be eligible to discuss political and public issues under the name of conservatism and progressivism. The conservative and the progressive should be more honest for themselves to develop political discourses to the much healthier directions. The conservative are not supposed to maintain vested interests in existing illegal hunt for profit and unfair trade, and expansion of media tycoons misusing a role in forming public opinions under the guise of the emphasis upon their history and tradition. We will also have to exercise caution against security & unification education in the extension of the military based security affairs. At the same time, the progressive should reflect on themselves. The progressive have regarded peace and security as a conflicting concept or have denied the Korean constitutional order. In the case of few progressive mass media, it is true that they have engaged in anti-national political activities. The successful way for security & unification education could be guaranteed with such various voices and means. This respect for various voices is also a fundamental principle of democracy. It is a more sound society that could make different a voice as if the forest which has many kinds of tree and grass is more healthier. 한국의 통일문제는 민족 내부의 문제이면서 동시에 국제 문제이다. 또한 한국의 통일문제는 매달아 놓고 달려가야 할 목표가 아니라 일구어가야 할 과정이다. 그런데 현대 한국사회에서의 안보통일교육은 헌법에 명시된 중대한 일임에도 불구하고 이를 둘러싸고 많은 이념적 논란을 겪고 있다. 한편으로는 체제수호를 위한다는 명목으로 평화의 의미를 퇴색하게 하여 고답적 통일노선을 주장하기도 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민족주의 이념을 국가이념보다 우선에 두고 그것을 평화와 민주의 개념과 같은 입장에 둠으로써 국가가 규범적으로 지향하고자 하는 기본가치를 오히려 부정하기도 한다. 전자를 흔히 보수주의라고 하고, 후자를 진보주의라고 한다. 한국사회의 보수와 진보 논의는 상호간에 ‘반국가적 세력’이라는 평가와 ‘수구 반민족적 세력’이라는 말로 요약된다. 우리 한국사회에서 헌정질서를 부정하거나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세력은 어떤 대의명분을 가지고 있다고 하더라도 대한민국의 정통성에 위배된다. 근대의 자유주의가 확정되지 않았을 시기의 보수와 진보의 논리를 현대의 자유민주주의 국가에 그대로 적용하는 것은 많은 문제가 있다. 현대 한국에 있어서의 보수와 진보의 논의는 개인의 자유와 평등을 전제하고 출발한 대한민국의 존재와 그 정통성을 전제한 뒤에 이루어져야 한다. 헌정질서를 부정하는 세력의 논의는 진보와 보수라고 하는 이름하에 합법적으로 논의되어서는 안된다. 건전한 방향으로 정책적 담론을 형성해나가기 위해서는 이른바 진보와 보수는 스스로 정직해야 한다. 보수세력은 기존의 불법이윤추구와 불공정, 여론형성 기능을 이용한 언론재벌로의 확장 등을 역사와 전통을 중시한다는 미명하에 기득권을 유지하려고 해서는 안될 것이다. 또한 군사안보중심의 안보논의 연장선상에서 안보통일교육을 위한 노력을 경계해야 한다. 동시에 진보라고 일컬어지는 세력들도 반성해야 한다. 평화를 안보의 대립되는 개념으로 상정한다거나 헌정질서를 부정하거나 소수의 진보언론의 경우 언론기능을 활용하여 반국가적 정치활동을 하는 경우 등이 고쳐야 할 점들이다. 법질서를 존중하고 객관적인 사실에 기반하여 문제를 제기하고 여론을 형성해 나가야 할 것이다. 대한민국의 안보통일교육은 다양한 목소리와 다양한 방법이 동원될 때 그 성공이 보장된다. 다양한 목소리를 존중한다는 것은 민주주의의 기본정신이기도 하다. 다양한 나무와 풀이 있는 숲이 더 건강하듯이 다양한 목소리를 낼 수 있는 사회가 건강한 사회이다. 안보통일교육의 성공을 위해서 다양한 형태의 교육적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 KCI등재

        전라북도 혁신학교 운동의 태동과정에 대한 연구

        박승배 교육종합연구원 2012 교육종합연구 Vol.10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backgrounds, process, and the grounded philosophy of the school innovation project(SIP) that was started by Kim, Seungwhan who took office as superintendent of education of Jeonbuk Province on July 1, 2010. To do this, the minutes of school innovation committee(SIC) were closely reviewed, some of the SIC members were interviewed, official documents were reviewed, teachers working for the innovation schools were interviewed and observed, and in-service program for innovating schools were reviewed. What found in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Jeonbuk SIP was an extension of the small school saving project that was initiated by a group of progressive teachers in the opening of the 21st century. Second, Jeonbuk SIP referred to Gyeonggi SIP that was began one year earlier. Third, the background philosophy of Jeonbuk SIP could be called neo-progressivism because it tried to save not only the merits of progressivism but also tried to overcome the demerits of progressivism.

      • KCI등재

        근대 초기 외국인 방문기에 나타난 세 가지 시선

        조강석 ( Cho Kang-sok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5 한국학연구 Vol.0 No.37

        우리는 어떻게 다른 문화를 표상할 수 있는가? 순진한 반영론자가 아니라면 표상이 실재를 있는 그대로 재현하지 않으며 또한 재현할 수도 없음을 인정할 수밖에 없다. 표상은 주체의 인식과, 주체의 인식은 인식의 범위와 방향을 규정하는 관념과 가치의 시계(視界)와 밀접하게 결부되어 있을 수밖에 없다. 그렇기 때문에 타자는 항상 기성(旣成)의 시계 안에서 현상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본고는 바로 이런 문제의식 하에 20세기 초반 조선을 방문한 3명의 외국 작가의 글을 검토한다. 주지하듯, 19세기 후반과 20세기 초, 많은 외국인들이 조선을 방문했고 이들은 저마다의 시각에 의해 방문기를 남겼다. 본고에서는 그 중에서 특별히 1901년에서 1905년 사이에 조선을 방문한 세 명의 외국인이 남긴 방문기를 검토한다. 본고에서 검토하는 것은 미국의 소설가인 잭 런던이 러ㆍ일 전쟁 종군 기자로서 조선에 와서 보고 들은 것을 기록한 종군체험기, 프랑스의 시인이었던 조르주 뒤크로의 방문기, 조선에서 최초로 활동사진 상연을 한 것으로 알려진 버튼 홈즈의 방문기이다. 이 세 개의 기록을 검토하고자 하는 까닭은 첫째, 이 시기가 러일전쟁과 을사늑약으로 이어지는 중요한 격변기에 해당하고 둘째, 그렇기 때문에 이 시기 외국인의 눈에 조선인들의 삶이 어떻게 표상되었는지를 살펴보는 것의 의의가 작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셋째로, 이들이 관리나 외교관이 아니라 각기 소설가, 시인, 여행 영화 제작자였기 때문에 이들이 남긴 방문기는 그 자체로 제도나 외교상의 이해관계나 공적 요구에 의한 것이 아니라 자발적 민간인 예술자의 표상체계라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넷째, 가장 중요한 것은, 이들의 방문기가 보여주는 세 가지 각기 다른 시선은 당대의 조선을 표상하는 대표적인 세 가지 관점을 전형적으로 보여준다는 의미에서 일종의 대표단수로들로서의 의의를 지니기 때문이다. 잭 런던의 직선적 진보의식에 기초한 오리엔탈리즘이 타자를 유럽(서구)중심의 기준에 맞춰 무한히 상대화하면서 스스로의 우월성을 강조한다면 조르주 뒤크로의 심미적 오리엔탈리즘은 타자의 구체적 상황과 갈등과 내적 변모 과정을 무화시키는 정서적 태도에 의존함으로써 타자를 항구적 불변의 지위에 두려한다. 그런가 하면 버튼 홈스는 사용하는 매체의 특징에 따라 객관적 관찰자의 시점을 유지하려는 노력을 기울인다. 그러나 그 역시 근대적 확산론의 전제를 수용하고 있다. 잭 런던의 편협한 진보주의와 조르주 뒤크로의 복고적이고 심미화된 오리엔탈리즘, 그리고 버튼 홈스의 객관적 태도와 그것의 이면에 놓인 근대적 확산의 시계는 20세기 초 조선을 방문한 민간인 외국인들의 시선을 전형적 구도로 보여준다고 하겠다. This paper deals with three different perspectives appeared in foreign visitors’ records on Korea in 1900s. Jack London was a writer who wrote novels highly critical of American society based on progressivism. However, when his progressive perspective was adopted to report the political situation of Korea and lives of korean people in 1904, he revealed a typical type of orientalism. He regarded Korea and ways of living in Korea as disgusting and ‘uncivilized.’ Compared with Jack London’s perspective, French poet Georges Ducrocq’s one was rather favorable. He visited Korea in 1901 and he showed affectionate attitude toward Korea and its people. However, his travel report, Pauvre et Douce Coree, can be defined as representing aesthetic orientalism. He tried to make all the ‘Korean things’ seem beautiful and nice, but it is true that this kind of view can also conceal something concrete and specific. This perspective at once beautifies Korea and also conceals the reality of Korea. E. Burton Holmes was a traveler and he often used his ‘motion-picture’ machine to record things he witnessed while travelling around world-wide countries. So, his report(travelogue) and motion-picture film on Korea written and made in 1901 was based on close observation and rather objective point of view. Nonetheless, he couldn’t also avoid the matter of ‘already given perspective defined by the range of watching.’ His perspective represented the colonizer’s model of the world, in other words, geographical diffusionism of western culture.

      • KCI등재

        일반논문 : 김우창 비평의 문학사 담론과 역사인식 방법론

        이찬 ( Chan Lee ) 한민족문화학회 2013 한민족문화연구 Vol.44 No.-

        이 논문은 김우창 비평의 문학사 담론과 역사인식 방법론을 상세하게 규명하고자 했다. 이를 위하여 1) 한국 현대시사의 담론 2) 한국 현대소설사의 담론 3) 진보주의 역사인식 방법론이라는 세 가지 의제로 나누어 논의를 전개하고자 했다. 김우창 비평 전체를 수미일관하게 관통하는 진보주의 역사인식 방법론은, 그것의 핵심어인 “구체적 전체성”이라는 개념 속에 이미 포함되어 있다. “구체적 전체성”은 기성의 지배적인 현실 원리로 존재하는 “드러난 전체성” 뿐만 아니라, 아직 도래하지 않은 “감추어진 전체성” 또는 “보다 넓은 차원의 전체성”이라는 말로 축약되는 시간적 연속성과 역사적 변화의 가능성을 전제하는 개념이기 때문이다. 김우창의 한국 현대문학사 담론은, 그것을 둘러싼 사회적ㆍ역사적 사실들에 대한 실증적이고 귀납적인 검토를 포함하지 않는다. 따라서 그것은 실제적이고 구체적인 문학사 기술이 아니라, 그 자신의 역사철학적 이념과 방법에 따라 한국 현대문학을 연역적인 방식으로 범주화ㆍ유형화ㆍ분류화한 것에 불과하다는 비판을 벗어나기 어렵다. 그의 문학사 담론이결국 역사적 실증성과 구체성을 담보하지 못하는 것은, 그 자신이 선취한역사인식 방법론을 현대 한국문학사의 전개 과정에 그대로 대입하는 자리에서 비롯된다. 그러나 이러한 문제점은 한국 현대사 전체가 안고 있었던 한계인 동시에 우리의 현대 학문 체계 전반이 감당할 수밖에 없었던 후진성에서 나온다고 보는 것이 합당할 것이다. 이 한계에도 불구하고, 그의 문학사 담론은 한국문학이 성취해야 할 긍정적 가능성의 자리를 그 어떤 논의보다도 탁월한 이론적 수준에서 제시해주었기 때문이다. 김우창 비평이 한국 현대 인문학 전체의 기념비적 업적으로 기록되어야만 하는 근거 역시, 이러한 긍정적 가능성과 높은 이론적 수준에서 나온다.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discourse on literary history and methodology of historical awareness in Kim, U-chang`s literary criticism in detail. For this, it develops the discussion into three topics; discourse in the history of modern Korean poetry 2) discourse in the history of modern Korean novel 3) methodology of historical awareness of progressivism. Progressive historical awareness consistently penetrating his whole literary criticisms is already included in its keyword ‘concrete totality’. Because ‘concrete totality’ is not only ‘veiled totality’ which exists as a established dominant reality principle but also a concept which premises the possibility of historical change and temporal continuity being contracted as the term ‘unveiled totality’ or ‘wider dimension of totality’. Kim`s discourse on the history of modern Korean literature does not include a positive and inductive review of socio-historical facts surrounding it. Therefore, it cannot get away from criticism that it is not an actual and concrete description of literary history but merely a result of deductive categorization and classification of modern Korean literature according to his own historical philosophical ideology and method. The reason for his discourse on literary history not being able to secure historical substantiation and concreteness comes from the place where he substitutes his methodology of historical awareness into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the history of modern Korean literature as it is. However, it is appropriate to say that this problem is caused from the limits modern Korean history has and at the same time from backwardness the whole system of modern learning has to deal with. Because his discourse on literary history has suggested the place for positive possibility modern Korean literature should reach to with the most outstanding theoretical level ever. These positive possibility and exceptional theoretical level give sufficient reasons for accepting his literary criticism as monumental achievements of the humanities in modern Korea.

      • KCI등재

        뉴욕주공장조사위원회 노동개혁의 양면성, 1911-1915 ― 혁신주의 시기 노동자 보호 정책에 내포되었던 젠더 의식의 한계 ―

        김용현 ( Kim Yong-hyeon ) 수선사학회 2018 史林 Vol.0 No.63

        This paper identifies the perceptions of labor in the Progressive Era and its development in the actual reforms by analyzing the labor reform of the New York State Factory Investigating Commission. The commission occupied prominent place in the progressive reform, in that it was originated from the concerted request for reform by the working class and progressives of New York City and tried to improve the overall industrial climate through the concrete legislation with a well-defined purpose. The protective legislation of the FIC, however, reflected the patriarchal gender system immanent in progressivism. its fundamental purpose was to stabilize and rationalize American capitalist society. Therefore, the FIC’s policies toward female workers intended to preserve the reproductive capacity of women necessary for maintaining an industrial society. As a result, the legislation of the FIC resulted in the exclusion of female workers from the workplace. Although the FIC achieved the desired result to improve the safety of working conditions, they defended the male-dominated wage system and regarded the women’s forced exclusion from the labor market as a natural phenomenon, thus failed to recognize their practical economic situations.

      • KCI등재

        조선 지성인들의 `고금(古今)` 인식과 역사변동 ― 학파 간의 차이를 중심으로―

        최영성 ( Choi Young-sung ) 한국철학사연구회 2017 한국 철학논집 Vol.0 No.54

        이 글은 조선시대 지성인들이 고(古)와 금(今)에 대해 어떻게 이해하였으며, 그 결과 역사가 어떻게 바뀌었는지를 고찰하였다. 학파 간의 차이를 중심으로 거시적 차원에서 조망을 한 것이다. `고`와 `금`에 대한 이해는 조선시대 전 시기에 걸쳐 학술과 예술, 나아가 정치 등에 직, 간접적으로 영향을 끼쳤다. 학자에 따라, 학파에 따라 고·금에 대한 인식을 달리하면서 전통과 창조, 보수와 진보, 이상과 현실의 문제가 심도 있게 논의되었다. 또 그런 논의가 역사적으로 정치와 사회를 바꾸는 데 크게 기여하였다. 조선시대는 전반적으로 `고`를 중시하는 문화 전통이 뿌리를 내렸다. 그러는 가운데 시대의 흐름에 따라 `금(今)`이나 `신(新)`에 대한 이해가 요구되었다. 현실이 혼란하거나 타락하였다고 판단될 때에는 근본으로 되돌아가자는 복고(復古)를 기치로 내걸기도 하였다. 고와 금에 대한 인식이 사회를 바꾸는 원동력이 되었다. 다만 `고`를 버려둔 채 `금`을 말하거나 `신`을 외치는 경우는 없었다. `고`를 비판한 경우도 고에 얽매인 것을 비판한 것이지 `고` 자체를 겨냥한 것은 아니었다. `금`은 사실상 `고`의 종속 변수였다. `고`를 보수, `금`을 진보라고 보는 것은 이분법적인 인식이다. This paper is to examine how Joseon intellectuals understood gu(古) and jin (今) and how its history consequently changed. It is to take a macroscopic view focusing on differences of different schools. Understanding of `gu` and `jin` directly and indirectly affected academia, art and even politics throughout Joseon dynasty. As different scholars and schools distinctively understood gu and jin, issues of tradition and creation; conservatism and progressivism and; ideal and reality were deeply discussed. Those discussions greatly and historically contributed to making changes in politics and society as well. A cultural tradition of emphasizing `gu` took a deep root in overall Joseon society. Meanwhile, understanding of `jin(今)` or `xin(新)` was required with changes of times. as When people thought the reality is confusing or corrupt, they adopted restoration(復古) which means to go back to basis as the slogan. Awareness in gu and jin served as a drive to change the society. However, they never lifted their voices for `jin` or `xin,` abandoning `gu`. Criticism on `gu` was merely for criticizing being bound by `gu,` not targeting `gu` itself. `Jin` actually was a dependent variable of `gu.` It is a dichotomous view to consider `gu` as conservatism and `jin` as progressivism.

      • KCI등재

        20세기 초 혁신주의 개혁가들과 연방정부의 성병 통제 정책

        김서형(Seohyung Kim) 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 2021 동서인문 Vol.- No.15

        It was Progressivism that culminated in American society in the early 20<SUP>th</SUP> century. In such a social atmosphere, the most important task of all was to effectively control venereal diseases, such as syphilis or gonorrhea, prevalent in American society. At that time, the venereal disease was a pandemic that occurred frequently not only in the military, but also in civil society. Many thought that eradication of prostitution and control of venereal diseases could reform politically and morally corrupt American society and win World War I. The progressive reformers who sought to reform American society during this period can be divided to three categories. The first is medical doctor, who led the treatment and prevention of venereal diseases based on scientific and medical experiment. American Social Hygiene Association(ASHA) emphasized prevention through public education in order to supplement the limitations of treatments for venereal diseases, including Salvarsan at that time. They believed that these sanitary reform could lead to a better American society by protecting the purity of American society and improving personal hygiene and public health. The second is women reformers. A problem of particular interest to women reformers was the sexual enslavement of women. The Women’s Christian Temperance Union(WCTU) promoted the prohibition and social welfare and played an important in the enactment of the Mann Act, which prohibits to engage in interstate or foreign commerce transport of any woman or girl for the purpose of prostitution or immoral purpose. Many women reformers attempted to eradicate prostitution and control venereal diseases through the enactment of the law and pursue fundamental equality between men and women by abolishing double-standard, prevalent in American society by moral reform. The last is the federal government. The federal government, which actively intervened in venereal disease control policies by expanding police power, given to the state government, enacted the “Chamberlain-Khan Act” in 1918 as part of the American Plan. The United States Public Health Service(USPHS), which was granted a special budget on the basis of this act, exercised greater public health power than any other agency through budget distribution and execution, and the federal government worked with state medical doctors to cooperate with venereal diseases. The ultimate goal was to improve public health in American society based on legal reform and to win World War I. Many historians have studied Progressivism that dominated American society in the early 20<SUP>th</SUP> century according to separate and independent trends. However, venereal diseases control policies of progressive reformers who pursued sanitary reform, moral reform, and legal reform to control venereal diseases that prevailed in American society are interconnected. The policies to control venereal diseases during this period show that various progressivism trends such as political reform, sanitary reform, moral reform and war were integrated and resulted in a single trend of public health. Therefore, the interaction between sanitary reform, moral reform and legal reform that tried to control venereal diseases in the American society in the early 20<SUP>th</SUP> century on the foundation to Progressivism from a perspective of infectious disease, such as venereal disease and to analyze Progressivism era from a new historical perspective.

      • KCI등재

        텍사스 혁신주의와 미국 보수주의의 등장

        유회명 역사와교육학회 2022 역사와 교육 Vol.35 No.-

        Many historians have little attention on the Texas progressivism in the 1920s because Lone Star State was not a leading progressive state in South and did not had a outstanding reformer. Moreover, they framed Texas reforms into the southern progressivism in part because they viewed Texas as typically ‘southern’. But this article shows the role of reformers who led Texas’s progress and modernization in the early 20th century. They grew the core of Texas conservatism since the post war. Western tradition and identity in Texas made it more modern and conservative and gave an essential opportunity for the rise of modern conservatism. Therefore, Texas progressivism in the early 20th century contained the seeds of American conservatism. 많은 역사가들은 텍사스가 남부에서 주도적으로 혁신주의를 이끈 주도 아니었고 뛰어난 개혁가도 없었기 때문에 텍사스 혁신주의에 대해 거의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다. 뿐만 아니라 과거 남부연합의 일원으로서 전형 적인 ‘남부’라는 이유로 남부 혁신주의의 틀 속에서 텍사스의 개혁을 바라 보았다. 하지만 본 논문은 20세기 초 새롭게 형성된, 텍사스의 근대화와 진보를 이끈 개혁가들이 전후 텍사스 보수화의 중심 축이 되는 과정을 보 여 주었다. 텍사스의 서부적 전통과 정체성은 텍사스의 보수화를 추동하 였고, 근대 미국 보수주의 부활의 중요한 요인이 되었다. 결국 미국 보수 주의 부활의 씨앗은 1920년대 텍사스 혁신주의에서 배태(胚胎)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