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의 성별․기질․정서지능 및 어머니의 또래관계 관리전략과 유아의 또래유능성간의 구조적 관계 연구

        이지영,강성숙,이경옥 한국유아교육학회 2009 유아교육연구 Vol.29 No.5

        This study aims to facilitate awareness of the important roles maternal peer management strategies and children’s gender and temperament play in understanding peer competence To this end, this study establishes and analyzes a structural model of children’s peer competence assessing whether or not it i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children’s gender, temperament and emotional intelligence, and/or the maternal peer management strategies of their mothers. A survey regarding temperament and maternal peer management strategies was conducted with 301 mothers. The peer competence and emotional intelligence of each child were evaluated by 17 teacher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1) The maternal peer management strategies did not appear to be mediato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motional intelligence and peer competence of their children. 2) However, acts of mediation and supervision, used as part of overall maternal peer management strategies, were seen to have direct, expository properties of influence on the children’s peer competence. 3) The peer management strategies of children were found to be mediato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mperament and peer competence. 4) The temperament of individual children exerted indirect influence on peer competence in situations of counseling and caring. 5) Gender and temperament influenced emotional intelligence and served as expressive mediums among various maternal peer management strategies.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성별, 기질, 정서지능 및 어머니의 또래관계 관리전략과 유아의 또래유능성 간의 구조적 모형을 설정하고 모형 내 어머니 또래관계 관리전략의 매개적 효과를 분석하였다. 301명 유아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유아의 기질, 또래관계 관리전략에 대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고 해당 교사 17명을 대상으로 개별 유아의 또래유능성과 정서지능을 평정하도록 하였다. 유아의 또래유능성에 대한 구조적 관계를 분석한 결과, 어머니의 또래관계 관리전략과 유아의 정서지능은 유아의 또래유능성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하며 직접적인 설명력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또래관계 관리전략은 유아의 기질과 또래유능성간의 관계에 있어서 매개적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유아의 정서지능과 또래유능성 간의 관계에 있어서는 매개적 영향력을 갖지 않았다. 유아의 기질(반응성)은 어머니의 또래관계 관리전략 중 조언·관심을 매개로 유아의 또래유능성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반면 유아의 성별과 기질(적응성과 반응성)은 유아의 정서지능을 통해 유아의 또래유능성에 간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유아의 또래유능성을 이해하는 데 유아의 성별과 기질 특성뿐 아니라 매개변인으로서 유아의 정서지능과 어머니의 또래관계 관리전략의 중요성을 파악할 수 있었다.

      • KCI등재후보

        부모와의 복합애착유형에 따른 만 5세 유아의 또래유능성

        이희영(Lee, Hee-Yeong),한희정(Han, Hee-Jung)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1 인문사회과학연구 Vol.1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가 어머니와 아버지에 대해 형성하는 애착과 유아의 또래유능성과의 관계를 알아보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유아의 어머니 애착과 아버지 애착은 또래유능성과 어떤 관계가 있는가? 둘째, 유아의 어머니 및 아버지 애착과 또래유능성의 관계는 유아의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셋째, 유아의 어머니와 아버지에 대한 복합애착유형과 또래유능성은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넷째, 유아의 어머니와 아버지에 대한 복합애착유형과 또래유능성의 관계는 유아의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이 연구는 부산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어린이집 3곳과 유치원 2곳에 재원하고 있는 만 5세 유아 189명(남아 101명: 여아 8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을 대상으로 아동용 애착검사, 교사 평정 또래유능성 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평균차 검증, Fisher의 Z 검증 및 이원변량분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남아의 경우 어머니와 아버지에 대한 애착은 친사회성과 관련이 있었으나, 여아의 경우 부모에 대한 애착과 또래유능성은 유의미한 관련이 없었다. 유아의 부모에 대한 복합애착유형과 또래유능성과의 관계에서는 또래유능성 하위요인 중 친사회성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련이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to mother and father and peer competence of young children. To achieve this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First, what relationship exist between attachment to mother and father and peer competence? Second, does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to mother and father and peer competence differ according to gender of young children? Third, what relationship exist between multiple attachment type and peer competence of young children? Fourth, does relationship between multiple attachment type and peer competence differ according to gender of young children? The participants of this research was 189 young children(5 year olds) from 3 child care centers and 2 kindergartens in Busan. Attachment Test for Children and Peer Competence Scale were administered to these children.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Fisher’s Z and Two-Way ANOVA.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attachment to mother and father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prosociality factor of peer competence for 5 year old boys, however, attachment to mother and father were not significantly to peer competence for 5 year old girls. Second, relationship between multiple attachment to mother and father and peer competence of young children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only prosociality factor of peer competence.

      • KCI등재

        중학생이 지각하는 또래관계 역량의 개념과 수준

        윤헤경,이지연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2010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Vol.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이 지각하는 또래관계 역량을 개념도를 통해 밝히고, 또래관계 역량에 대한 중요도 인식과 개인의 역량수준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160명의 중학생들이 또래관계 역량에 대해 작성한 진술문을 18명의 학생이 산출, 종합, 분류하고, 이를 기초로 다차원 척도와 위계적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156명의 중학생을 대상으로 산출된 또래관계 역량의 중요도와 개인 역량 수준 평가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총 79개의 또래관계 역량의 구체적인 진술문이 산출되었으며, 이를 개념도 분석을 한 결과 또래관계 역량은 ‘정서적 특성’, ‘내적 강인성’, ‘집단 내 조화’, ‘사회성 기술’, ‘물질적 요인’, ‘신체적 요인’, ‘외적 강인성’ 범주로 구분되었다. 둘째, ‘집단 내 조화’를 제외한 모든 범주에서 또래관계 역량의 중요도와 자신의 역량 수준의 점수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와 비교해보면, 중학생들은 신체적인 조건, 물질적 요인 등의 외적인 범주들도 친구관계 역량의 요소로 보는 반면, 고등학생들은 관계형성과 촉진으로 구분되어지는 내적인 범주를 또래관계 역량의 요소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개념도를 통하여 중학생의 또래관계 역량을 7개 범주로 밝혀냄으로써, 또래관계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학생들의 또래관계를 향상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또래관계 특성을 반영한 실제적인 측정도구 개발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 of peer relationship competence by concept mapping and to find out the importance of each statement describing peer relationship competence and their own level of competence. For this, 18 students solicited, gathered and analyzed statements that 160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and wrote and then did multidimensional scaling and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In addition, 156 students rated the importance of each describing peer relationship competence and their own level of competenc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79 statements of peer relationship competence were solicited and as a result of concept mapping peer relationship competence were categorized as ‘emotional characteristic’, ‘enterprising’, ‘group harmony’, ‘social skill’, ‘material factor’, ‘physical factor’ and ‘external strong force’. Second, except for ‘group harmony’ in all categories, importance of peer relationship competence and middle school students' level of competence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To compare with the precedent study about high school students, they consider external categories as a factor of peer relationship competence, but high school students considered internal categories divided into relationship formation and promotion as a factor of peer relationship competence. As this study explored middle school students' peer relationship competence in 7 categories, it suggested that program for middle school students who are having trouble with peer relationship and measurement scale considered characteristic of middle school students' peer relationship should be developed.

      • KCI등재

        유아의 성, 기질, 가정의 월수입, 어머니의 정서표현 및 사회적유능성이 유아의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박지영(Park Ji-Young),강성단(Kang Sung-Dan),권경숙(Kwon Kyung-Sook)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0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5 No.5

        본 연구는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다니는 만 5. 6세 유아 199명과 그 어머니를 대상으로 유아와 어머니의 사회 인구학적 배경변인과 유아의 또래유능성 간의 관계를 밝히고, 유아의 기질, 어머니의 정서표현 및 사회적유능성과 유아의 또래유능성간 상호관련성을 각 하위 변인별로 검토함으로써 어머니와 유아의 상호 관련성를 이해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이루어졌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 배경 변인 중 성별에 따라 또래유능성에서 차이가 나타났는데 남아보다는 여아가 전체적으로 또래 간 유능성이 더 우수하였고, 친 사회성에 있어서도 여아가 남아보다 친사회적 성항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또래유능성은 유아가 기질적으로 외향적이고 주의통제적일수록 또래관계가 유능할 뿐 만 아니라 친사회적인 성향을 가지며 주도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정서표현 중 긍정적인 정서표현의 경우 유아의 또래유능성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친사회성과 정적으로 유의미한 관계를 나타내었으나 어머니의 부정적인 정서표현은 또래유능성과 유의한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어머니의 사회적유능성은 전반적으로 유아의 또래유능성과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나 어머니의 사회적유능성의 하위 요인 중 감정적 지지의 경우 유아의 또래유능성과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났다. 다섯째, 유아의 또래유능성을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변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해 주요변인들 유아 성별, 가정의 월수입, 유아기질, 어머니 정서표현 및 어머니 사회적유능성의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아의 또래유능성에 가장 큰 영항을 미치는 변인은 유아기질의 하위요인 중 외향성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가정의 월수입, 유아성별, 어머니의 시회적유능성 중 감정적지지 순으로 유아의 또래유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effects of the children's age and their peer competence with respect to parents' income which belongs to family background variables, and we also made an attempt to understand mutual relationship between mother and children by investigating children's temperament and peer competence, and mothers'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social competence in each sub-variabl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eer competence according to age and sex in the children's background variables. Girls appear to show more peer competent and sociable than boys. Secondly, children's peer competence turns out to be superior, sociable, and leading when they have outgoing personality and attentive nature. Thirdly, mothers' positive emotional expression shows close relationship with children's peer competence, and specially it has a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ship with socialization while mothers'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 does not show negative relationship with children's peer competence. Fourthly, mothers' social competence does no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children's peer competence, however, mothers' emotional support that is one of the sub-factors of mother's social competence shows positive relationship with children's peer competence. Finally, the hierarchical regression of children's age, sex, income, temperament, mothers' emotional expression, mothers' social competence show that the most critical variable to children's peer competence is the children's extrovert personality, and income, sex, emotional support among the mothers' social competence sub-factors are followed.

      • KCI등재

        북한 이탈 어머니 자녀의 또래 유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유아 개인 내·외적 변인 연구

        양숙경(Suk Kyung Yang),문혁준(Hyuk Jun Mo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3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북한 이탈 어머니 자녀의 또래 유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유아 개인 내·외적 변인을 알아보는데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서울·경기·인천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유아기 자녀를 둔 북한 이탈 어머니 102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SPSS WIN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첫째,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고, 각 측정도구의 문항 간 내적 일치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Cronbach’s α 계수를 구하였다. 둘째, 측정변수들의 전반적인 경향을 알아보기 위해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다. 셋째, 사회인구학적 변인, 유아의 자기존중감, 어머니의 양육행동, 또래관계 관리전략, 어머니-교사관계가 유아의 또래 유능성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본 연구결과 첫째, 유아의 자기존중감, 북한 이탈 어머니의 양육행동, 또래관계 관리전략, 어머니-교사관계 및 또래 유능성의 전반적 경향을 살펴 본 결과, 모두 보통 보다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북한 이탈 어머니 자녀의 또래 유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살펴본 결과, 유아의 자기존중감은 또래 유능성 전체, 또래 유능성의 하위 요인인 사교성, 친사회성, 주도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또래 유능성의 모든 하위 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임을 알 수 있었다. 어머니의 또래관계 관리전략은 또래 유능성의 하위 요인인 친사회성과 주도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어머니-교사관계는 또래 유능성의 하위 요인인 사교성과 친사회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임을 알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결과를 통해서 북한 이탈 어머니 자녀들이 건강하게 적응하고 성장할 수 있도록 어머니 역할의 중요성과 함께 유아교사들에게는 북한 이탈 어머니 자녀의 특성을 이해시킴으로써 유아들이 처해있는 다양한 환경에 따라 다각적이고 차별화된 교육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한다고 볼 수 있다. Objectives This study considered individual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affecting peer competence in children of North Korean refugee mothers, and intended to examine the influence that young children’s self-esteem, as internal factor, and their mother’s parenting behavior and management strategies for peer relations, as well as the mother-teacher relationship, as external factors, had on their peer competence.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02 North Korean refugee mothers who lived in the areas of Seoul, Gyeonggi, and Incheon and had a child in preschool. This study analyzed collected data using the SPSS WIN 18.0 program. To identify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subjects,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calculated. To check for internal consistency among items in each measurement instrument, Cronbach’s α was calculated. This study also determined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f measurement variables to identify their overall tendencies. Next, it conducted Pearson’s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to examine the relative effect that measurement variables had on young children’s peer competence. Result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found a higher than normal level in all results identifying overall tendencies in a young children’s self-esteem, the North Korean refugee mothers’ parenting behavior and management strategies for peer relations, the mother-teacher relationship, and peer competence. Second, the results of examining variables that affected the peer competence of children of North Korean refugee mothers showed that young children’s self-esteem is a variable affecting all sub-factors of peer competence because it influences peer competence overall, as well as sociability, prosociality, and initiative, which were sub-factors for peer competence. It was found that the mother’s management strategies for peer relationships affected prosociality and initiative, while the mother-teacher relationship influenced sociability and prosociality. Conclusions This research results suggest that the contents of early childhood self-esteem should be emphasized to enable the children of North Korean refugees to healthily adapt and grow. This study also provided basic data required for ensuring multifaceted and differentiated education according to diversity in the child’s environment by helping early childhood teachers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the mothers’ role in their children’s social characteristics.

      • KCI등재

        어머니의 정서안정과 의사소통이 유아의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김경희 ( Kyung Hee Kim ),안영임 ( Young Im Ahn ) 열린부모교육학회 2009 열린부모교육연구 Vol.1 No.1

        이 연구는 어머니의 정서안정과 의사소통이 유아의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전라남도 H군 소재 유아교육기관에 재원 중인 어머니 196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어머니의 정서안정과 의사소통을 독립변인으로, 유아의 또래유능성을 종속변인으로 하여 평균(M)과 표준편차(SD)를 살펴보고, 상관관계와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 처리를 위하여 SPSS WIN 12.0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정서안정과 유아의 또래유능성간의 상관계수를 살펴보면 정서안정에서의 하위 요소인 어머니의 만족과 평온함, 자신감과 낙관의 긍정적 정서와는 정적 상관관계를 보여주었고, 긴장과 불안, 근심과 두려움의 부정적 정서와는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의사소통과 유아의 또래유능성간의 관계에서는 개방형 의사소통을 하는 경우 사교성, 친사회성, 주도성 모두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셋째, 어머니의 정서안정과 의사소통이 유아의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은 사교성은 15.7%, 친사회성은 12.3%, 주도성은 13.3%의 영향력을 갖으며 전체는 16.1%의 영향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어머니가 만족하며 낙관적인 정서상태일수록, 그리고 개방적인 의사소통을 사용할수록 자녀의 또래유능성을 증진하는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The research was to figure out the effects of mother`s emotional stability and communication skills on child`s peer competence. The surveys were distributed to 235 mothers of children who attends child-care facilities of H-gun, Chollanamdo province in Korea. After eliminating insufficient responses and no responses, a total of 196 samples remained for analysis. The mother`s emotional stability and communication skills were considered to be independent variables, and the child`s peer competence to be dependent variable. Including each other`s sub-factors, the average (M) and the standard deviation (SD) were calculated. Then, using the regression analysis, the correlations of the mother emotional stability, communication skills, and the child`s peer competence were examined. With the same method, the effects of mother emotional stability and communication skills on child`s peer competence were studied. For this analysis, SPSS WIN 12.0 package was used.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mother`s emotional stability such as satisfaction, calmness, and self-confidence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child`s peer competence. That is, the child`s peer competence develops in accordance with the positive status of mother emotions. Secondly, open communication displayed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child`s peer competence. This showed mother`s open communication can result in improvement in child`s peer competence. Finally, the mother emotional stability like self-confidence and optimism proved to have positive impact on child`s peer competence. The open communication also had positive effects on child`s peer competence. Based of these results, it can be concluded that self-confidence, optimism, and open communication enhance the child`s peer competence.

      • KCI등재

        Cultivating Peer Competence through Self-regulation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

        김경진 ( Kyoung Jin Kim ),한민경 ( Min Kyung Han ),정은영 ( Eunyoung Jung ),유혜민 ( Hae Min Yu ) 한국유아교육학회 2021 INTERNATIONAL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27 No.2

        Building positive relationships with peers at school age is the core of a child’s development and peer competence is a critical skill in making relationship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association between children’s self-regulation skills and peer competence and examine how the teacher-child relationship mediates the development of those social-emotional skills. With 285 kindergarteners in South Korea, we measured students’ (1) self-regulation, (2) child-teacher relationship, and (3) peer competence. This research confirms that both self-regulation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s influence children’s peer competence development directly, indirectly, or as a mediator. Results showed that children’s self-regulation, except for the ‘self-control’ sub-category,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 has positive correlation with peer competence. In addition, the qualities of teacher-child relationships mediate the association between children’s self-regulation and peer competence. Ideas about improving self-regulation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s to promote peer competence are discussed.

      • KCI우수등재

        유아의 실행기능이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유아 놀이성의 매개효과

        조다연(DaYeon Cho),성지현(Jihyun Sung) 한국아동학회 2020 아동학회지 Vol.41 No.4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ssociations among executive function (EF), playfulness, and peer competence of 4, 5, and 6-year-old children, as well as the impacts of EF on peer competence. In addition, this study attempted to verify whether children’s playfulness has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F and peer competence. Methods: Study participants were 94 children from day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in Gyeonggido. The three EF subcategories (working memory, inhibition, and shifting) were measured using the Digit Span task, the Day-Night task, and the Dimensional Change Card Sort (DCCS). Playfulness was measured using the Korean version of Childrens Playfulness Scale (CPS), and peer competence was measured using the Peer Competence Scale. The mediating effect of playfulness was confirmed using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Study results revealed the following: (1)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seen in childrens EF according to age groups;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layfulness and peer competence between the age groups. (2) After controlling for age, positive correlations were shown among EF, playfulness, and peer competence. (3) Playfulness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F and peer competence.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s that children’s playfulness is an essential factor both forming and maintaining successful peer relationships, and makes clear the necessity of developing and implementing approaches for cultivating children’s playfulness in order for them to create and maintain successful peer relationships.

      • KCI등재

        청소년이 지각한 또래관계 역량

        최한나,김삼화,김창대 한국상담학회 2008 상담학연구 Vol.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들이 지각하는 또래관계 역량을 개념도 방법을 통해 밝히고, 또래관계 역량에 대한 중요도와 개인의 역량 수준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17명의 고등학생들이 브레인스토밍 집단에 참여하여 또래관계 역량에 대한 아이디어를 산출, 종합, 분류하고, 이를 기초로 다차원 척도와 위계적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178명의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산출된 또래관계 역량의 중요도와 개인 역량 수준 평가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총 66개의 또래관계 역량의 구체적 내용이 산출되었으며, 이를 기초로 개념도 분석 결과 또래관계 역량은 ‘배려성’, ‘타인 존중’, ‘대인민감성’, ‘사회성 기술’, ‘인상관리’, ‘집단내 조화’, ‘내적 강인성’의 범주로 구분되었다. 둘째, 또래관계 역량의 중요도 인식에 비해 개인의 역량 수준은 낮게 지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사회성 기술’과 ‘내적 강인성’ 범주가 중요도와 역량 수준의 차이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 of peer relationship competence by multidimensional scaling and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and analyzing the importance and the level of peer relationship competence. Seventeen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a brainstorming group and solicited 66 statements describing peer relationship competence. In addition, 178 students rated the importance of each statement describing peer relationship competence and their own level of competenc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eer relationship competence were categorized as ‘caring’, ‘respect’, ‘sensitivity’, ‘social skill’, ‘impression management’, ‘group harmony’, ‘enterprising’. Second, participants rated their own level of competence lower than the perceived importance of peer relationship competence. Implication for research and practice were discussed.

      • KCI등재

        동료지도학습법이 간호대학생의 동료돌봄행위, 대인관계유능성 및 학업적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마예원 ( Ryewon Ma ),장은실 ( Eun-sil Jang ) 대한통합의학회 2021 대한통합의학회지 Vol.9 No.2

        Purpose :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effects of peer tutoring on the peer group caring interaction,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academic self-efficacy of nursing college students and to use them for practical education. Methods : The participants comprised 33 nursing students who lived in Gyeong-nam Province. Data were collected from February 1 to May 1, 2019. The PGCIS -K Questionnaire, Interpersonal Competence Questionnaire, and Academic Self-efficacy Questionnaire were used. Data were analyzed by average, standard deviation, minimum, maximum, and Wilcoxon signed rank test using SPSS version 23.0. Results :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data obtained from the Interpersonal Competence Questionnaire (z=-2.13, p<.03) but not from the PGCIS-K Questionnaire of the research subjects who participated in peer tutoring (z=-.89, p<.37) and from the Academic Self-efficacy Questionnaire (z=-.78, p<.43). Furthermore, their interpersonal competence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the peer tutoring program. Conclusion : This study developed a peer tutoring program for nursing students and applied it to basic nursing practice classes to verify its effect on peer group caring interaction,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academic self-efficacy. The subjects improved their peer group caring interaction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through peer tutoring. Peer tutoring also showed an effect on interpersonal compet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