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788년 김응환의 봉명사경과 《海嶽全圖帖》

        오다연 국립중앙박물관 2019 미술자료 Vol.- No.96

        The Album of Complete Views of Seas and Mountains comprises sixty real scenery landscape paintings depicting Geumgangsan Mountain, the Haegeumgang River, and the eight scenic views of Gwandong regions, as well as fifty-one pieces of writing. It is a rare example in terms of its size and painting style. The paintings in this album, which are densely packed with natural features, follow the painting style of the Southern School yet employ crude and unconventional elements. In them, stones on the mountains are depicted both geometrically and three-dimensionally. Since 1973, parts of this album have been published in some exhibition catalogues. The entire album was opened to the public at the special exhibition “Through the Eyes of Joseon Painters: Real Scenery Landscapes of Korea” held at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in 2019. The Album of Complete Views of Seas and Mountains was attributed to Kim Eung-hwan (1742–1789) due to the signature on the final leaf of the album and the seal reading “Bokheon(painter’s penname)” on the currently missing album leaf of Chilbodae Peaks. However, there is a strong possibility that this signature and seal may have been added later. This paper intends to reexamine the creator of this album based on a variety of related factors. In order to understand the production background of Album of Complete Views of Seas and Mountains, I investigated the eighteenth-century tradition of drawing scenic spots while travelling in which scenery of was depicted during private travels or official excursions. Jeong Seon(1676– 1759), Sim Sa-jeong(1707–1769), Kim Yun-gyeom(1711–1775), Choe Buk(1712–after 1786), and Kang Se-hwang(1713–1791) all went on a journey to Geumgangsan Mountain, the most famous travel destination in the late Joseon period, and created paintings of the mountain, including Album of Pungak Mountain in the Sinmyo Year(1711) by Jeong Seon. These painters presented 86 美術資料 제96호 2019 87 their versions of the traditional scenic spots of Inner Geumgangsan and newly depicted vistas they discovered for themselves. To commemorate their private visits, they produced paintings for their fellow travelers or sponsors in an album format that could include several scenes. While the production of paintings of private travels to Geumgangsan Mountain increased, King Jeongjo(r. 1776–1800) ordered Kim Eung-hwan and Kim Hong-do, court painters at the Dohwaseo(Royal Bureau of Painting), to paint scenic spots in the nine counties of the Yeongdong region and around Geumgangsan Mountain. King Jeongjo selected these two as the painters for the official excursion taking into account their relationship, their administrative experience as regional officials, and their distinct painting styles. Starting in the reign of King Yeongjo(r. 1724–1776), Kim Eung-hwan and Kim Hong-do served as court painters at the Dohwaseo, maintained a close relationship as a senior and a junior and as colleagues, and served as chalbang(chief in large of post stations) in the Yeongnam region. While Kim Hong-do was proficient at applying soft and delicate brushstrokes, Kim Eung-hwan was skilled at depicting the beauty of robust and luxuriant landscapes. Both painters produced about 100 scenes of original drawings over fifty days of the official excursion. Based on these original drawings, they created around seventy album leaves or handscrolls. Their paintings enriched the tradition of depicting scenic spots, particularly Outer Inner Geumgang and the eight scenic views of Gwandong around Geumgangsan Mountain during private journeys in the eighteenth century. Moreover, they newly discovered places of scenic beauty in the Outer Geungang and Yeongdong regions, establishing them as new painting themes. The Album of Complete Views of Seas and Mountains consists of four volumes. The volumes Ⅰ, Ⅱ include twenty-nine paintings of Inner Geumgangsan; the volume Ⅲ, seventeen scenes of Outer Geumgangsan; and the volume Ⅳ, fourteen images of Maritime Geumgangsan and the eight scenic views of Gwandong. These paintings produced on silk show crowded compositions, geometrical depictions of the stones and the mountains, and distinct presentation of the rocky peaks of Geumgangsan Mountain using white and grayish-blue pigments. This album reflects the Joseon painting style of the mid- and late eighteenth century, integrating influences from Jeong Seon, Kang Se-hwang, Sim Sa-jeong, Jeong Chung-yeop(1725–after 1800), and Kim Hong-do. In particular, some paintings in the album show similarities to Kim Hong-do’s Album of Famous Mountains in Korea in terms of its compositions and painterly motifs. However, “Yeongrangho Lake,” “Haesanjeong Pavilion,” and “Wolsongjeong Pavilion” in Kim Eung-hwan’s album differ from in the version by Kim Hong-do. Thus, Kim Eung-hwan was influenced by Kim Hong-do, but produced his own distinctive album. The Album of Complete Views of Seas and Mountains includes scenery of “Jaundam Pool,” “Baegundae Peak,” “Viewing Birobong Peak at Anmunjeom groove,” and “Baekjeongbong Peak,” all of which are not depicted in other albums. In his version, Kim Eung-hwan portray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natural features in each scenic spot in a detailed and refreshing manner. Moreover, he illustrated stones on the mountains using geometric shapes and added a sense of three-dimensionality using lines and planes. Based on the painting traditions of the Southern School, he established his own characteristics. He also turned natural features into triangular or rectangular chunks. All sixty paintings in this album appear rough and unconventional, but maintain their internal consistency. Each of the fifty-one writings included in the Album of Complete Views of Seas and Mountains is followed by a painting of a scenic spot. It explains the depicted landscape, thus helping viewers to understand and appreciate the painting. Intimately linked to each painting, the related text notes information on traveling from one scenic spot to the next, the origins of the place names, geographic features, and other related information. Such encyclopedic documentation began in the early nineteenth century and was common in painting albums of Geumgangsan Mountain in the mid– nineteenth century. The text following the painting of Baekhwaam Hermitage in the Album of Complete Views of Seas and Mountains documents the reconstruction of the Baekhwaam Hermitage in 1845, which provides crucial evidence for dating the text. Therefore, the owner of the Album of Complete Views of Seas and Mountains might have written the texts or asked someone else to transcribe them in the mid- or late nineteenth century. In this paper, I have inferred the producer of the Album of Complete Views of Seas and Mountains to be Kim Eung-hwan based on the painting style and the tradition of drawing scenic spots during official trips. Moreover, its affinity with the Handscroll of Pungak Mountain created by Kim Ha-jong(1793–after 1878) after 1865 is another decisive factor in attributing the album to Kim Eung-hwan. In contrast to the Album of Famous Mountains in Korea by Kim Hong-do, the Album of Complete Views of Seas and Mountains exerted only a minor influence on other painters. The Handscroll of Pungak Mountain by Kim Ha-jong is the sole example that employs the subject matter from the Album of Complete Views of Seas and Mountains and follows its painting style. In the Handscroll of Pungak Mountain , Kim Ha-jong demonstrated a painting style completely different from that in the Album of Seas and Mountains that he produced fifty years prior in 1816 for Yi Gwang-mun, the magistrate of Chuncheon. He emphasized the idea of “scholar thoughts” by following the compositions, painterly elements, and depictions of figures in the painting manual style from Kim Eung-hwan’s Album of Complete Views of Seas and Mountains . Kim Ha-jong, a member of the Gaeseong Kim clan and the eldest grandson of Kim Eung-hwan, is presumed to have appreciated the paintings depicted in the nature of Album of Complete Views of Seas and Mountains, which had been passed down within the family, and newly transformed them. Furthermore, the contents and narrative styles of Yi Yu-won’s writings attached to the paintings in the Handscroll of Pungak Mountain are similar to those of the fifty-one writings in Kim Eung-hwan’s album. This suggests a possible influence of the inscriptions in Kim Eung-hwan’s album or the original texts from which these inscriptions were quoted upon the writings in Kim Ha-jong’s handscroll. However, a closer examination will be needed to determine the order of the transcription of the writings.The Album of Complete View of Seas and Mountains differs from Kim Hong-do’s paintings of his official trips and other painting albums he influenced. This album is a siginificant artwork in that it broadens the understanding of the art world of Kim Eung-hwan and illustrates another layer of real scenery landscape paintings in the late eighteenth century. 《海嶽全圖帖》은 금강산과 해금강, 관동팔경을 그린 60점의 실경산수화와 51편의 記文으로 이루 어진 화첩으로 규모와 화풍에 있어 보기 드문 작품이다. 그림의 특징은 화면을 가득 채운 구성과 남 종화풍을 따르면서도 거칠고 파격적인 화법, 山石의 기하학적이고 입체적인 표현 등이다. 1973년의 특별전, ‘韓國美術二千年’을 처음으로 화첩의 일부만 공개되었던 작품은 2019년 국립중앙박물관 특 별전 ‘우리 강산을 그리다: 화가의 시선, 조선시대 실경산수화’에서 그 전모가 공개되었다. 《해악전 도첩》이 金應煥(1742~1789)의 작품으로 알려진 것은 화첩의 마지막 장에 쓰여진 款識와 현재 행방 이 묘연한 <칠보대>에 찍힌 ‘복헌’이라는 도장 때문이었다. 그러나 김응환을 지시하는 관지와 도장은 모두 후대에 더해졌을 가능성이 크다. 본 연구는 화첩을 둘러싼 여러 요소를 고찰하여 제작자를 재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해악전도첩》 제작 배경을 이해하기 위해 먼저 18세기 금강산 기행사경도의 전통과 봉명사경을 살펴보았다. 鄭敾(1676~1759)의 《辛卯年楓嶽圖帖》(1711)을 비롯하여 沈師正(1707~1769), 金允謙 (1711~1775), 崔北(1712~1786 이후), 姜世晃(1713~1791) 등은 조선 후기 최고의 여행지였던 금강산 을 유람하고 기행사경도를 제작하였다. 화가들은 이전의 전통을 계승하여 내금강의 명승명소를 주 로 그렸고, 자신들이 경험한 장소를 새롭게 시각화하였다. 이러한 기행사경도는 여행을 기념하며 동 행자나 후원자를 위해 여러 장면을 담을 수 있는 화첩 형식으로 제작되었다. 개별적인 금강산 기행사 경도의 제작이 증가하는 가운데 1788년에 正祖(재위 1776~1800)가 도화서 화원인 김응환과 金弘道 (1745~1806 이후)에게 영동9군과 금강산의 名勝을 그려오도록 명한 일은 공적 업무였다. 정조는 이 들의 관계 및 지방관으로서의 경력, 서로 다른 화풍 등을 고려해 봉명사경의 화원으로 선발하였다. 김 응환과 김홍도는 英祖(재위 1724~1776)조부터 도화서 화원으로 활동하며 선후배이자 동료로서 친밀 한 관계를 유지했다. 나아가 이들은 영남 지역의 察訪으로서 지방관의 업무를 수행한 경험이 있었다. 두 화원의 화풍은 서로 달라 김홍도는 부드럽고도 섬세하게 필선을 운용한 반면, 김응환은 굳세면서 도 울창한 풍치를 잘 표현했다. 두 명의 화원은 각자의 개성으로 봉명사경 기간 동안 100여 폭의 초본 을 그렸고, 이를 선별하여 60~70여 폭의 화첩 혹은 두루마리를 완성하였다. 이들의 그림은 18세기 전 중반에 내금강과 관동팔경 위주로 제작된 금강산 기행사경도의 전통을 더욱 풍부하게 했고 영동과 외 금강의 명승명소를 새롭게 발견하며 소재를 확장시켰다. 현재 《해악전도첩》은 元, 亨, 利, 貞 4책으로 이루어졌는데, 元, 亨책은 내금강의 그림 29점이 며 利책은 외금강의 장면 17점, 貞책은 해금강과 관동팔경 14점으로 구성되었다. 비단 위에 그려진 각 그림은 기하학적으로 산석을 표현했으며, 연백으로 금강산의 암봉을 흰색 혹은 회청색으로 표현 했다. 《해악전도첩》의 구도와 화법은 정선, 강세황, 심사정, 鄭忠燁(1725~1800 이후), 김응환, 김홍 도의 화법과 비교할 수 있어 18세기 후반의 시대 양식을 갖는다. 특히 화첩의 일부 그림은 김홍도의 《海東名山圖帖》(1788)과 구성 및 회화적 모티프가 매우 유사하여 두 화첩간의 연관성을 보여준다. 반면에 <영랑호>, <해산정>, <월송정> 등은 김홍도의 그림과는 구별된다. 이를 통해 화가가 김홍도 와 영향을 주고받으면서도 자신만의 개성적인 화첩을 제작했음을 추측해 볼 수 있다. 《해악전도첩》 에는 다른 화첩에는 등장하지 않는 <자운담>, <백운대>, <안문점망비로봉>, <백정봉> 등이 포함되 어 있으며 각 장면마다 경물의 특징을 구체적이고 참신하게 묘사하였다. 특히, 화가는 산석을 기하 학적으로 표현하고 선과 면을 도드라지게 하여 입체감을 강조하였다. 그는 남종화풍을 바탕으로 자 신만의 화법을 확립했고 이를 자유자재로 운용하면서 화면에 동적인 리듬감을 부여했다. 이처럼 60 점의 그림은 거칠고 파격적으로 보이지만 나름의 질서 안에서 일관성을 견지하고 있다. 본고는 화법과 봉명사경의 정황을 종합해 《해악전도첩》의 제작자를 김응환으로 추론하였다. 나 아가 金夏鍾(1793~1878 이후)의 《楓嶽卷》(1865년 이후)과의 친연성은 《해악전도첩》의 화가를 김응 환으로 추정한 또 하나의 이유였다. 《해악전도첩》은 김홍도의 《해산첩》과는 달리 후대에 미친 영향 력이 미비한데 김하종의 《풍악권》만이 《해악전도첩》의 소재와 화법을 따르고 있다. 김하종은 《풍악 권》에서 50년 전, 춘천부사 李光文(1778~1838)을 위해 제작한 《해산도첩》(1816)과는 전혀 다른 화 법을 구사했다. 그는 김응환의 《해악전도첩》과 유사한 구성과 회화적 요소, 화보식 인물표현을 따르 면서 사의적인 분위기를 강조하였다. 개성김씨의 일원이자 김응환의 종손인 김하종은 가문에 전해 지는 《해악전도첩》류의 그림을 감상했고 이를 새롭게 번안했다고 추측된다. 화첩에 포함된 51편의 기문은 그림 다음 장에서 그려진 장소를 설명하고 있어 각 그림을 이해하 고 감상하는 데 도움을 준다. 기문은 그림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며 앞의 장소로부터의 이동 정보, 이 름의 유래, 지형적 특징, 관련 정보 등이 서술되었다. 이와 같은 백과사전식 혹은 지리지와 같은 기 문은 19세기 전반에 나타나기 시작했으며, 금강산 화첩류에 더해졌다. 《해악전도첩》의 백화암 기문 에는 1845년의 암자에 대한 중건 내용이 기록되어, 기문의 연대를 추정하는 중요한 근거가 되었다. 김하종에게 《풍악권》을 주문한 李裕元(1814~1888)도 각 그림에 글을 붙였는데 이 글들은 김응환의 화첩에 포함된 기문 51편과 내용 및 서술방식이 흡사하다. 이유원의 기문은 《해악전도첩》의 기문이 나 그 초고(원본)와 관련성이 높지만 두 화첩의 기문 필사의 선후관계를 판정하는 데에는 좀더 면밀 한 검토가 필요하다. 《해악전도첩》은 김홍도의 봉명사경 초본 및 김홍도의 영향으로 제작된 19세기의 금강산 화첩과 는 구별된다. 이 화첩은 화원 김응환의 회화세계를 이해할 수 있는 지평을 넓히고 18세기 후반 실경 산수화의 또 다른 층위를 보여주고 있어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 KCI등재후보

        深河戰鬪의 名將 金應河와 『忠烈錄』 판화

        유미나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1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Vol.12 No.1

        This is an art-historical look into the woodblock prints of the Chungnyeollok published in memory of Kim Eung-Ha who was killed in action in the Sarhu Battle against Later Jin(後金) in 1619. The first edition of Chungnyeollok was published in 1621 to justify the fact that Joseon had been reluctant in sending reinforcements to Ming, and to defend the fact that Joseon troops led by Kang Hong-Nip(강홍립) surrendered to Later Jin. Meanwhile, the second edition of Chungnyeollok published in 1798 was a full synthesis of the all the efforts throughout Later Joseon Period to praise Kim Eung-Ha.In fact, the praise for Kim Eung-Ha was in close connection with the Theory of Fulfilling the Obligation to Ming (對明義理論) the Theory of Zhou-centered World (尊周論), and coincided with the identity of Joseon since the 17th Century. It was an effort to stay faithful to the fallen Ming, former ally, and to maintain at least in spirit the Ming-centered cultural order in East Asia. In such an intention, Joseon continued to praise the war dead, the loyal retainers, and the patriots who were victimized in Imjinweran(壬辰倭亂) or in Byeongjahoran(丙子胡亂) war. That was because they were considered contributors to defending the regime and the state. Especially after the defeat in Byeongjahoran(丙子胡亂) and the humiliating incident when Joseon king surrendered to Qing, China, Joseon people began to raise voices for revenge against Qing. The death of Kim Eung-Ha in the Sarhu Battle who had fought against Later Jin(Qing), got to carry greater meaning.The first and the second editions of Chungnyeollok each contains a portrait of Kim Eung-Ha, and four pieces of woodblock prints describing Kim Eung-Ha’s military actions, which are noteworthy examples of war painting. The prints in the first edition of Chungnyeollok were designed after the Jeongchungnok, the book about the patriotic deeds of Yue-Fei (岳飛) of Southern Sung, China. The Jeongchungnok, which was published between 1522-1566 was imported to Joseon in 1584, and was republished in Joseon at the order of King Seonjo. Unlike the the books, Donggukshinsok Samganghaengsildo(東國新續三綱行實圖) or Hangeuishinpyeon (抗義新編) which also deal with the war veterans of Imjinweran, the fact that Chungnyeollok took Chungnyeollok as a model can be because they both praised the generalwho fought against the Jurchins.

      • KCI등재

        『金將軍遺事』연구 - 김응하 『충렬록』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

        이송희 열상고전연구회 2019 열상고전연구 Vol.68 No.-

        Commemoration of the loyalty became a “national” policy as well as family family business after two major wars in late Chosŏn. In the fiver of making war heroes, the case of General Kim Kyung-seo is interesting because he is the one who ignominiously surrendered to the army of Qing in the battle of Sarhu. Those who wanted to save him from the bad reputation had to explain and justify his choice. Kim-janggun-yusa(金將軍遺事), edited by Yi Sihang (李時恒, 1672-1736) and published in 1738 in Pyeong-yang is the key text used to vindicate and commemorate the general. This thesis read the memorial to Kim in the context of Sarhu narrative in Chosŏn Korea, especially regarding to Chungnyeollok for Kim Eung-ha, who represented Chosŏn’s loyalty to Ming China. Kim Eung-ha was made to be a heroic figure by Chosŏn court, in an urgent need to make a proper excuse for their surrender to Qing. By highlighting and commemorating Kim Eung-ha, who died bravely in the battle, Chosŏn could make those surrenders as betrayers to Ming, and to Chosŏn itself. As a result, Chungnyeollok for Kim Eung-ha became the center of narrative of Sarhu battle in Chosŏn, and thus other memoirs had no choice but to correspond to it to justify themselves. Kim-janggun-yusa was also written in the relation with Chungnyeollok, explaining, advocating and justifying Kim Kyung-seo against critical records about him in the previous documents. And it succeeded. 양란 이후 충신열사 현양사업은 국가적으로나 각 가문에게나 중요한 사업이었다. 경쟁적으로 이루어진 현양사업 가운데에서도, 김경서가 충신으로 현양되는 과정은 무척 흥미롭다. 김경서는 심하전투 당시 강홍립과 함께 투항한 인물이기 때문이다. 자연 그를 현양하고자 하는 측에서는 김경서의 행적을 정당화해야만 했다. 평양 출신의 이시항(李時恒, 1672-1736)이 편찬하여 1738년 간행된 『김장군유사(金將軍遺事)』는 이 과정에서 편찬된 핵심적인 자료이다. 여러 텍스트들에서 김경서가 어떻게 표상되는지 그 차이에 주목한 선행연구들의 성과 위에서, 본 연구는 『김장군유사』를 심하전투 담론의 핵심을 차지하고 있던 김응하의 『충렬록』과의 관계망에 두고 독해하고자 한다. 김응하는 강홍립이 금군에 투항한 일에 대한 알리바이가 필요했던 조선 조정이 내세운 인물이었다. 장렬히 전사한 김응하를 내세움으로써 조선은 투항한 강홍립을 배신자로 만들 수 있었고, 그 덕에 명에 대해서도 그리고 자신의 역사에 대해서도 변명할 수 있었다. 때문에 심하전투 서사들 가운데서 김응하의 『충렬록』은 중요한 하나의 축으로 존재하며, 여타의 심하전투 서사들은 『충렬록』과 대화적 관계를 맺고 있다. 항장인 김경서를 변명하기 위해 편찬된 『김장군유사』 역시 애초부터 『충렬록』과의 관계를 의식하고 서술되었다. 『김장군유사』는 『충렬록』에 나타나는 김경서에 비판적인 서술에 대해 설명하고 방어하며 또한 김응하를 수식하는 레토릭들을 빌리기도 하면서 김경서를 충신으로 만들어갔으며, 상당 부분 성공을 거두었다.

      • KCI등재

        해암(懈菴) 김응정(金應鼎)의 가곡(歌曲)에 대한 후대인의 평가와 그 의의

        박명희 한국문학회 2021 韓國文學論叢 Vol.89 No.-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next generation’s evaluation of Haeam Kim Eung-Jeong’s songs and suggest the meaning. Kim Eung-Jeong travelled a lot to search for good sceneries as he liked nature and sometimes built pavilions at the places he visited to take a rest during traveling. Also when he was inspired to write songs, he expressed what was felt to his heart’s contents. As a result, the following songs were created and have been inherited: 「Munmyeong- Myoseung-Hajak」ㆍ「Sobunseol」ㆍ「Jikchop-Hajak-Chabulki」ㆍ「Kimbyeong -Sapina-Sijak-Chajeongji」ㆍ「Munbanjeong」ㆍ「Tangongja」ㆍ「Cheokgeo -Hwungdang」 and 「Gamhui」. This study categorized next generation’s evaluation after his death into three parts: First, mourners’s evaluation was investigated. When Kim Eung-Jeong was dead, many poets wrote poems expressing sorrow. Extant poems were 「Aekimchusa」 by Baek Sang-Hyeon, 「Eungwalhaeam Kimcheosamun」, 「Woochudosamjeol」 and 「Wooeun- gwalbong-myeonggyeol」 by Seo Bong-Ryeong, 「Chaseomaehak- Eungwalgagokun」 by Yoon Hang-Seo, 「Chamaehakundohaeam」 and 「Woohwadorigok」 by Shin Myeong-Gyu, 「Chuhoisunsaengun」 and 「Woochabonghwangdaeun」 by Lee Mong-Je. This study gave a focus on the evaluation of songs. Second, what was evaluated on his literary works was extracted from 「Kimhaeam Gagok Jipseo」 by O Ee-Geon and 「Jehaeam Gagokjiphu」 by O Hee-Gyeom, and 「Jeseonsengjiphu」 by Choi Jeong-Ik. Third, this study listened to what Lee Ha-Gon, a scholar painter and reviewer of the late Joseon period, evaluated his literary works. It was considered that Lee Ha-Gon’s evaluation has meaning in that what was heard from Gangjin was recorded long after Kim Eung-Jeong was dead. Finally, this study pointed out that next generations mentioned 「Munmyeong-Myoseung-Hajak」 and 「Munbanjeong」 the most. Kim Eung-Jeong was lived in Gangjin far away from Seoul as well as he was not an official. However, this study gave a meaning to the fact that next generations have continuously recognized his literary creativity. 본 논문은 해암 김응정의 가곡에 대한 후대인들의 평가 내용을 정리하고, 그 의의를 언급하는 것을 목표로 정하였다. 김응정은 느낌을 받으면 노랫말을 지어 가슴 속에 와 닿는 것을 힘껏 풀어내었는데, 그 결과 「문명묘승하작」ㆍ「소분설」ㆍ「직첩하작차불기」ㆍ「김병사피나시작차증지」ㆍ「문반정」ㆍ「탄공자」ㆍ「척거흉당」ㆍ「감회」 등의 가곡을 창작해 현재까지 전승되고 있다. 김응정 사후 후대인의 평가는 크게 세 갈래로 나누어 논의하였다. 첫째, 애도 시인들의 평가 내용을 살폈다. 김응정이 세상을 뜨자 여러 사람들이 그의 죽음을 애도하는 시를 남겼다. 현재 남아있는 시 작품으로는 백상현이 지은 「애김처사」, 서봉령이 지은 「은괄해암김처사문」 및 「우추도삼절」, 「우은괄봉명결」, 윤항서가 지은 「차서매학은괄가곡운」, 신명규가 지은 「차매학운도해암」 및 「우화도리곡」, 이몽제가 지은 「추회선생운」 및 「우차봉황대운」 등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작품 중에서 가곡을 평가한 것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둘째, 오이건이 쓴 「김해암가곡집서」와 오희겸이 쓴 「제해암가곡집후」, 최정익이 쓴 「제선생집후」에 담긴 김응정의 문학 작품 평가 관련 내용을 추출해 실상을 파악하는데 주력하였다. 셋째, 조선 후기의 문인화가이자 평론가인 이하곤의 평가 내용에 귀를 기울였다. 이하곤의 평가는 김응정 사후 시간이 많이 흐른 시점에 강진 현지에서 들은 내용을 기록을 했다는 점에 그 의의가 있는 것으로 보았다. 마지막으로, 후대인들은 김응정의 가곡 중에서 「문명묘승하작」ㆍ「문반정」 두 작품을 가장 많이 거론했음을 특징으로 언급하였다. 또한 김응정은 벼슬을 했던 사람도 아니고, 더군다나 서울과 멀리 떨어진 강진에서 살고 있었다. 그럼에도 그의 작품성을 인정하고, 후대인들이 지속적으로 평가했다는 점에 그 의의를 부여했다.

      • KCI등재

        김응하 『충렬록(忠烈錄)』 판본 변개 과정과 그 의미

        이송희 ( Lee Song-hee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9 儒學硏究 Vol.46 No.-

        김응하(金應河, 1580-1619)는 오늘날에는 대중적으로 알려져 있지 않으나, 심하전투에서 항전하다 장렬히 전사한 까닭에 전사 직후부터 조선 후기까지 대명의리의 상징과도 같은 인물이었다. 김응하를 기념하기 위한 『충렬록』 간행 역시 광해조부터 정조조까지 무려 네 차례나 이루어졌으며, 현재까지도 여러 판본들이 전해지고 있다. 본고에서는 먼저 간행년도가 확실한 정조 22년의 『중간충렬록』을 제외하고 서발문을 비롯 완전한 체재를 갖춘 판본들을 A 계열로, 박희현의 「김장군전」과 유몽인·이염영의 후서(後敍), 그리고 김응하 만시들로만 이루어진 판본들을 B 계열로 분류하고, 이후 자체나 내용상의 차이에 따라 A’와 B’로 판본의 계열을 세분화했다. 그 결과 그간 학계에서 초간본으로 여겨지던 규장각본(규장각 古貴 923.55-G417c)은 A’ 계열에 속하며, 대신 고려대 화산문고본 등 A 계열의 판본이 이보다 앞선 판본으로 보인다는 점을 밝혔다. 한편 초간본(신유본)에는 이이첨을 비롯 인조반정으로 숙청된 인물들의 글이 상당수 수록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종 연간까지 별다른 산삭 없이 수차례 간행되었음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정조 22년 발간된 『중간충렬록』에서는 보다 방대해지고 체계적이 된 체재와 함께 북인계열에 속하는 인물들의 글을 「시문별집」으로 따로 분류했다는 점이 특징이다. 이러한 판본들간의 차이를 통해 우리는 김응하에 대한 현양사업이 초간 당시에는 대명 외교의 맥락에서, 정조 때에는 ‘중화회복’에서 ‘중화계승’으로 변화해간 조선 대명의식의 맥락에서 이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김응하에게서 북인의 색채를 탈색시키고 대신 노론계의 춘추의리 담론으로 포섭하는 일련의 시도가 포착된다. Kim Eung-ha, who died in the Battle of Sarhu, was a symbolic figure of loyalty to Ming Dynasty in late Choson Korea. Chungneyllok which was a memorial for Kim had published four times from from 1621-1796. This study reviews existing copies of Chungyellok, categorizes them in four groups, and speculates its publishing date and analyzes the differences of each edition. As a result, Chungnyellok seems published several times based on its first edition till late 17<sup>th</sup> Century, regardless of the fact that the book contains writings and poems of “traitors” of King Injo’s Restoration (仁祖反正). Compared to the former editions, the last edition published in 1796 is much more sophisticated and completed one and removed the works of the politically problematic figures from its main text. By reviewing those copies, we can find out that the first edition had to published in the diplomatic situation after the Battle of Sarhu to enhance its relationship with Ming Dynasty because two other Choson generals chose to surrender to Manchurians. But the 18<sup>th</sup> Century edition shows the tendency of changing identity of Choson as “little China (小中華)” after the fall of Ming Dynasty. Kim Eung-ha was also repainted as a loyal subject of Ming, rather than a guardian of Choson.

      • KCI등재

        조선후기 김경서 현창의 추이와 당대사적 의미

        장정수(張禎洙) 한국역사연구회 2020 역사와 현실 Vol.- No.115

        Explored in this article is how Vice Commander(Bu-Weonsu) Kim Gyeong-seo, who joined the Shimha war only to be captured as a prisoner of war and later died in Hu-Geum, was commemorated posthumously, and why. At the Shimhar war, many Joseon soldiers were either killed or captured. However, while the former were hailed as loyal victims and commemorated in the name of loyalty and dignity[忠節], the latter were condemned as traitors[逆節]. Case of Kim Gyeong-seo belonged to the latter, as he was criticized –along with Do-Weonsu(Supreme commander) Kang Hong-rib- just for the reason that he was captured. Compared to the ongoing praise of Kim Eung-ha who was known to have valiantly struggled and then got killed, the evaluation of Kim Gyeong-seo was quite harsh. Then, later the fact that Kim Gyeong-seo was actually killed by Hu-Geum was revealed and disclosed to the public, so his honor was reinstated along with his earlier position, and a new title was even bestowed posthumously. It seemed like his name was being finally cleared from that of a ‘surrenderer.’ Yet in reality, for quite some time, his reputation remained somewhat murky, between ‘loyal’ and ‘disloyal,’ as there was an opinion –supported by many- which believed while his case certainly merited a sympathetic reevaluation, the fact that he surrendered could not be ignored. But in the latter half of the 18th century, the sense of obligation to ‘honor the true master race(in this case, the Chinese Ming dynasty)’ began to form rather dominantly, and a new effort to commemorate Kim Gyeong-seo was initiated. He was hailed as a “Loyal vassal,” and in the 19th century he was even cited as a symbol to propagate an agenda of the time, which was to ‘uphold a righteous cause,’ commemorating Ming. In the process of his being reevaluated and newly honored, the evaluation of Gang Hong-rib, who was known to have surrendered to Hu-Geum with Kim, deteriorated. Gang’s surrender was defined as an act following former king Gwang’hae-gun’s secret order, and the Shimha battle was redefined as a battle that cost many lives in the name of honoring the true legitimate (Ming) dynasty. Such definitions were meant to strengthen Joseon’s new identity as the bearer of the Sino-centric traditions, while the dynasty itself was being forced to serve the ‘barbaric’ Qing.

      • KCI등재

        忠烈錄 소재 「贈遼東伯詔」의 위작 여부에 대한 일고찰

        최혜미 우리한문학회 2019 漢文學報 Vol.40 No.-

        This thesis examines Jeung-yodongbaek-jo (贈遼東伯詔) known as a certificates of appointment of Kim Eung-ha, Joseon general who died in the battle of Sarhu, as Lord of Yodong made by Ming Emperor Sinjong. The document was included in the book of Chungyeollok, a commemorative anthology for Kim Eung-ha published in 1612, regardless of the ongoing controversies surrounding its authenticity. After its publication, Song Si-yeol, one of the most influential politician-scholars of the period, advocated its genuineness in writing the general’s mortuary monument, but the debate continued because there was no official record on the certificates and its writing style was too shabby. Still, King Jeongjo himself declared its authenticity to finish the controversy, and the appointment of Kim as Lord of Yodong became official history afterward. Except the fact that there is no historical record or evidence to prove its genuineness, the document itself supports the possibility of forgery, because its literary is far below expectation on certificates of appointment given by the emperor, which should be written in strictly tuned style by high ranking erudite scholar-official. Firstly, the certificate was written outside the form of official document of Ming dynasty. Second, major part of the document is a kind of parody of Confucian classics, rather than elaborated literature. Thirdly, the sentences have a low standard of writing. The same vocabularies are repeated too many times and the sentence structure is too plain for certificates to grace someone with a title. As a conclusion, it is hard to believe this document is authentic. 본고는 명나라 신종 황제가 김응하에게 요동백을 증직하며 하사했다고 알려진 작품인 「贈遼東伯詔」를 고찰한 연구이다. 이 작품은 김응하의 功烈을 선양하기 위해 1621년에 편찬된 책인 『충렬록』에 수록되어 있는데, 당시부터 김응하의 요동백 증직과 「증요동백조」는 그 진위를 두고 논란이 분분했던 사안이었다. 이후 송시열이 ‘요동백 김응하’의 묘비를 작성하며 이 글을 진본이라고 언급하였으나 국내외의 공식 기록에 관련 내용이 전무하고 조문 자체의 수준이 매우 낮아 위작 의혹을 불식하지 못하였다. 정조 대에 들어 왕이 직접 「증요동백조」를 진본으로 공인하여 위작 논란을 종결지은 이후에야 김응하의 요동백 증직은 기정사실이 되었다. 한·중의 사료에서 관련 내용을 찾을 수 없다는 것 외에 「증요동백조」 위작론의 가장 확실한 근거는 작품 자체이다. 조령문은 대학사가 황제를 대신하여 엄밀한 형식을 갖춰 짓는 글인데, 이 작품은 그 기대 수준에 미치지 못하였기 때문이다. 첫째, 작품의 체제가 명대 관방 문서의 일반적인 형식에 부합하지 않는다. 둘째, 경서의 구절과 상황을 원용한 서술이 많아 문식을 가한 글이라 보기 어렵다. 셋째, 동일한 단어를 과도하게 반복 사용하고 어휘와 문장 구조가 지나치게 단순하여 행문의 수준이 매우 낮다. 이상의 정황을 토대로 본고에서는 「증요동백조」가 진본임을 확정할 수 없다는 잠정적인 결론에 도달하였다.

      • KCI등재

        석재(石齋) 서병오(徐丙五, 1862~1936) 묵란화 연구

        이인숙 ( In Suk Lee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14 嶺南學 Vol.0 No.26

        석재(石齋) 서병오(徐丙五, 1862~1936)는 근대기 대구를 중심으로 활동한 시서화 삼절의 서화가로 서예와 사군자화 위주의 작품을 1920~30년대에 많이 남겼다. 서병오는 이하응, 민영익과 직접 교유하며 그들의 묵란법에 영향을 받아 개성적인 ‘석재란’을 이루었다. 석재란은 사군자화의 군자적 상징과 서예적 필획 대신 길상성, 시각성이 강해져가던 근대기에 전통적인 의미상징을 충실히 보전하며 다양한 유형의 묵란을 자신만의 필묵미로 표현했다. 서병오의 사군자화관은 김정희의 영향을 받은 사의(寫意) 중심의 문인화론이다. 서병오는 당시의 ‘미술’을 형사(形似)로 규정하며 전통회화의 사의와 차별된다고 하였다. 서병오는 사군자화에 있어서도 미려한 장식성과 시각적조형성이 우세해져가는 시대적 상황에서 높은 인품을 지닌 서예가이자 사군자화가인 청나라 정섭(鄭燮, 1693~1765)을 언급하며 작가의 인품과 서예가사군자화에 필수적임을 강조하였다. 서병오 묵란화의 초기는 1909년(48세)까지로 화보류와 이하응의 영향을 받은 시기이며, 중기는 상해에 장기간 체류하며 민영익과 교유하고 돌아온1910년(49세)부터로 이때부터는 민영익의 건란 난법을 구사하게 된다. 후기는 1922년(61세)부터 작고하기까지로 운미란을 계승한 위에 자신의 고유한 난법과 필묵미가 나타나는 석재란의 시기이다. 석재란의 특징 중 하나는 다양한 유형으로 그려졌다는 점이다. 서병오는 민영익의 노근란(露根蘭)을 1910년 한국에서 그려 운미란을 국내에 알렸고, 이하응의 영향을 받은 석란(石蘭)과 현애란(懸崖蘭)을 자신의 필묵법으로 개성화하여 그렸다. 석란을 가장 많이 그린 것은 이하응 이후 묵란의 유행이기도 하였지만 불변부동 한 돌의 군자성에 대한 공감이 있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지초와 난초가 함께 벗하는 전통적인 군자의 상징을 지란(芝蘭)으로 그렸고, 만년의 무심함 속의 함축적인 필묵미를 분란(盆蘭)으로 보여주었다. 서병오는 난초가 마치 좁고 험한 지형의 골짜기에서 무리지어 자라는 듯 총총히 잇대어 구성한 곡란(谷蘭), 난초 잎을 한 줄로 꿰어 엮은 듯 중첩시키면서 위로 뻗어 올린 난 부케와 같은 인란(□蘭)의 도상을 창안했다. 곡란과 인란은 공자와 굴원으로 소급되는 난초의 역사적 상징성을 묵란의 한 유형으로 구체화한 서병오의 특징적인 도상으로 주목된다. As a painter of poetry, calligraphic work, and painting, who was mainly active in modern Daegu, Seokjae(石齋) Seo Byeong-oh(徐丙五, 1862~1936) left many expressing an artist`s inner world painting style of ink orchids in 1920`s and 30`s. Seo Byeong-oh considered that the spirit of a painter in Four Gracious Plant Paintings is very important since the dignity of paintings is closely related to the personality of a painter. He thought that calligraphic training is the basic requirement to reveal the spirit of a painter in Four Gracious Plant Paintings. Seo Byeong-oh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calligraphic training in Four Gracious Plant Paintings with the example of Pangyo Jeong-seob, who was a calligrapher and a Four Gracious Plant Painter with great personality. The early stages of Seo Byeong-oh`s ink orchids was by 1909(the age of 48), and he was influenced by Seokpa Yi Ha-eung(1820~1898) and painting manuals. The middle period begins from 1910(the age of 49) after his long trip to Shanghai in China. From this time on, Seo Byeong-oh made a good command of Geonran(建蘭) of Unmi Min Young-ik(1860~1914). The latter part was from 1922(the age of 61) till his death, and, succeeding to ``Unmi Orchid Style(芸楣蘭)``, this is considered to be ``Seokjae Orchid Style(石齋蘭)`` period, which revealed his own unique characteristics with pen and ink. Seo Byeong-oh succeeded to Min Young-ik`s orchid painting techniques and achieved Seokjae Orchids with his own characteristic pen and ink style. Seo Byeong-oh painted various ink orchids such as Nogeunran(露根蘭), orchids with exposed roots, Seokran(石蘭), orchids with rocks, Hyeonaeran(懸崖蘭), orchids with cliff backgrounds, Jiran (芝蘭), orchids with Lingshi mushroom, Bunran(盆蘭), orchids in flowerpot or pot, Gokran(谷蘭), orchids painted as if they are climbing along the valley, Inran(인蘭), orchids painted as if the stems are threaded in one string etc. Especially, Gokran and Inran are Seo Byeong-oh`s characteristic picture images that are faithful to the historic symbols of ink orchids.

      • KCI등재

        18, 19세기 시화(詩話) 편찬자의 서간문에 나타난 시학(詩學) 담론

        김보성 ( Kim Bo-sung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5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3 No.1

        본고는 18, 19세기에 詩話를 편찬한 김창협, 신정하, 성해응, 김정희 등이 서간문에서 펼친 시학 담론의 양상을 살폈다. 조선 문인의 시문관은 시화를 비롯하여 서간문, 서발문 등에 주로 보이는데, 여기에서는 분석 대상을 ‘조선 후기 시화 편찬자’로 한정하고 그들의 ‘서간문’을 중점적으로 살펴, 당시 시문 비평에 깊은 관심을 보였던 조선 문인 사이에서 오간 시학 담론의 실체를 파악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18, 19세기 시화 편찬자의 서간문에서 시학 담론은 크게 시 학습[學詩]에 관한 담론과 시 작문[作詩]에 관한 담론으로 나뉘는데, 18세기에는 ‘初唐·盛唐·中唐·晩唐 네 시기를 고루 학습’, ‘기발한 격조를 추구하는 열풍을 경계’하는 것에 관한 논제가, 19세기에는 ‘唐詩의 경지에 오르기 위해 淸詩부터 단계별로 학습’, ‘시어·시구를 정미하게 고증’하는 것에 관한 논제가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이를 통해 19세기 시학 담론이 18세기에 비해 학시 범위의 논의 수준은 광범위해지고, 작시 방법의 논의 수준은 정교해지는 일련의 변화를 파악할 수 있다. The current paper addresses discussions on poetry in the letters by 18th-19th ShiHua(詩話: collection of criticisms about poets) writers including Kim Chang-huep(金昌協), Shin Geong-ha(申靖夏), Sung Hae-eung(成海應), and Kim Jeong-hui(金正喜). Other than ShiHua(詩話), Joseon(朝鮮) Dynasty writers’ views on poetry and prose can be observed also from letters, prefaces or epilogues. In particular, this paper focuses on 18th-19th ShiHua(詩話) writers and their letters in order to examine discussions on poetics among literary men of Joseon(朝鮮) who were interested in poetry criticism. In the letters by poet-critics during the 18th and 19th centuries, discussions on poetry can be divided into two types. One type of discussion is on methods for studying poet[學詩法], while the other type of discussion is on methods for writing poet[作詩法]. Topics of the letters during the 18th century were focused on covering all different periods of Tang(唐) including ChuTang(初唐), ShengTang(盛唐), ZhongTang(中唐), WanTang(晩唐) and resisting fancy, emotional expressions. However, topics of the letters during the 19th century were focused on particular topics such as ‘step by step learning from Cheng(淸) poet to become a Tang(唐) poet’ and ‘deep thinking on poetic words and verses.’ Through these changes in topics in different periods, the current paper recognizes that discussions on poetry in the 19th century covered more various areas and were more sophisticated than those in the 18th century.

      • KCI등재

        탈북디아스포라로 살펴본 국가 의미의 재고(再考)

        이성희(Lee, Sung-hee) 우리말글학회 2014 우리말 글 Vol.63 No.-

        본고는 누가 민족국가를 노래하는가에서 언급한 국가의 의미를 바탕으로 21세기 국가의 의미를 되짚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탈북민이 등장하는『빛의 제국』과 『국가의 사생활』을 텍스트로 삼아 남북한의 상황 그리고 그 속에서 소외받은 국가의 소수자가 국가 구조와 어떻게 조응하며, 어떤 존재론적인 고민에 놓이는가를 고찰해 보았다. 이를 살피기 위하여 국가의 의미를 구속방식과 존재방식으로 분리하여 텍스트와 접점을 고민해보았다. 우선, 『빛의 제국』에서는 체제가 다른 두 국가의 국적을 가진 경험이 있는 이주민이지만 두 나라를 통제하는 방식은 ‘우리 식으로 잘 살자’라는 구호로 동일한 원리가 작용하고 있다는 것이다. 『국가의 사생활』에서는 통일대한민국에서 법적 신분을 제외한 나머지는 모두 사생활로 치부되는 존재들을 통해 식민지를 복속한 과거의 제국주의처럼 또 다른 형태의 식민지배의 위험성을 노출하고 있는 국가의 구속양식을 엿볼 수 있다. 둘째로 이러한 통제 하에서 이들의 존재론적인 고민은 크게 두 방향으로 나아가는데, 그것은 권태와 무기력으로 적극적인 수동의 자세를 견지하여 스스로 제국의 희생양을 자처하거나 아니면 시민권과 권리를 위해 저항과 투쟁의 모습으로 폭주하는 형태를 띤다. ? 『빛의 제국』과 ?『국가의 사생활』에 등장하는 탈북민들은 국가의 소수자이기도 하지만 엄연히 역사적 실체로 존재하는 자들이다. 그러나 남한사회에서 현실적 처지는 국가의 고아이다. 이들의 모습은 신자유주의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 모두에게도 국가란 이런 모습으로 다가올 수 있음을 경고하고 있다. 따라서 본고는 국민의 안전을 희생시키는 오늘날의 현실에 비추어 볼 때 21세기 국가의 의미와 역할을 되새기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explores the meaning of 21st century country. As the target was a novel appeared that people who escaped the North in the text. The state exists for us to redeem us at the same time. Therefore, this separation was applied to each of the text. People who escaped North Korea that appeared in the novel that the 『light of the empire』 and ?『the nation of private life』 is a people that exists as a certain and historical entity at the same time in the minority. However, in Korean society they are a "country of orphans". Such a figure is, has warned that it is like figure of our country to live a new liberalism. Therefore, in this paper, when you look at the country of appearance to sacrifice public safety, it will be possible to provide an opportunity to rethink the meaning and role of the 21st century count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