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실천적 지혜(phronesis)에 비추어 본 수업설계자의 전문성 재고

        유영만 한국기업교육학회 2015 기업교육과인재연구 Vol.1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n alternative perspective of instructional designer’s expertise from the lens of phronesis and draw the implications of phronesis for developing instructional designer’s expertise. Three different paradigms of instructional designer’s expertise are critically reviewed in order for this study. That is to say, there are technical rationality that is seen expert’s competencies as instructional designer’s expertise, practical rationality regarded instructional designer’s expertise as reflection in and on the process and result of designing instructional systems, and practical wisdom that has been emerged as a result of an alternative approach to technical and practical rationality in the field of instructional design. Aristotle defines phronesis in the Nicomachean Ethics as 'a true and reasoned state of capacity to act with regard to the things that are good or bad for man. It then clarifies phronesis as the core of an excellent instructional designer’s expertise by reinterpreting instructional designer’s expertise from the perspective of pheonesis. The final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the implications of phronesis as an alternative paradigm to technical and practical rationality for developing the right instructional designer who has phronesis as well as epiteme and techne beyond a competent instructional designer. 본 연구는 Aristotle의 실천적 지혜(phronesis)에 비추어 수업설계자의 전문성에 대한 대안적인 관점을 정립하고, 이것이 미래의 수업설계자 육성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수업설계자의 전문성을 바라보는 다양한 접근을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 비판적으로 논의한다. 전문성을 바라보는 세 가지 패러다임은 우선 능숙한 수업설계자가 보유하고 있는 역량을 수업설계자가 갖추어야 될 전문성으로 바라보는 기술적 합리성, 수업설계자의 설계 행위 과정 및 결과에 대한 성찰을 전문성 축적의 과정으로 바라보는 실천적 합리성, 마지막으로 기술적 합리성과 실천적 합리성의 한계와 문제점을 비판하고 대안으로 등장한 실천적 지혜다. 실천적 지혜는 특정한 환경에서 특정한 대상에게 특정한 시점에 맞추어 올바른 일을 올바르게 판단하고 추진하는 능력이다. 이어서 본 연구는 수업설계자의 전문성을 실천적 지혜에 비추어 재해석함으로써 탁월한 수업설계자가 갖추어야 될 전문성의 본질과 핵심이 바로 실천적 지혜에 있음을 밝혀보고, 기존의 역량 중심 ‘능숙한 수업설계자’를 넘어서 이론적 지식과 기술적 지식은 물론 도덕적 판단능력을 겸비한 ‘올바른 수업설계자’를 육성하기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 KCI등재

        디자인 사고의 본질을 반영한 수업설계모형의 효과 분석

        박기용(Park ki y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3

        본 연구는 “디자인 사고의 본질을 반영한 수업설계모형(박기용, 2016)”을 중등 예비교사 교육에 활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2015년과 2016년 각각 00대학 교직과목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을 수강 신청한 30명과 35명의 예비교사에게 디자인 사고의 본질을 반영한 수업설계모형을 활용한 수업설계 교육을 실시하였다. 디자인 사고의 본질을 반영한 수업설계모형의 효과는 Kirkpatrick(1994)의 4수준 평가모형을 활용하며, 예비교사들이 수업설계모형을 학습한 결과에 대한 반응(reaction), 학습성과(learning), 성찰(reflection) 측면에서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대부분의 예비교사들은 수업설계 활동이 본인에게 도움이 된다는 반응을 제시하였으며, “수업설계안과 사고방식”이 긍정적으로 변화하였다. 첫째, 예비교사들이 수업설계모형 학습전·후에 작성한 수업설계안에 대한 전문가 평가와 예비교사 자기평가 모두에서 변화가 나타났다. 특히 목표와 수업요소 간의 연관성 영역에서 상당한 향상이 이루어졌다. 둘째, 예비교사가 스스로 수업설계 활동 변화에 관하여 성찰한 결과, 예비교사들은 수업을 설계하는 방법을 이해하게 되었고, 기존 수업설계안의 문제를 파악하고 개선하는 과정에서, 완성도 높은 수업을 설계할 수 있었다는 긍정의 반응을 나타냈다. 특히, 예비교사들은 수업설계 활동의 모든 초점은 학습자의 학습과 변화에 있다는 것을, 수업을 설계하는 경험의 중요성을, 수업을 설계하는 것은 지속적인 노력과 경험이 필요하다는 것을, 무엇보다 수업설계모형에 대한 학습경험이 향후 수업설계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판단과 자신감이 생겼다는 반응을 보였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결론과 후속연구를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research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instructional design model based on the nature of design thinking(DT-IDmodel) on secondary pre-service teacher’s instructional design activities. The effects of DT-IDmodel were tested by investigating 65 secondary pre-service teachers’ reaction, learning, and reflection of DT-IDmodel, using Richey & Klein(2007)’s Model validation research method and Kirkpatrick(1994)’s the four levels evaluation model. The results of study, pre-service teachers react that DT-IDmodel were of help to designing instruction. But pre-service teachers have some difficulties discovering instructional problems, developing instructional solutions. Pre-service teachers’ designing and thinking of instruction were changed positively by learning the DT-IDmodel. Especially, Pre-service teachers’ design activities were improved in objectives and interrelations of instructional components. The pre-service teachers’ reflections on the differences of instructional design between pre-design and post-design were that they understand instructional design method, design the better instruction in the process of discovering instructional problems and developing instructional solutions.

      • KCI등재

        사회역학적․행동경제학적 관점에 비추어 본 대안적 수업설계 방향과 전략수립 논의

        유영만,최수진,이은택,설동준,이정훈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18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4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irection of alternative instructional design by combining the theoretical concept of social-epidemiology and behavioral economics to instructional design. Social epidemiology is a methodology that takes the approach of finding the cause of an illness in the social structural context. Behavioral economics is a theory focuses the characteristics of human beings who choose and act on the basis of limited rationality. Insight of social epidemiology is to be able to reflect on the limitations of existing instructional design in the view of learning disabilities, and the methodology of behavioral economics provides methodological implications for promoting healthy learning. In this study, the implications of social epidemiology in instructional design are as follows: (1) ecological instructional design, (2) social instructional design (3) multi-level instructional design (4) lifelong instructional design. In addition, in the methodology of behavioral economics, (1) default design to provide essential experience to learners, (2) affordance design to design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and environment, (3) feedback loop design to support continuous growth of learners, (4) coherent design that focuses on the early experience which constructs a learner's thinking frame. The four directions and four strategies are matched in the order of direction and strategy, and finally it is derived as a guide for alternative instructional design. Through this study, we presented to existing instructional designs (1) the change in instructional design as a change in underlying theory (2) the possibility of methodological changes in instructional design (3) the role of ISDer in the future. 본 연구는 수업설계의 이론적, 방법론적 혁신을 위해 의학 분야의 사회역학 연구의 문제의식과 경제학 분야의 행동경제학적 방법론을 수업설계에 접목하는 것을 통해 대안적 수업설계의 방향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사회역학은 질병의 원인을 개인의 생리학적 특성보다는 그 사람이 속한 사회구조적 맥락 속에서 찾아야 한다는 접근법을 취하는 방법론이며, 행동경제학은 인간은 이기적이고 합리적인 계산 주체라는 고전경제학의 전제를 의심하면서 제한된 합리성을 바탕으로 행동하는 인간에 주목한 경제학 이론이다. 사회역학의 문제의식은 학습장애를 바라보는데 있어서 기존의 수업설계의 한계가 무엇인지 성찰할 수 있게 하며, 행동경제학의 방법론은 건강한 학습을 촉진하기 위한 방법론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역학의 시사점에서 (1) 학습 생태계라는 총체적 관점을 기초로 하는 생태학적 수업설계 (2) 학습자 행동의 사회적 맥락을 고려하는 사회적 수업설계 (3) 학습자 및 학습환경 분석을 다양한 위계에서 진행하는 다수준적 수업설계 (4) 한시적 효과 발휘를 넘어서기 위한 통시적 접근으로서의 생애과정적 수업설계라는 4가지 방향성을 도출하였다. 이와 함께 행동경제학의 방법론에서는 (1) 학습자가 얻어야 할 필수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디폴트 설계 (2) 학습자와 학습환경의 상호작용을 디자인하는 어포던스 설계 (3) 탈맥락적 보상이 아닌 학습자의 지속적 성장을 지원하는 피드백루프 설계 (4) 사고틀을 형성하는 초기 경험에 주목하는 일관성 설계의 전략을 도출하였다. 최종적으로 도출된 방향-전략을 토대로 수업설계를 위한 지침을 제안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기존의 수업설계에 대해 (1) 기저 이론의 변화가 주는 수업설계의 변화 (2) 수업설계의 과정 및 방법의 변화 가능성 (3) 수업설계자의 역할 및 핵심역량의 변화 필요성을 확인하였으며, 미래의 수업설계에 대한 청사진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디자인 교수설계에 관한 연구

        강명지(Myungji Kang) 한국문화융합학회 2023 문화와 융합 Vol.45 No.12

        본 연구는 대학의 디자인 교육에 교육학 분야의 교수설계 이론을 적용하여 다양한 교육 환경, 특히 교수 조건의 다양성 속에서도 공통적으로 활용 가능한 교수학습 설계 및 교수전략의 적용 방안을 제시한다. 특히 라이겔루스의 교수설계 이론과 교수설계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에 주목하고, 교수방법 변인인교수 전략 가운데 학습과제 유형별 교수 전략을 적용하여 대학의 디자인 전공 수업에 사용하는 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하였다. 그 개발 사례로 A대학교의 디자인 전공 교육과정 가운데 ‘사용자 중심 디자인’ 교과목 수업을 적용 대상으로 교수설계를 진행하였으며, 효과적으로 이론을 학습할 수 있도록 개념적용 교수 전략을 활용하여 수업의 교수학습 과정안인 수업 청사진과 제시 자료를 개발하고 예시를 설명하였다. 라이겔루스의 개념학습을 위한 교수전략에 따라 제시 단계, 연습 단계, 피드백 단계의 3단계로 교수설계를 진행하고, 학습할 개념의 결정적 특성과 가변적 특성을 구분하여 학습한 개념을 적용할수 있도록 설계한 수업 청사진의 예시를 제안하였다. 또한 학습자가 선수 지식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있도록 일상에서 공통적으로 경험하는 예들을 연습 사례로 제시하여 흥미와 동기를 유발할 수 있도록고려했다. This research suggests education theories and application methods on instructional-design of design education in universities through applying instructional design theories and methods from the field of education research. Focused on the instructional-design theories of Reigeluth, his models of relationships among instructional variables and instructional strategies on the types of learning were applied to instructional-design of design education in university. As a starting example of instructional-design, the lesson blueprint of the design class, ‘user-centered design’ of university A in Korea was developed based on his instructional strategies leading concept learning. It illustrates instructional-design methods and procedures making concept learning of the ‘conceptual model’ more effective, efficient and appealing to learners according to Reigeluth’s instructional-design strategies.

      • KCI등재

        듀이의 경험철학에 기초한 예비교사의 수업설계 경험의 성장과정 및 교육방안 탐색

        박기용 ( Kiyong Park ) 한국교육공학회 2019 교육공학연구 Vol.35 No.3

        수업설계 행위는 객관적 논리와 주관적 판단, 사고와 행동, 이성·감성·실천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전문적 행위이므로, 예비교사는 전문화된 학습경험을 통해 수업설계 전문성을 성장시켜 나가야한다. 본 연구는 전통철학의 이원론을 비판하면서 이론과 실제의 통합, 이성과 감성의 통합, 마음과 세계의 통합을 강조하는 듀이의 경험철학에 기초하여 예비교사의 수업설계 전문성 개발에 요구되는 경험과 그 성장 과정 그리고 교육적 방안을 탐색하였다. 첫째, 듀이가경험의 본질로서 설명한 ‘능동적 요소와 수동적 요소’, ‘경험과 사고’, ‘질성적 사고와 이성적 사고’, ‘계속성’, ‘교변작용’을 각각 해석한 다음, 이 개념들이 모두 통합되어 경험이 재구성되는 과정으로서 설명한 ‘하나의 경험’을 해석하고 정리하였다. 즉, 경험의 재구성은 인간이 행하는 초기의 불확실하고 시행착오적인 단순한 경험이 환경과의 계속적인 교변작용을 통해 질적으로 변화되는 과정이다. 둘째, 경험의 본질에 기초하여, 예비교사에게 요구되는 수업설계 경험의 본질을 각각 정리한 다음, 기존의 수업설계모형 관점 및 반성 관점과 비교하였다. 마지막으로, 예비교사의 수업설계 경험이 하나의 완결된 경험으로 재구성 즉, 성장해 나가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서, 동시에 각 과정에서 교사교육자가 지원 및 제공해야할 교육활동이나 환경을 제안하였다. 즉, 수업설계 경험의 재구성은 초기의 불확실하고 시행착오적인 단순한 수업설계 경험이 환경과의 끊임없는 교변작용을 통해, 지적·정서적·실천적 활동이 서로 어우러지면서 질적으로 변화되는 과정이다. 따라서 교사교육자는 이 재구성 과정을 이해해야함은 물론이고, 예비교사의 수업설계 “경험의 질의 직접적 변형”을 가능케 하는 교육적 활동을 만들고 실천해야 한다. 무엇보다 교사교육자는 예비교사를 가르치는 사람이 아니라 공동의 경험을 하는 동반자이며 함께 성장해 나가는 존재이다. 예비교사의 수업설계 경험의 성장에 관심과 애정을 가지는 교사교육자는 “서로의 관심을 인정하고 자유로운 상호작용”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는 민주적교사이다. 민주적 교사교육자의 수업설계 교육은 기교에서 예술로 승화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explore the growth and education for pre-service teachers’ instructional design experience based on the Dewey’s philosophy. Firstly, Dewey’s concept of experience was interpreted. This means trying and undergoing, experience and thought, qualitative thought and rational thought, continuity, transaction. Moreover, the process in which all of these concepts are integrated and experience reconstructed was arranged and comprehended. Secondary, from the standpoint on Dewey’s concept about the nature of experience, the nature of instructional design experience was explored in term of ‘integration of instructional design activity with understanding activity about designed instruction’, ‘integration of instructional design experience with thinking’, ‘integration of qualitative thinking with rational thinking in instructional design experience’, ‘integration of past, present, and future’, and ‘transaction with environment in instructional design experience and thinking’. Lastly, the education plan was explored in five steps based on the process of reconstruction of experience. In this method is to support the growing process of instructional design experience of pre-service teachers. To sum up, the emotion of pre-service teachers about their first instruction design activity sets off the reflective thinking. Then, the tentative idea is derived from reflective thinking activities(defining problem, cause analysis, observation of data) and applied for redesign of instruction. This redesigned instruction was implemented and testified. These processes will continue repetitively until negative emotions are not drawn up about the proven results. The reconstruction of instructional design experience is process of the direct transformation of the quality of experience from mere activity throughout interaction with environments. In reconstruction on instructional design experience process, intellectual, emotional, and practical activities were in harmony not in isolation. The educator teaching pre-service teachers need to understand the reconstruction of instructional design experience, design and practice educational approaches for the direct transformation of the quality of pre-service teachers’ instructional design experience.

      • KCI등재

        직접교수모형의 교수전략 온토로지를 기반으로 한 교수학습과정안 설계

        이재무 한국지식정보기술학회 2017 한국지식정보기술학회 논문지 Vol.12 No.1

        This study is to build an instructional strategy ontology to aid the effective design of a Teaching-Learning plan for novice designers who lack instructional design knowledge. Most of designer tend to represent ambiguously the instructional strategy. Therefore they need to provide fluently learning procedures and activities to achieve the learning goals. The Instructional model was selected as a direct instructional model that is appropriate for learning computer skills and is used widely in computer education field. This study constructed instructional strategy ontology for direct instruction model using ontology authoring tools. The study proposes a method for designing a Teaching-Learning plan in addition to analysis effects through the questionnaire. This method uses instructional strategy ontology of direct instruction model that was built by the author. The instructional ontology can be shared and reused among the designers. The proposed method made a Teaching-Learning plan that could describe teacher’ and learner’s activities concretely by decomposed instructional strategy. Finally, it made a Teaching-Learning plan with fluent content using instructional strategy ontology for novice designers. Moreover, it supports a balanced design considering the overall structure through the visual interface. However, we have limitations as this study proposes the only design method for Teaching-Learning plan using instructional strategy ontology. In the future, we will need further researches to support the automatic design of Teaching-Learning plan with intelligent facilities.

      • KCI등재

        STEAM 교육을 위한 교수체제설계 모형 탐색 -Design Thinking을 중심으로

        윤옥한 한국교양교육학회 2017 교양교육연구 Vol.11 No.1

        This study explores the instructional system design model for STEAM education with a focus on design thinking and implications for STEAM education instructional system designers.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curricula are being developed, in a variety of ways and in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at the university of STEAM, using the traditional instructional system design model (ADDIE). However, the ADDIE Model comprises systematic instructional design, which has the advantage of systematic guidance, but some theoretical limitations. In order to develop a program for STEAM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implement instructional system design models that use new approache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traditional instructional system design model. Focusing on design thinking for STEAM education, we have devised a new instructional system design model. For this model, we devised a three-dimensional instructional system design that applied all eight principles of STEAM education. The principles of necessity, object, and fusion in the ADDIE model; the principles of creative design and problem solving in CPS; and the principles of emotional experience, diversity, and integration are emphasized in design thinking. The three-dimensional instructional system design model of is proposed, which focuses on design thinking for STEAM education. The features of the model are as follows: First, the instructional system design model for STEAM education utilizes design thinking. Second, in harmony with each stage, analytical and intuitive thinking were employed to resolve the issue. Third, problems are resolved three-dimensionally at each stage. Fourth, various techniques are used that can be applied at each stage. Fifth, design thinking is used as an important axis. The ADDIE model and CPS were used as an auxiliary axis. 이 연구는 Design Thinking을 중심으로 STEAM 교육을 위한 교수체제설계 모형을 탐색하고, 융·복합교육 교수 설계자들에게 시사점을 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초·중등·대학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다양한 교과에서 융·복합교육 프로그램이 전통적인 교수체제설계 모형인 ADDIE 모형으로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ADDIE 모형은 교수 설계를 체제적, 체계적으로 안내한다는 장점이 있지만 몇 가지 이론적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융·복합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교수체제설계 모형의 한계를 극복하는 새로운 접근 방식의 교수체제설계 모형이 필요하다. 따라서 융·복합교육 특징을 살릴 수 있는 디자인 씽킹을 적용한 STEAM 교육 교수체제설계 모형을 고안하였다. 이모형은 8가지 융·복합교육 수업 원리를 모두 적용하여 3차원의 교수체제설계를 고안하였다. 필요성의 원리, 목적성의 원리, 융합의 원리는 ADDIE 모형에서, 창의적 설계의 원리, 문제해결의 원리는 CPS에서, 감성적 체험의 원리, 다양성의 원리, 통합성 원리는 디자인 씽킹에서 강조하였다. 이러한 특징을 중심으로 디자인 씽킹을 적용한 STEAM 교육을 위한 ‘윤옥한의 3차원 교수체제설계 모형’을 제시 하였다. 모형의 특징은 첫째, 융·복합교육 교수체제설계를 위한 기본 프로세스를 디자인 씽킹으로 활용한다. 둘째, 각각의 단계에서 분석적 사고와 직관적 사고를 조화롭게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해 나간다. 셋째, 각각의 단계에서 3차원적으로 문제를 해결해 나간다. 넷째, 각각의 단계에서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기법들을 활용한다. 다섯째, ADDIE 모형에서 제시하는 분석, 설계, 개발, 실행, 평가가 중요한 축이 아니라 디자인 씽킹을 중요한 축으로 사용하고 기존의 ADDIE모형과 CPS를 보조 축으로 사용하였다.

      • KCI등재

        국내 교수설계 관련 연구동향 분석:『교육공학연구』에 나타난 주제, 방법, 맥락, 키워드를 중심으로

        고보경,임철일,정예일,엄태연 한국교육공학회 2023 교육공학연구 Vol.39 No.2

        Instructional design is one of the major areas of Educational technology, and it has been actively researched in various topics, methods, and contexts since the early 1990s in Korea. However, there are not enough studies on the recent trends in the field of instructional design in particular, the research that examines research contexts and methods beyond the trends of research topics. Accordingly, this study analyzed the trend of research on instructional design in Korea by categorizing papers related to instructional design by research topic, context, method, and keywords over a period of about 12 years from 2011 to 2022. A literature analysis framework was developed through previous studies and expert validation. The keywords were collected from the papers and analyzed for centrality and connectivity among the keywords through network text analysis using Netminer 4.0. As a result, the most frequently studied topics in Korean instructional design research over the past 12 years were ‘instructional strategies and methods’, ‘learner’s characteristics’, ‘instructional system design’, ‘message design’, and ‘instructional design theory in general’, and the most frequently used keywords were ‘instructional design’, ‘academic achievement’, ‘flipped learning’, and ‘cognitive load’. The most common research context was ‘higher education’, followed by ‘K-12 education’. Finally, the most frequently used research methods were analyzed as ‘survey research’ and ‘design and development type 2 research’.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include strengthening the practicality and prescriptiveness of instructional design, expanding collaborative research, and diversifying the factors for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of instructional design.

      • KCI등재

        대학 PBL(Project-Based Learning)의 설계 실태 및 개선방안 탐색

        강정찬(Kang, Jung-cha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

        목적 본 연구는 대학의 PBL을 위한 수업계획서 사례분석을 실시하여 PBL를 적용한 수업설계의 실태를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PBL의 효과적 수업설계 및 실행을 위한 개선방안을 탐색하는 데 있다. 방법 PBL을 적용한 S대학교의 수업계획서 20개 사례를 대상으로 교차사례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수업설계 사례분석 도구를 개발, 적용하였으며, 수업설계의 공통되는 문제점이나 어려움 등을 분석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개선전략, 세부 실천전략을 제안하였다. 결과 첫째, PBL 수업설계의 요소 중에서 가장 적합성이 높게 설계되고 있는 영역은 요구분석 영역이었고, 가장 적합성이 낮게 설계되고 있는 영역은 평가 방법 설계였다. 둘째, PBL의 수업설계 요소 중 수업매체가 효과적으로 선정 또는 설계되지 못하고 있어 적합성이 떨어졌다. 셋째, PBL의 수업과정 및 절차인 과제도입, 과제활동계획, 과제연구, 결과물 표현 등의 세부 수업전략이 주차별 수업계획에 제대로 학습내용과 통합되어 설계되지 못하여 적합성이 낮았다. 넷째, PBL 수업설계의 과제분석을 통해 비구조성, 맥락성, 통합성, 명확성을 갖춘 과제를 선정하거나 설계하여 제시해야 하는데, 과제의 비구조성, 통합성 측면에서 적합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첫째, PBL의 평가는 학습자가 직접 평가에 참여하는 자기평가, 동료평가가 이루어지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피드백을 주고받으며 자기 및 타인 성찰이 이루어지도록 설계해야 한다. 둘째, 수업계획서 양식의 주차별 학습계획에 학습(수업)목표와 수업방법에 따른 적합한 수업매체를 설계하여 기술할 수 있는 부분을 명확하게 마련해 주어 필요한 자료 및 자원, 인지적 도구를 안내해 주어야 한다. 셋째, PBL의 과정 및 절차, 세부 수업전략이 해결해야 할 과제와 관련된 학습내용과 적절하게 통합되어 주차별 학습계획에 설계되어야 한다. 넷째, PBL은 프로젝트 기반 교육과정을 간학문적, 탈학문적 통합을 통해서 편성하고 한 학기이나 몇 주간 이상 다소 장기간 프로젝트 활동이 이루어지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이상의 수업설계 개선전략 및 세부실천전략은 대학에서 교수자가 PBL 수업설계 시 자주 발생하는 문제를 줄여주고, 수업계획의 수월성을 높여 줄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a case analysis of syllabus for PBL of university to understand the actual condition of the instructional design applied with PBL and to explore improvement measures for effective instruction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PBL. Methods The actual status of instructional design was analyzed by applying the cross-case analysis method to 20 cases of the instructional plan applied with PBL. Results First, among the elements of PBL instructional design, the area that was designed with the highest suitability was the demand analysis area, and the area that was designed with the lowest suitability was the area with the lowest suitability was the evaluation method design. Second, among the elements of PBL s instructional design, the suitability was poor as the instructional medium was not effectively selected or designed. Conclusions First, the evaluation of PBL should be designed so that learners directly participate in the evaluation and peer evaluation, and self- and other reflections are made. Second, in the weekly learning plan of the class plan form, the necessary materials, resources, and cognitive tools should be clearly prepared to design and describe appropriate class media according to learning (class) goals and teaching methods. The above instructional design improvement strategies and detailed implementation strategies will reduce problems that often occur when instructors design PBL instruction in university and increase the ease of instructional planning.

      • KCI등재

        교수 온토로지를 이용한 교수학습과정안 작성의 효과 분석

        김두규,이재무 한국지식정보기술학회 2019 한국지식정보기술학회 논문지 Vol.14 No.6

        This study is to design the lesson plan using the instructional ontologies by the novice designers and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designed lesson plan through the blind test. The blind test compares the two methods. One method is to design their own lesson plan using traditional methods by novice designers. Another method is to design lesson plans by means of instructional ontologies for novice designers. The novice designers were randomly divided into two groups, and different development methods were applied to the same subject to develop a lesson plan. These lesson plans were compared through the blind test by eleven experts. As a sequence, experts found out the lesson plans made by instructional ontologies were better than those developed by the traditional method with a reliability of 0.7. The reasons are as follows.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structional model are clearly expressed, and the activities of each step are described in detail. Second, instructional strategies and overall organization are systematic and well planned. The instructional strategies provided in the instructional ontologies assist in the systematic design and the achievement of learning goals. Third, it mentioned each stage of the instructional model is described in detail. In conclusion, the proposed lesson plans using instructional ontologies clearly expressed the instructional model. Their overall composition was systematic, and the instructional strategies were expressed in each step. However, it is necessary to study how novice designers can effectively utilize instructional ontolog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