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More-than-human Geographies of Nature

        Myung-Ae Choi(최명애) 대한지리학회 2016 대한지리학회지 Vol.51 No.5

        ‘인류세’라는 새로운 지질학적 연대가 도래했다는 최근 지질학계의 주장은 인간 사회와 자연을 분리된 것으로 여겨온 기존의 대중적 인식에 균열을 가져오고 있다. 인문지리학자들은 인류세 논의가 시작되기 오래전부터 이같은 이분법적 인식을 해체하고 인간과 자연의 관계를 새롭게 이해하기 위한 이론들을 개발해 왔다. 본 논문은 이같은 이론적 논의의 최전선에 있는 ‘비인간지리학(more-than-human geography)’의 주요 개념, 논쟁, 연구 성과를 소개, 국내 정치생태학 논의의 이론적 지평을 넓히고자 한다. 최근 영미 정치생태학계에서 비인간지리학은 인간-자연 관계를 이해하고 형성하는 데 있어 그간 소외돼 온 비인간 행위자의 활약에 주목함으로써, 인간 행위자 중심의 기존 연구를 발전시킬 수 있는 새로운 이론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 이론은 2000년대 전후 지리학계에서 발생한 ‘물질적, 수행적 전환’에서 출발, 인간과 자연의 물질성에 주목하고, 이를 통해 자연에 대한 구조주의적 이해와 생산주의적 이해를 넘어서고자 한다. 비인간지리학자들은 행위자-연결망 이론, 비재현 이론, 생기철학에 이론적 기반을 두고, 비인간 행위성(nonhuman agency)과 감응(affect) 등의 개념을 통해 인간-자연 관계를 분석한다. 비인간지리학에서 자연은 다양하고 이질적인 인간 및 비인간 행위자들의 수행(performance)에 따른 결과물로 인식되며, 네트워크 행위자들의 다양한 수행에 따라 끊임없이 새롭게 만들어지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같은 혼종적, 과정적, 내재적 존재론에 기반을 두고, 비인간지리학은 비인간 행위자와 비재현적 소통이 인간-자연 관계의 이해와 형성에 깊이 개입돼 있다고 보고, 자연에 대한 정치적, 윤리적 결정에 있어 비인간 행위자를 적극 포함시켜야 한다고 주장한다. The recent diagnosis of the Anthropocene challenges public understanding of nature as a pure and singular entity removed from society, as the diagnosis confirms the earth-changing force of humans. In geography, the nature-society divide has been critically interrogated long before the diagnosis of the Anthropocene, developing several ways of theorizing nature-society relations. This paper introduces a new frontier for such theoretical endeavors: more-than-human geography. Inspired by the material and performative turn in geography and the social sciences around the 2000s, more-than-human geographers have sought to re-engage with the livingness of the world in the study of nature-society relations. Drawing on actor-network theory, nonrepresentational theory (NRT) and vitalism, they have developed innovative ways of thinking about and relating to nature through the key concepts of ‘nonhuman agency’ and ‘affect’. While more-than-human geography has been extensively debated and developed in recent Euro-American scholarship on cultural and economic geography, it has so far received limited attention in Korean geographical studies on nature. This paper aims to address this gap by discussing the key concepts and seminal work of more-than-human geography. I first outline four theoretical strands through which nature-society relations are perceived in geography. I then offer an overview of more-than-human geography, discussing its theoretical foundations and considering ontologies, epistemologies, politics and ethics associated with nature-society relations. Then, I compare more-than-human geography with political ecology, which is the mainstream critical approach in contemporary environmental social sciences. I would argue that more-than-human geography further challenges and develops political ecology through its heightened attention to the affective capacity of nonhumans and the methodological ethos of doing a careful political ecology. I conclude by reflecting on the implications of more-than-human geography for Korean studies on nature-society relations.

      • KCI우수등재

        ‘지리를 가르친다’는 것의 인문학적 의미

        박승규(Seungkyu, Park) 대한지리학회 2019 대한지리학회지 Vol.54 No.1

        이 연구는 지리를 가르친다는 것에 대한 인문학적 의미를 탐색한다. 지리를 가르친다는 것이 학교의 일상적 행위이기 때문이 아니다. 지리를 가르친다는 것에 대한 존재론적 고민 때문이다. 지리를 가르친다는 것은 지리학의 본질에 다가가는 것이다. 지리학의 본질은 땅에 새겨져 있는 흔적을 토대로 인간과 공간의 관계에 대해 살펴보는 것이다. 인간을 대상으로 하는 지리교육이기에 인간의 삶에 대한 관심은 지속하여왔다. 인간의 삶에 대한 이해 역시도 지리를 가르치는 과정에서 중요한 요소였다. 그런 점에서 지리를 가르친다는 것은 인문학적 의미를 담고 있다. 쓸모있고 실용적인 지리적 지식에 대한 교육을 넘어, 진학이나 취직과는 무관한 쓸모없는 무형의 가치를 지닌 지리적 지혜를 가르치는 것, 그것이 지리를 가르친다는 것에 대한 인문학적 의미인 것이다. 나아가, 지리를 가르친다는 것에 대한 존재론적 논의는 지리교육의 존재론적 논의로 연장되고 확장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This study explores the humanities meaning of teaching geography. Teaching geography is not because it is a routine activity of the school. It is because of ontological worries about teaching geography. Teaching geography is about reaching the essence of geography. The essence of geography is to look at the relationship between man and space on the basis of the traces carved on the ground. As it is a geography education for human beings, interest in human life has been continued. Understanding human life was also an important factor in teaching geography. In that respect, teaching geography has the humanities meaning. Beyond education on useful and practical geographical knowledge, teaching geographical wisdom with useless intangible values that are not related to further study or employment, it is the humanities meaning of teaching geography. Furthermore, the ontological discussion of teaching geography is meaningful in that it can be extended and extended to ontological discussion of geography education.

      • KCI등재

        오스트레일리아 빅토리아 주 지리교육과정과 내러티브 지리교과서의 특징

        조철기 ( Chul Ki Cho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13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21 No.1

        이 연구는 오스트레일리아 빅토리아 주 지리교육과정과 이에 근거하여 출판된 내러티브 지리교과서의 특징을 분석한 것이다. 빅토리아 주 교육과정은 ‘학문기반 학습 스트랜드’에 토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교과의 ‘영역’이 구분되어 있는데, 지리는 인문학이라는 학문에 기반하여 Level 1-Level 3까지는 ‘인문학’이라는 영역에서 통합적으로 운영되며, Level 4-Level 6까지는 ‘인문학-지리’라는 영역으로 인문학 내에서 지리로 분리되어 분과 형태로 가르치게 되어 있다. Level 4-Level 6 각각에 대한 교육과정의 핵심 부분은 ‘학습의 주안점’과 ‘표준’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표준은 다시 ‘지리적 지식과 이해’, ‘지리공간적 기능’으로 구분되어 있다. Level 4-Level 6의 내용 구성 방식은 학습의 주안점을 통해서 알 수 있는데, Level 4는 오스트레일리아 지리, Level 5는 오스트레일리아와 그 주변 지역(아시아, 태평양, 남극대륙)의 지리, Level 6은 계통지리, 쟁점, 개발교육 등으로 조직되어 있다. 한편, 이 연구에서는 빅토리아 주 ‘인문학-지리’ 영역의 Level 5에 근거하여 개발된 내러티브 지리교과서인 『Heinemann Geography: A Narrative approach』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먼저 단원별 내러티브의 형식과 특징을 개괄적으로 분석한 후, 첫 번째 단원인 ‘지도학습’을 사례로 내러티브의 구성과 특징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This study is to analyze on the Humanities-Geography in VELS(Victorian Essential Learning Standards) and the feature of geography textbook constituted by a narrative based on it. VELS is based on the discipline-based learning that includes learning domains within it. At level 1 to 3, basic concepts related to geography are included under the general umbrella of ‘the Humanities’, but at Level 4 to 6, the Humanities is divided into Geography, Economics and History. The Geography domain is organized into main two sections, one for each level of achievement from Level 4 to 6. Each level includes a learning focus statements and a set of standards organized by dimension. And the standards in Geography domain are again organized in two dimensions, the geographical knowledge and understanding and the geospatial skills. The organization of content of Geography domain can be known by the learning focus statements, and Level 4 to 6 is organized in Australian geography(including Aboriginal and Torres Islander communities), the regions of Australia and its surrounding it(Asia, the Pacific, Antarctica), and systematic geography and issues including development topic respectively. And this paper examines the characteristic of the geography textbook constructed by a narrative, 『Heinemmann Geography: A Narrative approach』 for Level 5 of Geography domain. The paper outlines the forms and feature of a narrative using in each unit, then analyzes deeply the aspects of an narrative in case of ‘Mapping: Interpreting the Environment’ of the first unit.

      • KCI등재

        지리산인문학의 인문지리학 연구 성과와 전망

        기근도 순천대학교 남도문화연구소 2016 南道文化硏究 Vol.0 No.31

        본고는 지리학에 있어서 지리산지에 대한 연구동향과 인문지리학 연구 성과와 전망을 검토한 것이다. 우선 이러한 검토를 위하여 지리산지에 대한 자연지리학과 인문지리학 연구동향을 나누어 살펴보았으며, 특히 인문지리학 연구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고찰 하다. 인문지리학 연구는 크게 역사지리, 문화지리, 전통지리 측면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 다. 역사지리 연구는 조선 후기에서 근대에 이르는 시기에 지리산지의 농업과 촌락에 대한 문화생태학적 고찰이 있었으며, 문화지리 연구는 신문화지리학적 관점에서 지리산 을 유토피아에서 국립공원으로 변모하는 과정을 통해 지리산을 텍스트로 한 경관 읽기를 시도한 것이었다. 지리산인문학 연구에 있어서 인문지리학 연구의 대표적인 성과는 전통지리 측면에서 의 연구이다. 그 연구 내용은 ‘지리산 문화경관의 정체성과 세계유산적 가치’, ‘한국인의 이상향 청학동’ ‘지리산 풍수의 문화생태학적 접근’, ‘산지(山誌)의 개념 정립과 두류전 지의 현대적 해석’, ‘지리산 유람록에 나타난 생활사’, ‘지리산과 한라산 명산문화 비교’ 등에 대한 것으로 요약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인문지리학 연구는 ‘산의 인문학’이 정립되는 계기가 되었을 뿐만 아니라 그 초석이 되었으며, ‘산학(山學)’을 담론의 장으로 등장시키게 되었다는 데에 기여한 바가 크다. 지리산은 한국을 대표하는 ‘사람의 산’이요, ‘산학’의 산실이다. ‘사람의 산’, ‘산의 인문학’을 구체화하는 데 있어서 학제 간은 물론이며, 지리학 내에서도 보다 많은 자연지리학과의 융합적 연구 및 토론이 요구된다. This paper was written to look at the significance and contribution of human geography by summarizing and analyzing the accomplishments and achievements of the work of the Institute of Mt. Jiri cultural studies for the past 10 years. For this reason, we have collected research data on geography studies. In this paper, I present the meaning of the academic achievement by extracting the topic of major achievement through various activities, books, and articles corresponding to the agenda. Finally, I have searched for limitations and complementary points of the study of human geography. This summarizes the main themes of human geography studies of Mt. Jiri: ‘the identity of the Mt. Jiri cultural landscape and the world heritage value of Mt. Jiri’, ‘the Korean Cheonghak-dong utopia’, the ‘approach to cultural ecology of Mt. Jiri feng shui’, the ‘mountain topography’, and ‘modern interpretation of Dureyjeonji’, ‘the residents life history through the premodern travel records of Mt. Jiri’, and the ‘comparison of Mt. Jirisan and Mt. Halla’, etc. Mt. Jiri is different from the mountains of the high and rugged barracks of the Himalayas. The Alps are only a spectacle to be seen from afar because they are in the realm of God or the domain of the exploration of Alpinism. On the other hand, Mt. Jiri is a “people’s mountain”. At this point, it becomes clear that Mt. Jiri should be the starting point of human geography research. I think the reason is because Mt. Jiri is a mountain of soil. Mt. Jiri is located in the southern part of the warm Korean peninsula. It is a mountain made up of numerous peaks and valleys. Because it is a mountain, it has a diverse and abundant ecological environment compared to a mountain like Seoraksan. The abundant ecological environment of Jirisan is the source of the concept of the “abundant ‘people’s mountain’ ”, which can bear wind, clouds, rain, snow, grass, trees, worms, livestock, and humans. Although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Jirisan are pointed out in the study of human geography in the Mt. Jiri humanities research, it is necessary to clarify the link between nature and culture: human geographical discussion cannot be done deeply. In the last 10 years, the human geography research of Mt. Jiri became the foundation and cornerstone of the ‘humanities of the mountains’. The ‘mountain studies’ contributed greatly to bringing the “humanities of the mountains” to the field of discourse. In order to further activate this research climate, convergence research and discussion among the those studying multiple disciplines should make geography more concrete.

      • KCI등재

        ‘지리적 논쟁문제’의 의미 탐색

        박승규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15 사회과교육연구 Vol.22 No.3

        Teaching geography is not concerning what the best way of teaching geography is. Rather, we should have a point of focus for much of our thinking about the nature of geography. Teaching geography is reflected which the epistemological characteristics of geography should be and which the nature of geography should be, rather than not the methodological issue. Thus, we should face the nature of geography when we teach geography in schools. The first step of the paper making progress is to derive the problem identification. Teaching controversial issues in geography is eventually to concern what geography is. In result, we can have belief that teaching well in geography from drawing what controversial issues in geography. Based on the problem identification, new controversial issue in geography was suggested in the present paper over the previous area with controversial issues. Further, teaching geography through the new types of controversial issues is another name of a long journey to seek the identity of geography education. 지리를 가르친다는 것이 ‘지리를 가르치는 최선의 방법이 무엇인지’를 고민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지리는 본래적으로 무엇인가’를 고민해야 한다. 지리를 가르친다는 것이 방법론의 문제가 아니라, 지리학의 어떤 인식론적 특징이 반영되어 있으며, 지리학의 어떤 본질적 특성이 반영되어 있는지에 대해 성찰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렇기에 지리를 가르친다는 것은 지리의 본질에 맞서지 않고는 해결될 수 없는 문제이다. 본 논문은 이같은 문제의식에서 시작한다. 지리교육에서 논쟁문제 교육을 한다는 것이 결국은 지리가 무엇인지를 고민하고, 그 결과로서 지리적 논쟁문제가 무엇인지를 도출해내는 것이 지리교육에서 논쟁문제를 잘 가르칠 수 있다는 신념을 갖게 한다. 이같은 문제의식을 토대로 지금까지 지리교육에서 다루었던 논쟁문제의 범주를 넘어 새로운 지리적 논쟁문제의 유형을 제안하였다. 나아가 이같은 새로운 지리적 논쟁문제의 유형을 통해 지리를 가르친다는 것이 결국은 지리교육의 정체성을 찾아가는 긴 여정의 또 다른 이름임을 보여주고자 하였다.

      • KCI등재

        한국 인문지리학의 ‘동물 전환’을 위하여 : 영미 동물지리학의 발전과 주요 쟁점

        최명애 한국공간환경학회 2018 공간과 사회 Vol.28 No.1

        Animals have recently become an important part of South Korean social and political life. The number of pets has rapidly increased, while the government has introduced a series of animal welfare and biosecurity policies. However, unlike “the animal turn” of the society, the Korean geographical scholarship has so far remained uninterested in human-animal relations. Such silence on animals provides a stark contrast to Anglophone geographies within which animal geography has established itself as a sub-discipline of human geography. As a way of addressing the animal gap in Korean human geography, this paper discusses key concepts and seminal work of animal geographies. It first outlines the disciplinary development of animal geographies during the past two decades. It then reviews key approaches to human-animal relations: animals as social construction and production; relational approaches; and more-than-human biopolitics. Then it considers four selected themes in recent studies of animal geographies, paying particular reference to South Korean animal controversies. These themes are related to methods, ethics, political economy and animals’ geographies. 반려동물 사육 인구 천만 명을 넘어서면서, 최근 한국 사회에서 동물에 대한 대중적·정책적 관심이 빠른 속도로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국내 인문지리학 연구에서 동물은 아직까지 본격적인 연구 대상으로 다뤄지지 못하고 있다. 이 같은 동물에 대한 ‘침묵’은 동물지리학이 인문지리학의 한 분야로 자리 잡은 영미 지리학계의 상황과 대조된다. 지난 20여 년간 동물지리학자들은 비인간 동물의 행위성(agency)과 인간-동물의 감응적(affective) 상호작용을 탐색함으로써 동물지리학을 인간 너머 지리학(more-than-human geography)의 이론적·경험적 프론티어로 발전시켜왔다. 특히 이들은 인간과 구별되는 동물의 차이를 존중하고, 이를 번성(flourishing) 케 할 것을 요구하는 혁신적 인간-동물 관계를 모색해 왔다. 이는 인간과 동물의유사성에 주목하고 동물 학대의 종식을 목표로 하는 현실 동물 해방 운동의 입장과 구분된다. 이 논문은 한국 인문지리학 연구의 지평을 인간-동물 관계로 확장하기 위한 탐색적 연구로, 영미 동물지리학의 연구 동향을 소개하고, 국내 동물지리학 연구가 개입할 수 있는 지점들을 검토해 보고자 한다. 먼저, 1990년대 중반 영미 인문지리학에서 출현한 ‘새로운’ 동물지리학의 발전 과정과 특징을 살펴본다. 이어 영미 동물지리학에서 발전시켜 온 주요 이론적 접근법(사회적 생산·구성주의적 접근, 관계적 접근, 생명정치적 접근)을 대표 연구 성과와 함께 소개한다. 마지막으로, 최근 영미 동물지리학 연구의 주요 쟁점 네 가지를 소개하고, 국내 동물지리학 연구가 개입하고 발전시킬 수 있는 지점들을 살펴본다.

      • 조선시대 국토관(國土觀)과 통신사(通信使)의 일본 심상지리(心象地理)

        도도로키 히로시 조선통신사학회 2020 조선통신사연구 Vol.29 No.-

        This article studied the concept of the expansion of the nation-wide imaginative geography abroad during the Joseon Ðynasty. 1 have looked into the case of a Tongsinsa envoy to Japan.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 as a prerequisite, there are two characteristics of Joseon’s imaginative geography as revealed by the late Joseon’ s 5jJhak scholars. One is the interaction of human geography and physical geography. The other is the interaction of ideology and practicality. Representatives of the human geography were roads and cities. The representatives of physical geography were mountains and rivers. It was to explain all of the geography of the land with these components. Also , the ideological identity was based on a feng shui geographical thought, symbolized by the Baekdu-Daegan. The practical aspect was to use a network of mountains , rivers, roads , and cities as the basis for grasping the national geography of reality. 1t also referred to the political approach and used by the kingship. Second, Korea’ s identity of national imaginative geography has expanded internationally too. It was a spatial projection of historical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Korea and China , called Sadae Djplomacy. 1n relation to Japan , it was a projec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Joseon as older brother, and Japan as younger brother. The former specifically placed Kunlun Mountain , the ancestor of Chinese mountains , as well as the ancestor of Baekdu Mountain. The latter was realized by adding Mt. Baekdu as the ancestor mountain of Mt. Fuji , Japanese landmark mountain. This fact is found in the contents of the “ Haehaeng Chongjae" , records of Tonsinsa. 1n addition , special imagnative geography of Tsushima, which is located in a geopolitically obscure position as a border area, was also revealed. Tsushima was recognized as a direct reign under Baekdu - Daegan.

      • 중등 지리교육 목표와 내용 적합성 분석 -지리교육 전문가 대상의 설문 조사 결과를 중심으로-

        박선미 ( Sun Mee Park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04 중등교육연구 Vol.52 No.1

        This paper analyzes the relevancy of goals and contents in the current Korean secondary school geography education and provides suggestions for improvement in the 8th national curriculum, based on the results of two surveys conducted from 2001 to 2002. The number of total respondents was 72, but when the actual analysis was made, 2 inappropriate responses were excluded. The summary of results is as follows. First of all, most of the respondents who are the specialists on geography education pointed out the goals and contents of current Korean geography education should be improved. Second, in regards to the future direction of geography education, 61.4 percent of the total respondents answered that geography education should be applicable and utilizable in real life circumstances. Also, 38.6 percent replied that geography education should play a significant role in establishing the view on the land of our nation and at the same time improving students understanding on the global geography. Third, in regards to the goal of middle school geography education, a majority of respondents replied that the knowledge goal should be the development of place-sensitivity and insight on Korea as well as other regions, and the skill goal should be the development of the inquiry skill and geographic communication skill. Fourth, in regards to the goal of high school geography education in the knowledge arena, a majority of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 goal should be the understanding on the deeper concepts and principles of the physical and human geography. In addition, in regards to the skill goal of high school geography education, two categories of answers were most frequently selected: (1) evaluation and utilization of geographic tools and additional skills, (2) utilization of maps in real life. Finally, when asked on how to organize geography education contents, a lot of respondents replied that the organization should be a proper combination of regional geography and human-physical geography.(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 Evaluation)

      • KCI등재

        지리 분야에 있어서 독도연구의 동향

        심정보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 2023 독도연구 Vol.- No.35

        제2차 세계대전의 종결과 함께 한국은 일본으로부터 독립했다. 아울러 한반도 침탈의 첫 희생물이었던 동해상의 작은 섬 독도를 되찾아 굳건히 지켜왔다. 그러나 일본은 독도 영유권을 지속적으로 주장했으며, 20세기 초반에는 독도 도발을 감행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지리 분야에서 독도 연구의 동향을 고찰하고, 나아가 연구의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다. 연구 결과 지리 분야에서는 1970년대 초반부터 1990년대 후반까지 연구 성과가 빈약했지만, 21세기에 들어와서는 일본의 독도 도발로 자연지리, 인문지리, 지리교육 등의 분야에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그렇지만 지리 분야에서 연구 성과는 충분하다고 할 수 없다. 향후 자연지리는 토양, 식생, 기후 등에, 인문지리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 관광, 주민의 삶 등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지리교육은 교육과정과 교과서 중심의 비판적 연구에서 벗어나 글로벌 관점에서 독도 수업 실천의 사례 연구가 요구된다. With the end of World War II, Korea gained independence from Japan. In addition, Dokdo, a small island in the East Sea, which was the first victim of the invasion of the Korean Peninsula, was recovered and firmly defended. However, Japan continued to claim territorial sovereignty over Dokdo, and in the early 20th century, it carried out provocations over Dokd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rend of Dokdo research in the field of geography and furthermore, to seek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In research results, research was poor from the early 1970s to the late 1990s in the field of geography, but in the 21st century, research in the fields of physical geography, human geography, and geography education was actively conducted due to Japan's provocation of Dokdo. However, research impacts in the field of geography cannot be said to be sufficient.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soil, vegetation, climate, etc. in physical geography, and politics, economy, society, culture, tourism, and people's lives in human geography. In addition, geography education requires a case study of Dokdo teaching practice from a global perspective, away from curriculum and textbook-oriented critical research.

      • KCI등재

        한국ㆍ미국 대학 지리학과의 학부과정 교과목에 대한 비교 연구

        이전(Jeon Lee) 대한지리학회 2013 대한지리학회지 Vol.48 No.2

        이 논문은 한국·미국 대학의 지리학과 학부과정 교과목을 비교하고 분석하는 연구이다. <지리학 개론>은 학부과정 교과목으로 개설하는 경우가 매우 드문데, 이는 지리학의 네 분야(인문지리 분야, 자연지리 분야, 지역지리학 분야, 기타 분야)를 한 과목으로 통합하여 개설하기 어렵기 때문일 것이다. 한국 대학 지리학과에서는 인문지리학 분야의 교과목 비율(39.4%)이 자연지리학 분야의 교과목 비율(24.5%)보다 크지만, 미국 대학 지리학과에서는 자연지리학 분야의 교과목 비율(32.8%)이 인문지리학 분야의 교과목 비율(29.4%)보다 조금 더 큰 것으로 나타난다. 지역지리학 분야의 교과목 비율을 비교하면, 미국의 비율(18.1%)이 한국의 비율(13.8%)보다 크다. 이는 미국 대학 지리학과에서 지역지리학 분야가 보다 더 강조되고 있다는 사실을 말해준다. 한국 대학 지리학과 교과과정은 미국 대학 지리학과 교과과정을 수용하여 정착시킨 것이기 때문에 양자는 매우 유사한 면을 많이 갖고 있다. 그렇지만 지리학의 네 분야가 차지하는 몫에서는 약간의 상이성이 나타나는데, 이러한 상이성은 지난 반세기 동안에 한국 지리학과가 놓여있던 역사적 맥락으로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compare and analyze the undergraduate geography curriculums of Korean and American universities. <An Introduction to Geography> is rarely offered as an undergraduate geography subject in both Korean and American universities. This may be due to the fact that the four fields of geography(human geography field, physical geography field, regional geography field, and other geography field) are not easily able to be integrated and taught as an independent geography subject. The ratio of the subject number of human geography field(39.4%) is greater than that of physical geography field(24.5%) at the geography departments of Korean universities, but the ratio of the subject number of physical geography field(32.8%) is a little more greater than that of human geography field(29.4%) at the geography departments of American universities. The ratio of the subject number of regional geography fields at the geography department of American universities(18.1%) is greater than that of Korean universities(13.8%), so more stress seems to be laid on the field of regional geography in American universities than in Korean universities. Although the geography curriculums of Korean universities seems to follow generally those of American universities, this paper reveals that there is also differences between the geography curriculums of Korean and American universities in terms of their emphasis on four fields of geography. The differences could be explained by the historical context of the geography departments of Korean universities during the last half a centu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