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피로사회 담론의 주체성과 탈근대적 주체성 분석

        강지은 ( Kang Ji-eun )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17 시대와 철학 Vol.28 No.3

        This paper examines the difference and similarities between the modern concept of identity and the Fatigue Society`s concept of identity, suggested in Byung-Chul Han`s book Fatigue Society. Based on this study, I attempt to define the identity of contemporary individuals. Before comparing these two areas, I will discuss Nietzsche`s concept of identity. With regard to modern identity, Karl Marx, Friedrich Nietzsche, and Sigmund Freud are considered the triumvirate of thinkers. All of these three philosophers have illustrated the concept of identity in terms its entirety and subjectivity. Nietzsche`s concept of identity is a liberal one that is independent and resistant to authority. I will suggest how Nietzsche`s concept of identity somewhat aligns with that of Fatigue Society`s but overall differs. While Fatigue Society`s concept of identity is an unbounded one like Nietzsche`, Fatigue Society`s identity is systematically exposed to violences. Afterwards, I will analyze Han`s argument that Michel Foucault`s concept of identity does not apply to current Fatigue Society. I will use the genealogical frame of reference in Discipline and Punish by Michel Foucaul to observe Han`s claim. Lastly, through this paper, I will provide solutions to remove the “fatigue” from our Fatigue Society. Eventually, Han`s concept of Fatigue Society is the process of tearing our identity, as humans, apart. Especially in our current society where people live without knowing why we feel fatigue, it is important to discuss the ideas behind Fatigue Society and promote the continuation of such discussion. Nevertheless, we cannot continue to lament about our insensitivity to our fatigue. In order to resolve this dilemma, I will take a look at the aesthetic identity of Immanuel Kant as the solution. Kant`s concept of aesthetic identity is about compassion. Embracing such aesthetic and recuperative concepts is the means through which we can combat this Fatigue Society.

      • KCI등재

        사회 없는 피로사회 한병철의 『피로사회』를 읽고 든 몇가지 생각

        서동진 ( Dong Jin Seo ) 영미문학연구회 2012 안과 밖 Vol.0 No.33

        This article tries to articulate the contour of the social since declining of the Society as the historic specific arrangement of the social, reviewing the critically-acclaimed book Fatigue Society written by HAN Byung-Chul, who has lived and taught in Germany and published major philosophical works to explore the scape of contemporary political and cultural constellations. Tackling with his main remark that the previous period directed by the immunological imaginary which identified the enemy as the other, I argue it needs to go beyond the naivety to employ some concepts to articulate our time. Contrary to previous period, he says that there are prevalent symptoms to characterize the present, such as the violence of positivity, terror of immanence, exhaustion/ saturation (replacing deprivation/exclusion), etc. In this regard, he points out that the salient feature of our time is the hyperactivity without any limit which results in a variety of psychic diseases including ADHD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burn-out syndrome,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sadness and the like. I suggest that we have to examine the underlying assertions of his hypothesis which is based on the two major concepts, fatigue and society to shed light on present social and political arrangements. First and foremost,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he geneology of inventing fatigue as a historical artifact in the course of elaborating the science of work since the mid-19 century in western europe. As a sort of transcendental materialism, the law of thermodynamics had supplied the unprecedented imaginary to envision the labor power as the human motor. With configuration of human mind and body as a machine such as motor, it employed the technologies, discourses and practices to exploit them efficiently and effectively, and it brought up a range of practices to expel the fatigue which is the unequivocal trouble to encroach the capacity of workers. In turn, fatigue can be located in the strategy of making the human body and psyche visible in capitalism. The symptoms to which Han refers to characterize our age have existed for a long time. Meanwhile, the book pours down a lot of names with suffix of society such as fatigue society, performance society, active society, doping society, etc, which I think seem to signify an inescapable impediment to articulating the total modality of the world. As well known by the works of M. Foucault, J. Donzelot and R. Castel, we are able to distinguish the social and the society which was invented in the course of building the social state or so-called the welfare state coping with workers`` rebellion and threat to overturn capitalism caused by the sovereignty of people since the birth of modern democracy. The society as the historic-specific imaginary to represent the social consists of distinctive components like the population as the target on which to exercise the power, and safety apparatus as security, insurance and pensions to translate the inherent antagonism into the (ir)regular and calculable risk, and the social science to explore, diagnose and improve the law of that society. But as the proponents of neo-liberalism assert, such a society does not exist. It is now being replaced by a new kind of the social, which we try to demarcate desperately. As a result, we could say that we are no longer in the society as we lived, though we are entering into a certain social arrangement. But we are not sure that we could call it the post-social or pure antagonism without social bond. In conclusion, Isay that it is our political task to demarcate what sort of the social the new capitalist condition is producing.

      • KCI등재

        현대의 ‘피로사회’ 속에서 가톨릭 신앙 감각의 회복

        송용민 한국가톨릭신학학회 2014 가톨릭신학 Vol.0 No.25

        우리 시대는 타자를 부정하는 시대가 아니라, 오히려 긍정해야할 가치들이 넘쳐나는 시대, 한 마디로 ‘긍정성의 과잉’으로 인한 신경성 질환들이 시대의 질병으로 떠오르고 있다. ‘피로사회’란 타자의 이질성에 대항하여 자기 정체성을 강조하던 시대를 지나 타자를 자기성숙으로 받아들여야 하는 긍정성의 과잉으로 인해 발생한 현대 사회의 병리현상을 표현한 말이다. 피로사회는 ‘면역학적 부정성’에서 ‘긍정성의 과잉’으로 전환되는 현상, 규율사회에서 성과사회로의 전환, 활동사회에서 피로사회에로의 전환을 특징으로 삼는다. 이러한 피로사회에서 인간은 사색하는 삶의 가치를 잃고, 성과 중심의 삶에 몰입함으로써 피할 수 없는 현대인의 심리학적 병리현상을 겪고 있는 셈이다. 종교 역시 현대의 피로사회 속에서 종교의 세속화 현상으로 인해 신앙의 면역력이 약해지면서 제2의 신앙위기를 겪고 있다. 전통적으로 수용해 온 신앙 교리들에 대한 해석의 혼란이 나타나고, 신자들은 교회의 윤리 규범과 세속적 상황윤리의 당위성 사이에서 갈등하며 계명 준수의 난해함으로 피로감을 느끼고 있다. 최근에는 종교의 보편적 가치가 종교 혼합주의나 종교 다원주의 형태로 발전하면서 절대 규범으로 여겨진 그리스도교의 복음 정신이 상대화되거나 다른 이질적 종교심과 혼합되어 편의주의적 신앙형태를 나타낸다. 또한 성과와 은사 중심의 신앙에 따른 피로감의 증대되면서 ‘제도화된 의무적 신앙’이나 신앙의 은사활동의 과잉으로 인해 냉담이나 냉소적 신앙에로 전락할 위기를 느끼게 하고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는 성과 중심의 사회 속에서 사색적 삶의 상실과 교회 안에서 치유체험의 결핍은 신자들의 신앙생활이 기쁨과 영적 충만이 아닌 피로감과 부담감으로 작용하고 있는 현실이다. 따라서 현대의 피로사회 속에서 가톨릭‘신앙 감각’의 회복은 미래의 신앙 교육의 비전을 제시하는 중요한 신학적 기초가 될 수 있다.‘신앙 감각’이란“신앙하는 사람들이 지닌 생의 방향감각”을 뜻한다. 그것은 인간이 자신의 지각능력을 통해 신앙의 대상인‘거룩한 신비’이자 초월의 목표에로 개방되고 지탱될 수 있게 해주는‘신앙 인식의 기관’이며, 신앙을 일으키는 동인(動因)이기도 하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 문헌 『교회헌장』 12항은 하느님 백성이 그리스도의 직무 가운데 예언자적 직무를 수행하는데 있어서“진리의 성령께서 일깨워주시고 지탱하여 주시는”초자연적 신앙 감각의 중요성을 강조한 바 있다. 개별 신자들이 지닌 신앙감각(sensus fidei)은 올바른 역사의식과 사회의식 속에서 서로 공감하고 교감하며, 신앙적 지평을 공유할 때 공동체적 신앙 감각(sensus fidelium)으로 성장한다. 그리고 가톨릭 신앙이 지닌 고유한 신앙적 감수성으로 구체화된다. 가톨릭 신앙은 우선 보편성이 지닌 ‘포용적 신앙 감각’을 갖고 있다. 이 포용성이란 하느님의 보편적 구원이 어떤 특정한 문화와 국가, 인종과 특정한 역사적 맥락에 국한되지 않고 온 인류의 문화적 자산을 하느님의 구원의 표징들로 적극 통합하고 포용하려는 특성을 갖는다. 여기에는‘토착화(土着化)’운동을 포함하여, 다양한 복음적 활동으로 전개되며, 오늘날 문제가 되고 있는 정의, 인권, 생명, 환경 등의 사회문제에 대한 올바른 식별능력을 부여한다. 동시에 가톨릭의 포용성은 역사 안에서 갈라진 형제들(개신교/정교회)과의 일치운동을 통한 대화와 타종교들과의 대화를 통하여 명시적으로 드러난다. 또 다른 가톨릭 신앙 감각의 특성은 보편성이 지닌‘완전함에 대한 매력’이다. 비록 교회가 역사 안에서 저지른 죄과에도 불구하고 참된 완전성에로의 지향은 교회의 지속적인 쇄신능력, 즉, 끊임없이 개혁하는 교회로서의 자의식을 갖고 교회가 제도적 오류와 인류 역사에 저지른 죄악에 대해 겸손하게 인정하는 모습 속에서 분명하게 이 완전성에로의 매력은 드러난다. 동시에 성사적 신앙의 형태가 간직하고 있는 성체성사의 신비와 고해성사의 의미는 가톨릭 신앙감각의 교회적 특성을 잘 드러내준다. 오늘날 피로사회 속에서 교회가 지향하는 신앙 교육이 신앙과 상반되는 부정성과 이질성을 강조하는 ‘면역사회’의 방어적 신앙 교육들이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오늘날 ‘긍정성의 과잉’에 따른 신앙의 위기들을 치유하는 사목적 형태가 계발되고 제시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올바른 가톨릭 신앙 감각의 회복을 위한 사목적 노력이 요구된다. 가령,‘지성적 회심’을 통한‘종교적 감각의 회복’,보편성을 재발견하는 포용적 교육, 종교적 수행의 삶을 회복하는 교회적 노력, 성과중심에서 벗어나 사색적 신앙에로의 문화적 구조 수용, 또한 청소년과 청년 신자들의 신앙 감각의 회복을 위해 올바른 인성교육의 장으로서 교회의 역할이 중요하다. This era is not of denying others, but is overflowing values to affirm, in a word, neural disorders from ‘affirmative surpluses’ arise as an age disease. ‘Fatigue society’ means pathological phenomena in current society, which is originated from affirmative surpluses, those have to accept others as a sign of self-maturity, after passing era of focusing self-identity which confronts to other’s heterogeneity.“Fatigue society” is characterized; the transferring phenomena from“immunity nagativeness” to “affirmative surplus”, from disciplined society to result-oriented society and from ‘active society’ to ‘fatigue society’. In ‘fatigue society’ man lost thoughtful life values then move to result-oriented life. So it is inevitable to face this psychological pathology phenomenon. Religion is also facing the 2nd crisis in current ‘fatigue society’, because of weak faith immunity due to secularism. Confusion of doctrine interpretation which was adopted naturally in tradition troubled the believers what one should do in a world between church ethic rules and secular circumstance rules. Believers feel confusion, misunderstanding and difficulties to follow church rules. Recently, the common values of religion developed to stages of religion blending or religion pluralism, so the Christianity which was understood as to absolute norm is to be a relative concept or is shown as to opportunism that is mixed with other different religious sentiments. As the fatigues from focusing result, charisma-oriented faith are increasing; it makes to fall to critical situation of becoming non-practicing believer or sarcastic belief because of ‘mandatory systematized faith’ or surpluses of charismatic activities. Another aspect is that the deficiencies of less thoughtful life style and healing experiences in Church in this result-oriented society. These act as to fatigue and burden factors, instead of joy and spiritual fullness of Christian life. In this fatigue society, the restoration of Catholic ‘faith sense’ can be an important theological foundation to present future vision of religion education.‘Faith sense’ means“believer’s sense of life direction”, ‘faith sense’ is ‘faith perception organ sense of the believers that opens and preserves to the goal of transcendence, ‘holy mystery’, through their own perception and also that is the motivation to set up the faith. In“Lumen Gentium”, Vatican Council II document, in Chapter 12,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supernatural faith sense; “Spirit of truth wake up and preserve it” when people of God perform the Christian prophetic ministry. Each believer’s ‘sensus fidei’ sympathizes and mutually responses with right history consciousness and society awareness. When they share religious horizon with others, it develops to ‘sensus fidelium’. And it can be concreted as to peculiar religious sensibility which Catholic faith has. Catholic faith has universal ‘comprehensive faith sense’. This comprehensiveness catholicity has characteristics; integrate actively and embrace all human cultural assets as to God’s signs of salvation; God’s universal salvation is not limited to a certain culture, nation, race and a typical historic context. This includes ‘inculturation’, develops to various evangelical activities, gives the discernment ability against current problems of society, those are justice, human rights, life and environment in society. At the same time, the comprehensiveness of Catholic Christianity is manifested clearly in Ecumenical movement (with Protestants and Orthodox) and the dialogues with other religions in history.

      • KCI등재

        ‘피로사회’ 속 보육교사의 목소리 내기

        김선희(Kim Sunhee),손준희(Son Junhee),이희영(Lee Heeyoung)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9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0 No.3

        현대사회는 성취와 성과를 중시한다. 이러한 능력주의의 원리는 이 시대를 살아가는 현대인들의 의식 세계와 사회제도에 깊이 뿌리내리고 있다. 성과를 매우 중시하는 현대 사회에서 많은 동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은 더 좋은 성과를 내기 위해서 매일 매일 피로를 무릅쓰고서라도 일을 해내는 너무나도 피곤한 삶을 살고 있다. 한병철(2012)은 ‘규율사회’에서 ‘성과사회’로 현대사회의 변화를 말하고 있다. 과거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어떤 것을 ‘해서 안 된다’ 또는 ‘해야 한다’고 강요하는 것으로 타인을 착취했다면, 현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은 무엇이든지 ‘할 수 있다’는 ‘긍정성’에 매달려 지쳐서 쓰러질 때까지 스스로를 착취하고 있다고 말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병철(2012)이 말하는 피로사회, 성과주의, 자기착취 등의 개념이 보육교사와 어떠한 연관성이 있는가를 탐색한다. 특히 보육교사들의 좋은 교사가 되기 위한 완벽주의, 자기 자신과 주변으로부터의 지나친 기대, 과잉긍정성, 과도한 자기비판 등의 특성이 어떻게 피로사회가 요구하는 성과주의로부터 보육교사를 위험하게 만들 수 있는가를 말하고자 한다. 또한 최근 사회현상에서 많이 이슈가 되고 있는 보육교사들의 자살에 관한 이슈가 피로사회의 성과주의와 어떻게 구조적으로 밀접하게 관련되어있는가를 살펴보고자 한다. 끝으로 본 연구는 깊은 심심함, 중단하는 본능. 머뭇거리는 능력, 사색적 삶의 복원, ‘아니오’ 라고 말할 수 있는 힘 등 보육교사의 피로사회 극복을 위한 몇 가지 방안을 제시한다. 모두 달리고 있는 경주에서 혼자만 느리게 걷는 것을 망설이지 말라는 한병철(2012)의 이야기는 우리들에게 속도가 아니라 방향이중요한 것이라고 전달하고 있다. 그러므로 이 시대의 보육교사에게 필요한 것은 간절한 사색의 기회인 것이다. Achievement and performance are considered as the best value in modern society. Meritocracy is deeply rooted in modern society’s system and comtemporary humans’s consciousness. In this society, there are many people who try to produce good results and that makes themselves tired and gets tired of their lives. HAN Byung-Chul(2012), who is author of Fatigue Society(Müdigkeitsgesellschaft), points out that modern society has been changed from a “regulatory society” to a “performance society(achievement-driven society)” He insists that people in the capitalist society had exploited others to do what they “should” or “should not” However, people in the modern society had constrained themselves to believe “you can do anything” by self-exploitation until they are worn out because of “over-positivity” This study explored what connections to the concepts by Han(2012); fatigue society, performance society, self-exploitation and early childhood teachers. Especially, this paper discussed what makes early childhood teachers a high risk group in modern society called fatigue society under perfectionism towards a good teacher, high expectations from themselves and others, over-positivity, excessive self-criticism, and so on. In addition, this study is dealt with the correlation between the issue of committing suicid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e social structure of performance society. Also, this paper suggested the way to overcome fatigue society that in-depth boredom, a will to discontinue and hesitate, recovery of a life of meditation, and courage to say ‘No’ Direction is so much more important than speed. Therefore, early childhood teachers need a chance of meditation.

      • KCI등재

        피로사회에서의 저항

        주광순 대동철학회 2017 大同哲學 Vol.81 No.-

        We live in a fatigue society. Byung-Chul Han insists that the immunological society of binary opposition has turned into the fatigue society; society which has neuronal disorder. This has six aspects. It is a society where 1)diversity has disappeared and 2)a society of excess and 3)a society of positivity. This society appears to be 4)a society of freedom, but, in reality, 5)a society which demands overachievement. Because it’s a society dominated by 6)the power and freedom is just a self-made illusion. In this society everybody without exception experiences self-exploitation and burnout, but feels neither indignant nor resistant. This is on account of 3)the positivity and 4)the illusion of freedom. Furthermore, on the one hand, the excess of positivity mass-produces an ideology ‘yes, we can’, on the other, because people have the freedom to act according to their own desire and will, they blame themselves for their failure. Also 1)disappearance of diversity and 2)excess contributes to this tendency. With the disappearance of diversity, there is no ‘other’ to attack and to blame, so that people attack themselves. And the excess of informations and tasks leads them to lose the ability to express their indignation. Foucault regards this loss of resistance as result of governmentality. To him, the power is not prohibition but the formation of the subject. This is the meaning of Foucault’s governmentality. In other words, the neoliberal governing affirms and encourages desire. That’s why people labor pursuing their own desire without hesitation. But this freedom is subordinate to the public good, that is the expansion of achievement. The strategy of governmentality subordinating is the invention of subject, namely the invention of homo economicus. The economic man competes without limitation and eventually becomes burnout. But he cannot resist, because he is economic man. The way to escape from this outcome is to become a new kind of subject. We will consider a new idea of man of mutual dependence and of emptiness as possibility to resist against to neoliberalism. 우리는 피로사회를 살고 있다. 한병철은 이제 이항대립적인 면역학적 사회로부터 신경증적 사회인 피로사회로 이행했다고 주장한다. 그것은 6 가지 측면을 가진다. 피로사회는 1)이질성이 사라져서 2)과잉과 3)긍정성의 사회이다. 이 사회는 얼핏 보기에 4)자유의 사회이지만 실은 5)성과를 강요하는 사회이다. 왜냐하면 실제로는 6)권력이 지배하는 사회이고 자유는 그 대상이 스스로 느끼는 환상이기 때문이다. 이 사회에서는 누구도 예외 없이 자기 착취를 하면서 소진하지만 분노하거나 저항하지 않는다. 이는 우선 3)긍정성과 4)자유 때문이다. 한편으로 과도한 긍정성은 할 수 있음의 이데올로기를 양산하며 다른 한편 자기 욕망을 따라 자유로이 노력하기에 실패도 자기 탓으로 돌린다. 여기에 1)이질성의 소멸과 2)과잉이 일조한다. 이질성의 소멸로 공격할 타자를 상실하고 자기를 공격하며 정보나 과제의 과잉은 분노하는 법도 잊게 만든다. 푸코는 이를 통치성으로 설명한다. 그에게 권력은 금지이기보다 주체 형성이다. 이것이 통치성이다. 신자유주의의 통치는 욕망을 긍정하고 부추긴다. 그래서 사람들은 자유롭게 욕망을 추구하면 노동한다. 이 자유는 전체의 이익, 성과의 확대에 예속되어 있다. 이렇게 예속시키는 통치성의 전략이 주체 형성, 즉 경제적 인간의 형성이다. 이 경제적 인간은 무한 경쟁하며 자기를 소진한다. 그렇지만 저항할 줄 모른다. 왜냐하면 경제적 인간이기 때문이다. 이를 벗어나는 길은 다른 종류의 주체가 되는 것이다. 필자의 선택에 따르자면 상의성과 공의 인간상이 되는 것이야말로 신자유주의 시대의 저항의 가능성이다.

      • KCI등재

        피로사회 속 영재와 영재교육에 관한 담론

        한기순 韓國英才學會 2013 영재교육연구 Vol.23 No.6

        본고에서는 한병철(2012)이 제시하는 피로사회, 성과주의, 자기착취 등의 개념이 영재 및 영재교육과 어떠한 연관성이 있는가를 탐색한다. 특히 영재들의 완벽주의, 자신 및 주변으로부터의 높은 기대, 과제집착력, 다재다능함, 과도한 자기비판 등의 영재의 기질적 특성이 피로사회의 성과주의로부터 어떻게 영재를 고 위험군으로 만들 수 있는가를 논의한다. 또한 최근 교육 현장에서 많이 이슈가 되고 있는 영재들의 자살이슈가 어떻게 구조적으로 피로사회의 성과주의와 밀접하게 연관되어지는가를 고찰한다. 무엇보다 중요하게 본고는 피로사회의 성과주의가 왜 그리고 어떻게 창의성의 저하 및 궁극의 하류지향을 초래하며 이러한 현상이 영재들의 창의성 및 창의적 산출에 어떠한 관련성을 부여하는가를 비판적으로 고찰한다. 끝으로 본고는 사색적 삶의 복원 등 피로사회 극복을 위한 몇 가지 논의거리를 제시한다. In this paper, we explore how the concepts of fatigue society and self exploitation are related with the gifted and gifted education. Gifted students' burnout are the result of an excess of positivity. The violence of positivity stems from over-producing, over-achieving or over-communicating. Especially, this paper tries to warn gifted students' maladaptive perfectionism, high expectations of themselves and their surroundings, high task commitment, and excessive self criticism could make the gifted the high risk group who burnout themselves in this fatigue society. In addition, it is discussed how the gifted students' suicides are closely related to the issues of fatigue society and self exploitation structurally. Most importantly, we examine that why and how the concept of fatigue society results in ultimate decline of creativity. Finally, we discuss some ways to overcome this over-achieving fatigue society and their implications in the aspects of gifted students' creative lives and products.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피로사회' 속 창의성과 행복에 관한 담론

        한기순(Ki Soon Han),유경훈(Kyoung Hoon Yoo)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13 창의력교육연구 Vol.13 No.1

        본고에서는 피로사회로 대변되는 현대의 성과주의와 자기착취에 관하여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피로사회가 던지는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우리 사회와 학교가 안고 있는 창의성과 행복에 관한 이슈를 논의하였다. 또한 피로사회가 학교 문제와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가를 교사들의 소진이라는 측면에 비추어 논의하였으며, 우리의 학교가 창의성을 추구한다고 하면서 동시에 얼마나 반창의적인 편향을 보이고 있는가에 대하여도 비판적으로 고찰하였다. 본고는 이러한 맥락에서 우리 학교의 창의성과 행복의 회복을 위하여 어떠한 구체적인 노력이 필요한가를 탐색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고는 한병철이 피로사회에서 제시하는 깊은 심심함, 중단하는 본능, 머뭇거리는 능력, '아니오'라고 말할 수 있는 힘, 쓸모없는 것의 쓸모의 함의를 창의성의 이해와 계발이라는 측면에서 논하였다. Today's society is called 'fatigue society' which emphasizes excessive outcome-based evaluation and self-exploitation. This paper critically discusses why fatigued society, excessive outcome, and self-exploitation can be harmful to our society including our schools. In this context, this paper discusses how we can recover creativity and happiness in the fatigued schools and society where most students and teachers are exhausted too much. While we desire and seek for creativity, it is also discussed how we do not respect creativity in reality. To search for creativity and happiness in our schools and society, author suggests and discusses issues such as in-depth boredom, a will to discontinue and hesitate, courage to say 'NO', and use of uselessness.

      • KCI등재

        ‘중간 신자층’의 신앙 활성을 위한 성찰적 신자 재교육

        김남희(Kim, Nam-Hui)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2018 神學展望 Vol.- No.201

        한병철은 『피로사회』에서 현대인이 스스로 자신을 착취하고 소진시킴으로써 피로의 가해자이자 동시에 피해자인 존재가 되었다고 보았다. 현대인이 체감하는 피로는 개인을 더욱 개별화하고 고립시키는 고독한 피로라 할 수 있다. 이 피로는 개인을 비롯한 모든 공동체의 삶마저도 파괴하는 폭력이 될 수도 있음을 그는 경고했다. 이러한 현대 사회에 대한 사회학적 진단은 신학계에도 신앙의 피로감에 대한 사목적 연구의 필요성을 촉발시켰다. 그러나 이에 대한 사목적 진단과 모색이 일시적인 대응으로서 피상적인 연구로만 그치는 경향이 있어 아쉬움이 남았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한국 교회에 화두를 던져 주었던 ‘피로사회’를 살아가는 ‘피로한 신앙인’에 대하여 좀 더 심층적인 고찰을 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먼저 ‘2016년 가톨릭 신자의 종교의식과 신앙생활’ 실태 조사를 기초로 하여 신자들의 다양한 층위의 신앙 생활을 분석하였다. 따라서 지금까지 핵심 신자층과 냉담 신자층으로만 구분하여 고찰한 연구를 비판하면서, 간과되었던 ‘중간 신자층’에 주목하고자 한다. 본고에서는 피로사회에서 ‘피로한 신앙인’이 바로 ‘중간 신자층’이라는 점을 부각시켜 고찰할 것이다. 이와 함께 ‘중간 신자층’에 나타나는 다양한 특징이 무엇인지 구체적으로 살펴볼 것이다. 이러한 고찰을 바탕으로 본고는 피로한 ‘중간 신자층’이야말로 신자 재교육의 중요한 교육 대상임을 강조할 것이다. 나아가 ‘중간 신자층’을 대상으로 하는 학습자 중심의 성찰적 교육 방법인 ‘비오그라피아르바이트’(Biografiearbeit)를 제안하고자 한다. In Fatigue Society Han Byung-chul has diagnosed modern people as being both assailants and victims of fatigue in that they are exploiting and exhausting themselves. The fatigue felt by modern people can be dubbed “solitary fatigue” as it individualizes and separates them more and more. The author also warns us that this fatigue can function as a violence that might destroy the lives of individuals as well as the societies they belong to. Such a sociological diagnosis of modern society leads to the awareness of the need for pastoral research on the “faith fatigue” in the field of theology. But such a research still tends to be superficial because it just provides a temporary strategy to deal with the problem. This paper thus intends to conduct a more in-depth investigation into the fatigued believers living in a fatigue society, which has been a hot issue in Korean Catholic churches. First, it will analyze diverse religious activities of the Korean Catholics on the basis of the 2016 survey on their views of religion and their religious lives. Next, it will criticize previous researches focused only on the core believers and lapsed Catholics, thereby taking due note of the intermediate believers, which have been overlooked. In this manner, this paper will reveal that those fatigued believers in a fatigued society are none other than these intermediate believers. It will also examine their diverse characteristics in a detailed fashion. On the basis of the abovementioned investigation, this paper will emphasize that religious reeducation should be focused on those fatigued intermediate believers. Furthermore, it suggest that “Biografiearbeit,” which is a reflective education method for the learners, can be applied for the intermediate believers.

      • KCI등재

        음식의 문학적 재현과 주체화의 방식 - 한강과 오수연의 소설에 나타난 ‘음식’을 중심으로 -

        김미영 ( Kim Mi-young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8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59

        이 글은 한강의『채식주의자』와 오수연의『부엌』에 나타난 음식의 문학적 재현을 중심으로 작중인물들의 주체화 방식을 살펴본 것이다. 한강의『채식주의자』는 규율사회의 폭력성에 저항하는 주인공과 그녀를 둘러싼 가족의 모습을 음식문화와 결합하여 가부장 이데올로기의 폭력, 소통부재, 식물적 이미지 등을 보여주고 있다. 오수연의『부엌』에서는 규율사회와 피로사회를 모두 체험한 작중인물의 주체화 방식을 음식문화, 몸의 부조화, 위장장애, 신화적 상상력 등을 통해 보여주고 있다. 「채식주의자」, 「몽고반점」, 「나무불꽃」의 3부작으로 구성된『채식주의자』는 돌봄의 대상인 영혜와 모성성을 보여주는 언니 인혜의 삶을 그리고 있다. 규율사회에서 복종적 주체로 살아왔던 두 자매는 음식문화를 통해 자신들의 삶에 제동을 건다. 영혜의 채식과 거식은 규율사회의 한 단면인 폭력성을 거부하는 행위이자 나무 인간을 지향하는 의지를 보여준다. 동시에 자신이 그동안 섭취한 육식에 대한 죄의식을 담고 있다. 반면, 인혜와 결합된 음식문화는 그녀의 모성성을 보여주고 있다. 정신병원에 입원한 영혜를 돌보는 인혜는「나무불꽃」에 이르면 실질적 주인공으로 변모한다. 동생의 급변한 삶이 계기가 되어 자신의 삶을 고백하고, 성찰하는 인혜의 자의식에 초점이 모아지기 때문이다. 그녀야말로 규율사회에서 성공적으로 살아 온 복종적 주체였으나 자신의 내면을 되돌아보며 자신의 삶이 가면적이고, 허구적이라는 사실을 깨닫는다. 오수연의『부엌』은「부엌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는가」, 「나는 음식이다」, 「땅 위의 영광」으로 이루어진 연작소설이다. 인도로 유학을 온두 여성 화자 ‘나’를 통해 채식과 육식은 단순한 음식 취향의 문제가 아니라 신분과 권력이 내재된 복잡한 의미를 지닌다는 점을 드러낸다. 이 작품의 공간은 인도라는 규율사회이지만 이곳으로 유학을 온 ‘나’와 일본인 다모 등은 피로사회의 성과주의에 지친 인물들이다. 이들은 유학을 온 인도의 규율사회에서 음식문화에 내재된 인간의 불평등을 체험하며 평등과 존재에 대한 사유를 하게 된다. 즉 음식을 통해 문화적 차이를 체험하고, 그 안에서 상생, 평등, 생명존중 등의 세계시민의식을 인식한 것이다. 이러한 서사에 포식자와 피식자의 독특한 관계를 내포하는 인도 신화 ‘끼르띠무까(kirtimukha)’의 반복적 구조와 식인 풍습은 다모의 실종과 겹쳐지면서 신화적 상상력을 환기시킨다. 두 작품에 나타난 채식, 거식, 육식, 음식 나누어 먹기 등의 다양한 문학적 재현은 복종적 주체의 자의식을 보여주거나, 세계시민의식의 심화와 확장을 보여주는 주체의 성숙한 면모를 드러내는 의미 생성에 기여하고 있다. This paper presents an investigation into the subjectification methods of characters in The Vegetarian by Han Kang and The Kitchen by Oh Su-yeon with a focus on the literary reproduction of food. Han Kang's The Vegetarian shows the violence of patriarchal ideology, absence of communication, and vegetable images by combining food with the main character resistant against the violence of the disciplinary society and the aspects of her family around her. Oh Su-yeon's The Kitchen shows the subjectification method of the character, who has experienced both the disciplinary society and fatigue society, through the food culture, disharmony of the body, gastrointestinal disturbance, and mythical imagination. Consisting of three parts "The Vegetarian," "Mongolian Mark," and "Flaming Trees," The Vegetarian depicts the lives of Yeong-hye, the object of care, and her elder sister In-hye, who epitomizes maternity. Living as obedient subjects in the disciplinary society, the two sisters put on the brakes in their lives through the food culture. Yeong-hye's vegetarianism and anorexia represent her acts of rejecting violence, an aspect of the disciplinary society, and demonstrate her will of orientation toward a tree person. They also reflect her guilt about the meat that she has consumed. The food culture associated with In-hye shows her maternity. Taking care of Yeong-hye at the mental hospital, she becomes the practical main character in "Flaming Trees." Watching her sister's life changing abruptly, she confesses and looks back on her own life, in which process the focus is on her self-consciousness. She, who used to be an obedient subject that was successful in the disciplinary society, realizes that her life has been under a mask and fictional, looking back on her inside. Oh Su-yeon's The Kitchen is a serial novel consisting of "What Has Happened in the Kitchen?", "I Am Food," and "Glory on the Earth." Two female narrators are studying in India, telling their stories as "I" in the novel. They show that the vegetarian diet and the meat diet is not a simple matter of food taste, but hold complicated meanings with the social status and power inherent in them. The space in the novel is a disciplinary society called India. "I" and the Japanese lady Tamo, who are studying in India, are tired of achievement-first tendency in the fatigue society. They think of human equality and existence before the food culture deeply rooted in the disciplinary society. That is, they experience cultural differences through food and have global citizenship in them such as mutual survival, equality, and respect for life. Along with this narrative, the repetitive structure and cannibalism custom of the Indian myth "Kirtimukha," which contains unique predator-prey relations, are combined with the missing of Tamo, arousing the mythical imagination. Various literary reproductions of food in these two works including the vegetarian diet, anorexia, the meat diet, and food sharing make a contribution to the creation of meanings to display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at the growth stage to show the self-consciousness of an obedient subject or the intensification and expansion of her global citizenshi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