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기본역량진단평가의 교양교육 평가지표에 대한 문제 진단 및 제언

        김혜영,김인영,지현배,전경애 한국교양교육학회 2022 교양교육연구 Vol.16 No.6

        Evaluation indicators of general education represent the value and identity of general education. University members can clearly understand general education through evaluation indicators. Evaluation indicators serve as standards for establishing and implementing educational policies. Universities support general education according to the evaluation indicators.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study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to diagnose problems with the general education evaluation indicators of the Basic Competency Assessment for Universities.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127 universities that joined the Korean Council for University General Education. The total number of respondents was 51. The summary of the survey results is as follows. First, 70% of respondents said that it was reasonable to evaluate general education as ‘operation and improvement of curriculum’. But about 50% of the respondents were negative about evaluating the general curriculum as ‘core competency’ as a diagnostic factor. Second, more than 70% of respondents said that the standard of the general education standard model of the Korea National Institute for General Education, which was established theoretically and academically, was not applied to te current evaluation indicators. So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inclusiveness of general education evaluation indicators. Third, about 50% of the respondents were negative about the relevance of the evaluation indicators as a driving force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general education. Fourth, 70% of the respondents thought that the basis for applying core competencies as evaluation indicators for general education was not sufficient. Therefore, they think that evaluation criteria should be designed according to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general education. Finally, many respondents said that the essential components of the evaluation indicators should include the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the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the operating system for improving general education, and the organization and manpower necessary for supporting general education. This study examined the validity of competency-based general education, focusing on general education experts. As a result, it provided clear evidence for developing and designing evaluation indicators for the development and improvement of practical general education in universities. In particular, the Ministry of Education should go through a public deliberation process to improve the acceptance of evaluation results. Therefore, we proposed that the concept of competency should be established first and then the validity of competency-based general education should be reviewed. 대학기본역량진단평가의 교양교육 평가지표는 교양교육의 가치와 정체성을 나타내며, 대학의 구성원은 평가지표를 통해서 교양교육을 분명하게 이해하게 된다. 평가지표는 각 대학이 교육 정책을 수립하고 집행하는 기준이 되며, 대학 교육의 질은 평가지표로 결정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이 연구는 대학기본역량진단평가의 교양교육 평가지표에 대한 문제점을 진단하고자 전국대학교양교육협의회에 가입한 127개 대학 중 36개 대학에서 교양교육 평가에 관여했던 담당자와 교양교육 담당 교수자 51명을 대상으로 교양교육 평가준거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고,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양교육을 ‘교육과정의 운영과 개선’으로 평가하는 것은 응답자의 70%가 타당하다고 했지만, 진단요소로써 교양 교육과정을 ‘핵심역량’으로 평가하는 것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약 50%가 부정적이다. 둘째, 평가지표가 한국교양기초교육원의 교양교육 모델을 충분히 포괄하는 지 조사하였고 부정적으로 응답한 비율이 70% 이상으로 나타났다. 셋째, 평가지표가 교양교육 질 제고의 동인이 될 수 있는지 그 적합성을 조사한 결과는 응답자의 약 50%가 부정적이다. 넷째, 응답자의 70%는 교양교육의 평가지표로서 핵심역량의 적용 근거가 불충분하므로 교양교육 본질에 부합하는 평가기준 설계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마지막으로 평가지표의 필수 구성요소로 교양 교육과정의 편성 및 운영, 교양 교육과정개선을 위한 운영체계, 조직과 인력을 포함한 교양교육 지원체계 등 이 세 가지를 10명 중 8명이 선택하였다. 교양교육 현장에서 평가에 관여했던 담당자들의 의견을 기반으로 이 연구는 대학 교양교육의 실질적인 발전과 개선을 위한 평가지표를 개발하고 설계해야 한다는 분명한 양적 근거를 제시했다. 특히 평가결과의 수용성 제고를 위해서는 공론화 과정을 통해 역량 개념을 먼저 정립한 후 역량기반교양교육의 타당성을 재검토해야 한다는 것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교원능력개발평가에서 과학 교사의 수업 능력 평가를 위한 이해당사자 기반의 평가 관점 분석

        한재영,윤지현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과교육연구소 2012 교과교육학연구 Vol.16 No.4

        Teacher evaluation for ability development has been implemented in schools since 2010; however, in the evaluation of a teacher's teaching ability, the same indicators were applied to teachers that taught different subjects. It is suggested that the evaluations be conducted based on indicators reflecting the specific characteristics of each subject in order that a new teacher evaluation system could suggest methods for teacher's ability development and professional growth. Modifications to the evaluation indicators associated with teacher teaching ability are required. Such modifications should be accomplished on the basis of the various views of all the interested parties in current education practice. In this study, students and their parents,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s, science education experts, and education administrators were surveyed on the sub-indicators considered, and/or the indicators to be added to the existing evaluation indicators for assessing a science teacher's teaching ability.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the evaluation indicators considered by the interested parties. Students, for example, were concerned with 'creating the science class's atmosphere' and 'utilizing the science instructional media'. The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s, science education experts, and education administrators were concerned with the 'knowledge of science content', 'knowledge of the nature of science', 'self-development', and 'knowledge of after-school science activities'. The parents emphasized the 'love of education' and 'knowledge of personalized education'. In addition, 'experimental ability'(performance and teaching) was selected by all the interested parties as an evaluation indicator to be considered.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science, ‘experimental ability’ should be included in the evaluation of science teachers. These results provide useful basic information that could help to reorganize the current evaluation indicators. This study suggests that evaluation indicators should be developed based on a consensus among the various interested parties associated with education in order to perform an objective and reliable teacher evaluation. 교원능력개발평가가 2010년부터 학교 현장에 도입되어 시행되고 있는데, 교사의 수업 능력에 대한 평가 시 모든 교과의 교사에게 동일한 평가 지표가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새로운 교원평가시스템이 교원의 능력 개발 및 전문성 신장에 긍정적인 발전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서는 교과 별 특성이 반영된 평가 지표를 바탕으로 교사의 수업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이에 교사의 수업 능력과 관련된 평가 지표의 수정 및 보완이 요구되며, 이는 현 시대 교육과 관련 되어 있는 다양한 이해당사자들의 의견을 근거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중.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과 그 학부모, 예비교사와 현장교사, 과학교육전문가, 교육행정가를 대상으로 기존의 수업 능력 평가 지표에서 과학 교사의 수업 능력 평가를 위해 고려되어야 할 세부 평가 내용이나 추가되어야 할 지표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이해당사자에 따라 기존 평가 지표를 바탕으로 고려되어야 할 세부 평가 내용이나 추가해야 할 평가 지표에 차이가 있었다. 예를 들어, 학생들은 과학 수업 분위기 조성과 과학 교수 매체의 활용을 언급하였고, 예비교사와 현장교사, 과학교육전문가, 교육행정가 등은 과학 교과 내용 지식, 과학의 본성에 대한 지식, 자기 계발, 방과 후 과학 활동 지도에 대한 지식을 언급하였다. 그리고 학부모는 교육애와 인성 교육에 대한 지식을 강조하였다. 또한 모든 이해당사자들이 실험 실습 수행 능력이나 지도 능력을 과학 교사 평가에서 고려해야 하는 평가 요소로 선정하였다. 즉 과학 교과의 특성을 고려할 때 실험 실습 능력에 대한 평가는 필수적이라고 볼 수 있다. 이상의 결과는 학교 현장에서 과학 교사의 학습 지도 능력 평가를 위하여 현 지표를 재구성하고자 할 때, 기초 정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이 연구는 객관적이고 신뢰성 있는 수업 평가가 이루어지기 위해서 교육과 관련된 다양한 이 해당사자들 간의 합의를 바탕으로 한 평가 지표의 개발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소비자정책 성과평가체계(안)의 개발 및 운영 방안 연구

        사지연,구명진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23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19 No.1

        In order to strengthen the consumer policy evaluation and feedback function from an objective and long-term perspective, this study develops a consumer policy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We selected the ‘system theory’ as a ground theory of consumer policy evaluation system, and suggested the candidates of evaluation indicators for each stage of policy evaluation, that is input, output, outcome and impact. In detail, first, we suggested the current ‘Appraisal system of implementation plan for consumer policy’ be used for the input-output evaluation of consumer policy, but it should be utilized supplemently the budget as an input indicator, and the consumer law enforcement performance as an output indicator. Second, we suggested objective data such as CISS and 1372 data, as well as survey indicators such as ‘Consumption Life Indicators’ and ‘Consumer Markets Evaluation Indicators’, be used as outcome indicators directly brought into the market by input and output. Third, the ‘Consumer Life Satisfaction Indicator’ was presented as an impact indicator to evaluate the ahievement of the final goal of the policy, so that the ultimate purpose of consumer policy could be to improve life satisfaction perceived by consumers. Lastly, in terms of system operation, we suggested it is necessary to secure causality between evaluation indicators through organizing evaluation units between inputㆍoutput-outcome-impact indicators, and also, the continuous production and management of indicators within the evaluation system must be legislated. 2009년 제1차 소비자정책 기본계획 시행 이후 소비자정책은 다수의 중앙 부처와 지방자치단체들에 의해 다양한 내용과 형태로 수행되어왔으나, 그 성과에 대한 중장기적 평가는 아직까지 충분히 이루어지고 있지 못하다. 2018년 본격 시행된 소비자정책 종합시행계획 추진실적 평가제도가 소비자정책 평가제도로서 기능하기 시작했으나, 제도의 운영목적과 기능이 소비자정책 성과 평가 제도로 갈음되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소비자정책 성과를 보다 객관적이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평가할 수 있는 소비자정책 성과평가체계(안)을 개발하고, 평가체계를 구성하는 평가지표 후보군을 구성하는 한편, 평가체계의 실질적 운용을 위해 향후 추진되어야 할 정책적 과제들을 제언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정책평가에 관한 이론적 검토를 통해 체제이론(system theory)을 소비자정책 성과평가체계(안)의 근거 이론으로 선정하고, 투입(input), 산출(output), 결과(outcome), 영향(impact) 각각의 단계에 적합한 평가지표 후보군을 제시하였다. 첫째, 투입과 산출평가 시에는 현재 운용 중인 종합시행계획 추진실적 평가제도를 근간으로 하되, 투입지표로서 예산, 객관적 산출지표로서 소비자관련법 집행실적을 보완적으로 사용할 것을, 둘째, 투입․산출이 시장에 직접 가져온 결과지표로 위해정보감시시스템(CISS)과 1372 상담 데이터와 같은 객관적 데이터를 비롯하여 소비생활지표, 소비자시장평가지표와 같은 조사지표들을 활용할 것을, 셋째, 정책의 최종 목표 달성을 평가하기 위한 영향지표로서 소비자가 체감하는 소비생활의 질 향상을 목표로 소비생활만족도를 활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또한 평가체계의 실질적 운용을 위해 평가지표 면에서는 투입․산출-결과-영향 지표 간 평가단위 연계체계 구축을 통해 지표 간 인과성을 확보할 것을, 제도운영 면에서는 평가체계 내 구성지표의 지속적인 생산과 관리를 법․제도적으로 명문화할 것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공공기관 경영평가지표의 안정성 분석*- 국정과제의 평가지표 영향력을 중심으로

        김준현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2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3 No.2

        Quasi-governmental agency management evaluation is a institution that fairly and objectively evaluates management efforts and performance every year in order to establish an autonomous and responsible management system for public corporations and quasi-governmental agencies. However, it is pointed out that the management evaluation system is used as a means to encourage quasi-governmental agencies to implement specific government policies by including the specific contents and performance of government policies in the evaluation indicators of quasi-governmental agency management evaluation. With this awareness in mind, this thesis examines the problems associated with turning the national policy agenda into the performance evaluation indicators and seeks countermeasures. To this end, the management evaluation system of quasi- governmental agency was overviewed, and the selection criteria and selection method of management evaluation indicators were examined. Next,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extent and frequency of national policy agenda being reflected in the management evaluation indicators of quasi-governmental agencies for the successive governments since the Kim Dae-jung administration, the ratio of national policy agenda-related evaluation indicators among the newly established evaluation indicators showed almost no deviation among the five governments. It was found that the level of management evaluation index for quasi-governmental agency in each government task and the frequency of its change were excessive, reaching an average of 90%. Accordingly, it was proposed to limit the weight of the management evaluation indicators reflecting the national policy agenda to a certain limit and to allow quasi-governmental agency to select the weight of the management evaluation indicators reflecting the national policy agenda. In addition, it was proposed to change the management evaluation index reorganization cycle to five years, the same as the presidential term, and to allow quasi-governmental agencies to select points for management evaluation indexes that reflect the national policy agenda. 공공기관 경영평가는 공기업・준정부기관의 자율・책임경영체계 확립을 위해, 매년도 경영 노력과 성과를 공정하고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제도이다. 그런데 공공기관 경영평가 평가지표에 정부 정책의 구체적 내용과 성과를 포함시켜, 경영평가제도를 공공기관이 특정 정부 정책을 적극적으로 구현하도록 독려하는 수단으로 활용된다는 점이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 본 논문에서는 국정과제의 경영평가 지표화에 따른 문제점을 검토하고 대응방안을 모색해보았다. 이를 위해 먼저 공공기관 경영평가제도를 개관하고, 경영평가지표의 선정기준 및 선정방식을 살펴보았다. 검토 결과 공운법 제48조 5항 단서 조항에도 불구하고 공공기관 경영평가 평가지표의 선정 및 변경은 공운위의 심의・의결을 거치면 별다른 요건이나 제약 없이 이뤄질 수 있을 것임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는 김대중 정부 이래 역대 정부를 대상으로 국정과제가 공공기관 경영평가 지표에 반영된 정도와 빈도를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신설된 평가지표 가운데 국정과제 관련 평가지표의 비율이 5개의 정부별로 편차가 거의 없이, 평균 90%에 달할 정도로 정권별 국정과제의 공기업 경영평가지표화 수준과 그 변경 빈도가 과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물론 국정과제가 공공기관 경영평가 지표에 반영되는 것 자체는 수용할 필요가 있으나, 취지를 벗어난 혹은 정부의 과도한 의도가 반영된 지표화는 공공성을 침해하고, 공공기관의 자율적 책임경영을 저해하여 많은 문제를 일으키므로 최대한 억제할 필요가 있음을 지적하였다. 이를 위해 국정과제가 반영된 경영평가지표의 비중을 일정 한도 이하로 제한하고 공공기관이 국정과제가 반영된 경영평가지표의 비중을 선택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또한 경영평가지표 개편 주기를 대통령 임기와 동일한 5년으로 변경하고, 공공기관이 국정과제가 반영된 경영평가지표의 배점을 선택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3주기 교원양성기관 평가지표와 평가결과의 관계 분석

        김기수,허은정,김선경,성수진,김현수,이순희 한국교육개발원 2014 한국교육 Vol.4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evaluation indicators and evaluation results in the Third Phase National Evaluation for Teacher Education Institutes in Korea. For the analysis, total 400 evaluation results of 4 types of teacher education courses(i.e. College of Education, Education-stream courses in a general comprehensive university, mandatory teacher training course for teaching profession, and lastl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n year 2010~2012 were combined. The results show that at first, in all the teacher education courses,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three components (‘Teacher’, ‘Facilities & Finance/Administration’, ‘Educational Outcome’) that exerted a common influence on evaluation results. Second, despite the differences in influential evaluation indicators between each courses, ‘Use rate of teaching practical room’ and ‘Per capita research output of university faculty’ were found to be major indicators in the area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As for outcome measurements, ‘Teacher appointment rate at public and private schools’ and ‘Satisfaction rate of graduates who currently hold teaching posts' were found to be major indicators. On the other hand, as for the curriculum section, in the area of curriculum, the significance of each indicator was found to be inconsistent, hence there were no coherent major indicators identified.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following points. First, the Third phase National Evaluation has put more emphasis on the area of ‘input and outcome' than that of ‘curriculum'. Second, for some evaluation indicators, measuring scales need to be applied differently,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type of teaching education course. Also, in the case of ‘mandatory training course for teaching profession' and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hether there is College of Education in the same university inevitably affects some of the evaluation indicators. 이 연구는 3주기 교원양성기관 평가지표와 평가결과 간의 관계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0년에서 2012년까지 평가를 받은 사범대학, 일반대학 교육과, 일반대학 교직과정, 교육대학원 총 400개의 평가결과 데이터를 통합하여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 2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모든 양성과정에서 ‘교원’, ‘시설 및 행・재정’, ‘교육성과’ 항목이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둘째, 평가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평가 지표는 양성과정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대체로 교육경영 및 여건에서는 ‘수업행동분석실의 활용률’, ‘전임교원 1인당 연구실적’이, 성과 영역에서는 ‘국・공・사립학교 교원임용률’, ‘졸업생 현직교사 만족도’가 주요 지표였다. 한편 교육과정 영역에서는 양성과정별로 각기 다른 지표에서 영향력이 나타나 일관된 경향성을 찾기 어려웠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시사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3주기 평가는 교육과정 영역보다는 투입과 성과 영역이 강조된 평가였다. 둘째, 일부 평가지표의 경우 동일한 평가척도를 모든 양성과정에 공통으로 적용하는 것이 부적절하다. 셋째, 일반대학 교직과정과 교육대학원의 경우 대학 내 사범대학의 설치 유무에 따라 일부 평가지표에서 불가피한 편차가 발생할 수 있다.

      • KCI등재

        지속가능한 농촌체험마을 연구 - 방문자서비스 자체평가지표 개발을 중심으로

        김용구 한국기초조형학회 2020 기초조형학연구 Vol.21 No.5

        Currently, a similar type of rural experience village appears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rural support projects centered on the government or local governments, and it is time for rural experience villages to make effort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t is necessary to put forward solutions to the problems and review the supplementary items of each experience village. To do this, the rural experience villages themselves need to strive for sustainable development. This study is a preliminary study to establish a service self-assessment system that can solve the problems of rural experience villages by self.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service self-evaluation index. The study researched on the development of rural project evaluation indicators, customer journey maps and touch-points through the theoretical review, and then suggested a direction for empirical research. At the same time, the empirical study also extracted the action analysis and service evaluation indicators according to the journey, extracted the service evaluation indicators, and finally developed the service self-evaluation index of rural experience village through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two evaluation indicators. According to the action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ervice evaluation indicators were presented concretely. The service evaluation indicators in the first research were mainly the evaluation indicators development of rural undertakings, so it could be seen that there was no subdivision. In the conclusion, the service self-evaluation index was proposed by synthesizing the research results. In the research process, the evaluation index, which comprehend expert advice and customer journey map evaluation index were presented, and it could be inferred that there were difference in the importance of each evaluation index. The future research will be carried on by proceeding with applicable weight value based on self-evaluation indicators. 현재 농촌지원 사업이 정부나 지자체 중심의 사업으로 개발되는 과정에서 유사한 성격의 농촌체험마을이 나타나고 있으며, 농촌체험마을 자체적으로 지속발전을 위한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다. 즉, 문제점을 해결하고 각 체험마을별 보완해야 할 사항들을 되돌아 볼 수 있는 방법을 제시가 필요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 방문객의 수를 극대화하고 브랜드 가치를 높일 수 있는 방안으로 서비스 자체평가시스템도입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농촌체험마을 문제점을 스스로 해결할 수 있는 서비스 자체평가시스템 구축을 위한 사전 연구이며, 이번 연구에서는 서비스 자체평가지표를 제안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론적 고찰에서는 농촌사업 평가지표 개발관련 연구 동향, 고객 여정 맵과 터치포인트(Touch- Point)에 관한 조사를 통해 실증연구를 위한 방향을 제시한다. 그리고 실증연구에서는 여정에 따른 행동분석 및 서비스평가지표를 추출하고 선행연구에서의 서비스 평가지표를 추출하여 두개의 평가지표비교 분석을 통해 최종적으로 농촌 체험마을 서비스 자체평가 지표를 개발한다. 그 결과 행동분석에따른 서비스 평가지표가 구체적으로 나타남을 알 수 있었으며, 선행연구에서의 서비스 평가지표는 농촌사업 위주의 평가지표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었으므로, 서비스 분야의 세분화가 되지 않았음을 알수 있었다. 결론에서는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서비스 자체평가지표를 제안하였다. 그리고 연구과정에서 고객여정 맵을 활용한 평가지표와 전문가 자문을 통한 종합 평가지표를 제시하였으며, 이 과정에서평가지표별 중요도의 차이가 있을 것으로 추론할 수 있었다. 향후 연구에서는 자체평가지표를 토대로가중치 적용을 위한 후속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 KCI등재

        CIPP모형에 기반한 LINC 3.0 자체평가지표 개발 -K대학 기술혁신선도형 사례 중심으로-

        곽진영,민혜리,심미자,위영은,김지영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 2024 실천공학교육논문지 Vol.16 No.3

        이 연구의 목적은 LINC 3.0 기술혁신선도형 사업운영의 객관적 검증과 성과분석을 위한 자체평가지표를 개발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인력양성 분야와 기술개발 및 사업화 분야의 평가지표를 개발하고 그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평가관련 선행연구 및 유사사례를 조사하여 평가모델 및 체계를 구성하고 평가지표를 개발하였다. 개발한 평가지표 및 척 도는 2회의 델파이조사를 통해 타당성을 확보하였다. 연구결과, LINC 3.0 자체평가지표는 인력양성 분야와 기술개발 및 사업화 분야로 구분, 총 66개의 평가지표를 개발하였다. 인력양성 분야는 평가항목 13개, 평가지표 38개로 개발하였고, 기술개발 및 사 업화 분야는 평가항목 12개, 평가지표 28개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LINC 3.0 사업의 자체평가지표를 개발함으로써 대학 산학 협력 모델의 객관적 검증과 타당성을 높이는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의의를 갖는다. 연구에서 개발한 평가지표에 대해서는 현장 활용성을 토대로 지속적으로 고도화 작업이 필요하며, 평가결과 도출된 우수사례의 공유·확산을 통해 대학교육의 질적 수준을 높이고 경쟁력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self-evaluation criteria for objective verification and performance analysis of LINC3.0. To achieve this goal, evaluation indicators in the fields of human resources development and skill development and commercialization were developed and their validity was verified. We investigated previous evaluation-related studies and similar cases toconstruct an evaluation model and system and develop indicators. The validity of the developed evaluation indicators was secured through two round Delphi surveys. As a result of the research, LINC 3.0 evaluation indicators can be divided into the field of humanresources development and skill development and commercialization. A total of 66 evaluation indicators were developed. CIPP inthe field of human resources development was developed with 13 categories and 38 evaluation indicators, and CIPP in the field ofskill development and commercialization was developed with 12 categories and 28 evaluation indicators. The significance of thisstudy is that it suggests a way to increase the objective verification and validity of the university industry-academia cooperationmodel by developing self-evaluation indicators for the LINC 3.0 project. The evaluation indicators developed in the research needto be continuously upgraded based on field usability, and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quality and competitiveness of universityeducation by sharing and spreading excellent affairs.

      • KCI등재

        전문대학 평가지표 개선을 위한 주요 정량지표 변화분석 연구

        강성환,한대희 한국직업교육학회 2015 職業 敎育 硏究 Vol.34 No.4

        Today, junior college is evaluated in a variety of ways including the evaluation of university restructuring, government-funding projects, evaluation accreditation. These evaluations have positive aspects such as fair competition among colleges, reinforcement of their strong points, and improvement of their weak points. Nevertheless, there are also criticisms that they are conducted uniformly on the basis of quantitative evaluation indicators without considering the specific situations and regional particularities of each college. Thus,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fference of junior college evaluation indicator by regions. Moreover, it is to analyze the changes of level difference. Eventually,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finding the effectiveness and improvement of evaluation indicators.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study, there were regional differences in levels of evaluation indicators in 2011. It was higher in the capital region than in provincial areas. However, there were differences in parts of indicators in 2014 and the level difference between the capital region and the province decreased. Therefore, the college ranking system based on quantitative indicator needs to be diversified. When evaluating the junior colleges, it is necessary to diversify the evaluation indicators by their characteristics and purposes, the regions and characteristics of colleges. 오늘날 전문대학은 학령인구의 감소 등으로 인한 대학구조개혁 평가 그리고 정부의 재정지원사업 평가, 기관평가인증 등 다양한 평가 환경 속에서 살고 있다. 이러한 평가는 대학의 선의의 경쟁을 유도하고, 대학의 특성과 장점을 강화하는데 긍정적 측면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평가가 방법 측면에서 대학의 특성과 지역별 특성을 감안하지 않는 정량적 평가지표에 치중한 획일적인 평가라는 비판도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전문대학 주요 평가지표에 대해 지역별 수준 차이와 변화의 추이를 분석함으로써 현재 평가지표들의 효과성을 살펴보고 개선점을 모색하는데 있다. 연구 결과 전문대학의 주요 평가지표들은 2011년도 여러 지표에서 지역별로 차이가 있었으며, 주로 수도권이 지방권에 비해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그러나 2014년도의 경우 일부 지표에서만 차이가 있었으며, 수도권과 지방권간 평가지표의 수준 차이도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량지표 값의 수준이 대부분 지표에서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정량지표에 치중한 순위평가 보다는 평가방식을 다양화하고, 평가 사업의 특성 및 지역별 그리고 대학의 특성에 따라 평가지표를 개발하고 다양화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농업인 교육프로그램의 평가지표 개발

        나승일,김진모,정철영,안강현,전승환,김강호,민상기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06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3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evaluation indicators in education program for farmers. The evaluation indicators was developed through a comprehensive review of literatures related to farmer education and program evaluation. Twenty five evaluation indicators were developed according to 17 sub-domains in 4 evaluation domains. Educational objectives and target audiences include 5 indicators according to educational objectives, target audience, and correspondence between educational objective and functions of institution. Educational capabilities include 5 indicators according to educational facilities, materials, staffs in charge, and historical accomplishments of the program. Program implementation and management include 10 indicators according to educational contents, a period and schedule of program, lecturers, educational methods, execution of educational expenses, and educational management. Educational accomplishments and assessment include 5 indicators according to educational accomplishments, audience assessment, follow-up management for audiences, and utilization of assessment results. The evaluation indicators were verified by several panels of expert committee including farmer educators, and through actual application. Consequently, it was identified that the evaluation indicators were suited to gather information for judgments of goal achievement and decision making in programs. 이 연구의 목적은 농업인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평가지표를 개발하는데 있었다. 이를 위해 농업인 교육프로그램의 바람직한 수준 및 평가모형 설정을 위해 국내외 농업인 교육프로그램 특성과 관련한 문헌을 고찰하였다. 문헌고찰을 통해 4개 평가영역에 대해 17개 평가항목 및 25개 평가지표가 최종 개발되었다. 교육목적 및 대상 영역은 교육목적, 교육대상, 기관역할과 교육목적의 부합성 3개 평가항목에 따라 5개 평가지표, 교육역량은 교육시설, 교육기자재, 전담조직 및 인력, 프로그램 실적 4개 평가항목에 따라 5개 평가지표, 프로그램 운영 및 관리 영역은 교육내용, 교육기간 및 일정, 강사진, 교육방법, 교육비 집행, 교육관리 6개 평가항목에 따라 10개 평가지표, 그리고 교육실적 및 평가 영역은 교육실적, 교육생 평가, 사후지도, 평가결과의 활용 4개 평가항목에 따라 5개 평가지표가 개발되었다. 개발된 평가지표는 농업인 교육훈련 및 프로그램 평가 관련 전문가 및 농업인 교육담당자의 검토와 농업인 교육프로그램 평가에 실제 적용을 통해 타당성이 검증되었다. 또한 농업인 교육프로그램의 목표달성 확인 및 의사결정 정보수집에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 KCI등재

        작은도서관 평가체계 및 지표 개선방안 연구

        김보일,김홍렬 한국정보관리학회 2021 정보관리학회지 Vol.38 No.4

        This study proposed the improvement in the evaluation systems and indicators of small libraries, by analyzing the evaluation indicators of the current small libraries, domestic and foreign ones and domestic other institutions, and gathering opinions from managers of them and experts belonging to related groups, in order to enhance the management quality of small libraries and strengthen the independence of them, based on the evaluation on the activation and substantiality of them. The evaluation systems proposed by this study is divided into Track 1 evaluating small libraries and Track 2 evaluating local governments. The evaluation indicators of small libraries was simplified by eliminating the indicators found from the statistics of Track 1 (small libraries). Track 1 consists of three evaluation areas in regard to the management of small libraries, such as library management, infrastructures and services, 8 evaluation items, 10 evaluation indicators, quantitative (a total of 100 points) and qualitative (a total of 120 points) evaluation. Track 2 consists of 2 evaluation areas in regard to the establishment and enforcement of small library policies and the support for small libraries, such as library management and infrastructures, 4 evaluation items, 5 evaluation indicators and quantitative evaluation (a total of 100 points). 이 연구에서는 작은도서관의 활성화 및 내실화 측면에서의 평가를 통해 작은도서관 운영의 질적 수준을 향상하고 자생력을 강화하기 위하여 현행 작은도서관 평가지표 분석, 국내외 작은도서관 관련 평가지표 분석, 국내 타 관종 평가지표 분석, 작은도서관 운영자 및 관련 단체 전문가 등을 대상으로 의견수렴 등을 통해 작은도서관 평가체계 및 지표를 개선하여 제안하였다. 이 연구에서 제안된 작은도서관의 평가체계는 단위 작은도서관을 대상으로 하는 트랙 1과 기초지방자치단체 평가하는 트랙 2로 구분된다. 작은도서관의 평가지표는 트랙 1 작은도서관에 대하여 통계를 통해 확인되는 지표는 생략하고 단순화하였으며, 작은도서관 운영에 따른 도서관 경영, 도서관 인프라, 도서관 서비스의 3개 평가영역, 8개 평가항목, 10개 평가지표 100점으로 구성된 정량평가와 20점 총 120점으로 된 정성평가로 구성하였다. 트랙 2 기초지방자치단체의 평가지표는 정성평가 없이 작은도서관 정책 수립 및 시행과 작은도서관 지원 등에 관하여 도서관 경영, 도서관 인프라의 2개 평가영역, 4개 평가항목, 5개 평가지표 100점으로 구성된 정량평가로 구성되어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