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에도시대 豊臣秀吉에 대한 인식

        김문자 중앙대학교 중앙사학연구소 2017 중앙사론 Vol.0 No.46

        This research examines how recognition of Hideyosi during the Edo Period changed based on contemporary literature from Confucian scholars, classical scholars, statesmen, and Taikôki for the general public. For 200 years of the Edo Period, recognition of Hideyosi was not uniform. In the seventeenth century, during the early Edo Period, neo-Confucian intellectuals who protected the Shogunate regime, in an atmosphere of anti-Hideyosi, critically understood Hideyosi’s invasion of Korea as an unjustifiable war. In recognition of Hideyosi, the invasion of Joseon was identified as the arrogant and atrocious behavior of a shameful man who was ungrateful of Nobunaga. Thus, during this period, criticism of Hideyosi was expected from pro-Shogunate scholars. In the mid-Edo Period, pro-Shogunate scholars continued to denigrate Hideyosi’s achievements, saying that the invasion to Joseon was useless. Most underestimated him as a treacherous man toward Nobunaga from Confucian logic. That is, literature by these scholars does not blindly praise the invasion to Joseon and describes Hideyosi’s limits and mistakes without any omissions or rewrites. However, unlike early scholars, who criticized the complete victory of conquering three Han countries by the Empress Zingu and the invasion of Joseon by Hideyosi, Hideyosi’s invasion was first highly regarded as national defence. Empress Zingu’s military successes and Hideyosi’s invasion were both praised as achievements that showed the divine glory of Japan. Resistance to criticism of Empress Zingu was common among Confucian scholars, who brought foreign theories, such as Buddhism. Statesmen and scholars influenced by classical studies during the late Edo Period intended to protect the country by overseas expansion, targeting Joseon for its proximity to Japan and for conquest as emancipation. In this respect, Hideyosi’s invasion was viewed in a positive light. Additionally, Taikôki literature gained public popularity at this time, and Hideyosi was embellished as the smartest and most perfect man, who made his fortune as a commoner in a strict social hierarchy, rather than focusing on his achievements or expansion-related military prestige. This change was closely related to the Tokugawa shogunate’s power and emancipation, as well as Japan’s defence, and the image of Hideyosi’s as a hero and pioneer of overseas invasion was formed from the mid to late Edo Period, rather than the modern era, in which his image continues to change. 本稿では江戸時代,豊臣秀吉に對する認識がどのように変化していたのかを儒学者,国学者,経世家などの残した文献と,一般人対象の太閤記物類を通じて考察していた. 江戸時代の200年間,秀吉に對する認識は一律的ではなかった.江戸前期である17世紀には反秀吉の雰囲気の中で,幕府を庇護する朱子学らは秀吉の朝鮮侵略を名分のない無用の戦争であると批判的に認識していた.したがって秀吉の認識も朝鮮を侵略したのは,驕慢無道な行動であり,主君である織田信長の恩も知らない破廉恥な人間として扱ったのである.このように江戸前期は親幕府性向の儒学者によって秀吉は批判と否定的な評価を受けざるをえなかったのである. 江戸中期である18世紀後半,ロシアの南下で始まった異国船の日本近海の出没は日本の知識人らに大きな危険意識を招いた.こうした対外的危機に対する防備策として台頭された論議が正に海防論(海防問題)である. 神功皇后の 三韓征伐 伝承と秀吉の 朝鮮侵略 を外国に対する侵略であると批判した初期の儒学者とは違い,自国の防衛問題と関連して秀吉の朝鮮侵略を高く評価し始めたのである.儒学者らが儒学や仏教のような外国理論を持って,侵略全勝を批判したことに対する反発がこの時期から一般的に現れたことを知ることができる. 江戸後期にはいると国学の影響を受けた経世家,兵学者らは海防問題と関連して日本に近接している朝鮮を征服の対象とし,海外膨張をすることによって自国の防衛を守ろうとした.こうした観点から秀吉の海外征服を肯定的に評価したのである. また,一般の人々の間では再び太閤記物類の文献が人気を集めた.彼れらは秀吉の功績や海外征服と関連した武威に対する関心よりは身分構造が厳しい状況で平民から立身出世し,最も模範的かつ完璧な人物として美化されたのである。 このように江戸時代秀吉に関する認識の変化は江戸幕府の権力の掌握力と海防問題, 日本の防衛問題と密接な関係を結んで連動されていることが分かった.また.秀吉が朝鮮を侵略しながら大陸進出の先駆者という英雄イメ-ジは近代の時期ではなく,すでに江戸中․後半期から孕胎され持続的に変化して行ったことを知ることができた。

      • KCI등재

        『백민』과 민족문학- 해방 후 우익 문단의 형성

        김한식 상허학회 2007 상허학보 Vol.20 No.-

        This article surveys the contents of Baekmin, which represents a right-wing magazine in the period of emancipation. Particularly, this article’s main interest is the logic of the right-wing literary circle that continuously had claimed the contents of ‘National Literature’. This makes us to guess the formation of the literary circles after emancipation as well as after the Korean War. The main writers of the early period were the members of ‘Young Writers’ Association.’ Kim, Dong-Lee, Cho, Ji-Hoon, Choe, Tae-Eung were against the left-wing writers and their ‘National Literature’ was close to the concept of ‘Pure Literature’. Their ‘National Literature’ was the literature committing for overcoming national crises thus tent to acknowledge the current regime. Writings of Baekmin illuminat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writers of ‘Young Writers’ Association’ and the ones of ‘Central Cultural Ass- ociation.’ This difference is similar to the ‘New Generation Argument’ of the late 1930s in terms of their attitudes toward utilitarianism. The contour of 1960s’ literary circle was the continuation of the period of emancipation or pre-emancipation. More than anything else, Baekmin was the only magazine that right- wing writers could publish their works under the circumstance of hege- monic power belonged to the left-wing writers during the period of eman- cipation. Although Baekmin did not start as a literary magazine, it clarified its tendency as a literary magazine since it changed editorial di- rection. After the left-wing writers lost their hegemonic power, Baekmin gave its field to another media and organizations. 본 논문은 해방기 우익 잡지를 대표하는 백민의 내용을 살펴본다. 특히 백민이 시종일관 주창한 ‘민족문학’의 내용을 통해 당시 우익 문단의 논리에 관심을 가진다. 이는 해방 이후 뿐 아니라 한국 전쟁 이후까지 우리 문단의 성립과정과 이후의 해방 이후 우익 문단의 분화까지 짐작할 수 있게 해준다. 초기 백민의 주요 필자는 <청년문학가협회> 회원들이었다. 김동리, 조지훈, 최태응 등의 문인들은 좌익 문인들과 치열한 대결을 보였는데, 이들이 주장한 ‘민족문학’은 ‘순수문학’에 가까운 것이었다. 단정 수립 이후 백민은 김광섭을 대표로 하는 <중앙문화협회> 회원들이 주요 필자로 참여하게 되면서 친정권적 색채를 노골화한다. 이들이 주창한 ‘민족문학’은 민족의 위기를 극복하는 데 기여하는 문학으로 현재의 체제를 수긍하는 경향이 강했다. 이후 자유롭게 문학 활동을 펼칠 지면이 절실해진 <청문협> 출신들은 문예라는 잡지를 창간하여 자신만의 문학 영역을 구축한다. 백민에 실린 글들을 통해 <중앙문화협회>로 대표되는 일군의 문인들과 <청문협>으로 대표되는 젊은 문인들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단순히 세대간의 차이로 볼 수는 없지만 공리주의에 대한 태도 면에서는 1930년대 후반 ‘신세대 논쟁’을 떠올리게 한다. <한국문학가협회>와 <자유문학가협회> 혹은 현대문학과 자유문학이 양립하게 되는 1960년대까지의 문단지형은 해방기 혹은 해방기 이전의 연속이었다. 무엇보다 백민은 좌익 문인들이 주도권을 쥐고 있던 해방기 우익 문인들이 글을 발표할 수 있었던 흔치 않은 잡지였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비록 문예중심지로 시작하지는 않았지만 문예 중심의 편집으로 전환하면서 그 성격을 분명히 한 잡지이다. 좌익 문인들의 현실적 힘이 사라지기 전까지 각기 다른 성향의 우익 문인들이 공동의 상대를 향해 함께 뜻을 모았지만, 좌익 문인들이 사라진 후 백민은 새로운 매체나 단체에게 자리를 내주게 된다.

      • KCI등재

        해방기 환멸의 정조와 상상적 탈주 : 정비석의 해방기 소설을 중심으로

        김현주 韓國批評文學會 2012 批評文學 Vol.- No.44

        본고는 정비석의 해방기 단편소설을 대상으로 주체의 존재 방식을 고찰하였다. 주체는 현실을 환멸의 정조로 관조하면서, 양심을 수호하고 존재의 이상을 실현하기 위한 탈주를 시도한다. 주체의 탈주 욕망은 현실세계에 직접 개입하여 개혁하는 방향이 아니라, 시적 세계의 내면을 확장하거나 소외와 분열을 극복한 조화로운 인간상을 구현할 수 있는 네이션을 상상하는 방향으로 재현된다. 이때 시적세계로의 확장은 이성과의 만남으로 구체화되고, 주체는 환멸의 세계와 시적 세계의 경계를 오가면서 생명력을 회복한다. 특히 소녀와의 만남은 환멸의 세계 속에 존재하는 실존의 부정과 훼손되지 않는 존재로의 낭만적인 퇴행 욕망과 관련 있다. 이 만남을 통해 주체는 환멸의 세계로부터 벗어나 내적 만족감을 충족하고 그 만족감을 미적인 것으로 충일한 낭만적 공간을 마련한다. 그러나 주체의 양심이 현실에서 파멸할 수밖에 없다는 절망적 통찰이 전제되어 있다는 근본적인 한계를 지닌다. 이런 절망적 통찰은 주체의 양심을 실현할 수 있는 세계, 즉 네이션을 상상하는 동력이 된다. 상상된 네이션은 민족의 정체성을 국가의 정체성과 일치시키는 근대적 공간이다. 이는 주체가 환멸의 세계를 정복하고 양심의 소리에 귀 기울이는 존재물음의 과정이자 그것을 상상적으로 재구조화한 결과물이다. 주체는 개개의 과오를 상상된 네이션 속에 용해해 버리고, 국민으로 창출할 준비를 한다. 정비석이 국민국가를 상상하는 방식이 균질적인 국민의 창출과, 그 핵심을 민족이라는 혈통 중심적 사고에 두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정비석의 해방기 소설은 환멸로부터 상상적 탈주를 시도하지만, 그 탈주가 현실을 변화시키는 실제적인 힘으로 작동하지 못한다는 점이 문제로 남는다. This study considered the being method of the subject on Cheong Bi-seok's short story during the liberation. The subject contemplated the reality as the Feelings of disillusionment, trying to escape for protecting conscience and realizing an idea of existence. The desire of the subject for an escape was reenacted towards the imagination of a nation where can be realized a harmonious human character that extends the poetical inner world, or overcoming the fringes and the division. At that time, the extension around the globe was realized by touching reason, and the subject recovered vitality as coming and going the border between the disillusive world and the poetical world. Especially, to meet with a girl is related with a romantic regressive desire for the subject who denies an existence in the disillusive world and then being an existence who can be damaged. With this meeting, the subject met the inner satisfaction and prepared a romantic space where is full with the aesthetic things out of the disillusive world. However, it implies the fundamental limitation to have the premise of a hopeless insight that the conscience of the subject has to be destroyed in reality. This hopeless insight derives a power to image a nation that can be realized the conscience of the subject. This imaged nation is modern space where fits ethnic identity with national identity. This is the course of questions to an existence in which the subject conquers the disillusive world and hears of the conscience, and then being the result that restructured it imaginatively. The subject liquefied the individual error into the imaged nation, and preparing to be driven as nation, because the way that Cheong Bi-seok images a nation-state is focused on the blood-oriented thought for creating homogeneous nation and it's essential.On the other hand, Cheong Bi-seok's novel during the liberation tried to escape imaginatively from the disillusionment, but it gives a problem that the escape couldn't be worked as an actual power to change reality.

      • KCI등재

        원자탄의 매개된 세계상과 재지역화의 균열들

        공임순(Kong Im-soon)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1 서강인문논총 Vol.0 No.31

        이 글은 종전과 더불어 전후의 한반도 해방(자유)화의 조건이 쌀과 원자탄을 둘러싼 유언비어의 형태로 재연되고 있다는 점을 1장에서 지적했다. 쌀과 원자탄을 둘러싼 유언비어의 진위 논쟁은 한반도 해방(자유)화의 조건이 자립과 종속의 이중 계기에 노출되어 있음을 단적으로 드러내고 있었다. 쌀의 풍작에도 불구하고 쌀 기근과 쌀 부족은 수입쌀에 뒤섞인 원자탄원료의 반입이라는 유언비어의 형태로 한반도가 미소의 양 패권국 사이에서 전장화될 지도 모른다는 의심을 불러일으켰다. 이것이 쌀과 원자탄과 관련된 유언비어의 진위 논쟁으로 불거진 셈인데, 이처럼 원자탄은 쌀과 더불어 아니 쌀 이상으로 한반도 주민들의 삶에 깊숙이 침투해 있었던 것이다. 원자탄은 한반도 주민들이 한 번도 접해보지 못한 미증유의 대상이었다. 이 미지의 존재로서의 원자탄은 종전과 전후의 세계상에 대한 한 표지로서 원자탄의 가공할 파괴력과 평화적 사용에 대한 관심을 동시적으로 촉발했다. 하나의 세계이냐 두 개의 세계이냐라는 물음에 압축되어 있듯이 원자탄은 전 세계적인 평화와 전쟁의 갈림길을 강제하고 있었다. 이러한 원자탄의 전쟁과 항구적 평화의 표상은 한반도 및 극동의 지정학적 운명을 비추는 거울상으로 작용했는데, 가령 한반도 및 극동이 원자탄의 폭발력에 비견되는 위험 지구로 인식되는 양상이 그러하다. 이러한 한반도 및 극동의 당면한 위기감은 한반도가 세계전쟁의 화약고가 되어서는 안 된다는 절박한 요청을 띠게 되는데, 이러한 전후의 동시대적인 감각은 한국전쟁을 계기로 또 한번의 굴절을 겪게 된다. 한반도가 제 3차전의 도화선이 되어서는 안 될 것이라는 주장은 원자탄을 사용해서라도 한반도의 적대 세력을 없애야 한다는 주장으로 변전하고, 제 3차전에 대한 경고는 한국전쟁이 이미 제 3차전이라는 자기 임계점에 가닿게 된다. 이는 한국전쟁의 세계전화였으며, 한반도를 자유민주주의를 위한 십자군으로서 자리매김하는 정치의 도덕화, 도덕의 정치화였다. 이러한 종전과 전후의 달라지는 세계 인식과 감각은 원자탄의 가상적 효력을 배경으로 전면전의 가능성이 전제된 새로운 공간창출의 움직임 속에서 이루어졌는데, 한국전쟁은 칼 슈미트가 말한 원자탄(핵)의 발명이 체현하는 전면전과 지역전의 내적 균열과 모순을 보여주는 일례로서 그 부족함이 없다 할 것이다. What this thesis examines in the first chapter is that a condition for emancipation(liberalization) of the Korean Peninsula’s in postwar period had been reenacted in forms of rumor around rice and atomic bombs. The arguments whether or not this rumor around rice and atomic bombs is true revealed clearly that a condition for emancipation(liberaliz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was directly connected with the double moments of independent and dependent. The atomic bombs was the an unheard-of object which Korean people had never seen or heard of before. This atomic bombs as an unheard-of object had promoted concerns about the horrible destructive power as well as peaceful use of it as a mark about world picture in postwar period. As the question whether the world will be one world or two world illustrated well, atomic bombs made the world be standing at the crossroads of worldwide peace and war. This representation of worldwide peace and war around atomic bombs worked as mirror image reflecting geopolitical fate in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Far East, so to speak, it was aspect that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Far East were recognized as a danger zone equalled to destructive power of atomic bombs. But throughout the Korean War the insistence that the Korean Peninsula never to become the direct cause of world war Ⅲ changed the claim that the Korean War was already world war Ⅲ which was self-the critical point of the Korean Peninsula. That was to be world war the Korean War, and was to be moral of politics and to be politics of moral by positioning the Korean War the Crusades of free democracy. This changing recognition and sense of the world was done within the new movement for the creating of space implying possibilities for total war against a background of virtual effective of atomic bombs, then the Korean War was an certain instance that showed internal raptures and inconsistency between total war and local war embodying the invention of atom bombs what Carl Schmitt called.

      • KCI등재

        해방기 서술시와 ‘시적 감응’의 문제

        여상임(Yeo, Sang-im) 국어국문학회 2013 국어국문학 Vol.- No.165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Narrative-Poetry of The Period of Emancipati on and Poetic and Emotional Sympathy. Untill now, When we see the emotional sympathy, We have emphsized a poet, poet"s internalization, poet"s subjectivity. We have considered these factors as decisive something in Poetic and Emotional Sympathy. but, Many poetries which are unrelated with this a poet, poet"s internalization, poet"s subjectivity can create too Emotional Sympathy. The Narrative-Poetry of The Period of Emancipation are included in this kinds. The Narrative-Poetry of The Period of Emancipation aroused Emotional Sympathy although don"t have poet"s internalization, poet"s subjectivity, poetic language, rhythm ic beauty in language. This is possible when we see the poet in view of an ‘arrangement". The Narrative-Poetry of The Period of Emancipation were enjoyed not reading poetry but reciting poetry. When we see the Narrative-Poetry of The Period of Emancipation, we need to see these poetries in oral communication context. When we see these poetries like this, we can see the poetic and emotional symphathy.

      • KCI등재

        해방 전후 박태원의 역사소설

        김종회(Kim, Jong Hoi) 구보학회 2007 구보학보 Vol.2 No.-

        해방을 전후한 시기의 박태원은, 중국 고전소설의 번역과 역사소설 창작의 두 가지 문학적 양상을 보여주면서 일제 강점기와 월북 사이의 시기를 보내었다. 당대의 사회적 상황과 관련하여 창작의 자유를 강압하는 환경의 장벽을 넘어선 작가를 찾기 어려웠다는 점에서 이는 박태원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총체적인 민족사의 비극이었으며, 그의 번역소설과 역사소설이 현실 도피적인 측면이 약여한 만큼 그 도피는 또 다른 의미에서 현실에 대한 불가피한 반응 양상이자 소극적 부정의 의식을 반영하는 것이 된다. 그의 번역소설은 전체적으로 보아 민족적 질곡에 대한 인식이 있었고 이를 표현하고자 하는 작가의식이 없지 않았으나 궁극에 있어서는 일제 강압의 무게를 벗어나지 못했고 친일 문필로부터도 자유롭지 못했다. 다만 그의 번역소설이 그 시기에 급작스럽게 주어진 문학적 산물이 아니라 그의 문학적 생애의 시발과 관련된 여러 요인의 결과이며, 동시에 추후 지속적으로 역사소설을 쓰고 또 북한에서 역사소설로 대가의 반열에 오를 수 있도록 하는 창작 행위의 사전 정지작업에 해당한다는 점에 있어서는 매우 중요한 측면이 있다 할 것이다. 또한 해방공간에서 그가 쓴 여러 유형의 역사소설들은, 변화하는 시대적 상황을 수용하면서 비록 ‘전향선언’에 이르기는 했지만 여전히 사회주의적 세계관과 관련된 그의 창작 성향을 드러내는 면모를 보인다. 이는 곧 그가 월북한 이후에 북한 체제의 최고지도자 김일성이 높이 평가하는 최고의 역사소설 작가로 자신의 위상을 높이기까지, 그것의 기반을 닦는 창작 경험과 그 훈련의 시기를 보낸 것임을 추산할 수 있다. 박태원이라는 작가는 이렇게 남북 양측에 그 창작 무대를 두고, 작품의 경향에 있어서도 남북이 함께하는 연구의 시발을 합의할 만한 몇 안 되는 인물 중 하나이며, 그의 파란만장한 생애와 작품의 생산이 곧 민족적 비극의 시기에 일상적 사고와 삶을 가졌던 지식인 일반이 어떻게 두 정치체제 사이의 좁고 험한 길을 걸어갔는가를 보여주는 하나의 표본 모델이다. 그러한 점에서 해방을 전후한 박태원의 번역소설과 역사소설은, 그의 전반적인 작품세계 속에서, 또 당대의 한국문학 및 북한문학 가운데서 주목하여 관찰할 의미를 갖고 있다 하겠다. Before and after the emancipation of Korea, Park Tae-Won spent his time during the Japanese colonization moving up to North Korea while working on the two following aspects of his literature: translating Chinese classical novels and originatinga genre of historical novel. Considering the social conditions of the time that suppressed freedom of creation in writing, it was hard to find a writer who had overcome the social barriers. This was not only an individual matter for Park Tae-Won but an overall tragedy ofthe national history. Because his translated and historical novels represent a lack of escapism, they were inevitably a reaction to the reality and also reflect his denial of it. Overall his novels demonstrated awareness of the ethnic yoke and conscious to express this. He was not able to escape Japanese oppression or freed from pro-Japanese literary circles. But his translated novels were not only a literary product within a short period of time but also a result of different factors whichbecame the starting point of his literary work. At the same time, it is recognized for helping him to continue to write historical novels, and to establish his position as a historical novel writer in North Korea. Also, the various kinds of his historical novels written during the emancipation period accepted the changing conditions of the society. He declared for another direction later on but his works still show the aspect of originating a new genre in the socialistic world view. Until he became the best historical novel writer in North Korea, whom the president of North Korea Kim Il-sung thinks highly of, he spent many years of literary training to firmly establish the foundation for his writing experience. The writer Park Tae-Won had spaces in the literature of both North and South Korea. His works also reflectaspects of both North and South Korea, and himself as a role-model of someone living a life as an ordinary educated person who experienced two different political regimes. For this reason, his translated and historical novels, both before and after the emancipation of Korea, deserve attention among the North and South Korean literature of the time.

      • KCI등재

        해방기 낭독시와 정서적 감응

        여상임(Yeo, Sang-im) 우리말글학회 2012 우리말 글 Vol.56 No.-

        이 논문은 해방기 낭독시들을 대상으로 해서 이들 시의 정서적 감응과 공감문제를 살펴보고자 한다. 해방기 낭독시는 읽는 시로서가 아니라 낭독이라는 배치 속에서 향유되고 유통되었다. 무대-낭독자-작품-청중-현장이라는 계열 속에서 시가 드러나면서, 읽는 시와는 다른 배치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럴 때 시에 대한 감각방식은 청각이 우세하게 되고, 목소리를 통해서 청각을 통한 운율이 형성된다. 시를 향유하는 사람들은 비슷한 문제의식을 공유하고서 모인 집단적 청중이다. 시 작품 자체도 낭독자의 어조에 따라, 그리고 청중들의 반응에 따라 다른 감응의 강도를 만들어내는 다른 시로 드러난다. 이렇게 시가 서 있는 배치가 달라질 때 시의 정서적 감응의 강도는 달라지게 되는 것이다. 해방기 낭독시는 초월적인 담론적 코드들이 무화되는 장이 되었다. 이 시기 좌익 측 문인들의 지배적인 문학담론은 문학과 정치의 일원화 담론이 우세했다. 그러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시에서 작가의 감정이나 시적인 운율같은 문학성 담론이 지배적인 문학적 담론으로 존재했다. 이러한 초월적 코드에 입각해서 해방기 낭독시를 본다면 이 시들은 정치성 담론에서도, 문학성 담론에서도 모두 결여태로 낙인찍힐 만한 것이었다. 하지만, 실제로 해방기 낭독시들은 정서적 공감의 공동체를 만들어내면서 이러한 지배적인 코드들이 무화되는 장을 만들어내었다. 이처럼 시에서의 정서나 정서적 공감의 문제는 작가라는 주체의 내면성이나 작품 자체가 가지고 있는 어떤 시적인 요소들만을 가지고 얘기될 수 없고 시가 서 있는 배치 속에서 얘기되어야 할 것이다.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Reciting-Poetry of The Period of Emancipati -on and Emotional Sympathy. Untill now, When we see the emotinal sympathy, We have emphsized a poet, poet"s internalization, poet"s subjectivity. We have considered these factors decisive something in Emotional Sympathy. but, Many poetries which are unrelated with this a poet, poet"s internalization, poet"s subjectivit have too Emotional Sympathy. The Reciting-Poetry of The Period of Emancipation are included in this kinds. The Reciting-Poetry of The Period of Emancipation aroused Emotional Sympathy although don"t have poet"s internalization, poet"s subjectivity, poetic language, rhythm-mical beauty in language. This can be when we see the poet in arrangement. The Reciting-Poetry of The Period of Emancipation enjoyed not reading poetry but reciting poetry.

      • KCI등재

        해방기 박태원의 역사소설

        박배식(Park Bae-Sik)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08 동북아 문화연구 Vol.1 No.17

        Before and After The Emancipation of Korea, Park Tae Wen's spent his time during the Japanese colonization up to North Korea while working on the two following aspects of his literature. This paper is aimed at the establishment of literary phase of park Tae Won's novels through the analysis and generalization of his works after examining th writer's biographical facts and literary characteristics background The novels of Park Tae Won has a weekness of not having been able to generalize th reality of lives. Therefore, the inward reality of the works reflects only the phenomenal recognition of world, and lacks the active will of overcoming the surroundings. His works leave much to be desired as to whether he devoted himself to finding out historical reality and shaping it as a novel, or not. And there is a limit of Park Tae Wen's novels in that the inward reality of the works is not consistent with the outward reality. The writer Park Tae Won had spaces in the literature of both North And South Korea, and himself as a role-model of some one living a life as an ordinary educated person who experienced two different political regimers.

      • KCI등재

        오인된 ‘카르노스’의 노래 - 설정식 시의 윤리적 주제의식과 그 시적 형상에 대한 고찰

        강계숙(Kang, Gye-Sook) 한국비평문학회 2022 批評文學 Vol.- No.83

        본고는 설정식 시에 나타나는 윤리적 인식의 특징과 문학적 형상 간의 관계를 살피는 데 목적이 있다. 정치적 현실을 윤리적 정당성의 관점에서 파악하는 설정식의 사유는 해방기 다른 좌익계열의 시인들과 그를 구분 짓는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윤리를 도덕과 분리시켜 이해하는 그는 한 사회의 정신적 질서란 윤리적 전통으로부터 형성되며 문화적 개성의 보유는 윤리의식의 성숙도에 따라 좌우되는 것으로 인식한다. 인간 주체가 실천해야 할 보편윤리의 정립은 모든 사회 공동체에 요청되는 과제인바 그에게 정치권력의 정당성은 마땅히 윤리적 정당성을 근거로 판단되어야 할 문제이다. 따라서 그의 문학적 물음은 ‘윤리적으로 정당하지 않은 권력이 정치적으로 정당할 수 있는가’로 요약된다. 그가 해방기 조선 사회의 제일의 과제로 윤리적 주체의 형성을 제시한 것도 이러한 논리에 따른다. 그는 우선 당대가 요구하는 민족문학의 수립은 문학가의 양심과 그 실천에 의해 가능한 것으로 본다. 이 때 양심은 민족 자체를 윤리적 판단의 대상으로 파악하고 자기 민족의 죄악을 성찰할 수 있는 내적 비판의식을 뜻한다. 토마스 만의 「마의 민족」은 그러한 양심이 실행된 예로 설정식은 이 글의 번역을 통해 민족의 자유를 ‘책임’의 내면화가 요구되는 윤리적 과제로 환원한다. 그의 시에 나타나는 제국주의 비판의 핵심도 윤리와 도덕을 망각한 민족은 정치적 힘을 잘못 행사함으로써 ‘마의 민족’으로 전락하고 있고, 자신의 죄악을 돌아볼 줄 모르기 때문에 그 어떤 정치적 정당성도 주장할 수 없다는 사실에 모아진다. 그의 시는 스스로를 반성하지 않는 정치권력의 팽창이란 타민족의 희생을 당연시하는 파국적 우화에 불과하며, 민족의 악덕은 어느 민족에게서나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조선 민족 또한 예외일 수 없음을 강력히 경고한다. 그의 시에서 윤리적 주체 형성의 요구는 두 가지 방향으로 나뉜다. 하나는 윤리적 주체의 자기 정립이며, 다른 하나는 새로운 윤리적 공동체로서의 인민의 창출과 기획이다. 전자는 ‘아모스’와 ‘카르노스’의 예언으로 상징되는데 신의 분노를 대리하는 전지적 선지자 ‘아모스’가 조선의 현실을 경계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차용된 목소리라면, 광기의 예언자 ‘카르노스’는 진실한 말로 민족의 앞날을 계시하지만 오해의 비극을 피하지 못할 것을 예감한 시인 자신의 목소리에 해당한다. ‘아모스’와 ‘카르노스’의 동시적 공존은 설정식의 시인으로서의 자기-이미지가 두 형상 사이에 분열되어 있고, 둘은 거듭되는 자기 부정의 관계에 있음을 암시한다. 한편 후자는 민족과 인민을 경계 짓는 데서 출발한다. 민족의 악덕을 직시할 때 민족의 재생과 구원이 가능하다고 보는 설정식의 관점에서는 만약 민족이 불의하다면 그러한 불의를 극복할 수 있는 정의로운 ‘우리’의 무리가 민족 내부에서 솎아져야만 한다. 인민은 그렇게 민족 안에서 분화되는 ‘다른’ 공동체로서, ‘가난하지만 의로운’ 이들에 의해 구성되며 민족의 역사를 쇄신할 새로운 주권적 공동체로 상상된다. 그의 시에 구현된 인민의 형상은 자기를 ‘홀로’ 세우는 단독자이되 집단을 이루기 위해 배타적 동화를 강요하지 않는, 서로의 주체성을 지키면서 ‘우리’를 수호하는 다중(多衆)의 모습을 띤다. 민주주의가 위기에 처할 때면 언제든 다시 소환되는 이 다수성의 이미지야말로 설정식 시의 가치를 영원히 현재적인 것으로 만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his ethical perception and literary shape that appears in Seol Jeong-Shik"s poems. Seol"s idea of grasping political reality from the perspective of ethical legitimacy is a characteristic that distinguishes him from other left-wing poets in Emancipation Period(1945-1950). He perceives that a society"s mental order is formed from ethical traditions, and cultural personality depends on the maturity of ethical consciousness. For him, the establishment of universal ethics is considered a task for all social communities to solve. He also thinks that political legitimacy is a matter to be judged based on ethical legitimacy. Therefore, his literary question can be said, "Can power that is not ethically justified be politically justified?" Based on this logic, he suggests the establishment of an ethical subject as the first task in Chosun society. He believes that national literature of the time can be established only when a literary man practices his conscience. The conscience of a literary man refers to a consciousness that can criticize the sins of one"s own people by seeing their own people as objects of ethical judgment. Seol presents Thomas Mann"s German and German people as an example of such conscience being practiced. Through the translation of this article, he reveals that national freedom is inextricably related to a sense of responsibility. The main content of imperialism criticism in his poem is that a nation that forgets ethics and morality cannot claim its political legitimacy because it becomes an ‘evil nation’ by misusing political power and does not know how to reflect on its sins. His poem strongly warns that the political power that does not reflect on itself is merely a foolish story that takes for granted the sacrifice of other peoples, and that the Chosun people cannot be an exception because the evil of the people can appear in any nation. The formation of an ethical subject in Seol’s poem takes on two aspects. One is the self-establishment of ethical subjects, and the other is the creation of people as a new ethical community. The former is embodied through the prophets Amos and Carnus. Amos, who conveys God"s revelation instead, is a voice intentionally borrowed to warn of the current situation in Chosun and the possessed Carnus is the voice of the poet himself who predicts the future of the nation in a sincere language but predicts that misunderstanding cannot be avoided. The coexistence of the two voices suggests that the self-image as a poet is divided between the shapes of the two prophets. The latter begins with the distinction between the people and the nation people. The people are other communities that differentiate within the nation people. This community is imagined to be a new sovereign community that is formed by the poor but righteous and will renew the history of the nation. In his poem, the people are embodied in multiple that are independent but do not force exclusive identification to each other for forming a group.

      • KCI등재

        글렙 우스펜스키의 삶과 사상 : 19세기 후반 한 러시아 인텔리겐찌야의 초상

        김용환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2008 국제지역연구 Vol.12 No.2

        글렙 우스펜스키는 19세기 후반 특히 농노해방 이후 러시아 농민의 실존적 근원에 주목한 사실주의 작가들 중의 한 사람으로 농촌과 농민에 대한 연구와 통찰, 구체적인 분석을 통해 포착한 본질적이고 구조적인 문제들을 ‘오체르크(очерк)’의 형식 속에 사실적으로 형상화시켰다. 이러한 농민 연작의 가치는 당대 러시아 농촌과 농민의 상황을 정확히 규명하고, 자본주의의 전개과정에서 표출된 제(諸)문제에 대한 사회적 인식확산과 해결의 방안을 찾기 위한 노력이었다는 점에 있다. 우스펜스키의 작품 속에서 농민 대중은 동질적인 다수가 아니라, 구체적인 개성의 다양성으로 형상화되어 있다. 억압과 무관심의 조건들 속에서 개인성에 대한 문제 제기는 우스펜스키가 행한 중요한 공헌이다. 사상적인 측면에서 우스펜스키는 일반적으로 ‘인민주의자’ 내지는 ‘인민주의 작가(народник-беллетрист)’로 분류되지만, 주요작품에 반영된 경향적 변화를 감안할 때 ‘70년대의 사람들’의 범주에 일률적으로 포함시키기는 어렵다. 대다수 지식인 계층이 이념의 도그마에 갇혀 허우적거릴 때 그는 자본주의의 확산 즉 근대화의 과정에서 나타난 러시아의 현실을 객관적으로 인식하고 지식인의 역할에 대해 비판적인 성찰을 게을리 하지 않았다. 러시아의 진로에 대한 적확한 대안을 제시하지 못한 부분은 한계로 남지만, ‘토지의 힘’, ‘자본주의적 현실’, ‘지식인 계층의 역할’에 대한 긍정과 이들의 조화를 통해 서구와는 다른 발전 가능성을 찾는 데 천착한 우스펜스키는 19세기 러시아 인텔리겐찌야의 또 다른 전형으로 평가할 수 있다. 19세기 후반 러시아에서 작가이자 사상가로서 우스펜스키의 주목할 만한 위상과 당대 러시아 사회를 분석할 수 있는 사료로서 그의 작품이 가지는 역사성에도 불구하고 그에 대한 관심은 미비하다. 이 글은 우스펜스키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을 확보하는 데 목적이 있으며, 심도 있는 후행연구를 위한 시작으로서의 의미를 가진다. Gleb Uspensky(1843-1902) was a Russian intellectual and writer whose realistic portrayals of peasant life did much to correct the prevalent romantic view of the Russian peasant. During the period of reform and 1880's, Uspensky was popular with truth-seeking youths who found an honest and authentic perception of Russian peasant life in his ocherki (sketches). For a time he was a follower of the Narodniki (populists), but unlike them he refused to idealize the Russian peasant, whose primitive life became the main subject of his writing, as in three major works of his peasant cycle: Iz derevenskogo dnevnika, Krest'ianin i krest'ianskii trud, and Vlast' zemli. Professional revolutionaries, however, reproached Uspensky for his lack of stable paradigms and character types. Such revolutionaries criticized his evasive and ever-changing attitude toward peasants. Uspensky still searched for authenticity, believing that there is more than one truth. In his nuanced understanding of human subjectivity, he was significantly ahead of his time. Today his works retain historical value as documents of ethnological and sociological material, interspersed with the author's impressions and reflections of his own emotional responses to human suffering. This subjective-objective historicity deserves particular interest from contemporary readers. Nevertheless, Uspensky is one of the most neglected and least studied nineteenth-century Russian Realist writers. This paper presents a survey of Uspensky's life and thought for future study concerning hi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