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Durkheim의 교육이론에 나타난 인간관에 대한 비판적 고찰

        김 철(Kim Cheol) 한독교육학회 2010 교육의 이론과 실천 Vol.15 No.2

        인류의 역사에서 교육의 정의를 논할 때 우선 선행되는 조건은 교육의 대상인 인간 존재의 본질에 관한 담론이다. 인간이 어떤 존재인가에 따라 교육의 목적, 내용, 방법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교육사회학의 창시자로 일컫는 Durkheim의 교육사상에 나타난 “인간관”에 대하여 비판적으로 고찰해 보고 그 대안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Durkheim은 교육을 철저하게 “사회화” 과정으로 파악하고 있다. 그 생산물은 사회의 작품으로서 사회화된 인간이다. 출생 시 원시적인 자연적 존재로서의 인간을 사회적 존재로 변화 시키는 것이 교육이라고 그는 주장한다. 그가 말하는 사회적 존재로서의 인간은 타인과 사회의 요구에 부응하는 역할 담당자이다. 이 사회적 역할은 Durkheim에게 있어서 인간이 인간됨을 이룩하는데 필요한 구조적 조건이다. 따라서 인간의 자신됨의 근원은 자기 사회성에서 기인한다. 그의 이러한 교육학은 일종의 행동과학으로 이해되어 “제작적 교육학(poietische Erziehungswissenschaft)”이라고 일컫는다. 교육을 통한 인간과 사회의 교류는 바람직하지만, 그러나 인간이 사회의 강제에 의하여 제작(poiesis)된다는 사회 결정론적 사고가 지배하는 한, 창조적 주체로서 인간의 존재에 대한 인정은 어렵다. 이것을 넘어설 수 있는 다른 관점에서의 인간관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그것을 교육적 행위를 진정한 실천(praxis)으로 이해하는 것을 충족시킬 수 있는 인격적 존재로서의 인간에 대한 이해의 관점을 제시하고 있다. Die vorliegende Arbeit zielt darauf, eine anthropologische Sicht im Hinblick auf Durkheims Erziehungsgedanken kritisch zu untersuchen, und eine andere Perspektive der Erziehung vorzustellen, in dem sich der Mensch als Person bezeichnet. Die Erziehung erscheint bei Durkheim als Mittel zur Vergesellschaftung des Individuums und Reproduktion der Gesellschaft. Vor allem sieht er den Gegenstand der Erziehung in dem das individuelle und asoziale Wesen, das wir von Geburt an sind, zu einem gaenzlich neuen Sein zu ueberformen. Die Erziehung muss uns also dazu bringen, unsere angeborene Natur zu ueberwinden. Diese Durkheims Ausssage veranschaulicht, dass der Mensch erst zum Menschen wird dadurch, dass die Erziehung an ihm ihr Werk verrichtet und sie ihn der Gesellschaft als ganzes wie auch jedem besonderen sozialen Milieu, in das er hineingeraet, einfuegt und anfasst. Aufgrund dieser Denkweise ist zusammenzufassen: Der Mensch wird in erster Linie von seinem sozialen Sein her verstanden, dieses wird von der Gesellschaft eingeschriebenes gedeutet und Erziehung als die vergesellschaftende Einfuegung in den Sozialkoerper und seine Untergliederungen angesehen. Es erhebt sich dann die Frage, ob in diesem Gedanken der Erziehung ueberhaupt von Erkennen und Handeln als selbsttaetigen Leistungen eines Ichs gesprochen werden kann. In dieser Studie stellt eine Alternative dar, die dem Menschen gerechter wird. Das ist personalistische Erziehung, die vor allem vom Verstaendniss des Menschen als person ausgeht. In diesem Erziehungsverstaendnis ist der Mensch nicht Objekt der Gesellschaft, er sei kein Produkt der Gesellschaft aufzufassen, sondern als Subjekt seiner eigenen Selbstbestimmung und somit Werk seiner Selbst .

      • KCI등재

        종교적 믿음을 설명하는 뒤르케임의 ‘과학’ 개념: 신성성에 대한 종교사회학적 개념의 과학사회학적 개념으로의 환원

        임지영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사회과학원 2023 사회과학연구논총 Vol.39 No.2

        When it comes to understand the religious phenomena, Durkheim’s concept of science is always controversial. If the application of scientific concepts to the religious phenomena remains a major debate to this day, it is necessary to closely examine Durkheim’s concept of science. Durkheim shows the origin and the fundamental characteristics of religion in the primitive forms of religious life(1912). For Durkheim, the essence of the religion is not to believe in a transcendent God. Religion is the social and the real. For him, common denominator of all the religion is divinity. This article wants to response to how the religious belief can be a the social(society), not be a transcendent God(religion). Durkheim’s proposition that the religious belief is the social can not be consisted of without scientism. Because the scientific thinking introduce in the process of substitution of the religious world to the real world. Durkheim’s scientific thinking that explains religious belief provides to the necessity of his research, as a social scientist who understood the important role of scientific knowledge. The primitive forms of religious life is a means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Durkheim’s science. This article will understand Durkheim’s religion et its essence that Durkheim explain in the primitive forms of religious life. We will see how Durkheim’s science explain the belief et also find out the reaction releaved by the others religious theorists. And so we will catch the scientific debate on his religion theory and his unique sociological status.

      • KCI등재

        21세기에 다시 읽는 에밀 뒤르케임의 사회학 - 한국사회학의 새로운 이론적 위상 정립을 위하여

        민문홍 한국사회이론학회 2020 사회이론 Vol.- No.58

        이 연구의 목표는 뒤르케임의 저작들이 어떠한 통찰력 덕분에 출간 후 한 세기가 넘는 세월 동안 여러 가지 도전들을 겪으면서도 수많은 사회학자들로부터 고전으로 인정받고 발전되어 왔는가를 검토하는 것이다. 연구에서 필자가 사용한 방법론은 뒤르케임 연구 관련 사회학자들의 문헌연구와 그 내용분석이다. 그러나 이 주제가 너무 광범위하고 그동안 축적된 수많은 연구들이 있기 때문에, 필자는 연구범위를 21세기 초부터 20년 동안의 뒤르케임 연구들에만 한정시켰다. 그리고 이 연구를 전략적으로 세 단계로 나누어 보았다. 첫째는 뒤르케임 관련 기념총서 세 권-『사회학 창시자로서의 에밀 뒤르케임(2008)』, 『뒤르케임은 오늘날 우리가 상식적으로 이해하는 뒤르케임이 맞는가?(2011)』,『21세기 오늘날 다시 보는 뒤르케임(2018)』- 의 내용 중 몇 가지 핵심적 주제들을 간략히 검토해 보았다. 둘째는 위의 세 기념총서 중 소르본 대학에서 뒤르케임 교수직을 계승하고 평생 고전사회학을 연구해온 ‘부동’의 논문과 저술에 초점을 맞추어 그가 문화사회학 이론과 지배적인 뒤르케임 연구들에 대해 어떠한 비판적 입장과 평가를 내리고 있는가를 검토해 보았다. 마지막 셋째는 현대사회학의 거장인 부동이 다양한 고전사회학 전통을 종합해서 뒤르케임 사회학을 어떻게 혁신적․독창적으로 해석하고 그것을 기반으로 자신의 고유한 현대사회학 이론인 ‘일상적 합리성 이론’을 만들어 갔는가를 그의 후반기 저작들을 중심으로 탐색해보았다. 이러한 작업의 결과, 21세기에 들어 새롭게 수행된 뒤르케임 관련 연구들과 부동의 사회학이 현대사회가 필요로 하는 사회학의 새로운 소명의식과 정신을 공유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그것은 각자 자신의 시대에 맞게 새로운 ‘사회학 이론 틀’을 만들어서, 현대사회의 ‘이념 갈등’과 ‘시민적 가치관’ 혼란의 원인을 진단하고 대안을 제시하는 과학적 기반을 제공하는 것이다. 뒤르케임에서 부동에 이르는 학자들이 자기 분야를 개척하고 해당 시대의 거장으로 남아있을 수 있었던 이유는, 이들이 각자가 필요로 하는 시대적 과제 해결을 위해서 기존의 고전사회학을 혁신적으로 해석하고 창의적으로 종합함으로써 새로운 인문사회학적 ‘분석 틀’을 개척했기 때문이다. 특히 37년간 부동에게서 배우고 그의 저작들을 연구해 온 필자는, 그의 ‘일상적 합리성 이론’에서 현대사회의 이념적 갈등 상황과 대의민주주의 제도의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참신한 이론적 대안을 발견할 수 있었다. 그의 이론적 대안은 한국사회가 가장 시급히 필요로 하는 좌․우 이념 갈등의 극복과 21세기 우리 상황에 적합한 새로운 ‘시민적 가치관’ 정립에 중요한 가르침을 주었다. 결국 필자가 5년간의 연구 끝에 발견한 21세기의 새로운 사회학 사상은, 사회학의 고전들을 지나치게 고정된 틀로 이해하지 않고 시대적 과제에 맞게 창의적 방식으로 종합하여 합리적․과학적 기반을 갖춘 새로운 통합과학적 인문사회학을 찾는 것이다. 필자는 이 모범 사례를 레이몽 부동에게서 찾았고, 그가 제안한 ‘일상적 합리성 이론’은 한국사회의 이념 갈등을 극복하는 것은 물론, 사회과학의 기초연구를 강화하거나 구체적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의 형태로 활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describe and explain the reasons why so many modern sociologists have respected and developed Durkheim’s works as classics even though there have been various critiques against his sociology for over one century. The methodology of our research is the content analysis of the literature concerning Durkheimian studies collected by my research design. Because of a great many studies accumulated concerning Durkheim in this period, I set limits the period of our research from 2000 to 2020 and check various books published in this period. But still there are many books studied and published by sociologists of various schools, I strategically planned our work in three stages. Firstly, I have chosen three books celebrating the birth and the death of our founder of discipline. They are Emile Durkheim as a founder of modern sociology(2008), Durkheim whom we usually talk about is really Durkheimian? by his own standards?(2011), Emile Durkheim reevaluated by the view of sociologists of late modern society(2018). We reviewed these three books by focusing on key concepts as solidarity, cultural sociology, typology of social relations. And then we have explored the some new areas of sociology such as economic sociology, political sociology inherited from the Durkheimian sociological tradition. Secondly, among various articles edited by three books mentioned above, we have chosen only two important articles of Raymond Boudon to clarify his theoretical positions vis à vis cultural sociology of Jeffrey Alexander and the other dominant positions in interpreting The Elementary forms of religious life. Finally we have explored the Raymond Boudon’s sociological theory-theory of ordinary rationality- from the view of 21st contemporary sociology with special emphasis on the ways of synthesizing the various classical sociologists such as Tocqueville, Durkheim, Weber, Simmel, and Adam Smith. In this research, we specially paid attention to his innovative and original way of interpreting the Durkheimian sociology on the basis of his overall synthesis of the various classical sociologies. And then we have observed him to elaborate his own theory of ordinary rationality as a master scholar of this domain. As a result of our research, we have confirmed that Durkheim and Boudon are sharing the same spirit of vocation of sociology and professionalism in seeking their own ways of sociology for the new academic frontier areas. This spirit consists in elaboration of new theoretical problematics in tune with their times, necessary for resolving the problems of ideological conflicts and for establishing righteous value system for the contemporary society. In this research we have confirmed the reasons why Boudon and Durkheim could become master scholars in their times in their own way. It’s because of their spirit for pioneering the new social scientific problematics to resolve the problems of their times. I finally reconfirm the scholar spirit and professionalism in their adventurous and persevering works for creating new theoretical problematics against various challenges ahead of their vocation. Personally, I think that our research will provide new theoretical alternative for Korean society and the community of Korean sociologists who are wandering facing the crisis without any solid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foundations. I hope that this kind of theoretical research will help us to overcome the deep-seated ideological conflicts of our society and to establish the righteous value system, adequate and necessary for realizing the new future just order. The new sociological paradigm of the 21st century we have discovered will guide us to the new way of thought in interpreting classical sociological tradition for developing boldly original ways of thoughts in tune with the task of our times. This will help us to find a integrated human & social sciences on the basis of a new rational and scientific foundation.

      • KCI등재후보

        The Reinterpretation of Emotional Factors in Durkheim's Theory of Crime:Some Criminological and Psychological Perspectives

        최관 한국법심리학회 2015 한국심리학회지: 법 Vol.6 No.3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ttempt a role do emotional factor play in Durkheim's theory of crime. This paper would briefly highlighted Durkheim’s view that crime is a ‘Normal’ part of any human society, before going on to discuss the role of the emotional factors in his theory. In addition to fear, anger, and other basic human emotions, the feeling of belonging on social solidarity would also be interpreted as an ‘Emotional Factor’ for the purposes of this paper. The first part was Durkheim’s theory of crime and Merton’s view on anomie, here Durkheim defined crime or view it as normal rather than pathological phenomenon. The second part was role of emotional factor in society and also social solidarity which Durkheim used to demonstrate the role of emotional factor in society and these two social solidarity, Mechanical and Organic Solidarity. In conclusion part, it could be argued that Durkheim believe that a normal crime is a crime that was not excessive and the role emotional factor play in a society is to generate and maintain a society, also the division of labour in society of the forms of solidarity. According to Durkheim in his emotion, that which holds a society together, the glue of solidarity is emotion.

      • KCI등재

        뒤르켐의 사회적 연대와 사회화 다시 읽기: 교육학적 해석과 수용의 문제

        김천기 교육종합연구원 2017 교육종합연구 Vol.15 No.4

        It is necessary to actively derive the meaning of Durkheim's socialization concept in the present neoliberal age by revising and supplementing the socialization theory of Durkheim. In this study, I examined the socialization theory presented in 『Education and Sociology』, in the light of his other works and discussed how to be corrected or supplemented. From this point of view, I tried to critically analyze how Durkheim's socialization is interpreted and accepted in educational term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 presented the key elements for school socialization in the neoliberal era and suggested the task of school socialization. First, it is necessary to revise the understanding of negative humanity in Durkheim's socialization debate. School socialization should be based on a moral individualism that emphasizes the dignity of individuals. Second, the meaning of 'society' should be clearly conceptualized in Durkheim's socialization. School socialization should contribute to the formation of a cooperative and moral community, not a reproduction of a marketed society. Third, the human subject 's activeness and autonomous will should be constructed in accordance with the social solidarity form. School socialization should promote student human rights, which means respect for individualization from collective consciousness for mechanical solidarity. Fourth, socialization for organic solidarity should be distinguished from socialization for forming selfish and utilitarian human being of neoliberal society. School socialization should be positioned as resistance socialization against neoliberal socialization.

      • KCI등재

        일탈사회학과 뒤르케임의 유산

        신동준(Dong Joon Shin) 한국사회이론학회 2008 사회이론 Vol.- No.34

        일탈의 사회학에 미친 뒤르케임의 영향은 실로 막대하다. 그러나 후대의 학자들은 이러한 뒤르케임의 학문적 유산을 충분히 활용하고 있지 못해온 것 같다. 이 글은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일탈의 사회학에 뒤르케임이 미친 영향을 체계적이고도 비판적으로 정리해 본다. 자살의 원인에 대한 뒤르케임의 이론적 입장은 나중에 사회해체이론, 사회통제이론, 그리고 아노미이론과 같은 대표적인 범죄학이론의 뿌리가 된다. 그리고 정상과병리의 구분과 범죄의 기능에 대한 그의 논의는 이후 낙인이론의 기초가 되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이후 일탈사회학의 발달과정에서 뒤르케임의 지적 유산과 단절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다행히 뒤르케임의 이론을 다시 일탈이론 안으로 끌어들이려는 노력이 일부 나타나고 있기는 하다. 그러나 대체로 현재 일탈사회학은 통합과 규제의 이론적 분리, 거시적 분석의 경시, 그리고 사회변동에 대한 이론적 관심의 부족이라는 문제점 들을 겪고 있고, 이는 상당 부분 현재의 일탈사회학이 지적 뿌리인 뒤르케임으로부터 너무 멀어져버린 결과로 생각된다. 그러므로 앞으로 일탈사회학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서는 뒤르 케임의 지적 유산을 현대적 상황에 맞추어 되살리는 작업이 필요하다고 본다. Durkheim`s impact on sociology of deviance is tremendous. However, it appears that Durkheim`s legacy has not been fully appreciated until today. This paper discusses Durkheim`s influences on sociology of deviance systematically and critically to examine the problems of current studies on deviance. Durkheim`s theory on suicide is the origin of main criminological theories such as social disorganization theory, social control theory, and anomie theory. And his discussions on the distinction between the normal and pathology and the function of crime in society lay the foundation for labeling theory. As sociology of deviance develops, however, the linkage to Durkheim`s legacy has weakened. Fortunately, there are some efforts to revitalize Durkheim`s tradition. But sociology of deviance today has problems such as the theoretical separation of integration and regulation, the underestimation of macro level studies, and the lack of theoretical interest in social change. This problems is largely due to the fact that sociology of deviance has been oblivious of its Durkheimian root. Therefore, we need to be back to Durkheim`s legacy in a creative way for the ongoing progress of sociology of deviance.

      • KCI등재

        뒤르케임과 지성인

        박영신(Yong Shin Park) 한국사회이론학회 2008 사회이론 Vol.- No.34

        이 글은 뒤르케임의 사회학이 그의 지성인다움과 뗄 수 없게 얽혀 있다는 논지를 펼친다. 먼저 내가 벨라를 통하여 뒤르케임의 사회학과 만났던 것과 뒤이어 그러한 사회학에 관심을 두어온 우리나라의 젊은 사회학자들을 만났던 것을 뒤돌아보면서, 뒤르케임의 사회학이 우리의 사회학에서 특별한 자리를 지켜왔다는 것을 새겨본다. 이어, 뒤르케임이 합리스런 `개인`중심의 인식론을 거부하고 `사회` 중심의 인식론을 내놓을 때 그가 쓴 `사회`라는 말은 근본의 뜻에서 `도덕`이라고 이해한 점을 지적하여, 그가 어떻게 도덕성의 문제와 평생 씨름을 해왔는지를 살펴본다. 아울러 그가 독일에 잠시 머물고 있을 때 `전체성`을 강조한 독일 사회과학을 접하였으며 그 뒤에 가서야 주요 저작을 내놓기 시작했다는 점도 밝힌다. 이후 그가 추구한 도덕 사회학의 과제와 그 지향성 때문에 `드레퓌스 사건`이 일어났을 때 그를 변호하기 위하여 연구실에서 뛰쳐나오지 않으면 안 되었다는 점을 논구한다. 여기서 뒤르케임의 사회학은 학문에 대한 헌신과 지성인된 의무감을 동시에 요청할 수밖에 없는 것이라는 것을 강조한다. 이러한 학문 관심은 오랫동안 화해할 수 없다고 여긴 `학문`과 `참여`라는 두 세계를 연결하여 새로운 지성인의 유형을 만든 특유한 시도였다. 그의 탄생 150돌을 새기며 이 글은 오늘날 우리나라 사회학의 상황과 그와 이어진 지성 풍경을 성찰하며 마무리한다. In this article I argue that Durkheim`s commitment to sociology is entwined with his intellectual struggle for the moral integration of Third Republic France. By looking back on my encounters with Durkheim`s sociology, through my intellectual connection to Bellah and later through meeting young Korean scholars of Durkheim during my teaching career, I show that Durkheim`s sociology has continued to be a distinctive part of sociological discourse in Korea. Turning to the formation of Durkheim`s own sociology to sketch how he came to focus on his lifelong struggle with morality by pointing out that what he meant by `social` is `moral` in a fundamental sense and that he rejected rational-individualistic epistemology. I note that he began producing major works only a few years after his sojourn in Germany where he had met its social science which tended to assert holistic strains. I move on to discuss the way that his sociology of morality led him to come out for the defense of Dreyfus, stressing that his sociology demanded simultaneously an academic commitment and intellectual obligation. Durkheim`s sociology was a unique attempt to bridge two worlds of scholarship and engagement with moral issues that have been long regarded as irreconcilable, and to formulate a new type of intellectual. In commemorating the sesquicentennial of the birth of Durkheim, I conclude this article with some reflections on Korean sociology and its intellectual landscape today.

      • KCI등재

        사회적 불승인으로서의 형벌: 에밀 뒤르켐의 적극적 일반예방론

        김도현 ( Do Hyun Kim ) 법과사회이론학회 2014 법과 사회 Vol.0 No.47

        Theory of crime and punishment is the mainstay of Emile Durkheim’s sociology of law.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demonstrate that his theory of punishment has much in common with the theory of puishment as ‘positive general prevention’, recently advocated in Germany by Gunter Jakobs, Winfried Hassemer and many others, and rapidly gathering supporters here in Korea as well. There seems to be no excessiveness in saying that Durkheim was a precursor of the recent theory of positive general prevention. Durkheim conceives of punishment as a reaction of society to express and communicate social morality (conscience collective) to the general public as well as to the criminal. In a word, punishment is a social disapproval or blame, of which pain is not an essential element. This conception of punishment as a social disapproval is the key feature of the theory of positive general prevention, in which Jakobs’ theory differs quite a bit from that of Hassemer. While Jakobs puts stress on the protection of society, Hassemer’s theory has its distinctive feature in the humanitarian relationship with the crime. Among these divergent opionions, Durkheim’s theory, at least his theory on the punishment in modern society, seems to have much more in common with Hassemer’s. Collective consciousness in modern society, according to Durkheim, is a product of long-term development of morality evolving from the religious to the individual. By this individualism, or “cult of the individual”, harsh punishment has been repealed, prison has become almost the only kind of punishment, and corporal punishment in school, he says, should be entirely prohibited. Durkheim’s sociological thoery of law and punishment has abundant stimulating suggestions and lessons, which hopefully can contribute to the communication between sociology and legal science.

      • KCI등재

        맑스와 뒤르케임의 딜레마와 자연주의 사회과학의 가능성

        김명희(Myung Hee Kim) 한국사회학회 2015 韓國社會學 Vol.49 No.1

        이 논문은 맑스와 뒤르케임의 사회과학방법론에 대한 지배적인 해석의 틀로 기능해온 실증주의 과학관의 오류를 ?맑스와 뒤르케임의 딜레마?로 진단하고, 대안적인 해석의 패러다임을 모색한다. 맑스와 뒤르케임에 대한 실증주의적 해석은 양자의 방법론에 대한 이분법적 해석을 유발함으로서 양자의 차이에 주목하게 하는 기능을 담당해왔다. 그러나 이는 맑스와 뒤르케임의 실제적인 양립불가능성이 아니라 이데올로기로서의 실증주의의 인식론적 한계를 반영하는 것이다. 오늘날 실증주의 과학관의 오류를 정정하고 주류 과학철학의 실패에 대한 대안으로 그 영향력을 확장하고 있는 비판적 실재론은 기존의 이분법적 해석의 오류를 해소할 인식론적 돌파구를 열어줌으로써, 맑스와 뒤르케임의 자연주의 사회과학의 생산성과 공약가능성을 새롭게 이해할 가능성을 제공한다. 이 글은 맑스의 ?인간적 자연주의?와 뒤르케임의 ?사회학적 자연주의?가 비판적 실재론의 사회과학철학, 즉 비판적 자연주의의 관점에서 보다 잘 이해될 수 있음을 밝힌다. This paper reconceptualizes the dichotomous interpretative structure and the epistemological dilemma regarding Marx and Durkheim’s methodologies raised by the positivist view of science as in the “Marx and Durkheim’s Dilemma”. Positivist interpretations of Marx and Durkheim have made these two theories incompatible. However, this incompatibility reflects the epistemic limitations of Positivism as an ideology, instead of actual incompatibility between perspectives of Marx and Durkheim. By re-examining Marx and Durkheim through the view of critical realism these perspectives can be understood as complementary, not contradictory. Such a perspective has been expressed as “human naturalism” by Marx and “sociological naturalism” by Durkheim.

      • KCI등재

        한국사회에서의 개인화 현상과 그 극복 방향 - J. S. Mill과 E. Durkheim의 인간관을 중심으로

        안태준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9 人文硏究 Vol.- No.89

        In this study, to find a way to overcome the de-social individualization of Korean society; I conducted a study on the human being’s views of Durkheim and Mill.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Mill and Durkheim's views of human nature emphasized the harmony of individual and society in general and was critical of the excess of individuality, but showed the opposite attitude in the direction for formation of sociality. Mill argued it was abnormal that individuals pursue only individuals’ own interests in the society, and Durkheim argued that individuals suffer from severe pain when individual desires are over-expressed. However, while Mill argued that individuals could form sociality through the innate human nature of human beings, Durkheim argued that social norms existed outside of human beings could form sociality of individuals. Second, I presented the direction to overcome the de-social individualization. In order to overcome the de-social individualization,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perception that the expansion of individuality seriously threatens the individual and the society, and strengthen the sociality through the interaction of the human being’s inner and the social norms. 본 연구에서는 한국사회에서의 개인화 현상과 그 극복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뒤르케임과 밀의 인간관에 대한 연구를 진행했다. 우선, 뒤르케임과 밀의 인간관 연구를 통해 개인과 사회의 관련성과 사회성 형성의 방향성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한국사회에서의 개인화 현상을 극복할 방향에 대해서 모색해보았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밀과 뒤르케임의 인간관은 공통적으로 개인과 사회의 조화를 강조하고 개인성의 과잉에 대해 비판적이었지만, 사회성 형성의 방향에서는 정반대의 태도를 보였다. 밀은 개인들이 영리만을 추구하는 사회를 비정상적이라고 주장했고, 뒤르케임도 개인의 욕망이 과잉 표출되면 개인도 심한 고통에 시달린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밀은 인간 내면의 선천적인 인간 본성을 통해 사회성을 형성할 수 있다고 한 반면에, 뒤르케임은 인간 외부에 존재하는 사회 규범을 통해 사회성 형성이 가능하다고 주장했다. 둘째, 한국사회에서의 개인화 현상을 극복하기 위한 방향을 제시했다. 개인화의 문제점인 ‘탈사회성’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개별성의 확장이 개인과 사회를 심각하게 위협하고 있다는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고, 인간의 내면과 사회의 외적 규범의 상호작용을 통해 사회성을 강화시켜 나가야 한다. 본 연구는 한국사회 개인화의 ‘탈사회성’을 극복하기 위한 기본적인 방향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개인과 사회에 고통을 안겨주는 탈사회적 개인화의 극복에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