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Implementation Strategies of Sam Sang Rural Community Development Model

        Vongsakda Vongxay,이양수 충북연구원 2017 지역정책연구 Vol.28 No.2

        In order to overcome physical and administrative constraints of the development approaches. Lao’s government has adopted Sam Sang policy for government and public administration reforms “decentralization” involved the transfer more autonomous authority and responsibility to the local level. With the objective of improving efficiency and accountability. While the decentralization theoretically is believed that it can bring more efficiency since the local governments are closer to local residents and supposed to know the local needs and preferences and allocate and extract resources more efficiently for successful rural community development. However, many countries have adopted decentralization and implemented the concept in different ways. Some of these have succeeded, getting, success. Despite the slow pace and others have failed, it depended on the various factor and situation due to the specific characteristic and locality.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amine of Sam Sang model implemented during pilot programmes 2012 to 2015 years. Which is to analyze of a framework in the process of political. Administrative, and fiscal of decentralization. It is shown that these channels are often not fully realized in practice, due to government ineffectiveness in implementation stage at both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 contributed throughout the Sam Sang resolution to local offices as failed to take effective action in regards to delegating management authority and responsibilities. Limited human capital, and financial resources. Ultimately, this study aims to make recommendations for the further improvement of Laos’s Sam Sang model. In order to overcome physical and administrative constraints of the development approaches. Lao’s government has adopted Sam Sang policy for government and public administration reforms “decentralization” involved the transfer more autonomous authority and responsibility to the local level. With the objective of improving efficiency and accountability. While the decentralization theoretically is believed that it can bring more efficiency since the local governments are closer to local residents and supposed to know the local needs and preferences and allocate and extract resources more efficiently for successful rural community development. However, many countries have adopted decentralization and implemented the concept in different ways. Some of these have succeeded, getting, success. Despite the slow pace and others have failed, it depended on the various factor and situation due to the specific characteristic and locality.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amine of Sam Sang model implemented during pilot programmes 2012 to 2015 years. Which is to analyze of a framework in the process of political. Administrative, and fiscal of decentralization. It is shown that these channels are often not fully realized in practice, due to government ineffectiveness in implementation stage at both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 contributed throughout the Sam Sang resolution to local offices as failed to take effective action in regards to delegating management authority and responsibilities. Limited human capital, and financial resources. Ultimately, this study aims to make recommendations for the further improvement of Laos’s Sam Sang model. 라오스 정보는 지역개발의 물리적, 행정적 제약을 극복하기 위해서 삼상(Sam Sang) 정책을 채택하였다. 삼상정책은 라오스 정보의 분산정책으로써 지방정부에 더 많은 권한과 책임을 부여하여 지역개발의 효과성과 책임성을 강화하자는 것이다. 이론적으로 분산정책은 지방정부가 지역의 실정과 주민들의 실정을 보다 잘 알기 때문에 농촌개발의 효과성 또한 증대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로 분산정책은 다양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분 연구는 라오스에서 2012~2015에 걸쳐 시행된 시범사업을 정치, 행정, 재정적 분산과정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서 라오스의 분산정책은 실질적으로 효과적이지 않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중앙정부, 지방정부 모두 분산화 과정을 효과적으로 이행하지 못했다. 지방정부의 제한된 인적 자본이나 재원적 한계는 사업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책임성을 확보하는데 한계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 KCI등재

        국가주도형 프랑스 문화정책과 시사점

        황혜진 ( Hae Jin Hwang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10 유라시아연구 Vol.7 No.1

        본 논문은 세계화라는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면서 국가 고유의 문화정책을 펼치는 프랑스의 국가주도형 문화정책을 소개한다. 가장 대표적인 프랑스적 국가주도형 문화정책은 1960년대 공화주의 드골 대통령 시대의 문화부 장관을 한 앙드레 말로의 문화 정책과 1980년대 사회주의 미테랑 대통령 시대의 쟈크 랑의 문화정책으로 구분되어 진다. 이 두 시대는 프랑스 역사에서 가장 획기적이고 역동적인 국가주도형 문화정책을 실현한 시대로 간주되며 오늘날 현재에까지 그 핵심적인 개념이 프랑스뿐만 아닌 전 세계적인 중요성을 지닌 문화정책으로 간주되어 진다. 1959년 드골 대통령은 최초로 문화부를 창설하고 앙드레 말로를 문화부 장관으로 임명하여 역사적인 프랑스의 국가주도형 모델의 기조가 되는 ``문화 민주화`` 정책을 창출하고, ``문화부는 모든 사람이 인류의 주요 작품에 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임무로 한다.``는 명제 아래 ``문화의 집``을 설립하여 지방 분산화 정책을 펼치고, 파리 중심의 수준 높은 예술 작품을 지방 대중에게 전파한다. 그러나 말로의 정책은 ``문화 민주화``의 대상인 일반 대중의 수준을 간파하지 못하고 문화를 순수 예술로만 인지하는 문화 엘리티즘을 초래했다. 이는 계층 간의 장벽을 더욱 높이게 되어 성공을 거두지 못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말로는 ``문화민주화``정책과 더불어 ``지방 분산화``정책을 펼쳐서 국가재건의 정치 민주화의 실현의지를 반영하여 8개의 문화의 집을 설립하고 프랑스 지방 분산화 정책의 주요 역할을 담당하는 지방문화행정사무국 (DRAC)을 신설한다. DRAC은 그 이후 1980년대부터 활성화되어 중앙정부와 지방을 연결하는 가교의 역할을 담당한다. 말로 이후 가장 혁신적인 문화정책의 변화는 쟈크 랑 시대인 1980년대에서 이루어진다. 쟈크 랑은 12년 동안 문화부 장관을 역임하면서 문화부 예산을 2배로 증가시키고 프랑스 문화정책 근대화의 기조를 마련한다. 그동안 소외되었던 다양한 영역 (서커스, 만화, 낙서, 영화, 요리, 패션)을 문화로 영입하여 ``문화대중화``를 도모하고 문화와 경제를 접목한 산업화를 이룬다. 또한 지방 분산화 정책을 확고히 하여 DRAC을 각 지역에 22개로 대폭 늘려서 다양한 문화활동을 지원하였다. 이 시대에는 프랑스 역사의 유례없는 대형 국책사업(Grands Travaux)을 추진하여 미테랑 대통령과 더불어 루브르 박물관을 위시로 바스티유 오페라, 프랑스 국립 도서관 등 대규모의 국립 문화시설의 건축 사업을 추진하였다. 그러나 앙드레 말로나 쟈크 랑처럼 10년 이상 중앙 권력의 영향력을 가지고 문화를 국가 발전의 수단으로 활용하는 경우는 장관 개인의 철학관이나 정치, 경제관이 중재 없이 국가정책으로 이어져, 정책 책정이 한 쪽으로 치우칠 우려가 있다. 말로에게 대중문화는 인류의 주요 작품인 예술로 여겨지지 않고, 랑에게는 ``록``, ``만화``, ``낙서``가 예술로 간주되어 지는 것이다. 랑 시대의 큰 문제는 미테랑 대통령이 막대한 예산을 지급하였으나 다양한 분야의 문화 발전을 위해 쓰일 실질적인 예산지원이 부족하여 그 지원이 일회성에만 그친 점이다. 그러나 ``모든 것이 문화이다.``라는 문화의 민주주의는 대중의 모든 예술을 수용하여 국가의 공공자산으로 인정하기에는 전문가적인 검증이 요구되고, 평등한 지원이 되기 어렵고, 공정한 선정이 요구되어지는 문제점을 내포한다. 현재의 프랑스는 랑의 문화 민주주의 개념을 발전시켜 문화 예술 분야뿐만 아닌 새로운 창작분야, 방송, 실제 문화생활 부분까지 확대하여 정부는 다양한 지원책을 모색하고 있다. 본 연구는 두 시대의 국가주도형 정책의 핵심 명제인 문화민주화 정책과 문화 지방화 정책을 비교 분석하여 시사점을 논하고, 문화의 강대국으로 아직도 국가가 문화정책에 개입하는 프랑스적 국가주도형 문화정책의 현 쟁점 사안을 고찰하고자 한다. In this paper, the direct state intervention cultural policy in France is introduced via the era of Andre Malreaux and Jack Lang. In France, the national government takes a leading role in supporting its culture policy and has a traditional form of direct state intervention. In 1959, De Gaulle set up a ministry of culture under Andre Malreaux who became a first minister of culture for 10 years. Malo presented his basic policy as democratization of culturein which the local public could meet the arts in the ``Houses of Cultures``via decentralization. However, he could not complete his democratization of culture policy into success by ignoring the class and level of general public in the region and importing a notion of Parisian notion of aesthetic excellence. He created a regional administrative body as DRAC(Regional Directorates of Cultural Affairs) to be a valuable intermediaries connecting the state and the region in 1969 and later became an important administrative post in France. As to the era of socialist government of Francois Mitterand, France enters a new era of modernization of culture policy via Lang who became a minister of culture for 12 years. Lang had a broader definition of culture by supporting mass culture including the concept of ``everything is a culture``. This notion of culture includes a wide variety of area including the everyday lifestyle of the people. His policy encourages amateur cultural activities to break down the hierarchy of existing between the fine and low art. He supported the art of common people to boom the economy. He also constructed many facilities for the mass culture including the first Rock Concert Hall, national center for Photographic art and creating International comic festivals. The most striking projects were undertaken under Mitterand``s Grand Project including the Grand Louvre, the National Library, the Opera Bastille and the Grand Arch to use enormous budgets during the era. Because of this Grand Project, Lang had to confront the problems of lack of funding for his diverse cultural programs. Two most important concepts of cultural policy in France during this two era were ``democratization of culture`` and those of ``decentralization``. In this study, the actual key concepts were compared during this era of Malo and Lang``s. Since these two ministers had both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ir presidents to enable to carry utmost cultural projects in their times, the direct state intervention of cultural policy model was reached to its peak during this time period. Even if the French model of state intervention received many criticism around the world, the general public, the government, and its regional government of France, all of them had a concept of ``French Cultural Exception`` which was represented in GATT 1993. As to most people in France, the culture is the very asset of the nation to be preserved, protected, and encouraged to be created. In this time of globalization and the era of technological information society, the power of culture is still the center of attention of government, region and the people as their national asset. It is widely considered on both Right or Left from Malreaux to Lang, the culture is the national asset of France while the State and the ministry of culture to be the major agents in the active support of cultural programs and projects whether the fine arts or to the comics or the street level performances. The in-depth study on the area of cultural policy is needed for its further studies to be applied in establishing Korean cultural policies confronting the era of globalization while to keep our nation``s identity. The key issues from this study need to be explored in scrutiny.

      • KCI우수등재

        한국 대도시들의 인구분산화 추세와 대도시 인접성의 영향에 대한 실증(1975-2020년)

        한경희,성현곤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2022 國土計劃 Vol.57 No.2

        본 연구는 1975년에서 2020년까지 약 반 백년(45년)의장기적인 기간을 시간적 범위로 설정하고 전국 5개 대도시권(서울, 부산, 대구, 광주, 대전)을 공간적 범위로 설정하여 대도시 인접성이 인구의 분산화에 미치는 영향을 여러 연도를 통하여 어떻게 변화했는지 실증하고자 한다. 또한 도시의 급속한 성장시기부터 오늘날 경제와 인구의 안정화의 시기까지 대도시의 인구밀도를 기반으로 한 공간구조 변화의 성장 시기별 차별성을 대도시권별로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러한 본 연구는 1960년부터1995년까지 인구가 대도시에 집중화면서 점차 교외로 확산되는성장시기에 비하여 대도시의 인구가 정체하거나 감소하는 시점인2020년까지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또한 권일(1999)의 연구를 최근 시점까지로 하여 재조명한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인천시 인구·고용분산화와 도시공간구조에 관한 연구

        구정현(Koo Jeong Hyun) 한국지역개발학회 2013 韓國地域開發學會誌 Vol.25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population and employment decentralization and the urban spatial structure of Incheon, focusing on the land use LQ by administrative diistrict 'Dong'. This study will help to suggest urban policy alternatives for inducing desirable urban spatial structure of Incheon. For this purpose, firstly the process of population and employment decentralization is analyzed through population and employment density distribution by Dong. Second, the land use LQ by Dong is calculated, using the land uses from building management registration, which are categorized into urban uses and non-urban uses. Third, The influence of the population and employment decentralization to the urban spatial structure of Incheon by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regression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ly, population and employment decentralization is highly correlated process. Secondly. population service industry employment influence land use LQ in the opposite directions. Thirdly, sales and residential are the most prominent land uses in the process of population and employment decentralization and the change of the urban spatial structure of Incheon

      • KCI등재

        교방천 복원을 위한 분산형 유지유량 확보 방안 연구 (I):수량·수질 타당성 검토를 위한 도시 물순환 모형 적용

        신상민,최고은,이상은,박희경 대한상하수도학회 2011 상하수도학회지 Vol.25 No.5

        This study has a purpose of examining technical feasibility of supplying the in-stream flow for the Gyobang cheon by using treated water from small wastewater treatment facilities as a decentralized option. To do this, the water and contaminant flow in study areas of the Gyobang cheon are defined from the context of the integrated urban water cycle, and analyzed by using the Urban Volume and Quality (UVQ) model. First, the UVQ model was built for the study areas of the Gyobang cheon and calibrated with observation data. Second, the decentralized options of the in-stream flow was explored with consideration of availability of water sources. The UVQ simulation then led to selecting the best option which would meet the criteria of water quantity and quality. It was finally concluded that using water sources out of study areas 1 and 2, adjoining the upper part of the Gyobang cheon, in the decentralized manner can be a feasible option for in-stream flow. It also seems that the UVQ model is useful to understand the water cycle in study areas of the Gyobang cheon

      • KCI등재

        가치창출 관점에서 본 분산된 ESG 활동의 필요성

        김지현 한국전략경영학회 2022 전략경영연구 Vol.25 No.3

        In this article, we point out the limitation of index-based ESG activities. As an alternative, we argue the need for decentralized, horizontal ESG activities. Our main point is based on Value-Based Business Strategy (Brandenburger and Stuart, 1996). We argue that centralized index-based ESG activities will ultimately lead companies to a competitive parity situation. On the other hand, decentralized, horizontal ESG activities based on individual creativity enable horizontal differentiation and allow multiple companies to coexist while meeting various customer needs. To explain this argument more specifically, we introduce the concepts of value creation, value capturing, competitive advantage, and contributed value. We contribute not only by arguing for the need for decentralized ESG activities, but also by providing an explanation for why the link between ESG activities and corporate performance is ambiguous. (입장과 실천) 본 연구에서는 점수화 된 ESG 지표 기반의 활동의 한계를 지적하고, 그 대안으로 분산된 ESG 활동이 필요함을 주장한다. 이는 가치기반 경영전략(Value-Based Business Strategy)에 기반하는데, 중앙집권적인 지표 기반의 ESG 활동은 궁극적으로 기업들을 경쟁동위(competitive parity)의 상황으로 밖에 이끌 수 없다고 주장한다. 반면, 개인과 개별 기업의 창의성에 기반한 분산된 ESG 활동은 수평적 차별화를 가능하게 하여, 여러 기업이 다양한 고객 니즈(needs)에 부합하며 공존할 수 있음을 보인다. 본 주장에 대한 설명을 위해 가치기반 전략의 핵심이 되는 가치창출, 가치획득, 경쟁우위, 공헌가치의 개념을 설명한다. 그리고, ESG 지표에 기반한 ESG 활동이 어떻게 경쟁우위 창출을 어렵게 만드는지 언급한다. 본 연구는 분산된 ESG 활동이 필요함을 주장함과 동시에 실천 사항을 제안하고, ESG 활동과 기업의 성과 간의 연결고리가 모호했던 이유에 대한 부분적인 설명도 제시한다.

      • 전력시장 개편으로 에너지 생산/소비자 관계 재정립 - 에너지 비즈니스 플랫폼화를 중심으로

        한동근(Donggeun Han),김미림(Mirim Kim)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21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1 No.7

        재생에너지 확대에 따라 배전 전력계통의 불안정 문제가 심화되고 있다. 전력계통의 불안정 문제를 해결하려면 전력계통의 유연성 확보가 필요하다. 그러나 현재 국내의 독점적 전력 시장 구조는 보조 서비스의 시장가치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다. 이 때문에 신규사업자들이 보조 자원에 투자할 동기가 부족한 실정이다. 설비 투자를 늘리는 것을 넘어 소비자 선택권 확대와 판매사업자의 등장 자유가 보장되지 않으며 혁신이 어렵다. 반면, 세계 주요국에서는 소매시장 자유화를 통해 시장 운영 효율성을 개선하고 배전 전력계통의 접속 유연성을 확보한 사례가 밝혀진 바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 배전 전력계통의 불안정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전력 신사업과 시장 운영 효율성 개선방안에 대해 제언한다.

      • KCI등재
      • 대학 캠퍼스 기반의 국내 마이크로그리드 활성화 추진 방안

        이수연(Suyeon Lee),강이주(Iju Kang),손예지(Yeji Son)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21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1 No.7

        현재 전 세계의 메가트렌드는 에너지전환(Energy Transition)이라고 할 수 있으며, 한국 역시 이 트렌드에 맞춰 한국판 그린 뉴딜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이 정책의 핵심은 현재의 중앙 집중형 발전 방식을 분산 에너지 환경으로 전환하여 지역 맞춤형 인프라를 구축하는 것이다. 이러한 전환점에 있어 주목받고 있는 것이 바로 ‘마이크로그리드(Microgrid)’이다. 미국과 일본은 이미 캠퍼스 마이크로그리드를 통해 지역 기반 분산형 에너지 실증 단계에 있지만, 한국은 여전히 독립적인 섬 형태 위주로 구축되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도심형 분산 에너지로 확대 가능한 한국형 캠퍼스 마이크로그리드 모델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우선 미국의 선진사례를 중심으로 분석하여 한국 경우와 비교해 보았다. 미국 대학은 ACUPCC 위원회를 결성하여 에너지 수요가 많은 캠퍼스의 탄소 배출량을 마이크로그리드를 통해 줄이고자 하였다. 이들은 미국 내 천연가스 가격이 저렴하고 캠퍼스 부지가 넓다는 장점을 활용하여 열 병합 및 태양광 위주로 완전한 자가발전을 이루고자 한다. 이와 더불어 대학과 기업이 협력하여 교내 및 지역 환경문제를 해결하고, 학생도 프로젝트와 연구에 참여하여 많은 성과를 내고 있다. 하지만 미국과 한국의 상황이 다르기 때문에 그린 캠퍼스 달성을 위해서는 산학연 연계를 통한 시스템 구축과 맞춤형 법안 도입이 필수적이다. 캠퍼스 마이크로그리드의 구축은 LINC 사업단을 중심으로 한 산학연 연계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정부는 사업에 참여할 대학을 선발하여 투자금을 지원하고, 대학은 이를 바탕으로 협력할 기업을 선정한다. 기업은 재학생에게 현장실습 참여 기회를 제공하여 학부생의 관련 프로젝트에 대한 적극적인 참여를 돕는다. 이렇게 형성된 협력 체계는 인재를 육성하고 교내 연구를 활성화시켜 기술 발전을 도모할 수 있다. 나아가 정부는 대학에서 수행한 데이터를 확장하여 도심형 분산 에너지 시스템을 구축도 가능할 것이다. 이외에도 정부는 ‘직접 PPA’ 법안 활성화를 통해 지역 사회 내 전력 거래가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 이렇게 된다면 대학은 남은 전력을 판매하여 수익을 얻을 수 있고, 또 하나의 ‘에너지 프로슈머(Energy prosumer)’로서의 역할을 기대할 수 있다. 이렇듯 본 발표에서 제시한 한국형 캠퍼스 마이크로그리드는 캠퍼스를 넘어 재생에너지 기반의 분산형 에너지 체계로의 발판이 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