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 후기 인성론(人性論) 논쟁의 이해 방식에 대한 연구 : 윤리학적 관심과 과학적 관심의 대립을 중심으로

        배수찬 한국한문교육학회 2004 한문교육논집 Vol.23 No.-

        이 글은 해석학적 전제를 의식하면서 조선 후기 인성론(人性論) 논쟁을 이해해 보고자 하였다. 인성론을 정치 편향적인 관점에서만 보거나 자구(字句)의 동이(同異) 여부로만 판단하는 것은 '이론상의 진전'이 아닌 '단순한 변화'를 실제 진전으로 오해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 글의 문면이 아니라 당대인의 사유에 내재된 인식 관심의 실체를 파악하고자 했다. 그래야 단순한 자구의 옮김이 아닌 '완전 번역', 즉 언어 저편에 있는 실존적 체험의 옮김이 이루어질 것이기 때문이다. 인성론 논쟁에서 이간은 인성(人性)과 물성(物性)이 같다고 주장했다고 이해된다. 그러나 이간이 인성(人性)과 물성(物性)에 다른 지점이 있다는 것을 몰랐던 것은 아니다. 다만 그 부분이 윤리적인 수양에 도움이 되지 않기 때문에 강조하지 않은 것이다. 즉 '인간이 어떻게 하면 윤리적으로 될 수 있는가'하는 그의 인식 관심이 그의 주장을 이끌어내었다. 한원진도 인성(人性)과 물성(物性)의 같은 지점을 전적으로 부정한 것이 아니다. 한원진은 자연 세계 속에서 인간의 물질적 지위에 대해서 객관적으로 이해하고자 했고, 그 결과 인성(人性)과 물성(物性) 사이에 다른 점이 분명히 있다는 것을 강조한 것이다. 홍대용의 인식 관심은 구체적인 감각적 지각을 통해 얻은 지식을 강조하는 것이었고, 그래서 기존의 용어로 전개되는 인물성동이론(人物性同異論)에 관해서는 어느 편에도 서지 않았다. 그는 '성(性)'이란 용어의 엄밀한 성리학적용법을 고집하지 않았다. 그가 주장한 것은 '사람과 동물은 서로 자기 편에서 볼 수 있고, 그런 점에서 동등하다'는 것이었다. 오늘날 기일원론자(氣一元論者)로 이해되는 임성주는 전통적인 용어 맥락에서 자연 세계의 구성과 운용 질서가 무엇인가를 밝히는 데에 관심이 있었다. 이때 전통적인 용어 맥락이란 성리학이 아니라 장재의 기(氣) 철학이다. 그는 '리(理)'의 개념은 거부했지만 널리 쓰이는 성(性)이라는 용어 자체를 부정하지는 않았다. 다만 그것을 기(氣)를 기준으로 설명했다는 점에서 성리학의 기본 전제를 벗어났다는 점이 인정된다. 그러나 장재의 기철학이 지닌 근본적인 한계, 즉 선(善)하지 않은 현실에서 순선(純善)한 형이상학적 원리를 무리하게 도출해 내는 한계를 벗어나지는 못하였다. 궁극적으로 '성(性)'이라는 용어를 성리학적 맥락에서 받아들이는가 아닌가가 인성론과 관련된 논란의 큰 구별점이다 이간, 한원진, 임성주는 성(性)을 의미 있는 용어로 보았고, 홍대용은 그렇지 않았다. 임성주는 다시 성(性)을 '기(氣)의 덕(德)'이라고 규정하는 파격을 보였다. 이간은 윤리학적 관점에서, 한원진은 언어 분석의 관점에서 인성(人性)과 물성(物性)의 같고 다른 점을 서로 다르게 규정했다. 홍대용은 기존의 용어 맥락을 사실상 무시하고 인(人)과 물(物)이 그 물질적 가치면에서 '균등(均)하다'는 주장을 폈다. 그러나 논의의 중심에 선 네 사람은 어느 누구도 '인(人)'이나 '물(物)'의 내질을 과학적으로 분석해 들어가지 않았다. 이는 이들 모두가 인간에 대한 조선 후기의 공통된 인식 지평 속에 놓여 있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This thesis aims to interpret the debate about the human Nature of late Chosun. dynasty concerning the hermeneutic premise. I tried to grasp he essence of the cognitive interest which resides in the thought of the people who lived that historical period. Only then we can achieve the complete interpretation, transferring the existential experience beyond lingual expression. Yi hi didn't insist that the human Nature is the same as the animal Nature but he just didn't emphasize the different point between the human Nature and animal Nature because that pint cannot be a help of ethical self-cultivation. In other words, it is his cognitive interest-how can human be ethically complete?- that made his peculiar opinion. Han Wo˘njin also didn't completely deny the same point of human Nature as animal Nature. He just wanted to understand the material position of human inside the natural world. So he laid stress on the pint of difference between the human Nature and animal Nature. His cognitive interest lies in brightening the natural fact, not ethical point. Hong Daeyong's cognitive interest is to accentuate the knowledge which was obtained by the sensible perception. So he didn't side with one part of the debate about the human Nature which had been unfolded by the already-established terminology. He didn't like to restrict the word 'Nature(性)' within a rigid usage. He only insisted that human and animal are of the same rank, because human or animal can see each other at one's own position. Im So˘ngju, who is now understood as a Ki philosopher, was cognitively interested in clarifying the order of the organization and application of a natural world within the traditional context of terminology. In this case, traditional context means not the Neo-Confucianism(性理學) but the Ki philosophy of Jang Jae(張載, 1020-1077). Im So˘ngju rejected the conception of Li(理), but he also cannot deny the contents of the terminology 'Nature(性)' But we can approve that he freed himself from the basic proposition of the Neo-confucianism because he explained the Nature according to Ki. But he also couldn't escape from the limitation of inducing the metaphysical principle of complete goodness in the 'not-good' reality.

      • KCI등재

        학문방법으로 본 인물성동의논쟁

        박정환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4 인문학연구 Vol.63 No.2

        이 논문의 목적은 조선시대 성리학자들의 인물성동이논쟁을 중심으로 논쟁자들 사이에서 주로 이용되는 유학의 논쟁·학문방법을 살펴보는 데 있다. 인물성동이논쟁은 그동안 여러 연구자의 관심을 받았고 많은 연구결과가 도출되었으나 논쟁의 내용, 과정, 결과에 대하여 주목하였기 때문에 논쟁의 방법을 고찰하여 유학적 측면에서 논쟁의 가치를 평가한 연구 성과는 부족하였다. 이런 면에 주목하여 당시 인물성동이논쟁에서 사용된 논쟁방법이 과연 유학적인 학문방법을 통해 구축된 이론체계의 결과로 진행되었는지에 대한 의문점이 생겼고, 그들의 쟁점들을 통해 그 양상을 살펴보았다. 언어분석학적으로 인물성동이논쟁을 살펴보면 논리학적 모순문제와 인간의 사고를 통한 학문방법에서 대전제의 진리성 확보와 같은 문제점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여기에 그치지 않고 本性의 문제를 내면화 시켜 이해하고자 하는 모습을 도출해 냈고 이를 유학적 학문방법인 修己와 安人·安百姓의 측면에서 보기 위해 공맹유학의 학문방법을 통해 그 단초를 삼았다. 공맹유학은 修己를 통한 학문방법을 제시하며, 克己와 復禮爲仁을 그 구체적인 방법과 과정으로 제시한다. 공자는 修己의 방법인 克己復禮爲仁이 일상의 삶 가운데에서 매 순간 일어나야 한다고 말하며, 이를 통해 사물에 얽매이지 않고, 사물을 실체화하여 이해하려 하지 않음을 언급하였다. 인공지능의 시대가 될수록 인공지능이 어려움을 느낄 수 있는 인간의 도덕적 가치와 책임감, 창의성, 독창성 등의 인문학적인 요소를 인간이 제시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사상적 검토가 필요하다. 따라서 서양 철학과는 다른 모습의 동양 철학, 특히 유학의 학문방법에 대한 재조명을 하고 학문의 범위나 주제 등이 다시 논의되어야 한다. 지금까지의 학문방법으로 널리 쓰였던 유물론적인 방법, 언어분석적인 방법, 논리적인 방법을 통해 능동적으로 시대를 선도해 나갈 사상의 역할을 할 수 있을지 고민해 볼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which emerges with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by focusing on the human nature debate of Joseon Dynasty Neo-Confucian scholars. The human nature debate has been the subject of interest from many researchers and many research results have been derived, but since the content, process, and results of the debate have been emphasized, there have been no studies that have evaluated the value of the debate from a Confucian perspective by examining the methodology of the debate. Focusing on this aspect, I questioned whether the methodology used in the human nature debate at the time was conducted as a result of the theoretical system built through Confucian academic methods, and examined the aspects of their issues. When examining the human nature debate from a linguistic analytical perspective, we can identify problems such as logical contradictions and the need to secure the truthfulness of the major premise in academic methods through human thinking, but we go beyond that and draw out the image of trying to internalize and understand the problem of nature. To view this from the perspective of Confucian academic methods, we took the first step through the academic methods of Confucianism. Confucianism presents an academic method through self-cultivation, and suggests self-control and returning to the rites as specific methods and processes. Confucius said that self-control and returning to the rites should happen every moment in everyday life, and through this, he mentioned that one should not be bound by things and not try to understand things as entities. As the era of artificial intelligence approaches, humans need to provide humanistic elements such as moral values, responsibility, creativity, and originality, which artificial intelligence may find difficult, through various ideological review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examine the academic methods of Eastern philosophy, especially Confucianism, which is different from Western philosophy, and to discuss the scope and subject of the study again. It is necessary to consider whether materialistic methods, linguistic analytical methods, and logical methods, which have been widely used as academic methods so far, can play the role of an active ideology that will lead the times.

      • KCI등재

        호락논변의 연구 성과와 전망

        김승영 영남퇴계학연구원 2020 퇴계학논집 Vol.- No.26

        This thesis deals with achievements of Horak Debate and predicts the future of the task. Aggressively, it can be summed up in three key issues for Horak Debate. First, ‘Debate on Human Nature’, whether human nature and animal nature are the same or different, and the question of what is the essential of human mind. Second, ‘Debate on Mibalsimchesunseonron’, whether human has good and evil at the same time. Lastly, ‘Seongbeomshimdongie’, what is the essential difference in the minds of saint and commoner. Analyzing on the issue of ‘Inmulseongdongie’, it is meaningful that the exploration of human nature has been set as a major theme. In depth analysis of human nature leads to study achievements. It shows the possibility of understanding argument type as studying with ‘benxin’ and ‘temper’, ‘individual’ and ‘others’. The study of good and evil defines it as the difference between the belief of pure sorority and the belief of pan-moralism. These studies have found what theoretical association is related with the system of Mibal. Based on overall existing studies, Horak Debate has been accumulated to study a lot since 2000. It disproves that not only increasing the quantities of study, but also improving the qualities of it. Many researchers develop their own logic to get to the core of argument and detail oriented. While the previous majority study had comprehensive views of argument, the following study is expected that more precise expanded to the details. Besides these expectations, there is issue of originality or identity that an essential exploration of argumentation. 이 글은 호락논변의 연구 성과를 조명하고 앞으로 과제를 전망하는데 목적이 있다. 호락논변의 핵심적인 쟁점을 거칠게 말해서 세 가지로 압축할 수 있는데, 첫째로 인간의 본성과 동물의 본성이 같은가 다른가라는 ‘인물성동이논변’, 인간 마음의 본질은 무엇인가라는 질문, 곧 사람의 마음에 선과 악이 동시에 있는가를 따지는 ‘미발심체유선악논변’, 그리고 성인과 범인의 마음에 있어서 본질적 차이가 무엇인가라는 ‘성범심동이논변’으로 정리할 수 있다. 인물성동이 문제에 관한 연구를 분석해보면, 인간본성에 대한 탐구를 논변의 주요 주제로 설정하여 탐색하였다는데 의의를 가진다. 인간의 본성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연구 성과를 도출하고 있다. ‘본심’과 ‘기질’, ‘개인’과 ‘타자’ 등으로 대비시켜 연구한 것이 논변의 성격을 파악할 수 있다. 미발시 선악의 문제에 관한 연구는 순수도덕주의의 신념과 법도덕주의 신념의 차이로 규정하기도 한다. 이러한 연구는 미발논변의 체계와 이론적으로 어떤 연관성을 가지는가를 밝혔다고 볼 수 있다. 기존 연구들을 종합해볼 때, 호락논변에 대한 연구가 2000년 이후에 많이 축적되어가고 있다. 그만큼 연구의 양이 증가했을 뿐만 아니라 연구의 질도 향상되었다는 것을 반증한다. 많은 연구자들이 논변의 핵심을 파악하기 위해 나름의 논리를 계발하고 논지를 전개하는데 있어서도 치밀함을 보여주고 있다. 기존의 연구가 논변의 포괄적인 조망이 다수였다면, 앞으로 연구는 논변의 쟁점에 대한 세밀한 부분까지 확대되어 정밀한 연구들이 나올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安東 金門의 지식논쟁과 지식권력의 형성 : 農巖 金昌協의 학문적 입장을 중심으로

        김형찬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2 民族文化硏究 Vol.56 No.-

        안동 김문이 장기간 현실의 권력집단으로 유지될 수 있었던 이념의 정당성 혹은 지식의 진리성 확보는 안동 김문 출신 지식인들의 지적 탐구와 논쟁을 통해 이루어졌다. 지식의 진리성 확보라는 측면에서 볼 때 안동 김문의 중심인물은 김창협이었고, 그의 동생 김창흡과 손자 김원행이 그 뒤를 이었다. 이들이 연관된 논쟁으로는 知覺 논쟁, 朴世堂의 『思辨錄』 논란, 人性物性論爭을 들 수 있다. 세 논쟁을 통해서 안동 김문은 자신들의 학문적 입장을 확립하고, 서인 노론의 이론적 대변자로서 위치를 확보하게 되었으며, 특히 인성물성논쟁을 통해 노론 내에서도 湖論계열과 다른 洛論으로서의 학문적 정체성을 가질 수 있었다. 이러한 이들의 학문적 입장은 특히 주희와 이이의 이론을 계승하되 퇴계학의 비판과 문제의식을 수용함으로써 서인 노론의 기득권에 기반한 유연성을 가지고 집권세력으로서의 포용력을 갖추는 데 기여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The ideological legitimacy or the truth of knowledge that made the Kims of Andong keep their power as a political group for a long period was obtained by the intellectual researches and debates of the educated persons from the Kims of Andong. Considering the theoretical researches and debates, the main character was Kim Chang-hyeop, and his younger brother, Kim Chang-heup and his grandson, Kim Won-haeng took over his ideas. The disputes related with them were the debate on perception, the criticism on Park Se-dang's Sabyeonrok (A Record of Speculation), and the controversy on the human nature and animal nature. Through the three debates, the Kims of Andong established the academic identity of their own, and secured the status of the theoretical spokesperson in Noron (Patriarch's faction) of Seoin (Westerner). Especially through the disputes on the human nature and animal nature, they could get the theoretical identity of Nangnon (theory of Nak) that differentiated themselves from the intellectuals of Horon (theory of Ho). They embraced the criticism and view of Toegye's philosophy even though they succeeded in the theories of Zhu Xi and Yi I, and therefore the academic position of them helped them to get the capacious mind of the group in power with the flexibility based on the vested rights of Seoin Noron.

      • KCI등재

        관봉 현상벽의 인물성동이론 연구 - 『맹자』 「생지위성장」과 『중용』 ‘솔성지위도’ 해석을 중심으로 -

        배제성 ( Bae Je Seong ) (사)율곡연구원 2021 율곡학연구 Vol.46 No.-

        본 논문은 관봉 현상벽의 인물성동이론을 살펴보고 그 특징을 규명하였다. 호락논쟁의 대표적 논자로 널리 알려진 한원진과 이간은 사실 호학에 소속된 동문들이며, 그들의 토론이 가진 두드러진 특징 중 하나는 여러 동문들이 함께 토론에 참여하였다는 점이다. 그 중에서도 현상벽은 자주 이간과 나란히 언급되는 중요한 참여자이다. 현상벽의 주장을 살펴봄으로써 논쟁의 양상이나 쟁점의 함의에 대해 더 풍부한 이해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인물성동이론의 대표적인 전거로 꼽히는 『맹자』 「생지위성장」과 『중용』 「수장」(특히 ‘솔성지위도’)에 대한 해석에 주목함으로써 현상벽의 기여를 효과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현상벽은 두 전거에 대한 해석에서 철저히 동론의 원론적인 입장을 견지하였다. 구체적으로 「생지위성장」 해석에서 그는 당초 한원진의 해석에 동조했던 이간보다 빨리 동론의 입장을 수립하고 이를 통해 이간의 견해 형성에 영향을 미쳤다. 한편 ‘솔성지위도’ 해석에 있어서 현상벽은 이간과의 견해 차이를 좁히지 못했다. 이간이 이 문제에 있어서 한원진의 문제제기를 일정 부분 수용하는 주장을 제시한 반면, 현상벽은 철저히 본 연지성의 절대적 보편성을 강조하는 동론의 입장을 고수하였기 때문이다. 이러한 검토를 통해 본 논문에서는 논쟁에서 현상벽의 역할을 포착할 수 있었을 뿐만 아니라, 이들의 논쟁이 제기되는 문제에 대응하는 역동적인 상호토론의 과정이었음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paper aimed to review Hyeon Sangbyeok’s Theory of Human and Animal Nature and understand the features of his stance. Han Wonjin and Yi Gan, widely known as representative speakers of Horak debate in Joseon, in fact were colleagues belonging to Kwan Sangha’s school. Another colleagues also participated in the debate. Among them, Hyeon Sangbyeok often mentioned side by side with Yi Gan was one of the main participants in the debate. So we can grasp the feature and the implication of the debate by reviewing his claims. Particularly, we focused on the interpretation of 『Mencius』 and 『Doctrine of the Mean』, because his discussion of the interpretation effectively shows his contribution in the debate. In the interpretation, Hyeon Sangbyeok horoughly maintained a position emphasizing the absolute sameness and universality of nature. More specifically, in the interpretation of 『Mencius』, he established arguments for the group that insists on the sameness of nature faster than Yi Gan and influenced the formation of Yi Gan’s view. On the other hand, in the interpretation of 『Doctrine of the Mean』, Hyeon Sangbyeok objected to Yi Gan’s view. While Hyeon Sangbyeok strongly adhered to the claim of sameness of nature, Yi Gan considered some of Han Wonjins claims receptively. Through this review and analysis, we were able to grasp Hyeon Sangbyeok’s contribution in the debate in detail. In addition to this, It was also confirmed that it was a dynamic process of mutual discussion in response to the issues raised.

      • KCI등재

        간재(艮齋) 기질체청설(氣質體淸說)의 계승과 발전 - 후창(後滄) 김택술(金澤述)의 심성론(心性論)을 중심으로-

        신상후 ( Shin Sang-who ) 한국철학사연구회 2023 한국 철학논집 Vol.- No.76

        낙론계(洛論係) 심성론은 율곡학의 범위 안에서 ‘배워서 성인이 될 수 있음[聖人可學]’의 가능성을 최대화하는 방향으로 발전해갔다. 그리고 이 발전은 호론계(湖論係) 학자들과의 논쟁과 토론을 통해 가능했다. 호락논쟁은 호락 모두에, 그 심성론을 체계화하고 심화하는 자양분으로 작용했다. 호락 간 견해의 다름은, 기(氣)에 대한 이해의 차이에서 연유한 것이다. 이들은 모두 ‘성즉리(性卽理), 심시기(心是氣)’, ‘기발리승일도(氣發理乘一途)’, ‘리통기국(理通氣局)’을 원칙으로 삼는 율곡학의 계승자들이었기에, 기에 대한이해가 중요했다. 율곡은 기의 차별성과 동일성을 모두 언급한 바 있는데, 호론은 기의 차별성을 강조하고, 낙론은 기의 동일성을 역설했다. 이러한 차이는 ‘태생적 기의 오염’을 설명하는 데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낙론은 기질의 오염을 “현재에도 유동적일 수 있는 것”으로 보았고, 호론은 “적어도 현재로서는 고정적이고 견고한 것”으로 본 것이다. 요컨대, 기의 장애를 얼마만큼 가볍게 처리하는가, 얼마만큼 고체화할 것인가에 따라 호론과 낙론의 심성론이 갈라지게 된다. 낙론계 심성론은 간재(艮齋) 전우(田愚, (1841~1922)에 의해 집대성되었다. 이렇게 평가할 수 있는 근거는 간재의 기질체청설(氣質體淸說)에 있다. 기질체청설은 낙론계 심성론이 지향했던 ‘기(氣)에 의한 장애의 무력화’를극진히 달성한 이론이다. 물론 주자학이 나아갈 수 있는 한계를 아슬아슬하게 넘지 않으면서 말이다. 그래서 필자는 간재의 심성론을 낙론계 심성론의 집대성이라고 판단한다. 지금까지 필자는 호락논쟁 및 낙론계 심성론을 주로 미발(未發)과 관련하여 ‘심(心)’을 위주로 분석해왔다. 호락논쟁의 분기는 ‘기에 대한 이해의 차이’에 있고, 이것이 ‘심(心)에 대한 이해의 차이’로 이어져서, 호락논쟁의 핵심쟁점으로 정립된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본고에서는, 여기에서 더 나아가 ‘심 이해의 차이를 통해 성립하는 성(性) 이해의 차이’를 다루었다. 이변화는 필자가 파악하는 낙론계 심성론의 전개 양상을 따른 것이다. 낙론계 심성론은, 18~19세기에 ‘본연적 마음의 선함’을 주장하는 ‘심본선설(心本善 說)’로 전개되고, 20세기 초반에 이르러 간재에 의해 ‘기질의 근원적 선함’을 주장하는 ‘기질체청설(氣質體淸說)’로 집대성되었다. 즉, 본연적 기의 담일청 허함이 본연적 마음에서 기질의 뿌리로까지 확장되었던 것이다. 그리고 이로써, 기질과 마음 안에 ‘떨어져 있는[墮在]’ 본성, 즉 기질지성(氣質之性)의 성격을 명확하게 규정할 수 있게 되었다. 이는 간재의 제자, 후창(後滄) 김택술(金澤述, 1884~1954)의 심성론에서 확인할 수 있다. 낙론계 심성론의 이러한 전개 양상을 밝히는 것이 본고의 목표이다. 간재의 심성론을 계승한 후창 김택술은, 기질지성(氣質之性)에 대해 한결같이 “이발(已發)에 속한다.”고 강조한다. 즉, 마음이 발동한 뒤에, 기질의 구애와 인욕(人欲)의 가림이 있게 되었다면, 그래서 부중절(不中節)의 결과가 도출됐다면, 이때 이것의 원인을 두고 “기질지성에 의한 것이다.”라고 비로소 말하게 된다는 것이다. 말하자면, 기질지성은 현실의 불선(不善)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으로 기능할 뿐이라는 것이다. 호론계 심성론에서 본연지성이 개념적 상정이라면, 후창의 심성론에서는 기질지성이 개념적 상정이다. 이 두 견해는, 서로를 향해, “본말이 전도되고, 개념과 실재가 역전되었다.”고 말할 수 있는 정도로 상반된 견해이다. 현대 주자학 연구자들의 기질지성 이해는 대체로 호론계 이론에 가깝다. 호론식의 주자학 이해에 익숙한 현대의 연구자들은 아마도 후창의 견해를 주자학에서 벗어난 이론으로 간주할 것이다. 그러나 기질지성을 후창처럼 이해하지 않으면, 본연지성은 현실에 존재하지 않게 된다. 하지만 주자학은 시종 본연지성이 진짜 본성이라고 강조한다. 그렇다면 우리는, 현대 주자학 연구에서의 난점과 쟁점들을 해소하기 위해서, 간재와 후창의 심성론을 참고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e paper examines the development of the theory of Rak School (洛學) in the 19th to 20th century. As followers of the Yulgok school, scholars of the Rak School developed their own theory while faithfully adhering to Yulgok's philosophy. The development of Rak School’s theory of Human nature and Heart-mind involves a sophisticated development Zhu Xi’s theory of the Heart-mind. In Neo-Confucianism, when scholars contrast Heart-mind and Human nature, most consider heart-mind to be ki (氣, Ch. qi) and Human nature to be i (理, Ch. li). As ki, Heart-mind may be impure. However, School of the Rak emphasizes the difference between Heart-mind and temperament (氣質), and thus insists that for ordinary people, even though one’s temperament might be impure, their Heart-minds remain pure. Followers of the Rak school called this pure mind ‘the original Heart-mind’. This is their theory of “Heart-mind is originally good.”. We can say this is the Heart-mind theory of the Rak School. In this paper, the development of this pattern was demonstrated by analyzing the theory of Jeon Wu (1841-1922, pen name Ganjae) and Kim Taeksul (1884~1954, pen name Huchang). Jeon founded a new theory insisting that the original state of ki (氣質本體) is pure and good. Kim inherited this theory and presented a specific understanding of Human nature, especially the Human nature of temperament. According to Kim, the Human nature of temperament is a concept that can be said only after emotions or accidents occur incorrectly. This understanding maybe sound unfamiliar to current Neo-Confucian researchers who are less familiar with the Horak school or may consider it a deviation way too far from orthodox Zhu-Zheng philosophy. However, we should seriously consider this perspective as it enables us to recognize the nature of temperament as secondary, that can carry further implications of understanding the difficulties of Neo-Confucianism.

      • KCI등재

        GOODNESS AND QI : THE LATE CHOSŎN DEBATE ON HUMAN NATURE

        VLADIMIR GLOMB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2017 Acta Koreana Vol.20 No.1

        In the course of the great disputes of Korean Confucianism, the Four-Seven and Horak Debates, multiple perspectives came to be formulated on the problem of human nature; these were later taken up as orthodox stances by competing lineages of Korean scholars. Thinkers active during the late eighteenth century often sought to replace this authoritative corpus by means of alternative approaches represented by reform-ist sirhak currents or inspired by so-called ‘Western Learning’; nonetheless, the vast majority of scholars continued to explore the basic questions of Confucian discourse within the limits of previous tradition. A leading example of a scholar faithful to orthodox legacy, yet formulating radical and new perspectives on the basic questions of Confucian doctrine and the problems of human nature, can be found in the personage of Nongmun Im Sŏngju (1711–1788) and his work Nongnyŏ chapchi (Miscellaneous records of the Deer Hut). The focus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strategies and arguments Nongmun used to defend the concept of goodness of human nature in relation to both the Chinese and Korean authorities of previous tradition.

      • KCI등재

        초등학생의 인성교육을 위한 말하기·듣기 교육 방안 : 적극적 초등학생과 소극적 초등학생의 토론 대화 분석을 중심으로

        권순희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07 한국초등국어교육 Vol.34 No.-

        이본 연구는 학습자의 언어 사용 실태를 분석 조사하여 초등학생을 상대로 인성교육을 위한 말하기 듣기 교육 방안 제시를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전주 덕일 초등학교’ 6학년 학생 중 담임 교사의 추천을 받아 적극적 학생 3명과 소극적 학생 3명으로 구성한 토론조의 ‘인터넷 게임이 필요한가’에 대한 토론 양상을 분석하였다. 표현 형식 측면에서 보면, 적극적 학생들이 소극적 학생들보다 상대적으로 ‘발화 시간’, ‘발화 횟수’가 많고, ‘겉보기 낱말 수’와 ‘소통 의미 낱말 수’의 차이도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적극적인 학생들이 소극적인 학생들보다 ‘발화 횟수 당 낱말 수’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현 내용 측면에서 보면, 적극적인 학생들이 소극적인 학생들에 비해 ‘논거’가 많다. 말끝 흐리기 항목에서는 적극적 학생과 소극적 학생들이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끼어들기 항목에서는 적극적 학생이 다른 학생에 비해 많은 끼어들기를 나타내었다. 적극적 학생들은 논의거리를 확장, 보충, 첨가하는 방식으로 논의를 심화시켰으며, 발언권 확보 표지를 사용하였으나, 소극적 학생은 논의거리를 심화시키지 못하고 발언권 확보 표지를 사용하지 않고 곧바로 말하고자 하는 낱말을 발언하였다. 또한 각 토론자 태도를 참여의식, 다른 사람 의견에 주의 집중, 상대방 의견 수용 태도, 자신의 잘못된 발언 인정 여부 등을 중심으로 연구자가 관찰 기술한 결과 표현 형식과 표현 내용의 분석 결과와 유사한 결과가 나왔다. 상대방 존중 발화 여부는 적극적 학생과 소극적 학생의 특성에 따라 변별력 있는 결과가 나오지 않았다. 지금까지의 논의로 적극적인 학생과 소극적인 학생의 성격과 표현 양상과는 상관관계가 있음을 규명할 수 있었다. 두 요소간의 상관 관계를 알고 두 요소를 학습자의 자율성을 확보하는 쪽으로 교육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작업이 중요하다. 국어교육에서 표현 교육과정을 제시할 때, 학생 요소를 고려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표현 교육은 표현하는 학생의 구체적인 삶의 경험과의 관련 속에서 재해석되고 재구성되어야 그 실효성을 거둘 수 있다. 토론에서는 근거를 들어 논리적 말하기를 하기 마련이다. 논리적 주장에서도 개인적 논리의 정당성을 주장하는 것에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타인의 입장을 배려할 수 있는 논리 개발이 필요하다. 토론과 관련된 교육 내용에서는 토론의 근거나 말하기 규칙에 대한 논의에 비중을 두고 있으며 화자나 청자에 대한 성격 이해 부분은 다루지 않고 있다. 그러다 보니 토론의 핵심이 논리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토론 문화를 통해서 합리적인 결정을 한다고 할 때, 중요한 것은 그 일을 실천하게 될 사람에게 초점을 두는 것이다. 토론 교육에서 논리의 교육이 중요하지 않다는 논의가 아니라 인성에 초점을 두는 단계로 초등학교의 토론 교육이 논의되어야 함을 지적하는 것이다. The aims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education plan of speech communication and listening for human nature education of elementary students. For this study, a debate about "is the internet game necessary?" by three active students and three passive students of 6th grade of an elementary school was analyzed. In the point of expression mode, "Speech time", "Speech frequency", and "the number of expressed words" as well as "Communicative words" of the active students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passive students. "The number of expressed words per speech" of the active students was also higher than that of the passive students. In the points of expression contents, "the grounds of an arguments" of the active students was more than that of the passive students. The active students more frequently edged themselves into the debate than the passive students. The active students developed heated debate by enlargement, supplementation and addition of issues. Also the active students used "turn-taking mark", but the passive students did not use it. From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have relationship with their forms of express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education program of speech communication and listening focused on human nature education.

      • KCI우수등재

        두 개의 선(善)을 가로지르는 인간의 성선(性善) - 한원진과 이간의 인물성동이논변을 중심으로 -

        배제성(Je-Seong Bae) 한국철학회 2023 철학 Vol.- No.155

        조선 성리학사를 장식한 주요 논쟁들을 관통하는 하나의 문제의식은 선(善)에 대한 탐구이다. 본 논문은 한원진과 이간의 인물성동이논변을 중심으로 그러한 탐구의 성격과 원인에 대한 이해의 폭을 확장하기 위한 시도이다. 이는 동시에 인물성동이논변을 새로운 지평에서 바라보며 그 철학적 의미를 탐구하는 작업이기도 하다. 본 논문에서는 성리학에서 성선을 주장하기 위해 제시된 경험적 논증과 우주론적 논증의 호응과 상충이라는 이중적 관계로부터 인물성동이의 문제가 발생한다는 해석을 제안하였다. 나아가서 이러한 호응과 상충 이면에 자연질서와 인륜질서라는 두 가지의 선이 맺고 있는 이중적 관계가 자리하고 있음을 드러내고, 한원진과 이간이 호락논쟁에서 주장한 학설이 이러한 이중적 관계를 조율하기 위해 제시한 대답으로 해석될 수 있음을 보였다. 본 논문은 이러한 고찰에 기초하여 조선 성리학사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선에 대한 탐구의 배경에는 자연질서로서의 선과 인륜질서로서의 선 사이에 존재하며 결코 해소될 수 없는 긴장된 공존의 관계가 자리 잡고 있다는 결론을 도출한다. 이는 다른 말로 인(仁)을 중심으로 하는 유학의 중심 가치가 생명활동과 맺고 있는 이중적 관계로도 요약될 수 있다. The investigation of goodness is a consistent purpose that permeates several large-scale debates in the history of Neo-Confucianism in Joseon. This paper attempts to expand the understanding of the features and backgrounds of such investigation. At the same time, Han Wonjin and Yi Gan’s theories on the nature of humans and animals are interpreted and analyzed in a new horizon. We suggest that the issues of human and animal nature arise from the double relationship of harmony and conflict between the empirical and cosmological arguments presented to claim the goodness of human nature in Neo-Confucianism. According to our analysis, based on this double relationship, there are two kinds of goodness: natural order and ethical order. Therefore, Han and Yi’s theories can be understood as their answer to reconcile those two kinds of goodness. Based on these analyses, we present a tense coexistence between goodness as a natural order and goodness as an ethical order as an important background in the investigation of goodness that continued in the history of Neo-Confucianism in Joseon. This background can be summarized as a double relationship between the central values of Confucianism centered on humanity and activities of natural life.

      • KCI등재

        근대 이행기 畿湖 道學 系列 儒林의 동향과 현실 대응 - 衛正論的 시각에 주목하여

        박학래 범한철학회 2017 汎韓哲學 Vol.84 No.1

        This paper examines the trends of Confucian group of the Kiho Dao Learning lineage among the Confucian intellectuals devoting themselves to protect Confucian ideology during the modern transitional era. Especially, I shall investigate how the logic of adoring Right Learning and Attacking Heresies can be materialized within the lineage of Dao Learning after the mid-19 century, search how derivative debates are unfolded and organize activities of Confucian group in local communities, which are based upon the logic. Even though their group has been diverged in accordance with their academic stances after the mid-19 century, the Confucian intellectuals reaffirm the fundamental ideology of Choson Confucianism and their academic stance and seek the reestablishment of Confucian order. Furthermore, they show the practical attitude toward social environments like Appeal to king and activities of Righteous Armies against the invasion of imperialistic countries. These movements are based on Guarding the Right and Attacking the Wicked. They pay a special attention to a support of Confucian order, which is getting weaken in local communities, and new understanding of Confucian ideology in terms of the perspective on the Guarding the Right. They tries to rectify the conflicts within the Kiho School, which have been raised since the early 19 century, to secure a single directing point of Confucian schools, and to concentrate on proliferation of Confucian ideology in the local communities. By rearranging the main scholars of Kiho school, who were ahead of the Horak Controversy, at that time, main figures in the Kiho school tries to rebuild the scholastic lineag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derived from the Controversy. By strengthening the new understanding of the lineage, they tries to set up unified directing point in the Confucian group. However, because of their different interpretation and succession to Yulgok’s theories, they reproduced metaphysical debate on human nature and exposed certain limitations in their academic efforts to establishment of the Right Learning. Nevertheless, their common perspective on the establishment of the Right Learning leads to reaffirmation of Confucian ideology in local communities and shares the same stances on activities of materializing the ideology. In order to maintain the Confucian ideology, they try to unfold educational activities. Based upon this, they concentrate on rebuilding local academies and publishing the complete works written by their colleagues and friends in order not only to expand Confucian ideology but also to reproduce Confucian scholars. 본고는 근대 이행기를 거치면서 유교 이념의 수호와 이를 위한 활동에 전념한 유학적 지식인들 가운데 기호 도학 계열 유림의 동향을 살펴본 것이다. 특히 도학 계열 내부에서 19세기 중반 이후 기호 도학 계열 유림들의 공통적인 인식인 ‘崇正學 斥異端’의 논리가 어떻게 구체화되고, 이와 부수된 논의들이 어떻게 전개되는 지를 살펴보고, 이를 기반으로 하여 전개된 향촌 사회 내에서의 유림들의 활동을 정리하고자 하였다. 기호 도학 계열 유림들은 19세기 중반 이후 본격화하는 門戶 分立과 學派 分裂 속에서도 조선 유학의 근본이념과 학문적 입장을 재천명하면서 유교 질서의 재정립을 모색하였으며, 위정척사라는 시대 인식을 바탕으로 제국주의의 침략에 맞서 상소 운동과 의병 활동을 전개하는 등 실천적 지향을 보여주었다. 특히 이들은 위정론적 시각에서 유교 이념의 재인식 및 저변화, 그리고 향촌 사회에서 약화되어 가는 유교 질서의 扶植에 주목하였다. 19세기 전반기부터 구체화된 기호 학계의 갈등과 대립을 정학의 수립을 통해 일신하고, 이를 기반으로 유림들의 일치된 지향점을 확보하고자 하였으며, 향촌 사회 내에서 유교 이념의 확인과 확산에 주력하였다. 당시 기호학계의 중심인물들은 호락 갈등으로부터 연원하는 당시 기호학계의 분열을 호락 이전의 기호학계 중심인물을 중심으로 학통을 수립하고 이에 대한 인식의 강화를 통해 해소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유림의 통일된 지향점을 정립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율곡 학설에 대한 상이한 계승과 이해의 차이에 따라 성리 논쟁이 재현되는 등 정학 수립을 위한 학문적 노력은 일정한 한계점을 노정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정학 수립에 대한 공동의 인식을 기초로 향촌 사회 내에서 유교 이념을 재확인하고 구체화하는 일련의 활동에서는 대체로 일치된 입장을 취하였다. 유교 이념의 부식을 위해 기호학계 유림들은 각 학파의 종장을 비롯한 핵심 인물을 중심으로 지속적인 강학 활동을 전개하였으며, 이를 통해 유교적 지식인을 재생산하고 유교 이념을 확산하기 위해 문집 발간 및 서원과 사우의 복설과 신설에 주력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