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박물관 문화상품 디자인 프레임워크에 관한 연구: 중국 박물관을 중심으로

        왕정(Wang Zheng),장완석(Wansok Jang),반영환(Younghwan Pan) 대한인간공학회 2020 大韓人間工學會誌 Vol.39 No.4

        Objective: The purpose of study is to structure the design framework that helps design the cultural goods of the museum. It also verifies the usefulness of the framework through practical design application. Background: The cultural functions of modern museums extend to social functions such as popular science, education and entertainment in collections and exhibitions, giving visitors the opportunity to explore the meaning of collections in both historical and modern contexts. The museum"s experience changed from "object-centered" to "visitor experience". We need to study the design of cultural products considering the user"s perception. Method: In this paper, we trace the theoretical origin of the relevant cultural experience concept and use a semi-structured approach to historical reality. Through expert interviews, interview framework was created and theoretical framework of culture experience design method was constructed based on interview material. We collected data through field visits. Results: The framework is a structure that considers cultural factors to traditional design considerations. Cultural considerations take into account historical and popular culture. This is because culture is an issue of interpretation, and current pop culture is affected. It also considers the categories of products to be considered. The strategic aspect takes into account the target users of the product and the direction of the museum. Based on this information, design direction is established based on cultural assets and users" schemas for the categories considered, and product positions. Cultural assets can be unraveled into design attributes with stories, metaphors and images, and images are composed of shapes, patterns, colors and materials. Conclusion: This paper organized a framework to help design cultural products by systematically categorizing the concepts related to cultural experience and analyzing and interpreting the results of expert interviews. Application: This framework can be useful for designing cultural products in museums. When data is accumulated, guidelines for designing cultural products can be drawn.

      • KCI등재

        문화융합의 시대에 ‘문화지향의 디자인’을 위한 교차문화적 디자인 방법론의 이론적 프레임워크에 관한 연구

        장주영(Chang, Ju-Young)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20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8 No.3

        글로벌마켓에서 문화적 특성을 상품에 반영하는 것이 다양성과 차별화를 위해 점차 중요해지고 있다. 하지만 문화를 기반으로 하는 디자인 연구방법론에 관한 체계적인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문화융합 시대에 이러한 연구의 필요성 속에서 시작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문화의 핵심요소들이 제품과 서비스에 어떻게 투영될 수 있는지 이론적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문헌연구를 기반으로 ‘문화지향디자인(Culture oriented Design, CoD)’이라는 총체적 맥락 아래 교차문화적 디자인방법과 프로세스를 정립하여 문화적인 요소를 디자인과정에 의식적으로 분석, 명시하여 통합하는 방법의 탐색을 시도하였다. 연구결과 및 내용은 첫째, 문화적 특성 분석을 위한 문화의 3층위 모델을 제시하였고, 둘째, 문화적 사물에서 문화적인 특성 추출을 위해 식별, 해석, 구현의 3단계로 교차문화적 관점의 연구방법을 재구성하였다. 셋째, 디자인 프로세스에서는 스토리와 시나리오 설정을 포함한 4단계를 제시하였다. 넷째, 이로써 CoD를 위한 프레임워크를 정리하여, 단계별 도전과제와 대응하는 전략과 방법을 제시하였다. CoD란 목표 시장의 문화적 요소를 더 나은 미적, 기능적, 감성적 수용을 위한 디자인으로 고민하고 적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종합적으로 제시한 CoD의 모델에서는 궁극적으로 문화가 사회경제적 가치창조와 문화보존 및 새로운 융합적 문화창조에 기여하는 전 과정을 보여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문화적 특성을 반영한 혁신적 제품과 서비스의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을 기대한다. In the global market, reflecting cultural characteristics in product design is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for diversity and differentiation. However, not only is the design methodology based on culture, but there is no systematic study of related concept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stablish a theoretical framework on how the core elements of complex culture can be projected into products and services. This paper conducted under the context of "culture-oriented design". based on literature review, and a cross-cultural approach was used to analyze and integrate cultural elements in design methods and processes. The study first presented a three-level model of culture to help classify and analyze cultural objects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I studied how to extract cultural elements from cultural objects and to apply them into the design model. The research method was reconstructed in three stages of identification, interpretation and implementation from a cross-cultural perspective. The design process also presented four steps including story and scenario setup. The design of these cultural orientations means to consider and apply the cultural elements of the target market for better aesthetic functional and emotional acceptance. The comprehensive model of culture-oriented design explains how cultural characteristics are projected into the design and created as cultural products and services. Thus ultimately showed how culture contributes to socioeconomic value creation, cultural preservation, and a new creation of convergence culture. Furthermore, it is proposed to utilize local cultural contents for developing innovative products and services.

      • KCI등재
      • KCI등재

        미지정문화재의 법적 성격과 보존·관리 기반 강화-강원도 인제군의 미지정문화재 현황을 사례로-

        류호철 한국역사민속학회 2019 역사민속학 Vol.0 No.56

        There are cultural properties designated or registered by law, and there are cultural properties that have not yet been designated or registered. We refer to the latter non-designated cultural property. However, cultural properties that have not yet been designated/registered are likely to be designated/registered in the future. From this point of view, it’s more desirable to call the cultural properties that have not yet been designated ‘cultural properties not yet designated’. On the other hand, cultural properties not yet designated don’t have their legal status, so the basis for putting public resources to preserve and manage them is not clear. Because of this, cultural properties not yet designated are likely to suffer disasters such as theft or robbery, and many more are stolen than designated/registered cultural properties. Therefore, protection of these cultural properties not yet designated should be strengthened. The most fundamental way is to give legal status to them. Specifically, we can designate the cultural properties as ‘cultural heritage resources’ or as ‘local cultural heritages’ according to local government regulations. In addition, local residents should be informed that cultural properties not yet designated are cultural heritages, and the system should be secured to protect heritages by the owners, local government, local civic organizations, and residents with the owner’s spirit. 문화재에는 법률에 따라 지정 또는 등록된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이 있다. 지정문화재․등록문화재와 달리, 문화재로서 가치는 있으나 아직 지정․등록되지 않은 것들을 비지정문화재라고 하는 것이 보통이다. 그런데 비지정문화재는 아직 지정․등록되지 않은 상태에 있는 것일 뿐, 미래에는 지정 또는 등록될 잠재적 가치를 가진 것들이다. 이런 시각에서 아직 지정․등록되지 않은 문화재는 비지정문화재가 아니라 미지정문화재라고 부르는 것이 적절하다. 한편 미지정문화재는 아직 법적 지위를 확보하지 못한 탓에 그것을 보존․관리하는 데 공공자원을 투입할 근거가 분명하지 않다. 이로 인해 미지정문화재는 안전한 보존․관리에 필요한 체제와 자원을 확보하기가 상대적으로 어렵고, 지정․등록문화재에 비해 훨씬 많은 것들이 도난당하거나 도굴되는 등 문화재로서의 가치에 부정적 영향을 초래하는 재난을 당하고 있다. 그러므로 이런 미지정문화재 보존․관리를 강화해야 하는데, 가장 근본적인 것은 이것들에도 법적 지위를 부여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문화재자료 지정 확대, 시․군․구 조례에 따른 향토문화재로 지정 등이 그 방법이다. 이에 더해 미지정문화재도 문화재임을 지역 주민 등 사회 구성원들이 인식하게 하여 그들이 주인의식을 갖고 문화재를 함께 보존․관리하는 실질적인 체계를 확보하는 것이 긴요한 일이다.

      • 국가경쟁력으로서의 공공디자인의 문화정체성 연구

        김규철(Kim, Kyucheul)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11 디자인지식저널 Vol.17 No.-

        디자인은 문화를 만든다. 문화는 문화정체성에서 만들어진다. 문화정체성은 문화경쟁력을 만든다. 문화경쟁력은 국가경쟁력에 기여한다. 문화정체성을 기반으로 한 공공디자인은 문화경쟁력이 되어 국가경쟁력에 기여한다. 국가경쟁력으로서의 공공디자인은 필수적으로 어떤 국가의 문화정체성을 표현하여야 한다. 왜냐하면 상품은 해외에 수출하는 것이지만, 공공디자인은 외국인들을 국내에 불러들여 보여주는 상품이기 때문이다. 본 연구의 연구목적은 국가경쟁력에 기여하기 위한 대한 민국공공디자인 정책과 수행의 지침을 마련하는 것이다. 그 지침은 문화정체성을 담은 공공디자인을 만들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공공디자인의 개념 및 공공디자인의 공공성, 문화정체성과 국가경쟁력의 상관성, 문화정체성을 기반으로 한 디자인 선진국(독일, 스칸디나비아, 영국, 스페인, 일본, 미국)의 키워드를 파악하였다. 연구결과 공공디자인은 보편성, 특수성, 개별성이라는 3가지 지침에 의해 정책수립과 수행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을 도출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공공디자인 수행지침 3가지는 대한민국공공디자인이 국가경쟁력에 기여하기 위한 필수적인 고려사항이다. 이 수행지침에 입각해서 공공디자인이 수행된다면 국민에게는 삶의 질을 높여주고, 국가적으로는 국가경쟁력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Design creates culture. Culture is created by cultural identity. Cultural identity creates cultural competitiveness. Cultural competitiveness contributes in increasing national competitiveness. The public design that based on cultural identity contributes national competitiveness as it becomes the cultural competitiveness. Fundamentally, the public design has to express home country’s cultural identity as the national competitiveness. Because goods increase national competitiveness as they get exported to abroad, but the public design is considered as goods that invite foreigners into count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preparing the policy and guideline that will enable Korea’s public design to contribute to national competitiveness. This preparation is to create the public design that contains cultural identity. For this, this study grasps the concept of public design, publicness of the public design, interrelationship of cultural identity, national competitiveness, and the key words of advanced design country which based on cultural identity. The result of the research drew a conclusion that the public design has to fulfilled by three guidelines, which are generality, particularity, and singularity. The three guidelines are essential factors for Korea’s public design to contribute on national competitiveness. The public design could increase the quality of life for people and increase the national competitiveness for country if it is fulfilled based on the guidelines.

      • KCI등재

        우리문화유산의 가치 향상을 위한 공공디자인에 관한 연구 -화엄사, 소수서원, 다산초당의 안내시설물을 중심으로-

        허진하,조영배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0 조형미디어학 Vol.13 No.2

        It is no exaggeration that Korea's cultural heritage is gaining its recognition through out the world for its priceless value. However, it is also true that nation hasn't been recognizing its true value and has been indifferent towards its cultural heritages. This research is to refresh the recognition regarding on the cultural heritages scattered through out the regions of Korea, and to find roles and directions by upright public designs for Korean cultural heritages by researching public designs to elevate the value of our cultural heritages. The scope of research has been limited to public design for guidance information facilities for process, and researched to find ways to set differentiated strategies and standards to space's public design towards the design characteristics, material, formation, and color of information facility through case analysis on information facility of nation's cultural heritages. After when standard of public design exclusively for cultural heritages are established for development of appropriate public design of national cultural heritage, continual effort must be made to reflect the value of nation's cultural heritage's characteristics and its historical value reflect in design. The correct public design of nation's cultural heritage not only will bring out the pride towards the culturalㆍhistorical environment, but also it will also effect those foreign tourists visiting our nation, which will play its important role by directly forming the image of nation and furthermore, this will continue as nation's competitive power in designing. The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is to set up a foundation to mature cultural heritage and local community and to suggest role and direction of public design for nation's cultural heritage to elevate its standard and value, and not to harm the essential value of nation's cultural heritage in between where public design development work led by the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 bodies. 우리나라가 보유한 문화유산은 세계 어디에 내놓아도 뒤지지 않을 만큼 세계적으로도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러나 이러한 우리문화유산에 대한 가치를 잘 알지 못하고 소홀히 인식해온 것이 사실이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전 지역에 산재해 있는 우리문화유산의 대한 인식을 보다 새롭게 하고, 우리 문화유산의 가치 향상을 위한 공공디자인 연구를 통해 앞으로 우리문화유산을 위한 올바른 공공디자인의 역할과 방향을 모색해보고자 함이다. 연구의 범위를 공공디자인의 안내시설물로 한정하여 진행하였으며, 우리문화유산의 안내시설물 사례 분석을 통해 안내시설물의 디자인 특징, 재질, 형태, 색상 등에 대해 일반적인 공간의 공공디자인과는 차별화된 전략과 기준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였다. 우리문화유산의 올바른 공공디자인 개발을 위한 문화유산만의 공공디자인 기준이 마련된 후에는, 우리문화유산의 특징과 역사적 가치가 디자인에 반영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노력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문화유산의 올바른 공공디자인은 우리 문화ㆍ역사적 환경에 대한 자긍심 뿐 아니라, 우리나라를 방문하는 외국인들에게도 영향을 미치게 되는 것으로, 곧바로 국가의 이미지 형성에도 중요한 역할을 하며 더 나아가 이것은 국가의 디자인 경쟁력으로 이어지게 되는 것이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들을 중심으로 한 공공디자인 개발 사업들이 난무하는 가운데 우리문화유산의 본래 가치를 훼손시키지 않고, 그 가치와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한 우리문화유산의 공공디자인의 역할과 방향을 제시하고 문화유산과 함께 지역사회가 함께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자 하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 KCI등재

        The Influence of Hofstede Cultural Dimensions on Product Design

        Liu, Jun 국제차세대융합기술학회 2024 차세대융합기술학회논문지 Vol.8 No.7

        본 연구는 홉스테드 문화가 상품 디자인에 미치는 영향을 글로벌 배경에서 분석하였다. 글로벌 시장의 융 합과 문화적 교류가 강화되면서, 문화적 차이가 상품 디자인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해졌다. 선행연 구를 기반으로 문화와 상품 디자인 간의 관계를 심층 연구하였으며, 문화 가치관의 정확한 측정이 필요함을 지적 하였다. 본 연구는 홉스테드의 문화적 차원 모델과 WVS, EVS 데이터를 활용해 실증분석을 진행하였다. 개인주 의와 자유주의 경향이 증가하면서 간결한 디자인과 서비스 중심의 선호가 높아졌고, 이는 스몰 사이즈 상품과 브 랜드 효과 약화로 이어졌다. 이러한 변화는 글로벌 상품 디자인에서 문화적 차이가 여전히 중요한 요소임을 나타 내며, 디자이너와 기업이 글로벌 전략을 수립하는 데 중요한 통찰을 제공한다. 본 연구는 글로벌 시장 환경에서 디자인 개발과 브랜드 포지션에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This study analyzed the impact of culture on product design from a global background. As the convergence and cultural exchange of global markets have been strengthened, it has become important to understand the impact of cultural differences on product design. Based on previous studies,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e and product design was studied in depth, and it was pointed out that an accurate measurement of cultural values is necessary. The study conducted an empirical analysis using Hobsted's cultural dimension model, WVS, and EVS data as individualism and self-indulgence tendencies increased, and preference for concise design and service-oriented increased. The decrease in power difference led to the weakening of small-sized products and brand effects. These changes indicate that cultural differences are still crucial in global product design and provide important insights for designers and companies in establishing global strategies. This study has important implications for design development and brand position in a global market environment.

      • KCI등재

        한국과 중국의 문화마을 재생 디자인에 대한 보고 감천문화마을과 - 징더전 산바오마을을 중심으로 -

        류웨이위안,김성필 한국일러스트레이션학회 2023 일러스트레이션 포럼 Vol.24 No.77

        As historical memory fades in the massive development of cities, the uniqu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cities are gradually disappearing. Cultural villages are witnesses to urban development and carriers of memory. The regeneration and development of cultural villages is related to the economic construction of the city, and it is also the key to improve the image of the city. Therefore, this paper takes the cultural villages in Korea and China as the research object and studies the method of cultural village regeneration design. This paper compares the basic concepts of cultural villages and regeneration design between the two countries through literature combing, and at the same time establishes a framework for theoretical research and case study analysis, and classifies the regeneration design of cultural villages into material and non-material categories; and then selects representative cultural village regeneration design case studies from Korea and China since 2000, with China choosing the Sanbao Village of Jingdezhen, and South Korea choosing the 'Santorini Village', which enjoys a good reputation in Korea. China chose Sanbao Village in Jingdezhen, and Korea chose Gamcheon Cultural Village, which is known as 'Santorini' in Korea, for case analysis, and sorted out the effect of regeneration design before and after the regeneration design of the two cultural villages as well as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terial and immaterial characteristics of the regeneration design of the two cultural villages respectively. Restoring the historical features of the Gamcheon Cultural Village (repairing the old as the old) to create a variety of cultural and artistic spaces; Chinese cultural villages are based on the village site, developing new villages and communities to create a new cultural carrying space, and spending more energy on material form design, such as building a new Sanbao Pong art space (repairing the old and building the new). Comparing the cases of the two countries, the authors found that in the process of regeneration design of cultural villages, preserving the village structure, optimizing the village environment, revitalizing the local economy, promoting the local culture, and organizing the production activities of the residents are all important parts of regeneration design, and that the core competitiveness of the development of cultural villages lies in the development of the village culture and its innovation. Therefore, the authors hope that by analyzing the regeneration design of cultural villages in Korea and China, they can provide experience for the regeneration design of cultural villages in both countries.

      • KCI등재후보

        디자인의 문화적 이해를 위한 사회이론적 탐구: 파슨스의 문화이론을 통해서 본 디자인과 문화, 그리고 기능의 문제

        강정민 ( Chung Min Kang )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1 인문학연구 Vol.0 No.42

        이 논문은 디자인과 같은 실천영역의 문화적 이해를 위해서는 엄격한 개념적 설명에 기초한 사회, 문화이론의 도입이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구조기능주의자이면서 체계이론가인 탈코트 파슨스를 문화이론적 관점에서 재구성 함으로써 디자인과 문화, 그리고 기능의 문제에 접근하는 문화 연구의 경로와 개념적 지도의 한 예를 제시한다. 디자인의 문화적 이해를 위한 사회이론적 탐구의 대상으로 파슨스를 선택한 이유 - 따라서 이 논문이 성취할 수 있는 잠재적인 이론적 성과 - 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능주의``를 통해 디자인이론과 사회이론을 연결함으로써 디자인의 실제적(경제적, 기술적) 기능뿐 아니라 미적 기능과 상징적 기능을 설명함과 동시에 디자인의 문화적 해석의 중요성을 제기하기 위해서이다. 사실상 기능에 대한 담론은 디자인사의 중심을 차지하여 왔으며, 이러한 담론의 배후에는 디자인의 실제적(경제적, 기술적) 기능과 미적 기능, 그리고 상징적기능 사이의 긴장이 존재한다. 둘째, 인간은 합리적이라는 전제에서 출발하여 경제적 차원의 설명만을 제공하는 디자인의 기능주의의 한계를 극복하는 데 있어서 기능적 사회이론의 도입이 지닌 유용성이다. 사회이론의 기능주의는 체계이론과 밀접하게 결합됨으로써 경제, 정치, 사회 체계와의 관련 속에서 문화체계를 규명할 뿐 아니라, ``경제적 인간`` 모델을 비판하고 인간 행위의 규범적 차원을 강조함으로써 문화이론적 함의를 풍부하게 내포한다. 셋째, 한국의 디자인학계, 특히 이들의 문화에 대한 이론적 고찰에서 빈번이 인용되는 트롬페나스(Trompenaars, 1994)나 호프스테드(Hofstede, 2010)의 문화변수 모델들의 원형은 파슨스가 그의 ``유형변수`` 모델을 통하여 이미 제시한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디자인의 문화연구는 기능적인 변수들의 유형화와 계량화에 집중함으로써 유형변수들을 활용하여 사회변동과 사회변동에서의 문화의 역할을 조명하려는 파슨스의 의도를 왜곡하여 적용한다. 이상의 이론적 공헌을 겨냥하면서, 나는 디자인의 기능주의, 인본주의를 지향하는 조형이론인 ``확장된 기능주의(extended functionalism)``, 그리고 파슨스로 대표되는 기능적 사회이론의 역사적 배경에 대한 설명으로부터 시작할 것이다. 그리고 나서 파슨스의 이론을 문화적 관점에서 재구성하여 분석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디자인의 문화적 이해에 대해 파슨스의 문화이론이 지니는 함의를 진단하면서 논문을 마무리할 것이다. This essay starts from a perception that social cultural theories based on strict conceptual explanations should be introduced in practical areas such as design for cultural understanding. By reconstructing Talcott Parsons, a systems theorist as well as a structural functionalist, in terms of cultural theory, this essay presents an example, as a path and a conceptual map of cultural studies, which illuminates the question of design, culture and function. The reason why I choose this subject, the theory of Parsons, for the cultural understanding of design - therefore the possible theoretical achievement of this work - is as follows. First, to connect design theory and social theory through ``functionalism`` enables us to explain the aesthetic, symbolic function as well as the practical (economic, technical) function of design. At the same time, it enables us to present the significance of cultural interpretation of design. In fact, Discourses on design have occupied the core of design history, and underneath these discourses, there are tensions between the practical (economic, technical), aesthetic, and symbolic function of design. Second,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Parsonian functional social theory into functionalist design theory since functionalist design theory only offers economic explications assuming that human beings are rational. Parsonian functionalist social theory, combined closely with systems theory, examines the cultural system in relation to the economic, political, social system. By emphasizing cultural understanding of normative dimensions of human action as well as by attacking the model of ``economic man``, Parsonian functionalism in social theory contains abundant cultural theoretical implications. Third, cultural variables, used in Trompenaars (1994) and Hofstede (2010), and recited from them in design studies in Korea, have originated from Parsons`s model of ``pattern variables``. However, by focusing on patterning and measuring functional variables, cultural studies in design distort Pasons`s intention to use pattern variables in exploring social change and the role of culture in that change. Bearing these theoretical contributions in mind, I begin with a discussion of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functionalism, the extended functionalism, which is a humanism-oriented formative theory, and Parsons`s functionalism in social theory. I will then reconstruct and analyze Parsons`s theory from the cultural point of view. Lastly, I will conclude with some remarks on the significance of Parsons`s work for the cultural understanding of design.

      • KCI등재

        전통금속공예기법의 문화상품화를 위한 디자인 경영 전략

        김영옥(Young Ock Kim)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1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7 No.1

        21세기는 문화로 승부하는 시대이다. 많은 나라들은 지금 문화를 세계화하는 데에 총력을 기울인다. 훌륭한 문화자산을 이룩해 온 우리도 문화를 상품화하고 세계화할 필요가 있다. 공예문화상품은 일상의 중심이 되는 유용한 생산물이라는 점에서 어떤 문화상품보다도 의미가 크다. 전통공예문화상품의 중요성을 알고 상품화 요소와 디자인 요소를 고려하여 금속공예문화상품을 구매력 있고, 용도도 우수하게 만들 것을 제안한다. 디자인 경영이 기업 비전을 창출하는 전략이므로 전통금속공예문화상품의 명품화, 세계화를 위한 방법으로 디자인 경영을 제시하고, 기존의 국내전통금속공예문화상품의 공방현황과 상품분석을 통하여 문제점을 파악하며, 전통금속공예산업을 세계화한 국외기업의 디자인 경영 의 성공적인 사례를 통하여 전통금속공예문화상품의문제 해결방법과 개발 방향을 제시하였다. 제Ⅰ장에서는 연구의 배경을, 제Ⅱ장에서는 공예상품의 개념 및 역할, 특징, 그리고 국내 · 외 공예상품시장 현황과 지원 상황을 살핀다. 제Ⅲ장에서는 전통금속공예기법을 이용한 공예품을 문화상품으로 변화시킬 가능성을 연구하였고, 전통 공예품의 유물들을 제작기법별로 선별하여 현대공예상품으로 활용할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제Ⅳ장에서는 공예문화산업을 성공으로 이끌 디자인 경영전략을 적용하기 위하여 공예와 디자인의 특성을 찾고, 디자인 경영에 대한 기본이론과 효과를 제안하였다. 제Ⅴ장에서는 유기업체, 칠보업체, 누금공방 같은 전통금속공예업체를 선정하거나 입사기법 기능장을 조사하고 디자인 경영의 실천 업체를 연구하였다. 제Ⅵ장에서는 일반인 및 공예업계 관련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인지도, 선호도를 분석한 후, 전통금속공예문화산업이 지향해야 할 방향을 제시해 보았다. 마지막으로, 제Ⅶ장에서는 지금까지 진행해온 연구 결과를 정리하며 전통금속공예산업 육성국이 되고 전통금속공예품을 세계화할 현실적인 대안을 제시한다. 지금까지의 연구와 설문 자료의 분석결과를 종합하면서 전통금속공예문화상품의 개발 방향은 국가의 지속적인 정책과 창의적인 경영 마인드 아래 전문 디자이너를 양성하여 인력을 갖추고 디자인 경영을 시행하는 방향이어야 함을 도출하였다. 전통금속공예문화상품의 가능성은 무한하다. 디자인 경영으로 전통금속공예문화상품을 세계화하여 문화산업을 활성화시키고 공예산업국을 완성하는 것이야말로 21세기를 살아가는 공예가의 책무이다. The cultural times has arrived so that we compete with each other through culture. Many countries devote their whole capability to make their culture globalized these days. We have a variety of wonderful cultural assets so that it is ineviTable to make our culture globalized and commoditized. Understanding the importance for the traditional cultural commodities and taking consideration of design for its commoditization, we have to make our cultural commodities of arts and crafts(especially metallic ones) very useful and purchased well. As design management became a major strategy to create a good vision for the companies, this dissertation paper suggests how to upgrade our traditional metallic cultural commodities of arts and crafts to the luxurious ones and advise to adopt design management to globalize our cultural commodities. It also investigate the present situation about workshops in the traditional metallic cultual industry and analyze each commodity to understand what are the problems to be solved. Benchmarking successful cases for globalization among foreign companies, the paper presents the developmental direction and strategy for the cultural industry(especially for the metallic one). Chapter I explains the background for the dissertation. Chapter Ⅱ.clarifies the definition, role, and characteristics for commodities of arts and crafts, including the present situation and governmental support about their market home and abroad. Chapter III investigates the possibility to transform to the cultural commodities the commodities of arts and crafts made by traditional metallic technique. In addition, it sorts out the traditional commodities of arts and crafts by the manufacturing techniques and finds out how to apply those traditional techniques to make modern cultural commodities. Chapter IV searches some features of ``arts and crafts``, and their designs to apply the design strategy that leads the cultural industry of arts and crafts successful to grow. The chapter suggests the basic theory and effect for the design management. Chapter V makes a field research for the master craftsmen for inlaying or marquetry technique and the companies that adopted strategies of design management. The companies were chosen among companies making traditional metallic commodities of arts and crafts like brassware companies, enamelware companies, gold-marking workshops, and so on. Chapter VI obtains information through questionnaires from individuals and related persons(professionals and manufacturers) with arts and crafts, analyzes perceptiveness and personal preferences. presenting the developmental direction for the traditional metallic industry of arts and crafts. The final chapter VII summarizes all results of the paper and advises for the practical proposals to develop and globalize the traditional metallic industries of arts and crafts. This paper proposes several ideas. First of all government should establish a long-term master plan for the effective design policy, acknowledging the industry of arts and crafts is a basic industry for the national competitiveness. The management keeping in mind about design, companies should establish a comprehensive design policy by introducing the design management positively. The companies also should educate more designers(especially a star designer) persistently and form a design team after preparing a good educational system. It is impossible to measure the possibility of globalization for the traditional metallic cultural commodities of arts and crafts. Professionals of arts and crafts in the 21st century are responsible for globalizing the traditional metallic commodities of arts and crafts by adopting design management, activating the cultural industry. They should elevate our country to the industrial country of arts and craf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