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진정본과 단순본 형태의 아동용 영어 이야기책 비교연구

        서현주(Seo Hyun Joo),이희경(Lee Hee-Kyung) 한국초등영어교육학회 2008 초등영어교육 Vol.14 No.1

          The present study attempts to provide comprehensive evaluation of children"s English storybooks in authentic and simplified text and to suggest the most efficient way to utilize the two types of storybooks for children"s English literacy development. To achieve the aim, first, English reading specialists evaluated authentic and simplified storybooks against some criteria affecting children"s voluntary reading and assistance for their literacy development. Second, to investigate parents‘ perceptions and uses of the two different types of storybooks, we conducted an on-line survey of parents who had been using storybooks for years. Finally, we interviewed seven mothers whose children demonstrated excellent English reading performance as reported via mass media. The results indicated that, although authentic English storybooks were evaluated higher in terms of contents and pictures, and simplified storybooks as to language and readability, parents" preferences of the two types were not much different. Yet, those with advanced English skills preferred authentic storybooks, responding to simplified storybooks just for a short period of time in their early stage of literacy development. Based on these results, we further suggest pedagogical implications and guidelines of using the two kinds of reading materials for children"s English literacy development.

      • KCI등재

        예비 보육교사의 그림책에 대한 인식 연구

        노희연 ( Hee Yeon Noh ),김현자 ( Hyun Ja Kim ) 대한아동복지학회 2007 아동복지연구 Vol.5 No.3

        본 연구는 보육기관에서 그림책을 좀 더 다양하고 통합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교사들의 그림책에 대한 바른 인식 함양과 교육이 필요함을 인식하고, 이를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교사가 되기 이전인 예비 교사 시기부터 그림책에 대한 적절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우선 그림책에 대한 예비보육교사들의 생각을 알아보고 그들의 인식을 근거로 하여 그림책에 대한 적절한 교육을 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생각하여 그림책에 대한 예비 보육교사들의 생각, 느낌, 선정기준, 활용방법을 조사 연구하여 예비교사들을 교육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예비보육교사들을 대상으로 그림책에 대한 생각이나 느낌, 그림책의 활용방법, 그림책의 선정기준에 관한 개방형 질문지를 작성하여 그들의 인식을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교사들의 그림책에 대한 생각은 그림책에 대한 생각이나 느낌을 알아본 결과 그림책의 교육적 가치, 특히 교훈적인 내용, 지식과 정보, 사회 정서 발달 적인 측면을 많이 떠올렸고, 재미나 감동 등의 그림책에 수반되는 정서적인 측면에 대한 생각들도 있었다. 그림책의 활용방법으로는 유아의 생각이나 태도를 변화시키기 위한 매개체로 활용하려는 경향이 가장 많았으며, 그 외에 확장활동을 위한 매개체, 지식과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매개체로 생각하는 경향도 있었다. 그림책의 선정기준으로는 그림책의 내용을 선정기준으로 생각하고 있는 교사들이 가장 많았으며, 그 밖에 그림책의 표지와 그림을 선정기준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예비보육교사들의 그림책에 대한 생각이나 느낌은 영유아에게 교훈적인 내용을 제시하고 가르치기 위한 수단이라는 점에 한정되어 있었으며, 선정 기준이나 활용방법에 대한 인식 또한 제한되어 있으므로 예비보육교사들을 위한 그림책에 대한 좀 더 다양한 가치와 접근 방법들에 대한 교육이 요구되어진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erspectives of prospective child care teachers about the storybook. Although the importance of storybook is well known, there is limited use of storybook in the field. To make good use of storybook, specially the role of teacher is important. So this study inquired the perspectives of prospective child care teachers about the storybook to approach teacher education concerning the storybook on the basis of their perspective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summarized in three categories: first, the prospective teachers recognized the storybook have the educational value which can teach instructive lessons; second, participants tended to agree that the thoughts and attitudes are changed by the medium of storybook; third, participants told that they will choose the storybook which include the educational factors for children. Finally, we know that the prospective child-care teacher`s perspectives on the storybook is limited, so educators for the prospective child-care teacher must try to provide more various contents about the storybook.

      • KCI등재

        수학동화책의 반복적 읽기방법이 유아의 수학화 과정과 수학태도 및 수학능력에 미치는 영향

        홍혜경 한국유아교육학회 2011 유아교육연구 Vol.31 No.3

        본 연구는 수학동화책의 반복적 읽기활동이 유아의 수학화 과정과 수학적 태도 및 수학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G시 W유치원의 2개 학급으로 한 학급은 수학동화책을 반복적으로 읽고 이야기를 나누는 실험집단에, 한 학급은 매회 수학동화책을 달리하여 읽고 이야기를 나누는 통제집단에 무선으로 배정하였으며, 수학동화책 읽고 이야기 나누기 활동은 두집단 모두 6주간 18회 실시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학동화책의 반복적 읽기횟수에 따라 수학화 과정이 더 많이 나타났다. 그러나 실험집단의 수학화 과정이 통제집단보다 많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았다. 둘째, 반복적으로 수학동화를 읽은 실험집단의 유아들이 수학적 태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다. 셋째, 반복적으로 수학동화를 읽은 실험집단의 유아들이 수학능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수학동화의 반복적 읽기가 수학화과정과, 유아의 수학적 태도 및 수학능력 향상에 효과적인 교수-학습방법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mathematizing in math talk and examines the effects of repeated math storybook reading on young children's attitudes toward mathematics and mathematical abilities. Subjects are forty-one children from two classes of W kindergarten in G city. One class was assigned to an experimental group and had repeated math storybook reading and the other class was assigned to a comparative group that had general math storybook read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Mathematizing in the math talks increased with the repeated reading from a context-based math storybook in the experimental group. 2),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mparative group in their attitudes toward mathematics. The repeated math storybook reading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young children's attitudes toward mathematics. 3), Repeated math storybook reading had a positive effect on young children's mathematical abilitie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repeated math storybook reading can be an effective teaching-learning method for mathematizing, improving young children's attitudes toward mathematics, and strengthening their mathematical abilities.

      • KCI등재

        유치원 통합학급에서의 인성동화 소집단 협동 활동이 일반유아의 장애유아에 대한 인식 및 장애또래 수용에 미치는 영향

        김혜민,이병인,김현숙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19 유아특수교육연구 Vol.19 No.1

        본 연구는 유치원 통합학급 내에서 인성동화 소집단 협동 활동이 일반유아의 장애유아에 대한 인식과 통합된 장애유아에 대한 또래수용에 주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경기도 B시에 위치한 P유치원 만 5세 일반유아 21명으로 하였으며, 연구 설계는 단일집단 사전-사후 검사 설계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 도구로 일반유아의 장애유아에 대한 인식 평가는 유아용 장애 수용척도(ASK)와 장애인에 대한 초등학생의 태도 조사(PSSHP)를 기초로 수정․보완한 장애 인식 질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일반유아의 통합된 장애 또래수용도 측정은 또래평정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 처리는 일반유아의 장애유아에 대한 인식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대응표본 t검정을, 일반유아의 장애또래수용도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빈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인성동화 소집단 협동 활동은 일반유아의 장애유아에 대한 인식 중 장애유아의 능력에 대한 인식과 장애유아에 대한 마음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둘째, 인성동화 소집단 협동 활동은 일반유아의 통합된 장애또래 수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인성동화 소집단 협동 활동이 일반유아의 장애유아에 대한 인식 및 장애또래 수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으며, 유치원 통합교육 현장에서 장애이해교육과 관련된 의미 있는 교수-학습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mall group of cooperative activities using personality storybooks on the perception of young regular children and acceptance of peers with disabilities in an inclusive kindergarten classroom. The subjects were 21 regular young children ages of 6 years old included P kindergarten located in Kyounggi Province and a single group pre-post test design method was used for research design. For research instrumentation, young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were asked to use the questionnaires of ‘disability perception’ modified or supplemented on the basis of the Primary Student Survey of Handicapped Person (PSSHP), and the ‘peer acceptance’ toward the children with disabilities was measured using the peer rating scale. Regarding data analysis, corresponding sampling t test was used to find out the change of ‘perception’ of young regular children toward the peers with disabilities, and also the frequency analysis was used to find out the ‘peer acceptance’ of young regular children toward peers with disabil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mall group of cooperative activities using personality storybook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young regular children's ‘perception’ toward peers with special needs. Second, the small group of cooperative activities using personality storybooks had a positive effect on ‘peer acceptance’ of the young regular children toward peers with disabilities in an inclusive kindergarten classroom. This study suggests the small group of cooperative activities using personality storybooks could be a positive effect on meaningful teaching methods regarding “Education for Disability Understanding” and its application in educational settings.

      • KCI등재

        문화체험 적용 동화 읽기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과 자아개념에 미치는 효과

        손미경,이경화 한국교육방법학회 2019 교육방법연구 Vol.31 No.4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at the story book reading is effective in improving creativity and self-concept of young children while having a cultural experience (i.e. having an indirect experience of the culture in Denmark where provides a background of story books). Therefore, subjects of the study were selected in order to find whether story book reading based on the cultural experience is effective in developing creativity and self-concept of young children, and verified through tests. 4-year old children of two classes from daycare centers in S city, Gyeonggi-do participated in the tests as study participants. The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wo different groups: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For those in the experimental group, 5 story books were first selected and participants were allowed to experience the culture in the stories as the preliminary activity and then to read story books as the secondary activity. Those in the control group had storytelling activity using the same story books. During 10 sessions for 5 weeks(Oct. 1, 2018 to Oct. 30, 2018), the experimentations were performed. After completion of tests, t-test score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SPSS 24.0 program. Pre and post test were conducted using K-ICT(Korean-Integrative Creativity Test) for young children(Lee Kyunghwa, 2014) and SCI-II(Self-Concept Inventory-II) for young children(Lee Kyunghwa, Koh Jinyoung, 2017).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story book reading based on the cultural experience was effective in developing creativity and self-concept of young children. It is inferred that an indirect experience on the culture relating to the subject before young children read a story book helped young children enhance their internal motive, interest, curiosity, obsession with tasks and more, and that they had positive interactions with the characters through situations they go through in the stories, thereby leading young children to improve their creativity (creative ability, creative personality) and bring positive changes to their self-concept. Likewise, if applying story book reading based on the cultural experience, it will be effective in improving creativity and self-concept of young children. 본 연구는 문화체험을 함께 적용한 동화읽기활동이 유아의 창의성과 자아개념 향상에 효과적인지를 확인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S시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만 4세 유아 39명인데, 두 학급을 무선 선정하여 각 학급을 실험집단, 통제집단으로 무선 배치하여 실험연구를 진행하였다. 실험실시 전에 사전검사로 유아통합창의성검사(K-ICT, 이경화, 2014)와 유아용 자아개념검사(SCI-II, 이경화, 고진영, 2017)를 적용하여 집단 간 동질성을 확인하였으며, 실험에 사용할 동화책 5권을 선정한 후, 실험집단에게는 1차시에 동화의 내용과 관련된 문화체험활동을 하고, 2차시에는 후속활동으로 동화읽기활동을 진행하였다. 같은 시간에 통제집단에는 동일한 동화책으로 누리과정에 따라 진행되는 동화 읽고 이야기 나누기 활동을 하였다. 실험은 5주에 걸쳐 총 10회기로 실시하였다. 실험 후에 사후검사를 실시하여 실험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실험집단 유아들의 창의성과 자아개념이 통제집단 유아들에 비하여 대부분의 요인에서 향상되었음이 확인되어서(p<.05), 동화읽기활동을 문화체험과 함께 하는 것이, 일반적인 동화읽기와 이야기 나누기활동을 하는 것에 비하여 유아의 창의성과 자아개념 향상에 더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유아들이 동화를 읽기 전에 주제와 관련된 다른 나라의 문화에 대해 간접적으로 체험하는 활동은 유아들의 창의성 중에서 창의적 능력과 호기심, 과제집착력 등의 창의적 성격을 증진시킬 수 있었으며, 등장인물들과 감정이입을 하며 긍정적 상호작용을 하게 되어, 이러한 것이 유아의 자아개념 향상에 영향을 준 것이라 추론된다. 따라서 유아들의 동화읽기활동에 문화체험을 함께 하도록 한다면 유아의 창의성과 자아개념 지도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인성동화를 활용한 활동이 유아의 리더십과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정은주(Jung, Eun Ju) 한국영유아교육지원학회 2018 영유아교육지원연구 Vol.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만5세 유아를 대상으로 인성동화를 활용한 활동이 유아의 리더십과 정서지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 만5세 유아 31명으로 실험연구를 진행하였다. 유아리더십과 정서지능은 담임교사가 사전과 사후에 평정하여 진행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통계프로그램 SPSS 22.0을 이용하여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실험 처치는 2016년 12월 5일부터 2017년 1월 27일까지 8주간 주 1회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첫째, 인성동화를 활용한 활동은 유아리더십의 하위요인 중, 타인 존중을 제외한 세 가지 요인인 도전과 자신감, 자기행동관리, 문제 해결력에서 효과를 미치는 것을 볼 수 있다. 둘째, 인성동화를 듣고 누리과정을 진행한 비교집단에 비해 인성동화를 듣고 다양한 활동을 진행한 실험집단의 유아 정서지능의 하위요인 중 타인정서인식, 타인정서조절을 제외하고 자기정서인식, 자기정서조절요인을 증진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was purposed to the effects of activities using personality storybooks on young children’s leadership and emotional intelligence. This study was conducted by an experimental study using 31 preschoolers.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on the experimental group conducting activities using personality storybooks, and on control group listening these books in daily lesson based on Nuri Curriculum. Literature review, selection of the personality storybooks, writing out the lesson plan, pilot test, pilot experiment, training experimenters, pretest, treatment, posttest, and data analysis were done in order. Independent samples t-test was utilized for analyzing group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activities using personality storybooks were an effective way to develop preschoolers’ leadership. Findings indicated that the activities using personality storybooks had positive effects on challenge and confidence, self-control, problem-solving ability among sub-factors of the leadership, except respectful attitudes to others. Second, the activities using personality storybooks had positive influences on the emotional intelligence. Doing various activities after listening personality storybooks had positive influences on self-awareness of emotion and self-control of emotion among sub-factors of the emotional intelligence, except recognition of others’ emotions and others’ emotion regulation, in comparison with preschoolers who were listening these book in daily lesson based on Nuri Curriculum.

      • KCI등재

        동화의 텍스트 유형에 따른 유아의 언어적 반응과 어머니의 언어적 조언의 비교

        윤진주(Youn Jinju),김미재(Kim Mijae),김영실(Kim Youngsil)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6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1 No.5

        본 연구에서는 동화의 텍스트 유형에 따라 유아의 언어적 반응 유형과 어머니의 언어적 조언 유형이 어떻게 다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만 3세 유아 19명과 그들의 어머니로, 동화의 텍스트 유형은 서술적 텍스트, 반복적 텍스트, 정보전달 텍스트로 구분하였다. 연구절차는 예비연구, 동화책 읽기 녹음 및 테이프 수집과 전사, 그리고 자료 분석의 순서로 진행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의 언어적 반응 내용은 정보전달 텍스트에서 등장인물과 어휘에 대한 언어적 반응 내용이 반복적 텍스트에서는 장면에 대한 언어적 반응 내용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언어적 반응 유형은 정보전달 텍스트에서 정보적 언어 반응 유형이 서술적 텍스트에서는 개인적, 평가적 상상적 언어적 반응 유형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언어적 조언 유형은 반복적 텍스트에서 내용에 대한 간접적 조언과 이야기 구조에 대한 조언이 정보전달 텍스트에서는 기술적인 면에 대한 언어적 조언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ether there were any differences in children's verbal response and mothers' linguistic advice by the storybooks' text type. The researchers of this study analyzed interactions between young children and their mothers by using taped reading sessions during which three kinds of storybooks were read to the childr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9 5-year-old children of a kindergarten in M-city, Jeollanam-do, and their mothers. The storybooks selected for this study were the narrative text (The rainbow fish), the predictable text (We're Going 011 a Bear Hunt), and the informational text (Rainy Day, See You Again). The analysis tools were the criteria developed by Kang Eun-jin(1996) for the analysis of contents and types of verbal responses, and the criteria developed by Kim Mi-jae (2006) for the analysis of the types of mothers' linguistic advice. The research was conducted in the order of a pilot study, the collection and transcription of recorded tapes, and data analysis.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storybook type-related differences in the children's verbal responses. In terms of content, the children responded most to characters and vocabularies in the case of the informational text. When the predictable text was read, the children showed the most response regarding scenes. As for the linguistic types, the children mostly showed informational responses in the case of the informational text, whereas they showed personal, evaluative and imaginative response in the case of the narrative text. Seco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storybook type-related differences in mother's linguistic advice. In the case of the predictable text, the mothers mostly gave advice regarding story structures, content and technical aspects. In the case of the informational text, the mothers gave advice mostly about technical aspects.

      • KCI등재

        영어 동화를 활용한 과업 기반 만들기 활동이 유아의 어휘학습, 어휘기억, 흥미도에 미치는 영향

        황선희(Hwang Sun Hee),김지영(Kim Jie Young) 한국영어어문교육학회 2017 영어어문교육 Vol.2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ask-based craft activities using English storybooks on six-year-old children’s English vocabulary learning, retention and interest. Seventeen children in group A performed craft activities, and 18 children in group B learned the target words using word cards as an after-reading activity. Twelve target words chosen from the three storybooks were tested as a pre-test, a post-test, and a delayed post-test. When the after-reading activities were performed in group A and B, the post-test was administrated and the delayed post-test was administrated two weeks later.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in the pre-test and the post-test. The craft activities and word card activities were equally effective on the vocabulary learning. The result of the delayed post-test, however,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The task-based craft activities had a positive effect on children’s vocabulary retention. The qualitative data analysis indicated that children performing craft activities used the target vocabulary in a natural conversation, actively participated in class more, and showed interest in the English craft activities.

      • KCI등재

        그림동화를 사용한 어린이 영어 학습 -실제 수업을 통한 방법 모색

        최재영 ( Jae Young Choi ) 21세기영어영문학회 2010 영어영문학21 Vol.23 No.2

        This study reports on learning behaviors of child learners of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in a picture-storybook-based English class. For this study an experimental English class was created and conducted for 11 months with 2 kindergarteners and 3 elementary 1st graders. Using a qualitative study method the classes were observed for the learner behaviors and recorded in fieldnotes. The fieldnote data were analyzed for behavioral patterns of the child learners. The result shows that the child learners seem to have much difficulty focusing on English input given as stories even with their understanding of the story content. For individual learners with specific learning styles and ability levels, the whole language approach seems to provoke negative reactions of avoiding the input. On the other hand, the child learners seem productive in meaning-centered processing of smaller chunks of input such as the dialogues in the stories. Also, the children show positive learning reactions to communication practice using patterns extended from the content and dialogue patterns of the stories. Based on the result, a suggestion is made for classroom activities. More classroom trials of picture-storybook-based child English classes are also suggested along with future research in the topic.

      • KCI등재

        해방기 출간 '아협 그림얘기책'에 관한 연구

        진나영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18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9 No.4

        This study examined system, form and contents of <Ahyeop Picture Storybook> including its publication in depth through the analysis on the publication of those days, present condition of extant edition, system and publication, illustrator etc., targeting <Ahyeop Picture Storybook> series which was published in the liberation period. As for <Ahyeop Picture Storybook> series which was published by Eulyoo Publishing and Joseon Children Culture Association(Ahyeop) for building children’s life liberation and children culture, 5 books still remain now. For the extinct edition, this study confirmed publication history of books based on the advertisement carried on the newspaper which was published of the time. As a result of analyzing extant edition, this study found that the book was composed equally as a system of cover, beginning, body and the end, and the body was characterized by the composition of 3-cut comic and story as a form of storybook. The size of the book is A5 book size with 32 pages of quantity and was published as a semi-hardcover bound book. As for illustrators, Kim brothers (Yong-hwan, Eui-hwan) who played an active part in the field of art of the time participated. 본 연구는 해방기에 출간되었던 <아협 그림얘기책> 시리즈를 대상으로 당시 출판, 현전본의 현황, 체제 및 발행 분석, 삽도화가 분석을 통해 <아협 그림얘기책>의 발행을 비롯하여 체제, 형태, 내용에 대해 심도 있게 살펴보았다. 을유문화사와 조선아동문화협회(아협)에서 어린이의 생활 해방과 아동문화 건설을 위해 출간한 <아협 그림얘기책> 시리즈는 현재 5책이 남아 있다. 미전본은 당시 발행되었던 신문에 실린 광고 기사를 토대로 책들의 출판 이력을 확인하였다. 현전본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표지·권수(卷首)·본문·권말(卷末)의 체제로 동일하게 구성되었으며, 본문에는 그림이야기 형식의 3컷 만화와 이야기로 이루어진 특징을 보였다. 책의 크기는 A5 판형, 분량은 대체로 32면이며 반양장의 장정 형태로 발행되었다. 삽화가로는 당대에 미술 분야에서 활약을 했던 김용환, 김의환 형제가 참여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