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4차산업혁명 시대의 기독교교육 방향성 제고

        임창호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18 기독교교육논총 Vol.56 No.-

        The term “4th industrial revolution” has become hugely popular in Korean society, so popular that it now turns up in all aspects of society, including politics, economy, society, religion, education, and culture. It is well known that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s principal impact on life is to make all things faster and more efficient. One might even say that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s the dawn of a new era of hyper-connectivity and hyper-intelligence. Biotechnology, cloud computing, the Internet of things, business platforms, artificial intelligence (AI), self-driving cars, 3D printing, big data, and robotics are among the leading concept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Korea has already experienced firsthand the shocking potential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when “AlphaGo,” an AI computer program developed by Google affiliate “Deepmind,” defeated Sedol Lee, the world's best Go player, in a 4 (wins) to 1 (loss) Go match in March 2016. Because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will radically alter life at all levels(from individuals and nations to societies and humanity), every field of study must pay close attention to the development of this phenomenon. This research paper attempts to study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from a comprehensive Christian educational perspective, including from the perspectives of churches and Christian schools. It maps various directions that Christian education may develop into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with commentary on how the form and substance of Christian education should be rethought and redesigned. The paper discusses, in order, the international reactions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content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its rippling effects,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s effects on education, domestic reactions from Secular and Christian Education circles in Korea, and additional considerations from a Christian Educational perspective. Finally, the paper explores, from a Christian educational perspective, the impact that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has on fundamental aspects of human education, including personality and character, creativity,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4차 산업혁명이라는 용어가 최근 들어 한국사회 전반에 걸쳐 폭넓게 통용되고 있다. 정치, 경제, 사회, 종교, 교육, 문화 할 것 없이 이 용어를 언급하지 않는 곳이 없다. 주지하는 바대로 4차 산업혁명의 특징은 삶의 대부분 영역을 빠른 속도로 바꾸어가고 있다는 데 있다. 이를 초연결, 초지능시대의 돌입이라고 칭하기도 한다. 바이오, 클라우드, 사물인터넷, 비즈니스플랫폼, 인공지능(AI), 자율주행자동차, 3D프린트, 빅데이터, 로봇 등이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이끄는 대표적인 개념들이다. 2016년 3월, 딥마인드의 인공지능 알파고가 세계 최고의 바둑기사 이세돌과 대국하여 4대1로 이겼을 때, 이미 4차 산업혁명의 충격은 한국 땅에서도 경험한 바 있다. 4차 산업혁명의 전개가 개인과 사회와 국가뿐 아니라 가히 세계와 인류의 삶을 통째로 바꾸어가고 있는 메가톤급 영향을 발휘하고 있다는 점에서 모든 영역이 긴장하며 주목하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 본 연구는, 이렇듯 요동치고 있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전 앞에서, 교회와 기독교학교들을 포함한 모든 기독교교육 현장에서, 기독교교육의 내용과 형식을 어떻게 리디자인해야 할 것인지 고민하면서 그 방향성 제고를 시도한 연구이다. 글의 내용은 4차 산업혁명의 현상(국제적 반응, 용과 파급효과, 과제와 대책), 교육에의 영향, 국내 일반교육학계와 기독교교육학계에서의 반응, 그리고 기독교교육적 관점에서의 고민과 방향성 제고 등을 차례로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4차 산업혁명 시대 인간교육의 핵심으로 주목되고 있는 인성, 창의성, 소통, 협력 개념을 기독교 육적 관점에서 재조명하였다. (한글초록) 4차산업혁명이라는 용어가 최근 들어 한국사회 전반에 걸쳐 폭넓게 통용되고 있다. 정치,경제,사회,종교,교육,문화 할 것 없이 이 용어를 언급하지 않는 곳이 없다. 주지하는 바대로 4차산업혁명의 특징은 삶의 대부분 영역을 빠른 속도로 바꾸어 가고 있다는 데 있다. 이를 초연결, 초지능시대의 돌입이라고 칭하기도 한다. 바이오, 클라우드, 사물인터넷, 비즈니스플랫폼, 인공지능(AI), 자율주행자동차, 3D프린트, 빅데이터, 로봇 등이 4차산업혁명 시대를 이끄는 대표적인 개념들이다. 2016년 3월, 딥마인드의 인공지능 알파고가 세계최고의 바둑기사 이세돌과 대국하여 4대1로 이겼을 때, 이미 4차산업혁명의 충격은 한국땅에서도 경험한 바 있다. 4차산업혁명의 전개가 개인과 사회와, 국가 뿐 아니라 가히 세계와 인류의 삶을 통째로 바꾸어가고 있는 메가톤급 영향을 발휘하고 있다는 점에서 모든 영역이 긴장하며 주목하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 본 연구는, 이렇듯 요동치고 있는 4차산업혁명 시대의 도전 앞에서, 교회와 기독교학교들을 포함한 모든 기독교교육 현장에서, 기독교교육의 내용과 형식을 어떻게 리디자인해야 할 것인지 고민하면서 그 방향성 제고를 시도한 연구이다. 글의 내용은 4차산업혁명의 현상(국제적 반응, 내용과 파급효과, 과제와 대책), 교육에의 영향, 국내 일반교육학계와 기독교교육학계에서의 반응, 그리고 기독교교육적 관점에서의 고민과 방향성 제고 등을 차례로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4차산업혁명시대 인간교육의 핵심으로 주목되고 있는 인성, 창의성, 소통, 협력 개념을 기독교교육적 관점에서 재조 ...

      • KCI등재

        4차 산업혁명이 문화산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변재웅(Byun, Jae-Woong) 한국문화산업학회 2017 문화산업연구 Vol.17 No.3

        4차 산업혁명은 정보통신기술(ICT)의 융합으로 이루어낸 혁명시대를 지칭하는데, 규칙, 경제와 산업계에 미치는 영향이 대단하다. 클라우드 슈밥 (2016)은 4차 산업혁명은 경제의 디지털화 AI의 영향이라는 관점에서 차세대 기계 세대라고 한다. 4차 산업혁명은 국가, 산업, 특히 문화산업에 미치는 영양이 크다. 소프트파워가 결국 문화파워이다. 소프트파워는 한 국가의 문화, 정치적 사상, 정책의 매력에서 생성된다고 Nye (2005)는 인식한다. 본 논문은 4차 산업혁명이 서비스산업인 문화산업과 제조업에 미치는 영향을 각각 분석한다. 먼저 2장에서 4차 산업혁명이 문화산업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제 3장에서 사례 중심으로 4차 산업혁명이 기업(제조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제 4장에서는 4차 산업혁명의 각국 사례 연구와 한국 4차 산업혁명의 문제점과 시사점을 분석한 후, 마지막 5장은 결론을 각각 도출한다. 연구결과 한국은 많은 분야에서 타국에 비해서 4차 산업혁명의 준비가 미흡하여 과감한 규제개혁이 필요하다.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described as a fus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lso known as ICT, and impacts all disciplines, economies, and industries. Klaus Schwab(2016) addressed it with the "second machine age" from the viewpoint of the effects of economic digitalization known as AI.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significantly affects a country, an industry, and particularly a cultural industry. Soft Power is Cultural Power. Nye(2005) understands that soft power is ability to get what you want through attraction rather than coercion and payments. It arise from the attractiveness of a country’s culture, political ideas and policies. Thus, this paper analyzes the impact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on the cultural industry, also known as a service industry, and on an manufacturing industry. Section II will examine the impact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on cultural industry. Section III analyzes the impact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on manufacturing industry based on the case study. Section IV analyzes on the case studies of the USA, Germany, Japan, and China that lead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xamines Korea’s problems of the preparation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provide implications. At last, section V concludes the analysis. This paper demonstrates that Korea is far behind the preparation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compared to USA, Germany, Japan and even China. Thus, it is necessary for Korea to deregulate many disciplines and regulations as soon as possible. 4차 산업혁명은 정보통신기술(ICT)의 융합으로 이루어낸 혁명시대를 지칭하는데, 규칙, 경제와 산업계에 미치는 영향이 대단하다. 클라우드 슈밥 (2016)은 4차 산업혁명은 경제의 디지털화 AI의 영향이라는 관점에서 차세대 기계 세대라고 한다. 4차 산업혁명은 국가, 산업, 특히 문화산업에 미치는 영양이 크다. 소프트파워가 결국 문화파워이다. 소프트파워는 한 국가의 문화, 정치적 사상, 정책의 매력에서 생성된다고 Nye (2005)는 인식한다. 본 논문은 4차 산업혁명이 서비스산업인 문화산업과 제조업에 미치는 영향을 각각 분석한다. 먼저 2장에서 4차 산업혁명이 문화산업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제 3장에서 사례 중심으로 4차 산업혁명이 기업(제조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제 4장에서는 4차 산업혁명의 각국 사례 연구와 한국 4차 산업혁명의 문제점과 시사점을 분석한 후, 마지막 5장은 결론을 각각 도출한다. 연구결과 한국은 많은 분야에서 타국에 비해서 4차 산업혁명의 준비가 미흡하여 과감한 규제개혁이 필요하다.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described as a fus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lso known as ICT, and impacts all disciplines, economies, and industries. Klaus Schwab(2016) addressed it with the "second machine age" from the viewpoint of the effects of economic digitalization known as AI.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significantly affects a country, an industry, and particularly a cultural industry. Soft Power is Cultural Power. Nye(2005) understands that soft power is ability to get what you want through attraction rather than coercion and payments. It arise from the attractiveness of a country’s culture, political ideas and policies. Thus, this paper analyzes the impact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on the cultural industry, also known as a service industry, and on an manufacturing industry. Section II will examine the impact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on cultural industry. Section III analyzes the impact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on manufacturing industry based on the case study. Section IV analyzes on the case studies of the USA, Germany, Japan, and China that lead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xamines Korea’s problems of the preparation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provide implications. At last, section V concludes the analysis. This paper demonstrates that Korea is far behind the preparation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compared to USA, Germany, Japan and even China. Thus, it is necessary for Korea to deregulate many disciplines and regulations as soon as possible.

      • KCI등재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기독교 상담

        여한구 한국실천신학회 2018 신학과 실천 Vol.0 No.61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기독교 상담과 심리치료에 대한 전망을 제시한다. 4차 산업혁명에 대한 기본이해와 가치 탐구를 통해 시대 변화에 따른 신학적 성찰과 사회환경적 요소를 분석하였다. 기독교 정체성과 상담, 그리고 환경변화가 조화를 이룰 때 기독교 상담의 미래를 이야기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기독교 상담은 인간이 4차 산업혁명 시대에서 현실과 사이버 공간 등의 융합으로 구축되는 세상에 구속되지 않고, 사회통합의 주관자로서 인간성을 지키며 안정적 세상을 이끌도록 할 것이다.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래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새로운 인간형에 대한 신학적 가치와 관계에 대한 탐구와 분석을 하였다.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기독교 상담이 시대적응을 돕기 위한 선행과제로 인간의 고유성과 정체성에 대한 논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기독교는 하나님과의 관계를 통해 시작하고, 상담은 인간관계를 대상으로 한다는 점에서 융합과제 해결의 기반이 된다. 4차 산업혁명으로 대변되는 환경의 변화와 불안의 혼란에서 기독교 상담 고유의 전문성을 토대로 인간과 하나님 사이의 가치를 다루는 본질적 주제가 있다. 4차 산업을 대표하는 빅 데이터나 가상현실 등을 중심으로 상담 적용 가능성을 살펴보고, 혼란 현상에 대한 경계와 융합을 중심으로 혼란을 정리하고 기독교 상담의 본질에 대한 논의를 할 수 있다. 기독교 상담은 새로운 가치실현의 균형자가 되기 위해 학문적 정체성과 당면 과제들에 대한 신학적, 상담적 가치를 제공해야 한다.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기독교 상담의 중요한 가치는 인간의 고유성과 정체성에 대한 고찰을 통해 드러날 수 있다. 4차 산업혁명은 하나님과의 관계재정립을 위한 성장의 새로운 시작점이 된다.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인간의 두려움은 오히려 하나님의 사랑을 확인하고 스스로 더 큰 잠재능력을 가진 존재로 인정하게 될 것이다. 본 연구는 상담이 융합의 과제를 해결할 가장 최적의 기반이 된다는 사실을 이해하고, 기독교 상담이 새로운 가치실현과 균형자가 되기 위한 과제 해결에 대한 논의는 인간과 하나님 사이의 관계에 대한 정립이 우선된다고 한다. 나아가 4차 산업혁명 시대에서 기독교 상담의 과제는 융합적 가치를 추구하는 여러 영역에서의 갈등을 중재하고, 상담 철학과 접근을 통해 창조적 삶을 이끌어야 한다는 결론을 제시한다. This study proposes the prospect of Christian counseling in the ag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rough a basic understanding and investigation of the value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is study examined the theological reflection and socio-environmental factors following the transition of times, because the future of Christian counseling can be discussed when Christian identity, counseling, and socio-environmental changes are in harmony. Christian counseling will allow humans to maintain their humanity as main agents of social integration and promote stability of the world, without being bound by the world built on the fusion of real and cyber spaces in the ag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 this regard, this study explores and analyzes the theological values and relation of the new human form in the ag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s a prerequisite to assist people to adapt to the new era, Christian counseling in this age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discussion of the uniqueness and identity of humans. The fact that Christianity arose from the relationship with God and counseling from human relationships is the foundation for solving convergence tasks. Against the backdrop of the chaos arising from the uncertainty and environmental changes associated with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re arises a fundamental calling to deal with the valu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God based on the particular expertise of Christian counseling. Christian counseling needs to demonstrate its academic identity and values in theology and current issues in order to bring the balance in the realization of new values. This study proposes a conclusion that the task of Christian counseling in the ag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to resolve the conflicts from many fields that seek an integrative value and promote creativity in life through a variety of philosophy and counseling approaches.

      • KCI등재

        4차산업혁명 신제품 소비자 수용에 대한 연구

        김문태 대한경영정보학회 2019 경영과 정보연구 Vol.38 No.2

        이 연구는 미래에 시장에 도입될 4차산업혁명 신제품의 소비자 수용 과정을 조사하였다. 4차산업혁명 신제품들은 기존 신제품에 비해 기술적으로 많은 진보를 보이는 신제품으로 본 연구에서는 과거에 활용되 었던 기술수용모델을 수정하여 4차산업혁명 신제품의 사회적 영향, 기대되는 체험, 지각된 위험 등과 같은 변수들이 반영되여 수정한 모델이 제안되고 검증되었다. 4차산업혁명의 대표적인 6가지 신제품을 선정하여 각 40여명의 응답자들에게 조사하였고 SPSS 및 AMOS 등의 프로그램을 이용해 가설을 검증하였다. 그리 고 결과 및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4차산업혁명 신제품의 혁신성은 기대된 체험 및 지각된 유용성과 같은 긍정적인 평가 요소에 영향을 미쳤으며 지각된 위험과 같은 부정적인 요소에도 정의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4차 산업혁명 신제품의 기대된 체험은 지각된 유용성 및 사회적 영향에 큰 영향 을 미쳤지만 지각된 위험을 낮추는 데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TAM 모델의 결과와 마찬가지로, 4차산업 혁명 신제품의 지각된 유용성은 구매의도에 강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 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4차산업혁명의 신제품의 대한 지각된 위험은 구매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 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4차산업혁명의 사회적 영향은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일반적으로 응답 자들은 4차산업혁명의 사회적 영향을 잘 알고 있으며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본 연구 는 컨버전스 제품의 대표격인 스마트폰을 대상으로 해당 스마트폰에서 광고의 양, 하드웨어 다양성, 소프 트웨어의 다양성 등이 스마트폰에 대한 유용성 지각과 복잡성 지각에 동시에 영향을 줄 수 있고 복잡성은 기능적 피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검증하려고 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onsumer acceptance proces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new product to be introduced into the market in the future.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new products are technological advances compared to the existing ones.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hat was used in the past has been modified to reflect variables like the social effect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xpected experience, and perceived risk. Modified models were proposed and verified. Six representative new product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were selected and examined by 40 respondents, and the hypotheses were verified using programs such as SPSS and AMOS. And conclusions and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innovativenes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new products influences positive evaluation factors such as expected experience and perceived usefulness and it also affect positively to the perceived risk. In addition, the expected experienc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new products has a great effect on the perceived usefulness and social influence, but it didn't affect to the perceived risk. Like the results of the TAM model, purchase intention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new products are strongly influenced by perceived usefulness. Finally, the perceived risk of the new product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ha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purchase intention, and the social influence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purchase intention. In general, respondents are highly aware of the social impact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seem to be very positive in this respect.

      • KCI등재후보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일자리 창출의 정책 방향

        임형백 충북연구원 2018 지역정책연구 Vol.29 No.2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role of government and a policy direction for ‘job creation’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has become a social issue since the last presidential election. Without a specific policy orientatio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began in Germany and it spread to around the world. Without policy orientation, policy means, road map, measurement of performance, the rosy blueprint of the government on employment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ould not be successful. Since it is expected that the revolution would bring disruptive technological change, thereby changing the current structure of jobs, proper strategies and policies are needed to alleviate its negative impacts on labor markets. At this rate, AI may replace most of human labor someday. When that spills over int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job creation short termism can be very harmful. Job creation requires a vision of how the economy is likely to evolve and what the government’s long term role will be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e need to abandon our propensity for short termism. This study suggest several salient points for making policy direction for employment in the new era as follows; ①identifying key drivers of changes in the revolution, ②setting specific policy direction, ③preemptive action, ④job creation in private sector, ⑤tailored policies considering differences in employment condition, ⑥efficient job matching, ⑦consideration of time lag between policy interventions and market response, ⑧promoting knowledge economy.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available to apply at smart city, smart farm and vertical farming.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Applicable across all areas, but smart farm and vertical farming may offer particularly strong opportunities in rural areas. 물론 4차 산업혁명도 아직 학술적 용어로 정착된 것도 아니고, 한국이 언제 도달할지도 확실하지 않다. 4차 산업혁명은 아직까지는 미지의 영역이다. 하지만 우리가 한 번도 경험하지 못한 사회전체에 걸친 대변혁이다. 이 논문은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일자리 창출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우선 4차 산업혁명이 선행정책인 지역혁신체제, 녹색성장, 창조경제의 연장선상에 있음을 명확히 하고 있다. 이는 선행정책의 토대를 기반으로 할 수 밖에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선행정책의 문제점을 해결하지 않고서는 4차 산업혁명도 성공하기 어렵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제로 4차 산업혁명의 선진국을 보면, 정해진 정책 방향과 사회적‧경제적 현상이 나타나는 반면, 오히려 4차 산업혁명이라는 용어를 많이 사용하지는 않는다. 즉 한국은 4차 산업혁명이라는 용어를 통하여, 선행정책과 차별화하는 반면, 4차 산업혁명이 선행정책의 문제점 내지는 실패를 해결하지 않고도 성공이 가능한 마치 새로운 신약(新藥)처럼 과대포장하는 경향이 있다. 지금은 소득주도성장이라는 명분에 집착하지 말고, 실효성 있는 정책방향을 잡아야 할 때이다. 이 논문은 4차 산업혁명의 개괄을 고찰하고, 4차 산업혁명시대에 일자리 정책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4차 산업혁명과 기술적 주요 변화 동인(drivers of change)은 도시 뿐만 아니라 농촌에도 적용되어야 한다. 오히려 인구감소, 노령화, 농업의 경쟁력 약화 등의 현안 문제가 있는 농촌에 더 필요할지도 모른다. 현재 농촌에 대하여는 주로 ICT 기술을 적용한 스마트 팜의 형태의 접근이 주를 이룬다. 그러나 이러한 접근은 주로 시설원예를 중심으로 한 과학적 관리와 생산성 증가에 초점이 맞추어지는 기술중심의 협소한 접근이라는 한계가 있다. 특히 4차 산업혁명의 기술을 도시에 적용하는 스마트 시티에 대한 연구는 많이 진행되고 있지만, 농촌에 적용하는 연구는 부족한 상황에서 농촌에 대한 적용으로 스파트 팜과 수직 농장을 예로 들었다. 특히 상당한 시간이 걸리겠지만 수직 농장은 농업 분야에 고용효과가 가장 큰 제조업이 결합된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이 논문은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일자리 정책의 방향으로, ①4차 산업혁명의 주요 변화 동인의 고려, ②정책 방향의 설정, ③선제적 대응, ④민간부문의 일자리 창출, ⑤노동시장 차별화, ⑥일자리 매칭, ⑦정책 시차 고려, ⑧지식 경제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4차 산업혁명의 공간적 적용 도시와 농촌으로 구분하여, 도시에 대하여는 스마트 시티, 농촌에 대하여는 스마트 팜과 수직 농장을 예로 들었다.

      • KCI등재

        제4차 산업혁명과 교육목회의 새 전망: 인공지능을 중심으로

        김정준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18 기독교교육논총 Vol.55 N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one of the hot topics currently drawing worldwide attention. In all disciplines of the world, including Korea, research and discussions are underway on what to prepare and how to respond to the great changes in the world brought on by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 this context, the researcher first looked at the concept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cluding an analysis of leading technologies, and major issues that developed during this period. In these situations, I examined areas, tasks and directions of the educational ministry as practical theology. This paper has been divided into five parts: I. Introduction: I raised research motivations and problems involved in the creation of this paper. II. The Main Issue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most prominent concern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re covered across three themes. 1. The Meaning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 discuss the views of three scholars regarding the implication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Here I introduce and analyze concepts of three dominant scholars, including Alvin Toffler's "The Third Wave"(1980), Jeremy Rifkin's "The Third Industrial Revolution"(2011), and Klaus Schwab's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2016). 2. The Main Technologie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Here I present three domains of technology, including the physical sphere, digital sphere, and biological sphere. 3.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Artificial Intelligence: The three concepts of Artificial Intelligence, Strong Artificial Intelligence(SAI) vs. Weak Artificial Intelligence(WAI), and Issues in Education are examined. III.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its concerns in Education: Three Educational concerns are presented as follows. 1. Educational concerns of Jeremy Rifkin’s the Third Industrial Revolution, 2. Educational concerns of Klaus Schwab’s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3. Educational concerns of Korea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ge. IV. Educational Ministry Tasks of the Korean Church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ge: Here I discuss three themes pertaining to new situations of Educational Ministry as follows. 1. Historical awareness and self-consciousness of Christian Church. 2. Educational ministry in new situations, caring and nurturing. V. Conclusion: Finally I insist that despite the benefits and convenience of innovative technologies offered to us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of the twenty-first century, we must once again reflect on the meaning and direction of education ministry as a source of caring for excluded and alienated human beings. 오늘날 제4차 산업혁명’은 전 지구적으로 주목을 받고 있는 뜨거운 관심사들 가운데 하나이다. 한국을 포함하여 세계의 모든 학문 분야에서는 제4차 산업혁명이 가져올 세상의 큰 변화에 대하여 무엇을 준비하고, 어떻게 대응해야 할 것인지에 대한 연구와 토론이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연구자는 먼저, 제4차 산업혁명의 개념과 그 주요 기술들의 내용, 주요 이슈들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러한 시대적 상황에서 실천신학으로서 교육목회가 관심을 가져야 할 영역과 교육목회의 과제와 방향은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은 다섯 부분으로 전개되었다. I. 들어가는 말에서는 연구 동기와 문제를 제기하였다. II. 제4차 산업혁명의 주요 이슈들에서는 세 가지 주제를 다루었다. 1. 제4차 산업혁명의 의미에 대한 세 학자들의 견해를 논의하였다. 1980년 앨빈 토플러의 ‘제3물결’, 2011년 제러미 리프킨의 ‘3차 산업혁명’, 2016년 클라우 슈밥의 제4차 산업혁명의 개념을 소개하였다. 2. 제4차 산업혁명의 주요 테크놀로지들에서는 물리학 기술, 디지털 기술, 생물학 기술 등을 소개하였다. 3. 제4차 산업혁명과 인공지능에서는 인공지능의 개념, 강한 인공지능 vs. 약한 인공지능, 인공지능과 교육에서의 이슈 등을 다루었다. III. 제4차 산업혁명과 교육 분야의 관심에서는 1. 리프킨의 3차 산업혁명과 교육의 관심, 2. 슈밥의 제4차 산업혁명과 교육, 3. 제4차 산업혁명시대 한국사회에서의 교육적 관심 등을 소개하였다. IV. 제4차 산업혁명시대 한국교회 교육목회의 과제에서는 1. 기독교회의 역사의식과 자의식, 2. 새로운 상황과 교육목회: 돌봄과 양육 등을 논의하였다. V. 나가는 말에서는 21세기 제4차 산업혁명의 우리에게 선사한 혁신적 기술들의 혜택과 편리함에도 불구하고 여기서 배제되고 소외된 인간에 대한 관심과 돌봄으로서 교육목회의 과제와 방향의 의미를 다시 한 번 성찰함으로 글을 마쳤다.

      • KCI등재

        4차산업혁명에 대한 인식과 소비자교육 책임 기대

        김시월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21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17 No.4

        본 연구는 대학생 소비자를 대상으로 4차산업혁명에 대한 인식, 관심 및 추천의도를 알아보고, 소비자교육에 대한 책임의 기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4차산업혁명에 대한 긍정적 인식 요인은 경제적 이익창출, 신뢰성과 안전성, 효율성과 편이성으로 명명하였고, 경제적 이익창출, 효율성과 편이성, 신뢰성과 안전성 등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4차산업혁명에 대한 부정적 인식 요인은 일자리 감소 및 양극화, 소비자의 소외, 시스템 불안정 및 사 생활 침해 등으로 나타났으며, 4차산업혁명에 대한 관심과 추천의도는 긍정적이었다. 4차산업혁명 관련 소비자교 육에 대한 책임 기대 요인은 정부 책임 교육 기대, 기업 책임 교육 기대로 나타났고, 4차산업혁명 관련 소비자교 육 책임 기대의 차이는 주관적 견해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4차산업혁명에 대한 인식 요인별 4차산업혁명에 대 한 관심 및 추천의도, 소비자교육 책임 기대의 인과관계를 살펴본 결과, 일자리 감소 및 양극화와 시스템 불안정 및 사생활 침해를 제외한 모든 요인이 관심 및 추천의도에 영향을 미쳤고, 이것이 소비자교육에 대한 책임 기대 를 더 높였다. 주목할 것은 4차산업혁명 관련 인식 요인 중에서 소비자 소외는 관심 및 추천의도에 부적인 영향 을 주어, 젊은 소비자의 소외 측면에서 관심 및 추천의도에 부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은 노인 등 취약계층에 대한 교육의 당위성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를 중심으로 젊은 세대도 4차산업혁명 관련 소비자교육 책임 기대를 인 지하고 요구한 점, 4차산업혁명 관련 인식 요인 중에서 소비자 소외는 4차산업혁명 관심 및 추천의도에 부적인 영향을 준다는 면에서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4차산업혁명 관심 및 추천의도는 4차산업혁명 관련 소비자교육 책 임 기대와 밀접한 관계가 있으므로, 소비자별 4차산업혁명 관심 및 추천의도를 객관적으로 잘 인식하게 하고, 명 확한 정보 및 지식 전달이 중요하다. 4차산업혁명의 기술적 변화를 고려하였을 때 취약계층 소비자들에 대한 소 비자교육이 필수적이며, 사회교육으로서 소비자교육의 중요하다. 이러한 면을 고려한 위드 코로나 시대에 4차산 업 혁명 관련 소비자교육의 지향점에 대한 재인식을 기대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erception, interest,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for college student consumers, and examined the expectations of responsibility for consumer education. As a result, positive factors fo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were named economic profit creation, reliability and safety, efficiency and convenience, and were found to be high in the order of economic profit creation, efficiency and convenience, reliability and safety. Negative factors of perception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were job loss and polarization, alienation of consumers, system instability, and privacy infringement, and interest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fo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were positive. Responsibility expectations for consumer education related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ppeared as government responsible education expectations and corporate responsible education expectations, and differences in consumer education expectations related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differed according to subjective view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interest and recommendation intentions fo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consumer education responsibility expectations, all factors except job loss, polarization, system instability, and privacy infringement affected consumer education. It should be noted that among the recognition factors related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consumer alienation negatively influenced interest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showing the justification of education for vulnerable groups such as the elderly. Focusing on these results, the younger generation should also pay attention to the expectations and demands for consumer education responsibility related t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among the factors related t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consumer alienation negatively affects the interest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Since the interest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re closely related to the expectation of consumer education responsibility related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t is important to objectively recognize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nterest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Considering the technical change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consumer education for vulnerable consumers is essential, and consumer education is important as social education. Considering this aspect, we look forward to rerecognition of the direction of consumer education related t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 the With Corona era.

      • KCI등재

        4차 산업혁명 시대 초등교육의 정체성과 역할

        김대식(Kim, Dae-Sik)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17 敎育思想硏究 Vol.31 No.4

        최근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래를 예측하고, 여기에 대비한 교육개혁이 필요하다는 선언과 지적이 무성하다. 이 주장들은 4차 산업혁명이라는 교육 외적 환경을 교육개혁의 주요 요인으로 가정한다. 연구자는 4차 산업혁명을 교육이 바뀌어야 하는 요인이 아니라, 교육이 직면한 과제나 환경으로 이해해보고자 하였다. 이에 4차 산업혁명을 위해 교육을 개혁하자는 논의 대 신에,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교육이 여전히 지켜야할 정체성과 역할들을 검토하였다. 이런 작업은 4차 산업혁명과 관련된 교육개혁 논리가 가지고 있는 도구주의적 한계를 극복하는 일환이다. 주지하듯이 한국의 초등교육은 19세기말 이래 보통교육과 무상의무교육이라는 정체성을 확립하였다. 그리고 이런 정체성에 입각하여, 초등교육은 기초교과교육, 진로탐색, 시민성의 교 육, 생활교육의 역할을 수행하였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도 이런 초등교육 정체성과 역할을 유지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4차 산업혁명 시대는 현재보다도 계층불평등이 심화되는 등, 인간다운 삶을 위한 최소한의 복지가 위협받을 가능성이 큰 시대이기 때문이다. 또한 위의 네 가지 초등교육의 역할들이 4차 산업혁명 시대에도 유효할 것으로 이해하였다. 왜냐하면, 4차 산업혁명 시대에도 인류가 다른 사람과 교류하며, 사회적 정치적 삶을 살아가는 것은 바뀌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초등교육에서 강화되어야 할 역할도 물론 있다. 그것은 학생들이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구체적 삶의 모습과 사회 환경을 선택하고 결정하게 하는 시민성 교육이다. Recently, Many Researchers predict the coming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and emphasize the education reform that is prepared for this. These claims take the external environment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s a major factor in educational reform, not as a task or environment faced by education. Instead of discussing the reform of education fo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 examined the identities and roles that education should still observe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is work is part of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the instrumental educational reforms related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s we all know, since the end of the 19th century, elementary education in Korea has established the identity of ordinary education and free compulsory education. Based on this identity, elementary education played a role of basic curriculum, career search, civic education, and life education. The researchers felt that this identity of elementary education and its role should be maintained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re is a greater possibility that the minimum welfare for the human life is threatened, such as the stratified inequality is worsened. I also understood that the above four roles will be valid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Because,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human will interact with other people and live a social and political life. There is, of course, an additional role that elementary education has to play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at is the strengthening of civic education that allows students to choose and decide the concrete life form and social environment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they should live.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경기도 규제개혁 방향

        김은경,문미성,김지혜,박소영 경기연구원 2017 정책연구 Vol.- No.-

        제4차 산업혁명을 위한 기술혁신이 제조업 시대의 규제패러다임으로 인해 발전되지 못하고 있다. 수도권규제는 한국 ICT 관련 제조업과 혁신의 핵심지역인 경기도가 제4차 산업혁명의 선봉대가 되는 것을 저해하고 있다. 혁신의 중심이자 한국의 제조업 메카인 경기도의 기술혁신 거점이 없이는 한국의 제4차 산업혁명은 요원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경기도가 한국의 제4차 산업혁명을 이끌고 갈 수 있는 대표적인 제도적 인프라인 규제개혁의 방향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경기도에서 제4차 산업혁명이 시작되지 못하면 한국의 제4차 산업혁명은 불가능하다. 규제개혁은 가장 빠른 방법으로 큰 비용 없이 혁신역량을 제고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 줄 것이다. 문제는 한국의 핵심적인 규제에 대한 권한이 모두 중앙정부에 집중되어 있어 경기도가 현행 규제패러다임을 개혁하는 것은 쉽지 않다는 점이다. 따라서 중앙정부의 규제개혁과 함께 규제권한의 분권화도 필요하다. 본 연구가 모색하는 제4차 산업혁명을 촉진시키기 위한 주요 부문의 규제개혁은 현재 중앙정부의 당면과제이자 경기도가 직면한 과제이기도 하다. 특히 본 연구는 제4차 산업혁명의 발전을 가로막는 제조업시대 규제 가운데 가장 대표적인 수도권규제의 개혁방향도 모색한다. Manufacturing-based regulatory paradigm in Korea is hampering technological innovation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 particular, the Capital region regulation is inhibiting the growth of Gyeonggi-Do, which represents the Korean ICT industry and the innovation capacity in the Korean economy. It is not easy to develop Korea’s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ithout Gyeonggi-Do’s technological innovation.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ropose Gyeonggi- Do’s regulatory reform direction to lead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of Korea. I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does not start in Gyeonggi-Do, Korea’s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impossible. Regulatory reform will provide the basis for raising innovation capabilities in the fastest way at no cost. The problem is that it is not easy for Gyeonggi-Do to reform the current regulatory paradigm because all of Korea’s regulatory powers are concentrated in the central government. Thus, it is necessary to decentralize the regulatory powers along with the reform of the central government. Regulatory reform in major sectors to promote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hich is sought in this study, depends in fact on the central government. This study suggests policy directions for the development of data industry regulation, reform of industrial location regulation, expansion of sharing economy, development of financial industry, and labor regulation reform.

      • KCI등재

        4차 산업혁명과 부패방지에 관한 소고: 펜데믹 이후 공공관리의 방향에 대한 논의

        김경동 한국부패학회 2022 한국부패학회보 Vol.27 No.1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과 부패방지를 고찰하고, 팬데믹 이후의 4차 산업혁명과 공공관리의 방향에 대하여 논의와 모색을 시도하였다. 4차 산업혁명과 코로나19 팬데믹은 개인의 생활양식에서 경제사회에 이르기까지 변화를 발생시키는 변혁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 코로나19 팬데믹, 부패와 부패현상을 성찰하고, 팬데믹 이후의 4차 산업혁명과 공공관리의 방향성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4차 산업혁명과 공공관리의 방향으로 크게 1) 부패방지를 위한 논의와 방향성 설정, 2) 시대변혁에 따른 의식의 전환과 수용성 확보, 3)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부패방지와 공공관리의 방향 등으로 제시된다. 세부적으로, 본 연구는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4차 산업혁명과 부패방지를 위하여 부패방지를 위한 논의와 방향성 설정의 필요성을 제안한다. 이를 위하여 (1) 부패방지의 방향성과 체계에 대한 논의, (2) 4차 산업혁명의 이슈와 부패방지체계의 연동, (3) 부패방지의 참여와 거버넌스의 구성, (4) 부패방지를 위한 윤리규범에 대한 논의와 재설정, (5) 의사결정왜곡에 대한 논의와 대응 등을 통한 제도적 장치의 설정과 제도화 등을 제시하였다. 이와 더불어, 이 연구는 4차 산업혁명에 기인한 시대변혁에 대응하는 의식의 전환과 수용성 확보를 강조한다. 이를 위한 노력으로 (1) 의식전환과 사회적 수용성 확보를 위한 논의 및 방향성 설정, (2) 조직체계와 참여구조의 구체화, (3) 일련의 프로그램과 정책에 대한 논의와 모색, (4) 집행체계와 구조의 구체화, (5) 제도화와 제도적 장치의 필요성, (6) 부패방지와 인권의 연동 등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부패방지와 공공관리에 대하여 논의의 필요성과 방향성 설정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그 내용은 (1) 4차 산업혁명에서 정부조직과 관료제의 도덕적 해이와 부패방지에 대한 논의와 방향성 설정, (2) 적정수준의 정부규모와 정부관료의 권한에 대한 논의 및 설정, (3) 정부-기업-전문가집단-제3섹터-시민 등 거버넌스 체계 구성, (4) 제3섹터와 시민 등에 대한 일련의 교육프로그램 설계 및 제공, (5) 시민들의 직ㆍ간접적인 감시체계에 대한 논의와 설계 등이다. 본 연구는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4차 산업혁명과 부패방지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논지를 전개하였다. 궁극적으로, 이 연구는 4차 산업혁명과 부패방지를 통한 인간의 존엄성 확보와 인권존중을 바탕으로 한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4차 산업혁명에서 부패방지를 위한 공공관리의 방향성을 모색하고, 타진하고자 시도하였다. 이 연구가 후속연구에 시사점을 제공하길 바라며, 연구를 종결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