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부모 자녀 간 의사소통 유형과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수치심과 사회불안의 매개효과: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이순희,허만세,이창미 한국아동복지학회 2018 한국아동복지학 Vol.- No.6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shame and social anxiety varies according to the parent-child communication type and gender child’s in the effect of parent-child communication on school adaptation through multi-group analysi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For this purpose, middle school students in Daegu area were surveyed, and 502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s analyzed using SPSS 21.0 and AMOS 21.0. The results were as follow. First, when the communication type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was “open type”, for boys, the communication had a direct effect on shame and school adaptation, but did not have an effect on school adaptation by way of shame and social anxiety. On the other hand, for girls, the open-type communication had a direct effect not only on shame, social anxiety, and school adaptation, but also on school adaptation by way of shame and social anxiety. Second, when communication type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was “problem type”, for boys, the communication had a direct effect on shame, social anxiety, and school adaptation, but the effect on school adaptation by way of shame and social anxiety were not significant. On the other hand, for girls, the problem-type communication had a direct effect on shame, social anxiety, and school adaptation, and the effect on school adaptation by way of shame and social anxiety were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To summarize, for boys, communication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had a direct effect on school adaptation regardless of its type, and the mediating effect of shame and social anxiety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only when the communication was open-type. On the other hand, for girls, both open-type and problem-type communication had a direct effect on school adaptation, and the shame and social anxiety were found out to have a mediating eff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when developing an intervention program to promote adolescents school adaptation. For boys, an intervention is needed to educate parents to have open-type communication with their children in order to promote positive school adaptation. For girls, intervention should focus not only on improving parent-child communication but also on reducing shame and social anxiety. 본 연구는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한 다중집단 분석을 통하여 부모 자녀간의 의사소통 유형에 따른 학교적응과 수치심 및 사회불안의 구조적 관계가 성별에 따라 어떻게 다른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구 지역의 중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502개의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1.0과 AMOS 21.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부모 자녀간의 의사소통 유형이 개방형일 경우 남학생은 부모 자녀간의 의사소통이 수치심과 학교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수치심과 사회불안을 경로하여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쳤다. 여학생은 부모 자녀간의 개방형 의사소통이 수치심, 사회불안 및 학교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을 뿐만 아니라 수치심과 사회불안을 매개로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쳤다. 둘째, 부모 자녀간의 의사소통 유형이 문제형일 경우 남학생은 부모 자녀간의 의사소통이 수치심, 사회불안 및 학교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수치심과 사회불안을 경로하여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지 않았다. 한편, 여학생은 부모 자녀간의 문제형 의사소통이 수치심, 사회불안 및 학교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수치심과 사회불안을 경로하여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정리하면, 남학생은 유형과 관계없이 부모 자녀간의 의사소통이 학교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수치심과 사회불안의 매개효과는 부모 자녀간의 의사소통이 개방형인 경우에만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여학생은 개방형과 문제형의 부모 자녀간의 의사소통 모두 학교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수치심과 사회불안이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부모 자녀간의 개방형 의사소통이 학교적응을 향상시키더라도 수치심과 사회불안이 그 강도를 감소시킨다는 것을 의미하며, 부모 자녀간의 문제형 의사소통이 여학생의 학교적응을 감소시키는 영향을 미칠 때 수치심과 사회불안이 그 강도를 더 증가시킨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청소년의 학교적응 향상을 위한 개입에서는 가족요인과 개인내적 요인을 동시에 고려한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아동의 성별에 따른 난점·강점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김태숙(Kim Tae Soo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3

        목적 이 연구는 아동의 성별에 따른 외현화 난점, 내재화 난점, 친사회적 행동 강점이 학교생활적응(학교생활적응, 학업수행적응, 또래적응, 교사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방법 이 연구의 분석을 위해서 한국아동패널조사 2018년 11차 자료(육아정책연구소)의 초등학교 4학년 1,431명(남 728명, 여 703명)의 담임교사 706명의 응답을 기준으로 실행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 25.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남자 아동의 외현화 난점은 학교생활적응, 학업수행적응, 또래적응에 부적(-)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내재화 난점은 학업수행적응, 또래적응, 교사적응에 부적(-)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친사회적 행동 강점은 모든 변수에 정적(+)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둘째, 여자 아동의 외현화 난점은 학교생활적응, 학업수행적응, 또래적응에 부적(-)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내재화 난점은 학업수행적응, 또래적응, 교사적응에 부적(-)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친사회적 행동 강점은 모든 변수에 정적(+)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셋째, 외현화 난점은 학교생활적응, 학교수업적응, 또래적응에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재화 난점은 학교수업적응, 또래적응에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친사회적 행동 강점은 학교생활적응, 학업수행적응, 또래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남학생이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학생은 교사적응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러한 결과를 통해 남녀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을 향상시킬 수 있는 논의 제공과 학교사회복지 정책에 적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Objectives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externalization difficulties, internalization difficulties, and pro-social behavioral strengths according to gender of children on school life adaptation. analyzed the effects of middle school students environmental factors on Grit and the influence of male and female gender in these influence relations. Methods For the analysis of this study, the responses of 706 homeroom teachers of 1,431 elementary school 4th graders (728 males and 703 females) from the 11th data of the 2018 Korean Children s Panel Survey were used as the basis. As for the analysis method,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 25.0 statistical program. Results First, the difficulty of externalization of male children negatively significantly affects school life adaptation, academic performance adaptation, and peer adaptation, while internalization difficulties negatively significant effect on academic performance adaptation, peer adaptation, and teacher adaptation. And the pro-social behavioral strength had a positive significant effect on all variables. Second, the difficulty of externalization of female children has a negative significant effect on school life adaptation, academic performance adaptation, and peer adaptation, while the internalization difficulty has a negative significant effect on academic performance adaptation, peer adaptation, and teacher adaptation. And the pro-social behavioral strength had a positive significant effect on all variables. Third, the difficulty of externalization was found that male students had a greater influence on school life adaptation, school class adaptation, and peer adaptation than female students. The difficulty of internalization was found that male students had a greater influence on school adaptation and peer adaptation than female students. The strength of pro-social behavior was found to have a great influence on school life adaptation, academic performance adaptation, and peer adaptation, while male students had a great influence on teacher adaptation. Conclusions Through these results, it is intended to provide discussions that can improve the adaptation of male and female children to school life and to present basic data that can be applied to school social welfare policies.

      • KCI등재후보

        아동의 자아존중감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또래애착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박윤조,김영미,송하나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2019 복지상담교육연구 Vol.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ways to improve school adaptation, which is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for the quality of life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sdlf-esteem, peer attachment, and school adaptation and the mediating role of peer attachment in the effects of children’s self-esteem on school adaptation. The 633 children of elementary school in the 10th year (2017) of the Children’s Panel were selected. The results showed that children’s self-esteem, peer attachment, and school adaptation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Children’s self-esteem was found to affect both peer attachment and subadaptation of school adaptation. Peer attachment affects peer adaptation and teacher adaptation, and trust in peer attachment affects school life adaptation, academic performance adaptation, and peer alienation affects academic adaptation, peer adaptation, and teacher adaptation. Appeared to affec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mediating role of peer attachment in the influence of children’s self-esteem on school adaptation, it was found that communication and trust played a full or partial role in school life adaptation, academic performance adaptation, and peer adaptation during peer attachment. Alienation was found to play a full or partial role in school adaptation, peer adaptation, and teacher adaptation. These findings help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peer attachment in children’s self-esteem. 본 연구는 초등학교 시기 아동의 삶의 질에 중요한 요인 중 하나인 학교적응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자 아동의 개인요인인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또래와의 상호작용에서 발생하는 또래애착, 그리고 학교적응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아동의 자아존중감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또래애착의 매개역할을 살펴보았다. 아동패널 10차년도(2017년) 자료에서 초등학교 3학년 63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 아동의 자아존중감, 또래애착 및 학교적응은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의 자아존중감은 또래애착 및 학교적응의 하위변인 모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또래애착의 의사소통은 또래적응, 교사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또래애착의 신뢰는 학교생활적응, 학업수행적응에, 또래애착의 소외는 학업수행적응, 또래적응, 교사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의 자아존중감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의 또래애착의 매개역할을 살펴본 결과, 또래애착 중 의사소통과 신뢰는 학교생활적응, 학업수행적응, 또래적응에 완전 혹은 부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소외는 학교생활적응, 또래적응, 교사적응에 완전 혹은 부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아동의 자아존중감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아동의 또래애착의 중요함을 인식하게 한다.

      • 청소년이 지각한 자아탄력성 및 사회적 지지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곽민경(Kwak, Min-Kyung),서보준(Seo, Bo-Jun) 한국복지행정학회 2011 복지행정논총 Vol.21 No.1

        본 연구는 조손가정 청소년이 지각한 자아탄력성 및 사회적 지지가 학교생활 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탐색하고자 하였고, 이를 위해 대구지역 학교의 조손가정 청소년을 중심으로 중학생과 고등학생 13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 중 불충분한 응답 등 기타 부적합한 2명의 자료를 제외한 최종 135명의 질문지를 최종 연구대상으로 하여 분석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통계 프로그램을 통해서 분석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손가족 청소년이 지각한 자아탄력성과 학교생활적응의 차이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손가정 청소년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학교생활적응의 차이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손가정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과 관련하여 자아탄력성 간의 상관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조손가정 청소년이 지각한 자아탄력성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이러한 결과는 자아탄력성이 높을수록 학교생활적응을 더 잘 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섯째, 조손가정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과 관련하여 사회적 지지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조손가정 청소년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이러한 결과는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학교생활적응을 더 잘 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일곱째, 조손가정 청소년이 지각한 자아탄력성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력과 조손가정 청소년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력 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학교생활적응의 하위변인인 교우관계, 규칙준수에서는 조손가정 청소년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가 자아탄력성에 비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부모의 돌봄을 제대로 받지 못하고 조부모로부터 양육 받는 조손가정 청소년들의 자아탄력성 및 사회적 지지의 향상과 이로 인해 학교생활적응을 잘 할 수 있도록 세심한 배려와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plore how the self-flexibility and the social support felt by the teenagers living in the grandparents-children families(G-C families) affect their adaptation to school life. For this research, 137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from the family background were sampled. The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135 questionnaires except for two which were considered to be inappropriate due to insufficient answers. An SPSS statistical analysis program processed the collected data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turned out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elf- flexibility the teenagers in G-C families felt and their school life adaptation. Secondly, it prove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ocial support felt by the G-C family teenagers and their school life adaptation. Thirdly, the statistical results showed that the self-flexibility the teenagers in G-C families felt and their school life adaptation were positively correlated. Fourth, the influence the self-flexibility felt by the teenagers in G-C families had on their school life adaptation proved to be statistically meaningful; the higher the self-flexibility was, the more successful their school life adaptation was. Fifth, according to the statistical results, the social support the teenagers in G-C families felt and their school life adaptation were also positively correlated. Sixth, the influence the social support felt by the teenagers in G-C families had on their school life adaptation turned out to be statistically meaningful; the higher the social support was, the more successful their school adaptation was. Seventh, the analysis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fluences the self-flexibility and the social support felt by the G-C family teenagers had on their school life adaptation showed that the social support had a stronger impact on the lower variations related to school life adaptation such as their relationships with peers, and rules observance than the self-flexibility did. Therefore, careful concern and close attention should be paid to help improve the self-flexibility and the social support for the teenagers in G-C families devoid of parents care and to monitor their adaptation to school life.

      • KCI등재

        사회정서역량과 친사회성이 중학생의 학교생활적응과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김누리,최선 교육종합연구원 2024 교육종합연구 Vol.22 No.1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social and emotional competency and prosociality on the adaptation and maladapt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to school life. To achieve this,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309 students currently enrolled at S Middle School in G Metropolitan City, and data were collected. Based on the collected data, groups with higher and lower levels of school life adaptation were identified, and variables influencing adaptation and maladaptation to school life were examined. The results revealed that First, the social and emotional competencies of the adaptation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on average than that of the maladaptation group. Second, the average prosociality of the school life adaptation group was also higher than that of the maladaptation group. Third, an analysis of the sub-variables of social and emotional competencies that influence school life adaptation identified 'self-awareness, self-management, social awareness, and relationship management' as key factors. Finally, 'cooperation' was found to be the sub-variable of prosociality affecting school life adaptation. These findings provide educational directions for enhancing social and emotional competency and prosocial competencies to successfully adapt to school life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 KCI우수등재

        중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학교적응의 구조적 관계: 그릿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장은아,정혜원 한국교육학회 2022 敎育學硏究 Vol.60 No.5

        This study reveals, from a middle school student perspective, the social support from parents, teachers, and friends, as well as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school adaptation and grit. Moreover, it explores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school adaptation,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grit. For this purpose,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applied to Wave 3 of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8 (KCYPS 2018) data set (9th grade, N = 2,320), conduct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arental support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school adaptation. Second, teacher support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had a direct and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school adaptation. Third, the effect of teacher support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on school adaptation was partially mediated by grit. Fourth, the support of friends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chool adaptation, but in terms of impact on school adaptation, it was found that grit had a fully mediating effect. Based on the findings, support and countermeasures are presented to improve the level of school adapt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본 연구는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 교사, 친구로부터의 사회적 지지, 그릿, 학교적응의 구조적 관계를 밝히고, 그릿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사회적 지지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직·간접 효과를 탐색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한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8 (Korean Children & Youth Panel Survey 2018; KCYPS 2018)의 3차년도(2020년) 중학교 1학년 패널자료 2,320명의 응답 자료에 구조방정식 모형을 적용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 지지는 학교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중학생이 지각한 교사 지지는 학교적응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중학생이 지각한 교사 지지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그릿의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넷째, 중학생이 지각한 친구 지지는 학교적응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지만,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그릿의 완전매개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토대로 중학생의 학교적응 수준 향상을 위한 다각적인 지원 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고등학생의 학교생활적응과 진로성숙과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

        정주원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14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26 No.1

        “Career maturity” is very crucial for high school students since it has an impact on their career path and decision-making. Not only that, it is also important in self-realization and happiness as well as maximizing human resources. When it comes to understanding high school students' career path, it is necessary to know how they perceive school life since they spend most of their time in school. It's also vital to observe in the perspective of students' personal growth. This study seek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adaptation to school life” “self-esteem” and “career maturity”. To accomplish this, the 7th additional surveys conducted by Welfare Panel Study were used. The survey was conducted among 496 high school students in order to come up with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between “adaptation to school life” and “self-esteem” as well as the level of “career maturity”.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adaptation to school life” and “self-esteem” on “career maturity.” The Baron and Kennny mediation analysis were used to understand the effects when the mediating role of “self-esteem” comes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adaptation to school life” and “career maturit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age for high school students' “career maturity” is 2.07, while it is 1.91 for “self-esteem”. For “adaptation to school life,” the relationship between “obedience to school regulations” and “relationship with friends” was relatively higher than the relationship between “attitude toward school life” and “interest in school life” Second, high school students' “career maturity” “adaptation to school life” and “self-esteem” were thought to be statistically meaningful since it showed that they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Third, “interest in school life” “attitude toward school life” and “obedience to school life” and “relationship with friends” in which all of these are the sub factors for “adaptation to school life” together with “self-esteem” had an influence on high school students' “career maturity”. Lastly, the relationship between “adaptation to school life” and “career maturity” was proved to be influenced by the partial mediating role of “self-esteem”. As the study seeks to find relationships and the factors that affect high school students' “career maturity” meaningful information is given out for the development and progress of educational programs for “career maturity”. This was done by understanding the fundamental and systematic approach towards “career maturity” in the students' perspective. 진로의 결정이 중요하게 작용하는 고등학생에게 있어 진로성숙은 개인적인 자아실현과 행복을 위해서만이 아니라 국가 인적자원의 극대화를 위해서도 매우 중요하다. 대부분의 시간을 학교에서 보내는 고등학생의 진로에 대한 이해는 학생의 측면에서 그들이 인지하는 학교에 대한 생각과 개인적인 성장의 관점에서 바라봄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진로성숙을 학교생활 적응과 자아존중감과의 관계에서 파악해 보고자 7차년도 한국복지패널의 부가조사 자료를 이용하였다. 고등학생 496명을 분석대상으로 학교생활적응, 자아존중감, 진로성숙의 정도와 관계를 파악하고자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분석을 하였으며, 학교생활적응과 자아존중감이 진로성숙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학교생활적응과 진로성숙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변인 역할을 파악하고자 Baron과 Kennny의 매개효과분석법과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생의 진로성숙은 평균 2.07이며, 자아존중감은 1.91로 나타났으며, 학교생활적응에서는 학교규범준수와 친구관계가 학교생활태도, 학교생활흥미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고등학생의 진로성숙, 학교생활적응, 자아존중감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교생활적응의 하위영역인 학교생활흥미, 학교생활태도, 학교규범준수, 친구관계와 자아존중감은 고등학생의 진로성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밝혀졌다. 넷째, 학교생활적응과 진로성숙과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부분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고등학생의 진로성숙에 미치는 영향력과 관련성을 파악한 본 연구는 학생측면에서 진로성숙을 위한 근본적이고 체계적인 접근을 이해하게 함으로써, 진로성숙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진행에 의미 있는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사회적 자본과 학교적응과의 관계 - 가족, 학교, 지역사회 내 사회적 자본을 중심으로 -

        김경식,최성보,이현철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09 敎員敎育 Vol.2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 structure between social capital and school adaptation. To conduct the purpose of this study, this study uses a sample from the Korea Youth Panel Survey 4th data(n=2,844), and examines how and to what degree 4 latent variables and 30 observed variables influence school adaptation.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is used,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ing: First, the social capital at family is effecting to school adaptation. Also it has influence on the social capital at school and community. These result suggest that the social capital at family is gist factor. Second, the social capital at school is effecting to school adaptation. When consider observed variables of social capital at school, these result provide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has the most significant influence on school adaptation. Finally, school adaptation is affected by social capital at community which is consisted of the level of community control to students. Consequently, this study implies that school adaptation is affected by social capital. Base on these results, we should have a program to improve a low class students' social capital at family and to change the social capital at school and community for students who are feeling to difficult about school adaptation.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패널조사(Korea Youth Panel Survey)를 활용하여 학교적응도에 영향을 주는 가정, 학교, 지역사회 내 사회적 자본을 중심으로 해당 요인들 간의 종합적인 인과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학교적응에 대하여 가족 내 사회적 자본, 학교 내 사회적 자본 그리고 지역사회 내 사회적 자본 모두가 직간접적으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학교적응에 대한 사회적 자본의 영향력을 실증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학교적응에 실패하고 있는 취약계층 아동들에 대한 사회 자본을 활용한 다양한 접근의 가능성을 시사한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마이스터고 졸업생의 산업현장 적응에 대한 질적 연구

        이명훈 한국기술교육학회 2014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14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is adaptation to workplace of meisterhigh school graduates using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The interview forthe research was carried out with 10 meister high school graduates from February9 to March 10, 2014.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research, 37 themes were extracted frominterviews with 10 research participants. And 16 theme clusters were categorizedfrom these. And these clusters were divided into 5 domains : difficulties inadaptation to workplace of meister high school graduates, their effort foradaptation to workplace, industries support for adaptation to workplace, schooleducation to help adaptation to workplace, school education that needimprovement for adaptation to workplace. Based on the finding of the study, major conclusions of this study were asfollow: First, meister high school graduates experience difficulties in the process ofadaptation. And they feel psychological burden and anxiety. Second, they make aneffort aggressively to overcome difficulties. And they have plans to improve theircompetencies. Third, industries give various supports for adaptation of meisterhigh school graduates. For example on the job training (OJT), support of seniormembers, making up familial organizational culture. Forth, major subject educationof school helps adaptation of meister high school graduates (Such as industrialpractice oriented educational contents, various teaching method, information aboutindustrial practice by teachers). And various liberal arts courses of school helpadaptation of them indirectly. Living in a dormitory and overseas experienceprograms helps their adaptation. Fifth, some elements in school education need tobe improved for adaptation to workplace of meister high school graduates. Thereare curriculum, education for cultivating key competency, career guidance, runningafter school programs, experience programs. 이 연구의 목적은 마이스터고 졸업생들의 산업현장 적응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 이를 극복하기 위한 스스로의 노력과 기업의 지원, 적응에 도움이 된 학교교육, 개선이 요구되는 학교교육 등을 구명하는데 있었다. 이를 위하여 질적연구방법 중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활용하였으며, 마이스터고 졸업생 10명과2014년 2월 9일부터 3월 10일까지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37개의 주제(themes)로 정리하였으며, 이를 총 5개 영역(산업현장 적응의 어려움, 산업현장 적응을 위한 학생 스스로의 노력, 현장 적응을 위한 기업의 지원, 현장 적응에 도움을 준 학교교육, 현장 적응을 위해 개선이요구되는 학교교육)의 16개 주제 묶음(theme cluster)으로 범주화하였다. 연구결과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마이스터고졸업생들은 산업현장 적응에 어려움을 겪으며, 심리적 부담과 불안을 느낀다. 둘째, 마이스터고 졸업생들은 산업현장에 적응하기 위하여 스스로 적극적으로노력하고 있으며, 자신의 능력 향상을 위해 직무 관련 자격증 취득이나 계속교육에 대한 계획을 가지고 있다. 셋째, 기업은 마이스터고 졸업생들의 산업현장적응을 돕기 위하여 OJT, 선임의 지원, 가족적인 조직 문화 조성 등 다양한지원을 하고 있다. 넷째, 학교교육의 현장 친화적 교육내용, 다양한 교육방법의 적용, 교사들의 산업현장에 대한 정보 제공 등의 전문교과 교육이 현장 적응에 도움이 된다. 또한, 다양한 보통교과 교육도 현장 적응에 간접적으로 도움이 되며, 기숙사 생활, 해외체험학습 등 교과지도외 교육도 현장 적응에 도움이 된다. 다섯째, 학교교육 중 교육과정, 직업기초능력 함양 교육, 진로지도,방과후 수업 운영, 체험활동 등에서 개선이 요구된다.

      • KCI등재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자아탄력성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가정 중학생을 중심으로

        박정윤 ( Jeong Yun Park ),채지은 ( Ji Eun Chae ),조몽적 ( Mengdi Zhao ) 성결대학교 다문화평화연구소 2020 다문화와 평화 Vol.14 No.2

        최근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학교적응 중요성이 강조됨에 따라,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청소년들의 안정적인 학교적응을 돕고자 다문화가정 중학교 2학년을 대상으로 인구사회학적 특성,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자아탄력성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다문화청소년패널조사(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 MAPS)’ 5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가정 청소년이 거주하는 지역 규모, 본인과 외국인 부모의 한국어 정도가 학교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학교적응은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부적 상관을 보였으며, 자아탄력성의 하위요인인 감정통제, 활력성, 호기심, 대인관계, 낙관성과는 정적 상관을 보였다. 셋째,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낮을수록, 자아탄력성의 하위요인인 감정통제, 활력성, 대인관계 정도가 높을수록 학교적응을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교적응에 대한 관련 변인들의 상대적인 영향력은 자아탄력성이 가장 컸고 다음으로 문화적응 스트레스, 인구사회학적 특성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논문은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학교적응을 도울 수 있는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였고, 연구의 의의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안을 하였다. As the importance of school adaptation to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y is emphasized recently,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cultural adaptation stress and ego-resilience on school adaptation to help stable school adaptation of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y. For this purpose, th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5th year data of the 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MAP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differences by group in school adaptation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area where multicultural families live, the degree of Korean language of themselves and their foreign parents, and the educational background of foreign parents. Second, school adaptation of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cultural adaptation stress and positively correlated with emotional control, vitality, curiosity,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optimism, which are sub-factors of self-resilience. Third, the lower the level of cultural adaptation stress among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y, the higher the level of emotional control, vitalit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which is a lower factor of ego-resilience, the better school adaptation. In addition, the relative influence of the related variables on school adaptation of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y was the highest in ego-resilience, followed by cultural adaptation stress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thesis suggested practical measures to help the school adaptation of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y, and suggested suggestions for the significance of the research and subsequent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