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 명성이 졸업생 취업 질에 미치는 효과와 시사점

        최기성 ( Ki Sung Choi ),조민수 ( Min Soo Cho ) 한국조사연구학회 2016 조사연구 Vol.17 No.2

        본 연구는 대학 명성이 졸업생의 취업 질에 미치는 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대학 평가와 관련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먼저, 취업 질에 관한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청년 대졸자의 첫 일자리에서의 취업 질을 6개 지표로 측정할수 있음을 도출한 후, 각 지표별 측정 값을 합산한 값을 절대적인 고용의 질(0점~10점) 지수로 정의하였다. 다음으로 대졸자 직업이동경로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대졸자 취업 질에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되는 인구사회적 특성(성별, 연령), 대학 요인(출신대학 유형, 전공), 직무역량 요인(대학평점, 어학연수, 자격증, 교육훈련, 일 경험, 취업지원 프로그램 참여), 지역 요인(대학소재지) 등을 통제한 상태에서 대학 명성(대학 노력)이 졸업생 취업의 질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를 분석하였다. 또한 대학별 졸업생의 취업 질과 대학별 취업률(유지취업률 포함) 간의 상관분석을 통해 취업 질을 별도의 대학 평가지표로 반영할 필요성이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대졸 취업자의 취업 질에 영향을 주는 다른 요인을 통제한 상태에서, 대학 명성(대학 노력)이 좋을수록 첫 일자리의 취업 질도 좋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학 노력(대학 명성)에 따라 졸업생의 취업 질이 달라짐을 의미하는 것으로 공정한 대학평가를 위해서는 취업 질을 반영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졸업생 취업률(유지취업률 포함)과 취업 질은 보통 수준의 양의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으므로, 취업률만으로 측정되지 않는 대학의 노력을 취업 질을 측정 반영함으로써 평가의 공정성을 제고할 필요성이 있다고 하겠다. 한편, 성별, 대학 설립유형(국 공립, 사립), 대학 소재지(수도권, 비수도권) 등과 같은 대학의 배경 변수들도 졸업생의 취업 질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학 평가지표로 졸업생의 취업 질을 사용할 때는 이러한 특성을 평가시 고려함으로써 평가의 공정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university’s reputation on graduates`` employment quality and presents implications for university evaluation. First, previous studies on employment quality were examined to derive six indices for measuring young graduates`` first job quality, and the sum of values measured by each index was defined as the absolute employment quality index(0~10 points). Next, using university graduates`` job movement path survey data, how the university``s efforts(university reputation) could influence the employment quality was analyzed after controlling factors -that could influence graduates`` employment quality- including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gender, age), university factors(university type and major), employment capacity factor(grade point average, overseas language training, licenses, training, job experience, participation in employment support programs), and local factor(university location). Also, the correlation between graduates`` employment quality by university and employment rate by university (including the retained employment rate) was analyzed to examine whether the employment quality needed to be additionally reflected as the evaluation index. The analysis revealed that, with other factors that could influence university graduates`` employment quality being controlled, universities with better reputation(university``s efforts) improved the first landed job quality. This means that the graduates`` employment quality varies according to the university``s efforts(university reputation), suggesting that, for a fair university evaluation, job quality needs to be reflected. Also, graduates`` employment rate(including the retained employment rate), and employment quality have a fair-level positive correlation, indicating that the university``s efforts -which cannot be measured by employment rate alone- should be evaluated by measuring and reflecting employment quality, thereby boosting the fairness of evaluation. Meanwhile, university background variables, such as gender, university type(national, public and private), and university location(Seoul metropolitan area, and other areas), also influenced graduates`` employment quality. Thus, when using graduates`` employment quality as a university evaluation index, the fairness of such evaluation needs to be secured.

      • KCI등재

        1주기 대학혁신지원사업이 대학의 취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황인섭 한국취업진로학회 2024 취업진로연구 Vol.1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1주기 대학혁신지원사업이 대학의 취업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가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여 정책적/실무적 의미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대학혁신지원사업에서 활용된 정량 지표가 대학 졸업생 취업률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확인하고, 대학혁신지원사업비 배분 차이에 따른 대학의 취업 성과 차이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대학혁신지원사업에 활용된 정량 지표 중 전임교원 확보율이 졸업생 취업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대학혁신지원사업비의 지리적 여건(권역) 차이는 졸업생 취업률 변화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못하였으나, 규모에 따른 차이는 소규모 대학이 대규모 및 중규모 대학보다 더 높은 졸업생 취업률 변화를 나타내었다. 성별 및 학문 단위별 차이는 대학 단위로 추진되는 일반재정지원사업으로서 대학혁신지원사업이라 영향이 없는 것으로 예측하였으나, 분석 결과 여성의 졸업생 취업률 변화가 남성의 졸업생 취업률 변화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자연과학 계열의 졸업생 취업률이 타 학문 단위의 졸업생 취업률보다 유의미한 수준으로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대학혁신지원사업의 정책 목적이 부분적으로 달성되고 있는 것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여 정책의 일관성을 유지하는 근거를 부여해 준다는 것과 개별 대학들이 대학혁신지원사업을 추진할 때 소외되는 분야 없이 사업의 효과성을 면밀하게 살펴보아야 한다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olicy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first cycle of university innovation support projects by quantitatively analyzing how they affected the employment performance of universities. To this end, this study confirmed how the quantitative indicators used in the university innovation support project affected the employment rate of university graduates, and examined the differences in employment performance of universities due to differences in the distribution of university innovation support project cos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rate of securing full-time teachers among the quantitative indicators used in the university innovation support project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employment rate of graduates. The difference in geographical conditions (regions) of the university innovation support project cost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change in the employment rate of graduates, but the difference according to size showed that small universities showed higher changes in the employment rate of graduates than large and medium-sized universities. The differences by gender and academic unit were predicted to have no effect as a university innovation support project promoted at the university level, bu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change in the employment rate of women's graduate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men's graduates, and the employment rate of natural science graduates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other academic unit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empirically confirmed that the policy objectives of the university innovation support project were partially achieved and suggested that individual universities should closely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ject without marginalized areas when promoting university innovation support projects.

      • KCI등재

        대졸 청년의 진로역량 관련 요인 탐색

        정성경,박환보 한국핵심역량교육학회 2022 핵심역량교육연구 Vol.7 No.2

        본 연구는 대학을 갓 졸업한 청년들의 진로역량 관련 요인을 탐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분석을 위해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 2018 데이터와 대학알리미 정보공시 자료를 활용하여 다층모형 분석 방법을 적용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역량 함양에 있어서 개인배경 특성으로 성별, 가구소득, 그리고 졸업평점이 관련 변인으로 나타났다. 개별 맞춤형 진로교육 프로그램의 확대에 있어서 성별, 소득, 성적과 관련한 학생들의 상황 또한 고려될 필요가 있다. 둘째, 사회적지지는 대졸 청년이 진로역량 획득에 있어서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청년들이 자신의 삶에 대해서 낙관적으로 조망하고, 나아가 자신의 미래와 진로를 함께 그려나가기 위해서는 장기적으로 사회 구조와 제도의 변화를 끌고가야 하되, 동시에 주변에서 이들 청년 세대를 지지해주고, 기꺼이 도움을 줄 수 있는 사회적 분위기도 함께 형성될 필요가 있다. 또한 노동시장에서도 자신의 진로역량을 발휘하도록 하는 대학 차원의 진로상담 프로그램의 방향을 고민해볼 수 있겠다. 셋째, 개인수준에서 투입한 진로 관련 교육과 서비스 경험 중에서 인턴과 같은 직장체험 프로그램의 참여가 대졸 청년의 진로역량에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생의 진로역량을 증진하기 위해 대학교육과정에서 인턴 체험, 직장 경험을 충분히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충분히 제공하고, 참여를 높이기 위한 방안이 마련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대졸 청년의 진로역량 차이에 대한 대학의 설명력은 약 1%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도권 대학을 졸업한 학생이 비수도권 대학을 졸업한 학생보다 진로역량이 더 높은 경향을 보였다. 대학마다 교육자원으로 활용가능한 지역사회의 여건이 다르므로 진로교육 운영에 대한 대학의 자율성을 지지해야 하지만 사회적 형평성 차원에서 비수도권 대학의 대학생들이 진로역량을 함양하도록 교육과 서비스의 개선과 보완책을 마련해야 한다. The purpose of study is exploring factors related to university graduates' career competency. For analysis, this study utilized a hierarchical linear method using the Graduate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2018 data for university graduates and the information disclosure data of the university notification. The main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First, gender, household income, and academic achievement were related variables fostering career competency. In expanding individually tailored career education programs, students' situations related to gender, income, and grades also need to be considered. Second, social support can be a positive factor in the acquisition of career competency among university graduates. In order for young people to have an optimistic view of their lives and to draw their future and career paths together, they need to attract changes in social structure and institutions in the long run, but at the same time, a social atmosphere that supports and is willing to help these younger generations around them needs to be formed. In addition, we should consider the direction of a university - level career counseling program that demonstrates students’ career competency in the labor market. Third, among career-related education and service experiences input at the individual level, participation in workplace experience programs such as internships was found to be a positive factor in university graduates' career competency.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re is a need to provide sufficient opportunities to fully experience internship and work experience in the university curriculum and to prepare measures to increase participation. Finally, the university's explanatory power for the difference in career competency of graduates was found to be about 1%, and students who graduated from universities in the metropolitan area tended to have higher career competencies than those who graduated from non-metropolitan universities. Since each university has different community conditions, it is necessary to support the university's autonomy in the operation of career education, but in terms of social equity, it is necessary to improve education and services so that university students in non-metropolitan universities can develop career competency.

      • KCI등재

        대학취업률에 대한 이론적 고찰 및 질적 차이 분석

        이지훈,양동령,최성환 한국취업진로학회 2015 취업진로연구 Vol.5 No.3

        우리 사회의 경제적 저성장과 사회적 고령화 등에 맞물려 청년실업문제와 사회복지실현에 대한 관심은 이미 그 수준이 국가・사회적 및 미래적 문제에 직면해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 문제들 중 높은 대학진학률에 따른 청년실업 특히 대학졸업자의 취업문제에 초점을 맞추어 최근 3년간의 대학정보공시 통계결과에 나타난 대학취업률을 분석하고 정부의 대학구조정과 맞물린 교육역량강화사업, 정부재정지원제한대학 및 학자금대출제한대학 선정, 대학기관평가인증 및 대학구조개혁평가 등과 관련하여 교육성과 중 가장 주목 받고 있는 성과지표인 대학의 취업률에 대한 3년간의 지표를 몇 가지 변수별로 구분한 취업률 비교를 통해 정부와 대학의 취업률 평가에 대한 인식과 차이 그리고 그 질적인 분석을 통해 발전방안 및 시사점에 대해 실제적 접근을 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살펴보면, 대학 취업률을 이용하여 비교하고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었으며, 대학 취업률을 통해 개선 방향과 앞으로 지속될 취업문제와 취업현황에 대하여 중요한 부분이 될 것이라 생각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에 대학과 전문대학의 취업률 비교결과, 수도권・비수도권 취업률 비교결과, 지역별 취업률 비교 결과, 설립주체별 취업률 비교결과, 대 개열별 취업률 비교결과, 소 개열별 취업률 비교결과, 성별 취업률 비교결과를 정리하였다. 본 연구의 시사점으로는 대학교 취업률 영향을 볼 때 지역효과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도권・비 수도권 간의 취업률 또한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이는 수도권 비수도권 및 지역효과가 있다고 볼 수 있으며 취업률에 대한 전반적인 영향이 있다고 볼 수 있다. 이에 심층적인 분석을 통해 지역적, 수도권・비 수도권의 특성을 고려하여 취업의 격차를 줄여나갈 수 있도록 연구가 필요 할 것이다. 또한 학과별 취업률에 대한 영향도 높게 나타났다. 이는 전체적인 취업률이 한 곳으로 쏠리는 현상이 발생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정년까지 보장되는 전문직 학과에 치우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에 전문대학과 4년제 대학교에서 각 분야별 취업률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We currently encounter youth unemployment problem and have great interest in realizing welfare society, caused by Korea's low economic growth and aging society. This way, we face the reality of which the severity is linked not only with present national and social problems but also with overall future problems of our society. Among all theses current problems, this study focused on youth unemployment problems, in particular, unemployment problems of university graduates and I analyzed the employment rate of university graduates shown in the statistical result based on university information disclosure for the last three years. Also, this study compared the employment rate of university graduates which is the most remarkable performance indicator among other education performances, by classifying three years' indicator by several variables, in terms of education reinforcement project, selection of universities under government finance restriction and universities with student loan restriction, accreditation of university institutions and assessment of university structure reformation. This study intended to make a practical approach to development plan and implications through inquiring into the awareness of employment rate held by government and universities, as well as the differences of the awareness between the two institutions and its qualitative analysis. This study aimed to compare and inquire into the employment rate of university graduates. Furthermore, this study proceeded upon a premise that the research on employment rate of university graduates would contribute to finding out improvement direction and giving an important clue to employment problems and situations which would also continue in the future. Accordingly, based on the research, I have compiled the comparative results of employment rate classified into various criteria, for instance, in terms of four-year-course universities vs technical colleges, metropolitan areas vs non-metropolitan areas, by regions, by subjects of foundation (founders), large-scale enterprises vs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finally, by gender. This study implies that the strongest influence of employment rate of graduates consists in the effect of regions. Moreov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f employment rate between metropolitan areas and non-metropolitan areas. It is estimated that employment rate is influenced by the metropolitan and non-metropolitan factors and the effect of regions. These factor generally influence the employment rate. Hereupon, it will be required to seek plans to reduce the gap of employment rate by considering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as well as those of metropolitan and non-metropolitan areas, based on in-depth analysis. In addition, the employment rate was also highly influenced by students' major. This brings about concentration of employment by some specific majors, leaning on some majors for specialized future jobs which assures retirement age.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technical colleges and four-year-course universities to make research on employment rate according to each major.

      • KCI등재

        사범계열 졸업자의 대학생활 및 노동시장 성과 변화

        이승엽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6

        Objectives The study purposed to analyze the changes in university life and labor market performance of secondary teacher education graduates. Methods Among the data of the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s The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728 graduates of 2019 GOMS and 552 graduates of 2009 GOMS 10 years ago were used, changes in university life, labor market performance, and factor influencing labor market performance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desciptive statistic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methods. Result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hange in university life of secondary teacher education graduates, the proportion of university and major selection due to external motivation rather than internal motivation increased slightly, the proportion of job preparation such as career selection and job preparation program participation, and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increased, the proportion of experience in the teacher employment examination decreased but the proportion of 9th grade civil service examination increased.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hange in labor market performance of secondary teacher education graduates, the proportion of economic activity decreased, the proportion of job achievement planned as a job goal while attending school decreased, and the proportion of entering a school teacher also decreased slightly.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hanges in labor market performance influencing factors of secondary teacher education graduates, the variables that had a positive effect on both job satisfaction and major congruence were curriculum satisfaction and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experience. Conclusions It is meaningful that basic data were provided by analyzing the changes in university life and labor market performance of secondary teacher education graduates, and it is necessary to conduct follow-up studies in university life and labor market performance for secondary teacher education students and graduates. 목적 이 연구는 사범계열 졸업자의 대학생활 및 노동시장 성과가 어떠한 변화를 보이고 있는지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 방법 한국고용정보원의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 자료 중 2019GOMS의 사범계열 졸업자 728명과 10년 전 자료인 2009GOMS 의 사범계열 졸업자 552명의 자료를 활용하였고, 빈도분석, 기술통계, 위계적 회귀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대학생활 변화, 노동시장성과 변화, 노동시장 성과 영향요인 변화를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사범계열 졸업자의 대학생활 변화 분석 결과, 대학 및 전공 선택 이유 중 내적 동기보다는 외적 동기로 인한 전공 선택비율이 다소 증가하였고, 진로선택 및 취업준비 프로그램 참여, 직업교육훈련 경험 등 취업준비 관련 경험 비율이 증가하였으며, 교원임용시험 경험 비율은 감소하였으나, 9급 공무원시험 비율은 증가하였다. 둘째, 사범계열 졸업자의 노동시장 성과 변화 분석 결과, 경제활동 비율은 감소하였고, 재학 중 취업목표로 계획한 직업 및 직장 달성 비율은 감소하였으며, 진출 직업 또한 학교 교사로 진출한 비율이 다소 감소하였다. 셋째, 사범계열 졸업자의 노동시장 성과 영향요인 변화 분석 결과 직무만족과 전공 일치에 모두 정적인영향을 미쳤던 변인은 교육과정 만족도와 직업교육훈련 경험이었다. 결론 사범계열 졸업자의 대학생활 및 노동시장 성과가 어떠한 변화를 보이고 있는지 분석하여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데 의의가있고, 사범계열 재학생 및 졸업자를 대상으로 대학생활 및 노동시장 성과에 관련한 후속 연구를 수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 KCI등재

        한국사회에서 대학은 기업인가 취업학원인가?

        권영우 대한철학회 2020 哲學硏究 Vol.153 No.-

        The issue of university identity is among the problems in Korea that can never be overlooked. These days, Korean people tend to regard university not as university, but as a business or as an institution for employment. This tendency is based on treating the purpose of university education only as achievement of social success and career success. In such a situation, the university is making much effort to improve the entrance score of freshmen and to raise the employment rate, rather than trying to research and to educate, a situation aggravated by the government. Korean society, however, demands the university to be an institution for academic research and higher education. This shows that Korean society is applying a double standard to universities. The dual standard causes great confusion for building university identity, namely what university is in Korean society. It is also a large obstacle to higher education and the development of the university. The university does not become intrinsically excellent through improving freshmen entrance scores and graduate student rates of employment. The excellence of the university comes from academic research and higher education rather than from gaining a competitive advantage in a battle to recruit students and from increasing employment rates of graduates. 한국사회의 여러 문제 중 대학의 정체성에 관한 문제는 절대 간과될 수 없다. 한국사회는 대학을 대학으로서 보지 않고 기업이나 취업학원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강해지고 있다. 이러한 경향은 대학교육의 목적을 사회적 성공과 출세로만 생각하는 데서 비롯된다. 이런 현실 속에서 대학은 본연의 고등학문 연구와 교육에 힘쓰기보다 신입생의 입학성적 향상과 졸업생의 취업률 향상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더욱이 정부가 이를 부추기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하지만 또 한편으로 한국사회는 고등학문 연구 및 교육기관으로서의 정체성을 대학에 요구하고 있다. 이와 같은 상황은 한국사회가 대학에 이중적 잣대를 적용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한국사회가 대학에 제시하고 있는 이중적 잣대는 ‘한국사회에서 대학이 무엇인가?’라는 대학의 정체성에 매우 큰 혼란을 주고 있으며, 더 나아가 대학교육과 대학의 발전에 큰 장애물이 되고 있다. 신입생의 입학성적과 취업률이 좋아진다고 우수한 대학이 되는 것이 아니다. 대학의 우수성은 본질적으로 입시시장에서 경쟁적 우위를 점하고 취업률을 높이는 데 있지 않고 고등학문의 연구와 교육에서 찾아질 수 있다.

      • KCI등재

        대졸 청년의 정규직 여부, 임금 및 직무만족도 예측변인 탐색 : 2-3년제와 4년제 졸업생 비교

        박소영,정혜원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20 직업능력개발연구 Vol.23 No.3

        This study aims to explore and compare predictors for regular employment, income, or work satisfaction of 2 to 3-year college graduates and 4-year university graduates. To this end, the study applied the random forest method of the machine learning approaches to the 2018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2017GOMS) data collected by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4-year university graduates had higher regular employment, income, and work satisfaction than those of 2 to 3-year college graduates. The random forest method showed that important variables affecting regular employment, income or satisfaction included ‘GPA, ’ ‘the percentage of scholarship among tuition funding methods, ’ ‘average working hours and income from in-school work experience, ’ ‘reservation wage, ’ and ‘the parents' average monthly income’ regardless of whether they are college or university graduates. Also, important variables selected for 4-year university graduates included ‘satisfaction with educational support facilities, ’ ‘vocational education or training, ’ and ‘school-to-work transition preparation after admission.’ On the other hand, important variables selected for 2 to 3-year college graduates included ‘day and night class, ’ ‘major of study, ’ and ‘importance attached when applying for a job (individual potential for development, employment stability, welfare benefits, social reputation, and commuting distance).’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and significance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2-3년제와 4년제 대졸 청년의 취업 성과(정규직 여부, 임금,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예측변인을 탐색하고, 대학 학제에 따라 도출되는 예측변인에 차이가 있는 지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고용정보원이 수집한 「2018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2017GOMS)」자료에 머신러닝 기법인 랜덤포레스트를 적용해 분석을 수행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2-3년제 대졸 청년에 비해 4년제 대졸 청년이 정규직에 취업한 경우가 더 많았으며, 임금과 직무만족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랜덤포레스트 분석을 통해 취업 성과(정규직 여부, 임금, 직무만족도)의 주요 예측변인을 살펴본 결과, ‘졸업 평점 점수’, ‘등록금 조달 방법 중 장학금의 비율’, ‘재학 중 일자리 경험에서 하루 평균 근로시간과 소득’, ‘유보임금’, ‘대학 입학(편입) 당시 부모님의 월평균 소득’은 대학 학제나 종속변수에 관계없이 공통적으로 중요도 지수가 높은 변인이었다. 또 졸업대학 관련 만족도 중 ‘교육지원 시설에 대한 만족도’와 ‘대학 입학 후 직업(취업)과 관련된 교육 또는 훈련을 받았던 경험의 유무’, ‘취업 준비활동 경험여부’는 4년제 결과에서 중요도 지수가 높은 변인으로 선택되었다. 한편, ‘주야간’, ‘전공계열’, ‘일자리 지원 시 중요도(개인 발전 가능성, 직장(고용)안정성, 복리후생, 출퇴근 거리, 일자리에 대한 사회적 평판)’은 2-3년제 결과에서만 중요도 지수가 높은 변인으로 선택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결과에서 드러난 시사점과 연구의 의의를 논하였다.

      • KCI등재

        Employment and Wage Level of University Graduates in the Field of Clothing and Fashion

        ( Mi Young Lee ),( Eun Young Kim ) 한국패션비즈니스학회 2015 패션 비즈니스 Vol.19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1) to compare the employment status and wage level of Clothing and Fashion major (CF major) graduates with those from other majors and 2) to examine factors affecting the employment status and wage level of CF major university graduates. The data were pooled from the 2009-2012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Data, conducted by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First, when graduates of CF major were compared with other majors in the same academic area ―natural science and arts―, the rate of employment was higher for CF majors than that of other majors; on the other hand,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 wage levels between those with graduates in CF majors and those with other majors. Second, we examined factors affecting CF major graduates` employment and wage level based on graduates` individual factors, university factor, and job preparation factors. Employment status of graduates in CF major was predicted by respondent`s gender and university type, and work experience. The wage level of CF major graduates was significantly predicted by individual factors (e.g., gender and age, university factors (e.g., university type, university program, location), and job preparation factors (e.g., certificates, overseas experience of foreign language training, English test scor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ould provide a guide to direct university educational program in order to assess the current capabilities in the field of clothing and fashion.

      • KCI등재

        농업계 국립대학에 진학한 농업계 고등학교 졸업생들의 대학수학능력 분석

        김진구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09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41 No.1

        이 연구의 목적은 농업계 국립대학에 진학한 농업계 고등학교(이하 농고) 졸업생들의 대학수학능력 실태와 이들이 대학 교육과정을 성공적으로 이수하는데 요구되는 능력을 분석하여, 농업계 대학 진학을 희망하는 농고 재학생들과 이미 진학하여 재학 중인 농고 졸업생들의 대학수학능력 향상 방안을 모색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었다. 이를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농업계 국립대학을 설립 시기에 따라 학교 유형을 거점국립대학(이하 거점대)과 기타국립대학(이하 기타대) 2개 유형으로 구분하고, 유의표집을 통해 거점대 7개교, 기타대 2개교를 선정하여, 이들 대학에서 개설・운영되고 있는 116개의 농업관련 학과(전공)에 재학 중인 모든 농고 졸업생들과 재직 중인 교수 1명씩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8개교 73개 학과(전공)에서 설문지가 회수되었고, 농업계 국립대학에 재학 중인 농고 졸업생용 336부와 재직 중인 교수용 64부가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로부터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농업계 국립대학에 진학한 농고 졸업생들의 고등학교 성적은 상위권, 대학수학능력시험(이하 수능) 성적은 중위권 수준이었다. 둘째, 수능보다 고등학교 성적이 더 좋은 농고 졸업생들은 수시모집 특별전형을 통해 거점대에, 고등학교 성적보다 수능성적이 더 좋은 농고 졸업생들은 정시모집 일반전형을 통해 기타대에 좀더 많이 진학하고 있었다. 셋째, 농업계 국립대학에 진학한 농고 졸업생들 중 상당수는 기초수학능력과 기초과학능력이 많이 떨어져 대학수학능력의 한계와 대학 교육과정 이수의 어려움을 겪고 있었고, 대학성적 또한 낮은 편이었으며, 이와 같은 현상은 대체적으로 기타대보다 거점대 농고 졸업생들에게 좀더 심하게 나타났다. 넷째, 농업계 국립대학에 진학한 농고 졸업생들은 대학 교육과정을 성공적으로 이수하는데 요구되는 최소 학력을 어느 정도 갖추고 입학하고는 있었으나, 전반적으로 수리・외국어(영어)능력과 기초과학내용 이해능력이 많이 떨어져 기초수학능력과 기초과학능력이 가장 많이 요구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이 연구에서는 농업계 대학 진학을 희망하는 농고 재학생 및 이미 진학하여 재학 중인 농고 졸업생들의 대학수학능력 향상 방안 모색과 함께, 이를 위해 수행되어야 할 후속 연구들에 관한 내용들을 중심으로 제언하였다.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is firstly, to look over how well the Agricultural High School graduates who entered into the agricultural national universities are doing in their college, secondly, to analyze what they need to take a compulsory curriculum, thirdly give them the basic data to improve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in their major. To achieve these purpose, I divided agricultural national universities into two, according as when they established. The one is the based national universities and the other is the other national universities. I selected seven based national universities and the other two national universities through purposive sampling. I surveyed all the Agricultural High School graduates who major agricultural related fields in the 116 college and a faculty who lecture them. I could get the questionnaire of the students in 73 departments of 8 universities and I used 336 data of the students and 64 data of faculties in final analysis in this stud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Agricultural High School graduates were in a top class in their high school and they were in a middle class in the CSAT. Second, the students who got a good grade in high school but didn't do well in the CSAT admitted into the based national universities through the occasional special admissions. On the contrary cases, they admitted into the other national universities through the stated period general admission. Third, many of Agricultural High School graduates are having difficulties to keep up with the college curriculum because of lack of basic understanding of math, foreign language, science. And they also don't get a good mark in college. The grades of the students in the based national universities aren't as good as the students in the other national universities. Fourth, many of Agricultural High School graduates acquired the minimum of scholastic ability before they entered into the agricultural national universities but they are needed more understanding of math, english and science than anything els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bove research, it is suggested that how to level up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of the Agricultural High School graduates who entered into the agricultural national universities and what to study more in those related subject after this study.

      • KCI등재

        이공계 대학생의 대학생활 경험과 취업의 질 : 성별차이를 중심으로

        신하영,문보은,Shin, Ha-young,Moon, Bo-Eun 한국공학교육학회 2017 공학교육연구 Vol.20 No.5

        This study aims to examine whether a gender works to make the difference on the university experiences of natural sciences and engineering major students; and the income and quality gap between the graduates. In this study, university experiences means job market and job searching related experiences such as job fair attending, The main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st, what are the significant university experiences related job preparation and application, and is there a gender gap on those experiences? Second, how is the job market performance of the national sciences and engineering graduates for their income level and quality job, and is there a gender gap on the job market performance of the sample? Third, which variables among the university experiences for job searching and application impacts the job quality and income level of the natural sciences and engineering graduates? To find out the research results, this study conducts a panel data analysis with GOMS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throughout survey year of 2006 to 2015, towards 568,264 as weighted value number. As analysis methods, this study carries out a descriptive analysis, ANOVA, discriminant analysis, linear regression and T-test. Therefore, here are the brief outputs of the study; first, for natural sciences and engineering students, the off-campus experiences such as job fair, job recruit festival and internship programs are more favored; second, female students are more likely to attend personal and self-driven job preparation programs; third, on job market performance, the graduates' income level and company scale rate are higher in the male but job stability is higher in the female; fourth, as a result of the linear regression, gender factor decides the income level in considerable degree; additionally, gender factor shows the difference of the job satisfaction and self-effectiveness on one's job as a qualitative variables. For obtaining strictness, university program factors are controlled through model fitness process. As above, this study finds out the main factors of university life of natural sciences and engineering graduates which are related their job searching and preparation experiences and figures out stronger factors in job market; and examines the statistically significance of the gender in this casual-effect relationship between job preparation and job quality of the graduat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