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예술목회를 위한 영성수련: 상상적 관상을 중심으로

        이주형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16 기독교교육논총 Vol.46 No.-

        하나님의 신비한 은혜를 체험한 영혼은 그 초월적 경험을 심미적 혹은 미학적 언어를 통해 표현한다. “신앙 감정론”의 저자인 조나단 에드워즈는 하나님의 구원의 은혜를 경험한 사람들에게 새로운 감각, 즉 영적 감각이 주어진다고 주장하였는데, 그 특징 중에 하나는 현실 속에서 하나님의 영광과 아름다움을 발견하고 깨닫는다는 것이다. 따라서 새롭게 깨우쳐진 영적 감각은 미학적 혹은 예술적 방법으로 표현된다. 더불어, 손원영에 의해 제기된 예술영성형성의 정의와 개념을 바탕으로, 목회와 사역현장에서 예술영성이 어떠한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는지에 대한 탐구를 주요 담론으로 삼고 있다. 본 논문은, 예술영성이 목회와 사역현장에서 형성되기 위해서는 그에 따른 영성수련과 실천이 수반되어야 함을 전제하고, 그 이론적 근거를 기독교 영성학을 통해 밝히고 있다. Sandra Scheniders에 따르면, 학문으로서의 기독교 영성은 인식론적 지식보다는 존재론적 지식을 지향한다. 존재론적 지식은 개인의 경험적 세계를 바탕으로 형성되는데, Liebert는 존재론적 지식의 새로운 형성과 인식의 변화를 위해서는 새로운 경험이 전제되어야 하며, 이 경험을 이끌어낼 수련과 실천이 수반되어야 함을 주장하고 있다. Liebert는 “공유되고 자기-비판적으로 성찰하는 살아있는 영성에 관한 경험”으로 “실천practice”를 정의하면서, 영성실천을 통해 지식과 지식습득자 사이의 관계를 간주관적 경험으로 발전시켜야 존재론적 지식이 형성된다고 주장한다. 영적 감각을 일깨울 새로운 경험을 위해 본 논문은 이냐시오의 영신수련 방법을 제시한다. 특히, 관상기도에 거룩한 상상력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것을 주문한 이냐시오의 영신수련을 통해 현대 기독인들에게 영적 변화와 성장의 경험을 이끌어 낼 수 있는 건설적 대안을 발견한다. 상상력을 통한 관상을 통해 예수그리스도의 삶을 묵상한 영혼의 내면엔 실존적이고 존재론적인 지식이 형성되며, 영적 감각이 일깨워지는 경험을 할 수 있다. 상상적 관상을 통한 영성 수련은 영적 감각을 일깨우고, 미학적 경험과 예술적 표현으로 발전시킬 수 있다고 주장한다. 목회적 상황에서 예술영성형성을 위한 구체적인 영성수련 방법으로는 두 가지 상황을 예시로 들고 있다. 첫째는 헨리 나우엔의 “돌아온 탕자”이며, 두 번째는 설교 시간에 강대상에서 화가에게 그림을 그리도록 예배 형태를 구성한 “Vintage Faith Church”이다. 예술적 표현방법이 어떻게 목회현장에서 영적 감각을 일깨우고, 영적 변화를 이끌어 낼 수 있는지를 증명하고 한다. 마지막으로, 기독교육적 적용에서는 선생님들의 영성지도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과 이해가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A soul/spirit who has been experiencing the mysterious grace of God tends to employ the artistic or aesthetic languages to explain the transcending experience. In “Treaties on Religious Affection,” Jonathan Edwards elucidates that the salvific grace of God would equip peoples with new spiritual senses which enable them to acknowledge the beauty and glory of God in realities. Thus, the newly awakened spiritual senses are highly likely to be embodied by/with artistic or aesthetic methods or expressions. Based upon the definition and concepts of artistic spiritual formation initially raised by Sohn, this research made endeavor to explore the way in which artistic spirituality could be incarnated in Christian ministry and pastoral ministry. Supposing that artistic spiritual formation should be initiated and embodied by spiritual exercises and practices in Christian ministries, this study introduced Christian spirituality as academic discipline as well as its theological foundation. Sandra Scheniders notes that Christian spirituality makes pursuit to build on ontological knowledge, rather than epistemological one, since the former is counting on personal or existential experiences than the latter. Resonating with it, Elizabeth Lieberts also argues that spiritual renewal or transformation is supposed to have new experiences, and it is inevitable to have spiritual practices in order to arise new experiences within a soul/spirit. Defining the spiritual “practice” as a “shared self-critical experiences regarding a reflective lived spirituality“, Lieberts firmly convinces us that the ontological knowledge would be emerged by prompting the inter-subjective experiences between the knowledge and the known. Spiritual Exercises of Ignatius of Loyola is introduced as practical or theoretical frame to awake new spiritual senses within a soul/spirit since Ignatius’ method strongly facilities imaginative capacity in contemplative prayer method. The contemplation equipped with imagination could effectively assists a soul/spirit to meditate the life of Jesus and to internalize it in an intimate way. It offers critical avenue to awake new spiritual senses so that existential or ontological knowledge would eventually be emerged in a soul/spirit. The awaken soul/spirit by imaginative contemplation could express or represent the inner experiences with artistic or aesthetic methods. Two practical implications are proposed as good examples of artistic spiritual formation in Christian ministerial context. The first is the Henri Nouwen’s reflection on “the Prodigal Son,” and the second is the artistic worship formation of Vintage Faith Church. They specifically demonstrate in the ways how the artistic methods or expressions would awake spiritual senses and bring about spiritual transformation in Christian ministry. At last, the study suggests spiritual direction as Christian ministry and educational program to the teachers within Christian educational contexts.

      • KCI등재

        임상 간호사의 영적간호수행 영향요인

        홍세훈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 factors influencing spiritual care practices among clinical nurses. The subjects were 121 nurses of C hospital located in Gyunggi-do.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Spiritual well-being was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spiritual nursing competency (r=.406, p<.001) and spiritual care practice (r=.497, p<.001). Spiritual nursing competency was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spiritual care practice (r=.621, p<.001). Factors that significantly influenced nurses' spiritual care practice was spiritual nursing competency (β=.481, p<.001), needs of spiritual nursing education (β=.229, p=.001) and spiritual well-being(β=.218, p=.005). These three variables explained 47.6% (F=28.298, p<.001) of spiritual care practice. The findings suggest that it is needed to develop effective programs to improve spiritual nursing competency of clinical nurses. More studies are required to identify other predictors of spiritual care practices. 본 연구는 임상 간호사의 영적간호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경기도 소재 C병원에 재직하고 있는 간호사 121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t-test, one-way ANOVA, 사후검정은 Scheffe´s test, Pearson´s correlation 및 multiple regression analysis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근무 특성은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등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영적안녕은 영적간호역량(r=.406, p<.001), 영적간호수행(r=.497, p<.001)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영적간호역량은 영적간호수행(r=.621, p<.001)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임상 간호사의 영적간호수행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영적간호역량(β=.481, p<.001), 영적간호 교육요구도(β=.229, p=.001), 영적안녕(β=.218, p=.005) 순으로 확인되었으며 영적간호수행에 대한 설명력은 47.6%(F=28.298, p<.001)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임상 간호사의 영적간호수행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영적간호역량의 향상이 선행되어야 하고, 이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겠다. 아울러, 임상간호사의 교육요구 및 수준을 고려한 맞춤형 영적간호 교육 및 임상간호사의 영적안녕을 증진할 수 있는 자가 관리 내용을 포함한 체계적인 영적간호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 KCI등재

        수행포교의 현황과 나아갈 방향

        고명석 ( Myoung Seok Ko )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07 禪文化硏究 Vol.3 No.-

        본 원고는 수행포교의 의미와 가치, 그리고 수행포교의 역사와 현황, 이에 대한 종합적 진단과 전망과 나아갈 방향에 대한 내용이다. 수행은 부처님의 가르침에 입각해서 마음과 몸을 닦아 마음이 평화와 안정을 찾고 위없는 깨달음에 이르고자 하는 것이다. 수행포교는 부처님의 가르침에 근거한 여러 가지 수행을 통해 포교하는 것이다. 수행을 통해 사람들이 불교를 온 몸과 마음으로 받아들여 진정한 마음의 평화와 행복을 얻고, 궁극적으로 깨달음에 이르게 하는 것이 수행포교의 목적이다. 다시 말해서 수행포교란 주변의 많은 사람들에게 수행법을 가르치고 지도하는 가운데 마음의 안정과 평화를 심어줘 불교를 널리 알리고 전하며 깨우치게 하는 것이다. 수행포교는 교육포교, 문화포교, 조직포교, 복지포교, 계층포교 등 현대포교의 전방위적 영역에서 그 핵심을 점하고 있다. 때문에 수행포교의 영역은 점차 증대 되어 나갈 것이다. 아울러 현대는 전지구적으로 참살이와 명상의 붐을 타고 있는 수행의 시대인 만큼 수행 포교의 지평은 지속적으로 넓어져 갈 것이다. 우리나라에 다양한 수행법과 수행프로그램이 본격적으로 일어나기 시작한 것은 1980년대부터라고 생각된다. 그 결과 2000년대에 이르러 수행포교는 새로운 포교방법으로 대두되면서 포교의 새로운 장을 열게 되었다. 현재 진행되고 있는 수행법과 수행프로그램의 현황에 대해 종합적으로 진단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간화선 일변도의 수행에서 간경, 절, 주력, 위빠사나, 여러 가지 대승불교의 지관수행법, 자비명상을 비롯한 다양한 명상법으로 수행법이 다변화되고 있다. 둘째, 간화선은 주먹구구식으로 지도했던 이전과는 달리 체계적인 지도, 발심, 법문, 수행, 점검체계를 통해 신도들에게 가까이 다가가고 있다. 발심법문과 지도 법문으로 화두가 살아 있는 화두가 되어 마음의 중심에 자리잡게 된 것이다. 셋째, 여러 가지 수행법이 절충되어 전개되고 있다. 간화선과 기초 참선으로서 다양한 지관법의 절충, 간화선과 간경의 절충, 염불과 절, 호흡법의 절충, 간경과 주력이 절충되고, 기타 여러 가지 명상법과 전통적인 수행법이 절충되어 퓨전화 되어가고 있다. 넷째, 이제 수행에서 상담의 요소는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요소로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상담의 과정에서 내면의 고통을 치유하는 심리 치료는 물론 수행치료의 효과를 보이고 있다. 다섯째, 신도들을 대상으로 하는 수행법이나 프로그램은 궁극적 깨달음이 수행의 목표이긴 하겠지만 그보다도 평상시 마음의 자유와 진정한 휴식을 얻는 방향으로 전개되고 있다. 여섯째, 수행법 강좌나 수행 프로그램이 대학생을 비롯한 청년 불자 포교의 새로운 돌파구를 마련해 나가고 있다. 일곱째, 그러나 아직 수행체계와 수행프로그램이 자기 완결구조를 갖고 있지 못하며 전문화되지 못하고 있다. 아울러 수행법과 프로그램을 지도할 지도자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상태이다. 이와 관련 앞으로 수행포교의 힘찬 장을 열어가려면 다음과 같은 과제를 해결해야 하리라고 본다. ① 현대적 의미의 수행 포교 방법론 및 다양한 수행 프로그램을 연구 개발해야 한다. 아울러 프로그램의 내용을 풍성히 하고 그 내용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시청각 자료라든가 콘텐츠 개발도 시급하다. ② 수행 프로그램의 내용도 중요하지만, 더 중요한 점은 그 프로그램을 지도하는 사람의 스킬과 역량이다. 양질의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도 훌륭한 지도자를 양성할 때 가능하다. 한시 바삐 수행법 지도인력풀을 형성하고 이들을 활용하는 방안을 찾아야 한다. ③ 외부의 소음으로부터 방해를 받지 않고 마음 편히 수행할 수 있는 고요하고 정갈한 수행 공간의 확보는 수행프로그램 진행을 위해서 무엇보다도 먼저 우선시 되어야 할 조건이다. ④ 특화된 수행법 및 수행프로그램 전문 사찰을 조성해야 한다. 다른 사찰과 차별될 수 있는 전문화된 수행 영역이나 프로그램을 최소한 하나 정도 정립해 놓아야 세상과 사람들의 관심과 주목을 받을 수 있으며 그 수행법으로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나갈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사찰 또한 성장할 수 있다. This paper is a comprehensive examination and forecast on the meaning, value, history, and current circumstance of propagation of Buddhism through Buddhist practice. Buddhist practice is to train mind and body based on the Buddha`s teaching in order to obtain spiritual peace, happiness, and ultimately the enlightenment. The goal of propagation of Buddhism through practice is to teach the people the method of practice, and thus help them to obtain spiritual peace and happiness. Propagation of Buddhism through practice is the core of the various propagation methods of Buddhism in these days, such as propagations through education, cultural activities, social welfare, and class focused activities. We can expect that the domain of propagation of Buddhism through practice expands gradually. Also the booming of well-being and meditation are also positive aspects for the future of propagation of Buddhism through practice. It is since 1980s that various methods and programs of Buddhist practice began to appear in the Korean society. Therefore, in 2000s, propagation of Buddhism through practice became the most popular method of propagation and opened new phase in the field of Buddhist propagation. The Buddhist practice methods and programs in today are as follows: First, the practice method is being diversified with the various methods including Sutra reading, bowing practice, Manta chanting, Vipassana, various methods of mission ``Ji-Kwan`of Mahayana Buddhism. Hwadu Seon is not the only practice method anymore. Second, Hwadu Seon is also approached by much developed and systematic method with teaching, invoking of mind, dharma talk, spiritual practice, and evaluation system. It resolved the various problems in the initial stage. Hwadu as the dharma of spiritual awakening and the dharma of teaching became living Hwadu, and is able to occupy at the center of mind. Third, the various practice methods are compromised each other. Various meditations are fused with Hwadu Seon. There happened other fusions among the methods: Hwadu Seon and Sutra reading, chanting and bowing practice, Sutra reading and Mantra chanting. Fourth, counseling became one of the essential components in the various practice methods. Counseling takes effect a physical cure as well as cure of practice. Fifth, the methods and programs of practice for lay-people focuses on how they can obtain peaceful mind and spiritual rest in their ordinary life, even though they still aim the ultimate enlightenment. Sixth, class for practice method and program became a new breaking through method of college student propagation. Seventh, however, the system and program of practice are not fully developed and specialized. Besides, there is not enough number of instructors who can teach and lead the practice and programs. For the future of the propagation of Buddhism through practice, the following issues must be resolved. 1. Modernized practice method and programs must be developed. The development of audio-visual materials and contents is urgent for the effective education and transmitting of information, 2. Not only the content of program, but also the instructor`s skill and capability are more important, Development of good program is possible when good instructors are raised, We have to build instructor pool and find out how to utilize them, 3, The most basic need is quiet and clean space in which practitioners can practice without being disturbed by noise and other disturbances, 4. We have to build monasteries specialized for practice programs, we need to build at least one monastery differ from other monasteries, and draws popular attention with its practice and program, It could be also the strategy for the development of the monastery.

      • KCI등재

        한국불교의 정신문화로서 신행·수행의의미와 치유에 대한 고찰

        오용석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22 동아시아불교문화 Vol.- No.50

        본 논문은 정신문화로서 신행·수행이 갖는 의미와 치유의 문제를 크게 ‘한국불교의 정신문화에 나타난 신행·수행’, ‘신행·수행에서 치유의 개념’, ‘신행·수행의 치유 관련 연구에 나타난 특징’의 세 가지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첫째, ‘한국불교의 정신문화에 나타난 신행·수행’에서는 불교의 사상적 특성이 발휘된 신행·수행 자체를 불교의 정신문화로 규정하고 논의를 시작했다. 여기서 신행은 부처님의 가르침을 믿고 수행하는 것이지만 수행은 신행을 전제하지 않으면 성립될 수 없기에 이 둘의 개념을 명확히 나누기 어렵다는 점도 살펴보았다. 그리고 한국불교는 중국이나 일본 등과 다르게 기본적으로 통합적 불교의 모습을 보여준다는 점에 주목했다. 둘째, 한국불교의 신행·수행에서 ‘치유’의 개념을 ‘치료’와 관련시켜 논의하였다. ‘치유’는 어떤 치료적 행위라기보다 치료의 과정을 통해 경험되는 상태이다. 따라서 치유의 과정 안에 반드시 ‘치료’라는 의료적 접근이 필요한 것은 아니며, 치료적 개입을 전제로만 정의될 수 없다. 즉 치유는 종교적 행위의 결과를 통해 나타날 수 있고, 불교적 신행·수행의 결과로도 나타날 수 있다. 신행·수행을 의학적 치료에 중점을 두고 이해하면 개인의 심리치료 내지 개인의 문제 해결에 국한될 것이지만, 치유적 개념을 통해 접근하면 대승불교의 이타적 개념까지 끌어낼 수 있다. 셋째, 한국불교에서 신행·수행의 치유 관련 연구에 나타난 특징을 선행 연구를 통해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치유 관련 연구를 개괄하여 자기치유, 관계치유, 치유원리, 응용범위의 네 가지 범주로 나누고 그것의 특징과 문제점을 논하였다. 신행·수행의 치유 관련 연구를 통해 한국불교에 나타난 융합·융섭의 특징뿐 아니라, 자기치유와 관계치유를 넘어선 사회적 치유까지 논의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문제점으로는 신행·수행의 치유와 관련된 연구가 대부분 인문학의 영역에 머물렀고 응용 범위 또한 제한적이었으며, 신행·수행의 치유 효과를 논할 때에는 현대 명상의 연구 성과에 크게 의존하고 있었다. 이러한 점은 자칫 신행·수행에 나타난 정신문화적 전통의 독특성을 잃어버리게 할 수 있다. This paper focused on the meaning of spiritual practice and healing as a spiritual culture and the problem of healing, mainly on ‘Belief and Practice As the spiritual culture of Korean Buddhism’, ‘the Meaning and Healing of Belief and Practice’ and ‘Characteristics Appearing in Healing-Related Studies of Belief and Practice’, appeared features were looked at from three perspectives. First, in ‘Belief and Practice As the spiritual culture of Korean Buddhism’, the Belief and Practice in which the ideological characteristics of Buddhism were defined as the spiritual culture of Buddhism. Here, we also looked at the difficulty of clearly dividing the two concepts because, although Belief believes and practices the teachings of the Buddha, it cannot be established without the premise of the practice. Also, I paid attention to the fact that Korean Buddhism basically shows an integrated Buddhist image, unlike China and Japan. Second, ‘healing’ was discussed in relation to ‘treatment’ in ‘the Meaning and Healing of Belief and Practice’ of Korean Buddhism. ‘Healing’ is a condition experienced through the process of treatment rather than any therapeutic action. Therefore, the medical approach of ‘treatment’ is not necessarily required in the healing process, and it cannot be defined only on the premise of therapeutic intervention. In other words, healing can appear through the results of religious actions and can also appear as a result of Buddhist Belief and Practices. If we focus on medical treatment and understand it, it will be limited to individual psychological treatment or individual problem solving, but if we approach it through a healing concept, we can bring out the altruistic concept of Mahayana Buddhism. Third, in ‘Characteristics Appearing in Healing-Related Studies of Belief and Practice’ of Korean Buddhism, the characteristics of healing-related studies of Belief and Practice were examined through previous studies. In this study, these healing-related studies were summarized and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self-healing, relational healing, healing principles, and the scope of application, and their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were discussed. Studies related to the healing of Belief and Practice show that not only the characteristics of Convergence and Reconciliation in Korean Buddhism, but also social healing beyond self-healing and relationship healing are being discussed. As a problem, most studies related to the healing of belief and practice stayed in the field of humanities, and the scope of application was limited. Furthermore, when discussing the healing effect of belief and practice, it was heavily dependent on the research results of modern meditation. Such a point may lead to loss of the uniqueness of the spiritual and cultural traditions that appear in Belief and Practice.

      • KCI등재

        마태복음에 나타난 예수의 가르침과 행함의 영성

        유은호 연세대학교 신과대학 연합신학대학원 2022 신학논단 Vol.109 No.-

        본 논문은 마태복음에 나타난 예수의 영성이 ‘가르침’과 ‘행함’이라는점을 밝히고 있다. 연구자는 사회적 정황과 영성적 측면에서 마태공동체의 형태와 성격을 규명하여 예수의 영성을 추적하였다. 그런 차원에서 연구자는 마태공동체 내에는 두 그룹이 존재한다고 보았다. 즉, 한 그룹은‘유대교적 기독교인 그룹’이며, 다른 그룹은 ‘이방 기독교인 영성 그룹’이다. 이 두 그룹은 예수의 가르침과 행함의 영성을 가지고 서로 대립한다. 그러나 마태는 이 두 그룹의 대립을 공존시키기 위해 이 두 주제를 각각다른 기능으로 사용한다. 다시 말해, 마태 공동체 내의 유대교적 기독교인 그룹은 예수의 가르침과 행함의 영성을 가지고 유대교 회당과 학문적으로 부분 대립을 하는 데 사용했으며, 이방 기독교인 영성 그룹은 다른복음서 공동체와 영성의 경쟁과 차별화를 위해 사용했다고 추정한다. 나아가 본 논문은 마태복음에 나타난 예수의 가르침과 행함의 주제를 유대교 회당과의 전면 대립 관계로만 보았던 통상적인 관점에서 벗어나 부분대립관계로 수정한다. 또한, 마태는 외연을 확장하여 가르침과 행함의 주제를 가지고 선교적 관점에서 다른 복음서 공동체와 영성의 경쟁과 차별화를 위해 사용했다는 점을 부각했다. 특히, 마태공동체는 도시공동체로서 도시의 지식인들을 선교하기 위하여 예수의 가르침과 행함의 영성을강조했다고 보았다. 따라서 본 논문은 마태복음에 나타난 가르침과 행함의 주제는 마태공동체가 선호한 예수의 이상적인 신앙유형이며, 영성이라는 점을 주장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 방법은 주로 문헌 연구 방법론을사용하였다. 주로 Q 자료와 마태의 특수자료, 그리고 신약의 사복음서를주 자료로 삼아 각 복음서 간의 차이점을 병행 구 중심으로 대조 연구하였다. 결론적으로 연구자는 본 논문을 통하여 마태복음에 나타난 예수의 영성은 가르침과 행함이라는 점을 주장하였다. 아울러 기독교 영성의 기원적 존재인 예수의 영성을 통하여 오늘날 기독교에서 통용되는 영성 혹은영성가들이 주장하는 영성의 내용과 비교해 보고, 그 진위(眞僞)를 식별해보는 기회가 되기를 기대한다. This thesis reveals that the spirituality of Jesus in the Gospel of Matthew is his ‘teaching’ and ‘practice’. The researcher traced the spirituality of Jesus by examining the form and character of Matthew’s community in terms of sociological context and spirituality. In this respect, the researcher observed that there were two groups in Matthew’s community. That is, one group is the ‘Jewish-Christian group’ and the other group is the ‘Gentile-Christian spirituality group’. These two groups opposed each other in terms of the spirituality of Jesus’ teaching and practice. However, Matthew regards these two subjects as two different functions to make the conflicting aspect of these two groups coexist. In other words, it is presumed that the Jewish-Christian group within the Matthew community used the spirituality of the teaching and practice of Jesus in academic conflict with the synagogue and the Gentile –Christian spirituality group used it to compete with and differentiate from other evangelical communities. Furthermore, this thesis changes the view of Jesus’ teaching and practice in Matthew’s Gospel into a partial confrontation, breaking away from the conventional view that only regarded it as a total confrontation with the synagogue. In addition, Matthew expanded the missionary scope and emphasized the theme of teaching and practice which was used for competition and differentiation of spirituality with other evangelical communities from a missionary point of view. In particular, it was seen that the Matthew community emphasized the spirituality of the teaching and practice of Jesus in order to evangelize the intellectuals of the city as urban community. Therefore, this thesis asserts that the subject of teaching and practice in the Gospel of Matthew is the ideal type of faith of Jesus preferred by the Matthew community, which is also Jesus’ spirituality. The research method of this thesis mainly used literature research method. Mainly using Q data, Matthew’s special data, and the four Gospels of the New Testament as main sources, the differences among the Gospels were studied in parallel with a focus on parallel passages. In conclusion, the researcher asserts that the spirituality of Jesus in the Gospel of Matthew is his teaching and practice. Through this thesis, it is expected that through the spirituality of Jesus, who is the origin of Christian spirituality, it will be an opportunity to compare with the spirituality currently used in Christianity or the content of spirituality claimed by spiritualists, and to discern its authenticity

      • KCI등재후보

        동학·천도교의 수행론:주문, 성경신, 오관을 중심으로

        오문환 동학학회 2007 동학학보 Vol.11 No.1

        Spiritual realization of Choi Je-Woo became the starting point of Donghak· Chondogyo. He made up a series of spiritual practices through which everybody can be unified with the one ultimate cosmic force and became a saint. He was confident that those who practices his spiritual practices can get the realization within 3 years. Spiritual practices Chondogyo can be analysed in three categories; Mantra Meditation, spiritual practices in everyday life and Institutionalized spiritual practices. Semantical analysis of Mantra shows us the concrete processes of spiritual realization of Chondogyo; bearing the ultimate Being inside, becoming one with the One ultimate cosmic force, knowing the God and the Cosmos completely. In Chondogyo everyday life itself is understood as the manifestation of God. Therefore Haewol taught respect and serve everybody as the God. Here I analysed the 3 principles of human conduct in life(Belief, Respect, Sincerity). Lastly I analysed the institutionalized spiritual practices of Chondogyo, for example, serving the pure water and pure rice. The result of these spiritual practices was expressed in concepts like 'Superior Man', 'Kingdom of Heaven in this earthly world', 'Returning to the Oneness'. In other words, only through these spiritual practices man can be get self realization and build the ideal human community. 동학·천도교는 영적 체험에서부터 시작되었기 때문에 이를 체득 또는 심득하는 구체적인 절차와 도법 연구는 매우 중요하다. 천도교 수행의 궁극적 목적은 하나의 지극한 기운과 하나가 되어 우주만유와 하나가 되고, 하늘마음과 하나가 되어 지극한 성인이 되는 것이라 하였다.천도교의 수행 방법은 주문수행, 생활수행, 제도속의 수행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주문수행에서는 모심·정함·앎의 세 단계를 분석하였으며, 생활수행에서는 일상생활에서의 인간행동의 도덕적·윤리적 덕목인 믿음· 공경· 정성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제도수행에서는 수행이 천도교의 제도에 어떻게 반영되어 구현되었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수행의 결과는 흔히 ‘지상신선’, ‘지상천국’, ‘동귀일체’ 등으로 개념화된다. 여기에서 자기완성과 공동체 완성이 수행에 의하여 가능해진다는 점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원불교 마음공부

        장진영 ( Jin Young Jang ) 한국신종교학회 2021 신종교연구 Vol.44 No.-

        신종코로나바이러스(Covid-19)의 대유행(pandemic)으로 인해 코로나 이전(Before Corona)과 이후(After Corona)의 구분이 생겼다. 코로나19의 영향은 사회 전반에 미치고, 종교계도 예외는 아니다. 이제 인류는 기존의 활동을 대부분 언택트로 전환하고, 나머지 컨택트 활동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전환하고 있다. 이러한 급속한 변화과정에서 오프라인 접촉의 단절에 의한 심리적 고통은 더 깊어질 것이며, 온라인 언택트 연결의 가속화에 따른 물리적 고통도 더 커질 것이다. 이에 종교 본연의 역할에 대한 깊은 성찰이 필요하다. 한편 언택트를 통한 연결은 가속화되지만, 인간 상호간의 접촉은 줄어들면서 심리적 고독과 우울은 더욱 심화되고 있다. 이런 점에서 종교는 외적 변화에 대한 대응과 함께 능동적이고 자발적인 대응 역량을 갖출 필요가 있다. 포스트코로나 시대는 그 어느 때보다 인류에게 영적 가르침과 깨달음을 위한 명상 등 ‘지금 여기’ 일상에서 마음공부가 더욱 요청되는 시대라 할 수 있다. 원불교 마음공부는 소태산의 가르침에서 비롯되었다. 그는 일찍부터 ‘마음을 잘 사용하는 법(用心法)’을 강조하였으며, “마음공부 잘 하여서 새 세상의 주인되자”라는 정산의 유시를 통해 마음공부는 교단 내에서 확산되었다. 이후 1990년대 초 마음공부가 대중에게 소개되고, 90년대 후반에는 대안교육에 적용, 그 교육적 효과가 입증되면서 일반인에게도 확산되기 시작하였다. 한편 2000년대 마음공부의 정체성, 개념 및 방법론 등에 대한 이른 바 ‘마음공부 논쟁’을 거치면서 원불교학의 일부로서 마음공부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진행되었다. 2010년대에 들어서 ‘마음공부의 사회화’를 위한 프로젝트가 정부기관의 지원 사업 수주와 우수한 평가 등을 받음으로써 한국사회에서 공적 영역에서도 긍정적인 역할을 하게 되었다. 코로나 상황을 맞이하여 마음공부에 대한 대중적 수요는 온라인(언택트) 환경에 맞는 프로그램 및 콘텐츠 활용, 일상에서의 소그룹 중심 공부 활성화, 그리고 맞춤형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등 마음공부 프로그램의 세분화와 전문화의 과정이 가속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포스트코로나 시대에는 과학혁명이후 급속히 팽창한 물질문명의 영향력은 더욱 커져갈 것이기 때문에, 이를 선용할 정신문명을 바로 세우는 일, 즉 마음의 주체적 역할과 능동적ㆍ참여적 마음공부를 강조하는 ‘마음혁명’이 절실히 요청되고 있다. The pandemic of the novel coronavirus (Covid-19) caused a distinction between Before Corona and After Corona. The impact of Corona 19 is on society as a whole, and religion is no exception. Now, humanity has no choice but to switch most of its existing activities to uncontact and minimize the rest of its activities. In this rapid material change, the psychological distress caused by disconnection of offline contact became deeper. Deep reflection on the original role of religion is needed on the physical pain caused by the acceleration of online uncontact connectivity. On the other hand, connections through uncontact accelerate, but psychological loneliness and depression are deepening as human interaction decreases. In this regard, religion is desperately requested to respond to external changes and to make efforts to have active and voluntary response capabilities. Post Corona Era is an era in which mindful practices are more requested in the “Now Here” routine, such as spiritual teaching and meditation for enlightenment to mankind than ever before. The Won-Buddhist mindful practice was attributed to Sotaesan’s teachings. He emphasized early on ‘how to use the mind well.’ Mindful practice was spread in Won-Buddhism through the use of Jeongsan’s “Let’s be good at Mindful practice and become masters of the new world.” In the early 1990s, Mindful Practice was introduced to the public, and in the late 1990s it was also applied to alternative education and its educational effect was proven, and it also began to spread to the general public. During the 2000s, the so-called ‘mindful practice debate’ on the identity, concept, and method of mindful practice led to systematic research on mindful practice as part of Won-Buddhist studies. In the 2010s, projects for “socialization of mindful practice” also played a positive role in the public sector in Korean society as they received support from government agencies and excellent evaluations. In the face of the Corona situation, public demand for mindful practice is expected to accelerate the process of segmentation and specialization of mindful practice programs, such as utilizing programs and contents suitable for online (untact) environments, activating small group-oriented practices in daily life, and developing and applying customized programs. Especially in the Post Corona era, the influence of material civilization, which has rapidly expanded since the scientific revolution, will grow, so It is necessary to develop Spiritual civilization well. In order words, I think it is time for a “Mind Revolution” that emphasizes the subjective role of the mind and active and engaged mindful practice is desperately requested.

      • KCI등재

        易學을 통해본 圓覺經의 成佛論 -周易과 正易을 중심으로-

        이현중 한국동서철학회 2019 동서철학연구 Vol.0 No.94

        In this pap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riginal destiny to attain Buddhahood and spiritual practice, as set forth in the Complete Enlightenment Sutra, was considered based on the principle of inverted and reverse generation and completion (倒逆生成) in the Jeong Yeok (正易), which is a classic text of studies in the Book of Changes, based on thoughts unique to Korea. If a person is destined to attain Buddhahood, not only is spiritual practice unnecessary, but also ignorance cannot exist—and if ignorance exists, a person cannot be said to be a Buddha. This is a problem that arises when spiritual practice is discussed from the dichotomous viewpoint that understands nature and phase, people and Buddha, and ignorance and complete enlightenment separately from the viewpoint of things. Problems arising from the viewpoint of things or the viewpoint of “beginning followed by ending” are resolved only when the problems are understood from the viewpoint of “ending followed by beginning.” This is a method for considering spiritual practice—not from the opposite viewpoint, which is from people directed toward Buddha—but from the viewpoint of the original destiny to attain Buddhahood, that is, in the forward direction, from Buddha toward people. The two approaches are not two, but the representation of what was originally one approach but from two separate viewpoints. The Book of Changes indicates changes from ending to beginning as inverted generation and reverse completion (倒生逆成), and changes from beginning to ending as reverse generation and inverted completion (逆生倒成), thereby indicating that the two ways are one body but can be distinguished from one another. If spiritual practice is understood from the viewpoint of reverse generation and inverted completion, based on inverted generation and reverse completion, life per se will be a spiritual practice. If life is represented from the viewpoint of inverted generation and reverse completion centering on wisdom, life itself will be a manifestation of complete enlightenment. If the manifestation of complete enlightenment is represented from the viewpoint of reverse generation and inverted completion, it will be ignorance, people, and an inherent sense of the past, that is, of the aspect of all phenomena, the final, complete enlightenment and Buddhahood in the the future—that is, the aspect of the main body—and an awakening and epiphany in the present. These three viewpoints can be represented as one, following awareness. 본고에서는 『원각경』의 成佛論을 中國易學의 전적인 『周易』의 順逆合一과 韓國易學의 전적인 『正易』의 倒逆生成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우리는 일상의 삶으로부터 遠離心을 發하여 수행을 일으키도록 하기 위하여 實相의 세계를 물건적 관점에서 가치상의 우열을 가진 性과 相, 중생과 부처, 무명과 圓覺의 양자로 구분하여 중생, 무명을 벗어나서 원각, 부처에 이르는 수행과 成佛을 논한다. 그러나 相에서 性을 향하는 상구보리는 逆방향 중심의 證悟成佛論으로 順방향의 衆生本來成佛論과 모순을 일으킨다. 중생이 본래성불이라면 무명이 없어서 수행을 할 필요가 없고, 무명이 있다면 부처라고 할 수 없음은 물론 수행을 통하여 성불할 수 없다. 따라서 물건적 관점에서 제시된 실상의 두 측면인 본래성불과 증오성불이 하나가 되는 合一이 필요하다. 물건적 관점에서 중생이 수행을 통하여 成佛함은 사건적 관점에서는 불성, 圓覺이 씨가 되어 수행이라는 사건으로 나타나는 생성이다. 그것은 수행이란 중생이 부처가 되는 물건적 변화가 아니라 본래 부처가 자기를 드러내는 始終의 事件임을 뜻한다. 따라서 물건적 관점에서 實相을 이해하는 것을 바꾸어서 사건적 관점에서 이해할 필요가 있다. 『正易』에서는 세계를 사건적 관점에서 倒逆生成으로 나타내고 있다. 역생도성이 씨를 뿌려서 가꾸는 과정이라면 도생역성은 열매가 씨로 사용되는 과정으로 씨도, 싹도, 꽃도 모두 열매의 다양한 모습이다. 도역생성의 관점에서 보면 수행은 佛性의 작용, 圓覺의 작용인 점에서 不修之修이고, 성불 또한 이룸이 없는 成佛이며, 삶과 수행이 일체인 점에서 삶이 그대로 淨覺을 隨順함이다.

      • KCI등재

        신라승 불가사의(不可思議)의 실담아자(悉曇字)에 대한 삼종비석사상(三種비釋思想)

        강대현 ( Dae Hyun Kang ) 한국사상사학회 2014 韓國思想史學 Vol.0 No.47

        『대비로자나경공양차제법소(大毘盧遮那經供養次第法疏)』는 『대일경』 제7권, 공양차제법에 대해서 8세기경 신라의 승려 불가사의가 주석한 책이다. 이 『소』의 찬술자 불가사의는 신라의 의림, 현초는 물론 『대일경의석』을 지은 일행(一行) 등과 함께 선무외(善無畏)삼장의 같은 문하이기도 하다. 이 『소』에서는 모든 자(字)의 모[母, 근본]로서 비로자나여래의 종자심진언(種子心眞言)인 자를 나타내어 진언수행의 성취로서 ‘실담자’로 표현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실담자’가 진언행자와 대일여래의 삼밀가지(三密加持), 즉 입아아입(入我我入)의 완성자(完成字)인 것이다. 또한 이 책의 말미에는 불가사의만의 독특한 자에 대한 해석법으로서 3종의 비석(비釋)을 제시하고 있는데, 그것이 바로 비밀석(비密釋), 비밀중비석(비密中비釋), 비비중비석(비비中비釋)이다. 여기에 모든 경전 등의 기본적 해석법인 천략석(淺略釋)을 포함하면 4종비석이 된다. 특히 이러한 4종비석은, 선무외와 일행의 제경문(諸經文)을 포함한 모든 진언의 천략석과 심비석과는 달리, 자 본불생(本不生) 등의 이치는 물론 자의 설주(說主)에 대한 설정까지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자의 설주 및 자 본불생 등의 심비적 진실의에 관해서는 『대비로자나경공양차제법소』의 저본(底本)인 선무외의 『대일경』은 물론 일행이 기록한 『대일경소』, 그리고 『대일경의석』에서 조차도 등장하지 않는 신라승인 불가사의만의 독특한 철학적·심비적(深비的) 정의라고 할 수 있다. 더욱이 후일 일본밀교에서 이러한 불가사의의 4종비석을 그대로 수용하여 그들의 핵심사상으로 받아들이게 되는데, 9세기말경 일본 태밀(台密)의 대성자인 안연(安然)은 일본 진언종의 모든 경문을 포함한 밀교경궤(密敎經軌)와 진언 해석의 근본사상으로서 불가사의의 4종비석을 매우 중시하게 된다. 또한 일본밀교의 특성상 실담자모(悉曇字母, Siddha-matrka)와도 밀접한 관련성을 지니는데, 이 과정에서 불가사의의 4종비석은 그 해석의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따라서 신라승 불가사의가 정립한 4종비석은 진언수행의 성취를 나타내는 실담자의 가장 밀교적인 양상을 특징짓고 있다고 할 것이다. The book, the Commentary code of training for Mantra Practice on Mahavairocana-sutra『大毘盧遮那經供養次第法疏』[It corresponds to the Mahavairocana-sutra『大日經』 vol. Ⅶ], is a comment on Silla monk Bulgasayi不可思議 about the code of training for mantra practice at 8th century. The author of this book, Bulgasayi, and Yilim義林 and Hyuncho玄超, Explanation of the Meanings of the Mahavairocana-abhisambodhi-tantra『大日經義釋』 as well as wrote Yixing一行 is also, along with Subhakarasimha善無畏``s disciples. He predicts the letter siddham as a accomplishment of mantra practice by the mantra of heart``s seed of Mahavairocana at the root of all the letters in this book. So this the letter siddham is seed word of Mahavairocana and achieved word as the interpenetration of the Buddha and the individual. The last part of the book, he suggests his own unique analysis three ways to be mysterious as the analysis method of the letter siddham , that is ``a secretly explain비密釋``, ``a spiritual explain among explain secret비密中비釋``, ``a profound spiritual explain among explain secret秘秘中秘釋``. Especially the three kinds of spiritual explain with set the lord of explain the letter is truly one of the performing esoteric theory in contrast with Subhakarasimha and Yixing``s two kinds of explain as a transmission of the teaching from master to disciple secretly. Therefore, set theory of the lord of explain the letter and it originally unproduced, it is a unique definition of philosophical and profound theory set by the Silla monk Bulgasayi. Furthermore, his three kinds of spiritual explain is in charge of a key role to the process of four kinds of spiritual explain in Japan esoteric Buddhism finally, the end of the 9th century, it is generalized the four kinds of spiritual explain by Annen安然, as the man of attainment of greatness Tendai as esoteric school天台密敎, through combined the Subhakarasimha and Yixing``s two kinds of explain and Bulgasayi``s three kinds of spiritual explain. The four kinds of spiritual explain has been unfolds a basis idea of explaining mantras including all of the sutras and regulations and scriptures in Japan Shingon Buddhism日本眞言宗. Thus, the four kinds of spiritual explain set by the Silla monk Bulgasayi, it is the most esoteric aspects that will show the letter siddham as a accomplishment of mantra practice.

      • 한국 기독교사회복지실천학의 의미에 관한 탐색적 고찰 : 김덕준, 박종삼, 이부덕의 기독교사회복지 사상을 중심으로

        이준우 ( Junwoo Lee ) 한국기독교사회복지실천학회 2024 기독교 사회복지 Vol.6 No.0

        본 연구는 김덕준(1919-1992), 박종삼(1933-현재), 이부덕(1939-현재)의 사회복지사상 속에 담겨진 기독교사회복지실천 담론을 고찰하면서 한국 기독교사회복지실천학의 의미와 과제를 살펴보는 데 목적을 둔다. 바로 한국 기독교사회복지실천학의 선구적 학자라 할 수 있는 김덕준, 박종삼, 이부덕의 기독교사회복지 사상을 통해 기독교사회복지실천학의 본질과 의미, 그에 따른 학문으로서의 과제에 대해 살펴보려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김덕준, 박종삼, 이부덕의 행적과 연구 및 교육 행위 등과 관련된 세 사람의 저서와 연구, 인터뷰 및 만남의 결과물, 참여관찰 내용물, 각종 사진 및 언론과 미디어 게재 자료 등을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자료분석 방법은 통합적 문헌고찰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세 사람으로부터 도출된 기독교사회복지실천학으로서의 의미는 첫째, 사회적 섬김을 지향하는 생명 존중의 기독교사회복지실천학, 둘째, 사회적이며 공공적인 ‘실천과 교육 공간’으로서의 기독교사회복지실천학, 셋째, 공감과 공생의 기독교사회복지실천학이었다. 이 세 사람의 학문적 지향성을 계승하기 위한 기독교사회복지실천학의 과제는 첫째,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창의적 상상력의 발휘, 둘째, 지역사회의 필요와 욕구에 기초하기, 셋째, 공동체적 기독교 영성 운동활성화, 넷째, 미시ㆍ중범위ㆍ거시를 아우르는 영성적 사회복지실천의 확대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발견한 시사점으로는, 김덕준, 박종삼, 이부덕의 기독교사회복지 사상과 이론은 한국기독교사회복지실천이 실현해야 할 구체적인 내용들을 기획함과 동시에 그와 같은 기획들을 비판하는 개념적 틀로 작용하고 있었다는 것이다. 이는 아직도 김덕준과 박종삼, 이부덕의 학문적 성과가 계승되지 못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discourse of Christian social welfare practice embedded in the thoughts of Deok Joon Kim (1919-1992), Jong Sam Park (1933-present), and Boo Duck Lee (1939-present), exploring the significance and challenges of Korean Christian social welfare practice. Specifically, it seeks to investigate the essence and meaning of Korean Christian social welfare practice and the academic tasks that follow, through the Christian social welfare thoughts of Deok Joon Kim, Jong Sam Park, and Boo Duck Lee, who can be considered pioneering scholars in Korean Christian social welfare practice. The research method involved analyzing the writings, research, and educational activities of the three individuals, as well as the results of interviews and meetings, participant observations, various photographs, and media materials. The method of data analysis employed the integrative literature review method. The research findings reveal that the meaning of Christian social welfare practice derived from these three individuals encompasses: firstly, Christian social welfare practice that values life and respects social service; secondly, Christian social welfare practice as a social and public space for action and education; and thirdly, Christian social welfare practice based on empathy and symbiosis. The tasks of Christian social welfare practice to continue the academic orientation of these three individuals include: fostering creative imagination to solve social problems, basing actions on the needs and desires of local communities, activating communal Christian spiritual movements, and expanding spiritual social welfare practices that encompass micro, meso, and macro levels. A key implication uncovered through this study is that the Christian social welfare thoughts and theories of Deok Joon Kim, Jong Sam Park, and Boo Duck Lee serve both to conceive concrete contents that Korean Christian social welfare practice should embody and to provide a conceptual framework for critiquing such conceptions. This indicates that the academic achievements of Deok Joon Kim, Jong Sam Park, and Boo Duck Lee have yet to be fully inheri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