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업코칭, 수업장학, 수업컨설팅에 대한 개념적 분석

        이은혜 ( Eunhye Lee ),박인우 ( Innwoo Park ) 한국교육공학회 2017 교육공학연구 Vol.33 No.1

        이 연구는 수업코칭, 수업장학, 수업컨설팅의 공통적 속성과 차별적 속성을 밝힘으로써 각각의 수업개선 활동을 개념적으로 구분하고 용어 간 관계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수업 개선을 위한 지원 활동으로서 수업코칭, 수업장학, 수업컨설팅은 수업의 개선과 교사의 수업전문성 신장을 근본적 목적으로 한다는 점에서 공통의 속성을 갖는다. 그렇지만 각각의 영역은 사회적 흐름과 교육현장의 요구에 따라 변화하며 고유한 활동 체계를 만들어 냈다. 따라서 각 활동의 개념과 속성, 영역을 구분해보는 것은 의미가 있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로는 첫째, 코칭, 장학, 컨설팅의 유래는 무엇인가?, 둘째, 기존 국내 연구에서 수업코칭, 수업장학, 수업컨설팅은 어떻게 정의되는가?, 셋째, 수업코칭, 수업장학, 수업컨설팅의 공통적 속성과 차별적 속성은 무엇인가? 로 설정하였다.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해 문헌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먼저 코칭, 장학, 컨설팅의 개념적 유래와 사전적 의미를 각각 살펴보았다. 또한 수업코칭, 수업장학, 수업컨설팅과 관련하여 국내에서 이루어진 선행 연구를 살펴봄으로써, 연구자에 따라 각 개념을 어떻게 정의하고 있는지 정리하였다. 수업코칭, 수업장학, 수업컨설팅 개념 간 양자비교도 하였는데, 우선 수업코칭과 수업컨설팅의 행위의 대상, 문제해결 방식, 컨설턴트와 코치의 역할에서 차이를 보였다. 수업코칭과 수업장학의 구분은 참여주체 간 관계, 장학담당자와 코치의 요건, 문제의 정의와 해결과정을 기준으로 볼 때 가능하다. 수업컨설팅과 수업장학은 분석대상, 참여주체 간 관계, 문제 원인과 해결방안, 실행에서 차이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수업코칭, 수업장학, 수업컨설팅의 기존 정의를 분석하여 공통적 속성과 차별적 속성을 찾아내고, 세 개념 간 구분과 관계를 설명하였다. 결론에서는 수업컨설팅의 개념이 활동의 성격을 보다 잘 담아낼 수 있도록 재정의 될 필요가 있으며, 수업장학과 수업코칭 간의 관계를 재고해 보는 연구가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conceptually the difference of instructional coaching, instructional supervision, and instructional consulting by analyzing their own characteristics. The practices for instructional improvement are common in that fundamental objectives are improvement of instruction and development of teacher`s professionalism in instruction. However, each area changed according to the social flow and the demands of the educational field and created a unique activity system. So, in order to get rid of this mixed use of these terms, it is meaningful to distinguish the concepts, attributes, and areas of each activity. The specific study questions were 1) what is the origin of coaching, supervision, and consulting? 2) how are instructional coaching, instructional supervision, and instructional consulting defined in existing research in korea? 3) how can we conceptually distinguish instructional coaching, instructional supervision, and instructional consulting? Based on reviewing various existing studies, Firs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onceptual origins and lexicons of coaching, supervision, and consulting, respectively, in addition reviewd the prior studies conducted in Korea with regard to instructional coaching, instructional supervision, and instructional consulting, and summarized how each concept is defined according to the researcher. Second, this study compared each two concept with another one. Finally, the existing definitions of instructional coaching, instructional supervision, and instructional consulting were analyzed to find out the inherent and common attributes of each concept.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 that the concept of instructional consulting needs to be redefined to better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activities, and that studies that rethink the relationship between instructional coaching and instructional supervision are needed.

      • KCI등재

        수업장학, 수업컨설팅, 수업코칭의 개념의 혼란과 차이 탐색

        박은진(Park, Eunjin) 한국열린교육학회 2020 열린교육연구 Vol.28 No.2

        Teachers, school supervisors, research institutes, and educators continue to research and practice to improve their classes and overall instruction. Class improvement methods in schools include instructional supervision, instructional consulting, and instructional coaching. The methods are being carried out in schools without theoretical agreement on their concepts, which only add to the confusion in the field. In this regard, this study summarizes the historical and current status of instructional supervision, instructional consulting, and instructional coaching, and examines the conceptual confusion of instructional supervision, instructional consulting, and instructional coaching. Also, this study analyzes the conceptual characteristics of instructional supervision, instructional consulting, and instructional coaching, and arranges the conceptual attributes. As a result of the research, instructional supervision, instructional consulting, and instructional coaching are being actively conducted in schools, and they have something in common with classes and teachers. However, they have unique conceptual characteristics in terms of goals and targets, the relationships among participants, the stages and procedures of the activities, and the expertise. In order for them to be active in schools, they must be implemented in accordance with their conceptual characteristics. It is true that there is an imbalance in the degree of accumulation of study between instructional supervision and instructional consulting and instructional coaching. In the future, it is suggested that research on instructional consulting and instructional coaching be continued. Also, teachers will need to actively conduct field research. In addition to practical research, it is necessary to conduct theoretical research on teachers resistance to class improvement activities in schools. 교사, 장학사, 연구기관, 교육학자들은 더 나은 수업을 위해 꾸준한 연구와 실행을 지속하고 있다. 학교에서 실행 중인 수업개선 방법에는 수업장학, 수업컨설팅, 수업코칭 등이 있다. 하지만 이들의 개념에 대한 이론적 합의 없이 학교에서 실행되고 있어 현장에서는 혼란만 가중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수업장학, 수업컨설팅, 수업코칭의 역사와 현황을 정리하고, 수업장학, 수업컨설팅, 수업코칭의 개념적 혼란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 수업장학, 수업컨설팅, 수업코칭의 개념적 특성과 차이에 대해 분석하고 개념적 속성을 정리하였다. 연구결과 수업장학, 수업컨설팅, 수업코칭은 학교현장에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수업과 교사를 대상으로 한다는 공통점이 있다. 하지만 목표와 대상, 참여자와 참여자들의 관계성, 활동의 단계와 절차, 참가자들의 역할과 전문성의 측면 등에서 고유한 개념적 특성을 갖고 있다. 이들이 학교에서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개념적 특성에 맞게 실시되어야 한다. 또한 수업개선의 여러 가지 필요성과 문제점에 대하여 교사들의 실행연구와 더불어 이론적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태권도 품새 선수가 인식한 지도자의 코칭언어와 지도자의 신뢰 및 지도효율성의 관계

        최관용 ( Choi Kwan-yong ),김철용 ( Kim Cheol-yong ) 한국체육대학교 체육과학연구소 2019 스포츠사이언스 Vol.36 No.2

        Taekwondo Poomsae has adopted as an Asaian Games programme in 2018 Jakarata Palembang and Republic of Korea won in whole events, two gold medals, a silver and a bronze medal. In addition, it has received substantial attention of media that coaches of two events which Korea could not win were Koreans, Poomsae showed preeminent performance and coaching ability as a Korean national sport. Various coaching methods are applied in practical sessions of Poomsae. One of the most frequently using methods is verbal coaching. Coaching language acts as a main factor for Poomsae athletes in techincal instruction, communication, interaction, et cetera. In particular, The reason why coaching language is crucial particularlly for Poomsae coaches is that they might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plenty of athletes by not only instructing technique to them but also motivating them psychologically. Likewise, the primary factor to determine the capability of coahces is performance enhancement of athletes’ based on confidence towards coaches. Therefore, this research aim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oahing language, coach-confidence and instruction-efficiency in order to contribute to the advancement of coaching. For the research, 274 samples were collected by convenience sampling who are registered to Korea Taekwondo Association and have ever participated in authorised competition of it. Overall, 223 of them were analysed by frequency, confirmatory factor, reliability, correlation and structural equating model analysis thorugh SPSS 21 and Amos 21 and the results are followed: Firstly, coaching language which is perceived by athletes has an effect on coach-confidence. Secondly, coaching language perceived by athletes affects on instruction-efficiency. Concretely, negative coaching language has negative impact on instruction-efficiency. Finally, coach-confidence of athletes has positive impact on instruction-efficiency. As mentioned above, there is a relationship between the coaching language of Taekwondo's bird leader and the trust of its leader and the effectiveness of its leadership.

      • KCI등재

        교양영어 과목에서의 세 가지 코칭교수법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과 태도 연구

        김재경,문은주 한국교양교육학회 2016 교양교육연구 Vol.10 No.3

        This study examines EFL learners’ perception and attitude toward three types of coaching (self-coaching, peer-coaching, and teacher-coaching) on enhancing college students' English ability. The participants of coaching instruction were 57 university students enrolled in English classes. The treatments lasted for 8 weeks from Week 3 through Week 11 except mid-term exam, Week 8. The researchers observed the learners’ reaction and attitude and kept journals. A questionnaire survey was administered in Week 11 to find out the learners’ opinions about coaching instruction in terms of interest and perceived effectiveness. In addition, twenty participants from the two treatment groups were interviewed to recognize the participants’ opinions about three types of coaching. The analysis of the results showed that the learners’ attitude became more active and positive after coaching. Furthermore, the learners reported that coaching instruction was helpful in enhancing their motivation and learning performance. The result of interview showed that three types of coaching had a large number of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The overall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coaching instruction has beneficial effects in EFL learning to promote learners’ motivation as well as their performance. 이 논문의 목적은 교양영어 과목에 있어서의 세 가지 코칭교수법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과 태도를 연구하는 것이다. 교양영어 쓰기와 어휘과목의 학습자 57명을 대상으로 자가코칭, 동료코칭, 교수자코칭을 시행하였다. 수업 3주차부터 11주차까지 8주간 행한 실험을 통해 첫째로 학습자들의 코칭에 대하여 어떠한 변화를 보이는지 관찰항목을 정해 자연관찰하였다. 둘째는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여 수업 흥미도와 수업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셋째는 인터뷰를 통해 코칭에 대한 학습자들의 인식과 개선사항을 알아보았다. 실험 결과 자가코칭에 있어서는 학습자들이 주도적으로 바뀌어 적극적으로 활동에 참여하는 모습으로 바뀌는 것이 관찰되었다. 동료코칭에 있어서는 친구에게 배운 내용을 설명해 주거나 들어주는 역할을 담당하므로 책임감을 느끼기 시작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교수자코칭은 개인적으로 교수자와 만남으로서 맞춤형 코칭을 통해 자신감을 갖게 되고 학습 만족도가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수업 흥미도와 수업 효과 설문조사에서는 긍정적으로 답변한 수치가 수업 흥미도와 수업 효과면에서 모두 높았다. 수업흥미도와 수업효과에 코칭이 도움이 된다고 인식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인터뷰 결과에서는 각 코칭의 장점과 단점이 모두 나타났으나 장점이 단점보다 훨씬 많았다. 다양한 의견을 개진하여 코칭 수업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세 가지 종류의 코칭교수법으로 학습자의 학습태도가 적극적이고 긍정적으로 바뀌었고 학습자들의 흥미와 효과를 높여준다고 인식하며 EFL 여건에서 영어능력을 높여 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중고 핸드볼 코치의 지도유형과 선수만족 및 지도효율성의 관계에서 경기력 수준의 조절효과 분석

        안길영(An Gil-Young) 한국체육과학회 2011 한국체육과학회지 Vol.20 No.4

        This study aimed to present moderate effects of performance level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meddle-high school handball coaches’ instructional behavior types, athletes’ satisfaction and instructional effectiveness, and then this study will provide a guideline for the middle-high school handball coaches to educate their athletes efficiently. 341 junior(middle-high school students) handball athletes’ data included 15 teams of middle school division and 16 teams of high school division used for the study.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descriptive statics, path analysis by structural equation and moderate effects with SPSS 15.0 and AMOS 7.0 software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in the followings. First, Training and instruction behavior, social support behavior, and positive feedback behavior among junior handball coaches’ instructional behavior types effect to athletes’ satisfaction and instructional effectiveness. Second, Training and instruction behavior, social support behavior, positive feedback, and autocratic behavior among junior handball coaches’ instructional behavior types effect to instructional effectiveness. Third, Athletes’ satisfaction satisfaction has positive relationship with instructional effectiveness. Fourth, Junior athletes’ performance level has moderated athletes’ satisfaction eff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junior handball coaches should emphasize that athletes should be strong and powerful. Junior handball team coaches should make psychological positive atmosphere and motivate players to perform. Finally junior handball coaches should show attention and regard for a substitute player to develop their potential energy.

      • KCI등재

        수업나눔을 적용한 단위학교 수업협의 사례 연구

        김효수,진용성 한국교원교육학회 2017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4 No.3

        본 연구는 기존의 수업 개선 프로그램과 달리 수업자의 성찰을 돕는 방향으로 동료교사들과 공동체성을 구축하고 단위학교에 수업협의 문화를 변화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수업코칭 기반 수업나눔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있다. 이에 수업코칭 기반 수업나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8개 학교에 실행해보고, 그 과정을 비교 분석하여 수업협의문화 변화를 추동하는 영향요인을 살펴봄으로써, 단위학교 적용의 시사점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설문과 질적 자료 분석을 통해 수업나눔 프로그램의 의미와 한계를 도출할 수 있었다. 먼저, 수업나눔의 의미는 개인적 측면으로 수업의 본질 추구, 수업에 대한 폭넓은 이해, 교사의 자존감 회복, 수업에 대한 자신감 증가 등이 나타났고, 관계적 측면으로 격려와 지지의 공동체 경험, 학생과의 관계와 일상의 삶으로 확대, 마음의 연결됨을 경험, 존재로의 만남 경험 등으로 나타났다. 반면, 한계로는 시간부족, 강제성, 직면 단계의 어려움, 여전히 부담스런 수업공개가 두드러졌다. 수업나눔을 통한 수업협의문화를 추동하게 하는 영향요인 도출 결과 자발성, 관계, 시간, 학교분위기, 관리자 마인드, 교육청의 지원 등이 있었다. 첫째, 자발성이 높은 집단이 그렇지 않는 집단에 비해 휠씬 수업나눔에 대한 만족도와 필요성이 높았고, 수업나눔 적용 수준이 높았다. 둘째, 충분한 시간이 확보된 학교가 그렇지 않은 학교에 비해 수업나눔 적용이 원활하였다. 셋째, 교사들이 충분한 관계성이 형성된 학교가 그렇지 않은 학교에 비해 수업나눔 적용이 촉진되었다. 넷째, 외부촉진자와 내부촉진자의 선순환 역할이 중요했다. 외부촉진자인 수업코치와 단위학교 내에 수업협의 문화 변화를 선도하는 사람 혹은 그룹인 내부촉진자가 있을 때 좀 더 수업나눔이 잘 정착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단위학교 기반의 수업나눔 프로그램을 구안하고 8개학교를 대상으로 비교적 장기간 실행해보고 이에 대한 교사들이 인식하는 학교의 수업협의문화 변화 양상과 요인을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study suggests an instructional sharing program based on a 'instructional coaching'. This program is different from the traditional programs to improve class in a way that it helps a teacher consider his or her class, building up a community with other teachers and changing the customary class criticism at schools. The study is to develop an instructional sharing program based on a coaching of teaching and apply that at 8 schools, and to compare the processes at schools to find factors of changing school culture, then to consider how to conduct the program at schools. The implication and the limitation of the instructional sharing program were able to be found by surveying and qualitative data analysis. First, in terms of advantages of the instructional sharing, a teacher can seek the essence of class, understand the class better, build self-esteem, get self-confidence in class. In addition, when it comes to relation, a teacher can benefit from a encouraging and supporting community, have out-of-classroom fellowship with students, have open hearts each other, and have personal and informal fellowship with students. On the other hand, there are limitations such as limited time, unwillingness, tendency of avoiding objectively facing oneself as a teacher, negative feeling on showing one’s class to others. The promoting factors of the discussion-on-class-culture throughout the instructional sharing are one’s willingness, relation, time, school environment, the philosophy of school administrators, and the assistance from an education offi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instructional sharing program based on unit schools and to implement them for a long time in 8 schools. Based on this, it is worthwhile to examine the change and factors of school culture that teachers perceive.

      • KCI등재

        동료코칭 기반 교사학습공동체의 수업재구성 경험에 대한 연구

        정민수 한국교원교육학회 2018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5 No.2

        본 연구는 교사를 대상으로 동료코칭 기반의 교사학습공동체를 조직하여, 수업코치와 수업자의 역할을 순환적으로 경험한 교사의 수업재구성 측면의 인식을 살펴보고, 동료코칭의 적용방안과 발전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 학기에 걸쳐 주1회의 교사학습공동체 활동을 한 뒤 연구 참여자가 작성한 활동보고서, 동료코칭 일지, 포커스그룹 및 개별 면담자료, 관찰일지 등을 통해 생성된 연구자료를 심층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수업성찰 측면에서 교사들은 교과내용의 이해도 및 수업능력 향상, 교수태도의 적극성 증진, 수업연구 및 수업준비에 대한 부담감, 수업대화로 인한 수업고민의 해결을 경험하였다. 그리고 수업협력 측면에서 교사들은 교육네트워크의 구축 및 확장, 동지애와 공동체의식의 함양, 동료교사 간의 갈등을 경험하였다. 연구결과를 종합해볼 때 동료코칭 기반 교사학습공동체의 성찰협력과정은 수업전문성 보다 업무실용능력이 부각되어 있는 교육현장에서 교실의 고립화를 최소화하고 가르침과 배움의 상호작용이 중심이 되는 수업코칭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 여겨졌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결과를 토대로 동료코칭 기반 교사학습공동체의 고충 및 미비점을 보완하고 성찰협력과정을 통한 수업재구성을 보다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개선방안을 논의하였다. This paper is based on teachers organized colleagues coaching-based teacher learning communities. It examined the recognition in lesson reconstitution aspect of the teachers who are experienced in the roles of instruction coaching and instructing circularly, and found organization probability of the educational field. So, this paper did an in-depth analysis of the research materials created through activity reporting, colleague coaching records prepared by participants after teacher learning community activities were performed once a week for one semester, interview materials prepared by focus groups and individuals, and also, observation recording. On the basis of the analysis result, in the aspect of instruction introspection, the teachers experienced an improvement of subject content understanding and instruction ability, the enhancement of instruction attitude initiative, load over instruction research and preparation, and learned about instruction difficulties based on conversation. In the aspect of instruction collaboration, the teachers experienced in construction and expansion of their educational networks, cultivation of colleagueship and community recognition, and conflict resolution among colleagues. As a result, this paper found that the course of introspection and collaboration performed by colleague coaching-based teacher learning community could minimize the isolation of teacher classrooms at the educational field for which work operational ability was more developed than instruction professionalism and that the course could be used as a way of instruction coaching in a way which the interaction between instruction and learning was regarded as important. Finally, This paper, on the basis of these research result discussed the ways of improvement that supplement difficulties and the weaknesses of colleague coaching-based teacher learning communities and lesson support reconstitution through the course of both introspection and collaboration.

      • KCI등재후보

        학습자중심 혁신교수법의 협력적 수업코칭 사례연구

        김인숙(Insook Kim) 한국교육컨설팅코칭학회 2021 교육컨설팅코칭연구 Vol.5 No.2

        본 연구는 대학에서 협력적 수업코칭 프로그램을 개발 및 적용하여 대학 교수자의 협력적 수업코칭 참여 동기, 참여 과정, 참여 결과 및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향후 협력적 수업코칭 운영전략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협력적 수업코칭 프로그램의 운영 과정에 참여한 교수자의 협력적 수업코칭 프로그램 신청서, 계획서, 설문지, 인터뷰 결과, 결과보고서 및 성찰내용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협력적 수업코칭에 참여한 교수의 참여동기는 COVID-19로 인한 새로운 교수학습 환경에 대한 적응, 원격교육과 재택학습 지원을 위한 학습자중심 교수법과 에듀테크 활용 기술 습득, 대학내 교수법 개선의 중심이 되는 전공 혁신교수법 적용으로 나타났다. 둘째, 협력적 수업코칭의 효과는 수업에 대한 열정과 에너지, 교육철학 및 교육자로서 정체성 강화, 교수학습법, 교수설계방법, 학습자 참여유도, 학습자 이해, 수업 운영 방안, 교육목적, 교수학습 과정 및 결과에 대한 성찰 측면으로 나타났다. 셋째, 협력적 수업코칭의 운영방안은 목적 및 취지에 대한 공유, 참여자의 그라운드 룰 공유, 프로그램 주요 절차 및 운영 방법 안내, 상호피드백, 제안 및 통찰 내용에 대한 수업적용 여부를 공유하는 후속 프로그램 운영, 성장 마인드셋에 기초한 코칭, 코치, 코치이 및 수업 전문가 컨설턴트의 수평적 관계 유지, 프로그램 결과 공유, 코치, 코치이 및 수업 전문가의 협력적 운영으로 도출되었다. 한편, 후속 연구로는 협력적 수업코칭 프로그램에 참여한 교수자의 수업개선 및 교수역량 개선 효과를 검증하는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와 교수자가 자발적으로 협력적 수업코칭에 참여할 수 있는 방안 모색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대학 교수자의 교수역량 강화를 통한 교수학습 질적 개선을 위한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apply collaborative coaching programs in universities to identify the motivation, participation process, participation results, and effectiveness of professors participation in collaborative coaching.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pplications, plans, questionnaires, interview results, results reports, and reflections of professors who participated in the operation of the collaborative coaching program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irst, the motivation for participating in collaborative coaching was to adapt to the new teaching environment due to Corona 19, acquire learner-centered teaching methods and edu-tech skills to support remote and home learning, and apply innovative teaching methods in universities. Second, collaborative coaching has shown its effectiveness in terms of passion and energy for classes, educational philosophy and strengthening identity as educators, teaching methods, teaching design methods, learner engagement, learner understanding, teaching purposes, teaching courses and outcomes. Third, the operation of collaborative coaching was shared with the purpose and purpose of collaborative coaching, ground rules shared by collaborative coaching participants, program maintenance, follow-up program operations with feedback, suggestions and insights.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a basic data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teaching and learning by strengthening the teaching capacity of professors.

      • KCI등재

        읽기 학습부진 학생을 위한 코칭 방향

        김도남 ( Do Nam Kim ) 청람어문교육학회(구 청람어문학회) 2011 청람어문교육 Vol.43 No.-

        읽기 학습 코칭은 읽기 학습부진 학생들을 위한 한 가지 교수 방법이다. 읽기 학습 코칭은 읽기 학습부진 학생에 맞춤형 교수를 제공하여 읽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조건을 갖추고 있다. 읽기 학습 코칭은 학습부진의 요인을 중심으로 학생에게 필요한 읽기 요인을 학습시켜 줌으로써 읽기 능력 신장을 가능하게 만든다. 읽기 학습 코칭은 학생의 잠재적 읽기 발달 가능성에 대한 코치 교사의 믿음을 바탕으로 한다. 코치 교사는 학생의 잠재된 읽기 가능력이 발현되게 도움으로써 학생이 읽기 능력을 형성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학생에게 필요한 읽기 기능을 익힐 수 있도록 시범을 보여 기능의 습득을 지원한다. 이 읽기 코칭은 읽기 학습부진 학생들의 읽기 능력 향상을 이룰 수 있게 하는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다. 읽기 학습 코칭은 코치 교사가 학생들에게 읽기 동기와 읽기 기능 및 읽기 활동에 대한 도움을 제공하는 것이다. 코치 교사가 학생들의 읽기 학습에 도움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마음을 열고 학생들의 읽기 문제를 이해하고 읽기 능력 수준에 따라 개별적 코칭이나 소집단 코칭을 해야 한다. 읽기 학습 코칭이 학교에서 효과 있게 활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읽기 코칭에 대한 깊이 있는 논의가 더 필요하다. The reading disability is the cause of the learning trouble to the school subject. It makes underachiever student for the several subject. The reading learning coaching have the effect of learning reading for the underachiever student. Because of the reading learning coaching is personalized instruction for improving reading ability. The improvement of reading ability of underachiever is the base of advance in the school subject studies. The reading learning coaching be based on the belief for the potentiality of student. The coacher should incite the student to reveal the potential reading ability in order to that the student is becoming reading ability. So, If the coacher offers an example to using reading skills for the student, then he learn to reading skills and advance in reading ability. The reading coaching is a useful method for underachiever student to get improving reading ability. The reading coacher guides student to form reading motivation, to get reading skill, to conduct reading through interaction. Such reading coaching is classified ``individual coaching`` and ``small group coaching`` by the number of student.

      • KCI등재

        코칭 기반 수업설계 프로세스 개발

        이현정(Lee Hyun jung)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014 우리말교육현장연구 Vol.8 No.2

        최근 교사 수준의 교육과정을 개발하여 개성 있고 창의적인 수업이 실행되기를 바라는 시대적 요청이 더욱 증가되고 있다. 그러나 현장의 교사들은 교육과정을 재구성할 수 있는 수업설계 도구조차 없는 실정이다. 본고는 필자의 교육과정 재구성 경험을 바탕으로 개발된 코칭 기반 수업설계 프로세스를 소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임파워링 코칭과 수업 코칭을 토대로 한 코칭 기반 수업설계 프로세스는 총 8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1단계는 '단원의 주제'로 국가 수준 성취기준을 분석하는 단계이다. 2단계는 '학생과 교사 진단' 단계로 교사가 가르칠 준비가 되어 있는지를 스스로 확인한다. 3단계는 '기대 목표'를 설정하는 단계로 단원의 핵심 원리와 그에 따른 지식, 기능, 태도를 추출해 내는 단계이며. 4단계는 교사 개인의 교육철학을 반영한 단원을 가르쳐야 하는 이유와 학생들의 삶에 어떤 의미가 있을지 생각해 보는 단계이다. 5단계는 '기대 목표 달성을 확인하는 증거'인 수행 과제와 다양한 평가 방법을 설정하는 단계이고, 6단계는 '단계별 교수ㆍ학습 방법 계획'으로 기대 목표를 달성하고 수행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수업의 단계를 나누고 수업의 전략과 구조를 활용하여 차시별 교수ㆍ학습 방법을 구체화하는 단계이다. 7단계에서는 수업 실행을 방해하는 '장애물을 제거' 단계이며, 8단계는 이 프로세스의 전 과정을 '성찰'하는 단계이다. 이 도구는 국가 수준 성취기준을 바탕으로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보다 '왜 가르쳐야 하는가'를 먼저 고민하게 하기 때문에 교사의 철학과 교과 전문성을 반영하여 단원을 재구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코칭에 익숙하지 않는 교사가 사용할 때 복잡하고 어렵다는 선입견을 줄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많은 교사들이 이 프로세스를 적용하여 교육과정 재구성을 해 나가면서 단점은 보완하고 장점은 극대화하여 누구나 쉽게 활용할 수 있는 수업설계 도구로 발전할 수 있는 논의가 필요하다. Recent requests have been increasing contemporary individuality and the creative class wants to be running a training course developed by the teacher. However, teachers in the field are not even a situation instructional design tools to reconstruct the curriculum. We introduce a coaching-based instructional design process is based on the Empowering coaching and Coaching classes to solve this problem, this paper is. Coaching consists of 8 steps based instructional design process. You can configure the section to reflect the conditions of the school philosophy teacher, based on country-level achievement standards this tool. However, it is necessary to develop efficient tools to make it easier to take advantage of so many teachers are in the development stage too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