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시·도교육청의 혁신학교 정책 분석 : 2019학년도 혁신학교 계획을 중심으로

        박수정(Park, Soojung),박정우(Park, JeongWo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9

        혁신학교는 2009년에 경기도교육청에서 처음 도입한 후, 10년이 경과한 현재 대부분의 교육청에서 공통적으로 운영하고 있는 정책이 되었다. 이 연구는 지역의 대표적인 교육정책인 혁신학교 정책의 내용을 파악하고 종합적, 지역적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혁신학교 정책의 현황에 대한 이해와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16개 시·도교육청의 2019학년도 혁신학교 계획 문서를 수집하고, 분석 항목은 혁신학교 명칭, 비전, 개념, 가치, 유형, 선정, 행·재정 지원, 구성원 역량 강화, 평가 등 9가지로 설정하여, 주요 내용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혁신학교 정책의 동형화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둘째, 혁신학교 정책 도입 시기에 따른 지역 간 시차가 나타났다. 셋째, 교육감의 성향에 따라 혁신학교 운영방식에 차이가 발생하였다. 넷째, 혁신학교의 구성원의 역량 강화와 지원은 주로 혁신학교의 교원을 대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Innovative schools were first introduced by the Gyeonggi-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in 2009, and 10 years have passed, and as a result, most municipal and provincial educational authorities have a common policy. This study provides an understanding and suggestions of the current state of innovative school policy by grasping the contents of the innovative school policy, which is a representative educational policy in the region, and analyzing the overall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For this reason, we collected 16 municipal and provincial educational authorities’s 2019 innovative school plan and analysis contents were set up in nine categories : name of the innovative school, vision, concept, value, type, selection, financial support, member competency reinforcement, evaluation of innovation schools, and the main contents were systematically analyzed.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isomorphism of innovative school policy was evident. Secondly, regional differences were revealed depending on when innovative school policy was introduced. Third, the method of operation of innovative schools also differed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perintendent. Fourth, member competency reinforcement and support of innovative school members are mainly provided to teachers of innovative schools.

      • KCI등재

        고등학교에서도 혁신이 지속가능한가?: J지역 혁신학교 참여자들의 회고적 인식 분석

        박휴용,김미정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22 교육연구논총 Vol.43 No.4

        For the last 10 years, the Hyukshin school movement has been driven for transforming public schools by the progressive superintendents. This paper investigated the recognition of the participants(the teachers in charge and the graduates) on how they appreciated the Hyukshin school policies and analyzed it through the methodology of reflective interview analysis. The kernel points of analysis of this paper consist of how the participants perceived: i) the necessity and sustainability of the Hyukshin schools, ii) the validity and effectiveness of the serial innovation of lesson-curriculum-evaluation, and iii) the two proactive strategies of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and democratic autonomy community. To explore these issues, this paper adopted in-depth interviews with the participants as a means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The core findings of the analysis are tri-fold: The Hyukshin High School policies i) needs to be implemented and continued with a bottom-up movement collaborative with core participants, ii) have some uncontextualized practices and goals that can hardly be realized for securing the sustainability in some specific school cases, and, nonetheless, iii) have significant accomplishment in the innovation of lesson-curriculum-evaluation by organizing the teachers’ collaboration and students’ participation. This paper’s discussion may enlarge the spectrum of assessment of the accomplishment of the Hyukshin school movement. 우리나라 혁신학교 운동은 지난 10여 년간 우리나라 대부분 지역의 진보적 성향의 교육감들에 의해 공교육 개혁의 측면에서 추진되어왔던 학교개혁 운동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에 본고는 J지역에서 추진되어왔던 혁신고등학교 정책이 현장참여자들의 입장에서 구체적으로 어떻게 평가(인식과 소회)되고 있는지를 회고적 심층인터뷰를 통해 분석한 후, 그 정책적 의미를 논의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고는 크게 세 가지 논점―즉, 혁신학교의 필요성과 지속가능성에 대한 인식, 혁신학교의 핵심 정책인 수업-교육과정-평가의 혁신에 대한 인식, 그리고 혁신학교의 주된 추진 전략인 전문적 학습공동체와 민주적 자치공동체에 대한 인식―에 대한 연구참여자들의 소회를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은 회고적 인식에 대한 질적 분석을 기반으로 혁신학교 사업을 주도적으로 담당하고 경험했던 학교들과 그 구성원(교사 및 졸업생)들을 대상으로 현장 방문과 심층인터뷰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관료적 혁신학교 정책은 현장 기반적 운동성으로 보완되지 않고서는 지속성을 갖기 어렵다는 것이다. 둘째, 일부 혁신학교 정책들(예, ‘100교 100색’, 교사전문성 신장, 민주적 학교문화 만들기 등)은 지역 학교 현장의 상황(초중등, 도심-농촌, 대규모-소규모 등)에 따라 현실화되기 어려운 점이 있어서, 다분히 선언적 수준에 그치고 있었다는 것이다. 셋째, 가장 중요한 혁신정책이었던 수업과 평가의 혁신은 도심-농촌 학교의 구별 없이 상당히 체계적으로 이루어졌고, 이는 고등학교의 혁신 차원에서 상당히 의미있는 도전이었다는 것이다. 본고의 논의는 혁신학교 운동의 의의와 한계성에 대한 교육계의 논의를 확장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지속가능한 혁신교육 확산을 위한 학교장의 역량 탐색

        손성호(Son, Sung-ho),류광모(Ryu Kwangmo),이한진(Lee, Han-j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4

        본 연구는 지속가능한 혁신교육 확산을 위해 혁신학교 학교장에게 필요한 역량이 무엇인지 도출하고, Borich 요구도 조사를 통해 우선순위를 분석하기 위해서 수행되 었다. 연구결과 혁신학교장들은 마을공동체 네트워킹 협업능력, 혁신적 조직 관리 능력, 혁신교육 철학 순으로 필요하다고 보았고, 혁신학교 교사들은 학교장에게 필요한 역량으로 민주적 리더십, 공감적 소통능력, 혁신교육 철학이 필요하다고 나타 났다. 이러한 결과는 최근 학교의 울타리를 넘어 마을과 학교의 협력 관계가 강조되는 측면에서 학교장들은 마을과의 네트워킹 협업능력이 가장 필요하며, 학교조직 전체적인 관점에서 조직관리 역량과 혁신교육철학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난 것이다. 혁신학교 교사들 또한 혁신학교의 운영에 있어 전통적인 권위적인 학교장 리더십이 아닌 소통과 공감을 바탕으로 민주적인 운영을 원하는 것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으며, 학교장의 혁신교육 철학 역시 교사들의 혁신 동력을 유지하는 중요한 역량 으로 여겨진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at competencies are needed for the innovation school principals to disseminate sustainable innovation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nnovative school principals felt that they need community collaboration networking ability, innovative organizational management ability, and innovation education philosophy. On the other hand, innovation school teachers make much of that they need democratic leadership, empathic communication ability, innovation education philosophy. These results show that the most important thing is networking cooperation ability with the village in terms of emphasizing the coopera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village and the school beyond the school fence, and the organizational management capacity and innovation education philosophy are also needed from the viewpoint of the whole school organization. Innovative school teachers also want to run school democratically based on communication and empathy rather than traditional and authoritative way which empathize the principals leadership. It seems to be considered that the principals innovation education philosophy is important in maintaining the innovative power of teachers.

      • 학교혁신의 주요 영역 및 중점과제별 혁신학교와 일반학교의 차이 분석

        이은배,강지혜,이지연 한국교육공학회 2019 한국교육공학회 학술대회발표자료집 Vol.2019 No.1

        본 연구는 단위학교별 학교혁신 현황 및 과제를 진단할 수 있는 측정도구를 통해 혁신학교와 일반학교의 차이를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를 위해 미래교육 및 학교혁신과 관련된 문헌분석, 혁신학교와 일반학교 방문조사 및 교사간담회, 혁신미래교육과 관련된 국내·외 전문가 초청 간담회 등을 통해 학교관계자의 요구와 단위학교의 현실적 맥락을 고려하여 7대 영역(거버넌스, 조직운영, 교육과정 및 평가, 교수방법, 학생자치, 외부환경)으로 개발된 진단도구를 활용하여 인천광역시 혁신학교와 일반학교 1,317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설문결과를 토대로 학교혁신의 주요 영역 및 중점과제별로 혁신학교와 일반학교 응답자들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혁신학교와 일반학교 관계자 모두 본 연구의 진단도구에 제시된 7대 영역(거버넌스, 조직운영, 교육과정, 교원전문성, 교육공간 및 테크놀로지, 학생자치, 외부환경)을 학교혁신의 주요 영역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각 혁신영역의 중점과제별로 세분화하여 살펴본 결과, ‘연수 및 연구활동 지원’과 ‘교육과정 및 수업연구·개발’를 제외한 모든 과제들에 있어서 혁신학교 응답자들이 인식한 중요도가 일반학교 응답자들이 인식한 중요도에 비해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혁신학교의 확산과 일반학교의 혁신에 있어 학교관계자의 인식과 요구가 반영된 혁신의 방향과 주요과제를 파악하고 단위학교별로 혁신의 노력을 차별화, 구체화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 KCI등재

        학교혁신을 위한 학교조직 진단도구 개발 연구

        박수정(Park, Soojung),박세준(Park, Seijoon),이승호(Lee, Seungho) 한국교육행정학회 2018 敎育行政學硏究 Vol.36 No.4

        이 연구는 학교혁신의 의미를 반영하여 학교조직 전반을 진단할 수 있는 보편성 있는 도구가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학교혁신을 위한 학교조직 진단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학교조직 진단도구를 고안하고, 설문결과를 토대로 신뢰도, 타당도, 현장 타당성 검정을 거쳐 개발된 학교조직 진단도구의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인 절차와 내용은 다음과 같다. 학교조직 진단도구와 혁신학교 정책 및 평가에 대한 문헌분석을 진행하고, 혁신학교 전문가 의견 수렴의 과정을 거쳐 학교조직 진단도구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진단도구는 학교운영 혁신, 교육과정 혁신, 공동체문화 혁신 등 3개의 대영역, 6개의 세부영역, 26개의 하위요소로 구성되었다. 개발된 진단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정하기 위해 A교육청의 혁신학교와 일반학교 각각 54개씩 총 108개 학교, 1,818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자료를 활용해 문항의 신뢰도와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타당성 검정(집중타당성, 판별타당성, 법칙타당성) 결과 진단도구는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학교혁신을 위한 학교조직 진단도구의 현장 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해 혁신학교와 일반학교, 혁신학교의 연차별(3년, 2년, 1년) 차이검정을 실시하였고, 각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 개발한 진단도구가 학교혁신을 지향하는 모든 학교에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research was designed to develop and rationalize the diagnosis instrument of school organization for school innovation based on the problems of the need for a universal instrument to diagnose the overall school organization by reflecting the meaning of school innovation. To the purpose, the school organization"s diagnostic instrument was designed and based on the survey results, the school organization"s diagnostic instrument was verified through reliability, validity, and field feasibility tests. The specific procedures and contents are as follows. It developed the school organization diagnosis instrument after conducting a literature analysis on school organization diagnosis instrument and innovation school policies and evaluations, and collecting opinions from innovation schools experts. The developed diagnosis instrument consisted of three major areas, six areas of detail, and 26 subcomponents, including school management innovation, curriculum innovation, and community culture innovation. To verify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developed diagnostic instrument, a total of 108 schools(54 innovative schools and 54 regular schools) and 1,818 teachers were surveyed in “A” Office of Education. Based on the survey data, in diagnosis instrument, the reliability, EFA(Exploratory Factor Analysis), CFA(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certification of validity(convergent validity, discriminant validity, nomological validity) were found to be suitable. In addition, to confirm the field validity of the school organization diagnostic instrument for school innovation, we compared the result of innovation schools and general schools. Moreover, the annual difference(three, two, one year) of innovative schools was analyzed. As a resul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each area for each year of innovation schools, general schools and innovation schools. This implied that the diagnosis instrument developed in this research could be used in all schools that are aiming for school innovation.

      • KCI등재

        혁신학교의 교육효과 분석: 경기도 혁신학교의 계층 간 학력격차를 중심으로

        원순아,엄기형 한국교육사회학회 2018 교육사회학연구 Vol.28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whether the innovative pilot school has a significant effect on reducing the students’ achivement gap among the elderly by using the data from the 1st to 4th year of the GEPS (2012 ~ 2015). First of all, negative income and family income per month, which is a socio-economic background of family, have a strong influence on academic achievement. Innovative pilot schools showed positive estimates on academic achievement but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ddition, the results of analysis of the effects of the negative educational attainment, the monthly average income of the family, and the interaction effect of the innovative pilot school showed that the innovative pilot school significantly decreased the gap between the national average and the English score according to the educational background. In the first year, however, the students with lower educational backgrounds showed lower scores in the innovative pilot schools than in the general schools, but it was found that the increase in the academic achievement of the innovative pilot schools increased as the grade increased. This shows that the innovative pilot schools reduce the gap between English and national average scores among the students with different educational backgrounds and that this difference is reduced by improving the students' This suggests that the innovative pilot school contributed to the significant reduction of the students’achivement gap among the classes as a normal model of public schooling 이 연구는 경기교육종단연구(GEPS) 1~4차년도(2012~2015)의 자료를 활용하여, 경기도 혁신학교가 계층 간 학력격차를 줄이는데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하이브리드모형(hybrid model)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우선, 가정의 사회경제적 배경이 학업성취도에 강한 정적 영향을 주는 가운데, 혁신학교는 학업성취도에 양의 추정값을 나타내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았다. 그러나, 부의 학력, 가정의 월평균소득 각각의 변수와 혁신학교의 상호작용효과를 분석한 결과, 경기도 혁신학교가 부의 학력에 따른 학생 간 국・영・수 평균과 영어점수의 격차를 유의미하게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가정의 월평균소득과 혁신학교의 상호작용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또한, 초등학교 3년 동안 일반학교에 재학했던 학생과 혁신학교에 재학했던 학생을 대상으로 부의 학력별 학업성취도의 변화추이를 살펴본 결과, 부의 학력이 높은 학생의 성적의 변화추이는 일반학교와 혁신학교가 비슷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1차년도에는 부의 학력이 낮은 학생의 성적이 일반학교에 비해 혁신학교에서 더 낮은 편이었으나, 학년이 올라갈수록 혁신학교의 학업성취도의 증가폭이 커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부의 학력별 학생 간 영어와 국・영・수 평균점수의 격차를 혁신학교가 감소시키며, 이는 부의 학력이 낮은 학생의 성적을 향상시킴으로써 그 차이를 줄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로써 경기도 혁신학교가 공교육 내실화 모델로서 계층 간 학력격차를 유의미하게 감소시키는데 기여하였다는 점에서 시사점을 지닌다.

      • KCI우수등재

        혁신학교의 교육과정 편성·운영 과정에 대한 질적 연구

        이주연,이경언,이민형,임유나 한국교육학회 2020 敎育學硏究 Vol.5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implications for supporting Innovation School by analyzing how the curriculum of Innovation School is organized and implemented through what process and what concerns and conflicts school members experienced. To achieve the purpose, a total of 93 participants, including teachers, students, and parents from nine Innovation Schools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participated in the case studi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eachers in Innovation Schools emphasized the philosophies and values pursued by Innovation Schools and applied them ‘explicitly and intentionally’ or ‘implicitly’ in their school curriculum. However, the conflicts and tensions existed between teachers or teachers and parents because of the differences in thought and the varied degree of internalization related to the philosophies of Innovation Schools. Second, the curriculum of Innovation School has drawn attention, since ‘all teachers’ organize and implement their school curriculum together through discussions and agreements. However, in the process, teachers encountered some challenges. Third, to build the foundation for a curriculum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this study examined the school system and culture for democratic decision making, the active implementation of professional teacher learning communities, and the reform of the work system focused on educational activitie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ed policy implications to support the curriculum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of Innovation Schools. 이 연구는 혁신학교의 교육과정이 어떠한 과정을 통해 편성·운영되며, 그 과정에서 학교 구성원들이 경험한 고민과 갈등은 무엇인지 분석함으로써, 혁신학교 지원에 대한 시사점을 모색해 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초, 중, 고 9개 혁신학교에 대한 사례연구를 실시하면서 교원, 학생, 학부모, 총93명을 대상으로 면담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1) 혁신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방향, (2) 혁신학교 교육과정의 편성·운영 절차 및 방법, (3) 혁신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기반, 세 가지 주제로 분석하였다. 첫째, 혁신학교 교사들은 혁신학교가 추구하는 철학이나 가치를 중요하게 고려하며 이를 학교 교육과정에 ‘명시적이면서 의도적으로’ 또는 ‘암묵적으로’ 반영하고 있었는데, 이러한 혁신학교 철학과 관련하여 생각의 차이나 내면화 정도에 따라 교사 간 혹은 교사와 학부모 간에 갈등과 긴장이 존재하기도 하였다. 둘째, 혁신학교 교육과정은 ‘전체’ 교사들이 함께 토론하고 협의하며 학교 교육과정을 편성·운영하고 있었다는 점에서 주목되었으며, 교육과정의 설계와 운영, 심지어 교육과정에대한 평가가 서로 단절된 과정이기보다는 서로 역동적이고 긴밀하게 연계되어 있는 특징을 보였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교사들은 학교 구성원들 간에 교육 철학 및 가치관의 충돌로 인한 문제, 의견을수렴하고 합의해나가는 과정에서 의사소통의 어려움, 교사의 교육과정 전문성 차이로 인한 문제, 학생및 학부모의 의견 수용 범위에 대한 고민들을 경험하고 있었다. 셋째, 혁신학교에서 이러한 방식의 교육과정 편성·운영이 가능하도록 한 기반으로서, 학교 내 민주적 의사 결정 체제 및 문화, 활발한 교사학습공동체의 운영, 교육활동 중심으로 업무 체제 개선 노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혁신학교 교육과정의 편성·운영을 지원하기 위한 방안들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경기도 혁신학교 중학생의 교육적 성장 : 역량을 중심으로

        우명숙(Woo, Myung Su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0

        본 연구는 경기교육종단연구 4~6차(2015~17년)자료를 사용해 혁신학교 중학생의 교육적 성장을 역량을 중심으로 다층성장모형으로 추정했다. 분석 결과, 첫째, 창의적 사고역량 중 언어적 수학적 사고능력으로 국어 수학 영어 학업성취도를 분석한 결과, 초기 중학교 1학년 평균값에서 국어는 혁신학교 학생이 더 높았으며, 수학과 영어에서는 일반학교의 평균값이 더 높았다. 그러나 혁신학교 학생의 성장률은 영어와 수학 교과에서 유의한 수준으로 높았으며, 국어 교과에서는 유의미한 수준이 미미했으나 더 높게 나타나 학년이 올라갈수록 혁신학교 학생의 학업성취도는 높아졌다. 결과적으로 중학교 2, 3학년에서는 세 교과에서 혁신학교의 평균 성취도가 일반학교보다 높았다. 둘째, 자기관리역량은 중학교 1학년 평균값에서 일반학교가 더 높게 나타났으나 성장률에서 혁신학교가 일반학교에 비해 미미한 수준으로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학교의 자기관리역량은 중학교 3개 학년 동안 혁신학교에 비해 높았다. 셋째, 공동체역량 중 시민의식은 중학교 1학년 평균값에서 혁신학교가 일반학교에 비해 더 높았으나 성장률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중학교 기간 동안 혁신학교의 시민의식은 일반학교에 비해 높았다. 경기도 혁신학교에 대한 학력저하 비판은 실증적으로 입증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혁신학교 학생의 역량을 분석했지만 조사 자료의 한계로 인해 핵심역량을 총체적으로 분석하기에는 제한점이 많다. This study estimated the educational growth of students at the Innovation Middle School using the data from the 4th to 6th (2015-17) of the Gyeonggi Education Panel Study(GEPS) and a multilevel growth model. The important findings as follows: first, academic achievements in Korean, Math, and English were analyzed as linguistic and mathematical thinking abilities as part of the creative thinking competence. The average Korean academic achievement of students at Innovation Schools was higher at the first grade, compared to those of the non-Innovation Schools, while the average Math and English academic achievements of Innovation School students were lower than the non-Innovation School students. However, the growth rates of Innovation School students in Korean, English, and Math were higher than the non-Innovation School students,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self-management competence of the non-Innovation School students was higher at the first grade, compared to the Innovation School students. The growth rate of self-management competency of Innovation School students was higher,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0.1 significance level). Third, citizenship of community competence of the Innovation School students was higher at the first grade, compared to the non-Innovation School students. The growth rate of citizenship of Innovation School student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riticism of poor academic performance against Innovative Schools in Gyeonggi Province is not empirically prove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cluding prior studies.

      • KCI등재

        혁신 초등학교 교사들의 비전 형성 및 비전 공유 과정에 대한 탐색

        최진영,이현숙,송경오,오지연,김민정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2

        This study explored the vision sharing process of the three Seoul innovation schools. This study seeks to suggest implications for the meaning of vision that affects school innovation and points to be considered for sharing vision. Six teachers were selected for each school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These include teachers who are leading in school innovation, high-career teachers among general teachers, and low-career teachers among general teacher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hree innovative school teachers tried to form a vision that focused on student learning and growth through the process of discussing and learning together. Second, in the process of sharing visions with transfer teachers, the vision was unilaterally delivered or guided to transfer teachers. This way of sharing visions caused conflict rather than determining the direction of the school and uniting the members. It was difficult for transfer teachers to easily accept the goals and directions of the school. Transfer teachers felt that their identity as a teacher was not respected. Third, it was necessary to take time to revise the vision while reviewing the value of the innovation and sharing different thoughts. Lastly, although there was resistance to innovation in the process of sharing the vision with transfer teachers, the teachers who experienced the positive change of learners turned into active participants.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collaborative learning process to understand and sympathize with why the goals pursued by innovative schools are important. In addition, as the number of transfer teachers increases, the vision for innovation must be continuously reviewed and revised by school members. 본 연구는 학교혁신을 추진해가고 있는 서울형 혁신학교 세 곳의 학교 비전 형성 및 비전 공유 과정을 탐색하고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학교혁신의 실행에 영향을 미치는 비전의 의미와 비전 공유를 위해 고려되어야 할 점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학교 혁신에 주도적으로 참여한 교사와 일반 교사 중 고경력 교사와 저경력 교사를 포함하여 학교별로 6명의 교사를 선정하여 면담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세 곳의 혁신학교 교사들은 함께 논의하고 학습하는 과정을 통해 학생의 배움과 성장에 초점을 두어 비전을 형성하고자 하였다. 둘째, 전입 교사와의 비전 공유 과정을 살펴보면, 초기에 형성된 비전이 다른 교사들에게 일방적으로 전달되거나 안내되었다. 이러한 비전 공유의 방식은 구성원들을 결속시키기 보다는 갈등을 유발하였다. 전입교사들은 혁신을 먼저 경험한 교사들이 안내한 학교의 목표와 방향을 쉽게 받아들이기 어려웠으며 자신들의 전문성을 존중받지 못한다고 느꼈다. 셋째, 교사들 간에 비전을 공유해가는 과정에서 현재 가지고 있는 혁신의 가치와 방향에 대해 함께 검토하고 혁신의 방향에 대한 서로 다른 생각과 이해를 공유하면서 비전을 수정해 가는 시간이 필요했다. 마지막으로, 혁신을 위한 비전을 전입교사와 공유하는 과정에서 혁신에 대한 반감과 저항이 있기도 했으나 혁신학교 과정에서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혁신을 통한 학습자의 긍정적인 변화를 경험한 교사들은 혁신의 주변인에서 적극적 참여자로 변화하기도 하였다. 따라서 교사 간 비전 형성 및 공유를 위해서는 혁신학교에서 추구하는 방향과 목표가 왜 중요한지에 대해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는 협력적 학습의 과정을 통해 학교 구성원들 간에 변화의 공유된 의미를 만들어 가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혁신학교 초기 이후 전입교사가 늘어날수록 혁신을 위한 비전은 학교 구성원들에 의해 지속적으로 검토되고 수정될 수 있어야 한다.

      • 혁신학교 교원의 학교 교육활동에 대한 참여의식 분석

        최준렬(Joon Yul Choi) 공주대학교 교육연구소 2022 교육연구 Vol.37 No.1

        본 연구는 혁신학교 교원의 학교 교육활동에 대한 참여의식을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혁신학교는 교원들에게 권한을 위임하여 자발적으로 학교를 경영하도록 하여 학교를 개선하려는 모델학교이기 때문에 교원의 참여의식이 대단히 중요하다. 충청남도에서 혁신학교를 4년 이상 운영한 경험이 있는 학교의 교원에게 참여의식을 질문지를 통해 조사한 결과 유치원, 초등학교, 중학교 교원 160명이 응답하였다. 조사하여 분석 결과, 혁신학교가 학교 발전을 위해 필요하다고 5점 만점에 4.28점으로 응답하여 필요성을 강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혁신학교에 응답의 74.4%가 자발적으로 참여하고 있으나 교사들의 31.3%는 수동적으로 참여하고 있었다. 혁신학교에 참여하는 이유로는 학생들에게 다양한 교육활동을 제공하기 때문이라고 67.5%가 응답하였다. 혁신학교 발전을 위해서 교사들은 민주적 의사결정이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는데, 관리자들은 배움중심의 수업이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부장 교사들은 학교업무 최적화가 중요하다고 응답한 비율이 높은 편이었다. 응답자들은 혁신학교이기 때문에 민주적 협의문화, 학교업무 최적화, 전문적 학습공동체, 배움 중심의 수업 등이 가능하다고 답하였다. 혁신학교는 교원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하여 학교의 문제를 해결하려는 혁신운동이다. 혁신학교의 교원들이 혁신운동에 대부분 공감하고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으나 일부의 교원은 이런 정신에 공감하지 못하고 수동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혁신학교가 추구하는 학교 중심의 자율적인 공교육 혁신의 모델이 되기 위해서는 혁신학교에 공감하지 못하는 교사의 문제를 인식하여 이를 개선하려는 노력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participation consciousness of innovative school teachers. Since innovative schools are model schools that try to improve schools by delegating authority to teachers to manage schools voluntarily, so the teachers' consciousness of participation is very important. 160 teachers from kindergartens, elementary schools, and middle schools that operated innovative school for more than four years in Chungcheongnam province responded to the survey questionnaire about consciousness of participa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need of innovative schools for school development was strongly recognized by responding with 4.28 points out of 5. 74.4% of respondents answered they voluntarily participate in the innovative schools, but 31.3% of teachers answered they participate passively. 67.5% answered that the reason for participating in innovative schools is because they provide students with various educational activities. For the development of innovative schools, teachers considered democratic decision-making important, and managers recognized that learning-oriented classes are important. Senior teachers had a higher percentage of responses that optimizing school work was important. Participants responded that since it is an innovative school, democratic consultation culture, school work optimization,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and learning-oriented classes are possible. The innovative schools are an innovative movement in which teachers voluntarily participate in solving school problems. Most of the teachers of innovative schools agree with and actively participate in the innovative movement, but some teachers do not agree with this spirit and participate passively. In order to become a model for autonomous school-centered public education innovation pursued by innovative schools, efforts should be made to recognize and improve the problems of teachers who do not agree with innovative schoo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