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양건식(梁建植) 사상과 문학의 총체성①-인물에 비춰 본 양건식 사상궤적의 윤곽-

        유봉희 ( Yu Bong-he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20 한국학연구 Vol.0 No.59

        백화(白華) 양건식(梁建植, 1889~1944)은 한국근대문학의 이면사(裏面史)였다. 양건식이 아직까지 한국 근대문학사에 제대로 진입하지 못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 이미 그가 1910년대 주목할 만한 단편소설을 발표했던 작가였음에도 번역을 제외하고는 장편소설이 없다는 것과, 1910년대부터 본격 작품을 쓰는 작가가 아닌 ‘중국문학 번역가’ 정도로 인식되어 온 고정관념이 지금도 엄존해 있다는 사실을 먼저 들 수가 있다. 더 큰 이유로 필자는 서구가 던져준 ‘폭력적 근대’에 대항하려 했던 ‘방법론적 가치’로서의 양건식 사상에 주목하지 못한 결과를 지적하고 싶다. 이러한 문제의식 속에 이 연구는 양건식 사상과 문학의 총체성을 복원한다는 목적 아래 크게 두 가지의 방향을 가지고 진행할 계획이다. ① 양건식의 사상적 궤적을 통해 그의 사상적 가치를 재조명하고, ② 1910년대 양건식 문학의 재발견, 두 개의 진행항목으로 나누어 추진할 생각이다. 그의 문필활동이 다방면에 걸쳐 이루어졌다는 사실은 이미 알려진 바 있으나 그의 사상편력에 대해서는 별반 언급이 없어 왔다. 1910~1930년대 근대담론을 분석한 연구에서 양건식을 거론한 흔적이 거의 없다는 사실은 이를 반증하고 있다. 그는 당대 누구보다도 동아시아 근대담론의 형성과 지식장(知識場)의 전환에 매우 민감했던 인물이다. 그의 글 전체를 독파하다 보면 시대 시대마다 국면 국면마다 그는 자신의 목소리를 정확히 밝혀왔음을 알 수가 있다. 이 논문은 연구방향의 첫 번째 시도로 양건식 사상의 궤적을 통해 그의 사상적 가치를 재평가, 우리의 근대문학사에서 양건식의 위치를 재정립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양건식이 한국근대문학의 이면사(裏面史)였던 관계로 양건식 시대 한ㆍ중ㆍ일 주요 인물을 통해 그의 사상적 궤적을 탐색하는 방법론을 택하기로 했다. Baekhwa(白華) Yang Geon-sik(梁建植, 1889~1944) was the back-story of Korean modern literature. Why is Yang Geon-sik still not properly entering Korean modern literature?,Although he was a writer who had already published a remarkable short story in the 1910s, there is no full-length novel except translation, and the stereotype that has been recognized as a Chinese literary translator since the 1910s, not a full-fledged writer, is still strong.,For a bigger reason, I would like to point out the results that I did not pay attention to the Yang Geon-sik idea as a ‘methodological value’ that I tried to counter the ‘violent modernity’ thrown by the West., This study is planned to proceed with two major directions with the aim of restoring the overallity of Yang Geon-sik’s ideas and literature.,1 I will reexamine his ideological value through the ideological trajectory of Yang Kun-sik, and I will pursue it by rediscovering Yang Kun-sik’s literature in the 1910s and dividing it into two progress items.,It is already known that his writing activities have been carried out in various fields, but there has been no mention of his ideological power.,The fact that there were few signs of mentioning Yang Geon-sik in the study of modern discourse in the 1910s and 1930s disproves this.,He was more sensitive to the formation of modern discourse in East Asia and the transition of knowledge field ().,When you read his entire article, you can see that he has revealed his voice precisely in every phase of the times.,This thesis is the first attempt of the research direction, and aims to reevaluate his ideological value through the trajectory of Yang Geon-sik’s thought and to reestablish the position of Yang Geon-sik in our modern literature history.,Since Yang Geon-sik was a back-to-back history of modern Korean literature, he decided to choose a methodology to explore his ideological trajectory through major figures from Korea, China and Japan during the Yang Geon-sik era.

      • KCI등재

        1910년대 한국근대소설이 보여준 사회진화론과 근대 극복의지의 한 양상, 양건식의 사상과 문학세계(1)-「서철강덕격치학설(西哲康德格致學說)」을 중심으로-

        유봉희 ( Yu Bong-he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6 한국학연구 Vol.0 No.42

        이 연구는 2회에 걸쳐 진행할 예정이다. 하나는 양건식(梁建植, 1889~1944)이 칸트(Immanuel Kant, 1724~1804)의 철학사상을 번역한 「西哲康德格致學說」을 중심으로 그의 사상적 배경과 사회진화론(Social Darwinism, 社會進化論) 극복의 의지를 확인하고 (1), 다음으로는 이것을 토대로 양건식의 작품세계를 분석하는 것이다.(2) 이것은 서구가 던져준 ‘폭력적 근대’에 대항하는 ‘근대극복’의 의지까지 담고 있는 ‘가치의 재발견’을 의미하는 것이기도 하다. 그 첫 시도로 「西哲康德格致學說」을 중심으로 양건식의 사상적 배경을 살피고자 한다. 여기서 유식불교(唯識佛敎) 등 동아시아 전통사상에 대한 재발견과 이를 통한 서구사상에 대한 응전 등 당대 양건식의 사상적 고투를 확인할 것이다. 아울러 서양의 칸트 철학 수용과정의 ‘선택적 전유(selective appropriation)’ 양상과 불교옹호론자로서의 양건식과 그와 사상적 영향관계에 있는 중국의 량치차오(梁啓超, 1873~1929)의 자유사상과 조선의 한용운(韓龍雲, 1879~1944)의 불교정신을 규명하는 작업이 함께 따를 터다. 이것을 통해 량치차오·한용운·양건식의 사상적 동일성과 차별성을 분석, 양건식의 사상적 위치를 재확인하고자 한다. 무엇보다도 양건식의 「西哲康德格致學說」에 주목하는 것은 그가 작가로서 세상에 이름을 알린 직후(1915)부터 생을 마감하는 날(1944. 2.7)까지 불교도·불교연구자로서의 삶을 포기하지 않은 것은 물론, 1910년대 한국에서 칸트철학 수용의 한 단면과 불교를 통한 칸트철학의 재해석을 적실하게 보여주고 있다는 판단에서이다. 아울러 ‘진화’와 ‘진보’ 즉 ‘진화=진보’가 보편의 법칙으로 자리했던 1910년대를 관통한 그의 삶에서 오히려 이것을 극복하려는 사고의 조각들을 마주할 수가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이러한 측면에서 불교를 바탕으로 한 동아시아 전통사상과 서양사상을 습합(習合)함으로 ‘힘의 논리’를 앞세운 사회진화론을 극복하고자 했던 양건식의 사상과 문학은 근대를 재음미하는 지금 우리에게도 하나의 좋은 본보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양건식처럼 시종일관 사회진화론과 맞대결한 인물은 드물었던 것이다. 단순한 진화와 진보의 신화를 벗어난 이 깊은 근대극복의 정신은 어디에서 비롯한 것인가? 이 논문은 여기서 출발할 수밖에 없다. This study is to be carried on in 2 times. One is to confirm the thinking background and Social Darwinism, subjugation intent of Immanuel Kant (1724-1804) mainly on the basis of 「Seocheolgangdeokgyeokchi Theory」, the translation of Kant philosophical thought translated by Yang Geon Sik (1889-1944)(1) and the other is to analyze the works of Yang Geon Sik on the basis of such confirmation(2). This also means the ‘rediscovery of value’ which also includes the intent of modern subjugation that resists against ‘violent modernism’ cast by the West. As the 1st attempt, I intend to investigate the thinking background of Yang Geon Sik on the basis of 「Seocheolgangdeokgyeokchi Theory」. Here, I will rediscover traditional thought of East Asia such as consciousness only school, etc and confirm the thinking struggle of Yang Geon Sik in the age such as response against the Occidental thought through it. Further, I will also look into selective appropriation in the process of accommodating Kant's philosophy in the West, freedom thought of Yang Geon Sik as advocate of aspect and Buddhism as well as Lyang Chi Chao(1873-1929) who was in the relation of thinking influence with him and the Buddhist spirit of Han Yong Woon (1879-1944) of Joseon. Through them, I will analyze the thinking uniformity and discrimination of Lyang Chi Chao, Han Yong Woon and Yang Geon Sik in order to reconfirm thinking position of Yang Geon Sik. Above all, Yang Geon Sik's 「Seocheolgangdeokgyeokchi Theory」 is notable in the judgment that he did not waive his life as a Buddhist and researcher of Buddhism immediately after he became famous as an author (1915) to the day he deceased (1944. 2.7) as well as he exactly showed reinterpretation of Kant philosophy through a cross section of accommodating Kant philosophy and Buddhism in Korea in 1910s'. Another reason is that his life penetrating 1910s' when ‘evolution’ and ‘progress’ namely, ‘evolution= progress’ was fixed as the law of universality showed the pieces of thought which tried to overcome such law. In this aspect, it is expected that the thought and literature of Yang Geon Sik which tried to overcome Social Darwinism that preferentially presents ‘logic of power’ by combining Oriental traditional thought based on Buddhism and Occidental thought would be a good example for us as we peruse modern time again. Persons like Yang Geon Sik who consistently confronted with Social Darwinism were rare. What is the origin of this deep spirit of modern subjugation which deviates from simple evolution and myth of progress? This dissertation inevitably starts from this point.

      • KCI등재

        특집 번역의 동아시아적 계보와 문화적 상상 : 입센으로 되돌아본 동아시아 근대 기획 ; 입센과 세계문학의 식민지-양건식의 『인형의 집』 번역과 『사랑의 각성』

        박진영 ( Jin Young Park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5 민족문학사연구 Vol.58 No.-

        입센의『인형의 집』은 번역을 통해 동아시아에 사상적 충격을 준 문제극이다. 한국에서 『인형의 집』은 삼일운동 직후에 중국문학 전문 번역가 양건식에 의해 처음 번역되었다. 양건식은 중국 백화운동의 성과 및 후스의 번역 실천과 연대한 것이 아니라 일본을 경유하여『인형의 집』을 중역했다. 양건식은『인형의 집』이 지닌 진보적 가치를 획기적이자성공적으로 번역했으나 원작에 대한 충실성과 보수적인 번역 태도를 견지했다는 점에서 양면적이다. 특히『사랑의 각성』은 입센의 원작과 양건식 자신의 번역을 희화화한 문제적인희극이다. 양건식을 비롯한 남성 문학 주체는 노라로 대변되는 여성의 자각과 개성의 해방을 부정했으며, 남녀.신구.동서의 삼중 대립에 얽매인 상상력을 바탕으로 여성 문제를이해했다. 한국에서 입센 번역은 역사적 실천성이 동반되지 않은 조급성과 동아시아 근대의 상상력을 공유하지 못한 한계를 드러냈다. 또한『인형의 집』번역을 통해 동아시아에서동시적이면서 서로 다른 세계문학, 단일하거나 평등하지 않은 세계문학이 상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Henrik Ibsen`s A Doll`s House (Et dukkehjem) is a problem play whose translations shocked East Asia ideologically. It was first translated into Korean following March 1st Independence Movement by Yang Geon-sik, a professional translator of Chinese literature. Yang did not follow the translation practice of Hu Shih or the achievements of the Chinese Vernacular Movement, but second-hand translated (double translated) the Japanese versions of the play. Yang`s translation was ambivalent in that he managed to translate the progressive values of the original successfully and innovatively while maintaining a faithfulness to the original and a conservative translating attitude. Yang`s Comedy Sa-rang-ui Gak-seong (Awakening of Love) was particularly controversial as it was a travesty of both Ibsen`s original work and his own translation. Male literary subjects including Yang denied the self-realization and liberation of women represented in the character of Nora. They understood women`s problems by imaginations based on triple confrontations between male and female, old and new, and East and West. The translations of Ibsen`s work into Korean were limited as it reflected impatience without historical practicability, and did not embody the consciousness of modern East Asia. Furthermore, through the translations of A Doll`s House, world literature became different while concurrent in East Asia, i.e., imaginations that were not uniform throughout the region, and true to but not fair with the original.

      • KCI등재

        현실판 노라 길들이기 : 희곡 『사랑의 각성』 과 「종신대사」의 비교 연구

        등천 ( Dengqiana ) 한국문학연구학회 2017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61

        입센의 『인형의 집』은 1910년대 말 1920년대 초에 후스와 양건식에 의하여 차례로 중국어와 한국어로 번역되었다. “인형의 집”에서 뛰쳐나간 노라는 양국에서 선풍을 일으켰으며, 후스와 양건식은 각각 희곡 「종신대사」와 『사랑의 각성』을 창작하여 그들이 바라는 노라를 재현했다. 두 작가는 한편으로 『인형의 집』의 무대 공간, 갈등 구조, 여성의 가출모티프를 차용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각각의 근대 기획에 근거하여 중국판 노라와 한국판 노라의 이야기를 형상화하였다. 이 연구는 『인형의 집』을 매개로 삼아 『사랑의 각성』과 「종신대사」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봄으로써 양건식과 후스의 근대 기획을 고찰했다. 첫째, 『사랑의 각성』과 「종신대사」는 신구가 혼재하는 중산층의 집을 무대 공간으로 설정했다. 아버지가 부재한 해군 대위의 집은 네이션이 부재한 조선의 식민지 현실을 상징적으로 드러냈으며, 아버지가 절대적 권위를 갖는 톈야메이의 집은 유교 사상에 철저히 지배된 당대 중국의 현실을 체현했다. 둘째, 『사랑의 각성』과 「종신대사」는 외부인과 가족구성원으로 이루어진 삼각형 갈등 구조를 사용했으며, 갈등의 초점을 외부인과 가부장의 대립에 두었다. 이러한 갈등은 결국 서양과 동양, 신과 구의 대립으로 귀결된다. 셋째, 노라의 자율적 각성과 달리 『사랑의 각성』과 「종신대사」의 여주인공은 모두 남성에 의하여 각성에 이른다. 중국 여학생 톈야메이는 애인 천 선생이 전해 주는 쪽지를 보고 가출하는 반면 조선의 주부 혜원과 동숙은 남편의 훈육을 받고 이혼 요구를 포기하며 다시 집으로 돌아간다. 이처럼 양건식과 후스는 서로 다른 방식을 통하여 여성을 훈육하고 계도하였다. 이러한 차이점을 통하여 양건식과 후스가 지향하고자 하는 근대의 상을 엿볼 수 있다. 양건식은 여성을 사적 영역에 가두고 공적 영역에서 남성만의 근대를 지향한 반면에 후스는 여성을 가출 공동체에 포섭시켜서 근대를 추구하고자 했다. 이것은 양건식과 후스만의 인식이 아니라 양국 남성 지식인들이 공유한 의식이기도 하다. In the late of 1910s and early of 1920s, Hu Shih and Geon-sik Yang translated A Doll ` s House into Chinese and Korean, respectively, which produced great repercussions in both countries. When the “Nora Syndrome” became all the rage, Hu Shih and Geon-sik Yang created the dramas named “The Greatest Event in Life” and The Awakening of Love, respectively, which recreated the story of Chinese version of Nora and Korean version of Nora. There are many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he two people`s works between A Doll ` s House, and these differences mainly originated from the opinions on the modern society of the two people. Therefore, in this paper, A Doll ` s House will be used as the discussion medium to analyz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Greatest Event in Life” and The Awakening of Love, in order to study the different opinions on the modern society of Hu Shih and Geon-sik Yang. First of all, similar with A Doll ` s House, both of the two works take the living rooms of the Middle Class as the stage space. In the The Awakening of Love, the father of the naval captain is absent in the family, which acts as a symbol of colonial status of Korea. However, in the “The Greatest Event in Life”, Mr. Tian as the master of the family owns absolute authority power, which truly describe the Chinese “old family style” at that time. Secondly, same with A Doll ` s House, the two works as discussed also introduce the `eternal trangle` composed of the alien and the family members. The core contradictory of “A Doll`s House” is the conflict between Nora and her husband, but it is the conflict between the aliens and patriarch in The Awakening of Love and “The Greatest Event in Life.” Ultimately, the former contradictory is the conflict between new and old, eastern and western. Finally, the biggest difference among A Doll ` s House and the two works are the awakening of the heroines. Nora was self-wakening, but the heroines in the two works are wakened by the help of aliens. The enlightenment of Ya-Mei Tian given by Mr. Chen means the enlightenment of Chinese youth given by Hu Shih. And the discipline to Hye-won by the husband is just the suggestions to the Korean women proposed by Geon-sik Yang, which is not to imitate Nora without consideration but to be the good wifes and wise mothers.

      • KCI등재

        양건식의 칸트철학 번역과 선택적 전유

        이행훈 동양철학연구회 2011 東洋哲學硏究 Vol.66 No.-

        Yang Geon-sik was a Buddhist activist and a novelist as well as a translator. The former researches on Yang was primarily focused on his literary works although Yang was one of the leading social thinker and scholar in the Korean enlightenment period. In this article, I illuminated Yang's disciplines and ideas by analysing his translation of Kant, which was published in the translated article titled "Western philosopher Kant's gyeokchi theory(西哲康德格致學說)". It should be noted that the philosophy of Kant accepted via Japan and China in Korean in the 1910s through the East Asian distribution channels of Western philosophy. The original author of the article was Ryang Chi-chaoh. During his exile in Japan, Ryang wrote the article titled "the best modern philosopher, Kant's theory(近世第一大哲康德之學說)". Ryang's article was a translation of a part of "the philosophy of history(理學沿革史)" written by Nagaechomin in Japan. To compare the concept of 'Zhenru(眞如)'of Buddhism with the concept of 'Zhenwo(眞我)' of Kant, and 'Mingde(明德)' of Zhuxi, Yang admitted the predominance of Buddhism and Buddhist tradition by recognizing that the universal values of a modern system could be reconfigured. Yang Geon-sik's translation series went along with the Buddhism promotion movement. Yang Geon-sik lived in an era that evolution and development were supposed as an overall social indicators. However, he gave a great focus on Buddhism and literature to discover the possibility of transcendence. For Yang, transcendence was not a notion to escape into abstractness but a notion to recall the value of life by rediscovering the human inner nature which was repressed by capitalism and the civilization base on materialism. Yang's work is an important which is not only a source that can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modernity but also a stimulant that can enrich the history of modern Korean philosophy. 백화 양건식은 불교운동가, 소설가, 번역가로 활동하였다. 기존 연구는 주로 그의 문학세계에서 관한 것이었고 학문이나 사상 연구는 부진하였다. 양건식 뿐만 아니라 한국 근대 특히 식민시기의 지식인에 대한 연구는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고 있다. 이런 현상의 원인으로 식민시기를 전통 철학의 단절과 근대적 학문 체계의 미성립으로 보는 관점을 들 수 있다. 전통철학과 연결하는 계보학적 방법이나 서구 근대 학문을 기준으로 수용의 정도를 가늠하는 방식은 식민시기 사상적 지형도를 올바로 분석하기 어렵게 만든다. 본고에서는 역사의미론의 방법을 적용하여, 양건식이 번역 소개한 「서양 철학자 칸트의 격치학설(西哲康德格致學說)」을 중심으로 그의 학문과 사상을 분석하였다. 이 글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는 일본과 중국을 경유하는 동아시아의 서양철학 유통 경로와 1910년대 한국에서 진행된 칸트철학 수용의 한 단면을 적실하게 보여주기 때문이다. 「서양 철학자 칸트의 격치학설」의 원저자는 량치차오다. 량치차오는 일본 망명시절 나가에 초민의 『理學沿革史』 중 칸트 부분을 번역 주해하여 「근세 최고의 철학자 칸트의 학설(近世第一大哲康德之學說)」을 집필하였다. 양건식이 이 글을 번역 연재한 목적은 불교진흥운동에 부합한다는 판단에서였다. 불교의 ‘眞如’와 칸트의 ‘眞我’, 주희의 ‘明德’을 비교하고 불교의 우위를 인정함으로써 전통 불교는 근대의 보편적 가치체계로 재구성될 수 있었다. 그러나 글의 표제에서 칸트 철학을 ‘格致’라는 용어로 푼 것은 서구의 ‘philoshphy’에 상응하는 번역어로 ‘철학’이 아직 정착되지 않고 있음을 보여준다. 전통 학술용어인 격치(학)은 대체로 서구 자연과학기술을 가리킬 때 사용되었는데, 양건식은 ‘격치’가 칸트 철학을 설명하기에 적합하다고 판단했다. 결국 1910년대 ‘격치’는 여전히 자연과학과 철학의 경계를 넘나들며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아울러 주목해야 할 점은 삼중 번역 과정에서 나타나는 굴절과 ‘선택적 전유(selective appropriation)’ 양상이다. 양건식은 ‘자유’와 ‘독립’, ‘주권’과 ‘영구평화’를 다룬 절을 번역에서 누락시켰다. 일제는 제국의 지배 질서에 반하는 담론의 유통을 통제하였고 칸트 철학의 경우도 예외가 될 수 없었다. 양건식은 ‘진화’와 ‘발전’이 삶의 지표와 규범이던 시대를 살았지만 ‘불교’와 ‘문예(문학)’에서 ‘초월’의 가능성을 발견하고자 하였다. 초월은 관념으로의 도피가 아니라 자본주의와 물질문명에 억압된 인간 내면의 본성을 발견하여 삶의 가치를 회복하는 것이었다. 여기서 발견되는 ‘근대성’은 개인사에 머물지 않고 우리의 ‘근대’를 재음미할 수 있는 새로운 자극이며 한국 근대 철학사를 풍성하게 할 중요한 자료임에 분명하다.

      • KCI등재

        白華 梁建植의 중국 현대문학 번역․수용에 대한 재고찰

        왕염려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9 한국학연구 Vol.0 No.52

        일제 치하에 물밀 듯이 밀려오는 서구문학의 틈바구니에서 白華 梁建植은 온갖 어려움을감수하며 꾸준히 중국문학을 번역․소개함으로써 한국에서의 중국문학 연구의 역사적 명맥을 이어준 인물이다. 지금까지 그의 중국문학, 특히 현대문학의 번역 및 수용에 관련된 연구에는 일정한 진전이 보이지만 여전히 적지 않은 문제점이 노정되어 있다. 본고는 梁建植의중국현대문학 번역․수용에 관한 연구의 흐름을 시기적으로 간략하게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관련 연구 중에서 누락되거나 오류가 있는 부분을 수정․보완하며 나아가 좀 더 치밀하게궁구해야 할 문제들을 짚어보는 데에 목적을 둔다. 梁建植의 중국 문학 번역․소개 작업을평가할 때 그가 일본 측의 자료에 의거했던 사실에만 연연하지 말고, 이를 둘러싼 당대적 현실을 면밀하게 살펴봄으로써 梁建植의 작업이 지니는 의의와 가치를 보다 더 객관적으로 평가해야 한다.

      • KCI등재

        白華 梁建植의 〈時調論-그復興과 改良을 促함-〉에 나타난 時調復興運動과 時調認識

        박미영(Park Mi-young) 한국시조학회 2007 시조학논총 Vol.27 No.-

        백화 양건식이 1925년 『시대일보』에 연재한 〈時調論-그復興과改良을 促함-〉을 대상으로 시조부흥운동에서의 위치와 시조의 특질에 대해 논의한 시조인식을 살펴보았다. 최남선보다 이른 시기에 신채호의 용어를 사용하면서 시조부홍의 정당성을 영향력 있고 비중 있는 일간지애 연재하여 시조부흥론에 도화선이 되었다. 이 과정에서 도출되는 시조 인식 또한 오늘날 연구논문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양건식은 『시대일보』에 〈시조론〉 3회를 연제하면서 (1) 時調가 詩다 아니다 (2) 우리의 詩인 時調(東洋 詩)는 西洋의 詩는 다르다 (3) 오늘날 우리 詩가 있다 없다는 명제를 논리적으로 전개하여 시조부홍운동의 정당성을 확보할 뿐만 아니라 구체적인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 세 가지 명제에 대한 대답으로 시조는 시이며, 현실과 무관하다고 비난하더라도 그것은 동양 삼국의 시로서의 동질성으로 파악될 수 있으며, 우리의 존재를 확인하는 우리 시를 갖기 위한 것으로 시조는 부흥되어야 한다는 결론에 이른다. “그렇다면 이 시조는 어떻게 부흥되어야 하는가” 하는 점에서 대안에 대한 논의가 시작된다. 그 대안으로 제시하는 것이 바로 향가이다. 양건식은 시조의 특질에 대한 심도깊은 논의를 하고 있다. 시조의 명칭을 시대적 의미들을 담아낸다는 의미에서의 “時調”로 확정했다. 시조의 정형성은 향가시대로부터 연연이 이어지면서 다듬어진 것이라고 하여 시조의 형식을 史的으로 파악하는 면모를 보였다. 시의 본질은 마음의 소리이며 마음은 시대의 영향을 받는다고 하면서도 마음을 잘 일구어 교양에 도움이 되어야 한다고 하여 심성수양과 성정론에 시의 근거를 두는 유교문학론에 가깝다. 그러나 창조, 창작이라는 말로 시의 본질을 논하여 시의 창의적 표현, 우리만의 고유한 표현이 시의 본질이며 문화의 정수라고 하였다. 표현내용에 있어서 자기를 표현하고 자기 느낌을 토로해야 할 뿐만 아니라 모든 사물을 시의 소재로 삼아 느낀 바를 자연스럽게 영탄해야 한다고 한다. 이는 홍대용의 있는 그대로의 정을 드러내야 좋은 노래(시)라는 논의를 이어받고 있으며, “조선스러움, 조선심”이라는 신비주의적 내용을 주장하는 최남선보다는 “실감 실정론”을 주장하는 이병기에게로 연결되고 있다. 효용의 문제에서는 용어나 논리를 신채호에 의거하고 있지만 신채호와 같이 시대를 이기기 위한 강력한 교화론적인 효용론을 주장하지는 않는다. 오히려 인간답게 하는 교양을 위한 개인적 감화를 목적으로 하여 문학의 대사회적인 책임감은 축소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itically review the revival movement of Sijo and its status and perception represented from Yang Keun-Sik's Sijo-Ron published at Shidae llbo in 1925. His work triggered the revival movement of Sijo in that they proposed the rationale of the revival movement of Siio which was published from one of the most leading newspapers at that time. The perception toward Sijo derived from the processes of the movement has shed lights on the current research.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When Yang Keun-Sik subscribed Sijo-Ron three times at Shidae Ilbo, he started with three hypotheses. That is, first, an era is not poetry. Second, Sijo is different from western version of poetry. And finally, we do not have our own poetry. In sum, from Sijo-Ron, Yang Keun-Sik made an effort not only to gain the rationale for the revival movement but to offer the detailed ways. Yang Keun-Sik emphasized the fact that Sijo shares lots of commonalities with poetry and was interested in finding out the origin of Sijo in relation with Hyangga (Shilla songs). While Choi Nam-Sun spoke highly of Sijo as formal verse. Yang Keun-Sik helped us to understand it accurately. In addition, his works have made great contribution to the study of prosody. However, the limitation of Sijo-Ron is that it was ended where alternative solutions were just started.

      • KCI등재

        중국문학 번역의 분기와 이원화 -번역가 양건식과 박태원의 원근법

        박진영 ( Jin Young Park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4 동방학지 Vol.166 No.-

        양건식과 박태원은 식민지 시기의 중국문학 번역이 지닌 역사성을 선명하게 보여 주었다. 중 국문학을 외국문학으로 인식한 최초의 전문 번 역가인 양건식은 백화소설과 문학혁명론의 번 역을 통해 중국문학을 바라보는 시각을 근대적 으로 전환시켰다. 양건식은 서양문학과 중국문 학, 고전과 근대문학, 중역과 직역을 넘나들면서 세계문학 속에서 중국문학을 사고했다. 박태원 은 1930년대 말에 의화본과 역사소설 중 일부를 번역하여 소설집으로 재편성했다. 또 문언 단편 가운데 환상적이면서도 교훈적인 이야기를 뽑 아 동화로 번역했다. 박태원의 번역은 출전이 된 원작의 고유한 성격과 언어의 차이를 제거하고 이질적인 체재와 형식을 결합시켰다. 박태원의 번역 태도와 방법은 백화 단편이나 야담을 중국 소설로, 문언 단편을 중국동화로 편입시키는 효 과를 낳았다. 고전 번역이라는 의식에서 출발한 양건식이 야담의 틀에서 벗어나지 못한 반면에 박태원은 고전의 권위를 해체하고 이야기의 흥 미에 초점을 맞추어 원작을 개편하거나 의역했 다. 박태원의 중국문학 번역은 1930년대 말의 문 학사적 조건 속에서 성립된 산물이며, 1960년대 이후 중국문학 번역의 이원화와 고전 위주의 상 업적 전집 출판 붐을 예고했다. Yang Geon-sik and Park Tae-won clearly showed the historicity of Chinese literature translations in the colonial period. Yang Geon-sik was the first professional translator to perceive Chinese literature as foreign literature, and through translations of colloquial Chinese novels (baihua xiaoshuo) and his theory of the Literary Revolution, he changed and modernized the perception of Chinese literature. Yang Geon-sik apprehended Chinese literature within the context of world literature by moving in and out of Western literature and Chinese literature, classic and modern literature, second-hand translations (double translations) and direct translations. Park Tae-won translated parts of nihuaben (novels written in the style of story-telling scripts) and historical novels that he reorganized into a collection of short stories in the late 1930s. Additionally, within classical Chinese (wenyan) short stories, he chose fantastical and didactic stories to transpose into children`s fairy tales. The translations of Park Tae-won removed the innate characteristics and linguistic differences from the original work, and combined disparate systems and formats. His translation attitude and method resulted in the transformation of colloquial Chinese (baihua) short stories or ya-dam (unofficial versions of history) into Chinese novels, and of classical Chinese (wenyan) short stories into Chinese children`s fairy tales. While Yang Geon-sik, who started from a perspective of classic translation, was unable to break away from the mold of ya-dam, Park Tae-won deconstructed the authority of the classics and reorganized or liberally translated the original works by focusing on the more interesting aspects of each story. The Chinese literature translation of Park Tae-won was a product of the historical literary conditions of the late 1930s, and it heralded the dualization of Chinese literature and the publishing boom in commercial collections of classics after the 1960s.

      • KCI등재

        진화론적 세계 인식과 동정의 윤리 - 양건식의 근대문학을 중심으로 -

        송명진 국제어문학회 2018 국제어문 Vol.0 No.77

        This study examines the ways in which the theory of evolution works in the 1910s. Evolution theory was the logic of dominating individual lives in everyday life in the 1910s. First, evolution theory called humans a modern individual. Individuals had to compete in order not to become the weak. Individuals had to overcome fatigue and loneliness from the competition. Yang Gun-sik has dealt with this in Mimong and Nora. On the other hand, evolution is not ethical. So, Yang Gun-sik made a novel about a sympathy for the weak. But it was not good. Because everybody in colonial Chosun was the potential weak. The fear that he could become the weak prevented him from helping others. Yang Gun-sik dealt with this in Slpunmosun and Gajulhandongjung. The Yang Gun-sik’s literatures are important in that deal with the daily life of an individual. 본 연구는 양건식 문학을 대상으로 1910년대 진화론이 작동되는 방식에 대해 고찰했다. 1910년대 진화론은 일상에서 개인의 삶을 지배하는 논리였다. 먼저, 진화론은 ‘개인’을 ‘근대적 개인’으로 호명했다. 진화론에 의해 호명된 근대적개인은 우승열패의 생존경쟁의 장에서 도태되지 않기 위해 경쟁해야만 했다. 지속되는 경쟁의 피로감과 약자가 될 수 있다는 두려움은 오롯이 개인이 감당해야할 몫이었다. 한편, 경쟁에서 이긴 승자가 생존하는 것은 맞지만 그 생존이 곧승자의 윤리성을 보장하지는 않는다. 양건식은 진화론의 어긋난 윤리성에 기초하여 약자에 대한 동정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그러나 식민지 상황에서 언제나약자가 될 수 있다는, 조선인의 잠재된 약자 의식은 다른 약자를 위한 동정의윤리를 실천하는 데에 장애가 되었다. 1910년대 개인을 단위로 한 진화론은 곧일상의 문제였다. 양건식 문학은 국가가 사라진 지점에서, 개인이 일상에서 겪는 경쟁의 문제를 다루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 KCI등재

        양건식의 중국신문학운동 수용과 번역의 태도

        鄭宣景(Jung, Sun-kyung) 중국어문학연구회 2013 중국어문학논집 Vol.0 No.79

        Observing that Yang Kunsik(梁建植) had an outstanding position as an introducer of modern Chinese literature but received little attention and the existing researches on him are insufficient, this paper recounts him. Especially I would like to reconsider the status of academic circles which valued less on the interchange with Chinese literature and enlight the process of the reception and spread with a keyword of translation. This paper reveals how Yang Kunsik translated, what he translated, why he translated and what the forms and attitudes of his translation were, while his pursuing direct interchange with Chinese literature in the times when most of the intellectuals tried to learn from Japan during the collision of tradition and progress. As a translator of Chinese literature, Yang Kunsik had been much influenced by the philosophy of Yang Kyecho, Ho Jeok and Roh Shin. He became interested in Chinese modern literature movement by Yang Kyecho, agreed with Ho Jeok on the new literary style movement and thought very highly of the modernity of Roh Shin’s works. After investigation Yang Kunsik’s translations, I can make clear that he accommodated Ho Jeok’s literary style and Roh Shin’s attitude as a translator. It is also revealed that the specialties of history and culture of each nation must considered in the translation works of the modern intellectuals of both nations who insisted on patriotism and enlightment although both of them shared fundamentally the same recognitions of the rea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