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장공모제도 운영현황 및 정책성과 분석

        주창범(朱昶範),강소랑(姜小浪) 한국정책과학학회 2012 한국정책과학학회보 Vol.16 No.3

        본 연구에서는 2007년 하반기부터 도입된 초·중·고등학교 교장공모제도의 운영현황과 성과를 분석하였다. 교장공모제도는 그동안의 승진임용제도가 갖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도입된 제도로서 젊고 유능한 교장을 학교구성원들의 의사를 반영하여 임용하기 위한 것이다. 공모로 임용된 교장은 학교에 혁신을 가져오고 학교와 지역사회에 보다 책임 있는 학교경영을 할 것으로 기대되었다. 이러한 공모교장제가 성과있게 운영되고 있는가를 살펴보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교장공모제 유형별 비중, 공모교장의 지원자격, 공모교장의 배경변인별 특성, 교장공모제의 심사과정 등을 분석하였다. 이와 더불어 교장공모제의 역사적 전개과정과 추진과정에서 나타난 주요한 정책사항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였고, 이를 통해 교장공모제에 대한 정책적 이해를 높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그동안의 성과를 평가하였고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publicly recruited appointment system of school principals, which has been introduced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school management. The old top-down appointment system has been criticized as an important factor in weakening school performance. This study collected and analyzed the data of principals who were recruited from 2007 till 2011 through open appointment system, and then compared the characteristics of those principals with those of traditionally recruited principal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new system generally helps resolve the problems shown in the traditional recruitment system. But it is suggested, among other things, that the number of principals holding principal diplomas was increasing while the number of principals without such diploma was stagnant. This result is caused by some policy changes intended to minimize the radical departure from the existing personnel management of school principals.

      • KCI등재후보

        교육행정전문직으로서 교장직 정립을 위한 교장임용제도 개혁

        박상완 한국교원교육학회 2004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1 No.1

        본 논문은 현 교장임용제도는 교육행정 전문직으로서 교장직에 대한 인식이나 이를 뒷받침할 제도적 조건이 미흡하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학교장 및 학교행정에 관한 여러 연구 문헌들에서는 단위학교의 최고 책임자로서 학교장의 역할이 중요하고, 이를 위해 학교장이 갖추어야 할 자질, 능력, 과업 등을 지적해 왔다. 그러나 현 교장(승진)임용‘제도’는 일반교원의 승진과 교장임용을 하나의 틀로서 유지하고 있다. 최근 전교조가 제안하고 있는 교장선출보직제도는 교장직을 하나의 보직개념으로 파악하는 것으로서 교사직과 교장직을 각각의 고유한 전문직으로서 인정하지 않는 인식의 극단을 보여주고 있다. 교장선출보직제의 가장 큰 맹점은 교사가 하는 일과 교장이 하는 일은 그 성격상 큰 차이가 없으며 교사와 교장의 역할이 상호교환적으로 수행될 수 있는 것으로 전제하고 있다는 점에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교장승진임용제도 현황을 상세하게 분석함으로써 현 제도 하에서 교장직이 고유한 전문직으로 인정되지 못하고 있음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기초로 교사직과 교육행정직은 별도의 전문영역으로 정립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제도적으로 교장(교원) 자격임용승진체제의 분리, 학교장의 교육적 지도성 및 역할의 재규정, 교장과 교사의 전문성 및 자율성 영역을 구분할 필요가 있음을 주장하였다.

      • KCI등재후보

        한국과 미국의 학교장 양성과 전문직적 능력개발에 관한 비교연구

        주삼환 한국교원교육학회 2004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1 No.3

        교육환경이 변하면서 교장직은 더욱 중요해지고 전문성이 요구되는데 최근 우리나라에서 교장의 지도력을 약화시키려는 여러 주장이 나와 한?미 간 교장제도에 관한 비교연구를 하게 되었다. 두 나라의 교장의 직무를 밝히고 자격취득, 임명, 능력개발의 과정을 비교하려는 목적으로 초?중?고등학교를 방문하여 관찰하고 관계자를 면접하여 확인하였다. 그 결과 한국에서는 교장의 직무를 법으로 포괄적으로 규정한데 비하여 미국에서는 직무를 표준화 시키고 이에 의하여 양성, 채용, 직무수행, 능력개발, 평가를 하고 있다. 한국에서는 교감과 교장을 교사 중에서 선발하여 승진?임명하는 폐쇄체제이고, 미국은 대학원에서 교장전문가로 양성하여 공개경쟁에 의하여 선발하는 개방체제를 채택하고 있다. 한국에서는 교장에게 능력개발의 기회가 적으나 미국에서는 계속적인 능력개발이 요구된다. 이런 제도의 차이로 한국에서는 전문성이 부족한 상태에서 승진하여 단기간 교장으로 근무하는 반면 미국에서는 장기간 전문행정가로 직무수행을 한다. 우리나라에서도 교장직을 전문화 시키기 위한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 KCI등재

        교장공모제 쟁점에 대한 학교 구성원의 인식

        전수빈,김갑성,이효정,박인심 한국교원교육학회 2018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5 No.2

        본 연구는 교장공모제를 둘러싼 쟁점들에 대한 학교 구성원들의 인식차를 설문조사를 통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분석 결과를 선행연구 결과와 비교하여 교장공모제가 실질적으로 확대 시행되기 시작한 2013년 이후 학교 현장에서 제도에 대한 어떠한 인식 변화가 있었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통해 도출된 여섯 가지 쟁점들을 기반으로 설문조사 문항을 구성하였고 공모교장이 재직 중인 전국의 모든 초중등 학교와 동일 지원청 내 일반 학교의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공모교장의 학교 관리 경험과 전문성 부족에 대하여 공모학교의 구성원들이 일반학교 구성원들보다 경험과 전문성 부족의 문제를 덜 심각하게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공모교장의 학교 운영 권한의 확대에 대해서는 공모 학교와 일반 학교 구성원 간 인식차가 있었다. 셋째, 타당한 교장공모제 시행 비율로 전반적으로 교원들은 공모여부에 상관없이 현행 유지 혹은 축소 쪽으로 응답한 반면 학부모들은 현행 비율을 유지하거나 확대 시행되어야 한다고 응답한 비율이 높았다. 넷째, 내부형 공모교장 가운데 교장자격증 미소지자 지원 제한의 적정 비율에 대하여 공모여부와 상관없이 전반적으로 교원들은 현행 유지 혹은 축소 쪽으로, 반면 학부모들은 공모제 여부와 상관없이 현행 비율을 유지하거나 확대 시행되어야 한다고 응답하였다. 다섯째, 임기 만료된 공모교장의 인사 방식에 대한 구성원들의 인식은 공모여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마지막 여섯 번째 쟁점인 공모교장 임기의 승진 임용 교장 임기 내 포함 여부에 대한 구성원들의 인식은 공모 여부에 관계없이 대부분의 교원들이 ‘승진제 임용 교장 임기에 포함해야 함’을 지지하는 반면, 공모제 교장의 경우만 포함하는 것에 대해 부정적 인식을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erceptions of different school members about the issues on the implementation of Open Recruitment System for Principals(ORSP) in Korea. This study also aims to compare the results with those of the previous studies and examine how the issues have been perceived and changed since 2013, when the system was practically expand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shows that members of the ORSP schools are less aware of the problems of inexperience and lack of professionalism than their counterparts in general schools. Second, there was a difference of perception between the members of the ORSP schools and the general schools concerning the extension of the authority of the principals who were appointed via ORSP. Third, teachers generally responded to the idea of maintaining or downsizing the ORSP system, while parents said it should be maintained or expanded. Fourth, teacher generally responded to the opinion of maintaining or reducing the current proportion for those who do not have principal licence, while the parents tend to agree on retention or expansion. Fifth, the perception of the members on how to deal with the personnel issues of those who had expired in their term as Openly recruited principals differed depending on whether their schools were ORSP or not. Sixth, most teachers supported the term as an ORSP principal should be included in the total term as a general, or in other words, promoted principal.

      • KCI등재

        초임 공모교장(초빙형)의 적응과정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문지윤(Moon Gi Yoon),김병찬(Kim Byeong Cha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21

        본 연구의 목적은 초임 공모교장(초빙형)의 학교 적응과정에 대한 경험과 그 의미를 심층적으로 탐색하는데 있다. 이에 서울지역 중학교에 초임 공모교장(초빙형)으로 부임한 한 공모교장(초빙형)을 대상으로 2017년 10월부터 12월까지 약 3개월, 즉부임 후 1학기 동안 지속적인 심층면담과 더불어 학교 행사 및 회의 등을 참여관찰 하였으며, 주제분석과 영역분석을 하여 질적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초임 공모교장(초빙형)의 학교 적응과정은 ‘낯선 적응’, ‘내 스타일 펼치기’, ‘갈등과 타협’, ‘불확실한 확신’ 등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초임 공모교장은 공모교 장과 초임 교장의 두 가지 역할을 해나가며 자신의 경영철학과 교육 소신을 바탕으로 교직원과의 원만한 상호작용을 통해 새로운 학교 변화와 발전을 이끌어내기 위해 다양한 시도와 고민 등을 하고 있음이 드러났다. 본 연구는 초임 공모교장의 겪는 어려움을 줄이고 교장공모제의 개선과 긍정적으로 발전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xperiences first time invitational principles go through while getting used to their newly appointed school; and to explore its meanings in-depth. For this reason, from October to December of 2017, for the first semester after being appointed, I have recruited and administered a participant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 oriented case study on an invitational principle who have been recently appointed to a middle in Seoul as a first time invitational principle. The study result suggested that the adaptation process for the principle to his new workplace include different types of phenomenon such as Stranger Phase: a phase a person go through to adapt to one’s environment including new environment, job, and colleagues; Do-it-My-Way Phase: a stage where after settling into one’s new environment and successfully forming social relationships, a principle tries to bring changes in school; Conflict and Peace Phase: a stage where there may be some conflicts between a principle and teachers and searching for remedies for conflicts; and lastly Shaky Conviction Phase: a stage in which a first time invitational principle flourishes and mature with a bit of uncertainty as well as some conviction about the paths to take in the future. In this study, the first time invitational principle demonstrated smooth interactions with the teachers based on personal management philosophy; as well as carrying out one’s duties as an invitational principle and first time principle at the same time. Furthermore, it was evident from the study that he wasn’t shy on employing different methods to bring about changes and create developments. This study is meaningful for its efforts to reduce difficulties or learning curves a newly appointed invitational principles who also happens to be a first time principle; as well as to aid making improvements to the invitational principle program and to its future direction.

      • KCI등재

        교장공모제 시행 학교와 학교장의 특성 분석

        양민석(Yang Min-Seok),정동욱(Jeong Dong Wook) 한국교육행정학회 2015 敎育行政學硏究 Vol.33 No.1

        교장공모제는 종래의 일괄적인 임명 방식에서 벗어나, 일선 학교에서 교장 후보자를 공개 모집하고 학교의 구성원이 선정에 참여하는 과정을 거쳐 적임자를 교장으로 임용하는 제도이 다. 본 연구는 교장공모제 정책의 시행 과정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교장공모제를 시행하 는 학교와 공모교장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의 틀로 자원 의존 이론(Resource Dependency Theory)과 특권 학생 편의 이론(Privileged Student Bias), 주인-대리인 이론(Principal-Agent Theory)을 적용하였다. 분석 자료로는 에듀데이터서비스(EduData Service System)와 서울교육 종단연구(Seoul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경기교육종단연구(Gyeonggi Education Panel Study)를 사용하였으며, 실증분석모형으로 패널 로짓 모형(Panel Logit Model)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교장공모제를 시행하는 학교는 미시행(일반) 학교에 비해 단위 학교의 학생 수가 적고, 학업수준이 높고, 설립 된지 오래된 학교였으며, 교육프로그램을 많이 실시학고, 자율학교, 특별광역시 지역에 소재하고 있다는 특성을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공모교장은 초등학교의 경우 일반 학교 교장에 비해 연령이 젊다는 것 외에 뚜렷이 구별되는 특성을 보이지 못했다. 그 러나 중·고등학교의 경우, 공모 교장은 연령이 젊은 남자 교장으로서 자신의 비전을 공유하고 단위 학교의 수업개선과 행정업무경감을 위해 노력한다는 특성을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교장공모제의 시행과 보완에 있어서 의미 있는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analyze policy implementation processes of Open Recruitment System for Principals (hereafter ORSP). For this purpose, two research question were formulated as follows. the first is 'Do schools which execute ORSP have distinct characteristics compared to schools which do not implement ORSP?'. And the second is 'Do recruited principals show differentiating characteristics in comparison with general principals?'. For answering to these research questions, this research utilized Resource Dependency Theory, Privileged Student Bias and Principal-Agent Theory as conceptual framework, and the findings are then analyzed by using the data from EduData Service System, Seoul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and Gyenggi Education Panel Studay as well as by adopting the statistical techniques Panel Logit Model. After the analysis, two major findings were drawn from the results. First, compared to schools which do not adopt ORSP, it was confirmed that ORSP-based schools had less number of students, marked a higher rate of students whose grade is above average-level, were established long before, implemented an amount of educational programs, were autonomous, and were located in metropolitan cities. Second, recruited principals did not show any distinguished characteristics except for younger age compared to general principals. When the subjects were confined to middle-and-high school principals, they were generally characterized as young, male ones who shared their vision and exerted themselves to improve classes as well as to diminish administrative burden. the implication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it is imperative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ORSP in a new perspective. Second, education authorities promote benefits of ORSP to schools which are backward and isolated in need of policy consideration. Finally, it is necessary to alleviate the application regulations for inviting competent principals which is the original intention of ORSP.

      • KCI등재

        공모제 교장의 권력기반과 관리효과성의 관계에 관한 연구: 서울시 초등학교 임명제 교장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김은영,장덕호 한국교원교육학회 2012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9 No.1

        이 연구는 현 정부 출범 이후 확대되고 있는 교장공모제가 학교 현장에 어떤 변화를 가져왔는지 교장의 권력기반(power base)과 관리효과성(managerial effectiveness) 사이의 관계를 통해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교장공모제와 임명제가 각각 적용된 서울특별시 소재 초등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주요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모제 교장의 개인적 권력인 준거적 권력, 전문적 권력은 임명제 교장의 개인적 권력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공모제 교장의 조직 차원의 권력 중 합법적 권력, 보상적 권력은 임명제 교장의 그것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강제적 권력은 더 낮게 나타났다. 셋째, 공모제 교장의 업무적 측면, 관계적 측면의 관리효과성은 임명제 교장의 관리효과성보다 높게 나타났다. 넷째, 교장의 준거적, 전문적, 합법적, 보상적 권력은 관리효과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고, 강제적 권력은 관리효과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쳤다. 다섯째, 교장의 권력기반이 관리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임용방식에 따른 차이가 존재하였는데 강제적 권력은 공모제에서는 유의미한 변인이 되지 못했으나, 임명제에서는 강한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변인으로 작용하였다.

      • KCI등재

        내부형 교장공모제에 대한 교원 인식 분석 및 개선 방안

        김희규(Kim, Hee-Kyu),주영효(Joo, Young Hyeo) 한국교육정치학회 2020 敎育政治學硏究 Vol.27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Internal Open Recruitment System of Principals (IORSP) in Korea, focusing on the teacher s perception, and to find improvement plans for the educational field. To this end,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for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senior teachers, vice principals, and promoted principals as well as open-recruited principals by developing a survey tool consisting of qualifications and careers, selection methods, term, and evaluation. The analysis results of the survey with 1,200 participants are as follows: First, the high responses to the qualification requirements of the IORSP were educational experience, principal and vice principal qualification, and job experience; second, more than half of the respondents suggested that 25 years or more is required as a minimum educational experience for those without a principal qualification. In addition, respondents replied that the participation of external educational experts was necessary as a composition plan to ensure the fairness and expertise of the school-based review committee for the IORSP. Finally, regarding the plan not to include the term of the IORSP in the entire term of a principal, the opposite opinions of the survey participants were high. Based on the above analysis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policy plans to improve the IORSP. 본 연구는 교장공모제 유형 중 교원단체, 언론, 학계 등에서 논란이 지속되고 있는 내부형 교장공모제의 운영 실태를 교원 인식을 중심으로 분석하고, 현장 적합성 있는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내부형 공모교장 자격 및 경력, 선발 방법, 임기 및 평가 등으로 구성되는 조사 도구를 개발하여 전국 초·중·고 교사, 수석교사, 교감, 공모교장 및 승진교장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 1,200명이 설문에 참여하였다. 설문 조사 분석 결과, ① 내부형 공모교장의 자격 요건으로는 교육 경력, 교장(감) 자격증 유무, 보직 경력 순으로 높은 응답을 보여주었고, ② 교장자격 미소지자의 최소 교육경력으로는 25년 이상 응답 비율이 과반 이상을 차지하였다. ③ 학교 공모교장 심사위원회의 공정성과 전문성을 담보하기 위한 구성 방안으로는 외부 교육전문가 참여 응답이 과반 이상의 비율을 차지하였으며, ④ 공모교장 임기의 재임기간 불포함 방안에 대해서는 반대 의견이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본 연구는 ① 교장자격 미소지 공모교장 지원자의 최소 교육경력 상향 조정 필요, ② 내부형 공모교장 심사의 공정성과 전문성 강화를 위해 단위학교와 교육청 공모교장심사위원회 구성에서 외부 교육전문가 참여 비율의 제도적 확대, ③ 교장 양성-공모-임용 연계 방안 고려 등의 개선 방안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결과는 내부형 교장공모를 포함한 교장공모제 운영과 제도 개선을 위한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하고, 교원승진제도의 개선 방안 마련에서도 의미 있는 정책적 기초 자료가 될 것이다.

      • KCI등재

        고려 敎藏의 고려 및 조선시대 유통과 전승

        박용진 한국서지학회 2020 서지학연구 Vol.83 No.-

        This paper is the result of researching the Buddhist commentaries(敎藏) of Korea, China, and Japan through Goryeo-gyojang(高麗敎藏) gathering and DB construction project. In particular, this study analyzed Goryeo-gyojang’s distribution and transmission of the Goryeo and Joseon periods. The summarized results are as in the following. The distribution and transmission of the Goryeo-gyojang in the Goryeo Dynasty was divided into publication and Woodblocks(經板) of Haeinsa Temple, the publication and distribution of temples in the Goryeo Dynasty, the publication and distribution of Daejang-dogam and Gibok-dogam, and the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of the scripts of Song(宋) and Yuan(元) periods. There are 13 types of Haeinsa publications and Woodblocks, including 12 Goryeo Dynasty woodblocks and 1 Haeinsa publication. Other materials published in the temples of the Goryeo Dynasty include three kinds, such as Geumgwangmyeonggyeongmungu(金光明經文句), and Hwaeom Ilseunggyoeui-Bunjejang(華嚴一乘敎義分齊章) related to the Goryeo-gyojang, as well as Beobgyegwansigcho(法界觀式抄). Among the commentaries listed in the Gyojangchonglok(敎藏總錄), there are 11 kinds of commentaries that have been published in the Daejang-dogam and Bunsa-dogam. Jjuinwang-hogug-banyagyeong(注仁王護國般若經) and Hongchan-beobhwajeon(弘贊法華傳) are confirmed as the engravings of each member who participated in Daejang-dogam. Others are conveyed by Cheontaesakyoeui(天台四敎儀) published in the Gibok-dogam, Daebanggwangbul-HwaeomGyeongso(大方廣佛華嚴經疏) imported from the Song Dynasty, and HwaeomGyeong-gangyo(華嚴經綱要) imported from the Yuan Dynasty. The circulation and transmission of the Goryeo-gyojang‘s Joseon Dynasty can be found in the GangyeongdoGambon(刊經都監本) published from 1461. There are Inmyeong-ibjeonglinonsocho(因明入正理論疏鈔), etc. as a second edition of Gangyeongdogam, and as new commentaries such as Wongaggyeong-daesoseoguicho(圓覺經大疏釋義鈔) were discovered in Songgwangsa(松廣寺), it became possible to add an understanding of the publication and spread of the Goryeo-gyojang. Reviewing the publication of Gangyeongdogam, it was estimated that eight kinds of Gangyeongdogam, such as Sinhwaeomgyeonghabnon(新華嚴經合論), and Geumgwangmyeonggyeong-mungu(金光明經文句), as intermediate copies of Gangyeongdogam, but recently, a new book was discovered in Songgwangsa. It became possible to expand the study of Gyojang. Other translations published by GangyeongdoGam Banyasimgyeong-yaksohyunjunggi(般若心經略疏顯正記), Amitagyeong(阿彌陀經), Wongakgyeong(圓覺經). Reviewing the publication and distribution of other Goryeo-gyojang, DaeSojuGyeong(大疏注經) was circulated and used from the 15th to the 17th century in the Joseon Dynasty following the Goryeo Dynasty. 본고는 高麗 敎藏 결집 및 DB구축사업을 통해 조사한 한․중․일의 장소 가운데 고려 교장의 국내 불교계 유통과 전승에 대하여 분석한 것이다. 본고에서 활용한 자료는 『新編諸宗敎藏總錄: 收錄文獻 總覽』이며, 이 총람의 자료를 중심으로 국내 불교계에 유통되어 활용된 장소의 자료를 정리하고 그 경향을 살펴보았다. 연구의 내용과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고려 교장의 고려시대 유통과 전승에 대해서는 해인사의 간행과 수장 경판, 고려시대 사찰 간행과 유통, 대장도감 및 기복도감의 간행과 유통, 송․원대 각본의 전래와 유통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해인사의 간행과 수장 경판은 고려시대 목판 12종, 해인사 중간본 『천태사교의』 1종 등 모두 13종이 확인된다. 기타 고려시대 사찰 간행 자료는 妙蓮社 중간 『금광명경문구』 등 3종, 고려 교장과 관련된 『화엄일승교의분제장』을 비롯하여 『法界觀式抄』 등이 있고, 이들 자료는 원간기나 간행기록이 없지만, 국내외 유일본으로 가치가 크다. 『교장총록』에 수록되어있는 장소 가운데 대장도감 및 분사도감에서 간행된 장소는 모두 11종이며, 대장도감에 참여한 각수의 판각본으로 『注仁王護國般若經』, 『弘贊法華傳』이 확인된다. 고려후기 유통과 관련하여, 기복도감에서 『천태사교의』를 중간하여 유통하였다. 고려 교장으로 활용된 장소 가운데 송나라에서 판각하여 수입한 정원의 편찬인 『대방광불화엄경소』와 원나라의 간행본을 수입하여 간행한 징관의 『화엄경강요』가 현전한다. 고려 교장의 조선시대 유통과 전파는 1461년부터 간행된 조선 세조대 간경도감본에서 찾을 수 있다. 간경도감의 중수본으로 『因明入正理論疏鈔』 등이 있고, 최근 송광사에서 『圓覺經大疏釋義鈔』 등 새로운 장소가 발견되면서 교장 간행과 전파에 대한 이해를 추가할 수 있게 되었다. 간경도감의 중간을 살펴보면, 초기연구에서 『大方廣佛華嚴經合論』, 『金光明經文句』 등의 8종을 간경도감 중간본으로 추정하였지만, 최근 송광사 등에서 신출본이 발견되면서 연구의 외연을 확장할 수 있게 되었다. 기타 간경도감에서 간행된 언해본으로는 『般若波羅蜜多心經略疏顯正記』, 『佛說阿彌陀經』, 『大方廣圓覺修多羅了義經』이 있는데, 이들의 저본은 고려 교장 장소류의 전본으로 추정된다. 이상의 조선시대 언해본의 저본은 고려시대의 전본으로 추정되는데, 고려 교장의 원형을 찾을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기타 고려 교장의 중간과 유통을 살펴보면, 『대소주경』이 고려시대에 이어 조선시대에도 15세기부터 17세기까지 중간되어 유통되었고, 다수 인경되어 활용되었다.

      • KCI등재

        고려시대 교장(敎藏)의 일본 교류와 유통

        박용진(Park, Yong-Jin)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20 佛敎學報 Vol.0 No.92

        본고는 고려 교장 결집 및 DB구축사업을 통해 조사한 한 · 중 · 일의 장소 가운데 고려 교장의 일본 불교계 교류와 유통에 대하여 분석한 것이다. 본고에서 활용한 자료는 조사보고인『신편제종교장총록 : 수록문헌 총람』이며, 이 총람의 자료를 중심으로 일본 불교계에 유통되어 활용된 장소의 자료를 정리하고, 그 현상을 살펴보았다. 이상의 내용을 요약하는 것으로 결론을 대신코자 한다. 고려 교장의 일본 교류와 유통을 살펴보면, 고려와 일본은 공식적인 국교없이 주로 송상을 매개로 불교 교류가 이루어졌다. 고려 교장의 일본 전래의 특징은 대재부를 통한 송상 중개의 장소 교류였고, 전래 기록상으로는 1097년에 『아미타경통찬소』등 법상종 장소류, 1103년 흥왕사 간행 교장 원간본 『화엄경수소연의초』의 필사, 1105년 『석마하연론통현초』와 『석마하연론찬현소』등 밀교 장소류, 1120년의 『홍찬법화전』등 불전 100여 권의 교류가 확인된다. 한편, 고려 교장의 송 중간본이 1140년을 전후하여 의화에 의해 간행되었고, 이러한 송나라 간행 장소류는 1254년 고잔지에서 송판대장경과 함께 수입되어 활용되었으며, 그 일부가 현전한다. 고려 교장의 일본 유통의 특징을 살펴보면, 첫째, 전래 경로에 있어, 고려 교장이 직접 전래된 사례와 고려 교장이 송으로 전래되어 송나라에서 중간된 판본이 일본으로 전래된 사례로 구분하여 살펴볼 수 있다. 고려 교장은 그 중요성 때문에 간사의 형태로 원본과 함께 14세기말까지 지속적으로 유통되었다. 둘째, 동아시아의 제국이 장소를 수입할 때 고려, 송, 일본등은 각국에 없는 장소를 중심으로 자국에 보충하려는 경향성을 확인할 수 있다. 셋째, 고려교장의 동아시아 유통은 한문불교문화권에 있어 일방적 방향성을 갖는 것이 아닌 상호교류의 관점을 제시할 수 있다. This paper is the result of research on the Buddhist commentaries (敎藏) of Korea, China, and Japan through Goryeo-gyojang (高麗敎藏) gatherings and the DB construction project. In particular, this study analyzed Goryeo-gyojangs exchange and distribution of Goryeogyojang in Japan during the Goryeo Dynasty of Japanese Buddhists. The summarized results are as follows. Goryeo and Japan exchanged Buddhism mainly through Songshang (宋商) without official diplomatic relations. Goryeo-gyojangs (高麗敎藏) introduction and distribution to Japanese tradition are divided into four parts. The contents of the distribution are exchanges of Hosso-shu (法相宗) commentaries such as Amituojing-tongzanshu (阿彌陀經通贊疏) in 1096, manuscripts from Huayanjing-Suishuyanyichao (華嚴經隨疏演義鈔) in 1103, esoteric commentaries such as Shi moheyanlun-tongxuanchao (釈摩訶衍論通玄鈔) in 1105, and commentaries such as HongChan-Beophwajeon (弘贊法華傳) in 1120. However, the Song Dynasty version (宋刊本) of Goryeo-gyojang was imported and used in Japans GosanJI Temple (高山寺) in 1254. The characteristics of Goryeo-gyojangs distribution in Japan are divided into those brought directly from Goryeo and the import of the Song Dynasty version (宋刊本) of Goryeogyojang. When countries in East Asia import Gyojang, each country can see the tendency to supplement Gyojang since it is not produced in its own country. In particular, the distribution of Goryeo-Gyojang in East Asia can provide a perspective of mutual, and not one-sided, exchan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