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반논문 : 호남지방 일기자료 연구의 현황과 과제

        김대현 ( Dae Hyun Kim ),김미선 ( Mi Sun Kim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15 호남학 Vol.0 No.58

        본 논문에서는 현재까지의 호남지방 일기자료에 대한 연구 현황을 살펴보고, 앞으로 호남지방 일기자료 연구의 과제를 살펴보았다. 호남지방 일기자료의 연구는 한국의 일기자료 전반에 대한 연구를 하면서 호남지방 일기자료를 연구 대상의 일부로 포함한 경우, 호남지방 일기자료에 대한 최초의 종합적 정리를 진행 중인 < 호남기록문화유산 > 내 일기자료 연구, 호남지방 일기자료 개별 작품에 대한 연구 등 세 가지 방면에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런데『표해록』, 『미암일기』등 유명한 일부 개별 작품에 대해서는 연구 성과가 많지만, 전체적인 호남지방 일기자료의 현황 조차도 파악이 되지 않는 등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호남지방 일기자료 연구에 있어 시급한 것은 자료학적 연구이다. 이와 관련하여 호남지방 일기자료에 대한 전체적인 조사와 현황 파악이 먼저 이루어져야 한다는점, 호남지방 일기자료 연구의 구심점이 될 자료센터가 구축되어야 한다는 점, 일기 전체에 대한 DB 구축과 체계적인 번역이 필요하다는 점 등 세 가지 과제를 제시하였다. 자료학적 연구를 통해 호남지방 일기자료의 현황이 파악되고 기초자료가 제공된다면, 호남지방 일기자료 연구의 활성화를 가져오고 현대적으로 활용할수 있는 기초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examined hitherto studies on Honam``s historical diary materials, and the research tasks for the region``s diary materials. The finding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as Korea``s overall historical diary materials are being studied, part of Honam``s historical diary materials are also include in such studies, that diary materials within < Honam``s Documentary Cultural Heritage > are being studied, the first total study on the region``s diary materials, and that individual diary materials of the region are being studied. Some famous diary materials, such as Pyohaerok and Miam ilgi have been profusely researched, but the status of overall diary materials of the region is yet to be examined. In the research on Honam``s diary materials, material research is the mos urgent. In this regard, this study proposed that the overall survey and status identification of Honam``s diary materials should be first conducted, that the materials center for researching on Honam``s diary materials should be established, and that a database on all diary materials should be con-structed. if, through the material science research, the status of Honam``s diary materials can be identified, and basic materials can be provided, it will facilitate research on Honam``s diary materials, and provide a foun-dation for the materials to be used in today``s situations.

      • KCI등재후보

        기후요소의 엔트로피에 의한 한국 기후의 핵심 기후축 설정에 관한 연구 : 호남 지방을 중심으로

        박현욱 건국대학교 기후연구소 2009 기후연구 Vol.4 No.2

        본 연구는 호남지방에서 수리적 위치와 지리적 요인의 영향을 명확히 반영하여 호남지방의 날씨 및 기후 특성을 잘 나타내는, 탁월한 일기 및 강수현상의 하계 순별 출현의 다소와 그 변화에 대해, 정보이론을 이용하여 일기엔트로피와 정보비를 추출하고 응용하여, 그 공간 스케일의 시간적 변동을 살핀다. 그리고 본 연구는 하계 순의 호남 지방의 15개 관측 지점별 일기 및 기후 대표성의 특성을 규명하고 공간적 질서를 밝혀 일기 및 핵심 기후지역 설정을 시도한 것이다. 그 결과 15개 기준지점의 정보비 분포와 일기대표성의 특성은 주로, 9월 하순(제1위 임실 기준 시 장수 0.73, 9월 하순)에 가장 커서 신뢰성이 있으며 8월 초순(제1위 여수 기준 시 전주 0.09, 8월 초순)에 가장 작아 국지성이 크다는 것을 밝혔다. 그리고 호남지방의 일기 및 기후대표성을 나타내는 핵심지역은 장흥-남원-임실-정읍-완도를 잇는 오각형내의 호남 서남부 지역(핵심 기후축: 장흥, 정읍, 완도)이 해당됨을 밝혔다.

      • KCI등재

        논문 : 호남지방 고분 출토 동물유체 고찰

        김건수 ( Geon Su Kim ) 호남고고학회 2016 湖南考古學報 Vol.52 No.-

        호남지방에는 많은 고분이 산재하고, 이 고분들 가운데는 동물유체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도 있다. 이것들은 고분의 조영과 관련된 의례행위로서 동물을 매납했던 것들이다. 호남지방의 고분에서 동물유체가 출토되는 곳은 전역에 걸쳐 산발적으로 분포한다. 특히 전남지방에 있어서는 고분조영에 있어 전반적으로 동물을 제사에 이용하였음을 보여준다. 시기적으로는 호남지방의 고분에서 동물을 제사를 이용한 것은 5세기 말부터 시작하였고, 6세기 대에는 전남지방 각지에서 활발하게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동물유체가 확인되는 고분의 종류는 주구묘, 석실분, 석곽분, 전방후원형분이며 아직 옹관고분에서는 그 실례가 없다. 호남지방 고분에서 출토된 동물은 소, 말, 돼지, 개가 있는데 주류는 소가 중심이다. 이러한 동물공헌은 고구려와 백제의 관련 속에서 발전해 온 이 지역의 독특한 문화상으로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Many ancient tombs are located in the Honam region, some of which contain animal remains. These remains represent ritual activities related to the construction of the tombs. Tombs with animal remains are widely scattered across the Honam region. In the Jeonnam province, it appears that animals were commonly sacrificed during tomb construction. Animal sacrifice rituals started in the 5th century AD and became prevalent across the Jeonnam province by the 6th century AD. The tombs with animal remains are stylistically diverse and include fosse-girded tombs, stone-chamber tombs, stone-lined tombs, and keyhole-shaped tombs. Yet there is no archaeological example of a jar-coffin tomb with animal remains. The represented animals are cow (Bos), horse (Equus), pig (Sus), and dog (Canis), with cow comprising the majority. Animal sacrifice should be seen as a unique regional tradition that developed in interaction with Goguryeo and Baekje.

      • KCI등재

        조선시대 영ㆍ호남의 학문과 사상 교류

        고영진 ( Koh Young-jin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17 嶺南學 Vol.0 No.60

        조선시대 영남과 호남의 학문·사상 교류는 시기별로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 졌는데 이 글은 영·호남의 학문과 사상 교류를 두 시기로 나누어 16-17세기 전반의 시기는 지방관 역임과 유배, 교제와 서신 등을 중심으로, 17세기 중반 이후의 시기는 서원과 예송, 서적과 학파 등을 중심으로 살펴본 것이다. 먼저 16-17세기 전반 시기 지방관 역임을 통한 교류는 김종직과 노진, 김성일 등을 통해 살펴보았으며 유배를 통한 교류는 김굉필과 노수신, 교제·서신을 통한 교류는 이현보와 이황, 박영 등을 통해 살펴보았다. 당시 영남과 호남의 성리학은 다양하게 전개되었으며 이론적으로도 당대 최고 수준이었다고 할 수 있는데 이는 김종직·김굉필·이황 등의 영남사림과 김인후·이항·기대승·유희춘 등 호남사림과의 활발한 학문·사상적 교류에 힘입은 바 크다고 할 수 있다. 영남과 호남의 학문·사상 교류는 16세기에는 학파와 당파를 초월해 폭넓게 이루어졌다. 또한 17세기 전반까지만 하더라도 조선사회는 서로 다른 붕당끼리 혼인도 자유스럽게 하고 학문 교류도 활발히 하였는데 이는 성리학과 예학을 비롯한 학문·사상의 수준을 높이는데 적지 않은 기여를 하였다. 그러나 17세기 중반 이후 서인·노론으로의 권력 집중과 붕당 간의 대립이 심화되면서 영·호남의 교류도 점점 그 폭이 좁혀져갔다. 그리하여 주로 영남남인과 남인계 호남사림(호남남인) 간에 교류가 이루어졌는데 서원과 예송, 서적·학파 등을 통한 교류로 나누어볼 수 있다. 먼저 서원을 매개로 한 교류는 경현서원과 미천서원, 자산서원 등의 경우를 통해 살펴볼 수 있으며 예송에서도 남인계 호남사림과 영남남인은 예학적 입장을 같이 하며 학문적으로 영향을 주고받았다. 또한 서적과 학파를 통한 교류는 『반계수록』을 둘러싼 유형원·배상유·이현일·최흥원 등의 교류와 영향, 기정진학파의 문인집단을 통해서 살펴볼 수 있다. 유형원은 학문적으로 배상유와 영향을 주고받았으며 『반계수록』은 이현일과 최흥원 등에게 영향을 주기도 하였다. 또한 17세기 중반 이후 독자적인 학파를 형성하지 못한 호남사림이 다시 학파로 결집되는 것은 한말 기정진에 가서였는데 기정진학파는 16세기 호남사림의 인맥과 학맥이 다시 결집되는 양상을 보일 뿐만 아니라 영남지역의 학자들도 대거 문인을 참여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이처럼 조선시대 영남과 호남은 학문·사상적으로 또는 정치적으로 교류·제휴하면서 중기에는 사림의 시대를 열고 성리학을 심화·발전시키는 데 기여하였으며 후기에는 서인·노론의 권력 집중화에 반대하고 한말에는 위정척사사상을 내세우며 제국주의의 침략에 저항하는데 함께 하였던 것이다. There are various scolastic and intellctual exchanges between Youngnam and Honam region in Joseon Dynasty. This study looks into scolastic and intellctual exchanges between Youngnam and Honam region focusing on the work of local official, exile, friendship and letter during the 16th century and the early 17th century. and also focusing on Seowon and Yesong(Ritual disputes), book and school after the middle 17th century. First, I look into the exchanges of local official work by Kim Jong-jik and No Jin, Kim Seong-il. Second, I look into the exchange of exile by Kim Goeing-pil, No Soo-shin, and the exchanges of friendship and letter by Yi Hyeon-bo, Yi Hwang, Park Young from the 16th century to the early 17th century. In those days Neo-Confucianism developed diversely and reached highest level. This owes to vigorous scolastic and intellctual exchanges between Youngnam sarim like Kim Jong-jik, Kim Goeing-pil, Yi Hwang and Honam sarim like Kim In-hoo, Yi Hang, Ki Dae-seung, Yoo Hwi-choon. The scolastic and intellctual exchanges between Youngnam and Honam region is made widely beyond the school and faction. Even until the 17th century the people married opposite faction without reserve, and had vigorous scolastic exchange. This largely contributed to raise the level of learning and thoughts as Neo-Confuciansm and Yahak(Ritual thoughts). But as the concentration of power to Seoin Noron and the conflict of factions were intensified after the middle 17th century, the width of the exchange came to be narrowed. Therefore mostly exchanges between Youngnam namin and Honam namin were made by Seowon and Yesong, book and school. First, the exchanges through Seowon could be looked into by Kyeonghyeon seowon and Micheon seowon, Jasan seowon. Honam namin and Youngnam namin had a effect academically each other in Yesong too. In the case of book and school there were exchanges and effects of Yoo Hyeong-won and Bae Sang-yoo, Yi Hyeong-il, Choi Heung-won, and the members of Ki Jeong-jin School. Yoo Hyeong-won had a effect with Bae Sang-yoo academically and 『Bangyesurok』 affect on Yi Hyeon-il and Choe Heung-won. Honam sarim which had no independent school was concentrated into Ki Jeong-jin School in the middle 19th century. Ki Jeong-jin School shows that personal connections and academic line of Honam sarim in the 16th century were concentrated and also scholars in Youngnam region participated in Ki Jeong-Jin School. Like this Youngnam and Honam scholars have scolastic and intellctual, polical exchanges. They opened the period of Sarim and contributed to develop the Neo-Confucianism in the middle Joseon Dynasty. They also opposed the concentration of power of Seoin Noron in the late Joseon and resisted the invasion of the imperialism together.

      • 호남지방의 백제산성

        최인선 한국성곽학회 2014 한국성곽학보 Vol.26 No.-

        호남지방의 백제석성에 대한 조사는 1966년에 조사를 실시하여 그 성격의 일단을 파악할 수 있었던 순천 검단산성 조사부터 그 시발점을 찾을 수 있다. 이 산성은 정유재란때 朝鮮⦁明軍의 연합군이 주둔하여 순천 왜성에 주둔하고 있던 倭軍과 격전을 벌였던 전적지이며 그 당시에 토석혼축으로 축성하였던 조선시대의 성으로 알려져 왔다. 발굴조사 결과 놀랍게도 백제후기에 축성한 석성으로 밝혀졌으며, 그 형식은 테뫼식산성이고 협축식에 의해 축성된 것으로 밝혀졌다. 그 후에 3차례의 발굴조사가 이어져서 검단산성은 체성 뿐만 아니라 성내부 전체를 조사하여 많은 성과를 거두었다. 뒤이어 여수 고락산성, 광양 마로산성, 순창 대모산성, 정읍 고사부리성, 임실 성미산성 등이 차례로 조사 되었다. 이 지역의 백제산성은 낮은 야산의 정상부에 축성한 테뫼식 산성이 주를 이루고 있다. 산성의 규모는 고사부리성을 제외하고 250~750m 정도이며, 협축식 석성으로 체성의 너비가 500cm 내외로 거의 일정하다. 체성은 기반을 정지한 후 직각으로 쌓았으며, 뿐만 아니라 기와의 내면에 승문을 가진 평기와들이 반드시 출토되고 있는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정읍의 고사부리성을 제외한 대부분의 산성들은 그 규모가 작은 편이며, 문지는 계곡 주변을 택하여 계곡의 방향과 약간 비켜선 곳에 자리하거나, 아니면 능선의 정상부에서 약간 비켜선 경사면에 자리하고 있다. 그리고 산성 안에는 수원확보를 위해 우물 등을 축조하였다. 이러한 여러 양상을 종합해 볼 때 축성을 담당한 주된 세력은 중앙에서 파견된 관료들 임을 알 수 있다. 만약 재지세력이 축조하였다면 이처럼 정형성을 찾아볼 수 없을 것이다. 그러므로 백제의 지방통치체제가 완전히 정비된 백제후기에 이르러서 정형성을 나타낸 산성들이 축성되었다고 보여진다. The stone fortresses of Baekje in Honam region were investigated in 1966 and their identifying characteristics started with the survey of Geomdan sanseong fortress in Suncheon. The fortress was a place where the combined Joseon and Ming forces conducted war against Japanese force. In addition, it had been known as remains of Joseon period which was built of soil and stone. Based on the result of the latest excavation investigation, amazingly, it is verified that the stone fortress was constructed in the late Baekje. It has a form of peak-banding style and was built as inside-outside stone walls. Subsequently, the whole body and the interior of the fortress were investigated through three excavations, and many achievements were obtained.Most mountain fortresses of Baekje in the regions is peak-banding style constructed in a low hill. The scale of the fortresses ranges from 250 to 750m except Gosaburiseong fortress, and their width as inside-outside stone walls has a fixed size ranging approximately 500㎝. The body of fortresses was built at a right angle after leveling the ground. Also, plain roof tiles with string patterns on four sides were certainly excavated in the fortresses. Gates were located around a valley or a ridge, but they slightly stood aside from directions of the valley and the top of ridge. Additionally, a well was constructed to secure a source of water supply in the fortress.To sum up, main forces were bureaucrats from the central government. If the fortress was built by native forces, the fortress would not appear as such fixed form. Therefore, the fortresses with the fixed form were constructed in the late Baekje after regional government system was completely organized.

      • KCI등재

        해방 이전 호남지방의 장로교 확산과정

        송현숙(Song Hyun-Sook)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05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23 No.-

        오늘날 종교의 역할은 기존의 문화지역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키기 보다는 오히려 기존의 문화지역을 유지하는 것 중 하나로서 작용하는 것 같다. 호남 문화지역에서 가장 큰 변화는 장로교의 확산과 관련이 있다. 본 논문은 1894~1940년 동안 호남지방에서 장로교가 확산되는 과정을 설명하여 장로교의 특성을 이해하고자 한 것이었다. 호남지방의 장로교 확산과정은 3단계로 구분되었다. 첫째, 정착단계, 선교사가 도착하여 선교기지를 구축하는 1894~1904년의 11년의 기간으로, 항구와 연계되는 수로를 따라 서부 평야지대를 중심으로 장로교는 확산되었다. 그래서 교회는 포구 및 수로변에 설립되었다. 둘째, 확산단계, 문화, 행정 등의 상징적인 도시인 전주에 교두보가 확보되고 주요지역에 교회가 설립되는 1905~1923년의 약 18년의 기간으로, 전주, 광주, 나주 등을 교두보로 내륙지방, 해안지방으로 인접효과, 계층효과, 누적효과의 원리로 장로교가 확산되었다. 셋째, 정체단계, 3ㆍ1 독립운동 이후 일제의 교회탄압, 선교부의 재정악화 등으로 인해 교회설립수가 감소되는 1924~1942년의 시기로 동부 산간지대와 도서지방으로 장로교가 지체 또는 정체를 보이며 변화를 느끼지 못할 만큼 확산되었다. The present role of religion seems to be one of sustaining existing cultural realms, rather than bring about fundamental changes. the great changes in Ho Nam cultural realms associated with the diffusion of presbyterian Church in U. S. This paper attempts to explain the diffusion process of presbyterian Church in U.S. in Ho Nam province in 1894~1940 for the purpose of understanding character of presbyterian Church in U. S. The diffusion process of presbyterian Church in Ho Nam Province divide into 3stages. First, fix stage Which had taken root during 1894~1904, established 5mission station. in this stage, presbyterian Church diffuse from a port into a open field of western according to a watergate of Mankyeong river, Yeongsan river. so presbyterian Church distributes a plain of western, a port of watergate. Second, expansion stage, Which secured a strongpoint of mission as like Chunju where it was a symbol of administrative, cultural center that gave birth to the Chosen Dynasty, and spread over all region during 1905~1923. the major principles of diffusion during expansion stage are the neighborhood effect, the hierarchical effect, accumulation effect. Third, stagnation stage, which delayed or stopped in the region during 1924~1940 thanks to the financial straits and the pressure, suppression about Church by Japan Government after 3ㆍ1 independence movement. so church members went into a decline and so sluggish as to changing, Church diffused into some islands of south and west, among the mountains of eastern but rarely ever spread.

      • KCI등재

        호남지방 정자건축의 기둥 칸모듈구성에 관한 연구

        김진수,심관수,이웅구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0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2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호남지방 정자의 모듈구성 특성을 분석하여 유형화하고 칫수적 관계를 규명하는 것 것이다. 목구조 건축에 있어서 모듈구성의 의미는 크며, 현시점과 같이 친환경 목조건축의 수요가 증대하는 상황에서, 우리의 친자연적 전통 목구조건축인 정자의 모듈사용양상을 분류하여 유형화 하는 작업과 모듈의 사용규범에 대한 해석은 아주 절실하다. 연구의 결과로, 1. 정자에서의 모듈변형의 양상(수법)들로는, (1)협칸-모듈을 사용하는 방법 (2)실의 위치이동과 확장의 방법, (3)기둥의 첨가, 이동의 방법들이 사용되어짐을 알 수 있었다. 2. 외부 기둥모듈의 칫수적 특성으로는, 모듈최대값 A는 정면-중앙모듈에 주로 사용하며, 좌우로 A보다 1尺~2尺 작은 모듈B을 사용하고, 측면에는 A값보다 0.5~1尺작은 C모듈을 사용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3. 협칸-D모듈의 칫수적 특성으로는, 4尺모듈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A,B,C모듈과 정수배 구성이 일반적 구성임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湖南西部地域 考古學資料를 통해 본 熊津期의 地方

        서현주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2012 百濟硏究 Vol.55 No.-

        This study set out to examine the relations between the western areas of Honam and Baekje between the late Hanseong Period and Ungjin Period through the major mound tombs and pottery. The western areas of Honam showed some differences in patterns. Of them, seven areas well emonstrating their local characteristics through mound tombs and artifacts, namely Gunsan, Iksan, Jeonju and Wanju, and Gochang of Jeonbuk and Gwangju and Damyang, Naju, and Haenam of Jeonnam, were examined based on archeological data. During the Ungjin Period, most of the western areas of Jeonbuk became government land, while Gochang and the western areas of Jeonnam still had keyhole-shaped mound tombs, which has raised variou opinions about the relations between Baekje and those local powers. The study found that Baekje’s governance over Gochang and many western areas of Jeonnam advanced considerably even before the Ungjin Period and that Baekje further concentrated on its governance and relations with the Naju area through prestige goods during the Ungjin Period. 본 논문에서는 중요 고분과 토기를 중심으로 한성기말부터 웅진기에 걸쳐 호남서부지역의 지방과 백제의 관계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아직 자료가 한정적이지만 취락 자료를 추가하여 당시 호남서부지역의 모습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호남서부지역은 지역마다 고고학 자료들이 다소 차이를 보여주므로 고분이나 유물을 통해 지역적인 특징이 잘 드러나는 전북의 군산지역, 익산지역, 전주ㆍ완주지역, 고창지역, 전남의 광주ㆍ담양지역, 나주의 다시와 반남지역, 해남지역 등으로 나누어 검토하였다. 웅진기가 되면 전북서부지역은 대체로 직접지배영역에 속하지만, 고창과 전남서부지역은 전방후원형의 장고분이 존재하는 점에서 백제와 이 지역세력들의 관계가 어떠했는지에 대해 다양한 의견들이 제시되고 있다. 자료를 검토해 본 결과 전북의 군산이나 익산, 전주ㆍ완주 지역은 5세기 후반에 고분이나 석실묘, 토기, 취락 등에서 토착적인 요소가 거의 보이지 않거나 점차 사라지는 모습을 보인다. 다만 익산지역은 이 시기에 금동관 등 위세품과 새로운 토기 기종이 나타나는 점에서 다른 지역들과는 차이가 있는데 강력한 토착세력의 존재가 상정되지만 백제와의 관계는 간접지배보다는 좀 더 지배적이었을 것으로 여겨진다. 이에 비해 고분이나 유물, 취락 등에서 토착적인 요소가 상당히 남아있는 고창과 전남서부의 여러 지역들은 다소 복잡한 양상을 띤다. 특히, 광주지역, 고창이나 해남 지역은 대체로웅진기 이전부터 직접지배에 근접할 정도로 백제의 지배가 상당히 진전되었으며, 웅진기가 되면 백제는 위세품 등을 통해 나주 다시나 반남 지역의 지배나 관계에 좀더 집중했던 것으로 파악된다.

      • KCI등재

        호남지방 신석기시대 생업활동에 대한 연구 -패총 출토 유물을 중심으로-

        이은 ( Eun Lee ),김건수 ( Geon Su Kim ) 호남고고학회 2015 湖南考古學報 Vol.49 No.-

        이 글에서는 호남지방 신석기시대 생업활동의 양상을 패총유적에서 출토된 동물유체를 통해 밝혀보고자 하였다. 먼저 신석기시대 환경 및 유적의 분포를 검토하고 유적에서 출토된 생업활동과 관련되는 인공유물을 석기, 골각기, 동물유체를 패류, 어류, 포유류, 조류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그 결과 패류의 양상은 이매패류인 담치류와 참굴, 각종 고둥류가 주를 이루고 있다. 어로활동은 결합식낚시와 작살로 행하여졌으며 호남지방에서 출토되는 어류는 참돔과 각종 돔이 중심이다. 포유류는 해서포유류의 강치와 육상포유류인 사슴과 멧돼지가 중심으로 주 식료자원으로 활용한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는 한반도 신석기시대 포유류 양상과 동일하다. 또한 여서도패총과 안도패총이 위치하는 남해안에서는 어로활동이 활발하게 전개되었으며, 바다를 통하여 제주도와 九州지역과의 교류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This writing is to reveal the occupational activities in Honam area during the New Stone Age through the corpses of animals found from shell mound remains. First, the environments of the New Stone Age and distribution of remains were reviewed and the analysis of artifacts found from the remains which are relevant to occupations conducted by dividing the artifacts into stone wares and tools made from bone and by dividing the corpses of animals into shellfish, fishes, mammals and birds. As a result, the shellfishes are mainly composed of mussels, giant pacific oyster which belong to Bivalvia and various kinds of conques. The fishery was conducted by combinational fishing and harpoons and in Honam area, red sea breams and various kinds of sea breams are mainly found. The mammals are mostly composed of the otaridaes which are marine mammals and deer and boars which are land mammals and it is considered that they had been used as edible resources, which is the same case with the mammals in the Korean peninsula during the New Stone Age. Also, fishery was predominant in areas near the southern sea where Yeoseodo shell mound and Ando shell mound exist and it is considered that there were interchanges with Jeju Island and Kyushu.

      • KCI등재

        호남지방에 분포하는 명승의 유형과 특징

        이의한 한국지리학회 2023 한국지리학회지 Vol.12 No.1

        최근 명승의 지정은 크게 늘어났지만 명승의 체계적인 분류와 효율적인 관리는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필자는 우리나라의 명승 가운데 호남지방에 분포하는 39곳의 명승을 새로운 시각에서 유형별로 분류·정리하고, 이들의 분포와 특징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2021년 11월 19일 명승 지정기준이 전면적으로 개정되면서 문화재청은 명승을 자연명승, 역사문화명승, 복합명승으로 구분하였으나 상당수의 자연명승을 역사문화명승으로 분류하는 오류를 범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필자는 독자적인 명승 분류 기준을 제안하고자 한다. 먼저 자연명승을 크게 7개 범주(산지지형, 하천지형, 해안지형, 카르스트지형, 화산지형, 조망경관, 동식물 서식지)로 중분류하고, 이를 다시 소지형 단위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역사문화명승을 크게 4개 범주(전통 조경경관, 전통 산업경관, 전통 교통경관, 역사유적)로 중분류하고, 이를 다시 소분류하였다. 새로운 기준에 따라 호남지방의 명승을 대분류한 결과 자연명승이 20곳, 역사문화명승이 15곳, 복합명승이 4곳으로 분류되었다. 이들을 중분류한 결과 자연명승은 산지지형이 6곳, 하천지형이 4곳, 해안지형이 4곳, 조망경관이 4곳, 화산지형이 2곳이었으며, 역사문화명승은 전통 조경경관이 10곳, 역사유적이 3곳, 전통 교통경관 2곳이었다. 필자가 제안한 새로운 명승 분류 기준은 명승이 추가 지정됨에 따라 세밀한 검토와 수정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호남지방의 명승을 소재지, 형성 시기, 명칭의 유래 근거, 관련 인물 및 그림, 지정 시기 등 다양한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