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 ‘어문 규범’ 영역 문항 분석 연구

        조남현 ( Cho Nam-hyeon ),이선미 ( Lee Seon-mi ),남경영 ( Nam Kyeong-yeong ),강미영 ( Kang Mi-yeong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문화연구 Vol.26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의 어문 규범 문항이 예비 한국어 교사의 전문성을 측정하는 도구로서 높은 내용 타당도를 갖추고 있는가를 살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2006년 1회부터 2019년 14회에 걸쳐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 문항 가운데 어문 규범 관련 문항을 추출하고, 추출한 문항이 어문 규범 세칙과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에 더 나아가 거시적 관점과 미시적 관점의 분석 틀을 마련하여 어문 규범 관련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 문항이 한국어 교사의 자격을 평가하고 이를 선발하는 데 적합한 문항으로 구성되었는지 비판적으로 검토한 후 이를 개선할 수 있는 방향에 대해 제시하였다. 검토 결과 거시적 영역에서는 회차별 출제 비율의 변화가 매우 컸고, 미시적 영역에서는 각 어문 규범 조항들의 출제 빈도의 편차가 클 뿐 아니라,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의 출제의도에 부합하지 않는 문항들이 다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지금까지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에 대한 연구는 문화, 발음, 문법 등의 체계, 방안, 모형 등에 대해 이루어지거나 이에 대한 개선 사항에 대한 분석이 주를 이루고 있었는데, 어문 규범의 중요성에 비추어 볼 때 어문 규범 관련 논의를 제외하고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을 온전히 검증했다고 말하기 어렵다. 이에 본 연구는 1회부터 14회까지의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을 어문 규범 영역을 중심으로 관련 문항을 추출하고 이를 거시적 관점과 미시적 관점으로 나누어 어문 규범 관련 문항이 한국어 교사의 전문성을 측정하는 도구로서 적합한지 정밀하게 검토한 후 개선점을 제시하였다는 데 의미가 있다. 본 연구는 한국어 교사 자격 시험의 평가법을 개선하는 데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우수한 한국어 교사 양성을 통한 한국어 교육 활성화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the language norms of the Korean teaching ability test have high content validity as a tool to measure the expertise of prospective Korean teachers. To this end, the questions related to the norms of language were extracted from the questions of the test from 1st in 2006 to 14th in 2019 and analyzed how the questions were related to the rules of language norms. Furthermore, the analysis framework of macro and micro perspectives was prepared to critically examine whether the test related to language norms consisted of questions suitable for evaluating and selecting Korean teachers' qualifications. As a result of the review, it was found that the variation in the ratio of the questions was very large in the macro area, and that in the micro area, the variation in the frequency of the questions of each language norm was large, and that there were many questions that did not meet the intention of the test. So far, research on the test has been mainly conducted on systems, methods, and models such as culture, pronunciation, and grammar, and it is hard to say that the Korean teaching ability test has been fully verified except for discussions on language norms, given the importance of language norms. Therefore, it is meaningful that the test, which was conducted from 1st to 14th, was extracted based on the language norm area and analyzed by dividing it into macroscopic and microscopic perspectives, carefully examined whether the language normative area was suitable as a tool to measure the expertise of Korean teachers, and suggested improvements. The study is expected to help improve the evaluation methods of Korean language teacher qualification tests as well as boost Korean language education by fostering excellent Korean language teachers.

      • KCI등재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 문법 영역 문항 개선 방안 연구

        장준영 한국정치사회연구소 2024 한국과 국제사회 Vol.8 No.1

        이 연구는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의 문법 영역 문항이 예비한국어 교사가 갖추어야 할 문법 교육 역량을 평가하기에 타당한지를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 문법 영역 문항의 개선 방안을 구체적으로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방법으로는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 제1회(2006년)-제18회(2023년)까지의 시험 문항에서 한국어 문법 영역과 관련이 있는 한국어어휘・형태론, 한국어통사론, 한국어규범, 한국어문법교육론 과목 623개의 문항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전체적으로 이론적인 문법 지식을 묻는 문항으로 출제가 되는 경향이 많았다. 그렇지만 한국어 교사에게는 교실 현장에서 외국인 학생들에게 쉽고 재미있게 가르칠 수 있는 ‘가르치기 위한 지식’이 중요하다. 그러므로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의 문법 영역에서도 예비한국어 교사들이 한국어 교실 현장에서 실제적으로 접하게 될 교실 현장과 관련이 있는 문항으로 출제가 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가 예비한국어 교사의 한국어 문법 교육 능력을 제대로 측정할 수 있는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의 초석이 되기를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itically examine whether the grammar area questions of the test of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are appropriate to evaluate the grammar education competencies that a prospective Korean language teacher should have, and to specifically seek ways to improve the grammar area questions of the test of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As a research method, the questions in the subjects of Korean vocabulary and morphology, Korean syntax theory, Korean language norms, and Korean grammar education related to the Korean grammar area were analyzed from the 1st (2006) to the 18th (2023) of the test of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As a result of the study, there was a tendency to be asked about theoretical grammar knowledge as a whole. However, for Korean language teachers, it is important to have 'knowledge to teach' that can be easily and interestingly taught to foreign students in the classroom. Therefore, in the grammar area of the test of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questions related to the classroom field that a prospective Korean language teacher will actually encounter in the Korean language classroom field should be presented. This will be the way to enhance the professionalism of a prospective Korean language teacher.

      • KCI등재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 목표 구체화 및 개선방안 연구

        강승혜,민진영,황명환,김유정,장준영,이진수,문보라,이희경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3

        본 연구는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의 목표와 문제점을 구체화하고, 문제점에 대한 개선안을 모색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유사 교육능력검정시험에 대한 사례들을 분석하였으며, 한국어교육 분야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질적 데이터 분석 방법에 따라 분석되었으며, 구체적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행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의 목표가 규명되지 않았으며, 전문가 의견을 바탕으로 검정시험의 목표는 주어진 교육 맥락을 분석하고 이해할 수 있으며, 기초적인 언어학적・교육학적 지식을 제한적으로 수업에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평가하는 것으로 제안되었다. 둘째, 예비 교원들의 한국어교육 능력을 평가하는 데 현행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은 직접식 평가 방식이 부재하였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수업시연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 최종적으로 본 연구 결과는 시험의 목표를 구체화함으로써 문항 제작 및 평가영역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다.

      • KCI등재

        한국어 교원에 대한 한국문화 능력 평가 현황과 개선 방안

        박선옥(Park, Sun-Ok)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1 인문과학연구 Vol.0 No.30

        한국어교육의 수요가 늘면서 양질의 우수한 교사 양성이 중요한 시점이다. 한국어 교원은 한국어와 한국문화에 대한 지식뿐만 아니라 교육 능력도 갖추어야 한다. 이 연구는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 한국문화 영역의 문제가 한국문화 능력을 평가하는 문제로서 적합한가를 분석하고 개선점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 1회~5회의 한국문화 영역 문항을 분석한 결과 성취문화에 대한 지식 점검이 가장 많았으며 정신문화에 대한 문항은 거의 없었다. 그리고 단편적 지식을 묻는 문항이 있으며, 지나치게 세부적이고 특수한 부분을 묻는 문항도 있다. 한국적인 특수성에 대한 문항인지 모호하거나, 문화교육론 영역에서 다루어야할 문제가 있었다. 한국어 교원의 한국문화 능력을 평가하는 시험으로는 부적절한 부분이 있어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 이 연구는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 한국문화 영역의 시험 문항 개발과 한국문화론 교육 내용 구성에 참고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데 의의가 있다. It is important time for training good quality teachers since the demand for learning Korean is getting high. Korean teacher should have not only knowledge about Korean language and culture but also ability of teaching Korean language and cul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is if it suits the questions for evaluating Korean culture ability and to make a proposal the points to be improved.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e sense that it could be used for developing questions in culture part of Korean Language Teaching Proficiency Test Korean and for organizing the contents of teaching Korean culture. As the result of analysis for the 1st to 5th tests of Korean culture questions in Korean Language Teaching Proficiency Test, there are questions about achievement culture the most but there are rarely questions about ideological culture. Also, there are some questions that ask about only simple knowledge and about too specific and particular parts. Lastly, there are some questions which are vague or should be in cultural theories. The test that evaluates Korean teachers’ Korean culture knowledge should be improved since it is quiet not appropriate to evaluate their knowledge.

      • KCI등재

        한국어 교사를 위한 ‘한국문화’ 교육과정에 대한 일 고찰

        홍현정(Hong, Hyun Jung) 동악어문학회 2015 동악어문학 Vol.64 No.-

        우수한 한국어교원이 양성되기 위해서는 예비교사가 이수하는 일련의 과정과, 그 이후에 치르게 되는 검정시험의 역할이 크다. 이에 본고는 국립국어원에서 심사하는 교원 양성 과정의 네 가지 필수 이론 영역 중 하나인 "한국문화"부분에 초점을 맞추어 국내 한국어교원 양성 기관에서의 현황과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을 살펴보았다. 한국어교육에서 한국문화가 중요하다는 이론적 당위와는 다르게 한국문화 영역은 총 이수과정 대비 낮은 비중이라는 문제점뿐만 아니라, 이수 교과목과 실제 시험에서의 상관도 또한 낮게 나타났다. 또한 한국문화 영역의 문항들은 단순 정보 확인 문제들에 치우쳐 한국어교사가 갖추어야 할 한국문화적 소양의 수준마저 의심하게 된다. 한국어교육의 정체성과 전문성을 입증할 수 있는 문항 개발이 필요하다는 문제의식 하에 본고는 한국문화 영역 중 한국문학 예시 문항을 제시하였다. 문학, 문화, 사회, 한국사 등의 통합적 성격을 가지고, 비교문학, 비교문화적 성격을 가지는 문항, 그리고 서술형 문항 개발을 제안하였다. The teacher preparatory courses and licensure examination play important roles in the development of excellent teachers of the Korean language. This paper focuses on Korean culture, one of four mandatory theoretical courses administer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and examines the status of domestic preparatory institutions for Korean language teachers and the Test of Ability for Teaching the Korean Language. Despite the theoretical emphasis on the importance of Korean culture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Korean culture accounted for a very low portion of the total completion courses,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ontent of the courses and the test was low. In addition, questions on Korean culture primarily tested mere facts, while the level of Korean cultural knowledge with which Korean language teachers should be equipped was questionable. With the view that developing questions which test familiarity with the unique identity and characteristics of Korea is necessary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is paper presents examples of Korean literature for study in Korean culture courses. This paper proposes the development of questions that are descriptive, concern comparative literature and culture, and support the integration of Korean literature, culture, society, and history.

      • KCI등재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의 ‘쓰기 교육’ 영역 기출 문제 분석 연구

        김문기 우리말학회 2016 우리말연구 Vol.47 No.-

        이 글에서는 한국어 교원 자격의 취득을 위해 실시하는 ‘한국어 교육능력검정시험’의 ‘쓰기 교육’ 영역에 해당하는 기출 문제를 총괄적으 로 분석하고, 바람직한 출제 방향을 제시해 보았다. 이를 위해 먼저 출제 기준 등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제1회 시험부터 제10회 시험까지의 기출 문제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나타난 문제점은, 첫째, 기출 문제 대부 분이 쓰기 또는 쓰기 교육 이론을 단편적으로 다룬 것이었다. 둘째, 출제 기준의 평가 항목과 일치하는 것보다 그렇지 못한 문제가 많았다. 셋째, 한국의 중등 임용 시험(국어과)의 기출 문제와 비교할 때 구체성과 실제 성 등이 모자랐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출제 방향을 제시했다. 첫째, 쓰기 능력과 쓰기 교육 능력을 실제적으로 평가할 수 있어야 한다. 둘째, 출제 기준의 평가 영역에 따라 출제되어야 한다. 셋째, 평가 영역의 세부 항목 을 수정해야 한다. 넷째, 평가 문항의 실제성을 높여야 한다. 다섯째, 한 국어 교육 현장에서 실제 적용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종합적으로 말 한다면, 한국어 교원으로서 갖추어야 할 쓰기 능력과 교육 능력을 실제적 으로 검정할 수 있는 방향으로 출제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 KCI등재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 ‘한국문화’ 영역 문항 분석 연구 - 내용타당도 확보 방안을 중심으로 -

        황명환,민진영 한국문화융합학회 2022 문화와 융합 Vol.44 No.8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의 네 번째 영역인 ‘한국문화’ 영역의 내용타당도 확보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어교육 전문가들의 의견 수렴을 통해 한국문화 영역에 대한 실질적인 출제 범위를 제안하였다. 그리고 한국문화 과목과 하위영역의 출제 빈도를 살펴보고 문항반응이론을통해 한국문화 영역 문항에 대한 난이도와 변별도를 검토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문화’ 영역의 적정 출제 범위는 한국의 현대문화, 한국 역사, 현대한국사회 과목 및 그하위 영역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제안된 적정 출제 범위를 바탕으로 문항 출제 경향성을 파악한 결과, 현대한국사회 관련 문항의 출제 빈도는 한국의 현대문화 및 한국역사 관련 문항 출제 빈도보다 극히 적게 확인되었다. 셋째, 문항 난이도와 변별도 분석 결과, 극단적 난이도와 변별도 출현이 다수 목격되었다. 최종적으로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의 ‘한국문화’ 영역의 내용타당도확보를 위한 실제적인 방안이 논의되었다.

      • KCI등재

        소통을 위한 한국어 교육 -한국어 교원 자격 제도를 중심으로-

        송향근 ( Hyang Keun Song ) 민족어문학회 2012 어문논집 Vol.- No.65

        이 글은 언어 교육의 주요 요소인 교사를 소통의 중심으로 보고, 한국어 교육의 중심인 교사의 ``양성-인증-임용`` 체계를 ``한국어 교원 자격 제도``를 중심으로 살피고자 한다. 한국어 학습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한국어 교사에 대한 수요도 커졌고, 체계적인 한국어 교육을 이루기 위해 전문성을 갖춘 한국어 교사에 대한 요구가 생겨났다. 이 요구를 해결하기 위해 법령으로 한국어 교사 자격을 규정하고 자격의 요건에 부합한 한국어 교사의 양성이 이루어지게 되었다. 이 글에서는 법령 시행 이후 나타난 문제점에 근거하여 한국어 교원 자격 심사, 양성 과정,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 및 한국어 교원의 수급 등을 중심으로 향후 한국어 교원 자격 제도의 과제에 대해 살피고자 한다. This paper insists that teachers are the principal factors in language education as the center of understanding, and studies ``training-certification-employment`` system of teachers who are the center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cusing on the ``system for Korean language teachers` qualification``. As the demand of Korean language learning increases, the demand of Korean language teachers increased. Also, to accomplish systematic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demand of the Korean language teachers with specialty occurred. To resolve the demand, regulations for qualification of Korean language teachers and training for Korean language teachers who fulfill requisites for the qualification took place. In this paper, the task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head are stated, focusing on examination of Korean language teachers` qualification, training program of Korean language teachers, Test of Ability for Teaching Korean language and the supply and demand of Korean language teachers, based on the problems that occurred after enforcing of the law.

      • KCI등재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 발음 영역 문항 분석

        권성미(Kwon, Sung-mi) 우리말글학회 2015 우리말 글 Vol.65 No.-

        본 연구는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의 발음 · 발음 교수 능력 평가 항목의 내용 타당도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았다. 연구를 위해 제1회~제9회에 출제된 문항들 가운데 발음 및 발음 교수 관련 문항을 추출하고 영역별 출제 비중과 평가 내용을 분석하였다. 조사 결과, 발음 · 발음 교수 영역은 영역별 출제 비중에 있어서, 1, 2, 3영역이나 영역(과목)별 출제 비중에 있어서 회차별 일관성에 있어서는 큰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발음 항목 범주 측면에서도 대체로 다양한 범주들을 균형감 있게 다루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다만 한국어발음교육론의 세부 내용에 있어서 평가내용으로 설정되어 있으나, 실제로 출제가 거의 되지 않고 있는 부분들에 대해서는 보완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The study aims at examining the content validity of the Test of the Ability of Teaching Korean, in terms of the knowledge of the pronunciation and teaching pronunciation. For the study, the questions related to pronunciation and teaching pronunciation are picked out of the questions from the first to the ninth exam, and they are analyzed in terms of the portion of the each section and the content of the evalua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re seems no specific problem on the portion across the section 1, 2, and 3 or the sections of the subjects. Second, various categories of the pronunciation are turned out to be covered. Second, various categories of the pronunciation are turned out to be covered. In the case of the subordinate sections of the section, Teaching Pronunciation, some contents have almost not been made for the questions even though they are set for the content of the evaluation and complementary efforts need made.

      • KCI등재

        한글능력검정시험의 문항 유형과 중급단계 학습자의 한국어 숙달도에 관한 연구 - 3급 필기시험 결과분석을 중심으로 -

        김혜진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15 한국언어문화학 Vol.12 No.1

        한글능력검정시험은 일본에서 실시되는 한국어 숙달도를 평가하는 시험으로 일본어 모어 화자를 대상으로 한다. 1993년 6월에 제1회 시 험이 실시된 이후에 수험자 수는 매년 증가하는 추세이며, 2006년에 는 한국어 학습자들의 실전적인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높이기 위하여 새롭게 출제기준과 출제형식도 개정되었다. 그러나 아직까지 한글능 력검정시험에 관한 연구는 그다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라 할 수 있 다. 본 논문은 한글능력검정시험(제41회) 3급의 필기시험 문제의 평가 항목을 유형별로 [음운현상], [단어와 관용표현], [한자어 읽기], [동사 와 형용사의 활용형], [대화문 완성], [번역], [조사], [장문독해]의 총 8 부문으로 분류하고, 한글능력검정시험에서 중급레벨에 해당하는 3급 을 응시한 일본 대학생들의 시험결과를 통하여 중급 학습자의 한국어 숙달도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Network for Korean Language and Culture 12-1, 53-77. The Korean Language Proficiency Test is a test of Korean language proficiency organized by the Korean Language Proficiency Association in Japan for people with the Japanese language as their mother tongue. The number of examinees has increased since the first test was held in June of 1993. Qualification items and methods were newly revised in 2006 to upgrade practical communication among Korean language learners. However, it may be said that there are not many studies on question types or learning phases of the Korean Language Proficiency Test, even though it examines Korean language proficienc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contents and types of questions in the Korean Language Proficiency Test (grade 3), which objectively assesses Korean language proficiency, and investigate which parts are difficult for Japanese learners through test results. Grade 3 of the Korean Language Proficiency Test is for intermediate level learners with questions consisting of understanding Korean phonological phenomena, words and common expressions at the intermediate level, how to write Chinese characters with Korean letters, completing conversations, translating Korean to Japanese and vice versa, selecting markers and predicate application at the intermediate level, reading long sentences and understanding meaning. In addition, the study analyzes the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for each question and type in reference to the test results of Japanese students who took level 3 of the 41st Korean Language Proficiency Test to assess the learning capability of students who took Korean language classes in colleges and universities and investigates the Korean language proficiency of Japanese learners at the intermediate level. (Tohoku Gakuin Univers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