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반고 직업교육 학습경로의 유연성 제고 방안 : 국내외 고교단계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조금묵(Cho keum mu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9

        본 연구는 우리나라 일반고 직업교육훈련이 대학진학보다는 취업에 관심 있는 학생들의 대안적인 학습경로로 여기던 소극적 개념에서 벗어나 학생들의 진로 탐색과 준비를 돕는 중요한 학습경로로 인식하고, 고교학점제 추진과 함께 학생들이 체계적으로 직업과정 프로그램을 선택하고, 이수할 수 있도록, 일반고 직업교육훈련의 학습경로 유연성 제고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하여 고교단계 직업교육훈련과 학습경로 유연성의 의미를 분석하고, 해외 주요국의 고교단계 직업교육훈련과 학습경로 유연성을 비교·분석하여, 현행 우리나라 고교단계 직업교육훈련의 개선점을 도출하였고, 이를 토대로 일반고 직업교육훈련 학습경로 유연성 제고를 위한 정책방안을 도출하였다. 첫째, 일반고 직업교육훈련 학습경로의 유연성을 위해서는 학생들에게 다양한 학습기회의 부여와 특정한 자격으로 연동되는 다양한 학습경험을 제공해야 한다. 둘째, 학생들이 다양한 학습기회 속에서 자신의 흥미와 자질에 부합되는 학습경로를 설계할 수 있도록 진로지도와 상담의 역할이 강화되어야 한다. 셋째, 지역사회, 유관기관, 산업체 등과의 긴밀한 파트너십을 구축해야 한다. 넷째, 유연한 직업교육훈련 학습경로는 학생선발, 교육과정, 진로 등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태로 표출되어야 한다. 다섯째, 일반고-직업계고 간의 수평적 이동이 확대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gnize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in general high schools as an important learning path to help students explore and prepare for their careers, to promote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nd to find ways to enhance flexibility in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in general high schools so that students can systematically select and complete vocational programs. To this end, the government analyzed the meaning of vocational education training at the high school level and flexibility of learning paths, compared and analyzed the flexibility of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at the high school level in major foreign countries, and drew up policy measures to enhance flexibility of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courses at general high schools. First, for flexibility in the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learning path of general high schools, students should be given various learning opportunities and various learning experiences linked to specific qualifications. Second, the role of career guidance and counseling should be strengthened so that students can design learning paths that match their interests and qualities in various learning opportunities. Third, close partnerships with communities, related agencies, industries, etc. should be established. Fourth, flexible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learning paths should be expressed in various forms, ranging from student selection to curriculum to career paths. Fifth, horizontal movement between general high schools and vocational high schools should be expanded.

      • KCI등재

        교통상황에 따른 운전자의 경로선택과 학습행동에 관한 연구

        도명식,석종수,김명수,최병국 대한교통학회 2003 대한교통학회지 Vol.21 No.3

        본 연구에서는 운전자의 경로선택과 각 경로에 대한 학습행동이 교통상황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 가를 살펴보기로 한다. 즉, 주어진 환경 하에서 자신의 효용을 최대화(소요시간의 최소, 비용의 최소)하는 경로를 선택하는 운전자를 가정하여 교통상황에 따른 운전자의 행동을 모델화하고자 한다. 경로선택에 직면한 운전자는 자신이 획득 가능한 정보와 과거의 경험에 근거하여 각 경로의 주행시간 등의 교통조건을 예측하고 반복적인 경로선택 행동을 통해 각 경로의 주행조건 등에 대한 학습을 하게 된다. 이 때, 운전자의 경로선택과 학습 메커니즘은 각 경로의 교통상황에 따라 다르게 형성된다. 즉, 교통류 상황이 정상성(stationarity)을 띄고 있는지 혹은 비정상성(nonstationarity)을 띄고 있는지에 따라 운전자의 경로선택과 학습 메커니즘이 다르게 됨을 확인하였으며, 이 경우 사후적인(ex-post) 정보의 획득가능성이 운전자 학습행동의 수렴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도 알 수 있었다. 또한, 랜덤워크와 같은 비정상성을 따르는 교통환경에서 운전자는 경로의 조건에 대한 그들의 학습과정에서 학습계수(적응계수)는 각 경로의 특성에 따라 서로 다른 값으로 수렴함을 확인하였다. 나아가 시뮬레이션을 통해 운전자의 경로 환경에 대한 학습과정과 경로선택 행동을 구현하였으며,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 고찰한다. When a route choice is done under uncertainty, a driver has some expectation of traffic conditions that will occur according to the route chosen. This study tries to build a framework in which we can observe the learning behavior of the drivers' expectations of the travel time under nonstationary environment. In order to investigate how drivers have their subjective expectations on traffic condi- tions in response to public information, a numerical experiment is carried out. We found that rational expectations(RE) formation about the route travel time can be expressed by the adaptive expectation model when the travel time changes in accordance with the nonstationary process which consists of permanent shock and transient shock. Also, we found that the adaptive parameter of the model converges to the fixed value corresponding to the route conditions.

      • KCI등재후보

        과제수행에 대한 사전지식 및 인지부하요인의 경로분석

        류지헌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09 교과교육학연구 Vol.13 No.4

        이 연구에서는 사전지식과 같은 학습자의 전문성 수준을 고려하여 인지부하요인과 학습수행에 대한 경로모형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참여자는 217명(남학생: 52명, 여학생: 165명)이었으며, 멀티미디어 학습자료를 활용한 실험집단을 구성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다섯 요인(신체적 노력, 정신적 노력, 과제 난이도, 자기평가, 자료설계)으로 구성된 인지부하모형을 전제로 하고 있으며, 사전검사 및 사후검사에 대한 경로모형을 설정하였다. 자기평가와 과제 난이도는 사전검사(학습자의 전문성)에 의해서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경로를 구성했으며, 정신적 노력, 자료의 설계, 신체적 노력은 학습자의 사전지식 수준과 상관없는 요인으로 경로를 구성했다. 초기의 모형적합도 지수는 CMIN=27.94, df=10, p<.05, GFI=.97, IFI=.96, CFI=.96, TLI=.91, RMSEA=.09인 것으로 나타났다. 카이제곱 및 RMSEA의 지수는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초기경로모형에 대한 수정을 실시하였다. 신체적 노력과 과제 난이도 사이에 오차 공변량을 설정함으로써 모형을 수정했으며, 모든 적합도 지수가 수용수준에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CMIN=11.28, df=9, p=.26, GFI=.99, IFI=.99, CFI=.99, TLI=.99, RMSEA=.03). 또한 경로모형을 구성하고 있는 모든 경로의 계수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 연구의 경로모형에서 가장 큰 영향력을 유지하고 있는 경로는 사전검사 → 사후검사(전체효과=.61)였으며, 자기평가가 과제난이도에 미치는 경로계수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전체효과=-.54). 이 연구를 통하여 1) 다차원적 관점에서의 인지부하요인을 설정할 수 있었으며, 2) 구조주의적 관점에 따라서 종합적인 분석이 실시되었으며, 3) 학습자 중심의 적응적 인지부하이론이 개발될 필요성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특히, 전문성 역전효과와 같이 학습자의 전문성 정도에 따라서 인지부하이론의 적용효과가 달라질 수 있는 상황에 대한 교수설계전략이 필요하다. 인지부하이론을 위한 향후 연구에서는 보다 계량화된 형태의 타당화된 측정도구의 개발이 필요하다. 왜냐하면 인지부하의 결과를 객관화함으로써 교수과정에서의 효율성을 측정하거나 비교분석을 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학습자의 사전지식이나 전문성을 반영한 인지부하이론을 구성함으로써 인지과정을 역동성과 학습맥락을 고려한 설계이론의 개발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동기요인과 같은 정의적인 측면을 반영할 필요가 있다. Recently, there have been critical debates around the theoretical assumptions and the framework for the cognitive load theory. First, the discussions have brought some key themes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ers' performance and cognitive load constructs. Second, there are some ways to reflect on the purpose of using a cognitive structure course for the cognitive load theory. Third, there are multidimensional aspects to measure cognitive loads. Along with the tenets of the recent development of the cognitive load theory, a path model was tested. The total number of the participants in this project was 217 (male: 52 - 24.0%. female: 165 - 76%). Five multidimensional constructs (mental efforts, physical effort, material design, self-evaluation, and task difficulty) and pre- and post-tests were analyzed. In order to build a path model, the pre-test scores were linked to self-evaluation and task-difficulty; however, other constructs were not linked according to the pre-test scores. The initial analysis suggested that a modification in the model. Then a covariance link was added. The overall goodness of fit for indices indicted satisfying the path analysis. All indices of goodness of fit was evaluated to meet the acceptable criterion. The indices were revealed as CMIN=11.28, df=9, p=.26, GFI=.99, IFI=.99, CFI=.99, TLI=.99, RMSEA=.03. The research results suggest that a multidimensional aspect of cognitive load is acceptable and applicable to building a path model. Consideration of learners activities was required to build an adaptive cognitive load theory for various instructional settings. Specifically, the learners' characteristics should be more reflected to explain certain concepts such as the expertise reversal effect.

      • KCI등재

        학습경로 생성을 위한 잠재된 학습 콘셉트의 선후관계 분석

        최현희(Hyunhee Choi),이윤지(Yunji Lee) 한국자료분석학회 2023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5 No.1

        비대면 학습을 활용하는 빈도가 높아지면서, 효율적인 학습을 위해 적응형 학습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학생들이 주어진 학습을 쉽게 하려면, 학생들의 학습 성과를 고려한 학습경로의 설정이 필요하다. 그러나, 현존하는 대부분의 학습경로는 학습 로그에 기반해서 만들어지기보다는 경험 많은 교사들이 사용해온 커리큘럼에 의존하여 만들어진다. 그러나, 현재의 학생들이 이러한 커리큘럼 체계를 통하여 효율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가에 대한 답은 확실하지 않다. 본 연구는 기존에 발표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학습경로를 생성했던 연구에 더해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고 hidden Markov model(HMM)과 귀납 논증을 활용하여 한 단계 높은 수준의 잠재 요인간의 학습경로를 생성하는 데에 중심을 두고 있다. 2020년 D사의 수학 학습데이터를 이용하여, 세분된 학습 개념들의 학습경로가 아닌 세분된 개념들이 그룹화되어 생성된 상위 개념들의 학습경로를 생성하였고, 그룹화에 사용된 세분된 개념들의 신뢰성 및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세분된 개념들은 상위 개념에 대하여 신뢰성 있는 관측값을 보여주었으며 개념이 전달하려는 내용을 세분된 개념들이 타당성 있게 전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As people use non-face-to-face learning frequently, interest in adaptive learning for efficient learning is increasing. In order for students to easily learn, it is necessary to set up a learning path that considers students' learning outcomes. However, as everyone recognizes, learning pathways are not created based on learning logs, but rather rely on the curriculum that experienced teachers have used. However, the answer to the question “Can today's students learn efficiently with the existing curriculum system?” is perhaps not certain. In addition to studies whose subjects were creating a learning path, this study uses a structural equation model, Hidden Markov Model (HMM) and inductive reasoning to create a hierarchical learning path between latent factors at a higher level. Using the mathematics learning data of company D in Korea, a learning path of concepts rather than a learning path of subdivided concepts was created. It was confirmed that the subdivided concepts showed reliable observation values for the upper concepts and that the subdivided concepts conveyed the contents whose concepts were conveyed with validity.

      • KCI등재

        학습유형과 학습전략, 학습시간에 따른 전문대학생의 학업성취 경로분석

        송영주(Song, Youngjooo) 한국열린교육학회 2013 열린교육연구 Vol.21 No.4

        본 연구는 전문대학생의 학습유형을 균형형과 우세형의 차원에서 파악하고, 이러한 학습유형 과 학습전략, 학습시간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학습유형과 학습전락이 직접 학업성취에 영향을 주고, 동시에 학습시간을 통해 영향을 주는 경로모형을 가정하였다. 688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에 의하면, 학습유형은 학업성취에 직접영항을 주었으며 학습전략은 직접적인 경로 뿐 아니라 학습시간의 매개 변인을 통해 간접적으로도 학업성취에 영항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순차적-통합적 영역에서 균형형의 학습유형을 보이는 전문대학생은 한 쪽 유형에 우세한 학습자에 비해 높은 학업성취를 보여주며, 학습전략이 많은 학생일수록 학업성적이 놈을 뿐 아니라 학습에 더 많은 시간을 보냄으로써 간접적으로 높은 학업 성취를 보여주었다. 따라서 전문 대학생의 학습유형과 학습전략은 학업성취를 설명하는 경로관계가 다르다고 볼 수 있다. The pur 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path model of college students' learning styles, learning strategies, study time and their academic performance. Six hundred and eighty eight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two tests of Felder -Solomon's Learning Style Index and the forty-questioned learning strategy test. A student's daily study time and their GPAs were collected as additional variables. The findings showed that the first hypothetical paths, except for the path from learning style to study time, were accepted. The college students' balanced learning style based on the sequential-global sphere directly explained their academic performance. However, learning strategies influenced the GPAs directly and indirectly through their study time.

      • 강화학습 경로탐색 알고리즘 기반 자율주행 트랙터 현장평가

        박승진 ( Seung-jin Park ),윤창호 ( Changho Yun ),황예빈 ( Ye Been Hwang ),강경민 ( Kyeong-min Kang ),김용현 ( Yong-hyun Kim ),김학진 ( Hak-jin Kim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2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7 No.2

        농업 생산량의 향상을 위한 하나의 대안으로 자율주행 트랙터의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자율주행 트랙터의 작업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토양의 슬립이나 소규모·구획화로 인해 잦은 선회가 요구되는 주행 경로를 고려한 실시간 주행 변수 제어가 필수적이지만, 현재는 고정된 주행 변수를 사용하는 전략을 사용하고 있어 정밀 경로 추종의 한계가 있다. 따라서, 토양의 슬립이나 주행 경로에 따라 가변적으로 주행 변수를 제어하는 알고리즘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환경변화에 강인한 강화학습을 활용하여 경로 추종기의 주요 변수인 전방주시거리를 주행경로나 토양의 슬립을 고려하여 이에 적합한 값을 가변적으로 제어하는 실시간 전방주시거리 튜닝 알고리즘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강화학습의 SAC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구성하였으며, 강화학습 트랙터 주행 환경을 정량화하기 위해 작업기 중심점부터 전방 5m 지점까지 1cm 간격으로 측면 및 방향각 변위를 측정하여 배열을 생성하여 입력으로 사용하고, 기준경로와 작업기 중심 사이의 오차값에 따라 학습 된 전방 주시거리를 출력으로 정의하였다. 학습은 직진 및 C형 선회 기반 선회 경로에서 진행되었으며, 다양한 토양조건에 대응하기 위해 시뮬레이션 내의 여러 슬립 조건에서 학습을 진행하였다. 고안된 알고리즘의 효용성을 판단하기 위해 노지 환경에서 농작업을 고려해 반복된 직진 및 C형 선회 기반 전체 경로에서 고정형 전방주시거리 경로추종 제어기와 강화학습 기반의 전방주시거리 결정 알고리즘을 시뮬레이션과 현장에서 비교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 개발된 강화학습 기반 실시간 전방주시거리 결정 알고리즘은 시뮬레이션과 현장 평가에서 선회 및 슬립이 발생하는 구간에 적합한 전방주시거리를 가변적으로 제어하여 정밀 추종하였으며, 작업이 시작되는 선회 후 직진 구간에서의 RMSE 오차가 줄어들어 개발된 알고리즘의 현장 적용 가능성을 검증하였다.

      • KCI등재

        다차원 학습경로 패턴 분석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백장현,김영식,Baek, Jang-Hyeon,Kim, Yung-Sik 한국정보처리학회 2005 정보처리학회논문지 A Vol.12 No.5

        학습자 스스로 학습내용, 학습방법, 학습순서 등을 결정하고 재구조화할 수 있는 학습자 통제 환경에서는 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한 개별화 학습이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웹 기반 교수 학습 과정에서 중요시되고 있는 학습자 특성 변인 중에서 학습자의 학습경로 패턴을 Apriori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분석하고, 유사한 학습경로 패턴을 갖는 학습자들로 그룹화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학습자 개인에게 학습경로, 학습내용. 학습매체, 보조학습콘텐츠, 자료제시유형 등을 다차원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다차원 학습경로 패턴 분석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개발된 시스템에 대하여 만족도 검사를 실시한 결과 보조학습콘텐츠에 대한 만족도가 "매우 만족" $24.5\%$, "만족" $35.1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학습자 수준별로는 하위수준의 학습자에 대한 만족도가 "매우 만족" $20.2\%$, "만족" $31.2\%$로 상위수준의 학습자 "매우 만족" $18.4\%$, "만족" $28.54\%$ 보다 높게 나타났다. 개발된 시스템은 드릴-업, 드릴-다운 등의 OLAP 기술을 이용하여 학습자들에게 다양한 각도로 다차원적으로 의미 있는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In leaner-controlled environment where learners can decide and restructure the contents, methods and order of learning by themselves, it is possible to apply individualized learning in consideration of each learner's characteristics. The present study analyzed learners' learning path pattern, which is one of learners' characteristics important in Web-based teaching-learning process, using the Apriori algorithm and grouped learners according to their learning path pattern. Based on the result, we designed and implemented a multi-dimensional learning path pattern analysis system to provide individual learners with teaming paths, learning contents, learning media, supplementary teaming contents, the pattern of material presentation, etc. multi-dimensionally. According to the result of surveying satisfaction with the developed system satisfaction with supplementary learning contents was highest (Highly satisfied '$24.5\%$, Satisfied'$35.7\%$). By learners' level, satisfaction was higher in low-level learners (Highly satisfied'$20.2\%$, Satisfied'$31.2\%$) than in high-level learners (Highly satisfied'$18.4\%$, 'Satisfied'$28.54\%$). The developed system is expected to provide learners with multi-dimensionally meaningful information from various angles using OLAP technologies such as drill-up and drill-down.

      • KCI등재

        웹 기반 교육에서 학습효과 향상을 위한 학습경로 개인화 시스템에 관한 연구

        백장현,김영식,Baek, Jang-hyeon,Kim, Yung-sik 한국정보처리학회 2004 정보처리학회논문지 A Vol.11 No.2

        최근의 웹 기반 교수-학습은 학습자 스스로 학습 내용, 학습 시간 및 학습 순서를 선택하고 조직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즉 학습자 개개인의 특성(선수 지식, 학습 양식, 흥미/관심)에 맞는 적응적인 교수-학습 환경을 제공하는 방향으로 변화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웹 기반 교수-학습 과정에서 중요시되고 있는 학습자 특성 변인 중에서 학습자의 학습경로를 Apriori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분석하고, 유사한 학습경로를 갖는 학습자들로 그룹화 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학습자 개인에게 학습경로, 인터페이스, 상호작용 등을 제공하기 위한 학습경로 개인화 시스템을 설계하고 개발하였다. 개발된 시스템은 학습자의 학습 패턴에 맞는 최적의 학습 환경을 제공해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학습자 개개인의 학습효과를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oday's Web-based teaching-learning is developing in the direction that learners select and organize the contents, time and order of learning by themselves. That is, it is evolving to provide teaching-learning environment adaptive to individual learners' characteristics(their level of knowledge, pattern of study. areas of interest). This study analyzed learners' learning paths among the variables of learners' characteristics considered important in Web-based teaching- learning process using the Apriori algorithm and grouped learners who had similar learning paths. Based on the result, the author designed and developed a learning-path individualization system In order to provide learners with learning paths, Interface, the progress of learning etc. The proposed system is expected to provide optimal learning environment fit for learners' pattern of study and to be enhancing individual learner's learning effects

      • KCI등재

        느리게 배우는 학습자를 위한 초등예비교사의 수학수업 설계

        조미경 한국수학교육학회 2022 수학교육논문집 Vol.36 No.2

        This study was related to the cases in which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designed math lessons tailored to math underachievers with learning trajectories and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Learning trajectories can be a basis to identify students’ current state of understanding and development, and make a lesson plan responsively tailored to underachievers’ state. And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is a framework that removes potential barriers that may exist in math lessons from the time the lessons are planned, and guides the rich learning environment accessible to all learners. In order to provide an experience of designing math lesson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math underachievers, this study required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to create learning trajectories and make lesson plans with the principles of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learning trajectories shown in the lesson plans and the results of applying the principles of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were analyzed. By discussing the results, implications were derived regarding the necessity of lesson planning for math underachievers and the development of lesson planning competency of pre-service elementary mathematics teachers in teacher education. 본 연구는 가설학습경로와 보편적 학습설계(UDL)를 기반으로 초등예비교사가 느리게 배우는 학습자에게 맞춘 수학수업을 설계한 사례를 활용한 연구이다. 가설학습경로는 계열성을 특징으로 하는 수학 교과에서 느리게 배우는 학습자에게 맞추어 도움을 제공해야 할 때 그들의 현재 이해 및 발달의 상태를 파악하고 그것에 반응적으로 수업을 설계할 때 의사결정의 근거로 삼을 수 있다. 또한, 보편적 학습설계는 수업을 설계할 때 수업에 존재할 수도 있는 잠재적장벽을 제거하여 모든 학생이 접근할 수 있는 풍부한 학습 환경을 안내하는 프레임워크이다. 본 연구는 초등예비교사에게 느리게 배우는 학습자의 특성에 맞춘 수업을 설계하는 경험을 제공하여 가설학습경로를 생성하게 하고, 보편적 학습설계의 원리를 적용한 수업안을 작성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수업안에 나타난 가설학습경로의 특징 및 보편적학습설계의 적용 결과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에 따른 논의를 통해 예비교사교육과정에서 느리게 배우는 학습자를 위한 수학수업 설계 경험의 필요성과 느리게 배우는 학습자를 위한 수업설계에서 가설학습경로 및 UDL의적용 가능성에 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KCI등재

        e-Book을 활용한 온라인 PBL에서 학습자의 학습경로 탐색: 프로세스 분석을 적용하여

        이성혜,한정윤,최경애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19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learning process, according to the learner's participation level in e-book based online PBL environment. For this, online activity data from 1,341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e-book-based online problem-based learning (PBL) programs run for six weeks at K university were used. In this study, the differences in the number of transitions, e-book access, and online achievements were analyzed among each group for the ‘high-level,’ ‘medium-level,’ and ‘low-level’ participation groups derived from our previous study. As a result,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transitions between e-books were found; in all transition path of each PBL learning module, the high-level participation group moved the most, whereas the low-level participation moved the least. Also, the average number of access to e-books was highest at the high-level participation group and lowest at the low-level participation group, and the differences were all statistically significant. Although all three groups showed a common pattern of sequential learning of the e-books presented in each PBL module, online academic achievement was higher in the order of high, medium, and low-level participation groups. As such, this study has a research implication in that it analyzes the learner's learning process in depth in the context of problem-based learning and interprets their learning patterns in relation to academic achievement. 본 연구는 초․중학생이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e-book기반 온라인 PBL 환경에서 학습자의 학습참여수준에 따른 학습과정의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K대학에서 6주 동안 운영된 e-book기반의 온라인 문제기반학습(PBL) 프로그램에 참여한 1,341명의 초․중학생의 온라인 활동 데이터가 활용되었으며, 선행 연구에서 도출된 ‘고수준’, ‘중수준’, ‘저수준’ 학습참여 집단에 대해 각 집단 간 학습경로별 이동 횟수, e-book 접속수, 온라인 학업성취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먼저 집단 간 학습경로별 이동 횟수의 유의미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PBL 학습 모듈 내의 모든 학습경로에서 고수준 학습참여형 집단의 이동 횟수가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중수준, 저수준 학습참여형의 순서로 나타났다. 또한, 모든 e-book에 대한 평균 접속수도 고수준, 중수준, 저수준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차이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이었다. 세 집단 모두 각 PBL 모듈에 제시된 e-book을 순차적으로 학습하는 공통적인 패턴이 나타나긴 했으나, 전반적인 학습참여도의 차이와 함께 고수준, 중수준, 저수준 집단 순으로 온라인 학업성취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초, 중학생 문제기반학습의 맥락에서 프로세스 분석 접근을 활용하여 PBL에서의 학습자의 학습과정을 심도 있게 분석하고 이를 학업성취도와 연관 지어 해석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