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뇌검사에 따른 학습유형 차이 분석을 통한 두뇌유형별 학습자 유형 분류 및 교수-학습방법 탐색

        이은정(Lee Eun Jeong),신재한(Shin Jae Ha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0

        본 연구는 허만의 전뇌모형과 국내외 학자들의 뇌기반 학습유형과의 차이분석을 통해 두뇌유형을 분류하고, 각 두뇌유형별 교수-학습 방법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S여자고등학교 81명, S고등학교 67명, J고등학교 66명 총 214명을 대상으로 전뇌검사와 학습유형검사(4MAT 검사, VAK검사, 장독립형과 장의존형검사)를 실시하였다. 각 설문지와 검사 결과지를 회수하여 학습 유형에 따른 두뇌 유형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좌상뇌는 What형, 청각형, 운동감각 형, 장독립형과 관련성이 있고, 좌하뇌는 Why형, 운동감각형, 장독립형과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우하뇌는 What형, 시각형, 장의존형과 관련성이 있고 우상뇌는 How형, 시각형, 장의존형과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두뇌 유형에 따른 학습자 유형은 논리-주도형(A형), 사고-구조형(B형), 창의-직관형(C형), 정서-활동형(D형)으로 분류하고 명명하였다. 둘째, 두뇌 유형에 따른 학습자 유형의 특징을 살펴보면 ‘논리-주도형’ 학습자는 모둠학습보다 개별학습을 선호하고, 교사의 설명과 지시를 최대한 줄여야 하며, 강의법, 발표하기, 개념학습 등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고-조직형’ 학습자 또한 개별학습을 더 선호하고, 교사의 설명과 지시보다는 독자성을 인정하여야 하며, 학습내용을 조직화, 순서화하고 통계 처리하는 것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창의-직관형’, ‘감정-활동형’은 개별학습보다 모둠학습을 좋아하고, 교사의 적극적인 개입과 감정적이고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창의-직관형’ 학습자는 시각적 보조 자료를 이용하는 학습과 토론학습 및 실험 활동 등을 선호하며, ‘감정-활동형’ 학습자는 모둠별 활동으로 프로젝트 수업과 예체능을 이용한 활동수업 등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두뇌 유형에 적합한 학습자 유형을 고려한 교수-학습 방법을 적용하였을 때 수업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This study has aimed to classify brain types through a difference analysis between Herman’s whole brain test, which divides a brain into quadrant-model and measures preferred ways of thinking, and brainbased learning types studied by domestic and foreign scholars and to explore the methods of teaching and learning according to the brain typ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the first brain - based learning types showed that the left brain was classified as What type, auditory type, kinetic shape, And the idolatrous brain appeared as a How type, a visual type, and a field dependent type. Based on this, the brain - based learning types were classified and named as logical - led type (A type), thought - structured type (B type), creative- intuitive type (C type) and emotion - active type (D type). Second, we derived teaching - learning methods of brain - based learning type. Logic - driven type learners prefer individual learning rather than group learning, reduce teacher s explanation and instructions as much as possible, and prefer class teaching, presentation, and concept learning. The accident - organizational learner also preferred to prefer individual learning, to recognize the identity rather than the teacher s explanation and instruction, and to prefer organizing, ordering and statistical processing of learning contents. Creative-intuitive and emotional-activity type were more interested in group learning than individual learning, and that active intervention of teachers and emotional and active support were needed. In addition, the creative -intuitive learners prefer to use visual aids for learning, discussion learning and experiment activities, and the emotion - active learners prefer to use activities such as project teaching and arts appear. In conclusion, the effectiveness of teaching-learning can be enhanced when the learning style reflects the brain characteristics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learners.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MBTI 성격유형별 기질과 학습유형 및 학습전략

        장현정(Hyun-Jung Jang),김명애(Myung-Ae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4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4 No.9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성격유형별 기질과 학습유형 및 학습전략을 파악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간호대학생 245명을 대상으로 MBTI 성격유형 검사지와 학습유형에 관한 42개 문항, 학습전략에 관한 25개 문항의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의견일치에 따라 1점~6점까지 선택하여 작성하도록 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가장 많은 성격유형은 ESFJ(외향성 감정형)이었으며, 성격유형별 기질로는 SJ(감각적 판단형)기질이 가장 많은 분포를 나타냈다. 성격유형별 기질에 따른 학습유형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4가지 성격유형별 기질은 표층형(F=2.981, p=.032), 심층형(F=5.542, p=.001) 및 성취형(F=3.863, p=.010)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성격유형별 기질에 따른 학습전략의 차이에서는 시연(F=5.454, p=.001), 정교화(F=9.693, p=.001), 조직화(F=7.898, p=.001), 상위인지(F=3.924, p=.009)에서 유의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간호대학생의 성격유형별 기질과 학습유형 및 학습전략의 결과를 바탕으로 개인에게 적합한 학습법의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emperament by MBTI personality types, learning styles and learning strategies in nursing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45 nursing students. The data were collected structured questionnaire including MBTI test, 42-items of learning styles and 25-items of learning strategies. According to correspondence with their ideas, the subjects were completed self reported items of 1-6points scale.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highest personality type in subjects was ESFJ and the highest personality temperament type was SJ.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surface type, depth-type and performance-type by analyzing learning styles to each personality temperament. Learning strategies by personality temperament also w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a demonstration, elaboration, organization, and higher cogni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apply appropriate learning method and learning strategies for the individual.

      • KCI등재

        한국어 학습자의 학습 유형이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오선경,김지혜 고려대학교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연구소 2020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49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learning styles of Korean learners and to find the correlation with academic achievement. Learning styles mean the learning method preferred by the learner. It is a kind of cognitive factor of language learn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934 learners who are learning Korean for various purposes at Korean language education institutions in Korea. The learning styles survey used Willings(1988) questionnaire, which is designed by classifying learning styles into concrete style, analytical style, communicative style, and authority-oriented style. The result of statistical analysis is as follows: communication type > concrete style > authority-oriented style > analytical type. This means that Korean learners prefer communicative style the most, and do not prefer analytical style. As a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with academic achievement,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overall. Howev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nly in communicative style between high-achievement learners and low-achievement learners. Regarding achievement test in each language skills, learners with a communicative style showed higher academic achievement only in the listening test. 이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의 학습 유형 분포와 양상을 살피고, 학업 성취도와의 상관 관계를 분석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학습 유형은 학습자가 선호하는 수업이나 학습 방식을 의미하는 것으로 학습자 개개인이 갖는 인지적 요인이다. 연구 대상은 국내 한국어 교육 기관에서 다양한 목적으로 한국어를 배우고 있는 학습자 934명이다. 학습 유형 조사는 Willings(1988)의 학습 유형 설문 도구를 사용하였는데, 이것은 학습 유형을 구체적 유형, 분석적 유형, 의사소통적 유형, 권위적 유형으로 분류하여 설계된 질문지이다. 통계 분석 결과는 의사소통적 유형 > 구체적 유형 > 권위적 유형 > 분석적 유형 순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한국어 학습자들이 의사소통적인 학습 유형을 가장 많이 선호하고, 분석적 유형은 가장 선호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학업 성취도와의 상관 관계 분석 결과는 전체적으로는 유의미한 상관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상위 등급 학습자와 하위 등급 학습자의 차이를 살펴보았을 때 의사소통적 유형에서만 성취도 등급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언어 기술별 성취도에서는 듣기의 경우에만 의사소통적 학습 유형을 갖고 있는 학습자들이 더 높은 학업 성취도를 보이고 있었다.

      • KCI등재

        시각장애 중등학생의 인구분포학적 특성과 선호 성격 유형에 따른 학습 양식과 학습 유형

        박순희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015 시각장애연구 Vol.31 No.3

        This study aimed at providing the basic information on learning modes and styles with respect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preferred personality type in secondary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A total of the 97 subjects were taken for research in junior high schools and senior high schools sited in Seoul and North Chungcheong Province. MBTI and Kolb’s learning style inventory(LSI) have been used to assess participants' learning styles and personality types.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ignificant difference in a learning mode, that is, active experiment(AE) was found by gender or level of functional vision. Also,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a learning mode, that is, reflective observation(RO) by the SN(Sensing-Intuition) index. Second, significant difference in frequencies of learning style of the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was found by level of functional vision. While the most preferred style of the students with blindness was the diverging style, that of the students with low vision was accommodating style.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frequencies of learning style of the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by preferred personality type. It is important that learning mode and learning style of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could also be assessed and understood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variables or preferred personality type. 시각장애 학생들은 각자 인구분포학적 특성을 달리하며, 이 다른 특성을 기반으로 자신만의 학습 양식과 학습 유형을 개발할 수 있다. 인구분포학적 특성 외에도 성격 유형이 시각장애 학생의 학습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꼽히고 있다. 본 연구는 인구분포학적 특성과 선호 성격 유형에 따라 시각장애 학생의 학습 양식과 학습 유형이 어떠한지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시각장애 학교 중등부에 재학 중인 97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주요 인구분포학적 특성을 조사하였고, MBTI 성격 유형검사와 Kolb 학습 유형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분포학적 특성 중 성별과 장애정도에 따라 시각장애 중등학생의 특정 학습 양식에서 차이가 있었고, 선호 성격 경향 중 특정 하위 영역 즉 인식기능에 따라 시각장애 중등학생의 특정 학습 양식에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인구분포학적 특성 중 시각장애 정도만이 시각장애 중등학생의 학습 유형에서 차이를 보여주는 변인이었고, 선호 성격 유형 중 어느 하위 영역에서도 시각장애 중등학생의 학습 유형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시각장애 학생들의 학습 양식과 학습 유형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인구분포학적 특성 및 선호 성격 경향을 고려하여 개인별로 적합한 교수·학습 방법을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 KCI등재후보

        성격 유형에 따른 한국어 학습자의 학습 유형 연구

        정예린 ( Yelin Jeong ),원미진 ( Mijin Won ) 한국심리유형학회 2021 심리유형과 인간발달 Vol.22 No.1

        본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의 성격 유형 및 학습 유형의 분포와 양상을 살피고 성격 유형과 학습 유형의 관계를 분석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의 대학교 언어 교육 기관 학생들과 국내의 대학이나 대학원에 재학 중인 한국어 학습자 27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학습유형 선호도를 알기 위한 설문조사는 Willing(1988)의 ‘How do you learn best?’라는 학습 유형진단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통계 분석 결과는 의사소통적 학습 유형> 구체적 학습 유형 > 권위적 학습 유형> 분석적 학습 유형 순으로 나타났다. 성격 유형은 MBTI(Myers-Briggs Type Indicator)를 이용하여 분류한 뒤 4쌍의 지표별로 특정한 학습 유형을 선호하는 것이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연구하였다. 또한, 성격 이외에 개별 변인(성별, 연령, 한국어 학습 기간, 한국 거주 기간, 학습자 숙달도, 문화권)이 학습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성격 유형에 따른 학습 유형에 대한 차이는 두 가지 하위 차원에서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어, 직관형 학습자가 감각형 학습자보다 구체적 학습 유형을 더 선호하는 것을, 판단형 학습자가 인식형 학습자보다 분석적 학습 유형을 더 선호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분석적 학습 유형은 성격, 거주 기간, 문화권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어 학습자 변인의 영향을 많이 받는 학습 유형임을 알게 한다. 또한, 동·서양 문화권에 따라 학습자를 분류하여 통계 분석하였을 때, 판단형의 학습자가 압도적으로 많은 동양권에서 분석적 학습 유형을 더 선호한다는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어, 앞서 판단형(J)-인식형(P) 지표와 분석적 학습 유형 간 유의미한 결과를 지지하였고 학습 유형과 성격 유형 간의 연관성을 좀 더 뚜렷하게 밝힐 수 있었다. 본 연구는 MBTI 성격 유형 분류를 통해 한국어 학습자들이 선호하는 학습유형과 효과적인 교수 방법까지 예측 가능하다는 결과를 이끌어 낼 수 있다는 의의를 가지며 이를 통해 다양한 배경의 학습자를 가진 한국어 교실에서 학습자의 성격 유형과 학습 유형을 활용하여 효과적인 교육 방안을 계획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distribution and aspects of personality types and learning types of Korean learners an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types and learning types. To this end, students from university language institutions in Korea and 275 Korean language learners attending universities or graduate schools in Korea were surveyed, and the SPSS/win Version 25.0 program was us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The survey to know learning type preferences used Willing (1988)'s Learning Type survey called 'How do you learn best?' and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were presented in order of Communicative > Specific > Authoritative > Analytical Learning Type. We study whether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reference of a specific type of learning for each of the four indicators after classifying personality types using the Myers-Briggs Type Indicator (MBTI). In addition to personality, individual variables (gender, age, learning period in Korean, period of residence in Korea, learner proficiency, and culture) were analyzed to affect the type of learning. Differences in learning types by personality type showed significant results on two sub-dimensions, indicating that intuitive learners prefer specific learning types to sensory learners, and judgmental learners prefer analytical learning types to perceived learners. In particular, analytical learning types represent significant differences in both personality, duration of residence, and culture, making us aware that they are highly influenced by learner variables. In addition, when classifying learners according to Eastern and Western culture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that judgmental learners preferred analytical learning types in an overwhelming number of Eastern regions, which earlier supported meaningful results between judgmental (J) and analytical learning types. This study means that MBTI personality type classification can lead to predictable learning types and effective teaching methods preferred by Korean learners, and expects to use them in Korean classrooms with diverse backgrounds to plan effective education methods.

      • KCI등재후보

        프로그래밍 수업에서 학습유형, 학습전략,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 연구

        박혜옥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08 實科敎育硏究 Vol.14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프로그래밍 수업을 수강하는 대학생들의 학습전략과 학습유형을 조사하여, 이를 기초로 학습유형, 학습전략,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를 살펴 보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대전광역시 M대학의 2007학년도 1학기에 개설된 「자바 프로그래밍」교과목을 수강한 학생 50명이었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그래밍 수업 환경에서 사용하는 학습전략 수준은 전반적으로 높지는 않으며 특히 '시험전략', '시간관리'전략은 비교적 저조한 전략으로 나타났다. 둘째, 각 학습전략이 학습유형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살펴본 결과, '학습태도'전략을 제외한 나머지 학습전략은 학습유형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학습태도'전략의 경우에는 F통계량값(F=2.835)의 유의확률(P=.048)이 유의수준( .05)에 비하여 작게 나타남으로써 학습유형에 따라 '학습태도'전략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학습태도'전략은 어떠한 학습유형 간에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기 위해 사후검정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 '학습태도'전략은 분산자와 융합자 학습유형사이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프로그래밍 수업환경에서 학습자들의 학업성취도는 학습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를 조사한 결과, 학습유형에 따른 학업성취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프로그래밍수업 환경에서 학습자의 학습전략과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를 알아본 결과, '자기평가', '주의 집중'전략 의 이 두 가지 학습전략이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survey the learning strategies and the learning styles of the university students, and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among the learning styles, the learning strategies, academic achievemen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0 University students in Daejon area. They have taken Java programming course offered by the univers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First, The students' learning strategies level in Java Programming course was not on the whole high and the level of testing and time management strategies used by the students was relatively low. Second, For the differences among the students' learning styles by the 10 learning strategi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statistically not any differences among the students' learning styles by the each of the 9 strategies excluding 'academic attitude' strategy. Third, It was also examined if there were any differences among the four types of learning styles according to th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The results of the examination were turned out tha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not found. Fourth, It was also examine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s between students' learning strategies and academic achievement. The results of the examination were turned out that self-testing and attention strategies among the students' learning strategies influenced th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in Java Programming course.

      • KCI등재

        프로젝트기반학습과 프로젝트 유형 분류체계 개발

        장경원 한국교육방법학회 2022 교육방법연구 Vol.34 No.2

        이 연구는 프로젝트기반학습과 프로젝트의 유형 분류체계를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프로젝트기반학습에 대한 문헌 검토를 수행하였고, 초・중・고등학교와 대학교의 교수자 45명으로부터 130개의 프로젝트기반학습 사례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1차 프로젝트기반학습과 프로젝트 유형 분류체계를 구안하였고 전문가들이 타당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전문가들이 제시한 타당성 평가 결과와 수정 의견을 반영하여 2차 프로젝트기반학습과 프로젝트 유형 분류체계로 수정 및 보완하였고, 이를 교육 현장의 교수자들이 직접 사용해 본 후 이에 대한 형성적 평가를 실시하였다. 형성적 평가 결과를 반영하여 최종적으로 프로젝트기반학습 유형 분류체계와 프로젝트 유형 분류체계를 합친 ‘프로젝트기반학습과 프로젝트 통합 유형 분류체계’ 형태로 개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젝트기반학습 유형 분류체계는 연구 프로젝트기반학습, 제시 프로젝트기반학습, 창조 프로젝트기반학습, 실행 프로젝트기반학습으로 구성된다. 둘째, 프로젝트 유형 분류체계는 4개 영역 10개 유형으로 구성되는데, 조사, 실험, 탐구, 표현, 논쟁, 제작, 설계․개발, 경험, 문제해결, 실천 프로젝트이다. 프로젝트기반학습과 프로젝트가 두 개 이상의 유형을 활용할 경우 프로젝트기반학습 유형은 연구, 제시, 창조, 실행의 순서 또는 더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을 먼저 언급하는 순서로 유형명을 작성할 수 있다. 프로젝트기반학습과 프로젝트 유형 분류체계는 실제 프로젝트기반학습 사례를 토대로 개발되었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교수자, 학습자, 그리고 교육 현장의 이해관계자들이 프로젝트기반학습을 이해하고 이에 대해 효율적으로 의사소통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고등학생의 MBTI성격유형과 학업성취도에 따른 학습방법 탐색 연구

        이선아,변호승 한국교육방법학회 2020 교육방법연구 Vol.3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study methods that students apply according to their personality types. The MBTI personality type test and learning methods test were administered, and the study methods used according to personality types were also analyzed based on students’ midterm grades. The instrument for students' learning methods consisted of five factors such as learning motivation, learning attitude, self/environmental management, information processing, and test management, which were extracted through literature analysis and were evaluated by experts. A four way ANOVA and an ANOVA were conducted. As the results, firs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MBTI personality types. E I, S N, T F, and J P personality types were found to use E I, S N, T F, and J P learning methods, respectively. Second, the high achieving students were found to be using different learning methods from the lower group students. High achieving students of ESFP, ISFP, and ISTJ typ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motivation learning method. 본 연구는 MBTI 성격유형에 따라 학생들이 주로 사용하는 학습방법을 알아보고 학생들의 학습문제 상담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인문계 고등학교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MBTI 성격유형검사 및 학습방법검사를 실시하였고, 중간고사성적을 활용하여 성적에 따라 학습유형별로 사용하는 학습방법이 다른지도 분석하였다. 학습방법검사지는 문헌분석을 통하여 학습동기방법, 수업태도 및 학습행동방법, 자기⋅환경관리방법, 정보처리방법, 시험관리방법 등 5가지 방법요인으로 구성하여 전문가의 안면타당도 평가를 거쳐 제작하였다. 성격유형에 따라 학습방법을 알아보기 위해 4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고, 성격유형별로 학업성취도가 높은 학생들이 사용하는 학습방법을 알아보기 위해 상·중·하 성적집단에 따라 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MBTI성격유형의 4가지 선호지표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E-I, S-N, T-F, J-P성격유형의 학생들은 각각 E-I, S-N, T-F, J-P학습방법을 주로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격유형별로 상위권 학생들은 하위권 학생들과 서로 다른 학습방법을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ESFP유형, ISFP유형, ISTJ유형의 상위권 학생들은 하위권 학생들과 학습동기방법 요인의 학습방법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위권 학생 중 ESFP, ESTJ, ISTJ, ISTP유형은 학습태도방법에서 하위권 학생들과 많은 학습방법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ESFP유형은 자기관리방법에서, ENFP성격유형은 정보처리방법에서, ENFP, ENTP, INFP유형은 시험관리방법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학생들의 성격유형에 따라 사용하는 학습방법이 있으며, 성격유형별로 높은 학업성취도와 관련이 높은 학습방법이 있어 학생들의 개인차를 고려한 학습방법을 사용하도록 지도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 KCI등재

        초등 과학영재의 온ㆍ오프라인 학습태도 유형에 따른 인터넷 사용 행태와 자기조절학습의 차이

        이현주(Hyun-Joo Lee),이정규(Jeong-Kyu Lee),도승이(Seung-Lee Do) 한국영재교육학회 2014 영재와 영재교육 Vol.1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 과학영재의 온ㆍ오프라인 학습태도를 유형화하여 각 유형별 온ㆍ오프라인 학습태도를 분석하고, 각 유형에 따른 인터넷 사용 행태와 자기조절학습의 차이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총 238명의 초등 4-6학년에 재학 중인 과학영재의 자료를 2단계 군집분석 결과, 4개 학습자 유형이 도출되었다: 학교태도와 온라인 학습태도가 모두 높은 ‘블렌디드’ (29.0%), 학교태도가 높으면서 온라인 학습태도는 평균인 ‘오프라인’ (26.5%), 학교태도가 낮으면서 온라인 학습태도는 더 낮은 ‘상대적 오프라인’ (15.1%), 학교태도가 낮으면서 온라인 학습태도는 평균인 ‘상대적 온라인’ (29.4%) 학습자 유형 등이다. 각 학습자 유형별로 인터넷 사용 형태와 자기조절학습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블렌디드’ 학습자 유형은 가장 적응적인 인터넷 사용행태와 높은 자기조절학습 수준을 나타내었다. 특히, ‘블렌디드’ 학습자 유형의 메타인지 수준은, 학교태도의 수준이 유사하고 인터넷 사용행태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없었던 ‘오프라인’ 학습자 유형에 비해서도 유의하게 높았다. ‘오프라인’ 학습자 유형은 온라인 학습태도가 유사한 수준인 ‘상대적 온라인’ 학습자 유형과 비교 시 인터넷 과다몰입과 자기조절에서 유의하게 낮은 수준을 보였다. 또한, 학교태도 수준이 낮은 ‘상대적 오프라인’ 유형과 ‘상대적 온라인’ 유형을 비교하면, 인터넷 과다몰입과 가상적 자아에서는 ‘상대적 온라인’ 유형의 수준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온ㆍ오프라인에서의 영재교육에 대하여 가지는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the types of gifted learners in terms of the offline and online learning attitude, and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internet using pattern and self-regulated learning according to types of leaners. A 2-stage cluster analysis procedure was performed to classify gifted students and four clusters of different styles were identified: a group with high level of attitude toward school and online learning (blended learner), a group with high level of school attitude and average level of online learning attitude (offline learner), a group with low level of school attitude and the lowest level of online learning attitude (relative offline learner), a group with low level of school attitude and the average level of online learning attitude (relative online learner). The ‘blended’ learners showed more adaptive internet using pattern and higher level of self-regulation. Especially, they showed higher level of meta-cognitive regulation than ‘offline’ learners who have similar level of school attitude. In addition, ‘offline’ learners showed lower level of internet overuse and virtual identity compared to ‘relative online’ learners who have higher level of internet overuse and virtual identity than those of ‘relative offline’ learners. This study discusses the implication for gifted education according to the types of gifted learners.

      • KCI등재

        인지적 학습양식의 개념적 모형 정립

        김은정(Kim Eun Jeong) 한독교육학회 2005 교육의 이론과 실천 Vol.10 No.1

        본 연구는 인지적 학습유형을 결정하는 인지적 요소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정의적 요소를 규명하고, 이 과정에서 결정되는 인지적 학습유형과 학습양식을 개념적 모형으로 제시하는 데 그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서 다루고 있는 인지적 학습유형 및 학습양식에 무엇이 있는 지, 그 연구에서 동기 혹은 인성적 요소와 인지적 학습유형의 관계를 어떻게 제시하고 있는 지 분석하였다. 이 분석에 기초하여, 인지적 정보처리 단계에 따라 인지적 학습유형을 도출하고, 동기 및 인성과 같은 정의적 요소가 어떻게 인지적 학습유형의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지, 인지적 학습양식은 어떻게 형성되는 지 이론적으로 체계화하였다. 연구의 결과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지적 학습유형은 정보처리의 세 단계 즉 정보인식, 정보처리, 정보저장ㆍ인출에 의해 결정되며, 각 단계에서는 감각형/직관형, 전체형/분석형, 심층형/표면형의 학습유형이 결정된다. 둘째, 인지적 학습양식을 구성하는 과정에서, 정보인식 학습유형은 학습자의 인성적 특성이 반영되어 결정되며, 정보저장ㆍ인출 학습유형은 학습자의 동기적 특성이 반영되어 결정된다. 이는 학습자의 인지적ㆍ정의적ㆍ심동적 특성이 상호작용함으로써 학습이 이루어질 뿐 아니라 학습방법의 특성도 이들의 상호작용에 의해 결정된다는 이 연구의 이론적 근거를 뒷받침해준다. 셋째, 인지적 학습양식은 위의 세 단계에서 결정되는 학습유형의 조합으로 결정된다. 예컨대, 정보인식 학습유형이 감각형(I)이고 정보처리 학습유형이 전체형(H)이며 정보저장ㆍ인출 학습유형이 표면형(s)인 학습자의 인지적 학습양식은 감각-전체-표면형(IHs)이 된다. 이러한 조합을 통해 형성될 수 있는 인지적 학습양식은 8개이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was to find out the cognitive learning types and learning style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between affective factors and cognitive learning types, and to establish the conceptual model of cognitive learning style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as the research results: First, three cognitive elements of learning style are perception, processing and storage & recollection of information. Learning types determined by the cognitive elements are sensing/intuitive type, analytic/holistic type, deep/surface type. Secondly, affective elements have an effect on determine cognitive learning types. Learning types subject to perception depend on trait of personality, and also learning types subject to storage & recollection of information depend on the kind of motives. Thirdly, cognitive learning styles consist of three cognitive learning types, which are determined by three cognitive factors. Possibly, there are 8 cognitive learning styles. To effectively show the formation process of cognitive learning types and learning styles, the conceptual model is drawn and suggested. The relations between the factors of learning styles and the affective elements also is presented through that mod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