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개방형 공립학교 모델

        황성원(Hwang, Sung-Won) 한국비교교육학회 2009 比較敎育硏究 Vol.19 No.2

        이 연구는 개방형 공립학교 모델로서 프랑스의 프레네 학교에 대한 운영 철학, 운영 내용과 특징, 교육실천 사례, 우리나라 공교육 개혁에의 시사점을 다루고자 하였다. 프레네 학교는 프랑스의 교육실천가 셀레스탱 프레네(Célestin Freinet, 1896~1966)의 교육철학에 근거하고 있다. 연구자는 프레네 학교가 우리나라 공립학교의 변화와 개혁에 어떠한 영향을 줄 수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 자치회 운영을 통해 민주적인 의사결정에 기초한 개방형 공립학교를 구축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다양한 교육방법과 기술을 토대로 학생의 욕구를 반영한 프레네 교수학습 모형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프레네 학교에서는 교사협력팀을 구성하여 교육과정의 탄력적 운영을 통해 교과의 통합적 공동 운영을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우선적으로 학급 또는 학년 간의 개방을 전제로 한다. 넷째, 프레네 교사들의 다양한 교재 개발 노력은 교과서 중심의 수업을 벗어나 여러 매체와 자료를 활용하는 수업 실천사례를 공유하여 교실수업의 질 개선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This research deals with Freinet School in France as a model of open public schools, with focus on the school’s operating philosophy, operating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the cases of educational practices and suggestions for Korea’s public education reform. Freinet School has been operated based on the educational philosophy of the French education activist Célestin Freinet(1896-1966). This researcher approached the following four research subjects in order to examine what effects Freinet School can have on the change and reform of Korea’s public schools. First: What are the educational effects that Freinet School has on the public educational system in France? Second: What are the operating principles of Freinet School and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chool’s viewpoints and roles towards its teachers and students? Third: What are the kinds of the educational activities and the status of utilization of time and space with regard to Freinet School’s operating regulations and the cases of educational practices? Fourth: What suggestions can Freinet School provide for Korea’s public educational reform? This researcher have conducted preceding and philological researches on Freinet School pedagogy and analyzed such data as moving images, interviews with teachers, and the books published by Freinet School Teachers’ Association.

      • KCI등재

        ADDIE 모형을 활용한 프레네 교육기반 영유아교수방법과 활동자료 개발

        황성원(Hwang, Sung-Won)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8 유아교육학논집 Vol.22 No.5

        본 연구는 ADDIE 모형을 활용하여 셀레스탱 프레네 교육 기반의 영유아교수방법과 활동자료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ADDIE 모형은 분석-설계-개발-실행-평가의 다섯 단계를 포함하고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분석의 단계에서는 프레네 교육에 대한 국내・외 선행연구 분석, 프랑스 프레네 유치원 탐방 및 수업을 관찰하였고, 우리나라의 유아교육과 보육현장적용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설계 단계에서는 연구 참여기관과 교사들을 대상으로 현장에 적합한 교육활동을 계획 및 설계하였으며, 개발 단계에서는 프레네 교육기반 영유아교수방법에 대한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내용작성 및 환경구성, 자료개발을 진행하였다. 실행 단계에서는, 연구자 및 참여 교사들과의 지속적인 회의와 면담을 통해 프레네 교육의 실천방법, 교육 적용 전과 후의 생각, 의견, 소감, 개선방안 등을 녹음 전사하여 총 82쪽의 기록을 질적 분석하였다. 비구조화된 유아교육과정을 지향하는 프레네 교육은 설계-개발-실행 단계를 분리하여 접근할 수 없어 3단계를 순환적으로 진행하였다. 평가 단계에서는 프레네 교육이 유아의 의사소통능력,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창의적 문제해결력 면에서 어떠한 효과를 보여주는지 살펴보았고, 이를 위해 사전 · 사후검사를 실시하였으며, 대응표본 t검증 결과 긍정적인 효과를 얻었다. ADDIE 모형에 기초하여 프레네영유아교수방법과 활동유형을 구체적으로 살펴본 이 연구는 프레네 영유아교육이 미래인재를 키우는 역량 중심 교육과정의 한 사례로 소개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eaching method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activity resources based on the pedagogy of Celestin Freinet using the ADDIE model. The ADDIE model was studied through the five steps of Analysis - Design - Development - Implementation - Evaluation to develop an early childhood teaching method and the activity styles of Freinet.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internal and external preceding studies of Freinet Pedagogy were analyzed, a Freinet kindergarten in France was visited in order to observe the classes, and its application to Korea’s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daycare facilities was examined in the first step. In the design stage, various educational activities were planned and designed for the research organizations and teachers. In the development stage, the details, environment, and resources were developed for the specific method of the Freinet Pedagogy. In the implementation stage, the Freinet program was implemented through ceaseless meetings and interviews with the participating teachers and a total of 82 pages of recorded transcripts were qualitatively analyzed to discuss the thoughts, opinions, reviews, and improvement suggestions before and after implementation. The Freinet pedagogy, pursuing non-structuralized early childhood education, could not be accessed with design-development-implementation separately, but the three steps were implemented in circulation. In the evaluation stage, it was examined how the Freinet program affects young children’s communication skills, self-directed learning skills, and creative problem-solving skills through pre-tests and post-tests. The results were positive and this Freinet Pedagogy could be introduced as a case of competency-centered educational programs for future talents.

      • KCI등재

        배움 욕구 회복을 위한 학교교육론으로서 프레네 교육론의 의미

        정훈 안암교육학회 2011 한국교육학연구 Vol.1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20세기 초 능동적 일하기(학습활동)를 통한 교육에 초점을 둔 프레네 교육론(Pédagogie Freinet)의 의미를 배움 욕구의 되살림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보는데 있었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2장에서는 그의 학교비판을 참고로 배움 욕구를 상실하게 하는 학교교육의 특징이 무엇인지를 살폈고, 3장에서는 그가 어떤 방향에서 아이들의 자발적 배움 욕구를 되살리는 교육으로의 변경을 모색하고 실천했는지를 살폈다. 4장에서는 그의 교육론에 제기되는 논쟁점을 중심으로 몇 가지 논의를 전개했으며, 논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우리는 앎의 욕구를 지닌 활동하는 존재이자 일 애호적이라는 인간이해에 다시 주목할 필요가 있다. 둘째, 아동에 내재된 표현욕구와 소통욕구를 충족시키는 활동, 아동 자신의 일상생활에서 나오는 지식욕, 아동이 자기 스스로의 선택과 책임에 기초를 둔 일하기를 선호한다는 점을 우리는 배움의 욕구를 되살리는 하나의 교육 원리로 고려할 수 있다. 셋째, 그의 교육론은 배움 욕구의 되살림 차원에서 하나의 대안으로 종종 거론되는 학생중심수업에 대한 정당화 근거와 하나의 모델을 제공한다. 넷째, 아이들은 자신들만의 고유한 동기에서 공부하고 책임 있는 존재로 존중받을 때, 바깥 세계와 교류하며 활동하고 질문할 수 있을 때 가장 잘 배울 수 있다. In these days, the problem of escaping from learning seems to be an urgent task to which we call attention. For that reason, by exploring the Pedagogy of Freinet(Pédagogie Freinet), I hope to show what is a plan to motivate children's need of learning. The main points to be drawn in the Pedagogy of Freinet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hildren are regarded as active persons, work(travail) is considered as an essential element of children's nature in the Pedagogy of Freinet. Therefore, we can consider work as a necessary means to motivate children's learning because it meets needs of children and provides purposeful activity. Second, the Pedagogy of Freinet suggests the various sorts of works to motivate children' learning as free text, classroom printing, etc. Third, the pedagogy of Freinet has built a well-integrated environment in which children could have full access to work that meets their need of learning. Those characteristics of the Pedagogy of Freinet would illuminate us an alternative educational way to motivate children's need of learning.

      • KCI등재

        프레네 페다고지의 도덕・시민교육: 그 원리와 방법을 중심으로

        박찬영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9 초등도덕교육 Vol.0 No.65

        Freinet Pedagogy helps our children to grow up to be a good man and a good citizen, not by teaching moral and civic ideas, but by offering them multiple opportunities for practice to develop a moral and civic character. Freinet Method(la Technique Freinet) including the free writing, the free expression, the Printing Press in the classroom, the class meeting, and school-to-school communication, on the one hand, helps to cultivate a moral character, such as responsibility, dignity, autonomy, happiness, elimination of immoral habits and attitudes, on the other hand, promotes the cultivation of civil character such as responsibility, voices empowered, cooperation and solidarity, benevolence. What is interesting in the moral and civic education of Freinet Pedagogy is that the principle of moral education is constructed in an inseparable relation to the principles of civic education, and both are mediated by the Freinet technique. Thus, the moral and civic education in Freinet Pedagogy can be said to become a Moral-Civic education. 프레네 페다고지는 학생들에게 도덕 및 시민교육을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실천하게 함으로써 좋은 인간, 훌륭한 시민으로서 성장해 가도록 장려한다. 프레네 페다고지의 학교인쇄기, 자유 텍스트 및 자유 표현, 벽신문 및 학급회의, 학교 간 통신과 같은 테크닉은 한편으로 책임과 존엄성, 자율, 행복, 부도덕한 습관 및 태도 제거, 성공 경험 등의 도덕적 인성 함양을, 다른 한편으로 책임감, 협력, 협력과 연대, 형제애 등의 시민적 인성 함양을 촉진시킨다. 프레네 페다고지의 도덕・시민교육에서 흥미로운 점은 도덕교육의 원리와 시민교육의 원리가 불가분의 관계로 구축되어 있고, 다시 양자는 프레네 페다고지의 테크닉에 의해 매개되어 유기적인 도덕・시민교육의 하나로 완성되었다는 데 있다.

      • KCI등재

        프레네 실천교육학이 통합교육(Inclusive education) 실천에 주는 함의

        정훈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22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61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Freinet Pedagogy' for inclusive education.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in the second chapter, I introduced what the core of Freinet Pedagogy is. In the next chapter, based on Freinet Pedagogy, I suggested a possibility of inclusive education that does not separate between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non-disabled students in relation to special needs education. The conclusion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hysical arrangements of school divided into multiple workshops(ateliers) will be a space for activities for all students, includi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Second, Freinet techniques such as 'weekly plans of work' will enable students to achieve different standards of achievement and different ways of reaching them, and to grow at an individual's pace. Third, without distinguishing between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non-disabled students, Freinet Pedagogy itself has the purpose and contents of self-realization, individual development, and democratic citizenship. Fourth, Freinet tools such as Self-correcting files, Learning cards, and Working Library(Bibliothèque de travail) will help all students perceive the learning contents and fully understand them. Fifth, ‘Free expression’ will allow all students to express their understanding in various ways. Sixth, various forms of cooperative work in which all students(includi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teract with each other, such as Classroom printing, School newspaper, can be used as a way to help students participate. In the end, Freinet Pedagogy presents one possibility of practicing inclusive education that meets the special need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without separation from students who do not have a disability.

      • KCI등재후보

        듀이와 프레네의 관점에서 본 실과 교육의 가치와 그 철학의 방향

        박찬영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24 實科敎育硏究 Vol.30 No.3

        이 연구의 목적은 듀이와 프레네의 관점에서 실과 교육의 가치와 실과 교육 철학의 방향을 검토하 는 데에 있다. 새학교 운동의 한 축을 담당한 듀이는 ‘작업(occupation)’을 통하여 배움과 삶을 연결시 켰다. 그의 실험학교는 작업의 장으로, 경험의 성장이 가능한 작은 공동체가 될 수 있었다. 새교육의 영향 속에 등장한 프레네는 학급 속에 학급인쇄기, 자유텍스트, 학교 간 통신 및 학급회의를 통해 ‘일’ 의 페다고지를 구축했다. 듀이와 프레네를 통해서 실과교육의 가치를 생각하면, 우선 실과교과는 교과 가운데 새학교와 새교 육 운동가들의 실천과 문제의식을 가장 분명하게 계승한 제일의 유산상속자이다. 나아가 실과교육은 일과 노작을 통해 지적 덕과 도덕적 덕, 시민적, 심미적 덕을 함축하는 통합 교과로서 의의가 있다. 실과교육철학의 방향을 생각할 때 그 과제로서는 먼저 실과 교육의 기술어, ‘일’, ‘노작’, ‘기술’, ‘생 활’, ‘세계, ‘경험’. ‘체험’, ‘발명’ 등은 실과교육의 ‘철학’ 차원에서 성찰을 필요로 한다. 나아가 실과교육 의 철학적 토대 중 하나로서 어린이 존재에 대한 성찰 또한 요청된다. 끝으로 실과교육의 내용으로 다 루고 있는 ‘기술’의 의미에 대한 물음을 키워 갈 필요가 있다. 이를테면, ‘기술철학’은 이후 실과교육철 학의 방향을 논할 때 가장 큰 과제 가운데 하나가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value of practical arts education and its philosophical direction from the perspectives of Dewey and Freinet. Dewey, a key figure in the new school movement, connected learning with life through occupation. His laboratory school became a space for work, transforming into a small community where experiential growth was possible. Under the influence of the new education movement, Freinet emerged and established a pedagogy of work within the classroom, utilizing class printing presses, free texts, inter-school communication, and class meetings. Reflecting on the value of Practical Arts Education through Dewey and Freinet, we see that practical arts education is the primary heirs that most clearly inherit the practices and concerns of the new school and new education activists. Moreover, practical arts education holds significance as an integrated subject that encompasses intellectual, moral, civic, and aesthetic virtues through work and manual labor. When considering the direction of the philosophy of Practical Arts Education, several challenges arise. First, educational technical terms related to practical arts education, such as work, manual labor, technology, life, world, experience, interests, and invention, require reflection at the ‘philosophy’ level of Practical Arts Education. Additionally, it is necessary to reflect on the existence of children as one of the philosophical foundations of Practical Arts Education. Lastly, it is essential to explore the meaning of technology as covered in Practical Arts Education. For instance, the philosophy of technology will be one of the most significant challenges when discussing the future direction of the philosophy of Practical Arts Education.

      • KCI등재

        프레네 교육과 쿠지네 소집단 자유학습 적용 방과후 프로그램 개발

        황성원 한국열린교육학회 2023 열린교육연구 Vol.31 No.5

        이 연구의 목표는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에게 특기적성 중심의 활동에서 벗어나 전문적이고 통합적인 방과후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있다. 프레네 교육의 이념과 실천에 대한 선행연구를 참고하고, 쿠지네의 소집단 자유학습을 활용하여 총 10회기 표현 소통 협력의 방과후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충남 N시 OO초등학교 학교돌봄터에서 3개월 동안 실행한 후 수정 보완 작업을 통해 프로그램 최종안을 제안하였다. 또한 방과후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자기표현력, 사회적 유능감, 사회성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여 프로그램 투입 전과 후를 비교 분석하였다. 통계분석의 한계를 보완하고자 방과후 프로그램 실행과정에서의 경험을 적은 연구자와 예비 어린이집 교사 총 3명의 실행일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표현 소통 협력의 방과후 프로그램은 발표에서 표현으로, 소통하는 교사 협력하는 교사, 활동공간의 변화와 활용, 자생적 모둠 형성의 격려와 지원, 프로그램 실행 만족감과 전문 프로그램 개발요구의 주제어가 도출되었다. 이렇게 구성한 방과후 프로그램은 모든 기관에서 동일하게 운영해야 하는 표준 모델이라고 말할 수 없으며 기관의 특성과 실행 주체, 적용 대상에 따라 융통성 있게 운영할 수 있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