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DDIE 모형을 활용한 프레네 교육기반 영유아교수방법과 활동자료 개발

        황성원(Hwang, Sung-Won)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8 유아교육학논집 Vol.22 No.5

        본 연구는 ADDIE 모형을 활용하여 셀레스탱 프레네 교육 기반의 영유아교수방법과 활동자료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ADDIE 모형은 분석-설계-개발-실행-평가의 다섯 단계를 포함하고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분석의 단계에서는 프레네 교육에 대한 국내・외 선행연구 분석, 프랑스 프레네 유치원 탐방 및 수업을 관찰하였고, 우리나라의 유아교육과 보육현장적용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설계 단계에서는 연구 참여기관과 교사들을 대상으로 현장에 적합한 교육활동을 계획 및 설계하였으며, 개발 단계에서는 프레네 교육기반 영유아교수방법에 대한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내용작성 및 환경구성, 자료개발을 진행하였다. 실행 단계에서는, 연구자 및 참여 교사들과의 지속적인 회의와 면담을 통해 프레네 교육의 실천방법, 교육 적용 전과 후의 생각, 의견, 소감, 개선방안 등을 녹음 전사하여 총 82쪽의 기록을 질적 분석하였다. 비구조화된 유아교육과정을 지향하는 프레네 교육은 설계-개발-실행 단계를 분리하여 접근할 수 없어 3단계를 순환적으로 진행하였다. 평가 단계에서는 프레네 교육이 유아의 의사소통능력,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창의적 문제해결력 면에서 어떠한 효과를 보여주는지 살펴보았고, 이를 위해 사전 · 사후검사를 실시하였으며, 대응표본 t검증 결과 긍정적인 효과를 얻었다. ADDIE 모형에 기초하여 프레네영유아교수방법과 활동유형을 구체적으로 살펴본 이 연구는 프레네 영유아교육이 미래인재를 키우는 역량 중심 교육과정의 한 사례로 소개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eaching method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activity resources based on the pedagogy of Celestin Freinet using the ADDIE model. The ADDIE model was studied through the five steps of Analysis - Design - Development - Implementation - Evaluation to develop an early childhood teaching method and the activity styles of Freinet.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internal and external preceding studies of Freinet Pedagogy were analyzed, a Freinet kindergarten in France was visited in order to observe the classes, and its application to Korea’s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daycare facilities was examined in the first step. In the design stage, various educational activities were planned and designed for the research organizations and teachers. In the development stage, the details, environment, and resources were developed for the specific method of the Freinet Pedagogy. In the implementation stage, the Freinet program was implemented through ceaseless meetings and interviews with the participating teachers and a total of 82 pages of recorded transcripts were qualitatively analyzed to discuss the thoughts, opinions, reviews, and improvement suggestions before and after implementation. The Freinet pedagogy, pursuing non-structuralized early childhood education, could not be accessed with design-development-implementation separately, but the three steps were implemented in circulation. In the evaluation stage, it was examined how the Freinet program affects young children’s communication skills, self-directed learning skills, and creative problem-solving skills through pre-tests and post-tests. The results were positive and this Freinet Pedagogy could be introduced as a case of competency-centered educational programs for future talents.

      • KCI등재

        개방형 공립학교 모델

        황성원(Hwang, Sung-Won) 한국비교교육학회 2009 比較敎育硏究 Vol.19 No.2

        이 연구는 개방형 공립학교 모델로서 프랑스의 프레네 학교에 대한 운영 철학, 운영 내용과 특징, 교육실천 사례, 우리나라 공교육 개혁에의 시사점을 다루고자 하였다. 프레네 학교는 프랑스의 교육실천가 셀레스탱 프레네(Célestin Freinet, 1896~1966)의 교육철학에 근거하고 있다. 연구자는 프레네 학교가 우리나라 공립학교의 변화와 개혁에 어떠한 영향을 줄 수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 자치회 운영을 통해 민주적인 의사결정에 기초한 개방형 공립학교를 구축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다양한 교육방법과 기술을 토대로 학생의 욕구를 반영한 프레네 교수학습 모형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프레네 학교에서는 교사협력팀을 구성하여 교육과정의 탄력적 운영을 통해 교과의 통합적 공동 운영을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우선적으로 학급 또는 학년 간의 개방을 전제로 한다. 넷째, 프레네 교사들의 다양한 교재 개발 노력은 교과서 중심의 수업을 벗어나 여러 매체와 자료를 활용하는 수업 실천사례를 공유하여 교실수업의 질 개선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This research deals with Freinet School in France as a model of open public schools, with focus on the school’s operating philosophy, operating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the cases of educational practices and suggestions for Korea’s public education reform. Freinet School has been operated based on the educational philosophy of the French education activist Célestin Freinet(1896-1966). This researcher approached the following four research subjects in order to examine what effects Freinet School can have on the change and reform of Korea’s public schools. First: What are the educational effects that Freinet School has on the public educational system in France? Second: What are the operating principles of Freinet School and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chool’s viewpoints and roles towards its teachers and students? Third: What are the kinds of the educational activities and the status of utilization of time and space with regard to Freinet School’s operating regulations and the cases of educational practices? Fourth: What suggestions can Freinet School provide for Korea’s public educational reform? This researcher have conducted preceding and philological researches on Freinet School pedagogy and analyzed such data as moving images, interviews with teachers, and the books published by Freinet School Teachers’ Association.

      • KCI등재

        읽기 프레임의 활동 기제 고찰

        김도남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14 한국초등국어교육 Vol.55 No.-

        독자의 읽기 행위는 읽기 프레임의 활동으로 이루어진다. 읽기 프레임의 활동은 여러 기제들의 연합 작용으로 이루어지며 독자의 읽기 과정 전반에 관여한다. 독자의 읽기 행위 특성은 읽기 프레임의 어떤 활동 기제들이 작용하는가에 따라달라진다. 이 논의에서는 읽기 프레임의 활동 기제를 외현적, 내재적, 기능적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읽기 프레임의 외현적 활동 기제는 읽기 프레임의 활동이 밖으로드러나게 하는 동인으로 편향적 읽기 행동, 읽기 형식의 유지, 동형 행위의 반복등을 들 수 있다. 내재적 읽기 활동 기제는 읽기 프레임의 활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하는 동인으로 존재의 표현, 적극적 행위, 인지적 처리, 의미의 구조, 고착적태도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기능적 읽기 활동 기제는 읽기 프레임의 활동으로독자의 읽기가 원활하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동인으로 답습적 의미 구성,효율적 내용 인식, 지향적 읽기 수행, 습관적 태도 유지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읽기 프레임의 활동 기제는 독자가 읽기 행위를 수행하는 토대이다. 읽기 프레임의 활동은 여러 가지 기제들이 유기적으로 연합하여 독자의 읽기 행위가 특정한 형식을 갖게 한다. 읽기 교육에서는 읽기 프레임의 활동 기제를 인식하고, 이에 대한 교육적 접근을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실제적인 학생의 읽기활동 자료를 바탕으로 읽기 프레임의 활동 기제를 면밀히 분석하고 설명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ain the mechanism of reading frame. Thereading activity of reader is dependent on the operation of reading frame. Thetrait of reader‘s act is displayed by the operation reading frame, because of thereading frame is the framework of reader‘s mental process. In this study, thepatterns of operation reading frame divided into outward appearance, mode, andfunction. The outward appearance is the revealed exterior trait of reader‘s activity,which is divided into inclination, continuance, repetition, and outstanding. Themode is the unified shape of operating factors of reading frame, which is dividedinto factors of existence, behavior, cognition, meaning, and propensity. Thefunction is the smoothly and efficiency role of operating factors of reading frame,which is divided into the following usually meaning construction, efficientlyawareness of information in book, intentionally reading performance, andmaintain habitual reading attitude. The reading frame is a foundation of reader‘sreading act. The operation of reading frame in close cooperation with the severalfactors of reading frame exposes the distinctive feature of reading activity ofreader. For reading instruction, we should recognize the operation of readingframe, and discuss the method of teaching it.

      • KCI등재

        읽기 프레임의 특징 고찰

        김도남 한국국어교육학회 2013 새국어교육 Vol.0 No.9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characteristic of reading frame for reading instruction. In order to accomplish this study purpose, the following study questions are to define concept and characteristic of reading frame. A word of ‘frame’ has a variety of meaning which represents a fixed pattern of an object, a thing and an event. In this study, the frame is a psychological system that supports person’s understanding of the world. A people recognizes the object on the basis of the frame. Also the reader understands a text through the reading frame which is a set pattern of an cognitive organization for the reader’s comprehension of texts. The reader understands the meaning of books by the assistance of the reading frame. The reading frame is the reader’s psychological system that supports reader’s reading behavior and constructing of meaning from the books. In other words, the reading frame manages and controls the reading activity of reader. The reading frame does not correspond with the general frame. It’s peculiarity is originated psychological process of reader in reading activity. The characteristic of reading frame comes out by traits of it’s the components. The essential elements of reading frame that exhibits the special characters are the stagnant schema, the acquired reading skills, the categorized book informations, the fixed reading aim, the sole pursuit will for reading theme, the set pattern reading habit and attitude and so on. Those factors of reader frame are build up reading education and repeated reading activity. The while in the reading education was not concerned about the reading frame. For the future the reading education should be interested in reading frame for improving to student’s reading ability. 이 논의의 목적은 읽기 교육의 관점에서 읽기 프레임의 특징을 살피는 데 있다. 프레임이라는 말은 일정한 틀을 가진 대상을 폭넓게 지칭하는 말인데 이 논의에서는 읽기 활동의 측면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보았다. 프레임의 관점에서 보면, 사람은 자신이 가진 프레임을 통하여 대상을 인식하고 행동한다. 그런 점에서 독자도 글을 때에는 읽기 프레임에 따라 읽기 행위를 하고 의미를 구성한다. 읽기 프레임은 독자가 읽기를 학습하고, 글을 읽는 과정에서 형성된다. 읽기 프레임은 여러 가지 읽기 관련 요소들로 이루어져 있고, 이들 요소들의 특성에 따라 그 특징을 갖게 된다. 읽기 프레임의 특징을 드러내는 대표적인 구성 요소들은 정체된 배경지식, 습성화된 읽기 기능, 범주화된 도서 정보, 고착적 읽기 목적, 전일적 주제 탐구 의지, 정형화된 읽기 습관과 태도 등이다. 이들 요소들은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읽기 프레임을 이루고 있으며, 독자의 읽기 활동에 관계한다. 이 읽기 프레임에 대하여 읽기 교육에서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읽기 교육을 통하여 학생이 읽기 프레임의 존재를 알고, 형성하여 활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 KCI등재

        지식교육 시대의 해방 문해교육 실천 방안 탐구 : 내러티브 인지도구와의 접목

        배지현,김회용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3 교육문화연구 Vol.29 No.3

        The learning process in modern Korean education is more like information delivery than knowledge exploration, and it creates a repressive environment that forces students to learn.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practical approaches to liberation education in the age of knowledge-centered education by integrating Freire’s literacy program with Imaginative Education’s narrative cognitive tools. First, the study reinterprets “dialogue” in Freire’s education as a narrative. Second, the study proposes a practical approach for liberation education that is suitable for the age of knowledge education by integrating narrative cognitive tools in each stage of Freire’s literacy program. The dialogue in the literacy program aims to reveal the meaning of life, provide existential experience as a subject, and cultivate the power to change reality, which can be understood as a narrative. However, applying Freire’s literacy program to modern knowledge-centered education is difficult since it is not designed to explore curricular knowledge beyond literacy, and the learner is the curriculum maker.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a revised program to compensate for its limitations by integrating narrative cognitive tools, which emphasizes in-depth knowledge acquisition and can be applied to various curricula, in each stage of the literacy program. By integrating narrative cognitive tools and literacy program, we could promote subjective knowledge exploration, raise consciousness, and internalize knowledge by evoking emotion and imagination. This aims to find the possibility of practical liberation education within knowledge-centered education, which regards knowledge as a target of acquisition rather than exploration. 현대 한국교육의 학습은 지식 탐구보다는 정보 주입에 가깝고 삶과 유리된 성격을 띠며 학생들에게 배움을 강요하는억압의 모습을 보인다. 이에 이 연구는 프레이리의 문해교육에 상상력 교육의 내러티브 인지도구를 접목하여 한국의지식 중심 교육에서의 해방교육 실천 방안을 탐구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프레이리의 교육과 그가 실천한 해방문해교육의 전반에 나타난 대화를 내러티브의 관점으로 재해석하였다. 둘째, 프레이리 문해교육의 각 단계에 내러티브인지도구를 접목하여 지식교육 시대에 적합한 방식의 해방교육 방안을 제안하였다. 해방 문해교육의 대화는 삶의의미를 해석하도록 하며, 주체로서 실존의 경험을 제공하며, 현실을 변화시키는 힘을 기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는점에서 내러티브와 그 특성을 공유한다. 그러나 프레이리 문해교육은 커리큘럼 제작자가 학습자이고 문해력 외의교과 지식 탐구에 적절한 방식으로 고안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한국의 지식 중심 교육에 적용하기 어렵다는 한계가있다. 이에 이 연구는 다양한 교과 커리큘럼에 유연한 적용이 가능하며, 깊이 있는 지식 습득을 강조하는 내러티브인지도구를 문해교육의 각 단계에 적용하여 그 한계를 보완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주체적 지식 탐구와 의식화를통한 해방을 추구하는 문해교육의 원리와 상상력을 동원하여 지식의 내면화를 도모하는 내러티브 인지도구의 접목은지식을 탐구보다는 습득의 대상으로 간주하는 지식교육 환경에서 해방교육 실천의 가능성을 비출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내러티브 교육으로서 파울루 프레이리 교육 실천론의 적용 가능성 탐색

        한양선 ( Yang Sun Han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6 인문사회 21 Vol.7 No.1

        본 연구는 프레이리의 교육사상을 학습자의 의식화 과정으로 바라보고 내러티브 관점에서 그의 사상을 재조명하였다. 그의 사상을 ``해방주의 교육``, ``비판주의`` 등을 넘어 내러티브 교육으로서 가능성을 제시하고 프레이리 교육 실천론을 재조명 하는데 목적이 있다. 프레이리 교육실천에 있어서 대화 교육에 담긴 의미를 밝히고, 프레이리의 대화를 통한 교육을 내러티브 교육의 함의로 파악하고 재구성하였다. 내러티브 교육에서 프레이리 교사실천 전유가능성으로서 인간의 해방과 사랑에 대한 내러티브 적용, 동반자적 관계에서 내러티브 적용, 비판적 의식의 성찰로서의 내러티브 적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프레이리의 사상은 교사의 실천을 넘어 인간화를 지향하는 감정의 교감으로서 내러티브의 교육과 맞닿아 있음을 알 수 있다. 아울러 내러티브 교육에서와 같이 의미를 창조하고 생성하여 지식의 범위를 확장하는 것과 일맥상통한다고 볼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s Freire`s educational philosophy as the process of conscientization of the learner and re-illuminates his philosophy from a narrative persp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potential of Freire`s philosophy as a narrative education beyond ``liberatory`` or ``critical`` education and to shed a new light on his educational practice theory. The significance of dialogical education in Freire`s educational praxis has been identified, and the implications of Freire`s dialogical education for narrative education have been understood and reconstituted. As for the appropriability of Freire`s educational praxis to narrative education, potentials for application of narratives to human liberation and love, application of narratives to symbiotic relationships, and application of narratives as critical introspection have been proposed. It can be known that implications of Freire`s education theory are not in praxis of the teacher, but are rather in touch with narrative education as a sharing of emotions toward humanization, which is akin to the creation and generation of meaning to expand the scope of knowledge in narrative education.

      • KCI등재

        독일 프레네 방과 후 돌봄교육에 대한 연구 : 교사의 역량강화와 돌봄교육모델의 내용을 중심으로

        한정숙(Han, Jung-Sook) 한독교육학회 2019 교육의 이론과 실천 Vol.24 No.3

        현재 한국의 방과 후 돌봄교육은 그 수요의 증가와 함께 여러 부처들을 통해 많은 프로그램이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아쉽게도 대부분의 돌봄교육프로그램이 과제 및 학습지도의 차원에 머물러 아동의 욕구를 간과하고 있으며, 돌봄교육을 담당하는 현장의 교사들을 위한 교육도 실제 현장의 요구에 부응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 본고는 독일의 현장실천가들에 의해 발전된 아동중심 프레네 방과후 돌봄교육모델을 살펴보고 나아가 독일현장실천가들의 역량강화과정을 고찰하여 한국의 돌봄교육현장에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로 첫번째 프레네 방과후 돌봄교육모델은 긍정적이고 적극적인 아동관 위에서 출발하는 교육으로 아동의 자율성과 생산성, 협동성의 함양을 교육목표로 삼는다. 이를 위해 자유와 책임의 교육, 생활 속 아동의 관심사에 부응하는 교육원칙을 표방하고 어린이 회의, 위치알림판, 아텔리어 사용 자격증, 사용기록부, 주간계획표, 당번제 등의 다양한 교육방법과 기술을 제시한다. 프레네 방과 후 돌봄교육에서 교사는 사려깊은 관찰자이자 아동의 발달을 촉진하는 촉진자이자 안내자이다. 이러한 독일의 프레네 방과후 돌봄교육모델은 한국의 방과후 돌봄교육이 보다 아동중심적 교육으로 발전하는데 시사점을 줄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두번째 독일 현장실천가들의 역량강화는 추상적인 교육이론을 실천가들이 실제 상황 속에서의 고민과 모색을 통해 현장에 적합한 교육으로 발전시키는 과정속에서 이루어진 것으로 한국 교육실천가들의 역량강화 및 전문성 신장에 주는 함의가 크다고 보여진다. Mit dem zunehmenden Bedarf nach Schulkinderbetreuung bieten jetzt verschiedene Instanzen schulkindern Betreuungsangebote an. Jedoch wird es kritisiert, dass die Betreuungsangebote, die fast auf Lernhilfe bzw. Hausaufgabenbetreuung orientieren, die Bedürfnisse der Kinder übersehen. Ausserdem wird die Aus-bzw. Weiterbildung für die pädagogische Kräfte kritisiert, dass sie auf die Fragen und Probleme der pädagogischen Kräfte nicht richtig eingehen und sie behandeln. Basierend auf diesem Verständnis wurde in vorliegender Arbeit versucht, die deutsche freinet Afterschoolpädagogik bzw. deren Bildung für Erzieherinnen zu präsentieren und Implikationen für Korea zu ziehen. Das Forschungsergebnis ist folgendes. Erstens, die deutsche freinet Afterschoolpädagogik wurde durch deutsche Erzieherinnen, die französische freinet Pädagogik für ihre Praxis anwenden wollten, gefunden und weiter entwickelt. Die freinet Afterschoolpädagogik sieht die Kinder als positive und aktive Wesen, die sich tastend und entdeckend selbst entwickeln. Mit diesem Kinderbild versuchen die Erzieherinnen die Kinder selbständig, produktiv und kooperativ zu erziehen und dabei folgen den vier Erziehungsprinzipien d.h. Freiheit, Verantwortung, Sinn und Lebensbezug. In der Erziehung spielen die Erzieherinnen eine begleitende und motivierende Rolle. Diese Freinetpädagogik kann m.E. für die koreanische Praxis eine Orientierungshilfe werden, damit sich die koreanische Praxis mehr kindorientiert entwickelt. Zweitens, die deutsche Erzieherinnen entwickelten ihre Professionalität durch die Umsetzung der pädagogischen Theorie von Freinet auf ihre Praxis. In diesem Prozess spielte die konkrete Erfahrungen mit den Kindern, einschliesslich Versuch und Irrtum, und die darauf folgende Reflexion und Austausch unter Erzieherinnen eine grosse Rolle, was auch für die koreanische Erzieherinnen eine wichtige Bedeutung sein kann.

      • KCI등재

        프레이리와 랑시에르의 해방교육론 비교

        목영해 ( Young Hai Mok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2012 교육철학연구 Vol.34 No.4

        본 연구는 프레이리와 랑시에르의 해방교육론을 비교 분석한 연구로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두 교육론은 교육활동은 가치중립적일 수 없다, 설명식 교육은 인간의 본질적 특성을 거스르는 교육 방식으로서, 학생을 정신적 피지배자로 만드는 결과를 초래함과 동시에 왜곡된 사회의 형성 및 유지의 수단이 되는 교육방식이다, 해방은 계급이 아닌 개개인의 인간 본질 회복 차원의 일이며, 따라서 해방은 물리적 힘이 아닌 교육의 힘을 통하여 이루어야 한다, 해방교육의 구체적 전개양식을 효과가 검증된 실제적 교육활동에서 추출하였다는 점에서 동일하다. 이에 비해 ‘문제제기식 교육’이라 불리는 프레이리의 해방교육의 전개양식은 학생이 일상적으로 접하는 문제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대화를 중심으로 전개되는데 비하여, ``무지한 교사에 의한 교육``이라 할 수 있는 랑시에르의 해방교육은 학생과 교재의 상호관계를 중심으로 진행된다, 프레이리 교육에서의 교사와 학생은 그 경계가 사라지고, 공동연구자가 되기도 하지만, 랑시에르 교육에서 교사와 학생의 지위는 명확하게 나누어지며 교사의 권위는 유지된다, 프레이리 교육은 억압이 없는 사회의 실현을 위한 사회변혁에 비중을 두는 반면, 랑시에르 교육은 개인의 지적 자유의 확대에 비중을 둔다는 점에서 두 교육론은 차이가 난다. A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comparatively analysis Freire`s emancipation education theory and Ranciere`s one. The results of study are as follows. 1. the common views which two theories share First, Educational activities are value laden because they are involved with political activities. Second, Teacher`s explanation centered teaching, named ``banking concept of education`` or ``making fool education`` is a bad teaching which is against human nature, and makes student a fool and the oppressed. It cause community to irrational and unequal one. Third, emancipation is not a work on social class but a job on recovering the human nature, so the emancipation have to be done by education. Forth, the practical strategies of emancipation education that two emancipation education theorists suggest were based on the educational experiences and the educational achievements 2. the different views that two theories have, and what the differences came from are as follows. First, Freire`s emancipation education, called ``problem posing education``, focuses on the dialogue between teacher and students on the ordinary living with that the students daily face, whereas Ranci?re`s emancipation education, called ignorant teacher`s education, focused a on interaction student and their text books. Second, In Freire`s emancipation education, the separation between teacher and student come to vanishes, and teacher and student become co-worker, whereas in Ranci?re`s emancipation education, separation between teacher and student is sticked, authority of teacher is kept on. Third, Freire`s education give weight to make the society without oppression, whereas Ranciere`s education give weight to expend personal intellectual freedom. Forth, The differences between Freire`s education and Ranci?re`one come from differences of time and place that two scholars live in and experience, and differences of academic atmosphere that they were exposed.

      • KCI등재

        파울로 프레이리(Paulo Freire)의 의식화 교육론을 통한 기독교 공공교육론

        김영호(Young-Ho Kim)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21 신학사상 Vol.- No.195

        파울로 프레이리(Paulo Freire) 교육론의 사상적 접근을 통해서 그가 어떠한 사상적 기반을 통해서 ‘의식화 교육론’을 구성하고 있는지를 밝히는 데 있다. 프레이리는 그의 초기 저서 『페다고지』에서 ‘의식화’ 교육론을 주장한다. 1990년대 이후 신자유주의 시대라고 불리는 상황에서도 여전히 그의 말년의 저서들과 실천을 통해서 ‘의식화’의 필연성에 대해서 계속해서 주장한다. 특히 그는 1990년대 이후의 세계 자본에 의한 자본주의 모순의 확대와 신자유주의적 교육 정책에 대해 우려와 반대의 목소리를 높인다. 특히 포스트모더니즘의 보수적 성향에 대해서 비판하고, 포스트모더니즘의 진보적 측면을 받아들이고자 하였다. 이런 프레이리의 교육론의 성찰은 우리에게는 새로운 교육적 과제를 제시하게 된다. 특히 그의 ‘의식화 교육론’을 통해서 그가 어떻게 화해와 해방의 교육으로 나아가고 있는지에 대해서 검토하는 것은 중요하다. 이것이 해방교육과의 대화를 통하여 시민 사회를 분석하게 하며 해석학적으로 공공교육과 책임과 성숙한 민주주의 의식을 함양하는 데 매우 중요한 교육적 함의를 제공한다. 또한 오늘날 기독교교육이 공공교육론으로서 시민 사회 안에서 다양한 공공의 영역들에서 갖추어야 할 교육적 목적을 제시하게 된다. The ideological approach of Paulo Freire’s theory of education develops the notion of consciousness education. In his early book Pedagogy of the Oppressed, Freire makes an argument for ‘consciousness’ education. Even in the era of neoliberalism since the 1990s, he continued to insist on the need for ‘consciousness’ in later books and practices. Concerns and opposition were raised to the expansion of capitalist contradictions and neoliberal education policies by global capital since the 1990s. In particular, he criticized the conservative tendency of postmodernism and attempted to accept the progressive aspects of postmodernism. Freire’s reflection on the theory of education presents new educational challenges. It is important to examine how he is moving toward an education of reconciliation and toward liberation through the theory of consciousness. Civil society can be analyzed through dialogue with liberation education, and critical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public education, responsibility, and mature democratic consciousness are provided. Considering that Christian education is now a theory of public education, educational objectives that must be met in various public aspects are also presen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