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튜터링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수학과목 성적 증진에 미치는 영향

        정경미,윤수진,고철기,김동호,김수정 한국교양교육학회 2017 교양교육연구 Vol.11 No.6

        With the diversification of university screening system and increment in the number of foreign students, notable variation in students’academic performance capacity is being observed; thus, universities are seeking resolutions for effective education. Tutoring is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means used to improve learning efficiency, yet its effectiveness is less examined. Current paper conducted an investigation on its effectiveness with two studies. In Study 1, the effectiveness of a conjunctional program of tracking and tutoring, was examined. Participants were freshman students from the College of Science, the College of Engineering, and the College of Life and Biotechnology in a university located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whose math screening test performance was in the lowest tier of 10%. Group difference of formal Math I course grade was examined between a group of students who enrolled in the formal Math I course after taking a Math beginner level class and received intensive tutoring (experiment group) and a group of students who took the formal Math I course without taking the Math beginner level class (control group). Results showed that the Math beginner level group who were given the intensive tutoring received a significantly higher grade in contrast to the control group; the percentage of students who received a grade of B- or above was higher in the experiment group than the control group by 22.1%. In Study 2, the effectiveness of intensive tutoring was examined. Participants were 26 students who volunteered for intensive tutoring and 31 students selected among those who did not volunteer for the tutoring; participant pool was students enrolled in a formal MathII course and received a grade of D+ or under in their formal MathI course of the previous semester. Results showed that the group given the intensive tutoring received a significantly higher grade in contrast to the control group; however, no difference was found in the percentage of students who received a grade of B- or above in the two groups. Current research results demonstrated that intensive tutoring, conducted systematically under a low tutor to tutee ratio, is effective in improving Math performance of college students when provided exclusively, or offered in conjunction with the tracking system. Research implications and clin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further. 대학 전형의 다양화와 외국인 학생 수의 증가에 따라 대학생들의 학업수행능력 간 개인차가 두드러지게 관찰되기 시작했고, 효과적인 교육을 위한 다양한 방법이 모색되고 있다. 튜터링은 가장 대표적인 형태의 학습효율성 개선방법으로 많은 대학에서 실행하고 있으나, 튜터링의 효과성에 대한 객관적인 검증은 제한된다. 본 연구에서는 튜터링의 효과성에 대한 객관적 검증을2가지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연구 1에서는 대학에서 교과별 학생 간 수행 차이를 해소하는 방법으로 가장 대표적인 수준별 교육과 튜터링을 결합한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연구 참가 대상자는 서울 시내에 위치한 1개 대학에서 이과대/공과대/생명시스템 1학년 학생 중 입학 시 수학과목 선별검사에서 성적이 하위 10%에 속하는 학생들이었다. 이 중 수학 입문반을 수강하면서 집중 튜터링을 받은 후 정규 수학과목 I을 수강한 학생들 39명(실험집단)과, 입문반 수강 없이 정규 수학과목 I을 수강한 학생 39명(대조집단)의 정규 수학과목 I의 성적을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수학 입문반과 집중 튜터링을 받은 집단은 대조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성적을 받았으며, B-이상의 성적을 받은 학생들의 비율이 집 48.7%로 대조집단(26.6%)에 비해 높았다. 연구 2에서는 집중튜터링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참가 대상자는 정규 수학 과목 II의 수강생 중 이전 학기 정규 수학 과목 I에서 D+ 이하를 받은 학생들 중, 집중 튜터링을 신청한 학생 26명과 튜터링을 신청하지 않은 학생 중 선정된 31명이었다. 연구 결과 중 튜터링을 받은 집단은 대조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성적을 받았으나, B-이상의 성적을 받은 학생들의 비율은 두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 결과는 낮은 튜터:튜티 비율로 조직적이고 체계적으로 튜터링이 제공된 집중 튜터링은 단독으로 제공되거나, 혹은 수준별 교육과 함께 제공될 때 대학에서 이과대, 공과대 및 생명시스템 대학 학생들의 수학성적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임을 보여주었다. 연구적 함의 및 임상적 함의가 추가되었다.

      • KCI등재

        대학 튜터링 프로그램이 수학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 H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송윤희,김성환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2 교과교육학연구 Vol.16 No.2

        종합적 사고와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향상시키는 수학교과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는 반면, 대학생들의 기초 수학능력이 저하되고 있다. 따라서 대학들은 기초수학능력이 부족한 학생들의 학습지원을 위해 튜터링 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으며 학생들의 참가율과 기대효과도 점차 증가되고 있다. 본 연구는 대학의 튜터링 프로그램이 수학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H대학교의 수학 튜터링 프로그램 운영사례를 중심으로 튜터링집단과 통제집단의 학업성취도 및 학습만족도 차이를 비교하였다. 연구대상은 튜터링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습자 113명과 미참여자 183명이었고, 수집된 자료는 독립표본 t –검정, 반복측정공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로 통제집단에 비해 튜터링집단의 학업성취도 평균이 유의미하게 높았다. 또한 사전지식 하위학습집단별 비교에서 통제집단보다 튜터링집단의 사전지식 하위학습집단 학업성취도 평균이 유의미하게 높았다. 둘째로 통제집단에 비해 튜터링집단의 학습만족도 평균이 유의미하게 높았다. 사전지식 하위학습집단별 비교에서는 통제집단에 비해 튜터링집단의 사전지식 하위학습집단 학습만족도 평균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는 수학 튜터링 프로그램이 수학 학습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으며, 특히 수학기초능력이 부족한 사전지식 하위학습집단의 학습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향후 대학 내 튜터링 프로그램의 활성화 및 수학 학습성과 향상을 위한 학습전략 방안을 모색하는데 기초적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e the effects of a tutoring program on learning outcomes in mathematics. The methodology for its analysis was to compare the differences between a tutored group and a control group in terms of academic achievement and learning satisfaction. The tutored group was composed of 113 students who were involved in a tutoring program as tutees, and the control group was composed of 183 non-involved student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an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a repeated measures analysis of covariance. The research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academic achievement level of the tutored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To be specific, the academic achievement level of the low prior knowledge learners in the tutored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This indicates that a tutoring program can enhance the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of low prior knowledge learners. Second, the learning satisfaction level of the tutored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To be concrete, the learning satisfaction level of the low prior knowledge learners in the tutored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ttendance in a tutoring program has an influence on learning outcomes in mathematics.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tilized as a basic reference for promoting tutoring programs in universities. (234 words)

      • 대학 튜터링 프로그램 참여역할(튜터, 튜티)에 따른 튜터링 프로그램 이용과 효과

        이정기(Lee, Jeong-Ki),오아연(Oh, A-Yeon) 한양대학교 교육공학연구소 2015 학습과학연구 Vol.9 No.2

        대학의 튜터링 프로그램은 학습자들의 학업 성취도를 제고하고, 대학생활의 만족도를 높이는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이 연구는 이용과 충족 이론과 계획행동이론을 활용하여 대학 서비스 만족도와 프로그램 만족도, 재참여결정요인을 규명하고자 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튜터링 참여동기는 "취업 유용성", "튜터링 활동의 즐거움", "사회관계", "학습", "호기심/비학습", "학습심화 공유" 등 6가지로구성되었다. 둘째, 튜터링 참여역할별 사회심리적 속성의 차이를 확인한 결과 튜터는 튜티에 비해 "튜터링 활동의 즐거움", "사회관계", "호기심/비학습" 동기가 높았고, 튜티는 튜터에 비해 "학습" 동기가 높았다. 셋째, 대학 서비스 만족도 중 사회적 욕구 만족도 결정요인은 "학습심화 공유", "참여시간", 참여에 대한 "태도"였다. 자아존중 만족도 결정요인은 "참여시간", "태도", "인지된 행위통제"였다. 튜터의 튜터링 만족도 결정요인은 "사회관계" 동기였고, 튜티의 튜터링 만족도 결정요인은 "학습", "학습심화 공유", "태도", "주관적 규범" 변인이었다. 넷째, 튜터의 대학 튜터링 프로그램 재참여의도 결정요인은 "튜터링 활동의 즐거움", "학습" 동기, "태도", "인지된 행위통제"였다. 반면 튜티의 대학 튜터링 프로그램 재참여의도 결정요인은 "학습", "호기심/비학습" 동기, "태도", "인지된 행위통제"였다. This study thus set out to investigate the college service and program satisfaction levels and the determinants of reparticipation by using the Uses and Gratification Theory and Theory of Planned Behavior.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examined differences in the social and psychological attributes between the types of participation in tutoring and found that tutors had more motivations of "fun with tutoring activities," "social relationships," and "curiosity/non-learning" than tutees and that tutees had more motivation of "learning" than tutors. Second, the determinants of social needs satisfaction under the category of college service satisfaction were "sharing of learning enrichment," "hours of participation," and "attitudes" toward participation. The determinants of self-respect satisfaction were "hours of participation," "attitudes" and "perceived behavior control." The determinant of tutors" satisfaction with tutoring was "social relationships," and the determinants of tutees" satisfaction with tutoring were "learning," "sharing of learning enrichment," "attitudes," and "subjective norms." Finally, the determinants of tutors" intention to reparticipate in a college tutoring program were fun with tutoring activities," "learning," "attitudes," and "perceived behavior control." Those of tutees" intention to reparticipate in a college tutoring program were "learning," "curiosity/nonlearning," "attitudes," and "perceived behavior control."

      • KCI등재

        동료튜터링과 개별학습에 따른 인식론적 신념, 자기주도학습능력과 학업성취도 분석

        오선아 한국교육방법학회 2014 교육방법연구 Vol.26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pistemological beliefs(EB), self regulated learning(SRL) and learning achievement according to the peer tutoring and individualized learning. The subjects were 100 college students from the dept. of social welfare and pre-service teachers. Each of the students was assigned to one of four experimental conditions: control, questions only(QO), non-reciprocal peer tutoring(NRPT), reciprocal peer tutoring(RPT). The control and QO were the groups categorized as individualized learning without tutoring. The control was provided only learning materials. QO was provided with the questions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learning materials. Unlike RPT, NRPT was the group that didn’t need a role of being a teacher and studen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NRPT group showed higher sophisticated EB than both of the individualized groups. Naive EB of the tutoring groups was lower than QO group. Second, the motivational factors of SRL in both of the tutoring groups were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Third, achievements of retention and comprehension from both of the tutoring groups were higher than the control and QO.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RPT and NRPT in retention achievement. However, RPT showed higher comprehension achievements than NRPT. Fourth, as for the changes of EB between pre and post learning proces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RPT. NRPT demonstrated a noticeable decrease in naive EB where as sophisticated EB didn’t. Fifth, in NRPT, there were significant changes in all of the SRL factors, however, in RPT, the change was limited to only in cognitive factors. These results would provide some implications concerning with the strategies, procedures, designs of tutoring groups. In addition to the results, types of tutoring and learning strategies applied considering outcome of learning achievement. 이 연구는 동료튜터링과 개별학습에 따른 인식론적 신념과 자기주도학습능력 그리고 학업성취도의 차이를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광주광역시 G대학에 재학 중인 사범계열과 사회복지학부 학생 100명을 대상으로 두 개의 개별학습 집단(비교집단, 핵심질문제공 집단)과 두 개의 튜터링 집단(자율튜터링, 상호교수 튜터링)을 구성하여 12회의 학습을 실행한 후 학습자들의 인식론적 신념과 자기주도학습능력 그리고 학업성취도의 차이를 분석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에 따른 인식론적 신념의 차이에서 소박한 신념은 두 개의 튜터링 집단이 핵심질문제공 집단보다 더 낮았고, 세련된 신념은 자율튜터링 집단이 비교집단과 핵심질문제공 집단보다 더 높았다. 둘째, 자기주도학습능력의 집단 간의 차이는 두 튜터링 집단이 동기적 요소에서 비교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 셋째, 학업성취도는 개별학습 집단보다 튜터링 집단이 높았다. 특히 상호교수 튜터링 집단은 전이성취도에 있어서 자율튜터링 집단보다 높았다. 넷째, 학습 전후의 인식론적 신념의 변화를 보면, 자율튜터링 집단은 세련된 신념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지만 소박한 인식론적 신념은 유의미하게 낮아졌다. 그러나, 상호교수 튜터링 집단과 비교집단은 학습을 통해 인식론적 신념의 유의미한 변화가 없었고, 핵심질문제공 집단은 오히려 세련된 신념이 학습 후 더 낮아졌다. 다섯째, 학습 전후의 자기주도학습능력의 변화는 모든 집단이 인지적 영역에 있어서 유의미한 증가가 있었고, 자율튜터링 집단은 자기주도학습능력 모든 영역에서 유의한 높은 증진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개별학습보다는 튜터링학습이 인식론적 신념과 자기주도학습능력의 향상과 학업성취도에 더 효과적이었다. 가르치고 배우는 상호교수 튜터링은 일반적인 소집단 활동인 자율튜터링에 비해 학업성취도 달성에 효과적인 방법임을 보여 주었다. 이 결과는 대학의 튜터링 학습방법의 설계와 지향하는 학습목표에 따른 집단 구성, 전략과 절차에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 해외 원격대학의 튜터제도 운영 : OUHK의 사례

        신나민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미래원격교육연구원 2005 평생학습사회 Vol.1 No.1

        원격교육체계 내에서 튜터는 원격학습에 대한 구조화된 인적 지원으로 정의된 다. 이 인적지원은 원격학습자의 학업성취, 만족, 지속 등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 처기 때문에 해외원격대학들은 튜터제도 운영에 더욱 내실을 기하고 있다. 본 논문은 해외 원격 대학의 튜터제도 운영 사례 가운데 홍콩오픈유니버시티(The Open University of Hong Kong: OUHK)의 사례에 주목한다 OUHK의 경 우 전임 교원의 수는 전체 교원의 10%에 미치지 못하며, 코스별로 고용되는 튜터가 전체 교수인력의 87.4%를 차지한다, 본 논문은 튜터선발, 튜터훈련 및 지원, 튜터 모니터링, 튜터보상에 관한 구체적인 실천을 살펴보기 위하여 OUHK 의 튜터훈련메뉴얼과 교수훈련자료집을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 걸과 OUHK 튜터제도 운영은 다음과 같은 특성을 보였다. 첫째, 조직적 차원에서 유기적 협업 체계를 갖는다. 즉, 원활한 튜터제도 운영을 위해서 담당 코스의 교수, 단과대학의 주 사무요원, 입학, 시험, 졸업, 기록을 담당하는 Registry부서와 인적자원부서가 긴밀히 협조한다, 둘째, 개인적 차원에서 튜터 관련 업무는 표준화된 직무 수행 양식에 따라 이루어진다, 셋째, TMA(Tutor Marked Assignment)를 통 한 튜더 지도는 학생학습에 있어 필수적인 부분이므로 튜더제도는 교과운영과 통합되어 운영된다. 넷째, 튜터훈련과 전문성 신상을 위한 대학의 지원이 두드러 진다, 이런 관찰은 튜터의 질을 통하여 원격교육의 질을 담보하려는 OUHK의 노력으로 해석된다. In a distance education system, a tutor plays a critical role to supporting distance learners due to its own human nature, As research reports tutor’s unique effects on student achievement, satisfaction, and persistence in learning at a distance, distance education institutions are reassessing the value of tutors while trying to build up more effective systems that can work for their students. Among others, the case of the Open University of Hong Kong(OUHK) was analyzed in this article under the themes of tutor selection, training and support, monitoring, and rewarding. For the analysis, the author drew upon two publications from OUHK: Tutor Training Course and Course Coordinator Training Manual. Some characteristics on the ways OUIIK operates her tutor system were identified in the article, as they reveal the institution’s efforts to quality distance education,

      • 튜터 제도의 효과성 분석을 통한 학습지원 제도 개선 방안 연구

        임재홍, 우영희, 김보원, 이기재, 양유정 한국방송통신대학교 2016 정책과제 Vol.2016 No.-

        방송대의 튜터제도는 학습지원을 위한 여러 제도 중 가장 큰 규모와 체계를 갖춘 지원제도로 1997년 지역튜터 제도를 시작으로 현재 학과튜터 및 사이버 튜터를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매학기 200명에서 250명 정도의 튜터가 선발되어 신, 편입생을 대상으로 한 학습지도 및 상담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우리대학에 이러한 튜터제도가 도입된 이래 튜터제도의 효과성에 대한 의문은 끊임없이 제기되어 왔으며 이를 기반으로 한 효율적 운영방식 마련을 위한 노력이 지속되어 왔다. 이는 튜터제도 개선과 관련된 수차례의 정책과제의 수행과 연구결과에 따른 여러 차례의 제도 개선의 흔적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이 튜터제도가 1997년 처음 만들어진 이래로 약 20년 동안 지속적으로 변화 발전해 왔음에도 불구하고 최근 급격한 등록률의 감소와 여전히 높은 중도 탈락률로 인한 학생 수 감소, 『국립대학의 회계 설치 및 재정 운영에 대한 법률』제정으로 인한 재정여건의 변화로 인해 현 튜터제도 운영의 전면적 재검토라는 요구에 직면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까지의 튜터 운영의 효과성을 판단할 수 있는 다양한 양적, 질적 자료를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운영방향에 대한 심도 깊은 논의를 진행함으로써 향후 재정여건의 변화를 고려한 효과적인 튜터 운영 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분석, 방송대 튜터제도 운영 현황분석, 튜터링 관련 데이터 통계분석, 그리고 관련자 인식 및 요구분석이 실시되었으며,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향후 운영을 위한 방향과 이에 따른 제반사항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특히 튜터제도의 효과검증을 위해 튜터링에 대한 참여도 및 만족도를 분석하고, 교과목 통계분석을 통해 도출된 과목 이수률, 성적 등과 튜터 활용 유무의 상관관계를 분석함으로써 튜터제도의 목적인 중도탈락률에 대한 기여도를 가늠해 보고, 튜터제도의 유무가 학업수행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 지를 파악하였다. 이를 위해 튜터 제도와 관련된 튜터, 튜터링 참여 학생 등에 대한 현황 자료(2013년 1학기~2015년 2학기, 3년치 자료)들을 시계열적으로 살펴보았다. 또한 통계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튜터제도의 향후 운영방향에 대한 의견을 구하기 위해 관련자 그룹별 튜터제도에 대한 효과 인식 및 요구를 분석하였다. 교수대상의 그룹미팅, 학습자 대상의 설문, 그리고 튜터 대상의 심층 인터뷰가 실시되었다. 연구결과 참여도와 중도탈락율에 있어서는 효과가 미흡하거나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적과 만족도에 있어서는 다소 긍정적인 효과가 확인되었다. 관련자들의 튜터제도 효과에 대한 인식과 요구에 있어서는 학습자와 튜터는 튜터제도가 효과가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보다 효과적인 운영을 위해 개선운영을 요구하였다. 반면 교수자의 튜터제도의 효과에 대한 인식은 ‘효과 있음’과 ‘없음’ 두 가지로 분명하게 구분이 되었다. 효과 인식에 따라 튜터제도에 대한 요구사항도 참여율의 저조와 중도탈락 방지에 효과 없음이 들어났음으로 폐지해야 한다는 요구와 학습을 지원하는 데는 의미가 있으므로 개선해서 운영해야 한다는 요구로 나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튜터제도 폐지(안)과 개선 운영(안)이 논의 되었으며, 개선운영을 위한 3가지 방향(운영방식 변화를 통한 개선, 평가제도 개편을 통한 개선, 새로운 역할부여를 통한 개선)이 제안되었다. 또한 현재 우리대학은 미래교육 시스템 구축 사업단을 2016년 11월 28일자로 시행하고 전반적인 학사 및 평가제도의 개편을 준비 중에 있으므로 본 과제에서 논의된 튜터제도 또한 이러한 새로운 학사제도의 틀 안에서 다시 살펴볼 필요가 있으며, 연구에서 제안된 결과들 중 새로운 학사제도 추진방향에 가장 적절한 내용을 중심으로 튜터제도의 운영방향을 결정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후보

        델파이 조사를 활용한 튜터링 프로그램 평가준거 개발

        노원경,이혜경,조나영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3 인문사회과학연구 Vol.14 No.2

        본 연구는 튜터링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할 수 있는 평가준거를 개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각 대학의 교수학습센터에서 최소 한 학기 이상 튜터링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 전문가 28명을 대상으로 세 차례에 걸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튜터링 프로그램 의 평가준거는 평가영역, 평가항목, 평가지표로 세분화되어 튜터용과 튜티용으로 각각 구분되어 개발되었다. 연구 결과는 디음과 같다. 첫째, 튜터링 프로그램 평가영역에는 튜터, 튜티의 경우 튜터링 ‘전(前)’, ‘중(中)’,‘후(後)’ 3 개 영역이, 기관의 경우 ‘프로그램 운영’과‘ 프로그램 효과’ 2개 영역이 도출되었다. 둘째, 평가항목에는 튜터 14개, 튜티 8 개, 기관 6개 항목이 포함되었으며 셋째, 평가지표는 평가항목을 구체적으로 묻는 문항들로 구성되었는데 튜터는 37개의 문항이 튜티는 34개의 문항이 개발되었다. 델파이 조사 결과, 개발된 평가지표의 타당도는 대부분 4.0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튜터링 프로그램 평가준거는 튜터링 프로그램의 효과를 실증적으로 밝히고, 튜터링 프로그램을 평가하고 개선하는 데 유익한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research aims at developing an evaluation criterion to appraise efficiency of tutoring program and providing the foundation of systematic management in order to help to raise the quality of tutoring program.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three times a Delphi survey of 28 experts, who have an experience to manage tutoring program in a university's CTL(Center for Teaching and Learning) at least over a semester. Evaluation criteria of tutroting program were examined their validity in terms of evaluation region, contents and index. In consequence, Each tutors and tutees questionnaire were drawn from this validation of evaluation criteria. The results include the following: at first, as for the evaluation region, it is recommended to inspect 3 regions('before', 'during' and 'after' of tutoring) for tutors and tutees and to estimate 2 regions(‘management of the program' and 'efficiency of the program') for institutions. Secondly As for the evaluation contents, there are 14 categories for tutors, 8 for tutees, and 6 for the institutions selected. thirdly, The evaluation index consists of a questionnaire to ask about the evaluation contents in detail and 37 questions for tutors, 34 for tutees drawn from the process above. The Delphi survey carried out three times in this research demonstrates a high validity rate of average 4.0.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evaluation criteria of tutoring program proposed by this study would be a useful instrument to improve existing tutoring program by providing data to estimate their efficiency.

      • KCI등재

        대학생의 동료 튜터링 프로그램에서 참여역할, 학년, 팀구성 방식에 따른 튜터의 역할 수행에 대한 인식 차이

        이성하,최명숙 한국교육방법학회 2013 교육방법연구 Vol.25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동료 튜터링 프로그램의 활성화를 위해 대학생의 동료 튜터링 프로그램에서 참여 역할(튜터/튜티), 학년(저학년/고학년), 팀구성 방식(선후배/동료)에 따른 튜터의 교수적, 사회적, 관리적 역할 수행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D광역시 소재 K대학교의 교수학습센터에서 2012학년도 1학기 동료 튜터링 프로그램에 참여한 112명의 대학생이다. 설문도구는 선행연구와 문헌 분석을 통해 본 연구자가 작성하고 전문가 검토를 거쳐 완성한 후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타당성을 확보하였다. 자료 분석은 집단 간의 차이 검정을 위해 다변량분산분석(MANOVA)을 사용하였다. 본 참여역할, 학년, 팀구성 방식간의 상호작용 효과를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튜터가 튜티보다, 선후배 팀이 동료 팀보다 튜터의 교수적 역할 수행에 대해 더 부정적으로 인식하였다. 둘째, 선후배팀에서는 고학년 튜터가, 동료팀에서는 저학년 튜터가 튜터의 사회적, 관리적 역할 수행에 대해 더 부정적으로 인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동료 튜터링 프로그램의 활성화를 위한 튜터에 대한 사전 교육의 필요성, 효과적인 팀구성 방식, 튜터와 튜티의 특성에 따른 튜터링 활동 지도가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perceptions by tutor/tutee role, grade, and group composition on tutor's instructive, social, and managerial role performance in peer tutoring program for university students. The subjects were 112 students attended to the peer tutoring program during the spring semester of 2012 at K university in Daegu. The survey tool was developed by the author based on literature review and expert opinions. The validity of the tool was examined b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data were analyzed by MANOVA. In conclusion,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utors than tutees, and mixed grade groups than fellow groups had more negative perceptions on the performance of tutor's instructive role. Second, the upper grade tutors of mixed grade group, the lower grade tutors of fellow group had more negative perceptions on the performance of tutor’s social and managerial role. From the results, peer tutoring program requires orientation for tutors, effective group composition, and tutoring guide based on characteristics of tutor and tutee.

      • KCI등재후보

        말하기 중심 수업에서의 동료튜터링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오픈 튜터링(Open Tutoring)’을 통한 학습모둠 성찰과정을 중심으로

        박현이(Park, Hyun-lee) 한국문화융합학회 2016 문화와 융합 Vol.38 No.1

        현재 각 대학별로 교양교육원이나 글쓰기센터를 중심으로 튜터링 프로그램이 활성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반해, 말하기에 중점을 둔 튜터링 프로그램은 찾아보기 어렵고, 이에 관한 사례 연구 또한 드물다. 본 논문의 목적은 ‘토론’에 기초한 말하기 중심 수업에서의 동료튜터링 사례에 관한 연구를 바탕으로 튜터링을 활용한 말하기, 의사소통 중심의 교수학습활동에 있어 적절한 기술과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에 현재 목원대학교 교양교과목인 <토론과 글쓰기> 수업에서 시행되고 있는 토론튜터제에 관한 사례를 분석하고, 튜터링을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을 구체적으로 고안하였다. 본 논문의 2장에서는 먼저, 튜터의 개념과 역할에 대해 살펴보고, 다음으로 토론튜터제 현황과 튜터의 역할, ‘토론 전-토론 중-토론 후’에 해당하는 토론 절차에 따른 활동내용을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현재 튜터링의 문제점을 진단하여 이에 보다 내실을 기하고, 효과적으로 활성화하기 위한 전략적 방안의 하나로서 ‘오픈 튜터링’에 기초한 ‘튜터링 보고서’ 작성 강화와 학습모둠 내에서의 공개를 통한 튜티와의 공유, ‘튜터링 성찰일지’의 적극적 도입과 활용을 제안해 보았다. 튜터제나 튜터링 프로그램은 학습튜티들의 학업성취도를 높이고, 학력 손실을 예방하기 위한 실질적 요구조건에 부합해야 한다는 점에 동의하는 바이다. 그러나 이에 앞서 튜터와 튜터링의 본질적 의미는 ‘튜터-튜티’간, ‘튜티-튜티’ 간에 개입하여 적극적인 촉진자로서, 사회적 관계 조직자로서의 성실한 역할 수행에 있다. 이를 위해서는 튜터 스스로의 인지활동에 해당하는 자신의 튜터링 과정과 활동 전반에 관한 의식적 모니터링 활동과 점검활동이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본 연구가 튜터들의 교육 및 모니터링 활동, 튜터의 질적인 성장에 내실을 기하기 위한 하나의 적절한 방안으로 기능할 수 있으리라 본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solve the problem that happens in applying to tutoring system and tutoring program in speaking based lesson. With This, this paper seeks specific activating way about peer tutoring. In this study in 2 chapter, I considerate debate tutoring system’s current state, role and major activity content that take effect in subject courses <Debate and Writing> in Mokwon University. Tutoring system or tutoring program’s effects is to improve students schoolworks and satisfy real requirements to prevent their academic loss. However, tutoring system or tutoring program has effects and meaning like this. First, tutoring as a faithful assistant is able to contribute to learning environment and academic atmosphere. Consequently, It brings a better learning effect. Second, tutoring as a active facilitator can help mutual communication and opinion coordination between ‘learner-learner’ and ‘professor-learner’. As a result, It makes lesson’s flows smoothly. Third, tutor as a social relationship organizer is able to resolve conflict and dispute in learning group. As a result, tutor can contribute to enriching emotional connectedness among learners and to hardening teamwork among them. In 3 chapter, I suggest strengthening ‘tutoring report’ writing and utilizing actively ‘tutoring-reflection diary’ as a way for internal stability of present tutoring. In 3 chapter, I consider practical application and practical case in classroom by programs showed on 2 chapter. It is practiced based on ‘group processing’ as a part of cooperative learning. ‘Group processing’ is that members who make a group is to examine and structuralize group activity. It is for performing their goals effectively. In the process, tutor’s monitoring and feedback and reflection about tutoring is very important because it influences on strengthening tutor’s ability and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tutor’s educational growth. I will expect that a study on this paper will be a proper way for insure substantiality in tutor’s qualitative development.

      • KCI등재

        튜터링프로그램에서 튜터와 튜티의 특성에 따른 만족도와 효과의 관계분석

        오경수(Oh Kyungsu),최정(Choi Jung),허지숙(Huh Jisu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1

        본 연구는 대학의 튜터링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개인, 경험, 활동 특성에 따라 만족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지 확인하고, 튜터와 튜티의 효과를 구분하여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A 대학교 2019학년도 2학기 튜터링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을 대상으로 2020년 2월 20일부터 23일까지 설문조사하고 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대학 튜터링 프로그램의 만족도는 성별, 튜터링 과제 유형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튜터의 경우 튜터링 참여 횟수에 따라 학업성취 효과를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튜터의 사회정서적 효과가 만족도에 높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튜티의 경우 학습과제 유형에 따라 사회정서적 효과, 학업성취 효과, 학습동기 효과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튜티의 학업성취 효과와 학습동기 효과가 만족도에 높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학 튜터링 프로그램 운영 시 효과성과 만족도를 위하여 보다 적절한 관리와 개입이 필요하며 튜터와 튜티에 따른 전략적 접근과 극대화 방안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whether the tutoring program of the university show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individual, experience, and activity characteristics of students, and to determine the effect of student tutor and tutee on satisfaction. To this end, a survey and analysis were conducted from February 20 to 23, 2020 for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tutoring program for the second semester of 2019 at a ‘A’ University. As a result of the research, first, the satisfaction of university tutoring programs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gender and tutoring task type. Second, in the case of student tutors, it was found that the academic achievement effect was highly recogniz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tutoring participating, and the social and emotional effects of tutors had a high effect on satisfaction. Third, in the case of tute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ocial emotional effects, academic achievement effects, and learning motivation effects according to the types of learning task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utee s academic achievement effect and learning motivation effect had a high impact on satisfaction.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more appropriate management and intervention are needed for effectiveness and satisfaction when operating a university tutoring program, and that a strategic approach and maximization plan according to tutors and tutees are nee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