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친환경 제품선택의 가치와 도덕적 허가 수준에 따른 친환경 행태의 차이

        이아름,송유진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24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20 No.2

        기후변화 등 각종 환경문제의 심각성에 맞서 친환경 제품을 선택하고, 친환경 행동을 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지금까지 친환경 행동에 대한 연구는 주로 친환경 행동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과 친환경 행동의 동기를 밝히는 연구가 대부분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친환경 소비가 우리 사회에서 중요해지고 있는 시점에서 소비자들이 실제 어떤 가치를 지향하느냐에 따라 제품을 선택하는지 그 집단을 구분하고, 이들의 친환경 행태와 행동이 어떻 게 나타나고 있는지 실증적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또한 소비자들의 도덕적 허가 수준에 따라서는 친환경 행태와 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를 통해 소비자의 친환경 행태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친환경 실천 행동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과 역량을 효과적으로 높여줄 수 있는 방향을 찾는데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제품선택기준과 도덕적 허가 수준에 따라 소비자 집단을 구분하고 각 집단별로 친환경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본 결과 환경의식은 모든 집단에 통계적으로 유 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제품선택 가치에 따른 소비자 집단별로 친환경 행동에 영향을 미 치는 요인을 살펴본 결과 기능지향형 집단의 경우에는 다른 집단과 다르게 친환경 태도와 물질지지가 정적인 영 향을 미쳤으며, 친환경지향형 집단은 정보지지가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도덕적 허가 수 준에 따라서도 친환경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덕적 허가 수준이 높은 집단은 사회적지지 중에서 정서지지와 물질지지가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도덕적 허가 수준이 낮은 집단은 정보지지가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통해 소비자의 친환경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소비자 개개인이 추구하는 제품선택의 가치와 상황에 따른 허가 기준과 관계없이 공통된 요인이 있는 반면 차별적 요인이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즉, 환경의식 은 친환경 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공통된 변수인 반면, 소비자 개개인이 추구하는 가치와 허가 기준에 따 라서 사회적 지지의 하위 요인이 차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More and more people choose environment-friendly products and engage in pro-environmental consumption behavior in the face of severity across all kinds of environmental issues including climate change. Until now, most of the research on environment-friendly behavior has been mainly on factors that affect the intention of environment-friendly behavior and the motivation of environment-friendly behavior. In this study, at a time when pro-environmental consumption is becoming important in our society, we want to classify the group of consumers who choose products based on what value they actually aim for, and empirically examine how their environment-friendly behaviors and behaviors. In addition, the purpose is to understand the influence on environment-friendly behavior and behavior depending on the level of moral licensing of consumers. It is expected that the research results will provide implications for improving understanding of consumers' environment-friendly behavior and finding directions that can effectively increase consumers' awareness and capacity for environment-friendly practices. The main finding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tudy categorized consumer groups according to the product selection criteria and moral licensing levels and examined which factors had an influence on the pro-environmental action of each group, finding that environmental awarenes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all the groups; secondly, the study examined which factors influenced the pro-environmental action of each consumer group according to the product selection values. Pro-environmental attitude and material support had positive impacts on the function-oriented group unlike the other groups. Information support had positive impacts on the pro-environment-oriented group; and finally,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factors affecting pro-environmental action according to the moral licensing levels, as well. Emotional support under social support and material support had positive effects on the high moral licensing level group. Information support had positive effects on the low moral licensing level group. These findings imply that there are common and differentiating factors influencing the proenvironmental action of consumers regardless of the production selection values sought after by individual consumers and the licensing criteria in a given situation. That is, environmental awareness was a common variable that had positive effects on pro-environmental action, and the subfactors of social support had differentiating effects on it according to the values sought after by individual consumers and their licensing criteria.

      • KCI등재

        자아성향과 친환경심리 및 녹색소비자행동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신재욱,신민철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2011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Vol.12 No.2

        Recently interest in the concept of Self-construals as a new trial to explain Green consumer behavior is increasing. But existing studies had been only focused on the measurement of concept of Self-construals or partially studied on relationship between Self-construals and Green consumer behavior. This brought the result where logic did not coincide with empirical.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nstruals and Green consumer behavior by approaching causal relation between Self-construals and various variables of Green consumer behavior simultaneously using the model of structututuequation. As the results of the study, independent Self-construals only affected environment friendly psychology and dependent Self-construals did not affect environment friendly psychology and Green consumer behavior, while only metapeendent Self-construals affected both environment friendly psychology and Green consumer behavior. Consumers with independent Self-construals in strong individualistic tendency had an affirmative thoughts ab of environment friendliness while consumers considerate of others with dependent Self-construals in strong collective tendency showed low environment friendly psychology and they practiced Green consumer behavior, which was interesting findings. Finally, when consumer's knowledge about environment friendliness was in high level, environment friendly psychology appeared as a moderating variable strengthening influences on Green consumer behavior. 최근 녹색소비자행동을 설명하려는 새로운 시도로 자아성향 개념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기존 연구는 자아성향 개념의 측정에만 초점을 맞추거나, 자아성향과 친환경심리 및 녹색소비자행동간의 관계를 부분적으로 연구하고 있어, 논리적 예측과 경험적 관찰이 일치하지 않는 결과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자아성향(Self-Construals)과 확장된 친환경심리 및 녹색소비자행동 변수들 간의 관계를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여 동시에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자아성향과 후행변수들 간의 인과적 관계를 규명함에 있다. 직장인과 주부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 독립적 자아성향은 친환경심리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녹색소비자행동에도 일정부분(α=0.1수준)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상호적 자아성향은 친환경심리와 녹색소비자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주의적인 성향을 반영하는 독립적 자아성향이 강한 소비자들이 친환경에 대한 긍정적인 생각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자기와 관련된 타인을 중시하는 성향을 반영하는 상호적 자아성향이 강한 소비자들이 오히려 낮은 친환경심리와 녹색소비자행동에 무관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보편적 자아성향은 친환경심리 및 녹색소비자행동에 모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자연환경에 대한 소비자의 지식이 높으면 친환경심리가 녹색소비자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강화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 KCI등재

        친환경 소비행동의 일반화 수준에 대한 기초 연구 - 소비자 인식을 중심으로

        박진채,정순희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19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15 No.1

        This study analyzed how consumers perceive EFCB or non-EFCB, and tried to understand the differences in eco-friendly, normalized, and practical levels of EFCB. Empirical analysis results shows that consumers recognized EFCB and non-EFCB differently between the level of eco-friendliness and normalization. Most of results matched to the expert opinion, except for ‘consuming meat or sea food’. In terms of ‘usage and disposal’ EFCB indicated high level of eco-friendliness, normalization. But in practice, ‘citizenship’ factor revealed the opposite. All factors of eco-friendliness was higher than that of the normalization and practice level. And the practice level of most factors were higher than the normalization level. However, ‘purchase’ factor demonstrated lower level of practice than normalization level, and ‘citizen’ factor displayed no difference between them. Indeed,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current state of eco-friendly and normalized degree of EFCB that consumers perceive in order to promote EFCB, and to make more common notion in government policy formulation and corporate marketing activities. Sustainability-based government resources are highly required to promote the choosing and purchasing eco-friendly products. Above all, physical, social and institutional foundation should be made in order to reduce consumers' inconvenience and to induce the practice of EFCB. Also to enhance consumer-citizenship, which plays an important role in EFCB, there is need for policy attention and support. This study is the first trial to understand EFCB and meaningful because it is the ground work for activating EFCB in Korea. 본 연구는 소비자들이 친환경․비친환경 소비행동을 친환경 및 일반화의 측면에서 어떻게 인식하는지 분석하고, 친환경 소비행동의 친환경, 일반화, 실천 수준에 대한 차이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실증 분석 결과, 소비자들은 친환경․비친환경 소비행동을 친환경 및 일반화 수준에 따라 각기 다르게 인식하였고, ‘고기 또는 생선먹기’를 제외한 대부분이 전문가들의 의견과 일치했다. 친환경 소비행동의 ‘사용 및 처분’ 요인은 친환경, 일반화, 실천 수준이 높게 나타났고, ‘시민성’ 요인은 모두 낮게 나타났다. 모든 요인의 친환경 수준이 일반화 및 실천 수준보다 높게 나타났고, 대부분의 요인이 일반화 수준보다 실천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다만 ‘구매’ 요인은 일반화 수준보다 실천 수준이 낮게 나타났고, ‘시민성’ 요인은 둘 간에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친환경 소비행동의 확산을 위해 소비자들이 인식하는 친환경 소비행동의 친환경 및 일반화 수준에 대한 정확한 현재 상태를 파악하고, 정부의 정책 수립이나 기업의 마케팅 활동에서 일반화를 강조할 필요가 있다. 개인의 노력으로 실천 가능한 친환경 소비행동을 다양하게 개발하고, 친환경 제품의 구매를 촉진하기 위해 지속가능성을 담보하는 정부의 지원이 필요하다. 무엇보다 친환경 소비행동의 실천을 유도하기 위해 소비자들의 불편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물리적, 사회적, 제도적 기반 마련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친환경 소비행동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는 소비자시민성 제고를 위한 정책적인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국내 선행연구에서 찾아볼 수 없었던 소비자들이 인식하는 일반화 차원에서 친환경 소비행동을 이해하고자 했으며, 이를 토대로 친환경 소비행동의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소비자의 사회적 책임의식과 친환경적 의복소비의식이 친환경의복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를 중심으로

        박신정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5

        The Effect of Consumer’s Social Responsibility and Eco-friendlyClothing Consumption Awareness on Eco-friendly ClothingConsumption Behavior: Focused on Mothers of Young ChildrenShinjung Park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effect of social responsibility and eco-friendly clothing consumption awareness as consumers of mothers with young children on eco-friendly clothing consumption behavior. For this purpose, 419 mothers with young children were recruited as subjects through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located in G-province, and data were collected via a questionnaire survey.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influence between the data was verified by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and mediation model analysis. This study found that some of the sub-factors of mothers’ consumer social responsibility and eco-friendly clothing consumption awareness affect eco-friendly clothing consumption behavior, and mothers' consumer social responsibility influences eco-friendly clothing consumption behavior by the mediating effect of their eco-friendly clothing consumption awareness. Further study is necessary to review the variables that affect the mothers’ eco-friendly clothing consumption behavior in various aspects and analyze the influence paths of the variables more deeply. Key Words: Consumer, Social Responsibility, Clothing Consumption, Eco-friendly Clothing Consumption Awareness, Eco-friendly Clothing Consumption Behavior 소비자의 사회적 책임의식과 친환경적 의복소비의식이 친환경의복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를 중심으로박 신 정* 연구 목적: 이 연구는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소비자로서의 사회적 책임의식과 친환경적 의복소비의식이 친환경 의복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 방법: G도 소재의 유아교육기관을 통해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 419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고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상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고 매개모형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연구 내용: 어머니의 소비자 사회적 책임의식과 친환경적 의복소비의식이 친환경 의복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력과 소비자 사회적 책임의식과 친환경 의복소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친환경 의복소비의식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결론 및 제언: 어머니의 소비자 사회적 책임의식과 친환경적 의복소비의식의 하위요인 일부는 친환경 의복소비행동에 영향을 미치고, 소비자 사회적 책임의식은 친환경 의복소비의식을 매개로 친환경 의복소비행동에 영향을 주었다. 후속연구에서는 어머니의 친환경 의복소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다양한 측면에서 검토하고, 그 변인의 영향경로를 보다 심층적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핵심어: 소비자, 사회적 책임의식, 의복소비, 친환경 의복소비의식, 친환경 의복소비행동 □ 접수일: 2022년 8월 10일, 수정일: 2022년 9월 15일, 게재확정일: 2022년 10월 20일* 호남대학교 패션디자인학과 교수(Professor, Honam Univ., Email: drsjpark@honam.ac.kr)

      • KCI등재

        Environment-Conscious Consumer: Goodwill and Profit Growth

        여민영(Minyoung Yea),이상준(Sangjoon Lee) 한국생산관리학회 2022 한국생산관리학회지 Vol.33 No.3

        본 연구는 소비자들의 친환경 소비 성향이 기업의 친환경 포장 전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다룬다. 소비자들의 환경에 관한 관심의 증가는 친환경 포장으로 인한 추가 비용에도 불구하고 친환경 포장 제품 수요를 증가시킴으로써 기업에 더 많은 수익을 안겨 주고 있다. 본 연구는 친환경 포장과 일반 포장을 제공하는 기업들 사이의 복점 모형을 고려 후 독점 모형과 비교하였고, 소비자의 친환경 행동이 시장 균형과 기업의 수익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친환경 포장과 일반 포장을 제공하는 기업 간의 Bertrand 게임 모형을 통해 분석을 수행하였다. 내쉬균형(Nash equilibrium)의 존재 여부와 해당 조건에 대한 분석을 통해 친환경 포장에 대한 시장의 반응을 예측하였다. 요약하면, 친환경 포장에 대한 소비자의 가치가 증가할수록 기업의 이익도 증가하며, 특히 제품의 잠재 시장이 어느 정도 확보가 되는 경우, 소비자의 친환경 성향과 무관하게 친환경과 그렇지 않은 포장을 제공하는 기업 모두 수익성이 보장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소비자의 친환경 의식이 시장 경쟁에서의 가격과 어떻게 연관되는지를 다루며, 환경 문제와 경영 전략에 대한 문헌을 풍부하게 한다. 또한 본 연구는 소비자의 친환경 행동에 대해 기업이 적절히 대응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 We investigate conscious consumerism’s effect on a green packaging business strategy. Improving consumers’ environmental awareness increases eco-friendly packaging, thereby yielding greater profits despite the additional production costs. We use a duopoly model between firms using eco-friendly and non-eco-friendly packaging. Further, we analyze the model using Bertrand competition to investigate whether conscious consumer behavior affects market equilibrium and firms’ financial profits. We find that firms using (non-) eco-friendly packaging can have an equilibrium price once the market base of firms with non-eco-friendly packaged products is greater than the threshold level—irrespective of the environmental value attributed by the consumer. Moreover, we find that if a sufficient market base is secured, environmental management increases profit for firms using (non-)eco-friendly packaging. This study addresses how consumers’ environmental awareness is associated with pricing in market competition, thus enriching the existing literature on environmental problems and management strategies. Consumer behavior also contributes to practice by allowing firms to adequately deal with consumers’ green behavior, given the uptrend in consumers’ environmental awareness.

      • KCI등재후보

        친환경상품에 대한 그린소비자의 특성에 관한 연구

        고윤승(Ko, Yun Seung)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1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9 No.-

        본 논문은 실제 그린소비자의 친환경상품에 대한 의식과 라이프스타일을 분석하는데 연구목적이 있다. 전국에 분포되어 있는 S사이버대학교 재학생을 대상으로 164부의 유효 설문지 중 그린소비자라고 답한 152부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선행연구들과는 달리 직접 소비자에게 자신이 그린소비자인지 비 그린소비자인지를 응답하게 하여 이를 토대로 친환경상품에 대한 의식과 라이프스타일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조사대상자의 40.1%가 그린소비자라 응답하였으며, 59.9%가 비그린소비자라 응답하였다. 그린소비자는 남성으로 결혼을 하였으며, 연령이 높고, 소득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린소비자의 의식은 ①“친환경상품에 대한 관심도”가 높고, ②“친환경상품 구매 시 환경마크가 영향을 미쳤는가”에 영향을 받았고, ③“환경오염을 줄이기 위해서 불편함을 감수하고 친환경상품을 구매할 의향이 있다”고 하였다. 그린소비자와 비 그린소비자 간 라이프스타일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 8개요인 중에서 2개요인(알뜰구매, TV선호) 2개 항목에서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알뜰구매 요인에서 그린소비자는 쇼핑을 가기 전에 쇼핑목록을 미리 작성하며, TV을 덜 선호하고 신문을 읽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paper is an in-depth analysis on green consumer’s consciousness regarding eco-friendly products and its lifestyle. Among the 164 students of S Cyber University who were surveyed nation-wide, almost all participants(92.7%) categorized themselves as green consumers. Unlike the previous studies on the same topic, this survey asked the participants first to clarify whether they were green consumers, and then to self-categorize their awareness on eco-friendly products and their lifestyle. 40.1% of them categorized themselves as green consumers, while the other 59.9% answered they were not. The results in three out of seven categories regarding eco-friendly products differed. Analysis of their lifestyles in the eight factors showed differences in the factors such as preference for television, thrifty shopping habits. The results suggest that green consumers have high consciousness and interest regarding eco-friendly products. They check whether the products they purchase have an eco-friendly certification, and are willing to withstand inconvenience to reduce pollution. Preferring newspapers to television, they have thrifty shopping habits. As the previous studies shown, there was not a close correlation between their consciousness of eco-friendly products and their actual purchasing behavior.

      • KCI등재

        소비자의 환경의식이 친환경 제품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사원,이수형,문선정 한국전략마케팅학회 2018 마케팅논집 Vol.26 No.3

        최근 환경문제가 사회의 큰 이슈가 되면서 환경의 중요성에 대한 소비자들의 의식은 더욱 높아지고 있다. 소비자들은 환경에 부담이 적은 친환경 제품에 관심을 보이고 있으며, 소비자의 환경의식은 소 비자들의 제품 구매에서 중요한 단서로 작용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소비자의 친환경제품 구매행동 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소비자의 환경의식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보고 환경관심, 환경지식, 소 비자효과성지각이 친환경 제품 구매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검증결 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환경관심은 친환경 제품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 타났다. 둘째, 소비자의 환경지식, 소비자효과성지각은 친환경제품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친환경 제품 구매의도는 친환경 제품 구매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검증 결과는 기업의 친환경 제품 마케팅 전략 수립에 귀중한 시사점을 제공 할 것이다. Recently, Consumers'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the environment is increasing as the environmental issue becomes a big issue in society. Consumers are interested in eco-friendly products that are less burdensome to the environment, and consumers environmental awareness is an important clue to consumers' purchase of products. This study suggests that consumer's environmental consciousness plays an important role in consumer's purchase behavior of eco-friendly products, and how environmental concern, environmental knowledge, and perceived consumer effect affect eco-friendly product purchase. First, environmental concern did not affect the purchase intention of eco-friendly products. Second, consumer's knowledge about environment and the effect of consumer's effect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purchase intention of eco-friendly products. Finally, the purchase intention of eco-friendly products has a significant effect on eco-friendly product purchase behavior. The results of this verification will provide valuable implications for establishing a company's eco-friendly product marketing strategy.

      • KCI등재

        친환경 가변가구의 개념과 디자인 요소 정립에 관한 연구

        현기훈(Gi Hun Hyun),오철훈(Cheol Hoon Oh)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5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1 No.2

        현대 사회는 친환경적인 삶을 기본으로 다양한 공간과 가구, 제품의 요구와 그들을 이용함으로써 사회적인 이슈에 적합하게 대응하며 살아가고 있다. 가구는 인간과 자연에 무해한 재료의 사용 및 에너지 절감을 위한 친환경 가구를 중심으로 나타나기 시작했다. 또한 공간의 효율을 바탕으로 발전한 가변가구는 도시인구의 증가와 1인가구의 확대로 공간의 축소와 과거보다 복잡하고 다양한 사용자의 요구에 적합하게 나타났다. 이처럼 사회적 욕구로 나타난 시스템가구의 발전에 힘입어 교체가 자유롭고 다양한 유닛을 가진 가구는 마치 친환경 가구의 일부분으로 인식되기 시작했다. 과연 가변가구가 스스로 친환경 가구라고 정의 할 수 있는가의 의문에 따라 가구를 비교 분석한 결과 가변가구의 팽창구조(Inflating structure)나 접이 구조(Folding structure)는 시스템가구의 재사용성과는 무관한 구조를 지니고 있어 이들 가구의 재료에 대한 재활용성에 대한 새로운 해결이 있어야 친환경가구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렇듯 기연구된 자료에서 나타나는 구조적 분석에서의 가변가구들은 각 분류에 적합한 친환경적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로 된다. 반면 친환경적 행위의 대상을 비교해 보면 일반적으로 가구는 생산자의 행위가 주요 요소가 되며 친환경 가구의 사용을 통한 소비자의 인성적 친환경을 유도하고 있다. 반면 시스템가구나 가변가구에서는 일반적인 가구에 대한 생산자의 제작행위가 중요함과 동시에 가구의 선택하여 사용하는 사용자의 새로운 공간변화의 기호를 해결하기 위한 가구의 분해, 변경, 재조립 등의 소비자의 적극적 가구변형에 대한 참여가 중요하게 나타난다는 특징이 있다. 사용자의 적극적 참여가 특징인 친환경 가구의 방향성을 제시함으로써 친환경 가변가구의 개념과 디자인 요소를 정립할 수 있었다. 이렇듯 친환경 가변가구는 생산자와 소비자의 친환경적 행위를 중요한 가치로 가지며 가구 전 과정에 걸쳐 인간과 자연에 환경오염을 최소화하며 에너지 효율이 좋은 재료의 친환경적인 조형가변, 효율가변가구로써, 다양한 유닛을 가지고 모듈화 되어있어 구조의 친환경성인 공간가변, 다목적가변가구가 있으며 이들 가구는 간단한 이동, 쉬운 결합, 주변 사물과의 조화 등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친환경가변가구의 개념을 생산자(제작자)중심의 친환경 가구의 친환경을 위한 각각의 요소들과 가변가구의 특징인 사용자(소비자)가 참여하고 동참을 이끌어 내면 소비자 스스로가 가구의 친환경적 요소를 지닌 제품이며, 소비자는 적극적으로 친환경 생활에 대한 참여의지가 증대될 것이다. 친환경가변가구는 생산자의 친환경적 생산의지와 소비자의 친환경적 행동을 극대화 시켜주는 역할로써 친환경 가구디자인의 중요한 유형으로 나타날 수 있을 것이다. People in modern society are living while properly responding to social issues by choosing space, furniture and other products based on eco-friendliness and other social needs. Use of materials harmless to humans and nature, eco-friendliness and saving energy have been major trends in making furniture in recent years. The advent of adjustable furniture designed to maximize space efficiency reflects efforts to meet various sophisticated consumer needs in the era of micro residential space in light of expansion of urban population and of one-person households. Thanks to the development of system furniture that has been introduced to meet these social needs, the furniture that is easily adjustable with various with modular units started to be regarded a part of eco-friendly furniture. The comparative analysis of furniture based on the question whether adjustable furniture can be defined as eco-friendly furniture draws a conclusion that the inflating or folding structure of adjustable furniture has nothing to do with the reuse of system furniture and thus requires a new solution involving reusability of furniture materials to be able to be classified into eco-friendly furniture. As such, the adjustable furniture in structural analysis seen in previous research materials requires further study regarding eco-friendly methodologies that are appropriate in each of categories. Meanwhile, comparing targets of eco-friendly activities, the furniture, in general, adopts manufacturer’s activities as a major factor and induces consumer’s conscious eco-friendliness through the use of eco-friendly furniture. On the other hand, the system furniture or adjustable furniture is characterized by consumer’s active participation in adjusting furniture such as disassembly, modification and reassembly designed to meet various spatial needs while manufacturing activities of furniture makers are just as important as well. Presenting the right direction of eco-friendly furniture that features active user participation was able to define the concept and design factors of eco-friendly adjustable furniture. The eco-friendly adjustable furniture thus takes eco-friendly activities of both producers and consumers as an important value, minimizes environmental impact throughout the lifecycle of furniture, and serves as multi-purpose furniture with a variety of modular units that facilitate relocation, easy disassembly and reassembly and harmony with other objects in surrounding area. If we are able to induce user(consumer) participation as well as various factors for eco-friendliness of producer (manufacturer)-oriented eco-friendly furniture, consumers will be regarded as one of the eco-friendly factors and the intent of their participation in eco-friendly life will be much enhanced. The eco- friendly adjustable furniture can be classified into a major type of eco-friendly furniture as long as it plays it role in maximizing eco-friendly activities among consumers as well as the intent of producers to make furniture in an eco-friendly manner.

      • KCI등재

        친환경식품의 선택속성이 지각된 가치, 소비자만족, 지속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고수정,송규태 한국관광산업학회 2021 Tourism Research Vol.46 No.4

        This study is a paper that won the Excellence Award at the 47th Estimated Conference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Dining Management in 2021, and is a study to identify consumption after COVID-19 by selecting eco-friendly food consumers as research subjects. First, it was intended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eco-friendly food selection attributes and perceived value of eco-friendly food consumers. Second, we tried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ived value of consumers and consumer satisfaction of eco-friendly food selection attributes. Third, it was attempted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ived value of consumers and the intention to continue using eco-friendly food selection attribute. Finally, we tried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 satisfaction and continuous use intention. The survey for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May 1 to May 10, 2021, targeting consumers who have experience using eco-friendly food. A total of 194 copies of the questionnaire were answered, and 1 copies were excluded from the inappropriate one, and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eco-friendly food selection attribute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the functional value among the perceived values. Among the components of eco-friendly food selection attributes, satisfaction and sociality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emotional value, but health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emotional value. Second, it was found that functional value and emotional value, which are components of perceived value,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consumer satisfaction and continuous use intention. Third, it was verified that consumer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continuous use intention. Therefore,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is study attempted to present implication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for the development of the food service industry and environmental issues. 본 연구는 2021년도 한국외식경영학회 제47차 추계학술대회에서 우수상을 수상한 논문이며, 친환경식품 소비자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코로나19 이후 소비성을 파악하는 연구이다. 첫째, 친환경식품 이용소비자의 친환경식품 선택속성과 지각된 가치의 관계를 밝히고자 하였고, 둘째, 친환경식품 선택속성이 소비자의 지각된 가치와 소비자만족의 관계를 검증하고자 하였으며, 셋째, 친환경식품 선택속성이 소비자의 지각된 가치와 지속이용의도의 관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소비자만족과 지속이용의도의 관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자료수집을 위한 설문조사는 친횐경식품을 이용해 본 경험이 있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2021년 5월 1일부터 5월 10일까지 실시되었다. 설문지는 총 194부가 응답 되었으며 이 중 불성실하게 응답한 1부를 제외한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친환경식품 선택속성은 지각된 가치 중 기능적 가치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친환경식품 선택속성 구성요인 중 충족성과 사회성은 감정적 가치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건강성은 감정적 가치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각된 가치의 구성요인인 기능적 가치와 감정적 가치는 소비자만족과 지속이용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소비자만족은 지속이용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분석결과를 토대로 친환경식품이 외식산업 발전과 환경문제를 위해 연구결과를 토대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소비자 니즈파악을 통한 친환경제품 개발에 관한 연구

        김경신(Kyung Shin Kim) 피터드러커 소사이어티 2016 창조와 혁신 Vol.9 No.1

        본 연구는 현재 기업에서 사용하는 제품 전과정에 걸친 환경성을 평가하는 친환경제품 개발 전략의 수정 필요성에서 시작되었다. 소비자는 사용단계에서의 환경성을 중요시 여기기 때문에 지금과 같은 원료 채취, 운송, 제조, 사용 및 폐기 등 복잡한 과정의 환경영향 측정을 통한 전과정평가를 이해하기 어렵다. 소비자들의 친환경제품에 대한 인식과 사용 단계에서의 필요를 알고자 구체적인 제품으로 친환경기저귀를 선정하여 인식조사를 실시하였고, 성공적인 시장진입을 위한 제품 개발 전략에 활용하고자 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평상시 가지고 있는 환경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일수록 친환경제품에 대한 긍정적 수용도가 높았고 직접적인 제품 구매와 연관이 있었으며 제품 구매 시 직접적 혜택을 주는지 여부와 기능을 만족시키는 제품력이 중요한 판단 기준이었다. 소비자들이 인지하는 ‘친환경성’은 기업에서 전과정 평가를 통해 도출되는 정량적인 환경성이 아니고 기능적 차원에서 제품의 주 속성과 연관되어야 하고 제품 사용을 통한 실질적 가치와 연관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향후 친환경제품이 시장에서 소비자의 선택을 받기 위해서는 기업에서 친환경제품 개발 시 제품의 환경성을 분석하는 단계에서 소비자 니즈를 파악하고 친환경제품이 주는 가치와 혜택을 소비자의 언어로 커뮤니케이션하는 것이 필요하다. This study starts from the need for modification relating to a current company's environmentally-friendly product development that is for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considering the life-cycle of the products. Consumers often find it difficult to understand life cycle assessments because they think environmental attributes pertain to the "most important" stage, the usage stage. In order to explore consumers’ perceptions of environmental -friendly products and their needs during product usage stages, a consumer survey is conducted with mothers who use diapers and the results will be applied to environmental-friendly product development. This study found that those who showed high acceptability of environmental-friendly products had relatively positive attitudes toward the environment and that providing direct benefits or excellent product quality turned out to be the most important factors when making purchases. Consumers’ cognitive environmental attributes are not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s by life cycle assessment but impact assessments due to the specific attributes relating to the main function and the actual value of the product used. In order to be selected by consumers in the future, consumer needs analysis has to be integrated with the company’s environmental-friendly product development process and the value/benefit from the product should be provided so that consumers can easily understan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