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친환경 라이프스타일 매장 이용의도에 따른 소비자 유형에 대한 연구

        나종연 ( Rha Jong-youn ),이보한 ( Lee Bohan ),박서니 ( Park Sunny ) 한국소비자학회 2019 소비자학연구 Vol.30 No.3

        친환경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이 증가하면서 하나의 친환경 제품을 전문적으로 판매하던 매장에 제품군을 추가하는 형태의 친환경 라이프스타일 매장이 등장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친환경 라이프스타일 매장의 이용의도를 예측할 수 있는 요인을 살펴보기 위하여 친환경 라이프스타일 매장 이용의도로 소비자를 유형화하고, 이에 따른 유형별 예측 요인을 통계적으로 검증하였다. 이를 위하여 2018년 11월 3일부터 11월 7일까지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20~40대 소비자 465명의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분석에는 k-평균 군집분석, 카이제곱검정,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 등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친환경 라이프스타일 매장에 대한 방문의도, 체류의도, 구매의도로 구성된 이용의도에 따라 소비자 유형은 친환경 라이프스타일 매장 선호 집단, 유사 선호 집단, 친환경 라이프스타일 매장 비선호 집단의 세 집단으로 구분되었다. 친환경 라이프스타일 매장 선호 집단은 전체 응답자의 30.8%인 143명, 유사 선호 집단은 전체 응답자의 262명인 56.3%, 친환경 라이프스타일 매장 비선호 집단은 전체 응답자의 60명으로 12.9%로 구성되었다. 둘째, 유사 선호 집단과 비교하여 친환경 라이프스타일 매장 선호 집단에 속할 확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소비자가 지니고 있는 소비가치, 친환경 제품에 대한 지각된 효용, 그리고 매장 관련 변수로 매장의 매력과 사회적 책임에 대한 이미지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의 성별, 연령, 학력 수준, 소득과 같은 인구통계학적 변인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유사 선호 집단과 비교하여 친환경 라이프스타일 매장 비선호 집단에 속할 확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매장의 매력도만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매장의 매력도가 한 단위 증가할 때 소극적 소비자 집단에 속할 승산은 0.62배 낮아졌다. 본 연구는 친환경 라이프스타일 매장에 대한 이용의도에 따라 소비자를 유형화함으로써 친환경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친환경 라이프스타일이 하나의 소비 행태로 자리 잡고 있음을 실증하였다. 또한 친환경 라이프스타일 매장의 이용의도를 예측하는 변인으로 매장의 매력도가 중요하다는 점을 실증적으로 밝혀내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최근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친환경 라이프스타일 매장에 대한 학문적 이해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 lifestyle store is a retail type that sells a variety of products meeting the consumer's specific value. In recent years, eco-friendly lifestyle stores such as Patagonia, 10 Corso Como Milano have emerged as consumer interest in environmentally friendly products has increas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onsumer's general level of eco-friendly consumption. Also, this study is to confirm whether consumers can be typed according to the intention of eco-friendly lifestyle stores, and to demonstrate predictive factors for each type. We collected data from 465 Korean consumers through online surveys from November 3 to November 7, 2018. K-means cluster analysis, t-test and chi-square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nsumer type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eco-friendly lifestyle store preference group(30.8%), indiscriminative group(56.3%), and eco-friendly lifestyle store non-preference group(12.9%) depending on the intention to visit, stay, and purchase. Second, the factors affecting the probability of belonging to the eco-friendly lifestyle store preference group compared to the indiscriminate group were consumer value, perceived benefits of eco-friendly product, and store imag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emographic variables such as gender, age, education level, and income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as compared with the indiscriminate group, only the attractiveness of the store was found to affect the probability of belonging to the eco-friendly lifestyle non-preference group. This study has shown that consumers' interest in environmentally friendly lifestyle is increasing by classifying consumers according to usage intention for eco-friendly lifestyle store, and that eco-friendly lifestyle has become one consumption behavior. Also, it was meaningful that the attractiveness of the store is important because it predicts the intention to use the eco-friendly lifestyle st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c data for the academic understanding of the eco-friendly lifestyle store which is getting more attention recently.

      • KCI등재

        친환경 소비행동의 일반화 수준에 대한 기초 연구 - 소비자 인식을 중심으로

        박진채,정순희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19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15 No.1

        This study analyzed how consumers perceive EFCB or non-EFCB, and tried to understand the differences in eco-friendly, normalized, and practical levels of EFCB. Empirical analysis results shows that consumers recognized EFCB and non-EFCB differently between the level of eco-friendliness and normalization. Most of results matched to the expert opinion, except for ‘consuming meat or sea food’. In terms of ‘usage and disposal’ EFCB indicated high level of eco-friendliness, normalization. But in practice, ‘citizenship’ factor revealed the opposite. All factors of eco-friendliness was higher than that of the normalization and practice level. And the practice level of most factors were higher than the normalization level. However, ‘purchase’ factor demonstrated lower level of practice than normalization level, and ‘citizen’ factor displayed no difference between them. Indeed,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current state of eco-friendly and normalized degree of EFCB that consumers perceive in order to promote EFCB, and to make more common notion in government policy formulation and corporate marketing activities. Sustainability-based government resources are highly required to promote the choosing and purchasing eco-friendly products. Above all, physical, social and institutional foundation should be made in order to reduce consumers' inconvenience and to induce the practice of EFCB. Also to enhance consumer-citizenship, which plays an important role in EFCB, there is need for policy attention and support. This study is the first trial to understand EFCB and meaningful because it is the ground work for activating EFCB in Korea. 본 연구는 소비자들이 친환경․비친환경 소비행동을 친환경 및 일반화의 측면에서 어떻게 인식하는지 분석하고, 친환경 소비행동의 친환경, 일반화, 실천 수준에 대한 차이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실증 분석 결과, 소비자들은 친환경․비친환경 소비행동을 친환경 및 일반화 수준에 따라 각기 다르게 인식하였고, ‘고기 또는 생선먹기’를 제외한 대부분이 전문가들의 의견과 일치했다. 친환경 소비행동의 ‘사용 및 처분’ 요인은 친환경, 일반화, 실천 수준이 높게 나타났고, ‘시민성’ 요인은 모두 낮게 나타났다. 모든 요인의 친환경 수준이 일반화 및 실천 수준보다 높게 나타났고, 대부분의 요인이 일반화 수준보다 실천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다만 ‘구매’ 요인은 일반화 수준보다 실천 수준이 낮게 나타났고, ‘시민성’ 요인은 둘 간에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친환경 소비행동의 확산을 위해 소비자들이 인식하는 친환경 소비행동의 친환경 및 일반화 수준에 대한 정확한 현재 상태를 파악하고, 정부의 정책 수립이나 기업의 마케팅 활동에서 일반화를 강조할 필요가 있다. 개인의 노력으로 실천 가능한 친환경 소비행동을 다양하게 개발하고, 친환경 제품의 구매를 촉진하기 위해 지속가능성을 담보하는 정부의 지원이 필요하다. 무엇보다 친환경 소비행동의 실천을 유도하기 위해 소비자들의 불편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물리적, 사회적, 제도적 기반 마련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친환경 소비행동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는 소비자시민성 제고를 위한 정책적인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국내 선행연구에서 찾아볼 수 없었던 소비자들이 인식하는 일반화 차원에서 친환경 소비행동을 이해하고자 했으며, 이를 토대로 친환경 소비행동의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자아성향과 친환경심리 및 녹색소비자행동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신재욱,신민철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2011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Vol.12 No.2

        Recently interest in the concept of Self-construals as a new trial to explain Green consumer behavior is increasing. But existing studies had been only focused on the measurement of concept of Self-construals or partially studied on relationship between Self-construals and Green consumer behavior. This brought the result where logic did not coincide with empirical.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nstruals and Green consumer behavior by approaching causal relation between Self-construals and various variables of Green consumer behavior simultaneously using the model of structututuequation. As the results of the study, independent Self-construals only affected environment friendly psychology and dependent Self-construals did not affect environment friendly psychology and Green consumer behavior, while only metapeendent Self-construals affected both environment friendly psychology and Green consumer behavior. Consumers with independent Self-construals in strong individualistic tendency had an affirmative thoughts ab of environment friendliness while consumers considerate of others with dependent Self-construals in strong collective tendency showed low environment friendly psychology and they practiced Green consumer behavior, which was interesting findings. Finally, when consumer's knowledge about environment friendliness was in high level, environment friendly psychology appeared as a moderating variable strengthening influences on Green consumer behavior. 최근 녹색소비자행동을 설명하려는 새로운 시도로 자아성향 개념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기존 연구는 자아성향 개념의 측정에만 초점을 맞추거나, 자아성향과 친환경심리 및 녹색소비자행동간의 관계를 부분적으로 연구하고 있어, 논리적 예측과 경험적 관찰이 일치하지 않는 결과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자아성향(Self-Construals)과 확장된 친환경심리 및 녹색소비자행동 변수들 간의 관계를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여 동시에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자아성향과 후행변수들 간의 인과적 관계를 규명함에 있다. 직장인과 주부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 독립적 자아성향은 친환경심리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녹색소비자행동에도 일정부분(α=0.1수준)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상호적 자아성향은 친환경심리와 녹색소비자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주의적인 성향을 반영하는 독립적 자아성향이 강한 소비자들이 친환경에 대한 긍정적인 생각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자기와 관련된 타인을 중시하는 성향을 반영하는 상호적 자아성향이 강한 소비자들이 오히려 낮은 친환경심리와 녹색소비자행동에 무관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보편적 자아성향은 친환경심리 및 녹색소비자행동에 모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자연환경에 대한 소비자의 지식이 높으면 친환경심리가 녹색소비자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강화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 KCI등재

        친환경 소비에 물질주의와 친환경 가치 인식이 미치는 영향: 소비자 혁신성의 조절 효과

        이희정 ( Lee Heejung ),김나민 ( Kim Namin ) 한국소비자학회 2024 소비자학연구 Vol.35 No.2

        친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며 관련 경제규모가 증가하고 기업이 다양한 친환경 제품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소비자들이 시장에서 접할 수 있는 친환경 제품이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친환경 제품의 소비가 그 관심의 정도에 비해 활발하지 않은 실정이다. 본 연구는 이에 대한 적절한 설명을 위해 친환경 소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기존의 연구에서 다루어지지 않던 물질주의 측면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물질주의와 친환경 소비가 상호 연관이 낮을 것이라는 기존 연구의 관점에서 물질주의를 두 가지의 구체적 개념으로 세분화하여 친환경 가치와의 연관성 및 친환경 소비에의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물질주의를 축적형 물질주의와 존중형 물질주의로 구분하여 개념화하고 네 가지 유형의 친환경 가치에 각기 다른 영향을 주는지 실증하였다. 또한 두 가지 유형의 물질주의가 친환경 소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친환경 가치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 혁신성이 물질주의와 연관성이 높다고 여기고 물질주의가 친환경 가치 인식에 영향을 주는 과정에서 소비자 혁신성이 조절적 역할을 하는지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첫째, 축적형 물질주의는 사회적, 기능적 가치에 긍정적 영향을 주며 존중형 물질주의는 조건적, 감정적 가치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이는 기존 물질주의가 친환경 가치인식과 연관이 낮거나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관점을 변화시킬 수 있는 단서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존중형 물질주의가 친환경 소비에 영향을 주는 과정에서 조건적, 감정적 가치의 매개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소비자 혁신성의 조절효과는 존중형 물질주의가 친환경 가치 가운데 조건적(+), 사회적(-) 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친환경 소비의 촉진을 위해 물질주의적 관점에서 소비자의 친환경 제품에 대한 구매욕구를 자극하는 전략이 필요함을 도출하는 등 향후 친환경 제품에 대한 마케팅 전략에 의의를 가질 것으로 기대한다. As interest in eco-friendliness increases, the size of the related economy is expanded and companies provide a variety of eco-friendly products. Although the number of green products available to consumers has grown, the consumption of green products is not active compared to the level of interest. To provide an appropriate explanation, this study seeks to examine factors affecting green consumption from the perspective of materialism, which has not been covered in existing research. Different from the perspective of existing research that materialism and green consumption have a low correlation, we attempted to subdivide materialism into two specific concepts to examine its relationship with perceived green values and its influence on green consumption. For this purpose, materialism was divided into accumulative materialism and appreciative materialism, and hypotheses were developed to examine whether the four types of green values have different effects. In addition, we sought to confirm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green values in the process in which two types of materialism affect green consumption. Furthermore, this study explored the effect of consumer innovativeness on materialism and attempted to determine whether consumer innovativeness plays a moderating role in the process of materialism influencing the perception of green values. Online survey was executed to test the hypotheses. Total 200 responses were gathered and used for the analysis. The results found that accumulative materialism has a positive effect on social and functional values, and appreciative materialism has a positive effect on conditional and emotional values. This could serve as a clue to change the perspective that existing materialism has little correlation with or can have a negative impact on the green value awareness. Second, the mediating effects of conditional and emotional values were confirmed in the process of appreciative materialism influencing green consumption. Third, the moderating effect of consumer innovativeness was found to moderate the impact of appreciative materialism on conditional (+) and social (-) values among the perceived green values.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it is expected that it will have significance in future marketing strategies for green products, including the need for a strategy to stimulate consumers' desire to purchase green products from a materialistic perspective in order to promote green consumption.

      • KCI등재

        실버 소비자의 친환경 제품에 대한 소비 가치가 만족도, 신뢰,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허원무(Won-Moo, Hur),안준희(Joonhee, Ahn) 한국노년학회 2009 한국노년학 Vol.2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how consumption value affects the loyalty of green product through satisfaction and trust among elderly consumers. Data were collected from a cross-sectional survey of 314 older adults (age≧60) in the U. S., who bought and possessed a hybrid car, a representative green product. The statistical methodology is employed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results demonstrated several important findings. First, perceived social value among elderly population had significant effects on green product satisfaction, while hedonic value did not. Second, both perceived functional value and environment friendly value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rust in green products. Third, satisfaction with green products also led to trust in green products. Finally, trust in green products showed their significant effects on loyalty in green product. These results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to improve the trust and loyalty in green products among the elderly consumers. Furthermore, by deriving major components of consumption values in green products among the elderly, and analyzing the mechanism of satisfaction, trust, and loyalty, the study emphasizes relationship marketing in implementing "green" marketing strategies. 본 연구는 실버 소비자들의 친환경 제품에 대해 소비가치가 만족과 신뢰를 통해 충성도로 이어지는 과정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대표적인 친환경 제품인 하이브리드 카를 보유하고 있는 미국의 실버 소비자 314명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해서 연구를 수행했다. 분석 결과, 첫째, 실버 소비자들이 지각한 사회적 가치는 친환경 제품에 대한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쾌락적 가치는 만족에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친환경 제품의 기능적 가치와 친환경적 가치는 친환경 제품에 대한 신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친환경 제품에 대한 만족은 친환경 제품에 대한 신뢰로 이어졌다. 마지막으로 친환경 제품에 대한 신뢰는 친환경 제품에 대한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실버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친환경 제품에 대한 신뢰와 충성도를 제고시키기 위한 다양한 시사점을 제공해준다. 연구를 위해 실버 소비자의 친환경 제품에 대한 소비가치를 도출하였고, 소비가치가 만족, 신뢰, 충성도로 연결되는 메커니즘을 분석함으로써 관계마케팅 차원에서 친환경 마케팅 접근 가능성을 제안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 KCI등재

        Environment-Conscious Consumer: Goodwill and Profit Growth

        여민영(Minyoung Yea),이상준(Sangjoon Lee) 한국생산관리학회 2022 한국생산관리학회지 Vol.33 No.3

        본 연구는 소비자들의 친환경 소비 성향이 기업의 친환경 포장 전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다룬다. 소비자들의 환경에 관한 관심의 증가는 친환경 포장으로 인한 추가 비용에도 불구하고 친환경 포장 제품 수요를 증가시킴으로써 기업에 더 많은 수익을 안겨 주고 있다. 본 연구는 친환경 포장과 일반 포장을 제공하는 기업들 사이의 복점 모형을 고려 후 독점 모형과 비교하였고, 소비자의 친환경 행동이 시장 균형과 기업의 수익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친환경 포장과 일반 포장을 제공하는 기업 간의 Bertrand 게임 모형을 통해 분석을 수행하였다. 내쉬균형(Nash equilibrium)의 존재 여부와 해당 조건에 대한 분석을 통해 친환경 포장에 대한 시장의 반응을 예측하였다. 요약하면, 친환경 포장에 대한 소비자의 가치가 증가할수록 기업의 이익도 증가하며, 특히 제품의 잠재 시장이 어느 정도 확보가 되는 경우, 소비자의 친환경 성향과 무관하게 친환경과 그렇지 않은 포장을 제공하는 기업 모두 수익성이 보장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소비자의 친환경 의식이 시장 경쟁에서의 가격과 어떻게 연관되는지를 다루며, 환경 문제와 경영 전략에 대한 문헌을 풍부하게 한다. 또한 본 연구는 소비자의 친환경 행동에 대해 기업이 적절히 대응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 We investigate conscious consumerism’s effect on a green packaging business strategy. Improving consumers’ environmental awareness increases eco-friendly packaging, thereby yielding greater profits despite the additional production costs. We use a duopoly model between firms using eco-friendly and non-eco-friendly packaging. Further, we analyze the model using Bertrand competition to investigate whether conscious consumer behavior affects market equilibrium and firms’ financial profits. We find that firms using (non-) eco-friendly packaging can have an equilibrium price once the market base of firms with non-eco-friendly packaged products is greater than the threshold level—irrespective of the environmental value attributed by the consumer. Moreover, we find that if a sufficient market base is secured, environmental management increases profit for firms using (non-)eco-friendly packaging. This study addresses how consumers’ environmental awareness is associated with pricing in market competition, thus enriching the existing literature on environmental problems and management strategies. Consumer behavior also contributes to practice by allowing firms to adequately deal with consumers’ green behavior, given the uptrend in consumers’ environmental awareness.

      • KCI등재

        소비자 니즈파악을 통한 친환경제품 개발에 관한 연구

        김경신(Kyung Shin Kim) 피터드러커 소사이어티 2016 창조와 혁신 Vol.9 No.1

        본 연구는 현재 기업에서 사용하는 제품 전과정에 걸친 환경성을 평가하는 친환경제품 개발 전략의 수정 필요성에서 시작되었다. 소비자는 사용단계에서의 환경성을 중요시 여기기 때문에 지금과 같은 원료 채취, 운송, 제조, 사용 및 폐기 등 복잡한 과정의 환경영향 측정을 통한 전과정평가를 이해하기 어렵다. 소비자들의 친환경제품에 대한 인식과 사용 단계에서의 필요를 알고자 구체적인 제품으로 친환경기저귀를 선정하여 인식조사를 실시하였고, 성공적인 시장진입을 위한 제품 개발 전략에 활용하고자 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평상시 가지고 있는 환경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일수록 친환경제품에 대한 긍정적 수용도가 높았고 직접적인 제품 구매와 연관이 있었으며 제품 구매 시 직접적 혜택을 주는지 여부와 기능을 만족시키는 제품력이 중요한 판단 기준이었다. 소비자들이 인지하는 ‘친환경성’은 기업에서 전과정 평가를 통해 도출되는 정량적인 환경성이 아니고 기능적 차원에서 제품의 주 속성과 연관되어야 하고 제품 사용을 통한 실질적 가치와 연관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향후 친환경제품이 시장에서 소비자의 선택을 받기 위해서는 기업에서 친환경제품 개발 시 제품의 환경성을 분석하는 단계에서 소비자 니즈를 파악하고 친환경제품이 주는 가치와 혜택을 소비자의 언어로 커뮤니케이션하는 것이 필요하다. This study starts from the need for modification relating to a current company's environmentally-friendly product development that is for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considering the life-cycle of the products. Consumers often find it difficult to understand life cycle assessments because they think environmental attributes pertain to the "most important" stage, the usage stage. In order to explore consumers’ perceptions of environmental -friendly products and their needs during product usage stages, a consumer survey is conducted with mothers who use diapers and the results will be applied to environmental-friendly product development. This study found that those who showed high acceptability of environmental-friendly products had relatively positive attitudes toward the environment and that providing direct benefits or excellent product quality turned out to be the most important factors when making purchases. Consumers’ cognitive environmental attributes are not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s by life cycle assessment but impact assessments due to the specific attributes relating to the main function and the actual value of the product used. In order to be selected by consumers in the future, consumer needs analysis has to be integrated with the company’s environmental-friendly product development process and the value/benefit from the product should be provided so that consumers can easily understand.

      • KCI등재

        친환경 가변가구의 개념과 디자인 요소 정립에 관한 연구

        현기훈(Gi Hun Hyun),오철훈(Cheol Hoon Oh)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5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1 No.2

        현대 사회는 친환경적인 삶을 기본으로 다양한 공간과 가구, 제품의 요구와 그들을 이용함으로써 사회적인 이슈에 적합하게 대응하며 살아가고 있다. 가구는 인간과 자연에 무해한 재료의 사용 및 에너지 절감을 위한 친환경 가구를 중심으로 나타나기 시작했다. 또한 공간의 효율을 바탕으로 발전한 가변가구는 도시인구의 증가와 1인가구의 확대로 공간의 축소와 과거보다 복잡하고 다양한 사용자의 요구에 적합하게 나타났다. 이처럼 사회적 욕구로 나타난 시스템가구의 발전에 힘입어 교체가 자유롭고 다양한 유닛을 가진 가구는 마치 친환경 가구의 일부분으로 인식되기 시작했다. 과연 가변가구가 스스로 친환경 가구라고 정의 할 수 있는가의 의문에 따라 가구를 비교 분석한 결과 가변가구의 팽창구조(Inflating structure)나 접이 구조(Folding structure)는 시스템가구의 재사용성과는 무관한 구조를 지니고 있어 이들 가구의 재료에 대한 재활용성에 대한 새로운 해결이 있어야 친환경가구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렇듯 기연구된 자료에서 나타나는 구조적 분석에서의 가변가구들은 각 분류에 적합한 친환경적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로 된다. 반면 친환경적 행위의 대상을 비교해 보면 일반적으로 가구는 생산자의 행위가 주요 요소가 되며 친환경 가구의 사용을 통한 소비자의 인성적 친환경을 유도하고 있다. 반면 시스템가구나 가변가구에서는 일반적인 가구에 대한 생산자의 제작행위가 중요함과 동시에 가구의 선택하여 사용하는 사용자의 새로운 공간변화의 기호를 해결하기 위한 가구의 분해, 변경, 재조립 등의 소비자의 적극적 가구변형에 대한 참여가 중요하게 나타난다는 특징이 있다. 사용자의 적극적 참여가 특징인 친환경 가구의 방향성을 제시함으로써 친환경 가변가구의 개념과 디자인 요소를 정립할 수 있었다. 이렇듯 친환경 가변가구는 생산자와 소비자의 친환경적 행위를 중요한 가치로 가지며 가구 전 과정에 걸쳐 인간과 자연에 환경오염을 최소화하며 에너지 효율이 좋은 재료의 친환경적인 조형가변, 효율가변가구로써, 다양한 유닛을 가지고 모듈화 되어있어 구조의 친환경성인 공간가변, 다목적가변가구가 있으며 이들 가구는 간단한 이동, 쉬운 결합, 주변 사물과의 조화 등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친환경가변가구의 개념을 생산자(제작자)중심의 친환경 가구의 친환경을 위한 각각의 요소들과 가변가구의 특징인 사용자(소비자)가 참여하고 동참을 이끌어 내면 소비자 스스로가 가구의 친환경적 요소를 지닌 제품이며, 소비자는 적극적으로 친환경 생활에 대한 참여의지가 증대될 것이다. 친환경가변가구는 생산자의 친환경적 생산의지와 소비자의 친환경적 행동을 극대화 시켜주는 역할로써 친환경 가구디자인의 중요한 유형으로 나타날 수 있을 것이다. People in modern society are living while properly responding to social issues by choosing space, furniture and other products based on eco-friendliness and other social needs. Use of materials harmless to humans and nature, eco-friendliness and saving energy have been major trends in making furniture in recent years. The advent of adjustable furniture designed to maximize space efficiency reflects efforts to meet various sophisticated consumer needs in the era of micro residential space in light of expansion of urban population and of one-person households. Thanks to the development of system furniture that has been introduced to meet these social needs, the furniture that is easily adjustable with various with modular units started to be regarded a part of eco-friendly furniture. The comparative analysis of furniture based on the question whether adjustable furniture can be defined as eco-friendly furniture draws a conclusion that the inflating or folding structure of adjustable furniture has nothing to do with the reuse of system furniture and thus requires a new solution involving reusability of furniture materials to be able to be classified into eco-friendly furniture. As such, the adjustable furniture in structural analysis seen in previous research materials requires further study regarding eco-friendly methodologies that are appropriate in each of categories. Meanwhile, comparing targets of eco-friendly activities, the furniture, in general, adopts manufacturer’s activities as a major factor and induces consumer’s conscious eco-friendliness through the use of eco-friendly furniture. On the other hand, the system furniture or adjustable furniture is characterized by consumer’s active participation in adjusting furniture such as disassembly, modification and reassembly designed to meet various spatial needs while manufacturing activities of furniture makers are just as important as well. Presenting the right direction of eco-friendly furniture that features active user participation was able to define the concept and design factors of eco-friendly adjustable furniture. The eco-friendly adjustable furniture thus takes eco-friendly activities of both producers and consumers as an important value, minimizes environmental impact throughout the lifecycle of furniture, and serves as multi-purpose furniture with a variety of modular units that facilitate relocation, easy disassembly and reassembly and harmony with other objects in surrounding area. If we are able to induce user(consumer) participation as well as various factors for eco-friendliness of producer (manufacturer)-oriented eco-friendly furniture, consumers will be regarded as one of the eco-friendly factors and the intent of their participation in eco-friendly life will be much enhanced. The eco- friendly adjustable furniture can be classified into a major type of eco-friendly furniture as long as it plays it role in maximizing eco-friendly activities among consumers as well as the intent of producers to make furniture in an eco-friendly manner.

      • KCI등재

        소비자의 환경의식이 친환경 제품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사원,이수형,문선정 한국전략마케팅학회 2018 마케팅논집 Vol.26 No.3

        최근 환경문제가 사회의 큰 이슈가 되면서 환경의 중요성에 대한 소비자들의 의식은 더욱 높아지고 있다. 소비자들은 환경에 부담이 적은 친환경 제품에 관심을 보이고 있으며, 소비자의 환경의식은 소 비자들의 제품 구매에서 중요한 단서로 작용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소비자의 친환경제품 구매행동 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소비자의 환경의식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보고 환경관심, 환경지식, 소 비자효과성지각이 친환경 제품 구매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검증결 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환경관심은 친환경 제품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 타났다. 둘째, 소비자의 환경지식, 소비자효과성지각은 친환경제품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친환경 제품 구매의도는 친환경 제품 구매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검증 결과는 기업의 친환경 제품 마케팅 전략 수립에 귀중한 시사점을 제공 할 것이다. Recently, Consumers'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the environment is increasing as the environmental issue becomes a big issue in society. Consumers are interested in eco-friendly products that are less burdensome to the environment, and consumers environmental awareness is an important clue to consumers' purchase of products. This study suggests that consumer's environmental consciousness plays an important role in consumer's purchase behavior of eco-friendly products, and how environmental concern, environmental knowledge, and perceived consumer effect affect eco-friendly product purchase. First, environmental concern did not affect the purchase intention of eco-friendly products. Second, consumer's knowledge about environment and the effect of consumer's effect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purchase intention of eco-friendly products. Finally, the purchase intention of eco-friendly products has a significant effect on eco-friendly product purchase behavior. The results of this verification will provide valuable implications for establishing a company's eco-friendly product marketing strategy.

      • KCI등재

        한국 소비자의 생태 가치관 유형에 따른 친환경 포장 방식에 대한 태도

        황현택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24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76 No.-

        미래 자원 고갈과 기후 위기 문제 해결을 위해 우리 정부는 과대포장 줄이기와 포장폐기물 감축을 위한 다양한 정책 추진 하고 있으며, 다수 기업도 정부 정책에 동참하며 지속 가능한 포장 방식을 찾기 위해 노력을 하고 있다. 그러나 지속 가능 한 소비 경제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정부, 기업 그리고 소비자 모두의 협력이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친환경 포장 확산을 위한 친환경 포장 디자인 방식과 효과, 소비자의 환경 의식과 태도 등을 조사하고자 했다. 연구 내용은 첫째, 지속 가능한 친환경 포장 방식을 구체적으로 탐색하였다. 둘째, 한국 소비자를 대상으로 생태 가치관에 따른 성향을 조사하고 분류했다. 셋째, 한국 소비자의 일반적 친환경 포장에 대한 태도와 구체적 친환경 포장 방식에 대한 지식, 호감, 효과 확신 및 타협의 정도를 조사했다. 지속 가능한 친환경 포장 방식 탐색에 대한 연구 방법은 선행연구와 사례를 통해 고찰하였고 사례 선정은 2014-2023년 세계 포장 기구 지속가능성 부문 패키지 수상작을 대상으로 4가지 유형(재활용, 재사용, 재료 절감, 재료 대체 방식)을 선정했다. 한국 소비자의 생태 가치관 조사 방법은 한국리서치 패널을 이용한 웹 조사하였고, 설 문은 던랩(Dunlap)의 Revised NEP Scale 15문항을 사용했다. 생태 가치관 유형별 소비자의 친환경 포장 방식에 대한 태도 는 인지적, 감정적, 행동성향을 질의한 결과를 일원 배치 분산분석과 사후분석을 했다. 연구 결과, 한국 소비자 다수는 약한 생태주의(221/305명(72.5%)) 성향으로 나타났다. 한국 소비자의 일반적 친환경 패키지에 대한 소비자 태도는 성향에 따라 명확하지 않았으나 구체적 친환경 포장 방식(4Rs)에 대한 태도에서는 생태 가치관 유형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한국 소 비자는 전반적으로 4Rs 방식(재활용, 재사용, 재료 절감, 재료 대체)에 지식, 호감, 효과 확신에서 긍정적이었으나, 타협 정 도에서는 강한 생태주의 그룹에서만 긍정적이었다. To address future resource depletion and climate crises, the Korean government is pursuing various policies to reduce excessive packaging and reduce packaging waste. Many companies are also participating in government policies and trying to find sustainable packaging design methods. However, in order to build a sustainable consumer economic system, cooperation between the government, businesses, and consumers is important. Accordingly, this study sought to investigate eco-friendly packaging methods and effects, as well as consumers' environmental awareness and attitudes to promote eco-friendly packaging. Through prior research and cases, we selected four sustainable eco-friendly packaging methods(recycling, reuse, material reduction, and material replacement). As a result of the survey, the majority of Korean consumers showed a weak ecological tendency (221/305 people (72.5%)). Korean consumers' attitudes toward general eco-friendly packaging are unclear depending on their tendencies, but there were differences in attitudes toward specific eco-friendly packaging methods(4Rs) depending on the type of ecological value. Domestic consumers responded generally positively in terms of knowledge and efficiency of eco-friendly packaging methods(4Rs), but only strong ecologists responded positively in terms of trade-offs (paying cos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