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학계의 `고대 동아시아 간독(簡牘)자료` 연구하기

        김경호 ( Kim Kyung-ho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7 大東文化硏究 Vol.99 No.-

        20세기 이후 한·중·일 동아시아 삼국에서 수많은 간독자료가 발굴되었고 그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심화됨에 따라 출토자료를 이용한 고대 동아시아 사회에 대한 연구가 점차 보편화되고 있다. 따라서 이 시기에 해당하는 출토자료를 중심으로 문헌자료와 병행한 학제적 연구를 진행한다면 고대 동아시아 역사와 문화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정립할 수 있을 것이다. 종래 고대 동아시아사의 연구는 `문헌자료(전래문헌)`를 중심으로 진행되어 이 지역에서 공통적으로 통용되는 개념으로 漢字, 儒敎, 律令, 그리고 佛敎를 거론하여 이른바 `동아시아세계`라는 개념을 정립하였다. 그러나 문헌자료는 자료의 특성상, 당시 특정 지역에서 성장한 국가권력이 고대 국가로 발전하는 과정을 이해하는 데에는 자료상의 한계가 있어 이를 극복하기가 쉽지 않다. 이러한 정황하에 동아시아 삼국에서 출토된 간독자료에 대한 이해의 목적은 각 지역에서 발견되는 출토자료의 내용을 `一國的` 범위와 시각에서의 이해를 지양하고 그 전래와 계보를 규명함으로써 동아시아 삼국의 공통된 문화적 성격을 밝히고자 하는 데 있다. 동아시아 삼국에서 출토된 竹簡·木簡 자료는 기원전 2~3세기에서 기원후 6~8세기에 이르기까지 근 10세기에 가까운 오랜 시간 동안 동아시아 사회에서 종이가 본격적으로 사용되기 이전 시기의 중요한 서사매체였다. 뿐만 아니라 동아시아 사회가 `同文`인 `漢字`를 사용하는 이른바 한자문화권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였다. 즉 서사재료로서 사용된 시간적 차이가 있는 중국의 출토자료와 한국과 일본의 출토자료를 과연 어떻게 이해하고 계통적으로 분석하는 것이 가능한가의 문제이다. 또 다른 하나의 문제는 동아시아 삼국에서 출토된 자료와 연구 성과를 어떠한 방식과 형태로써 교류할 수 있는가 하는 문제였다. 이러한 문제는 기존의 연구처럼 `중심`과 `주변`의 관계로서의 동아시아 유교·한자문화권에 대한 이해가 아닌 각 지역의 독자적인 문화 상호간의 소통관계를 형성하면서 지역적 사회질서를 발전시켜가고 있었는가를 탐구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이러한 관계의 해명을 위해 동아시아 삼국의 출토자료를 통한 고대 동아시아 사회의 이해를 궁극적인 연구의 목적으로 설정하고자 한다. 그리고 그 기초적 연구로서 출토자료(簡牘)에 주목하여 한국학계의 동아시아 출토자료에 대한연구 현황과 이와 관련한 한국의 중국고대 簡牘자료에 대한 학술 활동을 검토하면서 東아시아 三國의 簡牘資料 硏究 交流와 方向性에 대해 서술하고자 한다. Since the 20th century, a large number of bamboo and wooden slips have been unearthed in Korea, China and Japan. As the understanding of wooden slips has deepened, research on ancient East Asian societies using excavated materials-especially wooden slips-is progressing gradually. Therefore, if we carry out research using literature data together with these excavated materials, we will be able to create a new perspective on ancient East Asian history. Historical study of ancient East Asia has been conducted mainly on the literature data. As a result, based on common concepts such as Chinese characters, Confucianism, Rituals and Buddhism, the concept of the so - called `East Asian world` was established. As a result, based on common concepts such as Chinese characters(漢字), Confucianism(儒敎), Statute(律令) and Buddhism(佛敎), the concept of the `East Asian world` was established. However, it is difficult to overcome that it is difficult to explain the process of the development of the state power into the ancient state. In this context, the purpose of wooden slips excavated in East Asia is to avoid the tendency to understand the contents from the perspective of individual countries and to identify the origin and pedigree. Furthermore, it aims to reveal the common cultural character of the East Asian countries. Bamboo and wooden slips were important narrative media in East Asian society for a long time from the 2-3th century BC to the 6-8th century AD before the paper was used in earnest. In addition, wooden slips had played an important role in forming a so-called culture of Chinese characters that uses Chinese characters in common in East Asian societies. In other words,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how the Chinese, Korean, and Japanese excavated materials with time differences can be understood and genealogically analyzed. It is also important that the method of merging excavated data and researches into what kind of types and forms. The above suggestions need to be understood as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local cultures rather than the understanding of East Asian Confucianism or Chinese culture a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enter` and `periphery`.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at each region was developing their own social order. Therefore, this study ultimately aims to understand ancient East Asian society by clar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through excavated data of East Asia. As a starting point, this study examined the research trends of Korean academia about East Asian excavated materials and related academic activities on ancient Chinese wooden slips. This study also describes the interchange and direction of the study of wooden slips in Korea, China and Japan.

      • KCI등재

        함안 성산산성 출토 목간의 정리현황 검토

        최상기(崔尙基) 한국목간학회 2013 목간과 문자 Vol.11 No.-

        1차 사료가 부족한 한국 고대사 분야에서 목간은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咸安城山山城에서 출토된 대량의 목간들은 중고기 신라의 정치, 경제, 군사 등을 살필 때 빠뜨릴 수 없는 소중한 실물 자료이다. 그러나 현재까지 성산산성 목간 관련 간행물, 연구성과들이 다수 축적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성산산성 목간에 대한 체계적인 번호 부여조차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이다. 이는 연구 과정에서 오류, 비효율을 초래할 수 있는 심각한 문제 요인이다. 발굴보고서, 현장설명회 자료집의 경우 한 간행물 안에서도 번호 부여 방식이 여러 가지이며, 각 간행물마다 매번 목간 번호가 1번부터 시작하므로 일관적인 파악이 어렵다. 《韓國의 古代木簡》, 《韓國木簡字典》은 현재까지 연구자들이 가장 많이 활용하는 기본 자료집이다. 그러나 다른 간행물들과의 연속성이 부족할 뿐만 아니라, 부여한 번호도 아직 문제점이 있어 그 형식을 한국에서 출토된 목간들에 일괄 적용하기 어렵다. 여러 종류의 번호 부여 방식이 혼재한 상황은 연구성과의 작성 단계부터 문제가 되며, 이로 인해 연구사의 신속, 정확한 파악도 곤란하다. 번호부여 방식을 비롯해 성산산성 목간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는 학문후속세대의 연구 지속성 측면에서도 중요한 과제이다. 차후 새로운 번호 부여 방식을 마련할 때에는 해당 목간의 출토 장소, 출토 연도, 일련번호를 직관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틀을 갖춰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자료(資料)’ 연구로 본 동아시아학술원 20년 ― 호적(戶籍)과 간독(簡牘) 자료를 중심으로

        金慶浩 ( Kim¸ Kyung-ho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20 大東文化硏究 Vol.112 No.-

        ‘동아시아학술원(이하 학술원)’의 출범은 21세기 한국 인문학계에 대해 새로운 연구과제의 창출과 연구기관으로서 비전을 제시하고 그 성과가 시대 변화를 선도하는 학술제도의 정착과 연구방법의 창안과 매우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이를 위하여 ‘학술원’은 그 목표와 방향을 첫째 한국학·아시아학 분야의 집중연구 및 이론의 개발, 둘째 21세기 새로운 시대에 대응하는 방향 수립, 셋째 학문연구와 교육의 유기적 결합, 넷째 동아시아학의 국제적 교류라고 설정하였다. 이러한 목표와 방향의 설정은 무엇보다도 20세기 한국 인문학계에 대한 반성과 성찰을 통해 동아시아학의 본산으로서 한국학 및 동아시아학 분야의 선도적 지위의 확보와 21세기 국제사회에 대한 미래지향적 대응을 위한 것이었다. 따라서 ‘동아시아학’이란 무엇인가? 그리고 어떻게 할 것인가? 라는 문제는 ‘학술원’이 수행해야 할 의무의 수행이었고 그 답을 모색하는 과정이 지난 학술원의 연구 활동 20년이라 해도 과언은 아닐 것이다. 지난 20년동안 ‘학술원’의 연구 활동은 종래 한국 인문학계를 장악하고 있었던 연구 방법의 전환이었다. 핵심적 내용은 일국적 테두리를 벗어나 동아시아의 역사 문화에 대한 전체적인 해석을 시도하고 근대 학문의 분류체계를 지양하며 인문사회과학을 포괄하는 종합적 성격의 학문을 수립하고 현실에 적용할 수 있는 방향을 적극 추진하는 것이었다. 즉 ‘학술원’은 동아시아의 다원성과 보편성을 통일적으로 파악하는 새로운 모델의 개척·소통·확산을 통하여 한국인문학의 創新에 기여하는 ‘복합인문학’ 구현을 그 목표로 설정하였다. 역사학 방면에서의 대표적인 연구 활동은 죽간 목간의 연구로 대변되는 출토자료에 대한 연구와 조선시대 호족 족보 자료를 근간으로 한 역사인구학 분야였고 이러한 주제로 개최된 국제학술회의였다. 특히 중국사회과학원 역사연구소와의 10년에 걸친 정례학술회의는 커다란 성과라 할 수 있다. ‘학술원’은 이러한 지난 20년의 성과에 안주하지 말고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인문학을 위한 혁신적인 연구 방법을 제시하여야 연구기관으로서의 정체성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연구 주제의 하나로서 ‘동아시아적 시각에 의한 고전학’ 분야를 제안하고 싶다. 더욱이 새로운 연구 분야를 개척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학술원’의 독창적인 연구 방향성과 그 방향성이 시대적 조류와의 관계하에서 추진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The launch of the 'Academy of East Asian Studies(AEAS)' is very closely related to the creation of new research tasks and the creation of research methods for the 21st century Korean humanities and the establishment of academic systems that lead to changes in the times. To this end, the 'AEAS' established its goals and directions as follows: the first intensiv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theories in the field of Korean studies and Asian studies, the second establishment of a direction in response to the new era in the 21st century, the third organic combination of academic research and education, and the fourth international exchange of East Asian studies. The establishment of these goals and directions was, among other things, to secure a leading position in the field of Korean studies and East Asian studies as the home of East Asian studies through reflection and reflection on the Korean humanities in the 20th century and to take a future-oriented response to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n the 21st century. So what is 'East Asian Studies?' And what will you do? It would not be too much to say that the problem was the performance of the obligations of the 'AEAS' and that the process of seeking answers was 20 years of research by the institute. Over the past two decades, the 'AEAS's research activities have been a shift in the way it has traditionally dominated the Korean humanities community. The key content was to try to interpret the history and culture of East Asia as a whole, to avoid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modern studies, to establish comprehensive studies covering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and to actively pursue directions applicable to reality. In other words, the 'academic institute' aims to realize 'complex humanities' that contribute to the new development of Korean literature by exploring, communicating, and expanding new models that uniformly understand the plurality and universality of East Asia. The representative research activities in the field of history were the field of historical and demographic studies based on the research on excavated materials represented by the study of bamboo-thin woodwork and the historical and ethnic genealogical materials of the Joseon Dynasty, and the international academic conference was held under this theme. In particular, the 10-year regular academic conference with the Institute of History of the Chinese Academy of Social Sciences is a great achievement. Instead of being complacent with these achievements over the past two decades, the Academy should present innovative research methods for new humanities based on them so that it can maintain its identity as a research institute. As one of these research topics, I would like to propose the field of Classical Studies by East Asian Perspective. Moreover, in order to pioneer a new field of research, above all else, the original direction of research and its direction must be pursued in relation to the trend of the times.

      • KCI등재
      • 주공의 동이정벌에 대하여 - 金文 및 淸華簡을 중심으로 -

        원용준 성균관대학교 유교문화연구소 2012 儒敎文化硏究 Vol.- No.20

        본 논문은 『사기』에 보이는 주공의 東夷 정벌 기록을 서주초기 청동기 銘文(金文)과 淸華大學藏戰國竹簡 등의 출토자료 기록과 비교, 검토한 것이다. 이러한 검토를 통해 주공의 동정에 대한 당대의 사적과 후대의 변모된 사적을 분명하게 밝히고, 이에 대한 『사기』의 입장을 정리함으로써 중국 고대의 華夷的 세계관에 대하여새로운 시각을 제시하고자 한다. 『사기』 「주본기」, 「노주공세가」에 따르면 은을 멸망시키고 천하를 평정한 주가무왕의 죽음에 의해 일대 위기를 맞이하였을 때, 이를 구원한 것은 주공이었다. 주공은 국가를 위기에서 구했을 뿐만 아니라 주의 질서, 즉 국가예제, 문화, 제도를 세웠고, 후에 성왕은 그 공업을 기려 그를 천자의 예로 대하였다고 한다. 따라서 현재까지도 중국문화의 실제적인 개창자로 주공을 보는 것이 정설이다. 이러한 주공상은 과장된 것인데, 『사기』 「주본기」가 무경 반란의 진압에서 주공의 역할을 강조하고 성왕의 역할을 축소한 것 역시 역사적 사실과는 다르다. 즉 무경의 반란 역시 성왕이 직접 군대를 끌고 참전하였으며, 주공은 보조적 역할을 담당한 듯하다. 그 실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이 바로 출토자료다. <小臣單觶>,<禽簋>, < 司土簋>, <大保簋>, <保員簋>등의 금문 자료에 의해 무경의 반란진압은 성왕의 주도 아래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청화간 繫年의 기록역시 성왕이 무경의 반란을 진압했다고 하며, 그 동이 정벌에 주공은 등장하고 있지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무경의 반란에서 주공의 역할이 확대된 까닭은 춘추말기에서부터 시작된 주공의 영웅화의 결과일 것이다. 특히 주공의 영웅화를 추진한 것은사마천인데, 그 까닭은 ‘주공→공자→사마천’으로 이어지는 계승 구도를 통해 마치주공이 주나라의 문물제도를 만든 것처럼 한 제국의 이데올로기를 만들고자 한 사마천의 의도가 있었다. 이 같은 시각은 『사기』 이후의 중국 역사서의 모범으로 자리하게 된다.

      • KCI등재
      • KCI등재

        중국철학 : 성인지서(聖人之書)와 복서지서(卜筮之書)의 사이 -새로운 출토자료를 통해 본 『주역(周易)』의 형성 문제-

        정병석 동양철학연구회 2005 東洋哲學硏究 Vol.42 No.-

        引起周易形成的論難的陰陽爻,?八卦和64卦的起源及作者, 重卦說及八卦, 64卦産生和先後順序, 三易與《周易》的關系, 《周易》形成的起源, 《易傳》與孔子的關系等問題一般是依据《易經》或く《漢書》等著作中的골人史觀加以解釋的. 因八卦, 六四卦. 卦爻辭和《易傳》都成書于三골 (伏義氏, 文王, 孔子) 或四골 (伏義氏, 文王, 周公, 孔子) 之手, 卽 골人作易的觀點. 골人作易這一尊古的觀點因宋代歐陽修與淸代崔述及20世紀初的古史辨學派的疑古傾向的議解開始被動搖. 特別是20世紀後半협甲骨文, 數學卦, 湖北省江陵天星觀竹簡周易. 阜陽雙古堆1號漢墓竹簡周易, 馬王堆帛書周易, 王家台秦簡歸藏等資料的出土, 使有골人之書之稱的《周易》僅僅成爲一部卜筮之書. 但從文獻資料中可以看出, 《周易》起源于占筮的事實許不意味着《周易》的本質只局限于卜筮書, 因爲文獻資料提供了可증明《周易》含有深遂哲學內涵的可고증据, 特別是馬王堆帛書周易. 我們可以看出《易傳》試圖依托골人的權威以哲學的視角對《周易》進行解釋. 以此看來, 與其說《易經》中所提到的골人是《周易》的作者, 不如把這些將自身體現于《周易》的作者說成是釋易者或解易者更爲학切.

      • KCI등재

        중국철학 : 출토자료 『일서(日書)』의 연구현황과 그 사상사적 의의

        김성기,이승율,최종성 동양철학연구회 2005 東洋哲學硏究 Vol.42 No.-

        本論文主要以1975年末在中國湖北省雲夢縣睡虎地11號秦墓出土的『日書』(一種占蔔用書)爲硏究材料, 旨在深討其在思想史上的意義. 特別是通過『日書』與某他一系列文獻資料的比較硏究, 來考察秦漢時期的宗敎·歷史·思想·文化·天文·曆法和風俗等方面的社會性問題. 在此硏究基礎上考察了秦漢時期的文人足즘樣受用當時盛行的占這種宗敎行爲, 以及他們是否試圖去克服這種行爲的問間題. 령外, 漢代以後儒家與陰陽五行說相結合的識緯說作爲國家體制的一種思想觀念被接受, 在這過程中타是즘樣實現國敎化的. 本文將這兩個問題聯係起來進行了硏究. 中國古代的傳統文化賦予了以儒家思想爲首的諸子百家思想合理性的方面, 通過本文的硏究, 我們可以突破中國古代傳統文化的局限性, 竝對其有新的鉛認識. 進一步來講, 韓國學術界對出土資料的硏究一直不太重視, 本文可以樹立起這一硏究的광架, 竝期待通過這一硏究能구揭示示只通過現存資料而無法得知的中國古代思想文化的령一個異層面.

      • KCI등재

        국어사 교육을 위한 중세국어 자료 탐색

        양영희 ( Yang Younghee ) 국어교육학회 2020 國語敎育學硏究 Vol.55 No.4

        본 논의는 중세국어 자료 개발을 목적으로 출발하였다. 「2015 교육과정」에서 국어사 교육의 목표를 중세국어와 현대국어의 차이를 깨달음으로써 ‘변화하는 언어’의 속성을 이해하도록 설정하였는데, 이때의 매개가 ‘중세국어 자료’인바 자료 선택은 국어사 교육의 성공 여부를 결정짓는 방향타로 작용한다는 판단에서이다. 어휘 변화의 탐구를 위해서는 「훈민정음해례본」의 ‘용자례’를 선택하였다. 여기서는 어휘의 형태 변화와 의미 변화를 중점적으로 파악하는 가운데 음운, 표기 변화 등도 아울러 이해할 수 있다는 기대에서이다. 청자 높임법 변화의 탐구를 위해서는 「석보상절」, 「월인석보」, 「순천김씨 묘 출토 간찰」의 특정 장면을 선택하였다. 「석보상절」, 「월인석보」는 짧은 장면 안에서 ‘□쇼셔, □야쎠, □라, 니’체의 평서형, 의문형, 명령형 등을 모두 확인할 수 있으며 줄거리가 있는 이야기 텍스트여서 학습자들의 흥미와 공감을 얻을 수 있다는 점에서이다. 「순천김씨 묘 출토 간찰」은 선인들의 사연을 읽을 수 있는 편지글이라는 점에서 학습자들의 공감을 얻을 수 있으며 15세기 ‘□야쎠’체의 계승형으로 간주되는 16세기의 ‘□’체를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이다. 마지막으로 의문법 변화의 탐구는 「번역 노걸대 상」의 첫 장면을 선택하였다. 전체 텍스트가 대화로 구성되어 있다는 점에서 중세국어 다른 자료와 차이를 보이면서 이 역시 짧은 장면 안에서 [-상위자]에 대한 의문형인 ‘ㄴ다, 명사+가(고), ㄴ가(고), 뇨(료, 려)’ 등을 확인할 수 있음을 고려한 것이다. This study aimed to develop medieval Korean materials. In the “2015 Korean education Curriculum,” the goal of Korean language history education was set to understand the nature of “changing language” by realizing the differences between medieval and modern Korean. It was judged that the selection of “medieval language materials” was important to the succes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o explore the vocabulary change, “Hunminjeongeum” “Examples on the Use of Letters” was selected. Analysis is expected to enable changes in the form and meaning of vocabulary to be grasped, and changes in phonology and notation can be understood. To explore the change of hearer honorific expressions, specific scenes of “Seokboangjeol,” “Wolin-seokbo,” and “Letters on the excavation of Suncheon Kim’s grave” were selected. This is because declarative, interrogative, and imperative forms of “□쇼셔, □야쎠, □라, 니” are used throughout the short texts of “Seokboangjeol” and “Wolin-seokbo,” which are story texts with a plot with which learners can gain interest and empathy. “Letters of Suncheon Kim’s grave excavation” contain stories related to the ancestors, so learners can gain empathy through the text. In addition, “□” of the 16th century, which is considered as a succession form of the “□야쎠” of the 15th century, can be found in the text. Lastly, the first scene of “Byeonyeok-Nogeldae” was chosen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interrogative forms. It is considered different from other medieval materials as the whole text is composed of dialogues, and interrogative forms of (-Upper), “-nda, noun+ga(go), -nga(go), nyo(ryo, ryeo),”

      • KCI등재

        신라・백제 문자문화와 일본 문자문화의 비교연구 -출토문자자료를 중심으로-

        방국화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21 嶺南學 Vol.- No.77

        This paper examines the influence of the literary culture of Silla and Baekje on the Japanese literary culture based on the excavated text materials. So, the characteristics of Chinese character culture of Silla and Baekje were discussed. The literary culture of Silla, Baekje, and Goguryeo has the same parts, but each has its own characteristics. In other words, the usage of Chinese characters in the ancient three kingdoms of the Korean Peninsula cannot be regarded as the same, but each country has its own characteristics. In this paper, by comparing the text materials of Silla and Baekje with those of Japan, the differences in text culture in each region of Japan were examined. By comparing the usage situation of “ ” in the Saikaido(西海道) area with “甕”, it was concluded that “ ” came to be used in various parts of Japan due to the influence of the Baekje people. Also, the use of “甕” (瓮) was considered to be influenced by Silla. Also, there are cases where the shape of the letters differs depending on the region, such as “伊” in the Wooden Documents of Wakasano-guni(若狹國), but this is also presumed to be related to Silla. 본고는 목간을 비롯한 출토문자자료를 기초자료로 신라의 문자문화, 백제의 문자문화가 일본 문자문화에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지에 대하여 고찰함으로써 신라와 백제의 한자문화의 특성에 대해 접근해 보고자 한 것이다. 신라, 백제, 그리고 고구려의 문자문화는 공통적인 부분도 있지만 제각기 자기 나라의 특성도 갖고 있다. 즉 한반도 고대 삼국의 한자 용법은 같다고만 볼 수 없고 각 나라에 특성이 있다고 봐야 한다. 본고에서는 신라, 백제의 문자자료를 일본의 문자자료와 비교함으로써 일본의 각 지역에 나타나는 문자문화의 차이를 문자문화의 전파측과 관련지어 검토하였다. 西海道 지역의 “ ”의 사용 상황을 同訓異表記로 되는 “甕”과 비교함으로써 “ ”은 백제계 도래인의 영향으로 일본 각지에서 사용하게 되었다는 결론을 얻었다. 또한 “甕”(瓮) 사용은 신라의 영향으로 보았다. 그리고 若狹國의 하찰목간의 “伊”와 같이 글자 형태가 지역에 따라 다른 경우도 있는데 이것도 문자문화의 전파측, 즉 신라와 관계가 있는 것으로 추정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