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성과 감각간의 관계성: 토마스 아퀴나스를 중심으로

        김완종 ( Kim Wan-jong ),박규철 ( Park Kyu-cheol ) 한국동서철학회 2018 동서철학연구 Vol.0 No.87

        본 논문에서 필자는 토마스 아퀴나스가 언급한 지성과 감각의 관계를 통해 그의 인식론을 탐구 해보려고 한다. 필자는 토마스 아퀴나스의 인식론의 현대적 의미나 그의 견해에 대한 여러 논쟁은 다루지 않을 것이다. 플라톤 이후로 서양철학은 주로 감성보다는 지성에 관심을 두었는데, 이 감성은 지성보다는 하위에 있는 것으로 간주되어 왔다. 토마스 아퀴나스는 플라톤주의를 비판한다. 이유는 간단한데, 우리는 형상을 직접적으로 질료를 통해서만 알 수 있다고 보고 있기 때문이다. 토마스 아퀴나스는 플라톤과 다르게 아리스토텔레스나 경험주의자와 같이 모든 지식은 감각 경험으로 시작한다는 기본적 전제하에 출판한다. 지식이 감각에서 시작함에도 불구하고 그는 지성의 우위성을 주장한다. 필자는 토마스 아퀴나스를 통해 비록 그가 지성의 우위성을 강조했을 지라도 지성과 감각간의 적절한 관계를, 마치 일반적 견해로 칸트가 경험론과 합리론을 잘 종합한 것으로 알려진 것처럼, 주장했다는 것을 고찰할 것이다. 그래서 그의 지성과 감각간의 관계를 모색해 봄으로써 그가 실재론과 유명론 두 측면을 모두 붙들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 이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그에 따르면 모든 존재자는 본질과 실존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에게 인간 지식의 제일 원리는 감각 작용이다. 다시 말하면 모든 지식은 감각작용에서 비롯된다. 뿐만 아니라 내용까지도 감각작용을 통해 획득된다. 이를 위해 그는 지성의 작동 방식을 탐구한다. 인간 존재자는 자신의 지성의 외부 세계에 있는 대상을 감각을 통해 접촉한다. 인간 인식은 지성만의 작동을 통해 지식을 획득하는 것이 아니라 감각과 지성의 상호 작용을 통해 획득된다. 이것을 그는 모든 존재자는 실제적 존재자 양태를 따르며 인간 존재자가 몸과 영혼으로 구성되었다는 것에 근거하여 논의한다. 지식의 출발점은 감각작용이며 이 작용을 통해 내용도 획득된다. 인간의 지성이 담지하고 있는 것은 이미 감각에 있다는 말이다. 그러나 감각에 있지 않은 것이 지성에 있기 때문에 토마스 아퀴나스는 이것을 능동이성(지성)이 수행하는 추상작용을 통해 설명한다. 능동이성은 감각상에서 지성적 부분(가지상, 지성상)을 추상하여 수동이성(지성)에 각인시키고 표현하고 개념화한다. 지성은 감각에 있지 않았던 개념들을 만들어 내어 다시 존재자들에게 복귀시킨다. 이러한 복귀적 행위가 개별 존재자의 판단작용이다. 필자는 이러한 과정을 토마스 아퀴나스 자신의 인식론적 견해에 대한 세밀한 독해를 통해 우리의 지각에 함께 작동하는 지성과 감각에 비추어 탐구함으로써 드러낼 것이다. 이를 통해 필자는 토마스 아퀴나스가 유명론과 극단적 실재론간의 중간에 위치한다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 In this paper I will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our intellect and sensation through Thomas Aquinas's thoughts. Since Plato, Western philosophy has primarily focused more on intellect than sensation, which has been regarded as being inferior to intellect. Thomas Aquinas criticizes Platonism because human beings can’t understand Form without matter. Unlike Plato, Thomas Aquinas begins his epistemology based on the fact that all knowledge arises from sensation, like Aristotle or the empiricists. Even though knowledge originates from sensation, he asserts the priority of intellect. Through Thomas Aquinas we will discuss the proper relationship between intellect and sensation, just as Kant synthesizes Continental rationalism and British empiricism, though he emphasizes some preeminence in intellect. By examining relation between intellect and sensation we will discover that he holds the two aspects of Realism and Nominalism. This is the purpose of this paper. I will expose this process by examining especially the light of intellect and sensation that work together in our perception through a detailed reading on Thomas Aquinas's own epistemological view. According to Thomas Aquinas, being is made up of essence and esse. For him the first principles of knowledge of human beings is the operation of sensation. Namely, all knowledge begins with sensation. Furthermore, its contents are acquired through it. He illustrates this through the operation of sensation and that of intellect. This assertion is basically based on the insight that each thing follows its mode of existence in the mode of action, and that human beings are intrinsically composed of body and soul. The proposition that both all knowledge and their contents arise from sensation is that human intellect has already been included in sensation. But that which is not within sensation is within intellect. Thomas Aquinas explains this through the operation of abstraction of agent intellect. Agent intellect can abstract intelligible species into sense species, carving in possible intellect. Then it is confirmed by the agent intellect and expressed in intellect species. That is the concept. The agent intellect gives back it to beings. This action of giving back is the operation of judgement. Through these processes I try to assert that Thomas Aquinas stands midway between extreme Realism and Nominalism.

      • KCI등재

        1970년대 초반 지식인의 저항과 문학의 자유 -「문지」와 이청준의 소설을 중심으로-

        박윤영 ( Yoon Young Park ) 우리어문학회 2016 우리어문연구 Vol.55 No.-

        이 논문은 1970년대 지식사의 지형을 밝히기 위한 하나의 시도로써, 「창작과비평」에 비해 현실에 대한 개입이나 참여가 거의 없었다고 알려진 「문학과 지성」의 저항성과 정치성을 밝히려는 의도에서 작성되었다. 「문학과지성」 제2권 제2호(1971, 여름)에 게재된 「소문의 벽」에서 이청준은 편집자와 필자 모두가 ‘자기진술’의 운명과 의무를 공유하고 있음을 밝히고 있는데, 이는 이청준의 소설과 「문학과지성」을 겹쳐 읽을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해 준다. 이청준은 「소문의 벽」에서 중요한 모티프인 ‘전짓불’을 통해 창작과 비판의 자유가 억압되고 일방적 진술만을 강요하는 당대 현실을 은유한다. 또한 같은 호에 수록된 김병익의 「지성과 반지성」은 언론의 자유가 극도로 억압되는 상황을 비판하며, 지식인의 현실 참여 문제와 자유 수호의 의지 등을 강조하고 있다. 이 같은 문제의식은 「문학과지성」의 편집후기 격인 ‘이번 호를 내면서’에서도 공유되어 나타나지만, 지식인의 현실 참여에 대해서는 다소의 우려를 나타낸다. 글 쓰는 행위 자체를 체제에 균열을 내는 하나의 저항으로 인식했던 김현은 지식인과 문학의 현실 참여 방식을 유사한 구도 속에 놓았다. 그는 문학이 현실에 직접적으로 개입하지 않으면서, 현실에 문제를 제기하고 공동체의 구성원들로 하여금 현실의 문제에 대해 자연스럽게 사유하게 한다는 점에 주목했는데 이는 문학의 정치는 작가의 정치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는 랑시에르의 논의와 관련된다. 그러나 1970년대 초반, 「문학과지성」과 이청준의 자유에 대한 강조가 랑시에르가 말한 정치의 개념까지 나아갔는가 하는 점에 대해서는 의문을 표할 수밖에 없다. 왜냐하면 「문학과지성」과 이청준이 추구한 일련의 문학적 작업들이 기존의 감각적인 것의 분할에 이의를 제기하고 다소의 불일치를 유발했다는 사실을 인정한다 하더라도, 그것은 전체 공동체의 측면에서 보자면 지극히 지엽적인 측면(‘지식인/작가’의 자유)에 국한되어 있으며, 어떠한 측면에서는 지식인과 대중이라는 위계를 무의식적으로 내포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970년대 초반에 나타난 「문학과지성」과 이청준의 문학적 시도는 ‘민족주의’라는 도그마에 함몰되지 않은 채, 참여문학과 순수문학의 이분법적 관점에서 벗어나 새로운 저항의 국면을 열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발견된다. This study is one of the attempts to clarify the topography of the 1970s history of knowledge and is done with an intention to clarify the resistant and political nature of "Moomji" which was known to have hardly any involvement or participation in reality comparing with “Creation and Criticism.” In “The Walls of Rumor” published in the "Moomji" Book 2 and No. 2 (Summer, 1971), Yi Cheong-jun made it clear that the editor and the writer both shared the destiny and duty of “self-statement,” which provided a base in which Yi’s novel and "Moomji" could be read overlapped. The author Yi metaphored the reality of the time where freedom of creation and criticism were oppressed and only one-sided statements were forced, through an important motif “flashlight beams” in his novel “The Walls of Rumor.” Moreover, “Intelligence and Anti-intelligence” by Kim Byeong-ik appearing in the same publication criticized the freedom of press being extremely oppressed and stressed the problem of intellectuals’ actual participation and their will to defend freedom. Namely, both Kim Byeong-ik and Yi Cheong-jun negatively viewed the oppressive social atmosphere of the time while exposing that without exception, every intellectual at the time was drifting between forced statement and refusal of statement. Such problematic thinking was manifested in shared “editor’s comments” in “Literature and Intelligence.” Kim Hyun, who thought of literature as a resistance that cracks the system, viewed the way that intellectuals and literature participate in the reality from similar perspectives and regarded the autonomy and imagination of literature as important in the sense that literature does not directly intervene in the reality but raises questions of reality and naturally makes members of the community think of the current problems. However, one cannot help asking if the emphasis that ‘Moonji’ and novels of Yi Cheong-jun put on freedom in the early 1970s reached the concept of politics that Ranciere mentioned. It is because although we may recognize that the literary works that that ‘Moonji’ and Yi Cheong-jun pursued raised questions about the division of existing sensuous things and caused a certain level of discord, from the aspect of the whole community, it was limited to an extremely peripheral aspect(freedom of ‘intellectuals/writers’) and in some aspect, it connoted the hierarchy of intellectuals and the public. Still, the literary efforts of on ‘Moonji’ and Yi Cheong-jun in the early 1970s have significance in that they did not get swept by the dogma of ‘nationalism’, avoided the dichotomous perspective of participating literature and pure literature and opened a new aspect of resistance.

      • KCI등재

        논문 : 중세의 "철학자" 야코부스 데 두아코와 지성,영혼의 이원성 문제 -13세기말 지성이론의 쟁점과 전개에 관한 철학사적 연구-

        정현석 ( Hyun Sok Chung ) 한국중세철학회 2012 중세철학 Vol.0 No.18

        야코부스의 지성이론은 시제 브라방과 대립했던 토마스 아퀴나스의 지성이론의 핵심, 즉 지성의 존재론적 결합과 작용적 분리 및 이를 뒷받침하는 영혼:지성=전체:부분=본질:능력=실체:우유 구도를 바라보는 동시대인의 비판적 시선을 반영하고있다. 특히 야코부스는 아우구스티누스와 같은 기독교 세계 최고의 권위를 동원하여 시제가 토마스 아퀴나스를 공격할 때 활용했던 "능력은 그 실체보다 더 단순할수 없다"는 공리를 "우유는 그 주체보다 더 단순할 수 없다"라는 공리로 변형하여시제의 연장선 상에서 하지만, 더 극단적이며 파괴적인 비판적 논의를 전개한다. 이 과정에서 야코부스는 토마스 아퀴나스의 입장이 지성의 작용을 분리된 것으로 본다는 의미에서 실질적으로 그의 이론이 아베로에스의 단일지성론과 다를 바없으며 천사적 박사의 의도와는 달리 지성·영혼 혹은 지성·신체의 이원론적 분립으로 이어진다고 파악한다. 그래서 그는 "우리가 지성의 작용을 경험한다"라는 경험적 사태로부터 인간의 신체에 대한 지성의 존재론적 내속은 물론 그 작용의 내속까지 논함으로써 그가 파악하는 바 13세기 지성이론의 문제, 즉 지성·영혼혹은 지성·신체의 이원론의 문제를 해소하려 한다. La noetique de Jacques de Douai, un auteur tres peu connu et un fort contemporain de Siger de Brabant, nous fournit d`un temoin critique assez interessant sur la position noetique de Thomas d`Aquin. Les arguments critiques de Jacques a l`encontre la theorie thomasienne sur l`intellect se consistent a detruire d`une maniere philosophique la fameuse formule thomasienne de ``ame : intellect = totalite : partie = essence(ou substance) : faculte = sujet : accident`` sur laquelle le docteur dominicain a construit sa propre theorie de l`intellect qui est uni au corps selon sa substance et en est separe conformement a son operation. Notre artisan picardien essaie de nous montrer que cette position de Thomas, en particuliere ladite separabilite operationnelle de l`intellect, ne peut pas etre soutenue de maniere philosophique. Le noyau de l`argument jacobin contre Thomas est que la position du Docteur angelique ne peut pas etre soutenue car cette separabilite se contredit aux adages philosophiques "agere sequitur esse" et "accidens non potest esse abstractior quam suum subiectum", un adage adopte de Jacques qui est un melange chimique du Liber de causis et Augustin. Et a la fin, Jacques va jusqu`a assimiler la position thomasienne a celle averroiste dans la mesure ou il concois que cette separabilite proposee par Thomas implique d`une maniere ou d`une autre une separation ontologique de l`intellect a l`egard du corps. Ayant ainsi critique la position de Thomas, notre artisan picardien propose une solution philosophique qui consiste a dire que, conformement a notre experience bien evidente que "nous intelligeons", l`intellect n`est pas separe du corps non seulement de sa substance mais aussi de son operation.

      • KCI등재

        집단지성과 장자 의 지식관

        김태용 동양철학연구회 2023 東洋哲學硏究 Vol.116 No.-

        이 글은 디지털시대의 연구주제인 ‘집단지성’의 관점으로 장자 의 지식관을 재고한다. ‘집단지성’의 지성은 ‘문제해결 능력’이다. 그러므로 ‘집단지성’은 ‘집합적 문제해결 능력’ 또는 ‘집합적으로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뜻한다. ‘집단지성’의 힘이 제대로 발휘되기 위해서 중요한 것은 ‘집단지성’을 형성하는 개별 행위자의 능력과 다양성이다. 지성의 주체로서 소수 엘리트를 강조하는 유가와 달리, 도가에서는 신분과 직업에 상관없이 모든 사람이 ‘도’를 깨달을 수 있다고 주장한다. 즉 도가에서는 소수의 엘리트가 아닌 다수의 대중이 지성의 주체이다. 장자 에서 지식을 일상적 지식과 ‘진지’로 나누고, ‘진인’이어야만 ‘진지’를 얻을 수 있다고 강조한다. 그런데 정신노동자뿐만 아니라 육체노동자도 ‘진인’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진지’를 얻는 것은 단순히 지식을 얻는 것이 아니라, 지성 즉 문제해결능력을 얻는 것이다. 보통 사람도 일련의 수양을 통해 ‘도’를 깨달아 ‘진인’이 될 수 있지만, 그 깨달은 ‘도’를 다른 사람에게 전할 수 없다. 그러므로 ‘진지’를 얻는 것은 개별적 주체의 몫이고, 독립적이다. 또한 사람들이 ‘진지’를 얻는 방식은 유사하지만 그 구체적 방법은 타고난 성품과 생활환경 등에 따라 다양하다. 그러나 이러한 독립성과 다양성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이 깨달은 ‘도’는 다르지 않다. 다양한 분야에 종사하는 사람들이 동일한 ‘도’를 깨닫지만, ‘도’를 자신의 일에 임기응변적으로 적용하여 자신의 분야에서 궁극의 경지에 오를 수 있다. 특히 ‘진인’은 각자 독자적 전문영역에서 습득한 자신만의 일상적 지식을 ‘진지’ 속에 수렴하기 때문에 ‘진인’의 지성이 동일하지 않다. 장자 에서는 제자백가를 ‘일곡지사’라고 칭한다. 그런데 ‘진인’도 처음에는 ‘일곡지사’였다. ‘방술’을 탐구하는 제자백가와 ‘도술’에 정통한 ‘진인’의 차이는 자신의 지식에 대한 생각의 차이에서 비롯된다. ‘진인’이 된 ‘일곡지사’는 자기 지식의 부족을 깨닫고 정진하였다. 반면 제자백가는 자기 지식의 완전성을 굳게 믿고, 다른 사람의 지식을 포용하지 않고 변별한다. 이처럼 장자 에서는 ‘집단지성’에서 강조하는 보통 사람의 지적 능력과 다양성을 긍정한다. 보통 사람이 자기 자신의 협애성을 인정하고 자기 자신이 가치와 이념의 굴레 속에 갇혀 있는 것을 자각하여 거기서 벗어나 ‘도’를 추구한다면, 그가 정신노동자이든 육체노동자이든 상관없이 ‘진지’를 얻을 수 있다. 그런데 장자 에서는 개별 행위자의 지적 협력을 말하지 않고 ‘진인’의 개별능력만을 강조한다. 만약 ‘진인’의 ‘도술’을 장자 에서 ‘집단지성’과 같은 인류 사회적 역할을 하는 능력으로 간주한다면, 개별 행위자의 능력이 결합한 ‘집단지성’이 아니라 ‘진인’의 개별능력인 ‘도술’을 창조, 혁신, 발명 과정에 보편적으로 적용해야만 인류의 위대한 업적을 이룰 수 있다. This article reconsiders Zhuangzi ’s view of knowledge from the perspective of ‘collective intelligence’, a research topic in the digital era. The intelligence of ‘collective intelligence’ is ‘problem-solving ability.’ Therefore, ‘collective intelligence’ means ‘collective problem-solving ability’ or ‘the ability to collectively solve difficult problems.’ In order for the power of ‘collective intelligence’ to be properly demonstrated, what is important is the ability and diversity of individual actors forming ‘collective intelligence’. Unlike Confucianism, which emphasizes a small elite as the subject of intelligence, Taoism claims that everyone can realize ‘Tao’ regardless of status or occupation. In other words, in Taoism, the majority of people, not a few elites, are the subjects of intelligence. In Zhuangzi , knowledge is divided into ordinary knowledge and ‘the true knowledge’, and it is emphasized that only ‘the true man’ can attain ‘the true knowledge’. However, not only mental workers but also manual workers can become ‘the true man’. And gaining ‘the true knowledge’ is not simply gaining knowledge, but gaining intelligence, that is, the ability to solve problems. An ordinary man can realize ‘Tao’ through a series of disciplines and become ‘the true man’, but he cannot convey the realized ‘Tao’ to others. Therefore, gaining ‘the true knowledge’ is the responsibility of the individual subject and is independent. Also, the ways in which people acquire ‘the true knowledge’ are similar, but the specific methods vary depending on one's innate personality and living environment. However, despite this independence and diversity, ‘Tao’ that people have realized is not different. People working in various fields realize the same ‘Tao’, but they can reach the ultimate level in their field by applying ‘Tao’ to their work flexibly. In particular, since each ‘the true man’ converges his own ordinary knowledge, acquired in his own specialized field into ‘the true knowledge’, the intelligence of ‘the true man’ is not all the same. In Zhuangzi , the disciple Hundred schools of thought is called ‘the scholar of a corner(一曲之士)’. However, ‘the true man’ was also ‘The scholar of a corner’ at first. The difference between Hundred schools of thought disciple who explores ‘the methods(方術)’ and ‘the true man’ who is well versed in ‘the method of Tao(道術)’ comes from the difference in thinking about one’s own knowledge. ‘The scholar of a corner’, who became ‘the true man’, realized his lack of knowledge and devoted himself to it. On the other hand, disciples firmly believe in the perfection of their own knowledge and do not embrace other people's knowledge but discriminate against it. In this way, Zhuangzi affirms the intellectual ability and diversity of ordinary people emphasized in ‘collective intelligence’. If an ordinary man acknowledges his own limitedness, realizes that he is trapped in the shackles of values and ideologies, and breaks free from it and pursues 'Tao', he can attain ‘the true knowledge’ regardless of whether he is a mental worker or a manual worker. However, in Zhuangzi , it does not mention individual actors's intellectual cooperation, but only emphasizes the individual abilities of ‘the true man’. If 'the method of Tao' of ‘the true man’ is considered to play a social role like ‘collective intelligence’ in Zhuangzi , great achievements of mankind can be achieved only by universally applying this ‘the method of Tao’, which are the individual abilities of ‘the true man’, to the process of creation, innovation, and invention, rather than ‘collective intelligence’ combining the abilities of individual actors.

      • KCI등재

        7세기 지성으로서의 고승(高僧) 의상(義湘) 연구

        박재영 한국교육사학회 2012 한국교육사학 Vol.34 No.2

        本硏究主要考察七世紀的知性人、新羅時期的高僧義湘大師的生平和思想以及他的敎化活動,以此來展示他的敎育思想及其活動所具有的敎育學意義。義湘大師出生于진平王47年(公元625年),圓寂于聖德王元年(公元702年),在這壹生當中他作爲海東華嚴的初祖,爲了給新羅人的思維裏注入佛敎理念,用實際行動付出了辛勤的努力,所以,可以說他是把佛敎理念付諸實踐的知性人。七世紀是三國曆史當中最重要的時期,國外的形勢急劇變化,國內的新羅推進三國統壹。知性是指通過敎育活動來培養的敎育方面的人性,敎育不僅是知性的形成過程,而且也是知性的顯現及發展過程。義湘爲了悟出自身的本性,在需要通過學習和修行過程才能達到的上求菩提和醒悟爲基礎,推行利于衆生的敎化活動來實踐了下化衆生的生活。卽,在知性的形成過程中,他以求道者的姿態忠實于自我敎育; 在知性的顯現和發展過程當中,他通過弟子敎育,活用圖印的形式擴展了知識領域; 運用了創造性的敎育課程; 基于弟子的能力開發了敎材; 適用了問答式敎學·學習方法; 擴展了敎育空間; 以此爲實現敎育平等作出了貢獻。 본 연구는 7세기 지성으로서의 신라 고승(高僧)인 의상(義湘)의 생애와 사상, 그리고 교화행(敎化行)을 살펴보고 거기에 드러난 교육학적 의미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의상은 진평왕 47년(625년)에 태어나서 성덕왕 원년(702년)에 입적할 때까지 해동화엄(海東華嚴)의 초조(初祖)로서 신라인들의 사유를 불교적인 사유로 바꾸기 위해 노력한 실천적 지성이다. 7세기는 삼국사회의 역사에서 매우 중요한 시기로서, 대외적으로는 국제정세가 급변하며, 대내적으로는 신라에 의해 통일되는 시기이다. 지성은 교육이라는 활동을 통해서 길러야 하는 교육적 인간상이므로, 교육은 지성 형성과정과 지성의 발현 및 전개과정이다. 의상은 자신의 본성을 깨닫기 위해 배움과 수행정진의 과정을 거치는 상구보리(上求菩提)와 깨달음을 바탕으로 중생을 이롭게 하는 높은 교화행을 펼치는 하화중생(下化衆生)의 삶을 실천하였다. 즉, 지성의 형성과정에서는 구도자적 자세로 자기교육에 충실했으며, 지성의 발현 및 전개과정에서는 제자교육을 통해 도인(圖印)이라는 형식을 활용한 지식의 확장, 창의적인 교육과정 운영, 제자의 능력을 고려한 교재개발 및 문답식 교수·학습방법의 적용과 교육공간의 확대를 통한 교육평등화의 실현에 기여하였다.

      • KCI등재

        지성사의 귀환과 도전 - 최근 영미 지성사학계의 동향을 중심으로 -

        민병희 ( Min Byounghee )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7 人文科學 Vol.0 No.64

        역사학계에서 한동안 주변화 되어왔던 지성사 분야가 최근 다시 활성화되고 있다. 역사학, 더 나아가 인문학이 현실과 미래에 대하여 목소리를 내는 본연의 역할을 회복해야 한다는 주장은 지성사의 귀환의 배경이 되고 있다. 지성사는 특히 지나친 전문화와 세분화로 인해 파편화된 분과학문 체계에서 학제간 소통을 가능하게 해주는 독특한 장을 제공하고 있다. 지성사 분야는 연구대상과 방법론에서 그 영역이 크게 확장되었다. 엘리트, 관념, 고급문화 위주라는 비판을 넘어서서, 민중, 현실, 대중문화를 적극적으로 다루기 시작하였고, 인접 학문 분야의 영향도 적극 수용하였다. 인접 분야에서도 지성사에서 다루었던 영역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쌍방이 접근해가며 상호간 접점이 넓어졌다. 그동안 지성사에서 연구대상으로 여기지 않았던 심리, 감정, 경험 등도 지성사의 영역으로 들어오고 있다. 최근 역사학계는 전지구화, 디지털 인문학의 발달, 시공에 대한 인식론적 전환 등의 영향으로 확장된 시공간에서 역사를 바라보게 되었다. 이러한 경향은 지성사에도 반영되어, 글로벌 히스토리가 거의 적용되지 않았던 지성사 분야에서도 “글로벌 지성사”에 주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영역의 확대가 안이한 절충주의적 태도로 인해 딜레탕티즘으로 이어지지 않을까 하는 우려도 있다. 지성사가 가진 `학제성`의 특성을 장점으로 살리면서도 딜레탕티즘으로 전락하지 않고 학문분야로서의 정체성과 수준을 유지하는 방법은 학제성에 대한 본질적 성찰과 학제적 작업이 실제로 행해지는 과정을 개선하려는 노력에 달려 있다고 생각한다. Intellectual history, which had been marginalized in the field of history during the past several decades, has been recently revitalized. The context of the return is the spread of the conviction that the humanities including historical studies should take their responsibility for the present and the future of the world. Intellectual history provides a special space of interdisciplinary communication for the academia and universities which are suffering from the fragmentation of the highly specialized discipline system. Over the past few decades, intellectual history has expanded its realm of research. It has overcome the criticism of elitism and idealism and stretched its research subjects over the people, real life, and popular culture. Intellectual history has been influenced by diverse methodologies and perspectives in the related disciplines. Other disciplines have developed interests in the subjects of ideas, knowledge, and high culture which have been the traditional realm of intellectual history. Now the realm of research is largely overlapped between intellectual history and other related disciplines. The new objects such as psychology, emotion, experience are also expanding the realm of intellectual history. Globalization, digital humanities, and the epistemological turn for the space and time recently change the landscape of historical studies. Consequently “global intellectual history” has emerged in the field. Despite the rosy description of the field, some intellectual historians are concerned about eclecticism which could obfuscate what unites intellectual history as a sub-discipline and fall into dilettantism. Intellectual historians should reflect on the nature of its interdisciplinarity and improve the real procedures of interdisciplinary works in order to develop intellectual history as a vital field par excellence.

      • KCI등재

        레비의 집단지성 : 대중지성을 넘어 전문가지성의 가능성 모색

        최항섭(Hang Sub Choi)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009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학보 Vol.26 No.3

        정보사회의 다양한 현상들을 설명해주는 개념으로 ‘집단지성’이 부각되고 있다. 집단지성은 정보기술을 활용하여 다양한 주체들이 서로의 경험, 정보, 지식을 공유하면서 새로운 지식을 생산해내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최근 한국에서는 촛불집회 등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시민사회적 현상을 설명하는 데 있어 집단지성 개념을 활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런데 레비가 제시하고 발전시킨 집단지성에 있어서 그것이 ‘어떤 집단’이냐인가에 대해서는 이론적으로 보다 주의깊은 성찰이 요구된다. 먼저 레비는 초기 저작물을 통해서는 대중지성으로의 집단지성의 가능성을 열어 두었다. 대중의 지혜에 기반한 대중지성은 네트워크의 구조수평화, 탈근대에서의 권위해체화를 배경으로 새로운 지식생산의 주체로 부상할 잠재력이 충분하다는 것이다. 하지만 레비는 2000년대 이후의 논문들을 통해 오히려 전문가 지성 중심의 집단지성을 강조하고 있다. 그는 전문가들의 파편화, 귄위주의로 인해 전문가에 대한 신뢰가 하락하였음을 비판하면서, 이를 극복하는 방법으로 정보기술을 활용한 전문가 지성의 협업을 제기하였다. 전문가 지성의 협업은 전문가에게는 생존의 문제이며, 인류에게는 새로운 지식생산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것이다. This article looks into an aspect of meaning of collective intelligence, concept developed by Pierre Levy. Recently, this concept is often used to explain social phenomenons related to the civic movement via internet. Though, there has not been any attempt of theoretical approach on this concept. In his earlier articles, Levy seemed to have focused on the role of ‘ordinary people’ in collective intelligence. Collective intelligence is, in this context, nothing more than the intelligence of mass. Based on the network effect and post-modernity, collective intelligence as the intelligence of mass is being spot-lighted as the alternative subject to produce knowledge. However, in his late articles(after 2000’s), Levy emphasizes on the need of collaboration of so called ‘intellectuals’ and ‘experts’ in collective intelligence. So fragmented, intellectuals now should try to collaborate together sharing their data, information, and knowledge via information technology. It is indispensable to produce and create knowledge.

      • KCI등재

        감수성과 상상력의 리얼리즘

        허선애(Heo, Seon-ae) 한국현대문학회 2017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51

        이 글은 『문학과 지성』의 문학론에서 나타나는 문학정신으로서의 리얼리즘의 양상을 분석하고 그것이 지성론의 대두와 결부되어 있음을 밝히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들이 말하는 리얼리즘은 사조나 기법으로서 아니라, 가시적인 세계이면에 놓인 진실을 응시하는 문학 정신으로서의 리얼리즘이다. 또한 개인적 체험을 그려내는 것을 통해 역설적으로 리얼리티는 가능한 것이다. 이 ‘체험’이라는 표현은 『문학과 지성』에서 반복적으로 활용되는 비평의 기준인데, 이는 단순한 경험의 의미가 아니라, 가시적 세계 뒤에 놓여있는 진실의 다른 이름이다. 이른바 4·19세대들은 한 좌담에서 자신이 ‘타인이 아니라는 의식’과 ‘타인이 되려는 노력’을 감수성이며, 진정한 참여라고 표현한 바 있다. 타인의 삶을 작가가 ‘체험’하는 가능성, 타인의 삶을 통해 무언가를 ‘주고받을’ 가능성이 ‘감수성’에 근거해 있다면, 그 감수성을 통해 얻은 체험을 형상화하는 것은 ‘상상력’에 있다. 시인이 “지게꾼의 삶을 개인적 고뇌의 대상으로 파악”해야 한다는 표현은, 감수성과 상상력에 기반한 `참여`라는 『문학과 지성』의 문학론을 대변한다. 그러나 김현은 이러한 리얼리즘이 한국 사회에서는 불가능하다고 판단하며, 그 원인을 시민계급의 부재에서 찾는다. 시민계급의 부재를 메울 수 있는 것은 ‘지성인’의 형성이며, 『문학과 지성』을 통해 올바른 ‘지성’을 길러내는 것이 이 잡지의 창간 목적이다. 이때의 ‘지성’은 상상하고 창조하는 정신이며, 세계에 질문을 제기하는 힘이다. 그러므로 지성인은 리얼리스트의 임무를 지성적 작업을 통해서 이룩하는 것이다. 바르트의 ‘결핍된 참여’의 방식을 문학정신이라고 생각하는 문학과 지성 의 문학론에는 문학과 지성은 본질적으로 공존하는 것이며, 이 문학과 지성의 공존에서 문학의 정치성은 비롯한다.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aspect of realism as a literary spirit in Mun-ji and to reveal that it is associated with the intellectual theory. Kim Hyun criticizes the ‘vraisemblance’ and ‘verisme’ as merely stereotypes, and discusses the true realism. The realism is not a literary trend or a technique, but realism as a literary spirit gazing at the truth behind the visible world. In addition, by expressing a personal experience, the reality paradoxically is possible. This "experience" is repeatedly used in Mun-ji, which is not a mere experience, but a different name for the truth behind the visible world. The 4·19 generation expressed the consciousness of being others and the effort to be others as "sensibility" and a genuine commitment. The possibility of the artist "experiencing" the life of others is based on "sensibility", and it is in the "imagination" that the experience acquired through the sensibility is expressed. "Commitment" based on sensibility and imagination is a literary theory of Mun-ji. However, such realism is impossible in Korean society, because there is no "intelligence" or "civil classes" in the society at that time. The formation of the "intellectuals" can overcome the absence of the civil classes, and the purpose of Mun-ji is to cultivate the "intelligence". The "intelligence" is the spirit of imagination and creation, raising questions to the world. Therefore, the intellectuals are to accomplish the task of realists through intellectual works. Literature and intellect coexist in essence in literature, which considers Barthes"s "failed commitment" as a literary spirit.

      • KCI등재

        인간 지성의 발전단계에 대한 신플라톤주의적인 해석 -리디아의 프리스키아노스 (위僞-심플리키오스)의 <영혼론 주해>를 중심으로-

        박규희 한국중세철학회 2019 중세철학 Vol.0 No.25

        This paper examines the theory of intellect shown in Priscian’s commentary on De anima (CAG XI) which was known as Simplicius’ commentary. Claiming that the truth in philosophy should be in the unity of Aristotle and Plato, Priscian set forth his own neoplatonic thoughts by which he explains the text of Aristotle’s De anima. In this paper it will be shown what Priscian’s theory about intellect in the human soul is, focusing on his interpretation and neoplatonic reception of some principal issues in De anima such as three stages of development of the human intellect, imagination and the passible intellect. Therefore, this paper is understood as a case study about a neoplatonic reception and interpretation of Aristotle’s De anima in the late antiquity. In Priscian’s theory Aristotle’s three stages of the development of the human intellect corresponds to the neoplatonic tripartite structure of the intellect. According to Priscian of Lydia, the human intellect consists of the substantial intellect which is in the rational soul the cause of all intellectual activities and the intellect which proceeds and outgoes from it. The proceeding intellect is divided into the imperfect and the perfected intellect in accordance with the ontological status of the object of its apprehension. The outgoing intellect transfers from a state of imperfection to that of perfection and then to that of actual thinking which is identified with the higher, substantial intellect in a derived sense. For Priscian the involvement of imagination in thinking and the necessary connection with body is not understood as a complete reliance of imagination on sense-perception, but as a forming and defining faculty for sense organ. As for the passible intellect, it is understood not as that which would perish just on account of its union with the body. The destruction of the passible intellect is rather to be understand in a sense that the intellect destructs itself, inasmuch it is a caused thing, to return to essential itself as a cause. Interpreting the concept of imagination and the passible intellect in new ways, Priscian adopts the Aristotelian tripartite development of the human intellect for the tripartite ontological structure of the intellect in the neoplatonic System 본 논문은 심플리키오스의 저작으로 알려져 있는 영혼론 주해 (CAG XI)에나타난 프리스키아노스의 지성론에 대한 연구이다. 프리스키아노스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영혼론을 풀이하면서 자신의 고유한 신플라톤주의적인 사상을 적극개진하고 있다. 본 논문은 영혼론에서 지성의 발전단계와 표상력 및 수동지성에관한 논의와 그에 대한 해석을 중심으로 프리스키아노스의 이론을 알아보고자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영혼론의 신플라톤주의적인 해석과수용에 대한 한 가지 사례연구가 될 수 있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지성의 세 가지의 발전단계는 프리스키아노스의 인간 지성론에서의 신플라톤주의적인 삼중구조에 상응한다. 프리스키아노스에 따르면 인간의지성은 인간의 정신활동의 원인인 실체적 지성과 실체적 지성에서 유출된 발출지성으로 구성된다. 발출지성은 인식대상의 존재론적 지위에 따라 다시금 미완성 상태와완성 상태로 나뉜다. 인간의 지성은 미완성 상태에서 완성상태로 옮아가고, 그리고현실적으로 사유함으로써 실체적 지성과 동일하게 되는 것을 목표로 하는 발전과정으로 이해된다. 프리스키아노스는 인간의 표상력과 신체와의 결합을 감각기관에 대한 표상력의 전적인 종속으로 보지 않고, 감각기관을 규정하는 형상적 능력으로 이해한다. 또한 수동지성의 소멸은 신체의 소멸에 동반되는 소멸이 아니라, 유출된 자기 자신을 원인으로서의 자기 자신으로 되돌아가기 위해 지양한다는 의미에서의 소멸로 이해한다. 표상력과 수동지성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통해 프리스키아노스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인간 지성의 발전단계를 신플라톤주의 체계 안에서의 지성의존재론적인 발전단계로 해석하는 데에 성공한다

      • KCI등재

        「교수취임논문」의 새로운 세계이해의 의미와 한계

        최소인(So-In Choi) 한국현상학회 2007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35 No.-

        1770년의 「교수취임논문」은 『순수이성비판』에서 완성된 칸트의 비판사상의 싹을 담고 있다. 칸트는 이 「논문」에서 처음으로 감성계와 지성계, 감성적 인식과 지성적 인식을 선험적으로 구분한다. 감성적 인식에 관해 볼 때, 이미 1770년에 칸트는 『비판』의 〈선험적 감성론〉에 등장하는 시간과 공간에 대한 중요한 통찰들을 모두 획득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논문」에서 논의되는 지성계와 지성적 인식에 대한 이론은 『비판』의 주장과는 매우 상이하며, 대립적인 것으로 평가되기도 한다. 왜냐하면 「논문」에서는 『비판』에서와는 달리 순수지성에 의한 지성계에 대한 인식가능성이 긍정되며 지성적인 것(사물 자체)에 대한 형이상학이 학문으로서 인정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주장의 이면에는 칸트 스스로 『어느 심령술사의 꿈』에서 부정했던 사변 형이상학의 재건에 대한 욕심이 숨겨져 있다기보다는, 도덕과 종교의 영역을 위해 지성적 세계의 실천적인 근거를 확립하려는 실천적 관심이 숨겨져 있을 뿐이다. 「논문」에서 감성계와 지성계, 감성적 인식과 지성적 인식을 구분한 후, 칸트는 순수한 지성인식의 학문인 도덕을 위해 지금까지와는 완전히 상이한 인식론적 토대 위에서 지성계에 대한 이론을 구축한다. 그러나 지성계에 대한 논의들 「논문」에서는 아직 확고한 구상 아래 체계적으로 서술되지 못한다. 상대적으로 짧은 지성계의 형식의 원리에 대한 장은 칸트가 지성적 인식과 지성계에 대해서는 치밀한 반성을 거치지 않은 채 대략적 인, 그러나 실제로는 많은 문제점을 담고 있는 구상 하에 지성적 세계를 구제-복원하고 개조-하고자 하는 근본이념만을 관철하고 있음 보여준다. 그러므로 도덕을 위해 지성적 세계를 복원하려는 최초의 시도라 할 수 있는 「논문」은 도덕적 신앙을 순수 철학으로 정립하고자 하는 이념만을 담고 있는 불완전한-따라서 10년 넘는 기간 동안의 숙고를 필요로 하는-시도라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