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중소 제조기업의 디지털 전환과 주요 요인에 관한 연구: 경기지역을 중심으로

        조군현,안정인,윤환희 중소벤처기업연구원 2023 중소기업정책연구 Vol.8 No.2

        본 연구는 경기지역 중소 제조기업을 대상으로 디지털 전환 관련 인식을 객관적으로 파악하여, 디지털 전환 분야 관련 사업 및 정책 수립에 필요한 기초가 되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접어듦에 따라 주요 선진국들은 제조업의 경쟁우위 확보를 위해 일찍이 디지털 전환을 통한 스마트제조 혁신을 중점과제로 추진하고 있다. 이에 우리나라 정부도 4차 산업혁명 시대 글로벌 흐름에 부합하기 위해 기업 부문의 디지털 전환을 촉진하여 중소 제조기업의 경쟁력 제고를 위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정책 추진 성과와 중소 제조기업의 디지털 전환 추진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경기지역 중소 제조기업의 디지털 전환 실태조사를 실시한 결과, 대부분의 중소 기업은 디지털 전환, 스마트공장 도입 등 디지털 제조혁신에 관심은 있지만, 정부 정책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여 디지털 전환에 인식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스마트공장 수요자인 중소기업 입장에서는 자금, 기술, 인력 등 경영자원이 부족한 상황에서 스마트공장 도입에 대한 적절한 유인이 제공되어야만 디지털 전환 정책이 소기의 성과를 걷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결과는 디지털 투자에 대한 성과의 불확실성이 상존하고 있고, 대·중소기업이 납품과 하청의 생태계로 유지되는 한 중소 제조기업이 자발적으로 디지털 전환에 투자하거나 고도화할 유인은 매우 적기 때문이고 판단된다. 따라서 향후 중소 제조기업의 디지털 전환 정책은 중소기업의 디지털 관련 자발적 투자를 유인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perceptions related to digital transformation targeting small and medium-sized manufacturing companies in Gyeonggi-do, and to provide basic data necessary for establishing businesses and policies related to digital transformation. As we enter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major developed countries are promoting smart manufacturing innovation through digital transformation as a priority task early on to secure a competitive edge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In response, the Korean government is also promoting a policy to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small and medium-sized manufacturing companies by promoting digital transformation in the corporate sector to meet the global trend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As a result of conducting a survey on the status of digital transformation of small and medium-sized manufacturing companies in the Gyeonggi region to understand the performance of these policies and the status of digital transformation of small and medium-sized manufacturers, most small and medium-sized companies are interested in digital manufacturing innovation, such as digital transformation and smart factory On the other hand, lack of information on government policies has led to a lack of awareness in the digital transformation.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from the standpoint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MEs), who are consumers of smart factories, it can be said that the digital transformation policy can achieve the expected results only when appropriate incentives are provided for the introduction of smart factories in a situation where management resources such as funds, technology, and human resources are lacking. In addition, these results are judged to be due to the uncertainty of the performance of digital investment, and the incentive for small and medium-sized manufacturing companies to voluntarily invest in or advance digital transformation is very small as long as large and small businesses are maintained as an ecosystem of supply and subcontracting. Therefore, future digital transformation policies of small and medium-sized manufacturers need to find ways to attract SMEs' digital-related voluntary investment.

      • 경기도 중소기업 A/S지원 및 산업 생태계 육성방안

        문미성,김은경,박소영,김지혜 경기연구원 2017 정책연구 Vol.- No.-

        중소기업 제품에 대한 신뢰 및 경쟁력 제고를 위해 중소기업 A/S지원 필요성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어 왔다. 정부에서도 중소기업공동A/S센터를 운영지원하고 있으며, 경기도에서도 관련 조례를 발의한 바 있다. 본 연구는 중소기업 A/S지원의 타당성과 정책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그동안 정부 또는 업계에서 추진해온 중소기업공동A/S사업을 검토한 결과, 중소기업의 품목 · 업종이 다양하고, 동종업종내 부품표준화도 미흡하여 사업성이 낮아 해당사업이 중단되는 사례가 많이 나타났다. 정부가 지원하는 사업도 A/S콜센터에 한정하여 운영되고 있다. 정부 지원사업이 중소기업 A/S기능을 대체하기 보다는 단기적인 보완 역할에 그치고 있다. 중소기업의 A/S기능과 관련하여 중요한 경영 환경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첫째, 제품 생애주기와 부가가치 생산의 관계에서 생산 관련 부문의 부가가치 비중이 하락하고 유통, 설비유지, A/S 등이 차지하는 비중이 커진다. 제품-서비스융합, 리버스 엔지니어링 등과 관련된 비즈니스모델이 부각되고 있다. 둘째, 자원순환경제의 발전에 있어서 A/S의 역할이 부각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자원순환경제란 주로 리사이클링(폐기물의 재사용)에 그치고 있지만, A/S(Repair)는 손상된 제품을 폐기하지 않고 다시 원상태로 복원해 사용하는 것으로써 비용이 적게 들고 만족도도 높다. 셋째, 자원순환경제의 하위부문으로서 수리 · 재제조(Repair & Remanufacturing)산업이 새로운 사회적 경제사업모델로서 발전이 기대된다. 리페어카페가 지역사회공동체 활성화에 기여하며 세계적으로 확대되고 있으며, 유럽내에서 ‘수리’ 관련 사회적 기업들이 활성화되며 고용창출에 기여하고 있다. 중소기업 A/S 관련 시장 및 산업 생태계의 발전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수도권 성인을 대상으로 중소기업 제품구매 실태조사 결과, 소비자의 21.6%가 중소기업 제품이 고장 났어도 방치 또는 폐기한 경험(고장을 경험하지 않은 소비자 포함)이 있었다. 고장을 경험한 소비자만을 고려하면 약 40.3%가 고장을 수리하지 않고 방치하거나 폐기한다. 특히 건강의료기기와 가구 등이 제품을 수리하지 않고 방치 또는 폐기하는 비율이 높다. 향후 소비자의 90% 이상이 수리 및 재제조제품 구입의사가 있었으며, 이와 관련된 공동A/S시설 설치를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책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소기업 제품 판로지원형 A/S지원수요는 기존 정부지원사업 및 기반을 활용한다. 둘째, 경기도는 중소기업 제품 A/S와 관련된 산업생태계 구축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 산업구조의 고도화와 함께 제품순환주기의 마지막단계에서 비즈니스 영역이 확대됨을 주목해야 한다. 셋째, 자원순환경제실현의 수단으로서 ‘수리 및 재제조업’을 육성한다. 넷째, 초기단계에서는 정부 및 공공의 인프라 구축 지원이 필요하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정책수단으로써 1) 커뮤니티 리페어카페, 중소기업 제품 이동수리버스, 중소기업 제품수리 온라인플랫폼 등의 운영을 통한 마케팅 지원, 2) 수리 및 재제조 인력양성, 3) 수리 및 재제조연구개발 4) 사회적 기업 등을 통한 산업공동체 육성 등을 검토한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feasibility and policy direction of SME A/S support. There has been a question about the necessity of A/S support for SMEs in order to enhance competitiveness of SME products. The government has established and operated the joint A/S center for SMEs. The related ordinance was initiated in Gyeonggi-Do.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 utilization of SME A/S center is low and sustainability is low due to various reasons. The government-sponsored joint A/S center is also limited to A/S call functions. There has been a significant change in Business environment related to A/S function of SMEs. First, in terms of product life cycle, the portion of value-added in the production-related sector declines, and distribution, equipment maintenance, and after-sales service accounts for a larger portion. Business models related to product-service convergence, reverse engineering, etc. are highlighted. Second, A/S’s role in the development of resource circular economy becomes more important. In Korea, resource circular economy focuses on mainly recycling (reuse of waste), but A/S(Repair) is less costly and satisfactory because it restores damaged products to original condition without disposing and processing them. Third, the repair and remanufacturing industry as a sub-sector of the circular economy are expected to develop as a new social and economic business model. The repair café contributes to the activation of the community and is expanding globally. In Europe, “repair” related social enterprises are activated and contribute to job creation. Policy directions are as follows. First, demand for A/S support for SMEs needs to leverage existing government support projects and infrastructure. Secondly, Gyeonggi-Do needs to concentrate on building industrial ecosystem related to SME’s A/S. As the industrial structure is advanced, the business area is expanded at the end of the product circulation cycle. Third, the ‘repair and remanufacturing’ has to be fostered as a means of realizing the circular economy. Fourth, in the early stage, it is necessary for government to support public infrastructure construction.

      • KCI등재

        디지털 전환시대 중소제조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스마트팩토리 공간구성 연구 -전기 및 전자부품 제조업 태림산업(주)을 중심으로-

        이영주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3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8 No.5

        (연구 배경 및 목적) 디지털 전환시대 도래로 제조업 시장의 효율위기가 확대되는 가운데 중소제조기업의 열악한 작업환경과 생산직에 대한 부정적 인식은 전문 노동력 감소로 이어지고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중소제조기업은 새로운 산업 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스마트팩토리를 도입 중에 있다. 스마트팩토리는 기계의 생산성과 인간의 유연성이 결부될 때 최적화 되므로 기계와 인간간의 협업을 통해 생산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공간구성적 측면에서의 계획이 요구된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중소제조기업 경쟁력에 주요하게 작용하는 인적자원의 부족문제 해결을 위한 근로환경 수준 혁신과 스마트팩토리 도입에 따른 기술 활용 패러다임 변화로 근로환경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는 점에 주안점을 두었다. 이에 스마트팩토리를 도입한 중소제조기업 중 우수사례를 중심으로 공간구성을 분석함으로서 공간계획 시 기초자료로 활용됨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중소제조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전략으로 근로환경의 질적 향상을 위해 공간적 측면에서의 일터혁신 지수를 문헌분석을 통해 추출하였다. 그리고 중소제조기업 스마트팩토리 도입 성공요인을 선행자료 분석을 통해 추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공간적 측면에서의 일터혁신 지수와 스마트팩토리 성공요인과의 연관성을 찾아내어 분석모형을 구축, 우수사례 분석을 실시하여 중소제조기업 스마트팩토리 공간구성 방향에 대한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결과) 분석결과 해당사례는 중소제조기업 경쟁력강화를 위한 전략별로 공간구성요소가 다양하게 계획되어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선행연구를 통해 추출된 3개 전략인‘협력적 노사관례를 위한 정보공유와 의사소통’,‘고숙련 인적자원 개발을 위한 교육훈련 인프라’,‘참여적 작업조직을 위한 작업방식과 관리’는 모두 중소제조기업 스마트팩토리 도입을 위한 공간구성 전략으로 유효함을 알 수 있었으며 각 전략별로 도출된 총 7개 세부전략 또한 공간구성 시 모두 적합함을 알 수 있었다. (결론) 연구를 통해 중소제조기업이 디지털 전환시대 기술혁신을 통한 제조업 강화전략으로 스마트팩토리를 성공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기술과 인간의 협업을 고려한 공간구성적 측면에서의 고려가 필요하며, 기업에 대한 인식변화 개선을 통해 우수인재를 확보하고 나아가 고용증대 선순환 및 기업매출 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근무환경의 질적 향상을 고려한 공간계획이 중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공공 정보지원 인프라 활용한 제조 중소기업의 특징과 성과에 관한 연구

        김근환,권태훈,전승표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 2019 지능정보연구 Vol.25 No.4

        The small and medium sized enterprises (hereinafter SMEs) are already at a competitive disadvantaged when compared to large companies with more abundant resources. Manufacturing SMEs not only need a lot of information needed for new product development for sustainable growth and survival, but also seek networking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resources, but they are faced with limitations due to their size limitations. In a new era in which connectivity increases the complexity and uncertainty of the business environment, SMEs are increasingly urged to find information and solve networking problems.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the government funded research institutes plays an important role and duty to solve the information asymmetry problem of SM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differentiating characteristics of SMEs that utilize the public information support infrastructure provided by SMEs to enhance the innovation capacity of SMEs, and how they contribute to corporate performance. We argue that we need an infrastructure for providing information support to SMEs as part of this effort to strengthen of the role of government funded institutions; in this study, we specifically identify the target of such a policy and furthermore empirically demonstrate the effects of such policy-based efforts. Our goal is to help establish the strategies for building the information supporting infrastructure. To achieve this purpose, we first classified the characteristics of SMEs that have been found to utilize the information supporting infrastructure provided by government funded institutions. This allows us to verify whether selection bias appears in the analyzed group, which helps us clarify the interpretative limits of our study results. Next, we performed mediator and moderator effect analysis for multiple variables to analyze the process through which the use of information supporting infrastructure led to an improvement in external networking capabilities and resulted in enhancing product competitiveness. This analysis helps identify the key factors we should focus on when offering indirect support to SMEs through the information supporting infrastructure, which in turn helps us more efficiently manage research related to SME supporting policies implemented by government funded institu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e following. First, SMEs that used the information supporting infrastructure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ize in comparison to domestic R&D SMEs, but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luster analysis that considered various variables. Based on these findings, we confirmed that SMEs that use the information supporting infrastructure are superior in size, and had a relatively higher distribution of companies that transact to a greater degree with large companies, when compared to the SMEs composing the general group of SMEs. Also, we found that companies that already receive support from the information infrastructure have a high concentration of companies that need collaboration with government funded institution. Secondly, among the SMEs that use the information supporting infrastructure, we found that increasing external networking capabilities contributed to enhancing product competitiveness, and while this was no the effect of direct assistance, we also found that indirect contributions were made by increasing the open marketing capabilities: in other words, this was the result of an indirect-only mediator effect. Also, the number of times the company received additional support in this process through mentoring related to information utilization was found to have a mediated moderator effect on improving external networking capabilities and in turn strengthening product competitiven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several insights that will help establish policies. KISTI's information support infrastructure may lead to the... 제조 중소기업들은 지속적인 성장과 생존을 위해 새로운 제품 개발에 필요한 많은 정보가 필요할 뿐만 아니라 자원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네트워킹(networking)을 추구하지만, 규모의 한계로 인해 한계점에 봉착하게된다. 초연결성으로 인해 비즈니스 환경의 복잡성과 불확실성이 더욱 높아지는 새로운 시대에 중소기업은 신속한 정보 확보와 네트워킹 문제를 해결이 더욱 절실해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공공기관인 정부출연(연)구기관(이하 ‘출연(연)’)은 중소기업의 정보 비대칭성 문제를 해결해야하는 중요한 임무와 역할을 맞이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비즈니스 인텔리젼스의 경쟁 지능화(competitive intelligence) 기능과 외부 네트워크 활성화를위한 서비스 인프라(service infrastructure)의 기능을 포함한 공공 정보지원 인프라를 통한 간접지원의 성과를 확산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출연(연)이 중소기업의 혁신역량 제고를 위해 제공하는 공공 정보지원 인프라를 활용하는 중소기업의 차별적 특징을 파악하고, 인프라가 기업의 성과에 어떻게 기여하는 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출연(연)이 제공한 정보지원 인프라를 활용하는 제조 중소기업은 다른 중소기업과 어떤 차별적인 특정이 있는가? 라는 연구 질의를 도출하였다. 추가적으로 단순히 선택적 편의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넘어서 출연(연) 정보지원 인프라를 활용한 제조 중소기업의 특징을 복수 집단의 특징과 비교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둘째, 출연(연)이 제공하는 정보지원 인프라를 활용한 제조 중소기업의 외부 네트워킹 역량이 제품 경쟁력에 어떻게 기여했는가? 라는 연구 질의이다. 본 연구에서 공공 정보지원 인프라에 의해서 강화된 외부 네트워킹 역량이 어떻게 제품 경쟁력에 영향을 미쳤는지 정밀하게 분석하기 위해 복수의 변수에 대한 매개 및 조절 효과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모형을 도출하기하기 위해 첫째, 외부 네트워킹이 기술혁신성과에 영향력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였다. 일반적으로 기업들은 외부 네트워킹(networking) 전략을 통해 혁신에 필요한 가치 있는 정보를 획득할 수 있기때문에 기술혁신성과를 높일 수 있다. 정보 획득은 중소 제조기업 경영자의 혁신에 대한 인식을 강화할 뿐만아니라, 의사결정을 효율적으로 하여 경쟁력을 강화시킬 수 있게 된다. 대기업에 비해 인력과 자금의 규모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중소기업은 외부 조직과의 협력관계를 보다 적극적으로 추구한다. 둘째, 기술사업화 역량이기술혁신성과에 미치는 관계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였다. 기술사업화는 생산과 마케팅을 통합하여 새로운 기술을 만드는 역량을 말한다. 우수한 생산 역량을 보유한 기업은 소비자의 수요를 가격, 품질, 신기능 측면에서 신속하게 충족시킬 수 있어 시장내 경쟁우위를 창출하고, 그 결과로 높은 재무적 혁신적 성과를 가져온다고 본다. 혁신적인 기업은 생산 역량과 마케팅 역량에서 일반 기업보다 높은 성과를 나타내는데, 기술혁신성과의 대표지표로 제품 경쟁력을 지목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기업의 규모가 작을수록 새로운 혁신 정보를 확보할 수 있는자체 정보지원 인프라가 없는 경향이 있다. 중소기업용 정보인프라는 기업의 제품 또는 서비스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전략에 필요한 중요한 정보를 확보할 수 있어야 하며, 데이터에 대한 해석 기능이 있어야 하고, 기업의성장과 발...

      • KCI등재

        일반 논문 : 우리나라 중소 제조업의 생산성 성과와 그 결정요인: 정부의 정책자금 지원과 시장구조를 중심으로

        박창수 ( Chang Suh Park ),이윤재 ( Yoon Jai Lee ) 한국중소기업학회 2011 中小企業硏究 Vol.33 No.2

        본 논문은 우리나라 중소 제조업의 생산성 분석을 통해 경제적 성과를 살펴보고 시장구조와 중소 제조업 지원이 생산성에 미치는 효과를 실증 분석하였다. 우선 생산성 성과와 관련하여 중소 제조업, 중견 제조업, 그리고 대규모 제조업으로 나누어 살펴볼 때 중소 제조업의 생산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추정되었다. 중소 제조업의 생산성 증가를 산업별로 살펴보면 시계 및 시계부품 제조업, 코르크 및 조물 제품 제조업, 무기 및 총포탄 제조업, 화학섬유 제조업, 편조원단 및 편조제품 제조업 등에서 생산성 증가가 두드러졌으며, 우리나라 주력 산업이라 할 수 있는 반도체·전자산업, 그리고 자동차 산업의 생산성은 중하위권에 머무른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총요소생산성의 결정요인으로 시장구조와 중진공의 지원액(대출액)을 고려하였는데 시장의 독과점 정도가 클수록 총요소생산성은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으며 1인당 지원액은 (+)의 효과를 보이고 있으나 그 효과는 그리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흐름은 1인당 부가가치에도 유사한 영향을 보여 주었다. 다만 1인당 유형고정자산이 1인당 부가가치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중소 제조업에 대한 금융 지원이 생산성 향상에 좀 더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도록 하기 위한 정책 개선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Credit loans for small-and-medium enterprises (SMEs) have been one of the major issues on justification for supporting small-and-medium sized firms by governments because the capital flow into small-and-medium sized firms is not easy due to asymmetric information and market failure. It has been well known that the supporting policies of the Korean government for small-and-medium sized firms are various and broad compared with those in advanced countries. However, there has not been enough research on objective evaluations of policy supporting for small-and-medium sized firms and there have been different opinions on the evaluation methods and data used in analyses. There has been some literatur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olicy loan supporting and performances of SMEs in Korea. Kim (2004) used data on policy loan at firm-level over the period of 1998~2003 and analyzed the ratio of operating gains to revenue between firms with policy loan and firms without policy loan. Kim (2004) found that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performance of the ratio of operating gains to revenue. However, there is some positive effect, in the short term, of policy loan on management improvement for the business establishment firms. Noh (2010), using firm-level data, empirically analyzed the outcomes of SMEs investment associated with policy loans from ``Small and medium Business Corporation``, a representative non-profit, government-funded organization. The sample size in Noh (2010) was about 20,000 SMEs supporting policy loans over the period of 2002~2008. He was concerned whether the policy loans made firms more profitable or do recipients simply have easier access to commercial credit without policy loans. According to the empirical results in Noh (2010), the policy loans, other things being equal, improved profitability of SMEs for the short-term period after the program was applied. The positive profit-enhancing effect is also stronger for start-up SMEs and SMEs in the earlier stages rather than older SMEs. Secondly, policy loans that have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the growth rates of sales is greater for the loans associated with venture SMEs in their start-up and early growth stages and with the commercialization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and R&D results. Third, the effect of financial accessibility of the recipients to the commercial credit without policy loans has not been found in our financial data. These findings imply that when providing policy loans it is more desirable to target the prospective young SMEs rather than matured ones. This paper analyzes the trends of productivity performances of the manufacturing sector in Korea by separating the manufacturing sector into three groups over the period of 2000~2008 and empirically examines the determinants of productivity by focusing on government`s policy loans and market structure only for small and medium manufacturing sector over the period of 2005~2008 due to a data availability problem. In estimating total factor productivity, this paper uses the Malmquist productivity change index method, which decomposes productivity change index into efficiency change index and technical change index by using data envelopment analysis. In investigating productivity performances by industry size, this paper categorizes the sample of the Korean manufacturing sector used in this paper into three groups: small and medium sized manufacturing industries with less than 300 workers, middle-large sized ones with 300 or more workers and less than 1000 workers, and large-sized manufactures with 1000 or more workers. Based on three-digit manufacturing industry classification, the number of small and medium sized manufacturing industries, middle-large ones, and large sized ones is 82, 31, and 25, respectively, over the period of 2000-2008. The data used in estimating productivity performances is from the website of the Korean National Statistics Office. In estimating productivity, output is measured by value-added at industry-level and inputs are the number of workers as a proxy variable of labor and tangible fixed asset as a proxy of capital in production function. The data for policy loans is from the Small and medium Business Corpora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n total factor productivity using the Malmquist productivity change index, large-sized manufacturing industries achieved the highest productivity performance and small and medium sized manufacturing industries achieved the lowest productivity performance over the whole period. In finding the sources of productivity performance, technical progress has played a more important role in small and medium sized manufacturing industries, while efficiency improvement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middle-large and large sized manufacturing industries. When we focus on the productivity performances by industry for small and medium sized manufacturing industries, manufacture of watches, clocks and its parts (C274), manufacture of articles of cork, straw and plaiting materials (C163), manufacture of weapons and ammunition (C252), manufacture of man-made fibers (C205), and manufacture of knitted fabric mills and fabric products (C133) are ranked the top 5 in productivity performance. On the other hand, major industries in Korea such as semiconductors, electronics and communication apparatuses, and motor vehicles are ranked in the middle class. This paper also empirically analyzed the determinants of productivity performances in the small and medium sized Korean manufacturing sector by focusing on government policy loans to support small and medium sized firms and market structure. The sample used in this paper is eighty industries for small and medium sized manufacturing sectors over the period of 2005~2008. In estimating the determinants of productivity performances, this paper uses panel data methods, that is, fixed effect model and random effect model, and one of them has been selected by the Hausman test. In measuring market structure, this paper calculates CR3 (concentration ratio of top 3 firms` sales share in the market) by industry based on 3-digit industry classification. According to the empirical results, there is a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degree of market power and productivity and the effect of government policy loans on productivity is very inelastic even though it has a positive relation with productivity performance. Furthermore, both government policy loans and tangible fixed assets also have a positive effect on value added per worker. However, the latter has more important role in improving productivity rather than the former. The empirical findings in this paper imply that a more effective government loan policy is required to improve the productivity performance of small and medium manufacturing firms in Korea. The limit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this paper uses the data at industry level rather than at firm level. However, firm level data would be more affordable because government loans are for individual firms and individual firm`s management behavior would be reflected in productivity performances. Therefore, research on firm level data might be more reasonable. Second, the time period for the empirical test is relatively short, but there are short-term and long-term effects of policy loans on productivity. However, due to data availability this paper deals with only short period data.

      • KCI등재

        한국전쟁 이후 제조업 복구 논의와 중소기업개발계획의 도입

        박광명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20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104

        In the 1950s, the U.S. had promoted the Industrial Projects(中小企業開發計劃) as part of U.S. Economic Aid to Korea. The Industrial Projects were the project assistance to support the construction and facility expansion of Korea's small and medium-sized manufacturing plants through Aid funds and Counterpart Funds. At that time, most of the small and medium-sized Korean companies, except for state-owned enterprises, made a foundation for growth to companies that were import substituting industry and export-driven industries. In addition, the Industrial Projects were the major aid project that allowed Korean companies to experience the accumulation and utilization of capital in the process of growth. However, no full-fledged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the Industrial Project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background, procedures and overall status of the introduction of the Industrial Projects. The study identified the status of manufacturing industries in Korea after liberation, the damage caused by war, and the United Nations and the United States' plans for post-war manufacturing recovery through the Nathan Preliminary Report and the Tasca Report. Finally, by examining the operational procedures and procedural features of the Industrial Projects that have not been properly analyzed so far, and the overall status of the plan from 1954 to 1958, this study provides a turning point to understand the details of the Industrial Projects. 1950년대 미국은 대한경제원조정책의 일환으로 중소기업개발계획(Industrial Project)을 추진하였다. 중소기업개발계획은 원조자금과 대충자금 융자를 통해 한국의 중소제조가공업 공장의 건축과 시설 확장을 지원했던 계획원조(Project Assistance) 사업이었다. 당시 국영기업체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중소규모였던 한국의 기업들은 이를 바탕으로 수입대체산업과 수출지향산업을 지향하는 기업체로의 성장 기반을 마련하였다. 더불어 중소기업개발계획은 한국 기업들의 성장 과정에 자본의 축적과 활용을 경험하게 했던 주요한 원조 사업이었다. 하지만 중소기업개발계획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는 진행되지 않은 상황이다. 이에 본고는 중소기업개발계획의 도입 배경과 절차, 총괄 현황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본고는 해방 이후 한국의 제조업 현황과 전쟁으로 인한 피해 상황, 그리고 전후 제조업 복구를 위한 UN과 미국의 계획을 「네이산 예비 보고서」와 「타스카 보고서」를 통해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현재까지 제대로 분석되지 못했던 중소기업개발계획의 운영 절차와 절차상 특징, 그리고 1954년부터 1958년에 이르는 계획의 총괄 현황을 살펴봄으로써 이후 중소기업개발계획의 세부적인 내용을 이해하기 위한 전기를 마련하고자 한다.

      • KCI등재

        중소제조기업의 기업가정신과 수출성과 관계에서 제품차별화 역량의 매개효과

        조연성(Yeon Sung Cho) 한국통상정보학회 2012 통상정보연구 Vol.14 No.3

        본 연구는 우리나라 중소제조기업의 수출성과 결정요인을 살펴보았다. 우선 기존 연구를 살펴보고, 수출성과 선행요인으로 기업가정신과 제품차별화 역량을 설정하였다. 또한, 수출성과의 선행요인으로서 제품차별화 역량을 기업가정신과 수출성과의 매개요인으로 분석하였다. 이로써, 기업가정신, 제품차별화 역량 그리고 수출성과의 통합적 모형을 구축하고 그 관계를 살펴보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실증분석에서는 국내 중소제조 수출기업 152개 표본에 PLS(Partial Least Square) 분석을 이용하였다. 분석도구는 SmartPLS2.0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중소제조기업 기업가의 위험감수성과 혁신성은 제품차별화 역량과 수출성과에 모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제품차별화 역량 역시 중소제조 수출기업의 수출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준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매개효과 분석에서는 제품차별화 역량이 기업가정신 중 혁신성과 수출성과 사이에 유의한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그러나 위험감수성에는 유의한 매개효과를 나타내지 못했다. 이러한 결과는 중소제조 수출기업에 제품차별화 역량이 필요할수록 적극적으로 혁신성향을 추구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즉, 제품차별화를 시도할 때 위험감수성보다 혁신성향을 강조하는 것이 의미가 있음을 보여준다. 이에 본 연구는 제품차별화 역량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점에서 동적역량이나 경쟁우위 관점에서 중소제조기업의 수출성과를 살펴보려는 연구에 이론적 시사점을 가진다. 또한, 중소제조 기업 경영자에게는 위험감수성과 혁신성의 역할이 모두 중요하지만, 낯선 환경의 외국시장 경쟁에 필요한 제품차별화 역량에는 혁신성향의 역할에 더 주목해야 한다는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determinants of export performance of small and medium sized manufacturing companies in Korea. Depending on the existing research, taking entrepreneurship and product differentiation capabilities as antecedents of export performance. In addition, the product differentiation capabilities examined whether the role of the mediating effects between entrepreneurship and export performance. Thu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look at the integrated model of entrepreneurship, product differentiation capabilities and export performance building and their relationship. On 152 domestic companies, empirical analysis was performed.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PLS(Partial Least Square). And analysis tools were used SmartPLS2.0. I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risk tolerance and innovativeness of small and medium sized manufacturing businesses, entrepreneurs and product differentiation competence have positive impact export performance in both. Product differentiation capabilities also confirmed that it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export performance of small manufacturing export enterprises. In analysis of the mediated effect in product differentiation capacity showed a significant mediated effect between innovativeness and export performance. But mediated effects did not indicate a significant risk tolerance. these results suggests the need to actively pursue innovation that more product differentiation capabilities required in export companies to small and medium-sized manufacturing. In other words, when attempting to highlight product differentiation, based on innovation, rather than risk tolerance. In terms of analyzing the mediated role of product differentiation capabilities, this study has theoretical implications for the future research to look at the antecedents of export performance from the perspective of dynamic capabilities and competitive advantage. Also, practical implications in this regard as the innovativeness and taking risks to all important to CEO of small manufacturing enterprises but, stranger in the foreign market competition environment, the role of innovation product is required on raising product differentiation capabilities are presented.

      • KCI등재

        전후복구 이후(1957∼1958)중소기업개발계획의 운영과 성격

        朴光明(PARK Kwang-myeong) 한국근현대사학회 2021 한국 근현대사 연구 Vol.98 No.-

        The ‘Industrial Projects(中小企業開發計劃)’ is a planning aid project by the International Cooperation Agency for Korea’s ‘Small and Medium Manufacturing and Processing Industry’. Considering that most of Korea’s manufacturing industries were small and medium-sized companies in the 1950s. Nevertheless, there have been few full-scale studies on Industrial Projects in academia. Therefore, this paper analyzed the detailed development process and nature of the Industrial Projects after the post-war recovery(1957-58 fiscal year). From 1956 to 57, when the post-war recovery was partially carried out, discussions on changes in the U.S. economic aid policy and accounting audits were conducted. This served as the background for the application of improved regulations and operating methods for Industrial Projects. The Industrial Projects after the fiscal year 1957 was additionally allocated aid funds to projects that supplement or expand the existing plan, and was operated according to a relatively reasonable plan establishment and operation method compared to the previous period. The Industrial Projects after post-war restoration was aimed at replacing imports, but it was also operated in consideration of export possibilities. Aid funds were also allocated to projects that reflected social needs and atmosphere after post-war restoration. In particular, the Industrial Projects in fiscal 1958 supplemented the existing shortcomings from selection to management compared to the previous four-year projects, so beneficiary companies achieved results such as overseas exports in the 1960s. ‘중소기업개발계획’은 한국의 ‘중소규모 제조가공업’에 대한 국제협조처의 계획원조 사업으로, 1950년대 한국의 제조업 대부분이 중소규모 형태의 기업체들이었음을 감안하면, 해당 원조 프로그램의 한국의 제조업 발전에 큰 영향을 주었다. 그럼에도 그간 학계에서는 중소기업개발계획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가 거의 시도되지 못하였다. 이에 본고에서는 전후복구 이후(1957~1958회계연도)의 중소기업개발계획의 세부 전개 과정과 성격에 대해 분석하였다. 전후복구가 일정 부분 진행된 시점인 1956~1957년도를 기점으로, 미국의 대한경제원조정책 변화 논의와 회계감사가 진행되었다. 이는 중소기업개발계획에 대한 개선된 규정과 운영 방식이 적용되는 배경이 되었다. 이러한 1957회계연도 이후의 중소기업개발계획은 기존의 계획을 보완하거나 확장하는 사업들에 원조자금이 추가로 배정되기도 하였으며, 기존 시기에 비하면 상대적으로 합리적인 계획의 수립과 운영 방식에 따라 운영되었다. 전후복구 이후의 중소기업개발계획은 수입대체를 기본 목적으로 하였으나, 수출 가능성 역시 고려하여 운영되었다. 전후복구 이후의 사회적 필요와 분위기가 반영된 사업에 원조자금이 배정되기도 하였다. 특히 1958회계연도의 중소기업개발계획은 이전 4개 연도 사업들에 비해 선정에서부터 관리까지 기존의 단점이 보완되었기에, 수혜기업들이 1960년대에 이르러 해외 수출 등의 성과를 내기도 하였다.

      • KCI등재

        중소기업 내수 판로 활성화를 위한 온라인플랫폼 지원 방안 연구

        이진화(Jinhwa Rhee) 한국유통학회 2015 流通硏究 Vol.20 No.4

        메가 FTA시대와 세계경기의 구조적 장기침체를 맞이하여, 오늘날 국내 중소기업들은 기업의 생존과 성장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이러한 거시적 경제 환경변화는 중국 저가제품의 세계 시장 진출을 촉진하고 해외 수요를 위축시킴으로서 그동안 꾸준히 성장해오던 중소기업의 대외 수출 실적을 둔화시키고 있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국내 내수시장의 중요성이 커지는 가운데 이 역시 국내유통 산업의 독과점화와 그로 인한 불합리한 거래관행들로 인해 중소기업의 진입이 수월치 않은 실정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중소제조기업의 판로 문제와 관련하여 중요성이 커진 내수시장에서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찾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특히 최근 유통 트렌드로서 주목할 수 있는 온라인소비 시장을 대상으로 향후 정책 방향과 과제를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결과는 현재 국내외 유통환경의 흐름과 국내외 중소기업 온라인마케팅 지원정책 현황 등을 토대로 네 가지 주요한 지원방안을 제시하고 있는데, 가장 먼저 현행의 다양한 중소기업 온라인 플랫폼 지원 정책과 함께 민간 온라인유통 사업자와의 공정한 거래문화 조성 제도가 강화‧병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중소기업 지방청과 지역 중소기업진흥공단 사무소 등 중소기업자와의 접근성이 가까운 기관들을 통해, 보다 적극적인 민원 수렴과 공정 거래 교육이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정책은 정부의 지원은 한시적이고 소수 기업에 국한될 수밖에 없다는 한계를 극복하고, 장기적으로 중소기업의 자생력을 높이기 위한 필요조건이다. 두 번째로는 공영채널(아임쇼핑, TV홈쇼핑)의 옴니채널화에 적극적인 투자가 필요하다. 특히 최근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는 모바일 기기와의 연동이 시급하며, 특유의 ‘공공성’이 갖는 ‘신뢰’를 기반으로 한 소셜커머스 유형의 우선 활용이 검토될 수 있다. 세 번째는 온라인채널 유형별 기업/제품 맞춤형 지원기반 마련으로, 이를 위해서는 민간 온라인조사 기업이 제공하고 있는 다양한 온라인쇼핑 추세 분석 자료를 수집하여 통합정보 사이트를 통해 중소제조기업에게 제공되도록 하는 방안이 논의될 수 있다. 이러한 정책은 중소기업이 취약한 시장과 소비자 정보 수집 및 분석 역량을 보완해주고, 잠재적 정책 수혜대상을 넓히는 효과를 기대하게 한다. 마지막으로 민간사업자들과 중소제조기업의 수익공유형 제휴를 지원하는 방안이 있다. 이는 정부와 사업 참여를 제휴한 민간 온라인플랫폼 사업자와 다양한 마케팅관련 기업들이 우수한 제품력을 가진 중소제조기업과 일정 사업기간에 대해 수익공유형 계약을 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정책 모델은 민간사업자들의 인적/재정적 투자를 전제로 하여 지원기간동안 이들의 자발적 참여를 촉진시킬 수 있고, 지원 후에도 기업 간 직접 연결된 네트워크가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