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형 당뇨병 환자에서 불면증과 우울 증상의 관련성

        이진환,전진숙,최영식,김호찬,오병훈 한국정신신체의학회 2019 정신신체의학 Vol.27 No.1

        Objectives:Many of the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are associated with sleep problems, and the rate of insomnia is known to be higher in the general population.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know the frequency and clnical characteristics of insomnia, and related variables to insomnia in patients diagnosed with type 2 diabetes. Methods:For 99 patients from 18 to 80 years of age (65 males and 34 females) with type 2 diabetes, interviews were performed. Total sleep time and sleep latency was evaluated. Insomnia was evaluated using the Korean Version of the Insomnia Severity Index (ISI-K). Severity of depressive symptoms were evaluted using the Korean version of the Hamilton Depression Scale (K-HDRM). According to the cutoff score of 15.5 on the ISI-K, subjects were divided into the group of type 2 diabetics with insomnia (N=34) and those without insomnia (N= 65) at first, and then statistically analyzed. Results:TInsomnia could be found in 34.34% of type 2 diabetics. Type 2 diabetics with insomnia had significantly more single or divorced (respectively 11.8%, p<0.05), higher total scores of the K-HDRS (11.76±5.52, p< 0.001), shorter total sleep time (5.35±2.00 hours, p<0.001), and longer sleep latency (50.29±33.80 minutes, p< 0.001). The all item scores of the ISI-K in type 2 diabetics with insomnia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type 2 diabetics without insomnia, that is, total (18.38±2.69), A1 (Initial insomnia) (2.97±0.76), A2 (Middle insomnia) (3.06±0.69), A3 (Terminal insomnia) (2.76±0.61), B (Satisfaction) (3.18±0.72), C (Interference) (2.09±0.97), D (Noticeability) (2.12±1.09) and E (Distress) (2.21±0.81) (respectively p<0.001). Variables associated with insomnia in type 2 diabetics were as following. Age ha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A3 items of the ISI-K (β=-0.241, p<0.05). Total scores of the K-HDRS ha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hile total sleep time ha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all items of the ISI-K (respectively p<0.05). Sleep latency ha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otal,, A1, B and E item scores of the ISI-K (respectively p<0.05). Conclusions:Insomnia was found in about 1/3 of type 2 diabetics.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insomnia, clinical characteristics including sleep quality as well as quantity seemed to be different. Because depression seemed to be correlated with insomnia, clinicians should pay attention to early detection and intervention of depression among type 2 diabetics. 연구목적: 2형 당뇨병을 지닌 환자의 다수에서 수면문제가 동반되며, 이들에서 불면증의 비율은 일반 인구에 비해서높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2형 당뇨병 환자에서 불면증의 발생빈도, 불면증의 임상적 특징 및 이에 연관되는 변인을 알아보기 위함이다. 방법: 2형 당뇨병으로 진단받은 18세에서 80세 이하의 99명(남자 65명, 여자 34명)을 대상으로 연구자 1인(제1저자)가 면담을 시행하였다. 면담으로 수면 잠복기, 총 수면시간을 조사하였고, 한국판 불면증 심각도 지수(Korean Version of Insomnia Severity Index, ISI-K) 평가하고, 우울증상의 심각도는 한국판 Hamilton 우울증평가 척도(Korean Version of the Hamilton Depression Rating Scale, K-HDRS)로 평가하였다. ISI-K의 절취점 15.5점을 기준으로 불면증 있는 군(N=34명)과 불면증 없는 군(N=65)으로 양분하여 불면증군과 대조군의여러 변인과의 연관성을 상관분석하고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검토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결과: 2형 당뇨병 환자의 34.34%(N=34)에서 불면증이 있었다. 불면증이 있는 2형 당뇨병 환자군은 불면증이 없는2형 당뇨병 환자군보다 유의하게 미혼(11.8%)이나 이혼(11.8%)이많았고(p<0.05), K-HDRS 총점(11.76±5.52 점)이 높았으며(p<0.001), 총수면시간(5.35±2.00시간)이 짧았고(p<0.001), 수면잠복기(50.29±33.80분)가 길었다(p<0.001). 불면증이 있는 2형 당뇨병 환자군은 불면증이 없는 2형 당뇨병 환자군보다 ISI-K 검사상 합계(18.38±2.69점), A1 (입면)(2.97±0.76점), A2 (수면유지)(3.06±0.69점), A3 (일찍 깸)(2.76±0.61점), B (수면만족도)(3.18±0.72점), C (수면장애로 인한 기능방해)(2.09±0.97점), D (남이 알아차림)(2.12±1.09점), E (수면장애에 대한 걱정)(2.21±0.81점) 등 모든 항목의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다(각각 p<0.001). 2형 당뇨병 환자에서 불면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다음과 같다. 나이는 ISI-K A3 항목과 유의한 역상관관계가 있었고(β= -0.241, p<0.05), K-HDRS 총점은 ISI-K 모든 항목과 유의한 순상관관계가 있었으며(각각 p<0.05), 총수면시간은 ISI-K 모든 항목과 유의한 역상관관계가 있었다(각각 p<0.05). 수면잠복기는 ISI-K 합계, A1, B, E 항목과 유의한 순상관관계가 있었다(각각 p<0.05). 결 론: 2형 당뇨병 환자의 약 1/3에서 불면증이 존재하며, 불면증이 없는 2형 당뇨병 환자군과 수면의 양적 및 질적차이가 있음을 시사한다. 우울증상의 심각도는 2형 당뇨병 환자의 불면증과 상관관계가 있으므로 우울증의 조기 발견과 치료가 요구된다.

      • KCI등재

        임신성 당뇨 과거력의 여성에서 제2형 당뇨병 발생과 LEP 및 LEPR 유전자의 연관성 분석

        박영준 ( Young Joon Park ),김세련 ( Se Ryun Kim ),김종욱 ( Jong Wook Kim ),김민형 ( Min Hyeung Kim ),양재혁 ( Jae Hyug Yang ),김형진 ( Hyeong Jin Kim ),조율희 ( Youl Hee Cho ),정성노 ( Sung Ro Jung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8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1 No.2

        목적: 임신성 당뇨 과거력의 여성이 산후 약 반수에서 제2형 당뇨병으로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몇 가지 임상적 위험 인자가 제2형 당뇨병 발생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유전자와의 관련성에 대한 보고는 아직 없다. 본 연구는 leptin 및 leptin receptor 유전자가 임신성 당뇨의 과거력을 가진 여성에서 향후 제2형 당뇨병으로의 발병에 관여하는지 알아보고자 하는데 있다. 연구방법: 1992년 1월 1일부터 2002년 12월 31일까지 산부인과에 내원하여 임신성 당뇨로 진단된 여성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시점에서 제2형 당뇨병으로 확인된 경우를 제2형 당뇨병 양성군, 확인이 안 된 경우를 제2형 당뇨병 음성군으로 정의하였다. 임신성 당뇨 진단시와 연구 시점에서의 임상적 자료를 분석하였다. 관련이 있는 유전자를 알아보기 위해 leptin 및 leptin receptor 유전자와 8개의 SNP (LEP-632G>A, +4950G>A, +4998A>C, and LEPR-141013T>C, -186A>G, +5193G>A, +7187A>C, +27265A>G)를 선별하였다. 두 군 간에 유전적 위험도를 분석하고 두 군간에 통계적으로 차이를 보이는 SNP가 있는지 조사하였다. 결과: 임신성 당뇨 과거력을 가지고 있는 54명이 참여하였고, 제2형 당뇨병 양성군이 20명, 음성군이 34명으로 확인되었다. 임신성 당뇨 진단시 제2형 당뇨병 양성군과 음성군 간에 HbA1c와 50g 및 100g 당부하검사, 인슐린 농도 등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P<.05). 연구 시점에서 두 군간에 산과력 (P<.001) 외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임신성 당뇨 진단 후 제2형 당뇨병 발생으로의 유전적 위험도 분석에서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SNP는 없었다. 결론: 임신성 당뇨의 과거력을 가진 여성에서 향후 제2형 당뇨병으로 발생하는데 관여하는 유전자는 본 연구에서는 없었다. 향후 더 많은 유전자와 더 많은 대상을 가지고 연구한다면 임신성 당뇨에서 제2형 당뇨병으로의 발생에 관여하는 유전자를 찾아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Objective: The history of gestational diabetes (GDM) is a high risk for the development of type 2 diabetes mellitus (T2D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genetic association of LEP and LEPR gene polymorphisms and the development of T2DM in Korean women of history of GDM. Methods: Women diagnosed as GDM during pregnancy from January 1992 to December 2002 were recruited. Those women with a T2DM at the time of study were classified as T2DM positive group, and without T2DM, as T2DM negative group. 2 genes (LEP and LEPR genes) and 8 SNPs (LEP-632G>A, +4950G>A, +4998A>C, and LEPR-141013T>C, -186A>G, +5193G>A, +7187A>C, +27265A>G) were selected. The TaqMan assay for genotyping and the statistical analysis for phenotypic and genetic factors between 2 groups were analyzed. Results: A total of 54 women, T2DM positive (n=20) and T2DM negative (n=34) were enrolled. At the time of diagnosis of GDM, HbA1c, 50g and 100g oral glucose tolerance test, and insulin level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between T2DM positive and negative groups (P<.05). In analysis of genetic risk to T2DM, the significant association related with any SNPs was not shown between T2DM positive and negative groups. Conclusion: In Korean women having past history of GDM, there was no relationship between 2 genes and the development to T2DM. To clarify a effect of candidate genes related with development of T2DM, there will need more samples and genes.

      • KCI등재

        1형과 2형 당뇨병 환자의 운동 시 혈당 반응 차이에 대한 서술적 고찰

        신윤아,송류리,이정노 한국코칭능력개발원 2024 코칭능력개발지 Vol.26 No.3

        이 연구는 운동 시 에너지 조절 대사반응과 1형과 2형 당뇨병의 운동 효과와 혈당 반응의 차이를 문헌 고찰을 통하여 제시하고 저혈당과 고혈당에 대처할 수 있는 적절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실시되었다. 운동은 당뇨병 환자의 인슐린 민감도를 높이고, 세포로 포도당을 이동시키며, 체지방을 낮추어 포도당 흡수를 향상시키며, 미세혈관 및 대혈관 질환 위험을 감소시키고 대사적 요인과 체력 및 정신적 요인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운동이 2형 당뇨병 환자에게 혈당조절 개선의 효과가 명확한 것과 달리 1형 당뇨병 환자의 운동에 의한 혈당조절 개선효과는 불분명하다. 2형 당뇨병 환자는 운동 중과 후에 수축하는 근육으로의 포도당 흡수 증가와 인슐린 민감성 증가 등을 통해 혈당을 조절하지만, 1형 당뇨병 환자는 외인성 인슐린에 의존해야하기 때문에 운동 중과 후에 나타날 수있는 저혈당과 고혈당에 대한 이해와 지식이 필요하다. 1형 당뇨병 환자는 운동 시 저혈당과 고혈당을 조절하기 위한 인슐린 투여량의 조절과 추가 탄수화물의 섭취 등에 대한 이해와 지식을 기반으로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운동할 수 있도록 개별적인 운동처방이 필요하다. 또한 1형과 2형 당뇨병 환자는 운동 전, 중, 후의 규칙적인 혈당 검사를 통해 운동으로 인해 나타날 수 있는 사고를 예방하고적절히 조치하는 것이 필요하다. This study aims to present a comprehensive literature review on the metabolic responses to exercise, comparing the effects of exercise on Type 1 Diabetes Mellitus (T1DM) and Type 2 Diabetes Mellitus (T2DM), and their distinct glycemic responses. Furthermore, it seeks to propose viable strategies for managing hypoglycemia and hyperglycemia in these conditions. Exercise is known to enhance insulin sensitivity, facilitate glucose transport into cells, reduce body fat, improve glucose uptake, lower the risk of microvascular and macrovascular complications, and ameliorate metabolic, physical, and psychological factors in individuals with diabetes. However, while the benefits of exercise in improving glycemic control are clear for individuals with T2DM, its effects are less definitive in those with T1DM. For T2DM, exercise-induced improvements in glycemic control are attributed to increased glucose uptake by contracting muscles and enhanced insulin sensitivity during and after exercise. In contrast, individuals with T1DM rely on exogenous insulin, necessitating a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potential risks of hypoglycemia and hyperglycemia that may occur during and after physical activity. It underscores the need for T1DM patients to have individualized exercise prescriptions based on an understanding of insulin dosing adjustments and carbohydrate intake to manage exercise-induced fluctuations in blood sugar levels safely and effectively. Moreover, both T1DM and T2DM patients require regular blood glucose monitoring before, during, and after exercise to prevent incidents and respond appropriately to the changes induced by physical activity.

      • KCI등재

        신경퇴행성 질환과 제2형 당뇨병 발생의 연관성

        구상우,이호준,김양태,김희철 한국정신신체의학회 2022 정신신체의학 Vol.30 No.2

        Objectives:A growing body of evidence links type 2 diabetes (T2D) with a neurodegenerative disease (ND) such as Alzheimer’s disease and Parkinson’s disea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NDs and the development of T2D by comparing the incidence of T2D in a group of various NDs (ND group) and control group. Methods:A population-based 10-year follow-up study was conducted using the Korean National Health Information Database for 2002-2015. We used a retrospective cohort study design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of ND with T2D occurrence. The study population included ND (n=8,814) and control (n=37,970) groups, all aged 60 years or over. The Kaplan-Meier method was used to estimate the risk of developing T2D as a function of time. Cox proportional hazards regression models were used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ND and T2D. Results:T2D was developed in a significantly higher percentage of patients in the ND group (53.6%) than in the control group (44.7%). The ND group increased the risk of T2D (HR, 1.43; 95% CI, 1.38-1.47). About one-third of patients in both groups were additionally diagnosed with another ND before the occurrence of T2D during a 10-year follow-up period. When compared to those who did not have another ND during the follow-up period, the incidence of T2D in those who were additionally diagnosed with another ND was higher in both the ND and control groups. Conclusions:The ND group had about 1.4 times higher risk of developing T2D than the control group. Our results showed a positive association between ND and T2D. 연구목적많은 선행 연구들은 제2형 당뇨병과 알츠하이머병이나 파킨슨병과 같은 단일의 신경퇴행성 질환과의 연관성을 보고하고 있다. 본 연구는 다양한 신경퇴행성 질환을 가진 집단(ND군)과 대조군 간에 제2형 당뇨병의 발생률을 조사하여 신경퇴행성 질환과 제2형 당뇨병 발생의 연관성을 조사하고자 한다. 방 법국민건강보험공단 맞춤형 데이터베이스 자료를 이용하여 60-84세의 노인 인구집단을 ND군과 대조군으로분류한 뒤 이들을 후향적으로 10년간 추적관찰 하면서 제2형 당뇨병의 발생 빈도와 발생 시까지 생존시간을평가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ND군 8,814명과 대조군 37,970명이었다. 카플란-마이어 생존 분석과 다변량 콕스비례 위험 모형을 이용하여 생존 곡선과 위험비를 구하였다. 결 과ND군에서 제2형 당뇨병의 발생 비율(53.6%)이 대조군(44.7%)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ND군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제2형 당뇨병의 발생 위험성이 1.4배 증가하였다(HR, 1.43; 95% CI, 1.38-1.47). 연구 대상자 중 약 1/3 은 10년의 추적 기간 동안에 제2형 당뇨병이 발생하기 전에 다른 신경퇴행성 질환들이 추가로 진단되었다. 두군 모두에서, 추적 기간 동안에 다른 신경퇴행성 질환이 추가로 진단된 경우에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제2형 당뇨병의 발생률이 더 높았다. 결 론ND군은 대조군에 비해 제2형 당뇨병의 발생 위험도가 약 1.4배 높았으며 신경퇴행성 질환과 제2형 당뇨병발생은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 KCI등재후보

        제2형 당뇨병 및 합병증과 맥파속도와의 관계

        김영권 ( Young Kwon Kim ),정현경 ( Hyun Kyung Chung ),김희진 ( Hee Jin Kim ) 대한내과학회 2005 대한내과학회지 Vol.69 No.3

        목적: 제2형 당뇨병 환자는 심혈관 질환의 위험도가 높으며, 당뇨병은 관동맥심질환과 동등한 위험으로 간주된다. 동맥의 경직도를 반영하는 맥파속도는 당뇨병 환자에서 동맥경화 뿐만 아니라 미세혈관 합병증을 예측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제2형 당뇨병 및 합병증과 맥파속도와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특히 baPWV가 대동맥의 맥파속도와 견줄 만큼의 유용성이 있는가와 하지동맥의 맥파속도도 중심 대동맥의 맥파속도나 baPWV와 유사한 영향이 있는가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법: 40~70대의 건강 검진자 및 제2형 당뇨병 환자 총 348명을 대상으로 하여 자동 파형분석기를 사용하여 hfPWV, faPWV, baPWV를 동시에 측정하고, 이들 맥파속도와 당뇨병 및 합병증(망막증, 알부민뇨증, 말초신경병증)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1) 건강인군 및 합병증이 없는 당뇨병 환자군에서 hfPWV, baPWV는 연령 및 혈압의 영향이 컸으나, faPWV는 특히 연령의 증가에 따른 변화가 미약하였다. 2) 40대 연령군의 당뇨병 환자군에서 hfPWV, faPWV, baPWV는 모두 합병증 유무에 따라 동일 연령군의 건강인군에 비하여 변화한 정도에 있어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NS). 그러나 50대 연령군의 당뇨병 환자군에서는 hfPWV, faPWV, baPWV는 변화한 정도에 있어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모두 p<0.05), 특히 hfPWV와 baPWV는 증가한 정도의 차이가 현저하였다. 3) 합병증이 있는 당뇨병 환자군은 합병증이 없는 환자군에 비하여 hfPWV와 baPWV는 연령, 수축기 혈압, 성별을 보정한 상태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모두 p<0.05). 그러나 faPWV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NS). 4) 당뇨병 환자에서 hfPWV는 망막증, 알부민뇨증 유무에 따라 연령, 수축기 혈압, 성별을 보정한 상태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모두 p<0.05). baPWV는 망막증, 알부민뇨증, 말초신경병증 유무에 따라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모두 p<0.05). 그러나 faPWV는 각각의 합병증 유무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NS). 결론: 당뇨병 및 합병증이 맥파속도에 미치는 영향은 동맥분절에 따라 다르며, 제2형 당뇨병 환자에서 혈관기능장애나 심혈관 위험을 평가하는데 있어 사지에서 간편하게 측정한 baPWV는 대동맥의 맥파속도에 견줄 만큼의 유용성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Pulse wave velocity (PWV) reflects arterial stiffness and may represents an integrated index of vascular function. PWV may be useful to assess arterial dysfunction in type 2 diabetic patients. Methods: Using an automatic wave form analyzer, we measured heart-femoral (hf), femoral-ankle (fa) and brachial-ankle PWVs in 348 subjects aged 40~79 (174 healthy subjects and 174 type 2 diabetic patients). We analyzed the relations of diabetes and its complications (retinopathy, albuminuria, peripheral neuropathy) to PWVs. Results: In both healthy subjects and diabetic patients without complications, hfPWV and baPWV, but not faPWV, showed strong positive correlations with age and systolic blood pressure. In diabetic patients of the age group of 50s, but not the age group of 40s, hfPWV, faPWV and baPWV as percentage relative to the corresponding mean values of healthy subjects of the same age group differed significantly between patients with and without complications (p<0.05 for all). The difference in the magnitude of the percent increase was greater in hfPWV and baPWV compared with faPWV. Increased hfPWV and baPWV (p<0.05 for both), but not faPWV (p=NS), were associated with the presence of complications. Increased hfPWV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retinopathy and albuminuria (p<0.05 for both), while increased baPWV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retinopathy, albuminuria and peripheral neuropathy (p<0.05 for all). Conclusion: The impact of diabetes and complications on PWV is different among the arterial regions. When evaluating arterial dysfunction in type 2 diabetic patients, baPWV could be useful, which is comparable to aortic PWV. (Korean J Med 69:293-302, 2005)

      • KCI등재후보

        제2형 당뇨병 환자에서 혈청 라미닌 농도와 경동맥 플라크 진행의 관계

        최은경 ( Eun Kyoung Choi ),박명한 ( Ming Han Pao ),박지현 ( Ji Hyun Park ),백홍선 ( Hong Sun Baek ),박태선 ( Tae Sun Park ) 대한내과학회 2006 대한내과학회지 Vol.71 No.4

        목적: 제2형 당뇨병 환자의 혈관 기저막에서는 라미닌의 대사와 분포가 변화하고, 혈청 라미닌 농도의 변화는 이 조직학적 변화를 반영하므로 미세혈관병증의 지표로 유용하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대혈관병증에서의 라미닌의 변화와 역할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이에 본 연구자들은 제2형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혈청 라미닌 농도와 경동맥 죽상동맥경화성 변화 간의 관계를 조사하여 혈청 라미닌 농도가 죽상동맥경화증의 독립적인 예측인자가 될 수 있는지와 여러 임상 변수들이 혈청 라미닌 농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방법: 103명의 제2형 당뇨병 환자(51;당뇨병성 합병증이 없는 군, 52;당뇨병성 합병증이 있는 군)와 39명의 정상 대조군을 대상으로 혈청 라미닌 농도를 측정하고, 고해상도 B-mode 초음파로 양측의 내경동맥, 경동맥 팽대부, 총경동맥에서 IMT, 플라크의 수 및 점수를 측정하였다. 결과: 혈청 라미닌 농도는 정상 대조군에 비해 합병증이 없는 제2형 당뇨병 환자군에서 합병증이 없는 군에 비해 합병증을 가진 군에서 뚜렷한 증가를 보였다(p<0.01). 합병증이 없는 군과 있는 군 간에 경동맥 IMT 측정값들, 플라크 수 및 플라크 점수는 통계적 차이가 없었다. 경동맥 측정값들과 혈장 라미닌 값 사이의 연관관계 측면에서는 총 IMT, 각 부위별 IMT 및 최대 IMT는 모두 혈청 라미닌 농도와 상관관계가 없었으나(r<0.15, p>0.05), 플라크 수와 점수는 혈청 라미닌 농도와 상관관계(r=0.24, p<0.05)를 보였다(표 3). 또한 당뇨합병증 동반 여부, 허리/엉덩이 둘레 비, 플라크 점수와 apo B가 혈청 라미닌 농도에 독립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제2형 당뇨병 환자에서 혈청 라미닌 농도는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며 합병증이 있는 군에서 뚜렷한 증가를 보여 합병증의 유무 판단에 사용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제2형 당뇨병 환자에서 혈청 라미닌의 증가는 죽상동맥경화증을 보이는 환자에서 IMT 증가, 플라크의 초기형성 보다는 플라크의 진행에 위험인자로 작용하며, 무증상 동맥경화증의 진행을 예측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Laminin, the main non-collagenous constituent of vascular basement membranes, can be changed by alteration of metabolism and distribution in diabetic microangiopathy. The serum laminin levels are known to reflect these histological changes. The aim of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the serum laminin levels are related to carotid atherosclerosis and diabetic complications, and to assess what clinical variables influence on the serum laminin levels in type 2 diabetes. Methods: The subjects were 103 type 2 diabetic patients (51 in the no complication group and 52 in the complication group) and 39 controls. We evaluated the intima-media thickness (IMT) and plaques in both carotid arteries by duplex scan. and the serum laminin levels were measured. Results: The serum laminin levels were higher in the group with complications complication group compared to the no complication group (p<0.01), and in the no complication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p<0.01).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carotid parameter values between the complication group and the no complication group.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serum laminin levels and the measured IMT values were not significant. However,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serum laminin levels and the plaque counts and scores (r=0.24, p<0.05). The presence of diabetic complications, the waist hip ratio, plaque score and apo B affected the elevation of the serum laminin levels (p<0.05). Conclusions: The serum laminin levels were related to the presence of diabetic complications. Such levels may be a risk factor for plaque progression rather than the initiation of plaque formation or IMT thickening in the carotid atherosclerosis of type 2 diabetic patients.(Korean J Med 71:396-404, 2006)

      • KCI우수등재

        제2형 당뇨병 환자에서 비만 지수와 죽상경화증 위험인자들과의 상관성

        정병천,박순홍,이주영,이신원,정성창,김정국,하승우,김보완 대한비만학회 2003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Vol.12 No.2

        연구배경: 비만은 제2형 당뇨병의 중요한 병인이면서 죽상경화성 동맥질환의 위험인자인 인슐린 저항성, 지질대사 이상 및 고혈압의 원인으로도 인정되고 있다. 한편 비만에 의한 대사성 및 혈관 합병증은전신적 지방량의 증가보다 복강내 지방축적이 병인적 중요성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그러나 국내의 제2형 당뇨병 환자를 차상으로 비만과 이들 죽상경화증 위험인자와의 상관관계를 연구 조사한 성적은 많지않다. 이에 제2형 당뇨병 환자에서 전신적 비만과 복강내 지방 축적을 반영하는 각각의 신체계측지수들과 죽상경화증 위험인자와의 상관성을 검토함으로써 국내 제2형 당뇨병 환자의 비만도가 대사성 및 혈관성 합병증에 미치는 영향과 신체계측지수들의 임상적 가치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법 : 제2형 당뇨병 환자 425명 (남자 196명, 여자 229명)을 차상으로 하였다 임상적 단백뇨가 있거나 인슐린 치료, 혈압강하제 또는 지질대사개선제를 복용하는 환자는 제외시켰다. 전신 비만은 체용적지수 그리고 피부두겹 두께로 산출한 체지방률을, 복강내 지방축적도는 허리둘레 및 요둔위비를 이용하였다. 죽상경화증의 위험인자로는 혈당 조절 정도를 나타내는 공복 혈당과 당화혈색소 농도, 인슐린 저항성을 나타내는 공복 인슐린 및 C-peptide 농도, 지질 대사 상태를 나타내는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 및 저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 농도 그리고 수축기 및 이완기 혈압을 선택하였다. 전신 비만지수 및 복부 비만지수와 이들 위험인자와의 상관관계는 연령과 당뇨병 이환기간을 보정하고 편상관분석법을 사용하였다. 결과: 1 여성군에서 남성군에 비해 체용적지수(24.2 대 23.0kg/㎡, p<0.01) 및 체지방률(23.8 대13.5%, p<0.01)은 다소 높았으나 허리둘레 (87.0 대 85.8 cm)와 요둔위비 (0.96 대 0.96)는 차이가 없었다. 2. 인슐린 저항성을 반영하는 공복 인슐린 및 C-peptide 농도는 체용적지수. 체지방률, 허리둘레 및 요둔위비가 커질수록 증가하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상관차수 0.21∼0.42, 모두 p<0.05). 3. 혈청 지질중에는 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만이 남성 환자군에서 비만지수들과 약한 음의 상관성을 보이는 경향이었고, 총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농도는 상관성이 없었다. 4. 수축기 및 이완기 혈압은 남성군에서만 체용적지수. 체지방률, 허리둘레 및 요둔위비가 커질수록 상승하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상관차수 0.21∼0.33, 모두 p.0.05). 결론. 국내 제2형 당뇨병 환자들의 전신 비만도 및 복부 비만도가 서구인에 비해 심하지는 않으나 포도당 대사, 인슐린 저항성, 지질 대사 및 고혈압에 위해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수준에 이르고 있으며 이는 결국 죽상경화증의 위험인자로도 작용하게 될 것임을 시사한다고 하겠다. 그리고 신체계측을 통한전신 비만 및 복부 비만 지수 모두가 당뇨병 및 죽상경화증의 위험을 간접적으로 예견하는 유용한 척도가 될 수 있을 것이다. Background: Obesity is the powerful risk factor for type 2 diabetes and also associated with a significantly increased risk of insulin resistance, dyslipidemia, hypertension and atherosclerosis. Although obese individuals have these diseases, the relationship between obesity and these diseases was not certain until regional fat distribution was taken into account. Report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obesity and the risk factors of atherosclerosis in type 2 diabetics in Korea are very rare. To evaluate the relative importance of anthropometric indices on the development of atherosclerosis and obesity-related metabolic and vascular complications, the correlations of these indices with the risk factors for atherosclerosis were studied. Methods: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n=425, male 196, female 229) who not used antihy- pertensives or anti-lipidemic agents were investigated. Body mass index (BMI) and percentage of body fat (%BF) estimated by skinfold-thickness in assessing generalized adiposity, and waist circumference (Wc) and waist-to-hip ratio (WHR) in assessing visceral adiposity were taken as anthropometric indices. We included the indicators of glycemic control (fasting blood sugar and HbAlc), insulin resistance (fasting serum insulin and C-peptide concentrations), lipid abnormalities (serum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HDL-cholesterol, and LDL-cholesterol concentrations), and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as risk factors for the development of atherosclerosis. Partial correlations of the anthropometric indices with those risk factors were investigated with adjustment of age and duration of illness. Results: 1. BMI and %BF in female patients group were higher than those in male (24.2 vs 23.0 kg/㎡, 23.8 vs 13.5%, respectively, p<0.01 in all) although Wc and WHR were similar between both groups. In general, both body adiposity and abdominal obesity in them were much lower than in the Western. 2. Serum insulin and C-peptide level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BMI, %BF, Wc and WHR (r=0.21~42, p<0.05 in all). 3. Serum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and LDL- cholesterol were not correlated with any anthropometric indices. A weak negative correlation of serum HDL-cholesterol with these indices was found in male patients group. 4. Both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all these indices only in male group (r=0.21~33, p<0.05 in all).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severity of both generalized and visceral adiposity in these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were only mild but adiposity with abdominal distribution of body fat in diabetes mellitus could be a significant risk factor of developing atherosclerosis. In clinical practice, these anthropometric indices indicating general adiposity and abdominal obesity may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predicting disease risks, especially of diabetes and cardio- vascular disease indirectly.

      • KCI등재

        2형 당뇨병 환자의 인지 기능에 영향 미치는 인자

        고동환,전진숙,최영식,김호찬,오병훈,Goh, Dong Hwan,Cheon, Jin Sook,Choi, Young Sik,Kim, Ho Chan,Oh, Byoung Hoon 한국정신신체의학회 2018 정신신체의학 Vol.26 No.1

        Objectives :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know the frequency and the nature of cognitive dysfunction in type 2 diabetics, and to reveal influencing variables on it. Methods : From eighty type 2 diabetics (42 males and 38 females), demographic and clinical data were obtained by structured interviews. Cognitive functions were measured using the MMSE-K (Korean Version of th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and the Korean Version of the Montreal Cognitive Assessment (MoCA-K) tests. Severity of depression was evaluated by the Korean Version of the Hamilton Depression Rating Scale (K-HDRS). Results : 1) Among eighty type 2 diabetics, 13.75% were below 24 on the MMSE-K, while 38.8% were below 22 on the MoCA-K. 2) The total scores and subtest scores of the MoCA-K including visuospatial/ executive, attention, language, delayed recall and orientation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ype 2 diabetics with cognitive dysfunction (N=31) than those without cognitive dysfunction (N=49) (p<0.001, respectively). 3)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ype 2 diabetics with and those without cognitive dysfunction in age, education, economic status, body mass index, duration of diabetes, total scores of the K-HDRS, the MMSE-K and the MoCA-K (p<0.05, respectively). 4) The total scores of the MoCA-K ha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age, education, body mass index, family history of diabetes, duration of diabetes, total scores of the K-HDRS (p<0.05, respectively). 5) The risks of cognitive dysfunction in type 2 diabetics were significantly influenced by sex, education, fasting plasma glucose and depression. Conclusions : The cognitive dysfunction in type 2 diabetics seemed to be related to multiple factors. Therefore, more comprehensive biopsychosocial approaches needed for diagnosis and management of type 2 diabetes.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2형 당뇨병 환자에서 인지 장애의 빈도와 특성 및 이에 연관되는 변인과 위험 인자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방 법 2형 당뇨병 환자 80명(남성 42명, 여성 38명)을 대상으로 구조적 면담을 통해서 인구학적 및 임상적 정보를 얻었다. 한국판 간이 정신상태 평가(K-MMSE)와 한국판 몬트리올 인지평가(MoCA-K)를 사용해서 인지기능을 평가하였고, 한국판 Hamilton 우울증 평가 척도(K-HDRS)를 사용해서 우울증을 평가하였다. 결 과 1) MMSE-K 총점 24점 이하는 13.75%, MoCA-K 총점 22점 이하는 38.8%였다. 2) 2형 당뇨병 환자 중에서 인지 장애가 있는 군(N=31명)은 인지 장애가 없는 군(N=49명) 보다 MoCA-K 총점, 시공간/실행력, 주의력, 언어, 지연 회상력, 지남력 소검사 점수가 유의하게 낮았다(p<0.001). 3) 인지 장애가 있는 군과 인지 장애가 없는 군 간에는 연령, 교육 수준, 경제 상태, 체질량 지수, 당뇨병 이병 기간, K-HDRS 총점, MMSE-K 총점 및 MoCA-K 총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4) MoCA-K 총점은 연령, 교육 수준, 체질량 지수, 당뇨병의 가족력, 당뇨병의 이병 기간, K-HDRS 총점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p<0.05). 5) 2형 당뇨병 환자에서 남성, 낮은 교육 수준, 높은 공복 혈당치, 우울증의 심한 정도는 유의하게 인지 장애의 위험을 증가시킨다. 결 론 2형 당뇨병 환자의 인지 장애는 복합적인 여러 요인이 관계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이들의 진단과 치료에는 생물 심리 사회학적인 관점이 망라된 좀 더 포괄적인 접근이 요청된다.

      • KCI우수등재

        한국의 제2형 당뇨병 및 비당뇨병성 비만 환자에서 체지방 분포와 혈청 아디포넥틴 농도와의 관계

        김철식,박진아,조민호,박종숙,남주영,김똘미,윤수지,안철우,차봉수,임승길,김경래,이현철 대한비만학회 2003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Vol.12 No.3

        연구배경: 제2형 당뇨병과 비만은 공통적 병인기전은로서 인슬린저항성이 매개되어 있으며, 지방세포에서 특이적으로 발현되고 만들어지는 아디포넥틴은 당대사 및 인슬린저항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비만한 사람 및 제2형 당뇨병 환자뿐만 아니라. 관상동맥질환 환자들에게서 혈청 아디포넥틴 농도치 감소를 관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제 2형 당뇨병을 동반한 비만증 환자와 단순 비만증 환자에서혈청 아디포넥틴의 농도와 내장지방 및 골격근내 지방 등의 연관성 및 인슐린 저항성의 특징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방법: 체질량지수 25 kg/㎡ 이상의 비만한 제 2형 당뇨병환자 16명과, 체질량지수와 연령을 맞춘 단순 비만 환자 12명을 대조군으로 선정하여 성별 현재의 신체계측. 혈압 측정, 그리고 혈액 생화학 및 내분비검사를 시행하였고, 혈청 아디포넥틴 농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복부내장지방 전산화 단층촬영을 이용하여 복부지방면적, 복부피하지방면적, 정상밀도 골격근면적 및 저밀도 골격근면적을 구하였고, HOMA-IR 및 HOMA-β를 측정하였다. 또한, 혈청 아디포넥틴 농도와 신체계측, 임상적 특성 및 인슐린저항성과의 상관관차를 분석하였다. 결과: 단순 비만인과 당뇨병 비만인에서 연령, 신장. 체중. 체질량지수, 체지방률, 허리둘레 및 혈압등은 차이가 없었으나, 당뇨 비만인에서 총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중성지방, 유리지방산의 농도가 의미있게 높았고, HDL-콜레스테롤의 농도는 낮았다 한편 복부피하지방 면적, 내장지방면적 및 내장지방면적/피하지방면적비 (VSR)는 단순 비만인에서 넓었으며, 반면에 대퇴부 저밀도근육면적은 당뇨병 비만인에게서 높았다 또한, HOMA-IR 수치는 양군간의 차이는 없었으나, C-peptide 값과 HOMA-β는 당뇨병 비만인에서 낮게 나타났고, 혈청 아디포넥틴 농도는 단순 비만인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아디포넥틴 농도와 유의한 음의 상관관차를 보이는 변수는 나이, 체중, 키, 체질량지수, 수축기혈압. 당화혈색소,HOMA-IR, 내장지방면적, 저밀도근육면적이었으며 다변량회귀분석 결과 아디포넥틴 농도와 상관관계가 높은 변수는 나이, 당화혈색소, HOMA-IR, 내장지방면적 및 저밀도근육면적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결과에서 동일한 인슐린 저항성에서 내장지방은 비만환자에서 유의하게 높았고, 저밀도근육은 당뇨병 환자에서 더 높은 것은 유전적 또는 환경적 측면에서 두 질환의 인슐린 저항성에 기여하는 인자 뿐 만 아니라. 아디포넥틴 등의 adipocytokine 농도의 차이를 시사한다. 이러한 adipocytokine과 인슐린저항성의 특징은 비만과 제 2형 당뇨병의 임상양상과 죽상경화증을 비롯한 합병증의 양상도 다소상이하게 표현되는데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 Type 2 diabetes mellitus (T2DM) and obesity share a common pathogenesis involving an insulin resistance, and adiponectin, a factor specific to adipose tissue, plays an important role in a glucose metabolism and an insulin resistance. The adiponectin level is reduced not only in patients with obesity and T2DM, but also in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Thu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characterize the insulin resistance and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diponectin level and visceral and skeletal muscle fat areas among obese, T2DM patients and non diabetic obese patients. Methods: The anthropmetric parameters, biochemical profiles,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serum adiponectin concentrations of 16 obese type 2 diabetic subjects (BMI 225 kg/㎡) and 12 obese non diabetic subjects were measured. And, abdominal adipose tissue areas and mid-thigh skeletal muscle areas were measured by computed tomography (CT). The HOMA-IR and HOMA-β scores were calculated to assess the insulin sensitivity and insulin secretory function. We analys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rum adiponectin level with body fat distribution, anthropometric parameters, biochemical profiles,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Result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age, height, weight, BMI, body fat, waist circumference, and blood pressure between T2DM obesity group and non diabetic obesity group, where as total cholesterol, LDL-cholesterol, triglyceride and free fatty acid level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2DM obesity group. However, the abdominal subcutaneous fat area, visceral fat area, VSR were higher in non diabetic obesity group, while mid-thigh low density muscle areas were greater in T2DM group. Moreo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ed in HOMA-IR between the two groups, but C-peptide, serum adiponectin concentration, and HOMA-β were lower in T2DM obesity group. The age, weight, height, BMI, systolic blood pressure, HbA_(IC), HOMA- IR, visceral fat area, and low density muscle area were in negative correlations with the serum adiponectin concentration. Also, in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ge, HbA_(IC), HOMA-IR, visceral fat area and low density muscle area were found to correlate well with the serum adiponectin concentration. Conclusion: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in the setting of similar insulin resistance levels, the abdominal visceral fat area is significantly higher in non diabetic obesity group, and the low density muscle area is higher in diabetic obesity group. This implies that in addition to various genetic and environmental factors that affect insulin resistance, adipocytokine concentration, such as adiponectinin, has a significant role in glucose metabolism and insulin resistance. Moreover, the present study suggests that aforementioned characteristics of insulin resistance and adipocytokines may lead to somewhat different clinical manifestations and complications such as atherosclerosis in the diabetic and obese patients.

      • KCI등재

        한국 성인의 안정 시 심박수와 대사증후군 및 제2형 당뇨병 유병률의 관계: 제5기 국민건강영양조사(2012년)

        박현아,이정아,김지영,김동일,전용관 대한비만학회 2015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Vol.24 No.3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resting heart rate (RHR), the risk factors and prevalences of metabolic syndrome (MetS) and type 2 diabetes (T2D) in Korean adults. Methods: A cross sectional analysis was performed on data from the 2012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 using frequency analysis, analysis of covariance (ANCOVA), and logistic regression. Participants were stratified according to RHR into 5 groups; <60 bpm, 60-69 bpm, 70-79 bpm, 80-89 bpm, and ≥90 bpm. Results: The results show that risk factors of MetS and T2D increased as RHR increased. Compared to those with a RHR of <60 bpm, the prevalence of MetS increased in those with RHR of 60-69 bpm, 70-79 bpm, 80-89 bpm and ≥90 bpm by 1.46 (95% confidence interval [CI] 1.03-2.08), 2.05 (95% CI, 1.42-2.96), 2.34 (95% CI, 1.57-3.48), and 2.34 (95% CI, 1.23-4.47), respectively. Similarly, compared to those with a RHR of <60 bpm, the prevalence of T2D increased in those with RHR of 60-69 bpm, 70-79 bpm, 80-89 bpm, and ≥90 bpm by 1.01 (95% CI, 0.72-1.41), 1.44 (95% CI, 1.02-2.05), 1.83 (95% CI, 1.25-2.68), and 2.40 (95% CI, 1.30-4.44), respectively. Conclusion: In conclusion, RHR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risk factors and prevalences of MetS and T2D. This study suggests that RHR is associated with MetS and T2D and can be used to predict such diseases. 배경: 본 연구 목적은 한국 성인들을 대상으로 안정 시 심박수와 대사증후군 및 제2형 당뇨병 위험요인이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조사하고, 안정 시 심박수에 따른 대사증후군과 제2형 당뇨병의 유병률을 규명하는 것이다. 방법: 본 연구는 제5기 국민건강영양조사를 실시한 20세 이상에서 90세 이하의 성인 5,870명을 대상으로 안정 시 심박수, 신체구성, 혈압, 혈액을 분석하였다. 분석 방법은 안정 시 심박수를 10 bpm 단위로 분류하여 총 5그룹으로 나누었으며, 그룹 간 대사증후군 및 제2형 당뇨병 위험인자와 유병률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빈도분석, 공분산분석,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안정 시 심박수 그룹에 따라 대사증후군 및 제2형 당뇨병의 위험인자인 수축기 혈압, 이완기 혈압, 공복혈당, 당화혈색소, 중성지방에서 그룹 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안정 시 심박수와 대사증후군 및 제2형 당뇨병의 유병률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변인을 보정한 결과, 대사증후군 유병률은 안정 시 심박수가 60 bpm 미만인 그룹에 비해 60-69 bpm은 1.46배(95% CI, 1.03-2.08), 70-79 bpm은 2.05배(95% CI, 1.42-2.96), 80-89 bpm은 2.34배(95% CI, 1.57-3.48), 90 bpm 이상은 2.34배(95% CI, 1.23-4.47)로 높게 나타났다. 제2형 당뇨병의 유병률은 60 bpm 미만인 그룹에 비해 70-79 bpm은 1.44배(95% CI, 1.02-2.05), 80-89 bpm은 1.83배(95% CI, 1.25-2.68), 90 bpm 이상은 2.40배(95% CI, 1.30-4.44)로 높게 나타났다. 결론: 안정 시 심박수는 대사증후군 및 제2형 당뇨병 위험인자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며, 대사증후군과 제2형 당뇨병의 유병률을 예측할 수 있는 지표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