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전쟁 체험수기의 이야기 양상과 문예적 특질 - 신용섭의 한국전쟁 체험수기를 중심으로

        신효경 어문연구학회 2020 어문연구 Vol.105 No.-

        While War memoirs retain significance in personal aspects as they contain a part of one’s life, important historical value also lies as they are live records of war history. In this research, using <Shin Yong-Sup’s Korean War memoir>, we tried to approach the trend of storytelling that appeared in the memoir and characteristics as literary art. The content of this research is summarized in the following. First, we examined the author and reviewed the structure of the memoir. Shin, Yong-Sup, the author of the memoir of our interest, was born in 1930 at Anheung-ri, Anju-gun, Pyeongan-namdo. He was a defector who enlisted Korean People’s Army before the Korean War broke out then surrendered to South Korea. The memoir records the author’s experience during the War, as well as the circumstances around the 38th parallel during the weeks coming up to the War, comprised of 46 short stories. Breaking down the content based on the list of stories, we can broadly categorize the plot into 4 chapters: ‘signing up for the People’s Army and attempts of escape, defection and mission as a solider, activities as the head of a recon unit and a special operations unit, and discharge due to the sustained injuries.‘ Second, we reviewed the trends of storytelling presented in the memoir. Mr. Shin’s memoir includes detailed accounts of his heroic activities as the head of the recon team and special operations unit, as well as his talent as a sharpshooter. It also reports the bond of brothers in arms who understand and help each other and despicable actions that communists exhibited during the War. Sometimes, the author shows the reminiscence of his hometown and parents. Various events, in addition to these war stories, intertwine and complete one story while being structured as an omnibus. The memoir shows Mr. Shin’s desire to show a heroic side of him, while providing the reader with a cathartic experience to face a soldier’s struggle with the nostalgia of his hometown. Third, we reviewed the memoir’s characteristics as literary art, and the significance the memoir has. <Shin Yong-Sup’s War Memoir> aptly employs conversational narrative and various literary techniques to express the author’s emotions in the sense of honesty. Such narrative devices also provide events in the memoir with immersion and tension, conveying a more lively story. This memoir not only retains value as a historical record that shows circumstances near the 38th parallel before the War as well as how the War progresses but also has significance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as we can get a glimpse of the activities of defectors who served in the ROK Army during the Korean War. 전쟁체험 수기는 삶의 한 부분을 담고 있다는 점에서 개인에게도 큰 의미를 가지지만, 전쟁사의 한 부분을 기록하고 있다는 점에서 역사적 가치가 있다 하겠다. 이 연구에서는 <신용섭의 한국전쟁 체험수기>를 중심으로 전쟁 수기에 나타난 이야기 양상과 문예적 특질에 대해 접근해 보았다. 나아가 전쟁 수기가 갖는 의의에 관해서도 살펴보았다. 그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저자와 수기의 구성에 관해 살펴보았다. 수기의 저자인 신용섭은 1930년 평안남도 안주군 연호면 인흥리에서 태어났으며, 한국전쟁이 일어나기 전 인민군에 입대하여 남한으로 귀순한 귀순병이다. 수기는 한국전쟁이 일어나기 전 38선 부근의 상황과 한국전쟁체험담을 주로 기록하고 있으며, 총 46편의 짧은 이야기로 구성되어 있다. 수기의 목록을 중심으로 내용을 분류하면 ‘인민군 입대와 탈출 → 귀순과 군인으로서의 임무 → 수색대장과 특공대장으로서의 활약 → 부상으로 인한 제대’로 나눌 수 있다. 둘째, 이야기 양상에 관해 살펴보았다. 신용섭의 수기는 명사수로서의 자신의 재능과 수색대장과 특공대장으로서의 영웅적 활약을 구체적으로 담고 있다. 또한 치열한 전투상황에서 발휘되는 전우애와 지역빨갱이들의 밀고의 행태를 기록하고 있다. 여기에 고향과 부모님에 대한 그리움 등 다양한 사건들이 옴니버스식 구조처럼 엮어져 한 편의 이야기를 이루고 있다. 또한 수기의 내용을 통해 신용섭이 자신의 영웅적인 면모를 드러내고 싶은 욕망과 한 인간의 역경을 마주할 수 있다. 셋째, 수기의 문예적 특질과 수기가 갖는 의의를 문학사적으로 조망해 보았다. 신용섭의 전쟁체험 수기는 대화체와 다양한 문예기법을 적절히 사용해 자신의 감정을 진솔하게 드러내고 있으며, 전쟁의 실상을 생생하게 전달하고 있다. 한편, 이 수기는 한국전쟁 전의 북한의 실정과 분위기, 당시의 38선 주변 상황과 한국전쟁 상황을 알 수 있는 역사적 자료로서의 가치와 더불어 한국전쟁 당시 귀순병에 대한 활약상을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도 문학사적으로도 큰 의미를 가지고 있다.

      • KCI등재

        오웬과 전봉건의 전쟁시 비교 고찰

        이승규(Lee, Seung-Gyu) 한국문학회 2010 韓國文學論叢 Vol.55 No.-

        전쟁시는 전쟁을 주된 내용으로 삼는 시로, 현대에 들어와서야 전쟁의 실체를 사실적으로 표현하는 전쟁시가 출현하였다. 제1차 세계대전에 참전한 영국의 시인 윌프레드 오웬(Wilfred Owen)은 전쟁의 참상에 대한 구체적인 묘사와 더불어 전쟁에 대한 의식적인 부정을 표현하였다. 6.25전쟁기 남북한의 전쟁시가 전쟁을 독려하고 종국에는 각 진영의이데올로기와 체제를 옹호하는 차원에 머물렀다면, 오웬과 전봉건의 시는 직접적인 전쟁 체험을 통해 현장성을 살리고 낡은 정치의식을 극복하면서 전쟁에 반대하는 태도를 보였다. 전봉건은 전쟁에 군인으로 복무하면서 전장의 상황을 묘사하는 시를 썼다는 점에서 오웬의 시와 공통점을 지니며, 기법적으로도 모더니즘의 영향을 받았다는 점에서 상통한다. 다만 전봉건의 전쟁시는 전쟁의 참상을 사실대로 표현하는 방법만을 사용하지 않고, 외적 상황에 대한 시적 화자의 내적 반응으로서의, 감정을 거의 제거한 독백적 진술이나 상황과의 모순적인 대응 태도, 대상과 일정한 거리를 두는 묘사를 통해, 비정하고 폭압적인 전쟁 현장과 위태로운 개인의 모습을 형상화하였다. 그리하여 전봉건의 시가 전쟁에 대한 적극적인 부정성을 띠지 않지만, 내면적 현실을 현장성을 살려 실감 있게 반영함으로써 자연스럽게 전쟁에 반대하는 태도를 취하고 있다. War poetry deal with the War mainly and in the modern times, it appeared to express facts of war. Wilfred Owen, English poet, participated in the first war and shaped his experience into war poetry. His war poetry has the description of the horrors of war and the negative cognition of war. In his poetry, he manifests the proposition that "The best war poem is the most antiwar poetry." When the 1950's Korean War, most of the war poems published in North Korea were that extolled the hero of war and aroused hatred to encourage war. For these poems have a strong finality, they describe the battle field as a reality and are prominent for an idealogical. As compare with them, South Korea's poems display the individual feeling or humanity. But as Owen's poems, it is hard to seek war poems which have a reality or oppose to war by overcoming the old political awareness. When the war broke out in Korea, Jeon Bon Geon was in the service and wrote the poems described the situation of the war and which is similar to Owen and they have something in common that they were influenced by Modernism for technic. Jeon Bong Geong imaged the oppression of war and dangerous individual by the inner monologue, the abnormal attitude and the description which distance from object rather than expressed the horrors of war realistically. Although his poems did not have the active denial, he make the inner shock and was against to the war by reflecting the reality immaturely.

      • KCI등재

        대조국전쟁 전후(前後) 시기의 부랴트인 국민정체성 -부랴트인 구술생애사 자료를 기반으로

        전봉수 ( Jeon¸ Bong-su ) 배재대학교 한국-시베리아센터 2015 한국시베리아연구 Vol.19 No.1

        본고는 부랴트 공화국에서 조사한 부랴트인 구술생애사 자료를 기반으로 소련의 대조국전쟁 전후(前後) 시기 부랴트인의 국민정체성에 관해 논의하고 있다. 1929년부터 시작된 스탈린의 반 부랴트 캠페인은 부랴트인이 ‘민족’을 버리고 ‘국가’를 강제적으로 선택하게 함으로 일국사회주의 노선에서 두 집단정체성이 경합의 대상이 되지 못함을 강조하였다. 이 시기에 대다수의 부랴트인은 소련 내부의 타자이자 정치적 주도권을 쥐고 있는 러시아인과 자신들을 명확히 구별해냄으로 자신들의 민족정체성을 드러냈지만, 동시에 이들의 의지와 상관없이 소련인 국민정체성도 확립되어 갔다. 대조국전쟁 시기 대부분의 젊은 부랴트인이 징병되어 희생되고, 후방에서도 어려움이 지속되는 국가적 위기 속에서 ‘러시아인 대 부랴트인’이라는 민족개념의 이분법적 대항공식이 사라지는 대신, 국가 개념을 기준으로 하는 ‘외부의 타자’가 새롭게 등장하였다. 전쟁이 진행되는 동안 소비에트 군대는 어느새 ‘우리 소비에트 군대’가 되었고 전쟁의 승리는 ‘우리 소련의 승리’가 되었다. 대조국전쟁에 대한 부랴트인의 이러한 경험은 자연스럽게 부랴트인의 소련인 국민정체성이 강화되는 정치적 자원이 되었다. 1930년대에 주도적으로 부랴트인 숙청을 지휘했던 스탈린은 전쟁 이전까지 부랴트인에 의해 ‘나쁜 사람’으로 간주되었으나, 대조국전쟁 승리이후 그는 부랴트인 사이에서 훌륭한 지도자로 여겨지기 시작했다. 스탈린 주도의 ‘전쟁 승리’는 집단 기억의 재생산을 위한 정치적 자원으로 활용 되면서 부랴트인 국민정체성의 확립과 강화에 영향을 주었다. 전쟁후 소련은 참전용사에 대한 특별대우, 학생들의 소련 국가 외우기, 지역에서의 주기적인 공산당 컨퍼런스 개최, 대조국전쟁 추모행사, 기숙학교 운영등을 부랴트인 국민정체성 재생산의 도구로 사용하였다. 소련 외부의 타자로 간주된 독일일 및 일본인 전쟁 포로를 직접 경험한 일부 부랴트인은 이들과의 만남을 통해 자신들의 집단을 범주화하는 과정에서 ‘민족’ 보다는 소련이라는 ‘국가’를 우선시하였다. 전쟁을 통해 경험한 포로와의 사회적 접촉과 적국(敵國)의 상품 사용을 통해 타자와의 경계는 더욱 명확해졌으며, 타자와의 경계는 자신들이 소련 국민이라는 정체성을 더욱 명확하게 해주었다. 반면, 리투아니아인과의 접촉은 적국 포로 와의 ‘구별 짓기’와 다른 방향으로 진행되었다. 부랴트인은 소련이라는 ‘국가’를 기준으로 리투아니아인을 자신들과 같은 소련인으로 구분하였다. 부랴트인의 이런 범주화는 ‘민족’이 아닌 ‘국가’를 우리와 타자 집단을 구별하는 기준으로 삼는 것이었으며, 소련인 국민정체성 재생산의 메커니즘으로 사용되었다. This paper discusses national identity of the Buryats around the Great Patriotic War within a historical anthropological perspective using oral life history. This study reviews the following two topics: first, the relationship the purge campaign of the Buryats by Stalin and Soviets national identity; second, the effects of experiences and memories during the Great Patriotic War on the Soviets national identity of the Buryats. Experiences of the purge campaign of the Buryats by Stalin and the collective memory of the Great Patriotic War influenced the formation and reinforcement through the categorization process. In the process, the Soviet government was used the collective memory as political resources for political purposes.

      • KCI등재

        타자의 시선으로 재현한 한국전쟁 서사화 양상 연구

        이정현(Rhie, Joung-hyun) 중앙어문학회 2016 語文論集 Vol.68 No.-

        전쟁의 기억은 집요하다. 휴전 협정 이후 60년이 넘는 시간이 흘렀지만 한국전쟁은 여전히 한국의 정치, 경제, 사회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국토가 분단되고 엄청난 인명이 손실된 것 말고도 한국전쟁은 미국, 소련, 중국을 비롯해서 유엔군으로 참전한 국가들까지 많은 국가가 얽혔던 역사적 사건이었다. 이 연구는 한국전쟁에 참전했던 세 국가―중국, 콜롬비아, 미국―의 소설을 살펴보고자 한다. 중국계 미국작가 하진의 소설 『전쟁쓰레기』는 미군에 포로로 잡힌 어느 중국군 장교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하진의 소설은 최인훈의 『광장』과 마찬가지로 전쟁 중 가장 약한 타자였던 ‘포로’의 시선으로 전쟁의 비극을 증언한다. 콜롬비아 작가 모레노 두란의 소설 『맘브루』는 남미의 약소국 콜럼비아 청년들이 한국전쟁에 동원되어서 겪은 비극을 다룬 소설이다. 이들의 경험은 1960-1970년대 베트남전쟁에 참전했던 한국 청년들의 경험과 중첩된다. 제임스 설터의 소설 『사냥꾼들』에는 한국전쟁 당시 미공군 전투기 파일럿들이 등장한다. 공중에서 전쟁을 겪는 이들은 지상의 참상에는 관심을 두지 않는다. 오로지 전공을 세우기 위한 경쟁에 몰두할 뿐이다. 다양한 국가들이 참전했던 한국전쟁의 진실에 접근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분단의 현실과 냉전의 영향으로 그동안 한국전쟁을 돌아보는 시선은 국가주의와 이데올로기적인 분열로 가득했다. 이 연구는 남한과 북한의 국민들과 마찬가지로 전쟁의 또다른 희생자였던 참전국들의 청년들이 겪은 불안과 공포, 회의가 담긴 해외 소설들을 살펴보면서 한국전쟁의 비극을 다른 각도에서 조명하고자 한다. War memories remain pertinacious. The Korean War (1950. 6. 25-1953. 7. 27), in particular, has had a deep influence on the politics, economics, and society of South Korea for more than 60 years after the Korean Armistice Agreement (1953. 7. 27). The war was one of the most historical wars in the world, in that not only did the war cause the territorial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and an extraordinary death toll, but also many participating countries of The United Nations including the USA, the Soviet Union, and China were entwined in it. This study explores the novels written by novelists from three countries that had participated in the Korean War, namely, China, Columbia, and the USA. The Chinese American author, Ha Jin, wrote War Trash, depicting a Chinese officer captured as a prisoner of war (POW) by the US military. The novel testifies to the tragic side of the war from the POW’s eyes, the most vulnerable moments being during the war, and the narrative is quite similar to The Square, a novel by the South Korean author, Choi In-hun. The Columbian author, Moreno Duran, also wrote Mambru, focusing on adolescents from Columbia, one of the weakest nations in South America. The novel attests to the bleak experiences of these youths pursuant to Columbia’s military mobilization into the war. Their war experiences overlap with those of Korean adolescents who had participated in the Vietnam War in the 1960s-1970s. James Salter, an American novelist, wrote The Hunters, a story about US fighter pilots during the Korean War. Being interested in air battles only, the pilots have no concern for the terrible ground scenes, but resort to engaging themselves in a competition to be distinguished war heroes. In fact, it is very challenging to approach the truth of the Korean War especially when many countries had participated with various relations of interests. The Korean War has been recognized as the result of an ideological division and strong nationalism that were derived from and reflective of the reality of Korea’s territorial division and the Cold War. This paper aims to elucidate the tragedy of the Korean War from different viewpoints by exploring foreign novels that present stories of anxiety, terror, and skepticism from the perspective of another group of war victims, namely, the adolescents participating in the Korean War.

      • KCI등재

        사진그림엽서로 본 러일전쟁과 프로파간다

        황익구(HWANG IKKOO) 동아시아일본학회 2017 일본문화연구 Vol.0 No.63

        이 논문은 일본이 국민국가 형성 과정에서 수행한 러일전쟁을 국민적 기억으로서 이미지화(통합)하고 나아가 그 기억을 전승하고 변용해 가는 과정을 사진그림엽서라는 시각매체를 통해서 분석한 것이다. 그리고 그 분석을 통해서 일본의 전쟁프로파간다와 제국주의 이데올로기의 전개양상을 고찰하고자 한 것이다. 러일전쟁을 제재로 제작된 사진그림엽서에는 크게 다음과 같은 세 가지의 프로파간다가 내재되어 있다. 먼저, 전황을 전달하는 미디어의 기능과 함께 전쟁이미지를 취사선택하여 전달하고자 하는 작위적인 전쟁프로파간다이다. 다음으로는 ‘총후’의 여성상을 통해 여성의 국민화를 모색하려는 프로파간다이다. 그리고 또 하나는 천황제 이데올로기를 강화하고 동시에 전파하는 프로파간다이다. 러일전쟁을 계기로 발행된 사진그림엽서는 국민들 사이에 회자되고 재현됨으로써 공적기억을 형성하는 장치로서도 역할을 하였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러일전쟁이 ‘자랑스럽고 위대한’ 전쟁으로 각인되고 기억되는데 일조를 하였다. 즉 러일전쟁을 계기로 발행된 사진그림엽서는 러일전쟁이라는 동시대적 기억을 집합적 기억으로 통합시키는 한편 후대의 전쟁 프로파간다의 수단으로서도 재활용되었다. This paper analyzes the process by which Japan consolidated the Russo-Japanese War as a national memory and propagated its memory through the visual media of the picture postcard. The developmental aspects of Japanese war propaganda and imperialist ideology will also be considered in the analysis. Picture postcards issued under the theme of the Russo-Japanese War played the role of disseminating war propaganda by depicting war images together with functions as media that conveyed war situations. The postcards were also a means of dispersing propaganda to support women’s nationalization by expressing the image of the female in defense of the home front. In addition, the postcards fulfilled the function of strengthening the emperor’s ideology while propagating it at the same time. In other words, picture postcards issued on the occasion of the Russo-Japanese War consolidated the contemporaneous memories of the Russo-Japanese War as a collective memory, and were also reused as a means of war propaganda when carrying out the subsequent war.

      • KCI등재

        청일전쟁 및 삼국간섭과 러시아의 조선정책

        김원 수 한국정치외교사학회 2015 한국정치외교사논총 Vol.36 No.2

        본고는 그레이트 게임과 청일전쟁의 상호작동성을 모색해보고, 이를 전제로 청일전쟁기의 러시아의 조선정책을 조러관계 및 한반도를 둘러싼 다계적인 국계관계의 변화와 관련하여 재고찰해 본 것이다. 이를 위해 시간적 범주를 앞으로는 1884년의 조러통상조약과 거문도사건까지 소급하고, 뒤로는 삼국간섭이후 한반도를 중심한 러일교섭(1896-1898)에 까지 확대 하였다. 그리고 이 시기를 청일전쟁이전시기(1884년-1894년 6월초), 개전 외교시기(1894년 6월초-1894년 7월), 전쟁강화 및 삼국간섭시기(1894년 7월-1895년 4월말), 그리고 전쟁이후시기(1895년 10월-1898년 4월)로 구분하여, 각 시기에의 러시아의 조선정책을 살펴보았다. 청일전쟁기의 러시아의 조선정책은 삼국간섭을 계기로 소극적에서 적극적으로, 또는 기다리며 관망하는 자세에서 주도적 자세로 전환되고 있다. 하지만 큰 틀에 있어서는 지속적이고 일관된 노선을 견지하고 있는 바, 그것은 조선의 자주와 독립을 전제로 한 현상유지책을 기조로 하고 있었다. 이같은 러시아의 정책적 연속성은 거문도사건이후 결정된 러시아의 조선정책, 그리고 청일전쟁 뿐 만 아니라 러일전쟁의 그것에도 일관되게 지속되고 있었다. 이같은 역사적 사실은 청일 개전 원인의 시발점을 1880년대에까지 소급해보면 더욱 분명해 지며, 일본의 주권선, 이익선 구상 뿐 만 아니라, 1880년대 거문도사건을 계기로 한반도문제가 국제화된 과정과도 깊 게 연루되어 있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그것은 청일전쟁이 한반도 문제의 국제화의 산물이라는 역사담론까지도 가능케 한다. 이와 같은 역사담론은 기존 연구에서 통설화된 러시아의 극동정책에 있어서 한반도는 만주의 방어를 위한 방파제 또는 전초기지적 성격 밖에 띄지 못하고 있었다고 하는 논거를 재고케 해 준다. 왜냐하면 영러의 그레이트 게임이 라는 차원에서 보면, 한반도는 1884년의 거문도사건, 1894년의 청일전쟁에서 뿐 만 아니라 1904년 러일전쟁에서도 간과할 수 없이 확보해야하는 중요한 러시아의 동아시아 전략거점이었음이 확인되고 있기 때문이다. In this article, I have tried to interconnect International Relations of the Great Game with the Sino-Japanese War. Especially focused on reexamining Russia’s Far Eastern policy and the Russo-Korean relationship in Northeast Asia during the Sino-Japanese war period. To this end, I was to expanded the research scope from Korean-Russian Commercial Treaty and the Port Hamilton Incident(1884-1885) to the Russo-Japanese negotiations(1896-1898) after the Triple Intervention(1895). And then, It was to be divided 4 stages. First stage was the prewar period(1884-1894. 6), 2nd was prewar diplomacy period(early June1894–July1894), 3rd was peace conference and intervention period(July1894- late April 1895), 4th was after war period(October 1895-april 1898). And reconsider the Russian Policy toward Korea each time. During The Sino-Japanese War in 1894-95, Russia had special attention to maintain a balance of power in Korean peninsular. Aftermath of Korf-Zinoviev talks and Special Committee in St. Petersburg in 1888 and 1889, Russia has begun to take a geo-strategic measures in Korea and East Asia. But until then, her finance was week and military preparation was lack in the Far East. so Russia want to maintain the ante-bellum status quo in Korea at least until the completion of the Trans–Siberian Railway. But on the other hand, Russia was to be prevent from being infringed the independence of Korea by any power. Before the outbreak of war, Chinese Government asked for Russia’s arbitration to avoid war. The Russian arbitration was failed by the Japan’s unshakable will to war, but it made Japan delay outbreak of war approximately 40 days. In the long run, Russia adopted a wait-and-see policy and did not hinder Japanese aggression in the fall of 1894. The Japanese troops had success in the war and occupied Port Arthur and Weihaiwei and the Chinese plenipotentiaries had arrived in Japan for the Peace treaty negotiations. On February 1. 1895, a Special Committe in St. Petersburg was held to decided whether Russia should act independently or with other powers in the Sino-Japanese war after the committee, Russian policy toward Korea was changed to aggressive policy. A representative example were The Triple Intervention and Russo-Japanese negotiation in Korean Peninsular(1896-1898). However, from a long-term perspective, Russia s policy was consistent during the Sino–Japanese war period. It has been based on the strategic principle of preserving the independence of Korea.

      • KCI등재후보

        잊힌 전쟁: 외국 전쟁 그림책에서 한국전쟁 찾기

        위종선 ( Jongsun Wee ) 방정환연구소 2020 방정환연구 Vol.4 No.-

        한국전쟁이 일어난 지 70년이 되었다. 한국전쟁은 외국에서 잊힌 전쟁 또는 잘 알려지지 않은 전쟁으로 알려져 있다. 이 연구에서는 외국 어린이들에게 그림책을 통해 한국전쟁이 어떻게 소개되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독일 뮌헨 국제 아동도서 관이 출판한 세 권의 전쟁 그림책 카탈로그와 한중일 공동 평화 그림책 프로젝트를 조사하였다. 또 해외에서 출판된 그림책은 한국전쟁을 키워드로 하여 여러 온라인 데이터를 검색하여 찾아보았다. 연구 결과 뮌헨 국제 아동도서관의 전쟁 그림책 카탈로그에는 한국전쟁을 다룬 그림책이 한 권도 소개되지 않았음을 알 수 있었다. 전쟁 그림책 카탈로그에 소개된 동아시아에 관련된 그림책은 모두 일본에서 일어난 원자폭탄투하와 관련된 내용을 다루고 있었다. 원폭투하의 이야기가 동아시아에서 일어난 전쟁의 대표적인 이야기로 소개됨으로써 외국 어린이들에게 일본은 전쟁의 피해자라는 입장만이 소개되고 있다고 유추하여 보았다. 열한 권의 한중일 평화그램책 중 두 권이 한국전쟁을 소개하고 있었고, 미국에서 출판된 그림책 중에는 한국전쟁을 소개한 그림책이 몇 권밖에 검색되지 않았다. 이 연구는 해외에서 출판된 그림책에서 한국전쟁은 거의 찾아볼 수 없고 한국전쟁은 다른 나라 어린이들에게 잊힌 전쟁으로 남아 있음을 확인하였다. It has been the 70th anniversary of Korean war. The Korean war is known as a forgotten war or unknown war in other countries. This study examined how the Korean war is introduced to children in other countries through picture books. For this study, three Munich International Youth Library’s war picture book catalogues and the Korea-China-Japan Peace picture book project were examined. Picture books published in other countries were also searched through different online data with the keyword, Korean war. This study found that there was no single title in the war picture book catalogues published by Munich International Youth Library. In the catalogues, most of the war picture books about East Asian countries deal with atomic bombing in Japan. It is inferred that as stories about atomic bombing represent wars happened in East Asian countries, Japan is only introduced as a war victim to children. Two books introduced the Korean War out of eleven books in the peace book project. When searching for the Korean war in the picture books published in the U.S., few books were found.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Korean war is almost invisible in international children’s picture books and it remains as a forgotten war for children in other countries.

      • KCI우수등재

        중세 말 전쟁에 관한 규범과 현실

        성백용 ( Sung¸ Baik-yong ) 한국서양사학회 2020 西洋史論 Vol.0 No.147

        중세의 전쟁법은 여전히 생소한 개념이다. 이는 주로 근대 국제법 이념이 등장하기까지는 전쟁과 평화에 관한 보편적인 규범이 부재했다는 통념 때문으로 보인다. 그러나 전쟁법에 관한 여러 저술들과 법정에서 다루어진 관련 사건들은 백년전쟁시기에 전쟁에 관한 널리 공유된 관념과 규범이 존재했음을 방증한다. 전쟁법은 로마법과 교회법 그리고 기사신분의 관습과 규범에 근거를 두며, 전쟁의 정당성에서부터 군율과 급여, 전투 신호, 노획물, 포로, 휴전 등 매우 다양한 문제를 다룬다. 이 글은 전쟁의 정당성과 포위, 노획 및 포획에 초점을 맞추어 중세 말 전쟁에 관한 관념과 규범에서 나타난 변화들을 논의한다. 중세 말에 전쟁의 정당성의 근거로 특히 강조된 것은 공익적 이유와 공익을 대표하는 주권적 군주의 권위였다. 군주의 권위로 선포되고 수행되는 모든 전쟁은 국가의 공익을 위한 전쟁, 즉 유일하게 정당한 전쟁이라는 관념이 점점 더 전쟁의 규범과 현실을 지배하기 시작했다. 포위, 노획, 포획 등에 관한 구체적인 규범들 역시 이 같은 전쟁의 정당성을 기본전제로 한 것이었다. 이와 아울러 전쟁법 저술들이 다루는 수많은 세부 항목들과 악명 높은 용병대장 에메리고 마르셰(Aimerigot Marches)의 재판 사례는 전쟁 자체의 정당성만이 아니라 전쟁 수행 방식의 정당성 또한 중시되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The medieval law of arms still remains an unfamiliar concept. It seems to be mainly due to a common notion that universal rules on war and peace had been absent until the birth of a modern idea of international law. However, several writings on the law of arms and related cases in the courts testify to the existence of widely accepted notions and rules on war during the Hundred Years’ War. The law of arms was based on Roman law, Canon law, and customs and norms of knighthood, and dealt with a wide variety of issues, from the legitimacy of war to military rule and salary, signs of war, spoils, prisoners, and truce. This article discusses the changes in the notions and norms of war in the late Middle Ages, focusing on the issues of just war and siege, spoils and prisoners. In the late Middle Ages, what was particularly emphasized as the basis of the legitimacy of war was a cause of the public interest and the authority of a sovereign prince representing the cause. The notion that all the wars proclaimed and carried out in the name of the princes are for the sake of the public interest of the state, that is, the only just wars, began to dominate the norms and realities of war increasingly. Rules on siege, capture of spoils and prisoners were also based on the legitimacy of war. In addition, the numerous details discussed in the writings on the law of arms and the case of a notorious commander of routiers Aimerigot Marches show that not only the legitimacy of the war itself, but also the legitimacy of the way of warfare mattered. (Hannam University / sungby506@hanmail.net)

      • KCI등재

        전쟁 기억과 재현 : 대한민국연극제 한국전쟁 소재극을 중심으로

        김승옥 ( Seung Ock Kim ) 한국드라마학회 2011 드라마연구 Vol.- No.34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tudy on the memories of the Korean War and Theatrical Representation that is focusing on the Korean Theater Festival first period(1977~1986). The historical plays in Korea in 1970s and 1980s were showed a clear quantitative expansion. There are a lot of theater plays, of which materials is 6ㆍ25 after the Korean War. The Korean War is both trauma to us and treasure resource in theater plays ironically. The contents of these theater plays and aspects of memory are so various. It treats a miserable life during the war, an individual or family`s trauma, separated families, confrontation of ideology and dissolution, and the division of Korea etc, through the experience or an idea, directly or indirectly. For example,〈Trial of Abellman〉which material is a war crimes trial,〈A modest monument〉which material is anti-communist commemoration,〈Too far too long tunnel〉 which material is a genocide,〈Red & White〉which material is prisoners of war,〈Bicycle〉which material is an individual or family`s trauma,〈Han`s chronicle〉which material is the division of Korea, separated families and so on. These theater plays usually displayed the tendency of epic theater which was remarkable in the Korean Theater Festival. They not only destructed dramatic fantasy by making various use of the narrative form but also tried to clearly deliver a writer`s point of view. 본 연구는 한국전쟁의 기억과 재현 양상을 대한민국연극제 제1기(1977~1986)에 공연된 희곡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1970~80년대는 강력한 통치이데올로기를 배포하기 위해 기획된 국립극단의 ``위로부터의 역사극``과 민중사관에 영향을 받은 재야 단체들의 ``아래로부터의 역사극``이 생성 배포된 한국역사극의 융성기였다. ``국가``와 ``민중``이라는 거대담론이 경합하던 이때에 대한민국연극제 한국전쟁 소재극은 역사극 담론의 층위를 한층 두텁게 해주고 있다. 연극제 출품된 한국전쟁 희곡들은 역사적 사건에 대한 기억이 전쟁의 종결과 함께 정지되어 고착되는 것이 아니라, 주체들의 다양한 기억들 가운데 어떤 기억은 용인되고 다른 기억은 가공되고 변형되면서, 때로는 공식기억에 편입되기도 하고 망각되거나 소멸되고 있음을 드러냈다. 한국전쟁이라는 방대한 소재는〈아벨만의 재판〉의 전범 재판,〈비목〉의 무명용사 추모, 반공 기념, 실향민,〈멀고 긴 터널〉의 국가 폭력, 집단 학살,〈적과 백〉의 전쟁포로,〈자전거〉의 전쟁 외상장애,〈한씨연대기〉의 이산가족, 분단 극복 등의 다양한 기억으로 재생산되고 있다. 재현 양식에 있어서는 사실주의 양식에서 벗어난 서사 방식이 주조를 이루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연극 외적으로 정치·사회 현실의 첨예한 대립이 존재하였으며 내적으로는 새로운 극양식과 기법을 탐색하였던 이 시기에 서사극은 지배 담론에 대한 극작가들의 비판적 시선을 담아내기에 가장 편리한 방법적 차용이었다. 그러나 서사적 화자를 통해 작의를 직접적으로 제시해 주는 방식은 오히려 관객의 이성적 판단을 이끌어내는데 역효과를 자아냈다. 비판인식의 증대라는 부분적 성취에도 불구하고 극작술 미숙으로 채택된 서사 방식은 미학적 측면에서 한계를 보여주고 있다. 국가 만들기 프로젝트에 동원된 국립극단의 반공담론 역사극과 달리 대한민국연극제에서 공연된 한국전쟁 역사극은 새로운 인식주체, 즉 공식기억에서 잊혀진 주변부의 기억을 재현하기 시작했다는 점에서 주목을 끈다. 이는 전쟁피해자들의 ``억압된 앎``을 집약하여 ``공식화된 앎``에 도전함과 동시에, 전쟁에 대한 연극적 재해석을 통해 역사 다시쓰기를 시도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역사극은 과거에 대한 공통된 기억을 재구성함으로써 현재적 공통 감각을 만들어내고, 역사적 향수를 기초로 한 사회의식(rituals)의 국가적 작동을 가능케 해준다. 이는 대한민국연극제 출범 무렵인 권위주의 시대에 창작된 전쟁소재극의 기능에서도 확인된다. 국가가 반공주의, 애국심을 조성하고 사회 통합 및 정권 합법화의 효과를 위해 역사극을 적극 활용코자 한 것은 이러한 효용성 때문이다. 그러나 1980년대 이후 역사극들은 권위주의적이고 보수적인 성향 및 언어적 표현에서 벗어나 다양한 사회적 담론을 표출하고 있음이 확인된다. 전체주의적 동질성을 강화함으로써 국가 권력의 작동 매체로서 기능하게 했던 종래의 역사극에서 벗어나 사회 내부의 이질성과 다양성을 수용하고 있는, 새로운 역사극을 창조해가는 시대의 문턱으로 들어서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 KCI등재

        임진전쟁 시기 주요 전투의 의미와 성격 : 대첩을 중심으로

        김강식 부산경남사학회 2023 역사와 경계 Vol.125 No.-

        임진전쟁 시기에 많은 전투가 있었다. 임진전쟁 시기에 있었던 65차례의 주요 육지 전투는 승패를 떠나 국난극복에 여러 측면에서 도움이 되었다. 그 가운데서도 大捷으로 평가되는 전투는 사전적 의미대로 큰 승리를 거둔 전투였기에 전쟁의 국면을 전환시켰다. 그런데 이미 알려져 있는 임진전쟁 3대첩은조선시대에 평가자와 기록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임진전쟁 시기에 전쟁 극복 과정에서 승리를 거두어 당대부터 대첩으로 평가받은 주요 육지 전투는 진주대첩, 행주대첩, 연안대첩, 북관대첩, 평양대첩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육지 전투들은 海戰의 승리와 함께 임진전쟁 극복에서 기억되어야 할 전투들이다. 육지 전투에서 대첩으로 평가된 金時敏의 진주대첩, 權慄의 행주대첩, 李廷馣의 연암대첩, 鄭文孚의 북관대첩, 조선과 명나라 연합군의 평양대첩은 승리의 규모와 함께 전쟁의 국면을 바꾼 전투였다는 공통점이있다. 이런 측면이 널리 인식되어 대첩으로 높게 평가받아왔다. 이제 임진전쟁 3대첩을 비롯하여 전투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도 새롭게 정립되어야 한다. 아울러 임진전쟁 시기에 육지에서 치러진 65차례 전투의 의미와평가가 종합적으로 검토되어 임진전쟁 전투사 전체에서 차지하는 개별 전투의성격을 규정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서 임진전쟁 극복이라는 문제를 객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하나의 사례로 영천복성전투를 검토해보았다. 임진전쟁 개전기에 있었던 永川復城戰鬪는 경상좌도에서 지역의 의병과 관군이 연합하여 승전을 거둔 전투였다. 영천복성전투는 守城이 아닌 탈환에 성공하여 복성한 승첩으로서 상당한 의미가 있다. 무엇보다도 영천복성전투의 의미는 임진전쟁 개전기 전투에서 보면 전투사나 지역사 측면에서 상당한 의의가있었으며, 큰 성과를 거둔 전투였다고 평가할 수 있다. 이에 영천복성전투는조선시대의 국가 기록이나 개인의 역사 기록에서 다양하게 영천대첩으로 기록하고 있다. 이런 점에서 영천복성전투는 영천대첩이나 승첩으로 평가해도 타당할 것으로 여겨진다. 이 글에서 주목한 임진전쟁 시기의 전투에 대한 평가는 문헌 기록과 역사적의미를 중심으로 한 것이어서 일정한 한계가 있다. 앞으로 군사사 측면에서 임진전쟁에서 수행되었던 전투 승리의 규모, 전과, 의미, 평가를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대첩을 규정한다면 다시 정리되어야 여지가 많이 있다. 이런 시각에서 임진전쟁 시기의 각 지역 전투에 대한 평가가 객관적으로 진행되어야 할 필요성또한 제기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