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우리나라 수업 전문성 신장 활동의 탐색 : 문화역사활동이론의 관점에서

        김남수,황세영 한국교원교육학회 2013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0 No.4

        본 연구는 문화역사활동이론(Cultural Historical Activity Theory: CHAT)의 활동 체계를 분석틀로 삼아 수업 전문성 신장 활동인 수업 장학, 수업 컨설팅, 수업 비평을 살펴보았다. 그 과정에서 각 활동을 구분하는 기준 질문을 도출하였으며 그 질문들을 바탕으로 세 활동의 관계를 통시적인 관점과 공시적인 관점에서 설명하고자 했다. CHAT은 수업 전문성 신장의 단위를 교사 개인이 아니라 수업을 중심으로 대화를 나누는 집단으로 확장하여 보기를 제안한다. 이 관점에서 본다면 각 활동이 이루어지는 공동체 내에서 역할 바꿈 가능성, 인공물과 규칙의 합의 가능성은 수업 전문성 신장 활동의 성격과 의미를 파악하는 데 중요한 기준 질문이 된다. 이러한 기준 질문을 토대로 세 활동의 관계를 통시적으로 보았을 때 각 활동의 등장은 기존의 활동 체계 속의 문제점들을 해결하려는 시도로 볼 수 있으며 우리나라 수업 전문성 신장 활동 체계를 구성하는 각 요소들은 수정되거나 확장되었다. 공시적으로 보았을 때 세 활동은 각각 고유의 규칙과 분업 체계를 가지고 있는 활동 체계인 동시에 학교 현장에서 같은 교사 집단에게 중층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에서 갈등의 요소가 존재한다.

      • KCI등재

        초등 영어 교사의 교수 및 평가 전문성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

        신은경,안경자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19 한국초등교육 Vol.30 No.2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perceptions of elementary English teachers' expertise in instruction and assessment from the perspectives of teachers and students. It also identifies the ways for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to improve their teaching and testing expertise. Surveys were collected from 30 teachers and 622 students, and four teachers were interviewed.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ough teachers’ and students’ perceptions of teacher expertise were generally high, students‘ evaluation about teacher expertise was higher than teachers’ self-assessment. High evaluation about teacher expertise can make a positive effect on teachers’ self-efficacy and confidence. Second, both teachers and students highly valued teacher expertise as instructors rather than evaluators. Teacher education programs tend to mostly address teachers’ instructional skills and it is needed to focus more on their assessment skills. Third, teachers made suggestions for innovative development in teaching and assessment: improving teacher training programs, securing teachers’ time for instruction and assessment through reducing administrative workload unrelated to educational activities, securing sufficient time and space for assessment, and reducing the number of students per class. Although teachers and students thought highly of teachers’ competence in teaching and testing, more substantial improvement should be made. Thus effective support at the level of school and government are needed. Further implications in English teacher education programs and policy are discussed. 본 연구는 초등 영어 교사들의 영어교과의 교수자로서의 교수 전문성 및 평가자로서의 평가 전문성 에 대한 인식을 교사와 학생의 시각에서 살펴보고 인식 조사 및 비교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 영어 전담 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개선 방안을 도출했다. 교사 30명과 학생 62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해 초등 영어 교사의 교수 및 평가 전문성에 대한 인식을 알아본 후 이를 바탕으로 교사 4명을 대 상으로 심층 면담을 실시하여 구체적인 요구와 개선 방안에 관한 의견을 수집했다. 주요 결과는 다음 과 같다. 첫째, 초등 영어 교사의 전문성 수준에 대한 두 집단의 인식은 전반적으로 높은 편이었으나 학생의 교사 평가가 교사의 자기 평가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초등 영어 교사의 전문성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알 수 있으며 이러한 결과는 초등 영어 교사의 효능감과 자신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둘째, 교사와 학생 모두 초등 영어 교사의 평가 전문성보다는 교수 전문성을 높게 평가했 다. 따라서 교수지식이나 교수법과 같은 교수 전문성 신장 위주로 편성된 교사교육 프로그램에서 영어 평가와 관련된 전문적인 교사교육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 셋째, 교수 및 평가 전문성 신장을 위한 방 안으로 교사들은 연수 프로그램의 개발 및 개선, 교육활동과 무관한 업무 경감을 통한 수업 및 평가 연구 시간 확보, 충분한 평가 시간과 공간의 확보, 학급 당 학생 인원 조정을 언급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 영어 교사들의 교수 및 평가 전문성이 상당히 갖추어져 있다고 교사와 학생 모두 인식 하고 있으나 여전히 현장에서는 부족함을 느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교사의 개인적인 노력 과 함께 교사교육 측면에서 학교 및 국가 차원의 실효성 있는 지원이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 구에서 제시한 교육적, 정책적 시사점을 통해 초등 영어 교사들의 교수 및 평가 전문성이 효과적으로 신장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교사 전문성 발달 과정의 특성이 전문성 신장에 주는 시사점 탐색

        구원회(Gu Won hoe)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6 인문사회과학연구 Vol.17 No.1

        교사 전문성 발달 과정의 특성을 살펴보고, 이러한 특성들이 교사 전문성 신장에 주는 시사점을 찾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자는 국내의 교사의 전문성 발달에 관한 사례 연구들을 분석하여 교사 전문성 발달의 과정과 특징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교사 전문성 논의의 핵심은 무엇인지, 기존의 연구에서 관심을 충분히 기울이지 못한 점이 무엇인지, 우리가 유념해야 할 것은 무엇인지 등의 질문에 답하였다. 교사 전문성 발달이 좀 더 충실하게 이루어지려면 교사가 된 이후의 전문성 발달 기회를 다양하게 제공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 자생적인 교사연구모임, 온라인 커뮤니티등 교사학습공동체 등 각종 교사조직들이 교류할 수 있도록 지원해 주어야 한다. 교사 전문성 발달의 핵심은 자발성이 높고, 목적의식과 동료의식이 강하며, 진정성을 지닌 변화지향적인 교사를 어떻게 길러낼 것인가에 있다. 주체적인 판단과 자율성을 토대로 자신의 내면을 성찰하고, 동료 교사와 함께 올바른 교육의 길을 모색하는 것이 전문가 교사가 되기 위해 교육자가 할 수 있는 가장 적절한 접근 방식일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n implication for teacher professional growth by qualitative characteristics of developmental process. For studying various teacher’s developmental process, I have established for my own viewpoint. That include the meaning of teacher professional growth, reality shock, adaption and development, stability and maturity. In terms of the result of this research, there are so many teachers shocked by the reality which that face after commencing their profession as teachers, differ markedly from their expectation. In many case which I have collected, teachers tried to adapt to the teaching profession in order to overcome such a shock and confusion, and I have recognized that those efforts had meaning as an adoption for survival, introspection on the tension faced during the process of adaption, a way of overcome which they have faced. I have sincerely understand that it was so difficult to adequately their professional growth amidst the above specified reality, situation, and context of being unable to proper reflective practitioner, and I recommended teachers to research with their peer teachers.

      • KCI등재

        공교육 내실화를 위한 교사 전문성 신장방안 탐색

        이혜정(Hye-Jeung Lee) 한국열린교육학회 2010 열린교육연구 Vol.18 No.3

        본 연구는 공교육내실화를 위한 한 방안으로 교사들의 전문성 신장의 의미와 방안을 탐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이를 위해 교사의 견해를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우리 사회 학교교육은 높은 학업성취도 이면에 심한 학력격차와 학교교육에 대한 낮은 만족도로 인해 학교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반성과 함께 공교육내실화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교사 전문성 신장은 교직의 전문적 특성에 비추어 필요할 뿐 아니라 학교교육의 질을 좌우하는 주요요인이 된다는 점에서 중요 하다. 연구결과 학교교육의 문제는 정부정책의 비일관성과 관리위주의 시도교육청의 역할, 행정위주 학교운영과 교사의 소극성, 대학입학위주 학교교육관 및 학력위주의 사회분위기가 지적되었다. 교사 전문성 신장방안으로는 교수능력향상을 위한 여건의 조성, 수업중심 학교운영 패러다임으로의 변화, 그리고 교육본질 회복을 위한 지원체제의 구축으로 제시되었다. 무엇보다 교사의 전문성은 교사의 교수능력향상에서 찾을 수 있다. 본 연구 결과는 교사 전문성 신장 방안은 교사의 수업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어야 하고, 교사 전문성 신장은 교사를 대상으로 하되 교사의 참여와 노력을 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ways of the improvement of teachers' profession to achieve the internal stability of the public education. In order to do that this study discusses the issue based on teachers' point of view. The school education in our society has received both expectation and dissatisfaction based on contradictory evaluation at the same time. Due to the fact that there is a growing academic ability gap and low satisfaction with the school education although the overall academic achievement has increased, it is necessary that the school education should go through self-reflection and ensure its internal stability in general. Furthermore, in order to satisfy the demand for the intensive educational competitiveness in the level of global and national tendency, the school education should aim to change for qualified improvement. The role of teacher in the school education is critically important, so that the improvement of teachers' profession. Also it is a crucial factor to the qualification of the school education. The result of the study shows that the problems of the school education have been found in terms of the inconsistent policy of the government, the role of the local educational office which focuses on preferred-administration, the school operation which focuses on administration, teachers' passiveness, the school philosophy focusing on university entrance and the social atmosphere concentrating in achievement ability. Several ways for the improvement of teachers' profession have been suggested. They are as follows; creating the conditions for the improvement of teachers' teaching ability, the change of paradigm for the operation of the class-centred school, the establishment of the supporting system in order to recover the nature of the school education. Most of all, teachers' profession can be found in the teaching ability which is the main job for teachers. Therefore, the improvement of the teachers' profession is to increase the teachers' teaching ability. The ways of progressing teachers' speciality is significant in the point of that it enhances the quality of teaching. The improvement of the teachers' specialization should target the teachers, and also it should be carried out with the teachers' participation and efforts.

      • KCI등재

        예비일반교사의 통합교육 전문성 신장 관련 연구의 동향 분석: 최근 10년간 연구를 중심으로

        안제춘,임진형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11

        목적 본 연구는 최근 10년간 예비일반교사를 대상으로 통합교육 전문성 신장을 위한 활동을 제공한 국내 학술지 연구동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최종적으로 포함된 연구 51편을 대상으로 연도, 연구유형, 통합교육 전문성 신장 영역, 전문성 신장 경험, 대상에 따라 통합교육 전문성 신장 관련 국내 등재지 및 후보지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였다. 각 변인별로 2013년부터 2022년까지 10년간의 연구를5년 단위인 2013년부터 2017년까지와 2018년부터 2022년까지 수행된 연구의 수를 비교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살펴보면, 교과 과정에 비해 비교과 과정이 전반적으로 적게 제공되었으며, 비교적 최근 5년에는 교과과정인 경우에는 연구의 수와 비율이 각각 1편과 4% 증가한 반면, 비교과 과정의 연구 수는 4편 증가하였으며 비율로는 200% 증가하였다. 연구유형별로는 실험연구가 가장 많이 활용되었다. 통합교육 전문성 신장 활동별로는 인식 및 태도가 전체 연구의 90% 정도에서 다루고 있었으며, 이에 반해 지식과 기능(역량)은 각각 전체 연구의 25%와 17%에서 다루고 있었다. 전문성 신장 경험별로는 교과 과정이 84%로 비교과 과정의 16%에 비해 비교적 높은 비율로 제공되었다. 전반적으로 예비유아교사(37%)와 예비중등교사(39%) 대상 연구가 예비초등교사(19%) 대상 연구보다 많은 편이었다. 결론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비교적 적게 이루어진 변인 영역을 중심으로 추후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s in domestic academic journals that provided activities to enhance professionalism in inclusive education for pre-service general education teachers over the recent 10 years. Methods A total of 51 studies included in the current analysis examined trends in domestic journals in terms of publication year, research types, professionalism of inclusive education, activities for the enhancement of professionalism, and participants. We compared the number of studies conducted for each variable over a 10-year period from 2013 to 2022, analyzing the quantity of research conducted in two 5-year intervals: from 2013 to 2017 and from 2018 to 2022. Results The main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Compared to studies providing curriculum activities, studies providing non-curricular activities were more conducted. In relatively recent years, while the number and the proportion of research in the curriculum activities increased by one study and four percent, the number of research in the non-curricular activities increased by four studies, and proportion increased by 200%. Experimental studies were the most commonly used among research types. In terms of activities to enhance professionalism in inclusive education, perception and attitude were covered in about 90% of all studies, while knowledge and skills were covered in 25% and 17% of all studies, respectively. In terms of activities of professionalism, the curriculum activities were provided at a relatively higher proportion of 84% compared to 16% in the non-curricular activities. Overall, more studies targeting pre-service teachers(37%) and pre-service secondary school teachers(39%) were conducted than studies targeting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19%). Conclusions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 provide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focusing on the areas with relatively less conducted.

      • KCI등재

        지리교사 전문성 제고 방안

        김진국(Jin-Kuk Kim),남상준(Sang-Joon Nam) 대한지리학회 2007 대한지리학회지 Vol.42 No.3

        본 연구는 지리교사의 전문성을 제고하기 위한 방안을 교수ㆍ학습 측면에 주안점을 두어 제시하고자 하였다. 인식론의 변화, 교과중심 교육과정 운영 등으로 교사의 전문성에 대한 요구는 더욱 높아지고 있으나 교과 특성에 기초한 지리교사의 전문성 및 그 구성 요소는 무엇인가에 대한 논의는 활발하지 못하였다. 특히 지리교사와 관련된 선행 연구물들의 경우 주로 교과 내용과 방법이라는 이분법적 구분, 이론적 차원에서 단순히 수업 모형을 적용하려는 사고가 우세하여 통합적 차원에서 지리교사의 전문성을 제고하기 위한 방안 제시가 미흡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수ㆍ학습 측면에서 지리교사에게 요구되는 전문성의 구성 요소를 파악한 후, 거시적 차원에서 지리교사의 전문성을 제고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지리교사는 결과로서의 지역이 아닌 과정으로서의 지역을 설계하는 교사, 기술적인 실행에서 벗어난 반성적 실천가로서의 지리교사가 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개인적 차원의 교육적 반성과 더불어 협력의 과정을 통한 전문성 신장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has shown that geography teachers need the professionalism in a Teaching and Learning aspect. Together with the transition of epistemology and the operation of the Subject Matter-based curriculum, etc the demand for professionalism of teachers is much higher than ever. But the less discussion about what the professionalism of geography teachers based on subject traits and its components are has been mentioned. Especially the previous studies related with geography teachers usually distinguished the contents from the methods in the geography teaching in a dichotomy and tried to apply to a class model in the theoretical aspects, so they didn°Øt present the enough measures to improve the professionalism of geography teachers in the synthetic aspects. In this study, after I found the components of professionalism required to geography teachers in a teaching and learning, I tried to present measures to improve the professionalism of geography teachers in the macroscopic aspects. The geography teacher should be a teacher to design a region as a process than a result, and a teacher as a reflective practitioner than a technical practitioner. The improvement of professionalism should be achieved through the process of cooperation with an educational reflection in the individual aspects.

      • KCI등재

        연구논문 : 초등교원의 전문성 신장에 대한 생애사적 접근

        김석례 ( Suck Rye Kim ),손민호 ( Min Ho Shon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1 교육문화연구 Vol.17 No.1

        본 연구에서는 초등 교원이 전문성 신장을 위해 경험하게 되는 과정에 관해 알아보고자 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생애사 연구가 동질 집단의 사람들이 자신들이 경험하는 바에 의미를 부여하기 위해 공히 차용하고 있는 독특한 서사 유형을 탐색하는데 도움이 된다고 보고 이러한 방법을 통해 초등교원들의 독특한 문화에 접근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경력 17년, 25년의 두 초등학교 교사로부터 생애사기술 자료와 면접 자료를 수집·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인 두 교사의 생애사를 추적해보면 전문성 신장을 위한 자기개발 과정에 있어 독특한 차이를 보인 반면 몇가지 공통된 특성을 보여주고 있다. 전문성의 신장이 ‘상황판단 노력’에 의해 큰 영향을 받고 있으며, 집단적인 경로보다는 교사 개인의 사적인 동기에 의해 좌우되는 경향이 많은 점, 경력 관리로서 현장 연구를 수행해야 한다는 압박감을 크게 느끼고 있다는 점, 전문성의 한계를 인식하여 딜레마에 빠진다는 점, 학생생활지도와 수업이라는 교육 전문성 보다는 보직이나 승진 등 조직 논리에 의한 보상에 의해 더 쉽게 영향을 받는다는 점 등이다. 본 연구 결과는 초등교원의 전문성이 갖는 특수성이 무엇인지, 그리고 그러한 전문성이 어떤 삶의 궤적을 따라 형성되는 지에 대해 시사점을 줄 것이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processes and patterns for expertise development of elementary teachers in their life historical inquiry. For this, we collected and analyzed the life history description data and interview data of two elementary teachers who have been teaching for 17 and 25 years, respectively. These two teachers, who have passions in education, showed some differences in self development process for their expertise development, whereas have common characters in other parts. They are both affected by ``situation judgement effort``, be influenced by private of personal, conduct impatient researching activity in habitual routine, face a dilemma from their limitations of expertise, focuses on the promotion of themselves rather than study for educations and guidances of their students. So, teachers have to develop their expertises via clear educational philosophy and teaching profession through systematic practices.

      • KCI등재

        마이크로티칭을 활용한 예비교사의 수업전문성 신장 탐색 : 초등사회과를 사례로

        오동주(Oh, Dong-Ju),황홍섭(Hwang, Hong-Seop)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20 사회과교육 Vol.5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마이크로티칭(microteaching)을 활용한 예비교사의 사회과 수업시연을 통해 어떻게 수업전문성이 신장되는 지를 탐색하는 것이다. 마이크로티칭을 활용한 수업시연은 본 연구자가 근무하는 대학의 사회과 교재연구 강좌 시 3개학과 총 71명의 교대생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마이크로티칭 절차는 크게 수업계획- 수업시연- 수업재시연의 3단계로 진행하였다. 각 단계마다 보다 원활한 진행과 의사소통을 위해 온라인 플랫폼으로 LMS(Learning Mangement System)와 온라인망으로 SNS(Social Network Service)를 적극 활용하였다. 수업시연을 통해 수업이 개선될 수 있도록 교과전문 교수(수업분석자)와 현장수업전문가는 예비교사들의 마이크로티칭 과정에서 단계에 맞는 피드백을 제공해주었으며, 예비교사들도 마이크로티칭의 과정에 모두 참여하여 피드백을 해주며, 동료평가, 양적 및 질적평가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마이크로티칭의 단계마다 반복적인 피드백과 훈련을 통해 예비교사의 사회과 수업전문성 신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로 학생들은 마이크로티칭을 통해 사회과 수업설계(수업안 작성), 수업시연, 수업성찰 및 재시연 등을 통하며, 자신의 수업계획과 수업 행동에 대한 교수, 현장전문가, 동료예비교사들로부터 피드백 및 평가를 받으면서 예비교사들은 사회과적 특성을 감안한 수업개선을 통해 전문성이 신장되었다. 둘째로 마이크로티칭을 통한 수업컨설팅은 피드백에 있어서 적시성과 효과성이 뛰어나 사회과 현장수업에서 맞닥뜨리게 될 혼란을 최소화할 수 있는 실습 경험을 공유함과 더불어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로 마이크로티칭을 통한 사회과 수업에 대한 반복된 훈련을 통해 사회과 수업에 대해서 자신감이 높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2015개정 사회교과에서 강조하는 핵심역량, 핵심개념, 기능 등의 학습요소에 대해서 예비교사의 수업역량을 강화할 수 있어 임용 2차시험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이크로티칭을 통해 반성과 성찰의 기회를 얻은 예비교사는 자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이러한 모습을 통해 예비교사는 반성적 실천가(reflective practitioner)로서 예비교사의 수업역량을 강화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ole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and pre-service teachers in the classroom improvement using micro-teaching. The demonstration syllabus using micro-teaching was conducted with a total of 71 education students during the class of social studies and textbook research at the university where the researchers worked. In this course, micro-teaching was conducted using a learning management system (LMS) and social network services (SNS) to better connect the planning implementation and cleanup steps. Professors (class analysts) and field experts provided feedback regarding the steps in the micro-teaching process of pre-service teachers, and the pre-service teachers also participated in all the micro-teaching processes, providing feedback, and conducted peer evaluation as well. The study provided direct experience to minimize the confusion encountered in the field, which is excellent in timeliness and effectiveness. Microteaching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social studies and classes of pre-service teachers. By using the microteaching method, pre-service teachers designed and demonstrated to the social studies class. Field experts and professors provided feedback on their teaching, which provided them with the increased confidence in the classes. In particular, the willingness to work to solve one’s problems through micro-teaching opportunities has strengthened the classroom empowerment of pre-service teachers as reflective practitioners.

      • KCI등재

        현장 교사교육을 통한 수업 전문성 신장 과정 탐구 : 세계시민교육을 사례로

        박애경(Park, Aekyung) 글로벌교육연구학회 2018 글로벌교육연구 Vol.1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교사교육 방법들을 통해 현장의 교사들이 세계시민교육 분야의 수업 전문성을 향상시켜나가는 과정을 서술하는 것으로, 이를 통해 더 나은 교사 교육 체제를 구성하기 위한 시사점을 찾아보고자 한다. 연구를 위해 관련 분야의 교사연 수, 교원학습공동체 토론, 연구기관 연계 협력적 실행연구 등 현장에서 진행되는 교사교 육을 살펴보고, 이러한 교육 프로그램이 교사들의 수업에 미치는 영향을 수업 지도안과 교사 인터뷰, 학습공동체 토론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연구에 활용된 세계시민교육은 최근 글로벌 사회의 시민을 양성하기 위한 교육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비판적 사고 및문제해결을 위한 인지적, 공감적, 행동적 역량을 포함하는 변혁적 성격을 지니고 있어 교사들의 전문성 강화에 적합한 주제로 판단하였다. 연구 과정에서 교사교육이 수업에 반영되는 양상을 Schön이 제시한 수업의 반성적 앎의 단계에 따라 분석한 결과, 연구 참여 교사들은 먼저 교원 연수 및 연구회에서 주제에 대한 기본 개념을 이해하고 이를 수업 구성에 적용하는 실천지를 구성하였다. 이후, 전문기관의 컨설팅을 바탕으로 주요 개념을 심화하고 교원학습공동체 토론을 통한 교수학습방법 개선 논의가 이루어졌다. 마지막으로 실제 수업 후 반성으로 자신의 수업을 돌아보고 앞으로의 실천 방향을 설정할 수 있었다. 이러한 과정은 현대의 다양한 교육적 요구에 대한 교원 전문성 향상을 위해 현장 교사교육이 나아갈 방향에 하나의 가능성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the process of improving teachers professionalism in the field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GCED) through various teacher education methods and to find implications for constructing a better teacher education system. For the research, I investigate the teacher education system such as teachers’ training course, teacher learning community, cooperation with research institutes. And I check the effect to the teachers’ lessons of these using lesson plans, teacher interviews, discussion contents of learning communities. The GCED used in the research has recently attracted attention as an education to nurture citizens of the global society and has a transformational nature including cognitive, empathic and behavioral capacities for critical thinking and problem solving. This was judged to be a suitable theme for strengthening.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aspect of reflection of teacher education in class in the course of study, according to the level of reflective knowledge of the class presented by Schön, it is firstly understood that basic understanding of subject is understood in teacher training and research meeting. After that, based on the consultation of professional organizations, teachers deepened the main concepts and debated how to improv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hrough discussion of teacher learning community. Finally, after reflection on the actual class, They are able to look back on class and set the future direction of practice. This process can provide one possibility for on-site teacher education to improve teacher professionalism for various modern educational needs.

      • KCI등재

        예비체육교사의 수업시연 경험을 통한 수업 전문성 신장 요인 탐색

        함지선(Ham, JiS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16

        본 연구는 직전교육에서 수업시연 경험을 통해 예비체육교사들에게 내면화 되는 수업전문성 신장 요인이 무엇인지에 대해 심층적으로 탐색하고 수업시연의 단계별 과정을 통한 예비체육교사들의 내면적 성장요인을 밝히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자의 ‘체육교과교육론’ 강좌를 수강하고 있는 수강생 20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수업시연 단계별 과정에서 수행된 여러 자료들을 수집하였으며, 이 중, 3명을 재선정하여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설명적 사례연구를 위해 주로 사용되는 분석방법인 구조적 분석(structural analysis)과 해석적 분석(interpretational analysis)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도출된 결과로는 첫째, 수업시연 경험을 통해서 예비체육교사들은 효율적 수업전략에 대한 학습요인 및 반성적 사고 과정의 연습요인을 수업전문성 신장요인으로 내면화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체육교사들은 수업시연 단계별 경험을 통해 자기 효능감 및 조망수용능력으로 해석, 범주화된 사회・심리적 발달 요인을 내면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볼 때, 예비체육교사들의 수업시연 경험은 수업전문성 신장요인을 내면화하는데 있어 절대적인 경험이라 할 수 있으며 예비체육교사들에게 수업개선을 위해 필요한 전문성 발달영역을 확인해 줄 뿐 아니라 직전 및 현직 교육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의 준거를 제공할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in depth how the factor of enhancing the professionalism of teaching in preliminary physical education teachers through the class demonstration experience in the previous education and to identify the internal growth factors of preliminary physical education teachers through the step. For this purpose, we selected 20 learner who participated in the lecture on Physical education subject education of the researcher as a research participant and gathered various materials performed during the course demonstration step by step. The 3 students were re-elected to conduct in-depth interviews on the experienc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structural analysis and interpretational analysis methods, which are mainly used for explanatory case studies. Therefore,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through the class demonstration experience, the preliminary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ternalize the learning factors of effective teaching strategies and the practice factors of reflective thinking process as the factors of teaching professionalism. Second, pre - servic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ternalized the factors of social and psychological development categorized by interpreting self - efficacy and vision receptivity through experience of class demonstration. Therefore, the experiences of preliminary physical education teachers demonstration of class is an absolute experience in internalizing the factors of professionalism of the class, and it not only confirms the development areas of professional development necessary for improvement of classes to preliminary physical education teachers but also develops programs for In-service trai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