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의 자기불일치와 우울이 SNS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조절된 매개효과

        김태곤,이수진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2018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Vol.15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through depre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screpancy and SNS addiction tendency. A total of 501 Korean college students(Males: 191/Females: 310) from two colleges in Seoul and Chung-Nam, participated in this study by responding to the following questionnaires: SNS Addiction Proneness Scale for College Students, Actual and Ideal Selves Questionnaire, The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Depressions(CES-D),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Questionnaire (CERQ), The data analysis was done using SPSS Statistics 18.0 VERSION and SPSS Process macro version 2.16 The main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SNS addiction tendency, self-discrepancy, depression and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SNS addiction tendency, self-discrepancy, depression. And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NS addiction tendency, self-discrepancy, depression. Second, a mediating model show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screpancy and SNS addiction tendency was partially mediated by depression. Third, using multiple regression and slope analysis, the moderation effect of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screpancy and depression was found, but not for adap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Finally,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lso moderated the mediating effect of self-discrepancy on SNS addiction tendency through depression. In this study, the pathway leading to the SNS addiction tendency was examined jointly, including self-discrepancy, depression and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effectively utilized in counseling and prevention education practice for SNS addiction. Also,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대학생의 자기불일치와 SNS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우울의 매개효과와 자기불일치와 우울의 관계를 조절하는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충남 소재의 4년제 대학교 재학생 501명(남학생 191명, 여학생 310명)을 대상으로 자기불일치척도, 우울척도, SNS중독경향성 척도,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척도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변인들 간의 상호 관련성을 확인한 결과 SNS중독경향성, 자기불일치, 우울,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모든 변인들 간 상관이 유의미하였다. 그 중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은 자기불일치, 우울, SNS중독경향성과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은 자기불일치, 우울, SNS중독경향성과 각각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자기불일치와 SNS중독의 관계에서 우울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우울은 자기불일치와 SNS중독의 관계를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불일치와 우울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조절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았고,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자기불일치와 우울의 관계를 유의미하게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자기불일치와 SNS중독의 관계를 우울이 매개하고, 자기불일치와 우울의 관계를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조절하는 조절된 매개효과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SNS중독 상담에서 적용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취약성 자기애와 내면화된 수치심의 관계에서 자기불일치의 매개효과

        박정은,장재홍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1

        Self-discrepancies as a Mediator of the RelationBetween Vulnerable Narcissism and Internalized ShameJeongeun Park & Jeahong Jang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self-discrepancies on the relation between vulnerable narcissism and shame. For this, the study conducted Pathological Narcissism Inventory, Integrated Self-Discrepancy Index, and Internalized Shame Scale on 330 adult males and females aged 18 years or above. As a result of the study, ideal self- discrepancy and undesired self-discrepancy significantly predicted internalized shame. In the structural model in which both ideal and undesired self-discrepancies parallelly mediate the relation between vulnerable narcissism and internalized shame, not the mediating effect of ideal self-discrepancy but the mediating effect of undesired self-discrepancy was significant.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rapeutic intervention to increase discrepancy between undesired self and real self is necessary to reduce shame of vulnerable narcissism. Key Words: Vulnerable Narcissism, Internalized Shame, Self-discrepancy, Ideal Self, Undesired Self 취약성 자기애와 내면화된 수치심의 관계에서 자기불일치의 매개효과박 정 은**ㆍ장 재 홍*** 요약: 본 연구의 목적은 취약성 자기애와 수치심 간의 관계에서 자기불일치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만 18세 이상의 성인 남녀 330명을 대상으로 병리적 자기애 척도, 통합적 자기불일치 지수, 내면화된 수치심 척도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이상적 자기불일치와 원하지 않는 자기불일치는 내면화된 수치심을 유의하게 설명하였다. 그리고 취약성 자기애와 내면화된 수치심 간 관계를 이상적 자기불일치와 원하지 않는 자기불일치가 병렬적으로 매개하는 구조모형에서, 이상적 자기불일치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고 원하지 않는 자기불일치의 매개효과만 유의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취약성 자기애의 수치심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원하지 않는 자기와 실제 자기 간 불일치를 높이는 치료적 개입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핵심어: 취약성 자기애, 내면화된 수치심, 자기불일치, 이상적 자기, 원하지 않는 자기 □ 접수일: 2022년 1월 6일, 수정일: 2022년 1월 26일, 게재확정일: 2022년 2월 20일* 이 논문은 주저자의 2019년 석사학위 청구논문을 일부 발췌, 수정한 것임. ** 주저자, 서강대학교 심리학과 석사(First Author, Master, Sogang Univ., Email: jecounsel2@gmail.com)*** 교신저자, 서강대학교 심리학과 교수(Corresponding Author, Professor, Sogang Univ., Email: jangjh@sogang.ac.kr)

      • KCI등재

        자기불일치 국내 연구 동향 분석

        안지영,김경은 한국열린교육학회 2023 열린교육연구 Vol.31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Korean research trends on self-discrepancy and related variables and systematically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screpancy and related variables. Through this, the study aims to propose more effective mental health interventions in education and counseling practices. For this study, 197 papers from major Korean academic databases from 1987 to the first half of 2022 were analyzed using the keyword "self-discrepancy". The research results were examined by year, subject, research method, measurement tool, and type of self-discrepancy.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First, the number of papers has steadily increased by year, and there has been a steep increase over the past 10 years. Second, regarding research participants, the proportion of adults exceeded half, and the proportion of children and adolescents was relatively small. Third, regarding research methods, the proportion of quantitative research was overwhelmingly high, and path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the most commonly used methods of analysis. Fourth, the Selves Questionnaire developed by Higgins et al. (1985) and reconstructed by Seo (1996) was the most frequently used measurement tool for self-discrepancy. Fifth, regarding research design, the highest percentage of research designed self-discrepancy as an independent variable. Sixth, of the six types of self-discrepancy suggested by Higgins (1987), over 90% of the studies used only one or two types of self-discrepancy, with the actual/own versus ideal/own discrepancy type being the most frequently used. Seventh, the differential association between self-discrepancy type and depression and anxiety presented by Higgins' (1987) theory did not show a unified result.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ions for variables, measurement tools, and methods to consider for future studies applying the concept of self-discrepancy and implications that can be applied to counseling and education were proposed. 본 연구는 자기불일치와 관련 변인 간의 국내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 자기불일치와 관련 변인 간의 관계를 체계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해 교육 및 상담의 실제에서 보다 효과적인 정신건강 중재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국내 학술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자기불일치’를 키워드로 1987년부터 2022년 상반기까지 발표된 연구물 중 선정 기준에 적합한 197편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연도별, 연구대상별, 연구방법별, 측정도구별, 자기불일치 유형별, 관련 변인별 특성으로 나타내었다. 첫째, 연도별 논문의 수는 꾸준히 증가하였고, 최근 10년간 급증하였다. 둘째, 연구대상은 성인의 비율이 절반을 넘었고, 학령기 학생들에 대한 관심이 상대적으로 부족하였다. 셋째, 연구방법은 양적연구의 비중이 압도적으로 높았고, 경로분석과 회귀분석 빈도가 높았다. 넷째, 자기불일치 측정 도구는 Higgins, Klein과 Strauman(1985)가 개발하고 서수균(1996)이 재구성한 ‘자기질문지’가 가장 높은 비율로 사용되었다. 다섯째, 연구설계는 자기불일치를 독립변인으로 설계한 논문이 절반 이상으로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냈다. 여섯째, 국내 연구에서는 자기불일치의 총 6개 유형 중 1개 유형만을 변인으로 설정한 경우가 많았고, 실제(자신)-이상(자신) 유형이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일곱째, Higgins(1987)가 자기불일치 이론에서 제시한 자기불일치 유형과 우울 및 불안 간의 차별적인 연관성은 통일된 결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연구에서 자기불일치 개념을 적용함에 있어 고려되어야 할 변인, 측정도구, 상담 및 교육의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대학생의 자기불일치와 사회불안간의 관계 : 긍정적/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의 매개 효과

        황인혜,이주영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2021 인지행동치료 Vol.21 No.1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자기불일치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과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이 매개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으며, 자기가 생각하는 실제 자 기와 자신에게 부과하는 의무적 자기 간의 불일치 및 타인이 기대하는 의무적 자기 간의 불 일치를 살펴보았다. 대학생 3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방식의 자기보고식 설문을 실시하여 2 개의 자기불일치 유형에 따라 구조방정식 모형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실제적 자기와 의무 /자신 간의 자기불일치는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이 완전 매개하여 사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실제적 자기와 의무/타인 간의 자 기불일치는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을 완전 매개하여 사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 자기의 모습과 기대되는 의무적 자기 모습의 일치 정도가 사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뿐만 아니라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도 사회불안을 예측하는 중요한 변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current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screpancy and social anxiety and mediating effects of fear of positive/negative evaluation in college students. In particular, this study focused on the inconsistency between the actual self and the ought self imposed on oneself and the inconsistency between the actual self and the ought self that significant others expect. This study collected data of 300 university students through online questionnaire survey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the result of the analysis are a follow. The self-discrepancy between the actual self and the ought self imposed on oneself was found to affect the social anxiety through a full mediation of fear of positive evaluation and fear of negative evaluation. The self-discrepancy between the actual self and the ought self imposed on significant others was found to affect the social anxiety through a full mediation of fear of negative evaluation.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degree of correspondence between the actual self and the ought self has an influence on social anxiety, and that fear of positive evaluation as well as fear of negative evaluation are important variables in predicting social anxiety.

      • KCI등재

        불일치민감도가 소비자기대에 미치는 효과: 자기해석과 예상된 소비맥락의 조절효과

        전승우 한국전략마케팅학회 2011 마케팅논집 Vol.19 No.4

        소비자의 기대와 만족에 관한 연구들은 불일치민감도가 높은 소비자일수록 만족을 극대화시키기 위해 기대수준을 낮춘다는 사실을 입증하였다. 그리고 이 현상이 제품사용 직전에 더욱 강하게 나타난다는 사실도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이런 연구결과와 개인의 자기해석(self-construal)의 차이에 따라 서로 다른 소비맥락에서 인지부조화를 감소시키려는 노력을 한다는 연구결과들을 토대로, 불일치민감도 효과에 대한 새로운 가설을 설정한다. 즉, 소비자의 자기해석은 독립적 자기해석(independent self-construal)과 상호의존적 자기해석(interdependent self-construal)로 구분되는데, 각각 서로 다른 자기해석을 가진 소비자들은 서로 다른 예상된 소비맥락(개인적 소비vs. 상호적 소비)에서 기대를 감소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이것은 소비자의 자기해석과 소비맥락의 차이에 따라, 불일치민감도의 역할이 달라 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선택한 제품의 소비맥락이 개인적일 경우, 불일치민감도가 높은 사람들 가운데 독립적 자기해석(independent self)이 강한 사람들은 상호의존적 자기해석(interdependent self)을 가진 사람들 보다 제품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제품품질에 대한 기대를 더 큰 폭으로 낮출 것이라 예상하였다. 그러나 선택한 제품의 소비맥락이 상호적일 경우, 상호의존적 자기해석이 강한 사람들은 독립적 자기해석이 강한 사람들 보다 제품품질에 대한 기대를 더 크게 감소시킬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이 가설들을 검증하기 위해, 대학생 235명을 대상으로 일회용카메라를 구매 시나리오를 사용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 위에서 제시한 가설들은 지지되었다. 이 결과는 기존 연구에서 밝힌 불일치민감도 효과에 대한 경계조건을 좀 더 명확하게 해준다. 그리고 불일치민감도 효과에 대한 문화적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해 준다. The research on consumers' expectation and satisfaction shows that consumers who have the higher level of disconfirmation sensitivity are more likely to reduce their expectation in order to maximize their satisfaction with their purchased product, In addition, the research indicate that the phenomenon becomes more prominent when the use of the product is getting close. This study proposes new hypotheses regarding the effects of disconfirmation sensitivity on expectations based upon these findings and those of the research showing that individuals who have a different self-construal experience cognitive dissonance in different choice contex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self-construal on the effect of disconfirmation sensitivity on expectations. This study hypothesizes that, in the condition of personal consumption, the effect of disconfirmation sensitivity on expectations will be less negative for those with independent selves than ones with interdependent selves. On the other hand, in the condition of interpersonal consumption, the effect of disconfirmation sensitivity on expectations will be less negative for those with interdependent selves than ones with independent selves. The hypotheses were tested by an experiment employing a disposable camera as a product for consumption.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confirmed the hypotheses. The results provide clearer boundary conditions of the disconfirmation sensitivity effects. In addition, the results leave open the possibility of cultural differences in the disconfirmation sensitivity effects.

      • KCI등재

        전문대학생의 자기불일치와 중도탈락의도간의 구조관계 분석

        형정은,김정섭 한국청소년학회 2016 청소년학연구 Vol.23 No.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college Student’s self-discrepancy, depression, career indecision, academic self-efficacy and dropout intention. To achieve these result, a total of tow competing hypothesized structural models were proposed based on both previous studies and theoretical supports. A total of 1,416 participants from four colleges in Busan and Kyeong-Nam, South Korea responded to five questionnaires designed to measure self-discrepancy, depression, career indecision and academic self-efficacy, or dropout intention. The results were analyzed and interpret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Results indicated that the comparative structural model than hypothesized models has the best fit for the data. The comparative structural model show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self-discrepancy had not only an impact on dropout intention directly but also either just through depression, career indecision, academic self-efficacy. Second, self-discrepancy had an impact on dropout intention both depression and career indecision in sequence. Third, self-discrepancy had an impact on dropout intention all depression, career indecision and academic self-efficacy in sequence. Finally, self-discrepancy, depression, career indecision and academic self-efficacy accounted for 30% of the variance of dropout intention.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implica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자기불일치와 중도탈락의도와의 관계에서 우울, 진로미결정,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구조적 관계를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가설모형과 대안모형을 설정하고, 부산 및 경남에 소재한 4곳의 전문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표집된 데이터는 구조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대안모형이 적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자기불일치는 우울을 통해서 간접적으로 중도탈락의도에 영향을 미쳤다. 두 번째, 자기불일치는 순차적으로 우울과 진로미결정을 통해서 중도탈락의도에 영향을 미쳤다. 또한 자기불일치는 진로미결정에 적접 영향을 미쳐 중도탈락에 영향을 미치기도 하였다. 세 번째, 자기불일치는 우울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에는 영향을 미쳤지만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중도탈락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넷째, 자기불일치는 순차적으로 우울, 학업적 자기효능감, 진로미결정을 통해서 중도탈락의도에 영향을 미쳤으며 자기불일치가 직접적으로 중도탈락의도에 영향을 미치기도 하였다. 마지막으로 자기불일치, 우울, 진로미결정,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같은 심리내적 변인만으로도 중도탈락의도를 30%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제한점과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애착과 인터넷 사용 장애(IUD)의 관계에서 자기개념과 자기불일치의 효과

        한은미,현명호,박지선 한국청소년학회 2013 청소년학연구 Vol.20 No.1

        This study investigated mediate effect of self-concept and moderate effect of self-discrepan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stability attachment and internet use disorder(IUD). 363 adolescence completed questionnaire about their attachment, internet use(K-scale), self-concept and self discrepancy.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mediate and moderate effects, after then, explore the model fit with Amos 7.0. Firstly, instability attachment predicted IUD, and negative self-concept mediated between instability attachment and IUD. Secondly, moderate effect of self-discrepancy was significant between negative self-concept and IUD. Finally, in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the mediation model was not acceptable. Only mediation path is significant in high discrepancy group. Implication in treatment of IUD and Several limitations about present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애착과 자기개념, 자기불일치간의 관계를 통해 인터넷 사용 장애의 기전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우선 애착과 인터넷 사용 장애와의 관계에서 부정적 자기개념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고, 인터넷 사용 장애를 유발하는 동기화 요인으로 자기불일치를 설정하여 자기불일치의 중재효과를 알아보았다. 마지막으로 구조방정식을 통해 애착과 인터넷 사용 장애 간의 관계에서 자기개념과 자기불일치의 중재-매개 모형을 검증하였다. 청소년 363명이 작성한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분석한 결과, 부정적 자기개념은 불안정 애착과 인터넷 사용 장애를 매개하였으며 부정적 자기개념과 인터넷 사용 장애와의 관계에서 자기불일치와의 상호작용 효과가 검증되었다. 이후 매개 모형의 적합성 검증을 위해 경로 분석을 실시한 결과, 자기개념의 매개모형 적합도가 낮았다. 자기불일치가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으로 나누어 매개모형을 검증한 결과, 불일치가 높은 집단에서는 매개효과가 유의하였으나 낮은 집단에서는 매개효과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최종적으로 애착과 인터넷 사용 장애에 있어서 자기개념이 중요성과 자기불일치의 상호작용을 밝혀 이후 치료적 접근에 함의 및 제한점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재한 중국인 유학생의 성취관련 자기불일치가 진로정체감과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용진 한국상업교육학회 2021 상업교육연구 Vol.35 No.4

        재한 중국인 유학생은 현재까지 재한 외국인 유학생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여왔으나 낮은 진로정체감과 학습부진등의 원인으로 지속적으로 감소추세를 나타내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감 소와 관련하여 학습자의 외적요소보다는 내적인 요소에 초점을 두고 재한 중국인 유학생의 성취관 련 자기불일치가 진로정체감과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자기효능감이 이들 관계에서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실증연구를 위한 조사 자료는 Wechat를 활용하여 수집된 328명의 재한 중국인 유학생들에 대한 설문결과를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는 성취관련 자기불일치가 높을수록 자기효능감이 낮으며, 자기효능감은 성취관련 자기불일치와 진로정체감 및 학습만족도간 의 관계에서 완전 매개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중국인 유학생의 선 발에서 성취관련 자기불일치에 대한 심리적인 측정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유학생 교육에서 진로정체 감과 학습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자기불일치에 대한 심리상담과 자기효능감을 높이기 위한 교육프로 그램의 개발과 활용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결론과 논의에서 이론적인 의의와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시한 외에 본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의 연구 과제를 논하였다. Chinese students in Korea have consistently accounted for the largest portion of foreign students, but the number continues to decline due to low career identity and poor learning. In relation to this reduction, the study analyzed the impact of achievement-related self-discrepancy on career identity and learning satisfaction of chinese students in korea, focusing on internal factors rather than external factors of learners. And self-efficacy was tested the mediated effects in these relationships. The survey data for empirical research were used the results of a survey of 328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in korea, collected by using WeChat. The results of the study confirmed that the higher the achievement-related self-discrepancy, the lower the self-efficacy, and that the self-efficacy has a perfect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chievement-related self-discrepancy and career identity and learning satisfaction.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it Suggested that the need for psychological measurement of achievement-related self-discrepancy in the selection of Chinese students, and proposed the need for psychological counseling and educational programs to enhance self-efficacy in the education of international students. In addition to presenting theoretical significance and practical implications in the conclusions and discussions, we discusse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future research challenges.

      • KCI등재

        여고생의 가족관계 및 가정경제수준에 대한 자기불일치가 행복에 미치는 영향: 자기수용의 조절 역할

        김지윤,이동귀 한국상담학회 2012 상담학연구 Vol.13 No.3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이 가족관계 및 가정경제 영역에서 느끼는 자기불일치와 행복간의 관계에서 무조건적 자기수용의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이 조절효과가 행복의 두 하위요인인 ‘삶의 만족도’와 ‘정서적 행복’을 구분했을 때도 유의한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 여고생 200명을 대상으로 가족관계 자기불일치, 가정경제 자기불일치, 행복, 자기수용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위계적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관계 자기불일치와 가정경제 자기불일치는 행복 총점과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자기수용은 가족관계 및 가정경제에 대한 자기불일치와 행복의 관계에서 각각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두 가지 자기불일치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각각 자기수용의 조절효과가 유의하였다. 넷째, 정서적 행복을 종속변인으로 했을 때는 자기수용의 조절효과가 유의하지 않았다. 끝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 한계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안 사항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 of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happiness and self-discrepancy experienced in the domains of family relationships and family financial status. It was also examined whether the moderating effect held true for two subscales of happiness(life satisfaction and emotional happiness). The questionnaire, designed to measure family relationships self-discrepancy, family financial status self-discrepancy, happiness, and self-acceptance, was administered to 200 high school female students in Seoul. The results from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as followed. First, self-discrepancy in family relationships and family financial status both showe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with happiness. Second,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f self-acceptance was fou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screpancy in family relationships and family financial status and happiness, respectively. Third,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acceptance was significant with the life satisfaction subscale of happiness, but not with the emotional happiness subscale. Lastly, this study ends with discussions of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 KCI등재

        대학생의 자기불일치와 학습몰입의 관계 : 조절초점의 매개효과

        이승태(Lee, SeungTae),장유진(Jang, Yooj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2

        목적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자기불일치와 학습몰입의 관계를 검토하고, 이 관계를 조절초점(향상초점, 예방초점)이 매개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방법 전국에 거주하는 4년제 대학의 재학생 및 휴학생을 대상으로 2021년 1월 21일에서 1월 24일까지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여 300명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결과 분석을 위해 SPSS 26.0을 활용해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고, SPSS PROCESS Macro 3.5의 부트스트래핑 방식으로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불일치는 향상초점, 학습몰입과 부적 상관을 보였지만 예방초점과는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향상초점은 예방초점과 학습몰입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고, 예방초점도 학습몰입과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조절초점과 학습몰입의 관계에서 예방초점에 비해 향상초점이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이 더 컸다. 둘째, 대학생의 자기불일치가 높을수록 학습몰입이 낮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자기불일치와 학습몰입의 관계에서 향상초점이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자기불일치가 향상초점을 경유하면 억제된 향상초점으로 인해 학습몰입이 오히려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기불일치와 학습몰입의 관계에서 예방초점의 매개효과는 억제효과를 발생시켰으나 영향이 유의미하여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불일치가 예방초점을 경유하면 예방초점의 활성화로 학습몰입이 오히려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결론 본 연구에서 대학생의 자기불일치가 조절초점을 경유하면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의 방향이 달라지므로, 학습몰입을 높이기 위해 자기불일치를 낮추고 향상초점을 높이는 개입이 동시에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elf-discrepancy on learning flow in university students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regulatory focus, including promotion focus and prevention focus, during the implementation process. Methods Three hundred four-year university students who were currently enrolled or on a leave of absence across the country were surveyed through online.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6.0, and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was verified by the bootstrapping method of SPSS PROCESS Macro 3.5. Results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elf-discrepancy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promotion focus and learning flow, while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with prevention focus. Promotion focus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prevention focus and learning flow, and prevention focus also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learning flow. As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regulatory focus and learning flow, promotion focus had a greater effect on learning flow than prevention focus. Second, the higher the self-discrepancy of university students, the lower the learning flow. Third, promotion focus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screpancy and learning flow. When self-discrepancy passed through promotion focus, however, learning flow rather decreased due to the suppressed promotion focus. Four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screpancy and learning flow, the mediating effect of prevention focus created a suppression effect. However, the effect was significant and thus partially mediated. When self-discrepancy passed through prevention focus, learning flow rather increased due to the activation of prevention focus. Conclusions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since the direction of the effect on learning flow changes when self-discrepancy passes through regulatory focus, it is necessary to lower self-discrepancy and increase promotion focus at the same time in order to improve learning flow.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