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심론의 시각에서 본 김흥락과 허유의 인물성동이론 해석 고찰

        안유경 한국고전번역원 2023 民族文化 Vol.63 No.-

        This paper aims at comparing the interpretation of the theory of Imulseongdongi(人物性同異論) between Seosan Kim Heung-rak(1827~1899) and Husan Heo Yu(1833~1904), who were members of the Toegye school in the 19th century, and also confirming the theoretical difference between the two. In addition, it was examined how the theory of Inmulseongdongi (人物性同異論) was related to the interpretation of sim(心: heart), a new point in the 19th-century controversy over the theory of sim. Seosan regarded gi(氣) as important as li(理) from the viewpoint of simhapligi(心合理氣), which also appears as the emphasis on gijiljiseong(氣質之性) in the theory of Inmulseongdongi(人物性同異論). To understand seong(性) under the category of gijil(氣質), the real seong(性) is one of gijiljiseong(氣質之性). Husan places li(理) above gi(氣) from the point of view of simjeukli(心卽理), which appears as the emphasis on bonyeonjiseong(本然之性) in the theory of inmulseongdongi. Gijiljiseong(氣質之性) is just one transformed from bonyeonjiseong(本然之性) due to gijil(氣質), so the substance of seong(性) is one of bonyeonjiseong(本然之性). If you, as Seosan did, look at gijiljiseong(氣質之性) as seong(性), the human’s seong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thing, since seong inherent in gijil becomes different, biased and blocked by gijil depending on its right and deviation. On the other hand, if you look at bonyeonjiseong as seong, as Husan did, both parts get Heaven-given gunsoonosang, therefore the human and the thing will share the same seong. In conclusion, it is confirmed that the theory of Inmulseongdongi(人物性同異論), shared by Seosan who represented the Jeongjae school and Husan who represented the Hanju school, kept developing as an extension of their sim theories in the 19th century, when the interpretation of these theories was strengthened, the Neo-confucianism characteristics. 본 논문은 주로 19세기에 활동한 퇴계학파의 일원인 西山(金興洛, 1827∼1899)과 后山(許愈, 1833∼1904)의 인물성동이론 해석을 비교 고찰하여 두 사람의 이론적 차이를 확인하고, 아울러 이들의 인물성동이론이 19세기 심설논쟁의 새로운 논점인 심에 대한 해석과 어떠한 연관성을 갖는지를 고찰한 것이다. 서산은 心合理氣의 관점에서 리와 동시에 기를 중시하는데, 이것은 그대로 인물성동이론에서 기질지성의 중시로 나타난다. 기질 속에서 성을 이해하니 실재하는 성은 기질지성 하나이다. 후산은 心卽理의 관점에서 기보다 리를 중시하는데, 이것은 그대로 인물성동이론에서 본연지성의 중시로 나타난다. 기질지성은 본연지성이 기질에 의해 변한 것일 뿐이니, 성의 실체는 본연지성 하나이다. 서산처럼 기질지성을 성으로 보면, 기질의 正通ㆍ偏塞에 따라 그 속에 내재하는 성도 <치우치고 막힌 기질에 가려서> 달라지니 사람의 성과 사물의 성이 다르다. 반면 후산처럼 본연지성을 성으로 보면, 사람과 사물은 모두 하늘이 부여한 리를 얻어서 健順五常의 덕을 삼으니 사람의 성과 사물의 성이 같다. 결국 심에 대한 해석이 강화되던 19세기 성리학적 특징 속에서 정재학파를 대표하는 서산과 한주학파를 대표하는 후산의 인물성동이론 역시 이들 심론의 연장선상에서 전개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 KCI등재

        이현일(李玄逸)과 정시한(丁時翰) 인물성동이론(人物性同異論)의 대비적(對比的) 고찰(考察)

        安琉鏡 한국유교학회 2013 유교사상문화연구 Vol.51 No.-

        본문에서는 17세기 퇴계학파의 일원이요 퇴계학파 형성에 首長적 역할을 한 李玄逸(1627~1704)과 丁時翰(1625~1707) 두 사람의 인물성동이론을 비교·고찰함으로써 그 동안 활성화된 기호학파 인물성동이론의 연구에서 상대적으로 약화된 퇴계학파의 인물성동이론에 대한 연구를 진행한 것이다. 결론적으로 이현일과 정시한은 모두 인물성이론을 주장하였다. 그러나 이들이 주장하는 이론에는 분명한 차이가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이현일은 사람과 사물에 같은 천명이 부여될지라도 사람의 기질은 바르고 사물의 기질은 치우쳤기 때문에 천명을 부여받은 성에도 차이가 없을 수 없다고 보았다. 반면 정시한은 사람과 사물 간에는 기품의 차이에 그치지 않고 그 이상으로 부여받은 리에서부터 본질적 차이가 있다고 보았다. 기품의 차이에 따라 닭에는 우는 리가 있고 개에는 짓는 리가 있는 것이 아니라, 하늘에서 부여받을 때 애초에 닭에는 우는 리만 부여되었고 개에는 짓는 리만 부여되었다는 말이다. 정시한의 말에 의하면, 사물의 울거나 짓는 일단의 본연지성은 사람의 인의예지 사덕의 본연지성과 본질적으로 구분된다는 것이다. 이처럼 이현일이 인성과 물성의 차이를 기질적 차이로 이해한 반면, 정시한은 그들의 차이를 애초부터 부여받은 본연지성이 다르기 때문이라는 본질적 차이로 이해하였다. 이것이 이현일과 정시한의 인물성동이론이 갖는 이론적 차이점으로 확인된다. 在本文比較考察, 17世紀退溪學派的一圓, 在退溪學派之形成做首長的役割, 李玄逸和丁時翰兩個人之人物性同異論, 因而進行了, 自所活性化畿湖學派人物性同異論之硏究, 相對的地, 所弱化對退溪學派之 人物性同異論的硏究. 總之, 李玄逸和丁時翰都是主張了人物性異論. 但在兩個人所主張異論, 能發見所分明差異. 李玄逸不能無看了差異, 雖在人與物賦與同的天命, 人的氣質正, 事物的氣質偏, 所以把天命所賦與之性. 但是丁時翰看了有差異, 在人與物間, 不止氣稟的差異, 更以上因所賦與之理, 有本質的差異. 因氣稟的差異, 唯非是鷄有鳴之理犬有吠之理, 謂有天所賦與之時, 鷄唯賦與鳴之理, 犬唯賦與吠之理. 因丁時翰之言, 事物之鳴吠一段本然之性, 本質地區分了人之仁義禮智四德本然之性. 李玄逸把人性物性的差異, 理解了氣質的差異, 則丁時翰把他們的差異, 當初所賦與本然之性異, 因以理解了本質的差異. 這是李玄逸和丁時翰, 人物性同異論之理論的差異.

      • 인물성동이론

        박홍식 慶山大學校 1998 論文集 Vol.16 No.1

        18세기는 17세기까지의 조선유학사의 흐름에 질적인 변화를 가져다 준 시기였다. 조선유학의 실학적 변용이 그것이다. 17세기까지의 조선유학사는 고려말 조선초에 주자학이 전래된 이후 성리학이 정통성과 주류를 이루어왔다. 이러한 성리학의 정통성과 주류에 대해 동요와 변화를 보여준 것이 18세기였다. 그 동요와 변화의 중심에 실학이 있다. 17세기 조선유학 변화의 주된 원인은 당시의 성리학 풍조에 대한 반성과 회의에서 출발한다. 그 반성과 회의의 원인과 변화의 동기에 대한 구체적 논의는 주제의 성격상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당시 성리학 풍조의 문제시되는 부분이 '현실'·'실천'과의 괴리문제에 있다는 점만을 지적하기로 한다. 단적으로 말한다면 '변화'에 대한 성리학의 대응에 대한 문제제기이다. 물론 이러한 문제를 제기하는 유학자는 각자에 따라 '현실'과 '실천'을 바라보는 '눈'이 다르다. 그러나 그들은 당시 성리학과 변화하는 사회의 '현실'·'실천' 사이에 문제가 있다는 데에는 인식을 같이하고 있었다. 조선유학사를 변화라는 관점에서 볼 때 18세기에 발생한 「인물성동이론」도 당시 성리학 풍조에 대한 반성과 회의에 대해서 전혀 무감각하지는 않았으리라는 가정에서 본 논문은 출발하였다. 이러한 가정의 제기는 「인물성동이론」의 '발생배경'과 '철학사적의의'는 무엇인가 라는 문제로 바꾸어 말할 수 있다. 이제 이 문제에 대한 결론을 내려야 할 차례이다. 여기에 대한 이제까지의 대답은 「인물성동이론」을 현실과의 관련성에서 보는 시각과 현실적 이해관계와 무관한 철학적 논의 자체로 보는 시각이 있다. 전자의 경우에는 주로 북벌론의 정당화나 신분질서의 유지에서 그 이유를 찾고 있다. 후자의 경우에는 경전 해석에 대한 주자의 설명에 내포된 양면성이나 모순성에서 비롯된 것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 글에서는 전자처럼 현실과의 관련성에 주목을 하면서도 철학적인 문제를 겸해 대답을 내려보고자 시도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인물성동이론」은 18세기 조선유학의 실학과 마찬가지로 현실 변화에 대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출발하였다. 인물성구동론을 주장한 낙론의 경우에는 '현실' 과 '실천'이 중요한 철학적 테마였다. 비록 그것이 성인을 지향하는 성리학의 근본적인 학문목표를 벗어나지 않았지만, 그들은 당시의 성리학이 현실에서의 실천력을 상실해가고 있는 점만은 절실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바로 이러한 그들의 각성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그들이 자각했던 문제를 풀어가는 방식이 철저하게 성리학의 논리체계 안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그들은 인간 개개인의 현실에서의 도덕적 참실천을 통하여 18세기 조선사회의 재건을 꿈꾸었다. 이것이 이간이 말하는 실사론이다. 또한 홍직필이 제기한 상실론도 여기에 속한다. 이간과 홍직필이 제기한 실사론이나 삼실론은 실천의 내용과 목표 에 있어서 실학자인 홍대용이 말한 삼실론과는 구별된다. 그러나 양자 모두가 18세기 성리학의 현실적 공허성에 문제 인식을 한 점에 있어서는 상호 공통적인 면을 가진다. 인물성상이론을 주장한 호론은 자연과 인간의 구체적 현 상태에 관심을 기울렸다. 한원진은 현실에 나타난 구체적 차별성에 근거하여 인간과 자연을 설명하려고 하였다. 그것이 인물성상이론에서 기(氣)기질을 중시하는 형태로 전개되었다. 그 이후 채지홍의 경우에도 이러한 경향은 지속되었다. 특히 채지홍이 형화기화론 문제를 제기한 것은 자연의 이해에 있어 형이상학적인 측면보다는 구체적 현실태를 통해서 파악하고자 하는 관점의 일면을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실학자인 홍대용의 경우에도 형화기화론이 인간과 자연의 발생과정을 설명하는 이론으로 활용되고 있다는 점에서 양자의 공통적 관심사항을 읽을 수 있다. 실학자인 홍대용의 경우에는 그 후 서양의 기계론적 자연관과 우주론을 수용하여 서양의 근대적인 자연관으로 나아갔다. 그러나 채지홍의 경우에는 정이의 형화기화설을 인용하고 있지만 성리학의 틀 밖으로 나아가지는 아니하였다. 이 점에서는 흥대용과 채지용이 구별된다. 그러나 한원진이나 채지홍이 인간과 자연의 본질을 '구체성'·'차별성'·'현재성'에 기반 하여 인식하고자 하였다는 점은 주목된다. 바로 이 점에서는 실학자들이 가졌던 관점과 유사성을 지닌다. 말하자면 내용적으로는 실학자와 호론 성리학자들의 인·물과 자연인식이 구별되지만, 출발의 형식적인 면에서는 상통하는 바가 있다. 말하자면 18세기의 인물성상이론을 주장한 성리학자들은 제한적이나마 실학자과 마찬가지로 구체적 현실에 기반하여 인간과 자연을 있는 그대로 보아야 한다는 문제인식을 가지고 있었다고 할 수 있다. 다만 호론의 성리학자들도 동론의 성리학자와 마찬가지로 인간과 자연을 바라보는데 있어서 중심은 인간에 놓여져 있었고, 그 인간도 성인을 지향하는 도덕적 인간을 목표로 하였기 때문에 근대적 자연관으로 나아가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다. 이렇게 볼 때 「인물성동이론」은 호론과 낙론을 막론하고 18세기의 사상적 조류의 '변화'에 참여하였다고 할 수 있다. 그들은 분명 당시 성리학의 현실적 공허성에 문제가 있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었다. 그들은 '현실' '실천' '구체적 현상' 등에 주목해야 한다는 점에서 18세기의 실학이라는 새로운 사상적 조류와 함께 하였다. 그러나 문제 해결을 위한 방법론에서 호락론을 주장한 성리학자와 실학자들은 구별되고 또한 호론과 낙론이 차이가 있었던 것이다. 「인물성동이론」이 가지는 사상사적 의미가 18세기의 사상적 조류와의 상관관계에서 파악되기보다는 주로 성리학적 논쟁의 차원에서 논의되는 까닭은 무엇일까? 그것은 그들이 철저하게 성리학의 세계속에서 성리학의 이론논쟁 특히 경전해석을 둘러싸고 주희의 권위라는 옷에 치장되어 있었기 때문에 그들의 '눈'이 무엇을 바라보고자 하였는지가 잘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어쩌면 이것은 그들 자신도 그들의 마음으로 의도하는 바가 성리학이라는 너무도 두터운 필터를 통과하는 순간 본래 의도와는 변형되어 나타나고 있다는 사실을 인식하지 못하였을지도 모른다. 이러한 경향은 그후 19세기나 20세기에 나타난 인물성동이론의 경우에도 해당된다고 할 수 있다 「인물성동이론」을 시대사적인 관점에서 해석을 하는 데에는 한계도 있고 무리도 따른다. 그러나 성리학 논쟁의 측면에서 평면적 해석을 내리기에는 '왜' 그들이 그러한 논의를 제기하였는가하는 문제는 여전히 의구심으로 남게 된다. 이러한 점에서 「인물성동이론」은 여전히 연구의 과제로 남을 수 있다.

      • 『천주실의』에 나타난 마테오 리치의 인물성동이론 연구

        정현수 인문예술학회 2016 인문과 예술 Vol.- No.3

        Studies on the Inmulseong-dongiron(The Debate over the Similarity or Differences between the Morality of Humans and Animals) inclined to saint science and a consciousness of cosmological viewpoint to interpret the ethology in connection with existence principle. Such attempts originate from the intention of pointing out that the problem if humanity and physical property are same or different is primarily a structural problem of nature and LiGi which are the basic concepts of Neo-Confucianism. This argument appears a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heory of mind and the theory of LiGi, but despite the accumulation of research results, it seems that it has not much advanced from the fundamental question about the structure of Neo-Confucianism proposed. In particular, when considering the relevance of the Zhuhsi commentary which is cited as the basis for the argument on the Inmulseong-dongiron are same or different, this argument suggests that it is not easy to draw a conclusion. In the case of the argument on the Inmulseong-dongiron, Jeong Yakyong's argument shows a totally different approach from the existing argument. It can be regarded that the valuation that Jeong Yakyong's argument is regarding the Chinese Neo-Confucianism since the Jungyi-Zhuhsi rather than Chosun Neo-Confucianism, and the whole thinking structure of theory of mind of Neo-Confucianism rather than the theory of mind of Neo-Confucianism refers the unique theory of mind of Jeong Yakyong's Philosophy. However, in the reflection of Jeong Yakyong's theory if the Inmulseong-ron, (the Morality of Humans and Animals) it should be noticed that the basis of the reflection is fairly related to the Catholic theology. It is communicated in the basic and core areas with theory of the Morality of Humans and Animals of the Catholic theology introduced in De Deo Verax Disputatio Ricci has pointed out the limitations of the interpretation of the Inmulseong-ron of Neo-Confucian by comparing the theories of the Inmulseong-ron between Neo-Confucianism and Catholic theology. We may regard the theory of the Inmulseong-ron based on the spirit proposed by Ricci as a future consciousness of problem in the exchange of the Inmulseong-ron between the East and the West. 인물성동이론(人物性同異論)에 관한 연구들은 대개 성인지학(聖人之學)을 지향하는 도덕성에기반한 인성론과 그 인성론을 존재원리와 결부시켜 해석하려는 우주론적 시각의 인식을 배치시키고 있다. 이러한 시도는 인물성의 동이 문제가 일차적으로 성리학의 기본 개념인 성과 리기의구조적 문제라는 사실을 지적하려는 의도에서 비롯된다. 이 논변은 심성론과 리기론의 관계로 나타나지만 연구 성과의 축적에도 불구하고 제기된 성리학의 구조에 대한 근본적인 물음에서 크게나아가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특히 인물성동이론 논쟁의 근거로 인용되는 주자 주해(註 解)와의 관련성을 고려할 때 이 논변은 일정한 결론의 도출이 용이하지 않다는 것을 짐작케 한다. 인물성동이론의 논변에서 정약용의 논변은 기존의 논변과 전혀 다른 관점의 접근을 보여준다. 정약용의 논변은 조선성리학을 벗어나 정이(程頤)-주희(朱熹) 이래 중국성리학을 대상으로 한다는 것과 성리학적심성론이 아닌 성리학적심성론의 사유구조전반을대상으로 하는 것이라는평가는 정약용 철학의 독특한 성론(性論)을 언급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정약용의인물성론의 성찰에서 주목해야 할 것은 그 성찰의 기반이 상당부분 천주학과의 연관성을 지니고있다는 사실이다. 천주실의에서 소개된 천주학의 인물성론과 기본적이고 핵심적인 영역에서교감되어 있는 것이다. 리치는 천주실의에서 성리학과 천주학의 인물성론을 대치시켜 성리학적 인물성론의 해석의한계를 지적하고 있다. 리치가 제시한 영혼에 근거한 인물성의 이론은 동서 인물성론에 대한 교류에 미래적 문제의식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임성주의 인물성동이론 해석 고찰 -同論인가 異論인가-

        안유경 한국고전번역원 2024 民族文化 Vol.66 No.-

        본 논문은 녹문(任聖周, 1711∼1788)의 인물성동이론에 대한 해석과 그 특징을 고찰한 것이다. 녹문의 인물성동이론은 남당의 性三層說에 대한 비판과 외암에 대한 비판, 즉 정자(정호)의 生之謂性에 대한 해석을 계기로 자신의 이론을 정립한다. 녹문은 사람과 사물의 성을 모두 본연지성으로 해석한다. 이 때문에 사물의 본연지성을 사람처럼 五常으로 해석하는 낙론의 주장에 반대하고, 또한 사물의 성을 기질에 구속된 기질지성으로 해석하는 호론의 주장에도 반대한다. 이것이 바로 호론ㆍ낙론과 구분되는 녹문 인물성동이론의 특징이다. 이처럼 녹문이 말하는 성은 기질에 구속된 기질지성이 아니라, 하늘이 부여한 본연지성을 가리킨다. 이때 하늘이 부여한 본연지성(리)은 사람과 사물이 다르지 않으니, 결국 동론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interpretation of Nogmun(鹿門) Im Sung- joo(1711-1788)’s Inmulseongdongi(人物性同異) theory was established on the basis of his own criticism on both Namdang's Seongsamcheungseol(性三層說) and Oeam(巍巖)’s, that is, on his own interpretation of Jeongho(程顥)'s Saengjiwiseong(生之謂性). Nogmun(鹿門) interprets both the seong of humans and things as their bonnyeonjiseong(本然之性). For this reason, Nogmun opposes Nagnon's argument that interprets the bonnyeonjiseong of things as 'osang(五常)' like that of humans, and also opposes Horon(湖論)'s argument that interprets the seong of things as bound by gijiljiseong(氣質之性). This is the characteristic of Nogmun’s Inmulseongdongi(人物性同異) theory, which is distinguished from those of Horon‘s and Nagnon’s. Therefore, the seong(性) that Nogmun refers to is not the gijiljiseong(氣質之性) bound by gijil(氣質), but the bonnyeonjiseong granted by the heavens. In conclusion, Nogmun viewed the bonnyeonjiseong given to both humans and things by the heavens as not different but the same, which is the essential characteristic of his Inmulseongdongi theory.

      • KCI등재

        17세기 퇴계학파 존재‧갈암‧항재 삼형제의 인물성동이론 고찰

        안유경(安琉鏡) 한국국학진흥원 2020 국학연구 Vol.0 No.43

        본 논문은 17세기 퇴계학파의 일원인 존재存齋(李徽逸, 1619~1672)와 갈암葛庵(李玄逸, 1627~1704)과 항재恒齋(李嵩逸, 1631~1698) 삼형제의 인물 성동이론을 비교 고찰한 것이다. 퇴계학파 인물성동이론의 발단은 17세기 중반 이후에 존재‧갈암‧항재 삼형제 사이의 논변에서 시작된다. 존재와 갈암은 이론異論을 제시하여 동론同論을 주장하는 동생 항재와 토론을 벌임으로써 인물성동이론을 중요한 쟁점으로 등장시킨다. 이들의 논변은 주로 ‘사람과 사물의 성이 같은지 다른지’ 또는 ‘사람과 사물이 오상의 덕을 가지고 있는지’의 문제에 집중되어 있다. 물론 이것은 18세기 초부터 활발하게 일어난 기호학파의 인물성동이론이 미발심체未發心體의 순선純善 유선악有善惡이라는 심의 문제로 심화되어 학파의 분기를 초래할 만큼 첨예한 논쟁으로 전개된 것과는 구분된다. 이들 삼형제의 인물성동이론은 퇴계학파 인물성동이론의 발단을 장식한 것으로써 그 범위나 규모는 비록 작았으나, 그 쟁점의 논리적 전개는 분명히 드러냈다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compares and examines the theory of Inmulseongdongi of the three brothers, Jonjae(Lee Hwi-il, 1619~1672) and Galam(Lee Hyun-il, 1627~1704) and Hangjae(Yi Sung-il, 1631~1698), who are members of Toegye school in the 17<SUP>th</SUP> century. The beging of Toegye’s Inmulseongdongiron begins with the argument between the three brothers, Jonjae and Galam and Hangjae, after the mid-17<SUP>th</SUP> century. Jonjae and Galam presented ‘different theory’ and held discussions with his younger brother Hangjae, who argued for ‘same theory’, making the theory of Inmulseongdongi an important issue. Their arguments are mainly focused on the question of whether people and things of nature have the same or different or whether people and things have the five constant virtues. Of course, this is different from the fact that the Kiho’s school of Inmulseongdongi theory, which has been active since the early 18<SUP>th</SUP> century, it is distinguished from the fact that it was deepening into a matter of mibal good and evil and developed into a sharp argument that led to a school branch. Therefore, although the scope and scale of these three brothers’ Inmulseongdongi theory were small, the logical development of the issue was clearly revealed.

      • KCI등재후보

        호락논쟁 이전 율곡학파의 미발론과 인물성동이론

        장숙필 ( Sook Pil Jang ) (사)율곡연구원(구 사단법인 율곡학회) 2013 율곡학연구 Vol.26 No.-

        본 논문은 호락논쟁이전 율곡학 계열에서 인물성동이와 미발심체에 대한 견해가 어떻게 제기되어 어떤 모습으로 계승되어 가는가를 고찰한 것이다. 율곡(栗谷)의 문제의식은 성학(聖學)의 입장위에서 모든 사람을 요순과 같은 성인으로 만들기 위한 공부론에 집중되어 있다. 그러므로 인물성동이의 여부보다 리통기국설(理通氣局說)을 통해 인성의 선의 근거를 확실하게 제시하고, 심시기설(心是氣說)을 통해 모든 사람에게 선을 실현할 수 있는 능력이 있음을 밝히는데 집중하였던 것이다. 우암(尤庵)에 이르면 미발과 공부론의 관계가 본격적인 문제의식으로 대두된다. 그러나 우암도 율곡과 마찬가지로 인물성의 동이여부보다 모든 사람에게 똑같이 성인을 이룰 수 있는 가능성이 주어져 있으며, 이는 마음이 가진 주재능력을 발휘함으로써 가능하다는 것을 역설하고 있다. 여기에서 미발의 심체는 기와 섞어 말할 수 없으며 미발과 정(靜)은 다르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그러나 수암(遂菴)에 이르면 리와 성은 다르다는 점을 중시함으로써 인간과 금수, 성인과 범인을 엄격하게 구별하고 이를 통해 인간수양의 당위성을 끌어내려 하게 된다. 여기에서 인물성동이와 성범심동이의 문제가 본격적으로 제기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여기에서 맹자의 성선설을 정통으로 인정하고 성즉리(性卽理)라는 명제를 통해 인간도덕의 절대성을 역설하려던 주자학의 문제의식과 거리가 생기게 되는 것이다. 이런 문제점으로 인해 농암(農巖)은 초년의 인물성이 다르다는 입장으로부터 만물에 보편적으로 내재된 천리의 실재에 근거하여 천명(天命)의 입장에서 볼 때 곧바로 인물성이 다르다고 할 수 없으며, 천명의 성은 누구에게나 동일하므로 미발시의 중으 본체도 성범이 동일하다고 주장하게 되었던 것이다. 그리고 이런 농암의 입장은 낙론의 인물성동론으로 전개된다. 호론과 낙론이 율곡의 공부론 즉 인간이 공부를 통해 천리를 실현해야 한다는 유가적인 당위론을 계승한다는 점에서는 동일하다. 그러나 기질적인 차이를 근거로 수양의 당위를 제시하려는 호학의 입장은 보편적인 천리를 근거로 인간도덕의 절대성과 당위를 제시하려는 율곡과 우암의 입장과는 거리가 있다고 사료된다. This study is an examination of how discussions on the inmulseongdongi theory (人物性同異論, dispute on the nature of man and animal) and innate human nature (未發心體) were brought up and carried out by members of the Yulgok school of thought before the Ho-rak debate (湖洛論爭). Yulgok`s thinking was focused on the theory of self cultivation in Confucianism which has the purpose of perfecting humans to a higher state. Therefore, he was less interested in whether the natures of men and animals were the same. Rather, he focused on pointing out the basic goodness of all humans through the “theory of Li-through and Ch`i-within” (理通氣局說) and explaining that all humans have the ability to do good through the “theory of shimshigl” (心是氣說). During the time of U-am(尤庵),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 cultivation and the mibal theory (未發論) was emphasized. However, U-am, like Yulgok, was not interested in the similarities or differences in the natures of animals and humans. Rather, he stressed the fact that all people aad the ability to be enlightened and that enlightenment can be brought about through the use of one`s inner abilities. However, Soo-am(遂菴) focused on the idea that reason and goodness were not the same principle. He made strict distinctions between humans and animals and good and evil people. Through this, he tried to bring up the topic of the appropriateness of the development of humans. This was when the topics of whether the naturis of humans and animals are the same and whether innate human nature is good or evil was first seriously brought up. Due to these problems, Nong-am(農巖) changed his outlook. While he had supported the idea that the personalities of children are different, he began to assert that 1) based on the fact that all things are instilled with the laws of nature. Humans` personalities cannot be said to be different when looked at from the perspective of nature, and 2) good and evil in human nature are the same since the goodness of nature is the same in all people. These views were developed into the idea of original human nature from the “Rak” theory. The theories of “Ho” and “Rak” are the same in that they both support Yulgok`s idea of self cultivation. However, the views of Hohak and the views of Yulgok and U-am are different in that Hohak suggests that humans must development themselves because they are fundamentally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Yulgok and U-am emphasize the innate goodness all humans receive at birth.

      • KCI등재

        정조와 윤행임의 「대학장구 서문」 해석과 인물성동이 논쟁 : 『증전추록(曾傳秋錄)』 분석을 중심으로

        이원석(LEE Won-seok)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20 泰東古典硏究 Vol.44 No.-

        이 글은 『증전추록(曾傳秋錄)』을 주요 분석 텍스트로 삼아, 18세기 조선의 사상적 담론과 정치 문화가 정조와 윤행임의 『대학장구』 해석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 살펴보고자 했다. 『대학장구』의 해석에 있어 두 사람이 나눈 논의의 핵심 대상이 된 부분은 「대학장구 서문」에서 주희가 제시한 본성론이었다. 윤행임은 당대의 인물성동이(人物性同異) 논쟁에서 “인물성이론(人物性異論)”을 지지하기 위한 증거를 「대학장구 서문」에서 찾고자 했으며, 한 걸음 더 나아가 ‘하늘이 처음부터 사람과 사물은 물론이요 각 사람에게 각기 다른 본성을 부여했다.’고 주장함으로써 인물성이론의 논리를 더욱 강화하려고 시도했다. 하지만 윤행임의 이러한 강화된 ‘인물성이론’은 본성 사이의 동일성을 어디에서 확보할 것인가 하는 문제를 야기한다. 따라서 윤행임은 각기 다른 기질의 본성에 본연의 측면이 있다고 여겼는데, 이는 역설적으로 이간(李柬)의 인물성동론(同論)과 유사했다. 정조는 한원진의 설을 비교적 충실하게 이어받아, 하늘이 사람과 사물에게 동일한 본연의 본성을 고르게 나누어 주었으나, 사물의 기가 치우쳐서 그것을 온전히 받지 못했기 때문에 사람과 사물 사이에 본성적 차이가 있게 되었다고 말한다. 그런데 정조는 한 걸음 더 나아가 ‘기’의 측면에서 본성을 바라보아야 함을 강조하면서 리와 본성 사이에 존재론적 위계 차이를 두면서도, 기질의 본성을 보편화할 수 있는 가능성을 마련하였다. 하지만 이로부터 기질의 본성과 리를 어떻게 통합할 것인가 하는 문제가 제기된다. 정조는 주나라의 “오서(五瑞)” 제도를 비유로 활용하여, 다양한 본성의 척도이자 기준의 역할을 하는 ‘리’ 개념을 제시하고 그 대리자로서 군주인 자신의 역할을 부각했다. 이는 경서의 해석에 있어, 해석자가 놓여 있는 정치적 지평, 곧 정치적 문화가 경전 해석과 당대의 철학적 담론에 영향을 끼쳤다는 것을 보여주는 하나의 흥미로운 사례이다. This paper, using Zengjeonchurok(曾傳秋錄) as the main analysis text, sought to examine how the 18th century Joseon s ideological discourses and political cultures influenced King Jeongjo(正祖) and Yoon Haeng-im(尹行恁) s interpretation of Daehakjanggu(大學章句). In the interpretation of Daehakjanggu, the core subject of the discussions between the two was the theory of nature presented by Zhu Xi in the preface of it. Yoon Haeng-im sought to find evidences in the preface to Daehakjanggu to support the claim that ‘human’s nature and object’s nature are different,’ and went a step further by claiming that ‘the Heaven had given different natures to human and things from the beginning.’ However, his arguments raises the question of where to secure the equality between nature. Therefore, Yoon Haeng-im considered that there was an original nature(本然之性) inherent in the each other s material natures(氣質之性), which resembled Lee Gan(李柬) s theory of human nature. King Jeongjo inherited Han Won-jin(韓元震) s theory and said that although heaven evenly distributed the same original nature to people and things, there was a differences between people’s and objects’ natures because they were not fully received due to their biased material forces(氣). Furthermore, King Jeongjo went a step further and regarded the original nature as material forces. He placed the existential hierarchy difference between Principle(理) and Nature(性), while showing the importance of the diversity of material natures(氣質之性) as it is. However, the question of how to integrate the various material natures can be raised. King Jeongjo used the Zhu Dynasty’s class system as a metaphor, presenting the concept of Li which serves as a measure of various nature and standard, and highlighting his role as the monarch and as Li’s agent. This is one interesting example in the interpretation of the scripture, showing that the political horizon in which the interpreter lies, or political culture, influenced the interpretation of the scripture and the philosophical debate of the time.

      • KCI등재

        우담 정시한의 「사칠변증(四七辨證)」에 관한 연구

        서근식 ( Seo Geun-sik ) 한국철학사연구회 2018 한국 철학논집 Vol.0 No.59

        정시한은 72세에 「사칠변증」을 완성하고 이후에 제자 이식과 인물성동이논변을 벌인다. 정시한의 입장은 인물성이론의 입장이었고 이식은 인물 성동론의 입장이었다. 그러나 인물성동이논변은 잊혀지고 「사칠변증」이 인정받을 수 있었던 이유는 당시에 퇴계학파와 율곡학파가 대립점에 있었고 서로가 서로의 입장을 비판하였기 때문에 가능하였다. 「사칠변증」을 완성하게 되는 데에는 이현일의 「율곡이씨논사단칠정서변」의 영향이 컸던 것으로 생각된다. 이이의 사단과 칠정에 대한 생각은 ‘칠정이 사단을 포함한다.’라는 ‘혼륜(渾淪)의 입장’이었고, 이황은 사단과 칠정은 서로 다르게 해석할 수밖에 없다는 ‘분개(分開)의 입장’이었다. 정시한은 분개의 입장에서 혼륜의 입장을 비판하는 입장에 있었다. 「사칠변증」을 통해 정시한은 무엇을 추구하려고 하였는가? 이러한 사실은 우리가 정시한이 제자 이식과 벌였던 인물성동이논변을 잊게 하는 경향이 있다. 우리는 현재 정시한의 「사칠변증」에서 이이를 비판한 사실은 알지만 정시한이 인물성동이논변을 벌였다는 사실에 대해서는 별로 신경 쓰지 않는다. 중요한 논쟁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왜 「사칠변증」이 우리의 기억 속에 남아 있는 것일까? 그것은 정시한이 희망했던 희망하지 않았던 것과 상관없이 정시한 이후에 사단칠정논쟁을 정리하는 과정에서 이익과 신후담, 정약용에게까지 「사칠변증」이 영향을 준 것이기 때문일 것이다. Jeong Si-Han(丁時翰) completed “Siqibianzheng”(「四七辨證」) at the age of 72, and later had the argument over Runwuxingtongyilunzheng(人物性同異論爭) with his disciple, Lee Sik(李栻). Jeong Si-Han(丁時翰) had the position of Runwuxingyilun(人物性異論) and Lee Sik(李栻) Runwuxingtonglun(人物性同論). Yet, the argument over Runwuxingtongyilunzheng(人物性同異論爭) had been forgotten and “Siqibianzheng”(「四七辨證」) could be acknowledged because Toegye school(退溪學派) and Yulgok school(栗谷學派) were conflicting and criticizing each other's stance at that time. It seems like Lee Hyeon-Il(李玄逸)'s “Liqulishilunsiduanqiqingshubian”(「栗谷李 氏論四端七情書辨」)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completion of “Siqibianzheng” (「四七辨證」). Lee Yi(李珥)'s thought of Siduan(四端) and Qiqing(七情) was ‘the position of Hunlun(渾淪)’ that ‘Qiqing(七情) includes Siduan(四端)’, and Lee Hwang(李滉) had the ‘position of Fenkai(分開)’ that Siduan(四端) and Qiqing(七 情) should be interpreted differently. Jeong Si-Han(丁時翰) criticized the stance of Hunlun(渾淪) from the position of Fenkai(分開). What did Jeong Si-Han(丁時翰) try to pursue through “Siqibianzheng”(「四七 辨證」)? This fact tends to make us forget the controversy over Runwuxingtongyilunzheng(人物性同異論爭) between Jeong Si-Han(丁時翰) and disciple Lee Sik(李栻). Now we know the fact that Jeong Si-Han(丁時翰) criticized Lee Yi(李珥) in “Siqibianzheng”(「四七辨證」), but don't care much about the fact that Jeong Si-Han(丁時翰) caused the controversy over Runwuxingtongyilun(人物性同異論). Why “Siqibianzheng”(「四七辨證」) has remained in our memory even though it was an important one? It might be because “Siqibianzheng”(「四七辨證」) had an impact on Lee Sik(李栻), Shin Hu-Dam(愼後聃), and even Jeong Yak-Yong(丁若鏞) in the process of summarizing the arguments over Siduanqiqinglunzheng(四端七情論爭) since Jeong Si-Han(丁時翰) regardless of whether Jeong Si-Han(丁時翰) had hoped it or not.

      • KCI등재후보

        전통사유의 연맥을 통해 본 동학의 개체성 이해 -인물성동이론(人物性同異論)에서 동학의 ‘일리만수(一理萬殊)’까지-

        정혜정 동학학회 2009 동학학보 Vol.17 No.-

        This study due to consciousness of problem that an individual of self-regulation is not separated from the whole, but co–xists with others relating to each other. And this study analyzes whether the concept of individuality of Donhak exists in Korean traditional thought. Are traditional thoughts lacking of understanding of individuality? In traditional thoughts the understanding concept of individuality is only based on wholeness. An individual human being has universality as well as particularity. An individual as a part of the universe depends on bonds with others. At the same time, each relation is distinctive. Furthermore, the various conditions of individual relations continue to change, and thus the individuals coexist in many kinds of relations. The individuals should evolve together recognizing that their relations are interdependent. Iilbunsu(理一分殊) is Zhu xi’s theory which insists that the theory on universality and the theory on particularity have something in common. Zhu xi criticized Buddhism, which explained individuality as uncertainty and an individual should abandon its ego. He insisted that the principal of individual’s relations level were Five Human Relation(五輪). But it is not easy to combine universality with individuality in real world. Also it must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individual’s relations and social circumstances. Toigye’s theory, Igihobal(理氣互發) and Youlgok’s theory, Itonggiguk(理通氣局) are influenced by Iilbunsu(理一分殊) but unique. Youlgok’s understandings of individuality affect the theory of Inmulsungdongyi(人物性同異) in forming personality. They were expressed Idongsungi(理同性異) and Idongkisil(理氣同實) by Namdang and Oiam each other. There have been differing theory on the issue. Also Nokmun's theory, Itpngkitong(理通氣通) and Nosa's theory, Ibunwonyung(理分圓融) are influenced by them and affect the theory of Donhak's theory, Illimansu(一理萬殊) of Iliki(一理氣). By Donhak universality and individuality is united perfectly. Individuality in Donghak is connected with Korean traditional thoughts and it is to realize the holistic Self and to express the various things in their life. It is called the "Mosim(serving) of Hanulnim". 본 연구는 인간 개체라는 것이 전체와 독립되어 자율적으로 존재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전체와의 관련 속에서 인간 자율을 읽어야 한다는 문제의식에서 비롯되었다. 주자가 불교를 비판한 가장 큰 이유는 저들은 理一의 보편만을 강조하지 각 개체가 지녀야 할 바 도리를 간과한다는 것이었다. 그래서 강조해 나온 것이 이일분수(理一分殊) 개념으로 인간 개별의 도리를 오상으로 규정지어갔지만 그 보편성과 개체성의 관계문제라든가 개체의 보편성 실현 논리는 말처럼 쉬운 것이 아니었다. 이 과제를 떠안은 것이 조선 성리학자들이라 하겠는데 그들은 다양한 해석을 가하여 그 관계문제를 풀어나가고자 했고 그 대표적인 산물이 율곡의 이통기국(理通氣局)이라 할 것이다. 또한 인물성동이논쟁에서의 개체성 이해는 주자의 관점과 율곡의 이통기국을 놓고 또다른 논의를 전개한 것이라 할 것인데 그것은 남당의 이동성이(理同性異), 외암의 이기동실(理氣同實), 그리고 녹문의 이통기통(理通氣通), 노사의 이분원융(理分圓融)·이함만수(理含萬殊) 등의 개념으로 개진되고 동학에 와서 “일이기(一理氣)의 일리만수(一理萬殊)”로 완전한 통섭이 이루어진다 할 것이다. 이러한 동학의 인간개체성 이해는 이일분수를 둘러싼 전통 사유의 연맥 속에서 탄생했다 할 것이고 그것은 인간 각자가 한울 전체임을 자각하여 만 가지 다름(萬殊)으로 다양하게 표현하고 세상을 이루는 개벽자의 의미로 표현되었다고 하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