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맑스의 이상사회론

        서영조(Suh Young Jo) 한국정치사상학회 2002 정치사상연구 Vol.7 No.-

        이 글은 맑스의 이상사회론이 지닌 이중성을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즉, 맑스의 사상에는 유토피아적인 것과 반유토피아적인 것이 혼재하는 ‘이론적 긴장’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이 이론적 긴장은 우선 그의 이상주의 비판과 관련하여 나타난다. 그는 관념적인 이상을 철저히 비판하고 있지만, 인식과 서술 나아가 올바른 사회질서를 위한 이상의 필요성 또한 인정하고 있다. 다음으로 지적할 수 있는 이론적 긴장은 이상사회와 관련된다. 즉, 맑스는 유토피아적 정치관을 그 누구보다도 경멸하고 있지만, 자신의 서술 속에서 유토피아적인 것 을 찾기란 그리 어렵지 않다. 이 이중성은 어떻게 해소될 수 있는가? 맑스는 이를 유물론과 실천론을 통해 극복하고자 한다. 그는 물질적 토대로부터 유추되는 실제적 이상에 근거하여 단순히 머리로부터 나오는 관념적 이상을 비판하고 있으며, 사회적 토대와 분리된 추상적인 이상사회를 혁명적 실천으로부터 자연스레 결과되는 이상사회를 대체하고 있다. 요컨대 맑스에게 있어서 문제는 이상 그 자체가 아니라 그 이상의 초월성과 내재성이다. 그는 과학과 실천을 결합시킴으로써 모든 이상주의자들로부터 자신을 구분시키고 있다 하겠다. This article aims to explain the duality lying in Karl Marx's theory on the ideal society. The duality derives from the fact that a theoretical tension exists within the Karl Marx's theory, which is utopian, and simultaneously, ami-utopian. The theoretical tension is best exemplified in his critique of idealism. Marx admits the necessity of ideal for the purpose of establishing a right social order, while criticizing metaphysical ideals. The theoretical tension is also found in his description of the ideal society, in the sense that Marx's description are often utopian, while he despises utopian political views. How ist this duality to be dissolved? Karl Marx tries to overcome this duality by relying on theories of historical materialism and practices. He criticizes metaphysical ideals from the view of a realistic ideal based upon material foundation, and replaces a metaphysical ideal society separated from the social foundation with an ideal society consequently deriving from revolutionary practices. For Marx, what is at stake is not the ideal itself but the transcendence and the immanence of the ideal. In short, Karl Marx distinguishes himself from all the idealists by combining theory(science) and practice.

      • KCI등재후보

        약물이상반응 감시 현황: 단일기관 10년 자료 분석

        박수빈 ( Soo Been Park ),문미라 ( Mira Moon ),김현화 ( Hyun Hwa Kim ),박가윤 ( Ga-Yoon Park ),강동윤 ( Dong Yoon Kang ),이주연 ( Ju-yeun Lee ),조윤숙 ( Yoon Sook Cho ),강혜련 ( Hye-ryun Kang ),조상헌 ( Sang-heon Cho ) 대한내과학회 2021 대한내과학회지 Vol.96 No.4

        목적: 의약품의 적절한 사용에도 불구하고 약물이상반응(ADR)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환자의 안전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단일 3차 의료기관에서 약물이상반응과 중대한 이상사례의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방법: 서울대학교병원 약물안전센터에 2010년 1월 1일부터 2019년 12월 31일까지 보고된 약물이상반응 평가자료를 분석하였다. 약물 사용과 이상사례 발생의 인과성은 세계보건기구 웁살라 모니터링센터(World Health Organization-Uppsala Monitoring Centre, WHO-UMC) 인과성 평가 기준을 기반하여 확실함(certain), 가능성 높음(probable), 가능성 있음(possible)으로 평가된 사례들만 분석에 포함하였다. 연령, 성별, 증상 발생 시기, 중증도 및 위중도 그리고 약물이상반응, 중대한 이상사례의 신체기관계 분류가 분석되었다. 결과: 연구 기간 동안 총 49,955건의 약물이상반응 평가지가 가능성 있음, 가능성 높음, 확실함으로 평가되었다. 위장관계 증상(25.9%)은 전체 보고 건수에 비해 중증(2.6%)의 비율이 낮았던 반면, 혈액학적 질환(6.6%)은 중증(39.2%)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약물이상반응 중 10.2%가 중대한 이상사례로 평가되었으며, 양 극단의 연령대에서 중대한 이상사례의 비율이 높았다. 신체기관계 분류로 분류하였을 때는 전신 질환이 가장 많이 보고되었으며 그 뒤로 피부와 부속기관 장애가 많았다. 항암제와 항생제가 중대한 유해사례의 의심약제로 가장 많이 보고되었다. 아나필락시스 반응이 가장 흔한 중대한 이상사례였다(6.5%). 결론: 중대한 이상사례의 비율은 신체기관계 분류와 약제 별로 다르게 나타났다. 양 극단의 연령대에서 중대한 유해사례의 비율이 높았으므로 어린이와 노인에서는 잠재적인 중대한 유해사례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어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Background/Aims: Despite proper use of pharmaceuticals, adverse drug reactions (ADRs) can lead to problems related to patient safety. We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ADRs, particularly serious adverse events (SAEs), in a single tertiary medical institution. Methods: Spontaneous ADR report data collected from 2010 to 2019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were assessed. Causality was evaluated according to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Uppsala Monitoring Centre criteria. Age, sex, onset, severity, seriousness, and system organ class (SOC) of ADRs and SAEs were analyzed. Results: During the study period, a total of 49,955 individual case safety reports were assessed as possible, probable, or certain. Although the number of gastrointestinal ADR reports was high (25.9%), severe cases were uncommon (2.6%). By contrast, the number of hematologic disorders was low (6.6%) but 39.2% of them were severe. Among ADRs, 10.2% were assessed as SAEs, the proportion of which was high at extreme ages and in males. Body as a whole-general disorders were the most frequently reported SOC for SAEs, followed by skin and appendage disorders. Antineoplastic agents and antibiotics were the most common causative agents of SAEs and ADRs. Anaphylactic reaction was the most frequent SAE (6.5%). Conclusions: The proportion of SAE differs according to SOC and drug. Attention should be paid to SAEs in children and older adults because the rate of SAEs is significantly higher at extreme ages. (Korean J Med 2021;96:341-351)

      • KCI등재

        서구 이상도시의 시대별 유형적 특성에 관한 연구

        송대호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4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6 No.5

        본 연구는 서구 역사에서 나타난 이상도시 계획의 시대별 유형 특성을 살펴보기 위한 연구로 중세시대의 이상도시에서부터 근대의 토니 가르니에의 공업도시에 이르기까지의 이상도시계획을 분석하였다. 그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이상적인 공간, 즉 이상도시를 찾고자하는 노력은 동서양을 막론하고 계획되었으며, 이러한 이상도시는 당대의 시대상을 반영한 결과물로써 제시되고 있다. 또한 서구에 나타난 이상도시는 각 시대 상황을 반영한 부산물로써 종교와 방어체계를 위한 기능적 이상도시, 인간 중심 사회에서의 우주론적 이상도시, 정치적 권위를 드러내는 기념비적 이상도시, 실천과 현실개혁 목적의 유토피아적 이상도시로 분류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이상도시는 시대적 상황을 바탕으로 하여 다양한 유형적 특성을 가진 형태로 제시되고 있다. This study is to analyze ideal city from ideal city in middle age to Tony Garnier's Une Cite Industrielle in modern age, so as to understand the time-phased typical characteristic of ideal city in western history. Analysis results were summed up as follows: First, ideal space, in other words effort to search for ideal city planed across the ages and in all countries of the world and proposed the results reflected times of those days. So the western society followed an ideal with a variety of purposes reflecting the actual society from middle age to modern age. And then ideal city is classified the functional ideal city for religion and defense system, the cosmological ideal city in people-oriented society, the monumental ideal city for political authority, the utopian ideal city for purpose of action and reform of reality as results reflected times of those days in west. and ideal city proposed the forms of various typical characteristic based on chronological situation.

      • KCI등재후보

        연구논문 : 대동(大同)과 소강(小康), 이상과 현실의 이중주

        김기주 ( Kee Joo Kim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0 儒學硏究 Vol.21 No.-

        이상사회를 제시하고 있는 다른 논의와는 달리, 『예기』 「예운」편은 추구해야 할 이상사회를 ``소강``과 ``대동``이라는 두 가지 형태, 즉 이중적으로 제시하고 있다는 측면에서 상당히 특별하다. 그렇다면 다른 이상사회론과 구별되는 「예운」편의 이러한 이중성은 도대체 왜 생겨난 것이고, 그것이 가진 의미는 무엇인가? 그리고 이상사회를 대동과 소강이라는 두 가지 형태로 제시하고 있는 「예운」편의 이상사회는 도대체 어떤 모습인가? 이러한 물음에 대해 이 논문에서는 세 가지 측면, 곧 『예기』나 「예운」편의 저술 혹은 편집배경, 「예운」편의 논의 구조, 대동과 소강의 내용적 특징으로 구분하여 살펴봄으로써, 최종적으로 왜 「예운」편에서는 최선과 차선의 세계를 대동과 소강이라는 이중적인 형태로 제시하고 있는지, 그리고 그것이 각기 지향한 이상사회는 어떤 모습인지를 확인하고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예운」편의 이중적 구도가 갖는 기본적인 의미는 이상이란 결코 그것 자체만으로 실현되지 않는다는 점에 있음을 강조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즉 현실과 뒤섞여 하나가 된 이상은 현실을 현실답게 하고, 이상과 뒤섞여 하나가 된 현실은 이상을 이상답게 한다는 것이 「예운」편의 정신이다. 소강은 이상과 현실이 만나는 긴장의 장이며, 이상과 현실이 조화롭게 들려주는 이중주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현실과 이상(대동)이 만나는 것은 소강을 통해서다. 소강은 이상(대동)과 현실을 이어주는 매개이다. 현실은 소강을 통해서 이상(대동)에 접근하여 그것을 최대한 실현하려 하고, 이상(대동)은 소강을 통해 자신을 구체적이면서 제한적으로 드러내게 된다. Unlike other kinds of discussion dealing with Utopia, the section of 「Liyun」 in 『Liji』 is extraordinary in that it suggests Utopia in a dual way with two kinds of worlds, ``United Society`` and ``XiaoKang Society``. Then, how was such duality of 「Liyun」 differentiated from other Utopian theories created, and what is the meaning of it? Moreover, how does the Utopia look like, which is suggested in 「Liyun」 with two kinds of worlds, United Society and XiaoKang Society? Regarding these questions, this article has researched separately into three parts: the background of writing or editing 『Liji』 and the section of 「Liyun」, the structure of discussion in 「Liyun」, and the content features of ``United Society`` and ``XiaoKang Society``. And lastly, this study has investigated why the section of 「Liyun」 suggests the best and the second best worlds dually with the kinds of ``United Society`` and ``XiaoKang Society`` and how the Utopia pursued by 「Liyun」 looks like. Through this,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basic meaning of the dual structure of 「Liyun」, in fact, emphasizes a point that the ideal can never be realized by itself. In other words, the spirit of 「Liyun」 is that the ideal mingled and unified with the real makes the true reality and the real mixed and unified with the ideal makes the true ideality. XiaoKang Society is a tense field where the ideal and the real encounter and is the duet harmoniously played by ideality and reality. In this sense, the real and the ideal, United Society, get to meet through XiaoKang Society. XiaoKang Society is a medium connecting the ideal, United Society, with the real. Reality approaches to ideality, United Society, through XiaoKang Society and makes it come true in reality while the ideal, United Society, exposes itself limitedly as well as concretely through XiaoKang Society.

      • KCI등재

        특집 1: 한국문학의 언어횡단적 실천과 동아시아 : 모더니티의 첨단과 암실 사이의 공간(들) - 에로셴코(Eroshenko),나까무라 쯔네[中村彛],이상(李箱) -

        송민호 ( Min Ho Song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4 민족문학사연구 Vol.55 No.-

        본 논문은 식민지 조선의 작가 이상이 죽음에 임박하여 동경으로 떠날 것을 결행한 배경을 재해석보고자 하는 시도로, 그의 내면에 단지 모더니티의 첨단을 향한 직선적인 지향만이 존재했던 것이 아니라, 모더니티의 체제 바깥으로 내몰린 예술가들이 실천했던국가와 자본의 경계를 초월한 예술의 보편성에 대한 추구와 그들이 만들어낸 연대에 대한 환상이 자리 잡고 있다는 사실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 글은 이를 위하여 이상이 언급한 바있었던 두 명의 예술가, 나까무라 쯔네와 에로셴코를 중심으로 그들이 일본의 나까무라야살롱을 중심으로 맺고 있었던 특별한 연대를 살피고 이상이 이와 같은 예술적 움직임에 대해서 어떠한 반응을 드러내었는가 하는 바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상은 나까무라 쯔네에 어린 시절부터 많은 관심을 갖고 있었고, 자신과 똑같은 결핵에 걸려 있던 그가 예술을 통하여 죽음의 공포를 극복하는 과정에 공감하고 있었음이 확인된다. 특히 이상은 쯔네가 그렸던 「에로셴코씨의 상」(1920)의 세부적인 묘사에 큰 영향을 받아 자신의 자화상의 화풍을 그와 비슷하게 변화시켰다는 사실을 이상의 친구인 문종혁은 증언하기도 하였다. 이상은 또한 위 쯔네의 그림의 대상이었던 에로셴코에 대해서도 많은 관심을 갖고 있었다. 1932년에 발표된 「지도의 암실」에서 그는 에로셴코를 언급하면서 밝은 빛과 암실의 대비를 통해 시계나 달력, 지도로 대표되는 밝은 모더니티의 배후에 존재하는 암실의 존재를 긍정 하기에 이른다. 즉 이상이 이 나까무라 쯔네와 에로셴코를 거론했던 배경에는 1920~30년대 일본의 예술적 살롱문화를 대표했던 나까무라야 살롱이 존재하고 있다고 볼 수 있으며, 이상은 바로 그러한 예술적 연대에 대한 기대감으로 루바슈카를 입은 자신을 상상하면서 먼 바다를 건너갔던 것이다. 하지만, 그러한 환상이 결국에는 국적 경계를 넘어설 수는 없었다는 것이 바로 이상이 처했던 비극이었을 터, 그것이 모더니티의 첨단과 암실 사이의 공간을 희구하였던 식민지 조선의 예술가가 동경에서 맞이한 운명이었던 것이다. This paper tried to investigate into the background which Yi-sang, the writer of colonial Chosun, decided to go over to Tokyo, approaching his death. In his inner world, then, there was not only the linear direction to the tip of modernity. He also has some sympathy to the artistic universalism and collaboration of the artist who had been expelled from the regime of modernity in Japan. Speaking in advance, his sympathy was just an illusion. For this, centering around two artists, Nakamura tsune and Eroshenko who Yi-sang has mentioned in his writing, I attempted to clarify the special collaboration in Nakamuraya(中村屋)’s artistic salon.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Yi-sang had a lot of interest in Nakamura Tsune from his childhood and that he had sympathized him with a same disease, overcoming the fear of death through pursuing his own art world. In particular, Yi-sang’s Friend, Moon Jonghyuk, remembered that he changed his style of portrait painting, influenced by a detailed description of “Statue of Mr. Eroshenko”(1920) Tsune had painted. Yi-sang also had a lot of interest in Eroshenko, the object of “Statue of Mr. Eroshenko” as well. “Blind Room of Map” published in 1932, he mentioned Eroshenko and affirmed the existence of the blind room at the rear of modernity represented by ‘clock’, ‘calendar’ and ‘map’ through contrast of the dark and brightness. Thus, Yi-sang cited Nakamura Tsune and Eroshenko keeping it in mind that there is the Nakamuraya salon as a representative Japan’s artistic salon in the 1920-30s. Yi-sang went far across the sea with a expectation for the artistic solidarity imagining himself in rubasyuka(the Russian traditional costume Eroshenko put on). However, such a fantasy couldn’t eventually go beyond national boundaries, in which there was just a tragedy Yi-sang was stuck in. It was destiny for the artist in colonial Chosun who wanted the space(s) between modernity and blind room to run into in Tokyo.

      • KCI등재

        이상과 박태원 문학의 관련성 고찰

        김주현(Kim, Ju-Hyeon) 우리말글학회 2021 우리말 글 Vol.90 No.-

        이상과 박태원은 그 어느 문인들보다 친밀했다. 그러나 이제까지 이상과 박태원의 문학적 관련성은 제대로 논의되지 못했다. 본고에서는 이상과 박태원 문학의 관련성을 실증적으로 접근해 보았다. 박태원은 이상의 「조감도-운동」에 주목했다. 이 작품은 하나의 문장으로 이뤄졌다. 이후 박태원은 「방란장주인」을 썼다. 이는 이상의 삶을 하나의 문장으로 쓴 소설이라는 측면에서 실험성이 높은 작품이다. 구보는 이상이 시에서 실험한 방식을 이상을 대상화 한 소설에서 실험했을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이상의 「날개」 배경인 33번지 18가구는 성적 상징으로 이해되어왔다. 박태원의 「보고」와 마찬가지로 이상의 「날개」는 관철동 33번지에서 이상과 금홍의 동거생활을 그려낸 것이다. 그러므로 이 작품들은 이상 삶의 실제적 재현이라는 데 의미가 있다. 아울러 33번지는 대항권번이라는 장소성과 관련되어 의미를 형성한다. 또한 박태원은 「보고」를 『여성』(1936.9)에 발표했다. 박태원은 『여성』지로부터 「문단기형 이상론」을 청탁받아 썼지만, 그 원고가 분실되었다고 했다. 그러나 이상의 삶을 그려낸 「보고」가 그 원고일 가능성이 농후하다. 이상과 박태원은 영향을 주고받는 등 교유함으로써 1930년대 한국 모더니즘 소설 대표 작가로 자리잡았다. Yi Sang and Park Tae-won were closer than any other writers. However, the relationship of literary influence between Yi Sang and Park Tae-won has not been properly discussed. In this paper, I approached their literary relationship empirically. Park Tae-won paid attention to Yi Sang’s “Bird"s-eye View-Movement”. This work is made up of one sentence. Afterwards, Park Tae-won wrote “The Master of Bangranjang.” This is a highly experimental work in that it is a novel written about Yi Sang’s life in one sentence. It seemed that Park wrote the novel through the way that Yi Sang experimented in the poem. Moreover, 18 households in 33rd street, the background of Yi Sang’s “The Wings” have been understood as a sexual symbol until now. Like Park Tae-won’s “The Report”, Lee Sang’s “The Wings” depicted the life of Yi Sang and Geum Hong at 33rd street of Guancheol-dong. Therefore these works are meaningful in that they are actual representation of Yi Sang’s life. In addition 33rd street formed meaning in relation to the placeness of Daehang Gwonbeon. Also, Park Tae-won published “The Report” in the magazine “Woman” in September 1936. Park Tae-won said that he wrote “An abnormal Yi Sang in Korean literary circles” on “Woman” editor’s request but lost his manuscript. However, there is a strong possibility that it was “The Report” which depicted the Yi Sang’s life. Yi Sang and Park Tae-won established themselves as representative writers of Korean modernism novels in the 1930s by interacting with each other.

      • KCI등재

        이상화대상에 대한 경계선성격장애인의 심리적 경험

        김동태 21세기기독교사회문화아카데미 2016 신학과 사회 Vol.3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phenomenal aspects of psychological experiences of the Borderline Patients toward Idealized Object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Colaizzi’s method, one of phenomenological methods to focus on the meaning and nature of human experience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three women with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Data of this study were gathered from July 3, 2015, to December 20, 2015, and the method of the data collection had an in-depth interview with them. This study categorized 8 theme clusters from themes exposed by statements of psychological experiences of the Borderline Patients toward Idealized Objects. As a result,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Borderline Patients went looking for attachment objects by strong desire loved by objects. Secondly, the Borderline Patients primitively idealized attachment objects, because they considered that the Idealized Objects and their parents was one and the same person. Thirdly, it was found that they tried to control the Idealized Objects not to get separated from them. Fourthly, the Borderline Patients distorted the messages of the Idealized Objects. Fifthly, Because of their distorted perception, they did not readily trust the Idealized Objects, forgot themselves in anger, and expressed their insecure mind. Sixthly, the Idealized Objects suffering from stress tried to leave them and they were seized with fear to be left out from the Idealized Objects. Seventhly, it was found that the Borderline Patients craved affection and attention from the Idealized Objects. Eighthly, they felt hollow because they lost relationship of the Idealized Objects. Given the findings of the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 was that the Idealized Objects of the Borderline Patients were the image of their parents, their emotions and behaviors toward the Idealized Objects were infant dependence on their parents 본 연구의 목적은 이상화대상에 대한 경계선성격장애인의 심리적 경험을 이해하는데 있다. 인간 경험의 본질과 의미를 밝히는 현상학적 연구 중에서 콜라이찌(Colaizzi) 방법을 통하여 연구 참여자의 공통적인 속성을 도출해 내었다. 연구 참여자 표집방법은경계선성격장애로 판정 받은 사람 중 연구에 동의한 3명을 선정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5년 7월 3일부터 2015년 12월 20일까지 약 6개월이며, 방법은 연구 참여에동의한 3명에게 심층면담을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콜라이찌의 분석절차에 따라 진행되었다. 이상화대상에 대한 경계선성격장애인의 심리적 경험의 진술에서 드러난 주제들로부터 8개의 주제군으로 범주화했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랑받고 싶은 강한 욕구로 애착대상을 찾아다녔다. 둘째, 애착대상이 부모와 같은 존재라서원시적 이상화가 이루어졌고, 셋째, 이상화대상을 놓치지 않으려는 생각에 대상을 통제하려는 행동이 나타났다. 넷째, 이상화대상들의 표현을 왜곡 시켰다. 다섯째, 왜곡된 인지는 과도한 의심을 이끌게 되어 분노를 조절하지 못하는 등 불안정한 심리를 표출하게 만들었다. 여섯째, 심한 스트레스를 받은 이상화대상들이 경계선성격장애인들을 떠나려는 행동에 버림받는 두려움을 겪게 되었다. 일곱째, 이상화대상은 잃어버릴 수 없는 절대적 대상이기 때문에 사랑과 관심을 갈구하는 모습을 보였다. 여덟째, 이상화대상과의 관계상실로 마음의 공허함을 경험했다. 분석결과에 나타난 이상화대상에 대한 경계선성격장애인의 심리적 경험들 즉 대상을찾고, 이상화하고, 통제하려고 하고, 버림받지 않으려는 두려움과, 관심을 받기 위한 필사적인 노력들은 이상화대상이 부모대상의 표상이기 때문으로 드러났다. 그래서 그들이 이상화대상에게 보이는 감정과 행동들은 부모에 대한 유아적 의존을 보이는 것으로 이해되었다. 종합하여 보면 경계선성격장애인의 이상화대상에 대한 부적응적인특징들은 유아기 때 형성된 결함을 성인기에 드러내는 유아적 노력으로 이해될 수 있었다. 따라서 연구결과에 나타난 이상화대상에 대한 경계선성격장애인의 심리적 경험은 부모를 찾는 행동이었고, 이상화대상에게 보이는 감정과 행동은 부모에 대한 유아적 의존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딥러닝 기반 직원 안전용 헬멧과 마스크 분류

        Shokhrukh Bibalaev,김강철 한국전자통신학회 2022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Vol.17 No.3

        코로나 시대에서 감염의 위험을 줄이기 위하여 반드시 마스크를 착용하여야 하며, 건축 공사장과 같은 위험한 작업 환경에서 일하는 직원의 안전을 위하여 헬맷을 쓰는 것은 필수불가결하다. 본 논문에서는 헬멧과 마스크의 착용 여부를 분류하는 효과적인 딥러닝 모델 HelmetMask-Net를 제안한다. HelmetMask-Net은 CNN 기반으로 설계되며, 전처리, 컨벌류션 계층, 맥스풀링 계층과 4 가지 출력이 있는 완전결합 계층으로 구성되며, 헬멧, 마스크, 헬멧과 마스크, 헬멧과 마스크을 착용하지 않은 4 가지 경우를 구분한다. 정확도, 최적화, 초월 변수의 수를 고려한 실험으로 2 컨볼루션 계층과 AdaGrad 최적화를 가진 구조가 선정되었다. 모의 실험 결과 99%의 정확도를 보여 주었고, 기존의 모델에 비하여 성능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제안된 분류기는 코비드 19 시대에 직원의 안전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이상적 독자의 개념과 존재 양상

        김승환 한국현대소설학회 2018 현대소설연구 Vol.- No.72

        ‘Ideal' in the 'ideal reader' is the most ideal reading among others. If so, what is the ideal reader and ideal reading? It depends upon the perspectives and situations. General meaning of the ideal reader are readers who understand writer's purposes, contents and forms of work and feel happy during the creative and critical reading by themselves. There are not likely to exist such an ideal reader actually. Narratology researchers has analyzed the general ideal reader and didn't analyze the ontological ground and modality till now. What we need for discussing the ideal reader will be the possibility of the ideal reader and the modality. The reason why writer invents the ideal reader as an implied reader is that ideal reader can understand the writer's purpose and meet the expectation of writer. Ideal reader of the writer's perspective and ideal reader of the real reader's perspective are quite different due to its contradict concepts. Passive reading and active reading are also contradictory concepts. If we use these determining factors, we can conclude of the four types of the ideal readers. Firstly, the ideal readers who understand and agreed the writer's purpose absolutely as passive readers in the text. Secondly, the ideal readers who interpret and enjoy the work with creativity as active readers in the text. Thirdly, the ideal readers who understand and agreed the writer's purpose absolutely as passive readers outside of the text. Fourthly, the ideal readers who interpret and enjoy the work with creativity as active readers outside of the text. Existing of an ideal reader don't have any possibility but have contingence. Ideal reader may not exist other than writer. 이상적(ideal, 理想的) 독자는 바람직한 독서를 하는 존재라는 뜻이다. 그런데 ‘무엇이 바람직한 독서인가?’에 대한 답은 이론과 시각에 따라서 다르고 시대와 상황에 따라서도 다르다. 일반적인 의미에서 말하는 이상적 독자는 작가의 의도, 작품의 내용과 형식, 상황과 맥락 등을 잘 이해하면서 독자 자신도 창의적인 해석을 통하여 기쁨과 행복을 느끼는 완벽한 독자다. 그런데 이런 독자는 거의 없으며, 작가 이외에는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소설연구자들은 이런 완벽한 이상적 독자가 있다고 가정하고 이상적 독자를 논하였을 뿐, 이상적 독자의 존재 원리와 존재 양상에 대하여 논하지 않았다. 기존의 이상적 독자의 한계는 이상적 독자의 이론적 근거가 없이 일반적 개념을 적용한 것이다. 이상적 독자를 논할 때 필요한 것은 이상적 독자의 개념 성립 여부와 이상적 독자의 존재 양상이다. 문제가 되는 것은 ‘작가의 마음에 내재하는 이상적 독자’ 즉 텍스트 안의 이상적 내포독자(ideal implied reader)이다. 텍스트 구조의 개념인 내포독자와 텍스트 해석의 기능적 개념인 이상적 독자는 층위가 다르지만, 상호교집합의 관계를 형성한다. 이런 전제를 가정하고 이상적 독자를 살펴보자면, 텍스트 층위의 이상적 독자는 작가의 서사전략에 의해서 탄생한다. 작가가 이상적 독자를 설정하는 이유는, 작가는 이상적 독자를 통해서 자신의 서사전략을 구현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작품의 구조와 문학성은 이상적 독자의 존재 양상에 따라서 달라진다. 그런 이유 때문에 작가는 이상적 독자를 텍스트 안의 내포독자로 구현하는 것이다. 이런 텍스트 층위의 이상적 내포독자는 현실의 이상적 독자와는 현저히 다르다. 현실의 이상적 독자는 작가의 서사전략이 아니라 독자의 독서전략에 의해서 탄생한다. 그러므로 현실의 이상적 독자는 순종적이고 수동적인 독자가 아니라 저항적이고 능동적이며 창의적인 독자다. 이 점을 고려해 볼 때, 이상적 독자의 존재 양상은 다섯 가지 유형이 있다. 이 중에서 독자를 중심으로 하는 현실의 이상적 독자는 제외하고 텍스트를 중심으로 한 이상적 독자는 네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그것은 ①텍스트 안[허구]에 내재하면서 작가의 의도를 이해하고 반응하는 수동적 이상적 독자 ②텍스트 안[허구]에 내재하면서 창의적으로 작품을 이해하는 능동적 이상적 독자 ③텍스트 바깥[현실]에 실재하면서 작가의 의도를 이해하고 반응하는 수동적 이상적 독자 ④텍스트 바깥[현실]에 실재하면서 창의적으로 작품을 이해하는 능동적 이상적 독자 등이다. 이 중, ③과 ④의 독자는 현실의 실제 독자인 동시에 독서이론의 이상적 독자와 같을 수도 있지만 텍스트 층위에서 보면 개념이 다르다. 텍스트 안에 이 네 유형의 이상적 독자가 존재할 필연성(necessity)은 없고 우연성(contingence)만 있다.

      • KCI등재

        「12월 12일(十二月十二日)」 다시 읽기 -발표 매체의 특성과 문단사적 의미를 중심으로

        김영민 ( Young Min Kim ) 한국문학연구학회 2016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59

        이 논문은 발표 매체의 특성과 문단사적 의미 등을 중심으로 이상(李箱)의 첫 장편소설 「12월 12일」을 재검토한 것이다. 이 과정에서 기존 연구사에서 논점으로 남아있는 몇 가지 사실들에 대해서도 함께 검토했다. 이상(李箱)은 한국 근대문학사를 대표하는 인물이면서 동시에 매우 예외적 인물에 속한다. 「12월 12일」은 한국 근대 잡지에 연재된 최초의 장편소설이라는 문단사적 의미를 지닌다. 신인 작가 이상의 장편소설 연재는 발표지가 국문판 『조선』이라는 매우 예외적인 매체였기에 가능했다. 국문판 『조선』은 당시 문단과는 일정한 거리를 두고 이른바 ``무명작가``들을 중심으로 문예면을 운용했다. 「12월 12일」의 연재를 시작할 무렵 국문판 『조선』의 시 작품 선자는 일본 작가 마쓰다 가쿠오였다. 당시 국문판 『조선』은 시와 소설의 선자를 별도로 두기보다는 이를 통합해 운용했을 가능성이 더 크다. 국문판 『조선』의 문예면 필자 선정 과정에서는 문단 경력 여부가 전혀 중요한 변수로 고려되지 않았다. 국문판 『조선』의 발행 주무부서인 관방문서과(官房文書課)와 이상이 근무하던 관방회계과(官房會計課) 사이의 관계는 이상의 등단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계기가 되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국문판 『조선』은 문학청년 이상에게 자신의 작품 세계를 마음 놓고 시험해 볼 수 있는 최적의 조건을 갖춘 잡지였다. 이상의 「12월 12일」이 연재 장편소설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연재소설이 쉽게 외면할 수 없었던 대중적 흥미 추구 구조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었던 것도 이러한 매체의 성격과 관계가 깊다. 이상의 소설들 가운데서도 특히 국문판 『조선』에 발표된 「지도와 암실」이나 「휴업(休業)과 사정(事情)」에서 내면 의식 강조의 실험성이 돋보이는 이유 또한 여기에서 찾을 수 있다. 국문판 『조선』의 편집자가 제3회부터 이 작품에서 ``인정미담``이라는 수식을 삭제한 이유는 이때부터 업을 둘러싼 비극이 시작되기 때문이다. 그의 이름이 영문 ``X`` 대신 복자 ``×``로 인쇄된 것은, 특별한 의미가 있다기보다는 단순히 조판상의 편의성 때문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반복과 순환은 「12월 12일」 뿐만 아니라, 이후 이상의 문학세계의 핵심을 점유하는 세계관과 기법으로 자리 잡게 된다. 「12월 12일」이 작가 이상의 정신세계의 미숙성과 서사기법의 한계를 드러내는 작품이라는 평가는 잘못된 것이다. 「12월 12일」의 서사 구조를 전반부와 후반부의 균열 및 불일치로 파악하는 것도 옳지 않다. 반복과 순환이라는 기법은 이상의 문학 작품뿐만 아니라 도안에서도 자주 사용된다. 이상이 직접 그린 「날개」의 삽화에서도 반복과 순환의 기법이 효과적으로 활용된다. 이상의 등단작 「12월 12일」에는 작가의 창작 행위와 관련된 근본적 고민들을 엿볼 수 있는 구절이 적지 않다. 이상은 ``어떤 국어``로 생각을 표현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을 지속 했던 것으로 보인다. 어떤 언어로 작품을 쓸 것인가 하는 고민은 결국 어떤 매체를 통해 작품을 발표할 것인가 하는 문제로도 연결된다. 그는 자신이 원래 작성해둔 초고의 문체와는 관계없이, 작품의 발표 매체에 따라 최종 문체를 선택하고 결정했을 가능성이 크다. 「12월 12일」은 이러한 언어 혹은 문체 선택의 고민을 담고 있는 작품이기도 하다. 정제되지 않은 표현들로 인해 생겨나는 저항감에도 불구하고, 「12월 12일」을 정독해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take a closer look at the Leesang`s(이상) novel the December twelfth(「12월 12일」). This paper will focus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gazine Chosun(조선) written in Korean alphabet Hangeul(한글). Leesang`s novel the December twelfth was serialized in the magazine Chosun from February to December in 1930. This paper will also focus on the value of the novel the December twelfth in modern Korean literary history. In the past, the novel the December twelfth has received much attention. But, a relationship between the magazine Chosun and the literary work has received little attention. The noticeable value of the December twelfth is that the work is the first novel serialized in modern Korean magazine. A new face as a writer Leesang could serialize the novel in the magazine Chosun, because the magazine was exceptional mass media in a history of modern Korean society. The editor of the magazine Chosun was generous to a new face and a government official. The editor of the magazine Chosun also has no interest in the achievement of commerce. Leesang was a public official in technical post in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The Chosun was published by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Becaus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gazine Chosun, Leesang could write the novel without a load to public interest. The Chosun was the most suitable mass media for a new writer like Leesang. He also could trie to make experimental short stories in the magazine Chosun written in Korean alphabet Hangeul by virtu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gazine. The December twelfth was the first work which applied the technique of ``repetition and circulation`` by Leesang. The ``repetition and circulation`` is not only writing technique but also view of the world for him. The skill of ``repetition and circulation`` is widely used in many kinds of art works by Leesang. He also used the same skill in drawing. It is difficult to agree with an opinion which insists that the structure of the December twelfth has a crack between the first half and the second half. The structure of the December twelfth was a result of a carefully thought-out plan by the author Leesang. There are many passages in his works which shows a basic agony of the writer who tried to create original literary works. He may decide literary style according to the mass media in which his work is published. There is an evidence that shows agony of decision for literary style and language in the December twelft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