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이드의 기원을 찾아서 : 게오르그 그로덱의 『이드에 관한 책』에 예기(豫期)된 학문융합적 층위

        김서영(Suh-Young Kim) 한국라깡과현대정신분석학회 2011 현대정신분석 Vol.13 No.2

        프로이트가 이드 개념을 차용한 게오르그 그로덱의 『이드에 관한 책』은 그로덱이라는 이름과 함께 오래전 정신분석의 역사 속에서 망각되었다. 그로덱이 프로이트 이전에 이드에 관한 책을 집필했었다는 점이나, 그가 이 책 속에서 이드, 자아, 상징이라는 개념을 본격적으로 논의했다는 명백한 사실 역시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물론 프로이트의 주장대로 그로덱의 신비주의가 문제의 시발점이었을 수도 있지만, 그로덱 자신은 평생 신비주의적 경향을 비판하며 프로이트의 과학적 정신분석학의 입장을 견지한 정신분석가였다. 즉 그로덱의 이론에서 우리는 융적인 신비주의와 프로이트적인 과학적 기표의 논리를 동시에 찾아볼 수 있다. 또한 더 나아가, 그로덱은 라깡적 사유의 편린을 예기하고 있는데, 예를 들어, 그는 어머니라는 최초의 타자가 맡은 역할을 프로이트보다 더욱 강조했고, 모든 인간이 거세되어 있다고 주장하기도 했으며, 전형적 상징보다는 상징계의 연쇄를 중심으로 분석을 전개했다. 본 논문은 그로덱이라는 잊혀진 정신분석가의 이론을 살펴봄으로써 프로이트가 은폐하는 이드의 기원을 확인하고, 그로덱의 이론에 나타난 프로이트, 라깡, 융적 함의를 추적할 것이다. 이를 통해 그로덱의 위치를 정신분석학사 속에서 복원하고, 그의 이론이 프로이트, 융, 라캉의 이론과 다른 점을 지적하는 동시에 그가 어떤 방식으로, 미래에 도래할 각 학문분과를 융합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This paper examines Georg Groddeck's The Book of the Id, which had been written before Sigmund Freud wrote The Ego and The Id. Although Groddeck's work has been forgotten over the years, it is worth a thorough examination for the reasons as follows. First, Freud has never introduced Groddeck's work properly although he admitted that he has drawn upon the concept of the Id from the work of Groddeck. Therefore, neither his theory nor his name survived in the history of psychoanalysis. Secondly, his work anticipates the Lacanian emphasis on the Symbolic level of treatment in that he understood both the power of language and the effects of misuse of analytic power in treatment. Thirdly, his use of the concept of the Id alludes to the theory of Carl Gustav Jung in which the unknown is placed at the center of the theory. This is why Freud has criticized both theorists for not being scientific. Finally, Groddeck has focused not on the psychoanalytic theory per se but on the practical use of psychoanalysis and has aimed at popularizing the latter. As such, one can observe the implications of disciplinary conversions in Groddeck's work. He has emphasized the Freudian psychoanalysis, and yet situated psychoanalytic practice in the realm of the unknown, which alludes to the theory of analytic psychology. To summarize, Groddeck offers a way to converge the various analytic disciplines in the 21st century. He gave life to the concept of the Id, authorizing it to be the center of the subject. This center, however, is a different name of the unknown, and thus it is what links the Lacanian Real order to the Jungian archetype. His theories thereby offer a point at which a more practical therapeutic narrative in psychoanalysis can be written.

      • 프로이트의 자아 이해

        이세형 ( Lee Se Hyoung ) 한국정신분석심리상담학회 2020 정신분석심리상담(구 정신역동치료) Vol.3 No.-

        본 논문은 프로이트의 저서를 중심으로 자아 이해를 살펴본 논문이다. 프로이트의 정신분석 치료 초기 명제는 “무의식의 의식화”에 있었다. 그러나 후기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적 과제는 “자아를 강화시키고 그 자아를 초자아로부터 독립적으로 만들어주고 그의 지각범위를 확장하고 그 조직을 확대하여 이드의 새로운 부분을 자기것으로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바뀐다. 말하자면 “이드가 있었던 곳에 자아가 생성되게 하는 것”이다. 프로이트의 자아는 병리적 정신세계의 뿌리를 살피는 과정에서 찾아진 것이고, 전의식적인 외적 실재에 대한 지각에서 구성을 시작하여 접촉 경계를 통한 위치를 갖게 되었고 무의식 영역의 이드와 초자아와의 관계 속에서 한편으로는 지배를 또 다른 한편으로는 지배를 받는 위협에 처한 중재자로서 자리하고 있다. 또한 프로이트의 자아는 고정된 인식이나 실체가 아니라 신체와 심리를 옮겨가는 에너지인 충동에 기초한바 외적 실재와 이드와 초자아 사이에서 동일화 과정을 통해 끊임없이 확장하고 강화해 가는 과정 중에 있는 어떤 것 혹은 우리의 존재 안에 대상을 대면하고 있는 경계로서의 어떤 것이다. 프로이트의 자아는 의식도 아니고 주체로서의 자기도 아니다. 그러나 자기를 대변할 수 있는 우리의 정신건강의 표준이 되는 어떤 자리이다. 이런 점에서 정신분석적 치료 과제는 자아의 관계 구조의 건강을 살피는 것에 주목한다. This paper examines the understanding of the ego by centering on Freud’s writings. Freud’s early proposition on psychoanalytical therapy was “making the unconscious conscious.” Yet later themes of Freud’s psychoanalysis changed to “strengthen the ego and make independent the ego from the superego, extend its range of perception, expand that structure to be able to claim the new areas of the id for the ego.” This means “where the id was is the place where the ego is born.” Freud’s ego is found in the process of examining the roots of the pathological psychic world beginning the form from the perception of the preconscious external existence led to being located at the contact barrier, serving as the mediator in the realm of the unconscious in the relation between the id and the super-ego where on the one hand is dominating, while on the other in danger of becoming dominated. Also, Freud’s ego is not a fixed realization or actualization but is the thing or the boundary of the thing confronting the subject within our own being found in the conflict of energy moving between the physical and the mental, undergoing the unending process of expanding and strengthening through the identification process between the external reality, the id and the superego. The ego of Freud is not the conscious nor self-as-subject. However, it is a place of the standard of our mental health that can represent the self. From this perspective, the task of psychoanalytical therapy is focused on examining the health of the relational structure of the ego.

      • KCI등재

        연구논문 : 영역과 기능의 관점에서 본 프로이드의 자아와 아비담마의 마음작용

        윤희조 ( Hee Jo Youn ) 한국동서철학회 2014 동서철학연구 Vol.72 No.-

        자아와 무아는 서양심리학과 불교심리학의 핵심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프로이드의 심역과 아비담마의 마음작용을 비교하면서, 일견 모순되어 보이는 두 개념의 소통가능성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프로이드의 자아는 지각, 기억의 잔재물, 억압된 것 즉 의식, 전의식, 무의식의 측면을 모두 포함하어 있다. 자아는 이드의 표면에 있으면서 이드를 쾌ㆍ불쾌로 지각된다. 자아는 본능을 통제하고, 억제하고, 현실원칙으로 대치하려고 한다. 초자아가 무도덕적이면서 초도덕적이라면, 자아는 도덕적이려고 노력한다. 따라서 초자아는 양심이나 죄의식의 형태로 드러난다. 자아는 이드, 초자아와 의존관계에 있으면서 이율배반적이고 갈등적인 요구에 대한 중재자의 역할을 한다. 아비담마에서 자아는 견해에 의해서 만들어진 것으로 해로운 마음작용과 유익한 마음작용, 유신견과 무업견, 단견과 상견, 사견과 자만, 질투와 인색, 탐욕과 성냄 등 상반된 마음작용을 한다. 이는 프로이드의 자아의 기능과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이드의 기능은 잠재성향의 범주, 초자아의 기능은 양심과 수치심의 유무와 비견할 수 있다. 스펙트럼적인 관점에서 보면 실체성, 고착성, 유연성의 정도에 따라서 아트만, 오취온, 오온의 순서대로 배열할 수 있고, 이는 아, 자아, 무아에 대응시킬 수 있다. 프로이드와 아비담마는 모두 실체성, 아트만, 아를 부정한다. 나머지 심역과 의존관계에 있는 자아는 취착에 의한 마음작용의 모음인 오취온과 비교할 수 있다. 이는 취착없는 마음작용만 가지고 있는 오온과 구별된다. 취착과 영역을 가지는 마음작용을 자아라고 한다면, 단지 마음작용만 하는 것을 무아라고 할 수 있다. 프로이드가 고착성, 오취온, 자아에 중점을 두는 반면, 아비담마는 오온, 무아에 최고의 가치를 부여한다. Self and non-self are key concept in western psychology and Buddhist psychology. Comparing the regions of mind in Freud with workings of mind in Abhidhamma, This paper tries to find a communicability between self and non-self which look like contradiction. Self in Freud compromises perception, residues of memory, and the repressed which represent the conscious, the preconscious, and the unconscious. Self locates in surface of id and perceives the pleasurable and the unpleasurable. And self tries to regulate and suppress the drive of id and to replace principle of pleasure for that of reality. Superego reveals itself forms of conscience and sense of guilt. While superego is immoral and unmoral, ego tries to be moral. Self, depending on id and superego, performs role of mediator from contradictory and conflicting requests. Self in Abhidhamma reveals as opposite workings of mind; wholesome and unwholesome, views on existence of self and non-existence of kamma, views on eternity and annihilation, wrong view and conceit, envy and avarice, delusion and greed etc. This is similar to self in Freud, latent dispositions to id, shame and fear of wrongdoing to superego. Unitary and eternal self is rejected by Freud and Abhidhamma. Self as a region of mind is compared to five clinging aggregates of workings of mind. Five clinging aggregates are distinguished from just five aggregates of workings of mind. Former is called self, latter non-self.

      • KCI등재

        리비도 충동의 역동성 -초현실주의, 이상의 소설 <지주회시>-

        서복희 한중인문학회 2009 한중인문학연구 Vol.26 No.-

        이상을 떠올릴 때면 흔히 초현실주의 작가라고 칭한다. 초현실주의는 프로이트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이 글은 프로이트의 성욕에 관한 세 편의 에세이 속에 포함된 리비도 충동의 역동성이 이상의 소설 <지주회시>에서 화자에게 어떻게 내재하여 나타나는지를 알아보았다. 또한, 리비도와 돈과의 관계를 고찰하였다. 리비도란 프로이트에 의하면 “인간과 동물이 성적 욕구를 한 존재라는 사실은 생물학에서 배고픔, 즉 섭취 본능과 유사한 <성적본능>”이라는 가설로 표현된다. 충동은 순간적으로 어떤 행동을 하고 싶은 욕구를 느끼게 하는 마음속의 자극으로 무의식과 관계가 있다. 역동성이란 세 가지 층위들이 갈등을 일으키는 것을 말한다. 세 층위란 이드와 자아와 초자아를 가리키며 이드는 욕구를 표출하여 밖으로 얻고자 하고, 자아는 이드를 억제하고 초자아는 금기형태를 내면화한 것이다. 자동기술법은 초현실주의 창작기법으로 무의식의 표출이다. 초현실주의자들에서 꿈과 현실의 공존이며 무의식 속에서도 현실과 이어지는 끊임없는 활동을 하고 있다. 또 “자동 기술은 욕망의 말”로 나타내는 이유는 무의식의 단어들은 내재하는 욕망의 표출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욕망은 충동의 대상이 되며 대상은 실현되지 않은 꿈, 미래의 윤곽을 예감하는 구술적인 영감이 될 수도 있다. 리비도 충동의 역동성은 <지주회시>의 화자는 상상력을 동원하여 현실에서의 불만과 괴로움을 잊는 해방자로서의 역할을 담당하였다. 즉 “상상력은 가장 위대한 자유이고 우리에게 남아있는 유일한 은총이다”라는 초현실주의 주장처럼 <지주회시>의 화자는 리비도의 충동을 상상함으로써 귤 궤짝처럼 작은 방에서도 해방감을 맛볼 수 있었던 것이다. Lee Sang is often regarded as a Surrealist author, and we know Surrealism was heavily influenced by Freud. I have determined how the dynamics of libido impulse [as promulgated in Freud’s Three Essays on Sexuality (1905)] is assumed by the narrator. Moreover, the relation between the libido and the desire for material gain is explored. Freud’s concept of the libido can be expressed in the hypothesis that the existence of human and animal sexual appetite is actually similar in nature to that of certain animal instincts, for instance hunger and digestion. Originating from the body, the drive doesn’t lose its sexual nature, but changes only in form, in relation to the unconscious, such that its suppression results in the appearance of stubborn behaviour and mental activity. Complexities arising from the three dynamic layers are given. Among the three layers, the id propels the drives outward, the egokeeps the id in check, and the superego internalizes cultural taboo forms. Automatism is an expression of Surrealist creative technique. According to the Surrealists, dream and actuality coexist, and reality and incessant activity are even resident in the unconscious. Furthermore the explanation for the notion that “automatic technique is an expression of desire” Shin Hyun-Suk, On Surrealism, Dong-a Publishing Co., 1992, p.89.is that the language of the unconscious is intrinsically an expression of desire. The dynamics of the libido’s urges are expressed through the narrator’s imagination to attain clarity concerning the forgetting of discontent and suffering, that is to say, liberation. In other words, like the assertion that “the imagination is our greatest freedom and singular lasting legacy,” the narrator utilizes libidinal dynamics to reveal that even in a place as small as a tangerine box liberation can in fact be savoured.

      • KCI등재

        칸트의 ‘나’와 프로이트의 ‘에고’에 대한 비교 고찰

        권오상 ( Kwon O Sang ) 한국칸트학회 2021 칸트연구 Vol.48 No.-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에 대한 연구는 주로 상담심리학적인 주제, 또는 임상적 주제로 다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프로이트를 철학적 주제로 다룬 연구들은 주로 니체, 라캉 등과 연관지어 연구하는 사례가 많다. 그러나 프로이트는 니체가 거부하는 전통 형이상학의 선두에 있는 칸트와는 관련이 없는가? 최근, 브룩(A. Brook)은 프로이트의 모델과 칸트의 사상을 비교하여 연구하였으며, 헨리(C. Hanly)는 프로이트가 지식의 본성에 대한 칸트적 관점을 지지한다고 주장한다. 본 논문은 다음의 논점들을 중심으로 칸트와 프로이트를 비교 고찰하고자 한다. 칸트의 자아 개념에서 선험적 상상력의 선(先)논증적이고, 선(先)개념적인 종합 활동은 거의 의식되지 않는다. 칸트는 그런 상상력을 마음의 맹목적인 기능이라고 설명한다. 그것은 억압된 정신적 활동과 그 내용 영역으로서 프로이트의 무의식과 비교된다. 프로이트는 개인을 무의식적인 정신적 이드로 특징지운다. 에고는 이드 표상들이 내적으로 분화된 결과이며, 그것의 중심으로부터 지각 체계가 발달한다. 에고는 정신적 과정의 조직자로서 그 내용들에 질서를 부여하는 방식과 관련된다. 에고의 “정신적 과정의 조직화”에 대한 설명은 칸트의 통각의 선험적 통일에서 귀인된 것이다. 칸트의 비판적 관념론에서 보면, 시간과 공간 및 범주는 경험의 형식으로서 선험적으로 연역될 수 있다. 그러나 프로이트는 칸트의 선험적 지식에 대한 경험적 근거를 찾으려고 한다. 프로이트에게 시간과 공간은 지각-의식 기제의 특수한 양상들로서 정신적 기제의 확장을 위한 투사의 산물이다. 칸트의 본체적 자아 또는 도덕적 주체는 감각적 경험 세계의 법칙으로부터 자유롭다. 인간 주체로부터 모든 감각 경험 내용들을 “비우는 것”이 칸트적 기획의 핵심이다. 그러나 프로이트의 무의식적 자아는 콤플렉스의 조각들과 트라우마로 가득 차 있으며 파편화된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런 무의식의 특성은 칸트의 “비움”과는 거리가 멀다. 그것은 가득 차 있으며, 분할되고 분열되어 있다. 그러나 그런 분열 자체는 통일에의 관심과 추동으로 나아가는 기폭제가 된다. 그런 통일에의 추동은 “전(前)-에고적 상태의 고요함”을 지향하는 것이다. 우리는 그런 통일을 향한 추동에서 인간 자아의 깊은 심연을 발견한다. 칸트에서 인간 이성은 “진정한 심연”이며, 실천이성의 무조건적 도덕법칙은 “불가사의”한 것이다. 프로이트에게 무의식과 통일에의 추동은 죽음 그 자체의 비유기적이고 고요한 상태로서의 심연이다. 따라서 그런 통일에의 추동은 칸트와 프로이트 기획의 공통점이라고 말할 수 있다. 칸트는 현대 정신분석학의 패러다임을 수립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 사상가로서 더욱 철저하게 연구될 필요가 있다. Freud’s research on psychoanalysis is generally dealt with as a counseling psychological topic and a clinical topic. In addition, studies dealing with Freud as a philosophical topic are often studied in connection with Nietzsche. But isn’t Freud related to Kant, who is at the forefront of traditional metaphysics that Nietzsche rejects? Andrew Brook compared and connected Freud’s model with Kant’s idea. Chales Henry argues that Freud supports a Kantian view of the nature of knowledge. This paper attempts to compare Kant and Freud with the following issues. In Kant’s ‘I’, the pre-discursive, pre-conceptual process of synthesizing representations of a transcendental imagination is hardly conscious. Kant explains that imagination as a blind function of the mind. It is compared to Freud’s unconsciousness as an area of content with repressed mental activity. Freud characterizes an individual as an psychical Id unknown and unconscious. Ego(das Ich) is the result of internal differentiation of Id(das Es) representations, and the perceptual system develops from its center. The Ego emerges from the Id as the organization of mental processes, and it is related to the way in which order is given to its contents. Ego’s explanation of the organization of the mental process is attributed to Kant’s priori unity of apperception. From Kant’s critical ideology, time, space, and category can be a priori deduced as a form of experience. However, Freud tries to find the empirical basis for Kant’s a priori knowledge. For Freud, time and space are the products of projection for the expansion of psychic apparatus as special aspects of functioning of the system Perception Consciousness. Kant’s noumenal ego or moral subject is free from the laws of the sensory world of experience. “Empty” the contents of all sensory experiences from the human subject is the core of Kantian planning. However, Freud’s unconsciousness is full of pieces of complex and trauma and has a fragmented structure. The nature of such unconsciousness is far from Kant’s “empty.” It is full, divided and splitted. However, such division itself becomes a catalyst for drive toward unity. Such drive to unity is aimed at “the quiescence of a pre-egoic state”. We find the deep abyss of the human ego in the drive toward such unity. In Kant, human reason is a “veritable abyss”, and the unconditional moral law of practical reason is “mysterious”. In Freud, the drive to unconsciousness and unity is the inorganic and quiescent state of death itself.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such driving to unity is a common point between Kant and Freud’s planning. Kant needs to be studied more thoroughly as a thinker who played an important role in establishing the paradigm of modern psychoanalysis.

      • KCI등재

        정신분석비평적 관점에서 본 「무정」에 나타난 “성욕의 의미”

        한승옥 ( Seung Ok Han ) 민족어문학회 2007 어문논집 Vol.- No.56

        본고는 「무정」에 나타난 ``성욕의 의미’를 정신분석비평적 관점에서 조명해 본 것이다. 먼저 「무정」에 내재된 성욕의 의미를 타나토스와 대비되는 에로스의 개념으로 분석하였다. 남주인공 형식에게서는 에로스의 주된 특징인 리비도가 어떤 형태로 작동되는지를, 또 여주인공 영채에게서는 타락한 인물들의 에로스가 어떻게 그녀를 음욕의 희생물로 전락시키는지를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무정」에 미만하는 죄의식의 실체를 규명하였다. 이 경우, 영채의 죄의식과 형식의 그것이 차이가 나는데, 본고에서는 이를 이드. 에고, 슈퍼에고의 관점에서 두 인물의 죄의식의 실체가 무엇인지를 규명하였다. 「무정?을 분석한 결과, 이형식에게는 리비도가 생명의 보존과 자아의 각성이라는 긍정적 요소로 작용하고 있었다. 반면, 박영채에게는 이것이 그녀를 죽음의 충동에 사로잡히게 하는 부정적 요소로 작동하고 있었다. 「무정」에서 초자아의 영향을 두드러지게 받는 인물은 이형식과 박영채였다. 이형식은 양심이란 도덕 기준에서 초자아의 영향을 받고 있었으며, 박영채는 아버지의 가르침으로 인한 유교적 세계관으로부터 그러한 영향을 받고 있었다. 이형식에게 작동하는 초자아는 근친상간의 금기였다. 이것은 억압된 오이디푸스 콤플렉스가 계속해서 형식의 도덕감에 작용하고 있다는 반증으로 해석되었다. 박영채는 이 작품에서 가장 죄의식을 많이 느끼는 인물로 설정되어 있었다. 그러나 김병욱을 만남으로 인해 변화되고 있었다. 유교적 초자아에 사로잡혔던 에고가 진화론적 생명사상에 의해 새로운 에고로 거듭 태어나고 있었다. zThis paper is written to discuss the meaning of the sexuality shows in Mu Jung in psychoanalysis critic`s view. First, I analyzed ``the meaning of sexuality`` with the concept of eros which is compared with thanatos. I examined how libido which is the main character of eros functions for him, and how eros of ruined characters drive Young-chae to sacrifice her for thanatos. For the next, I examined the substance of guilt feeling that is pervade in Mu Jung. In this case,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Young-chae`s guilt feeling and Hyung-sik``s guilt feeling. In this paper, I try to explain what is the substance of their guilt feelings in the view of ego and superego. In the result of analyzing Mu Jung, libido functions Lee Hyung-sik in affirmative ways such as preserving life and awakening his ego. Meanwhile, it functions Park Young-chae in negative ways which drives her to the impulse of death. Characters who is influenced by superego the most are Lee Hyung-sik and Park Young-chae. Lee Hyung-sik is affected by superego in moral standard, the conscience. Park Young-chae is affected by Confucian view of the world occurred because of her father`s teaching. Superego that functions Lee Hyung-sik was taboo of incest. It has explained that it is an evidence that his Oedipus Complex which was repressed by his father processed Hyung-sik``s feeling of morality continuously. Park Young-chae was created as the character who feels guilty the most. However, she was changed as she met Kim Byung-ook. The ego which was seized with Confucius superego is newly born with new ego owing superego of the evolutionary theory`s idea of life.

      • KCI등재

        폐허에서 동심을 발견하는 두 가지 방법 -박화목과 손동인을 중심으로-

        강수환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24 한국학연구 Vol.- No.73

        Park Hwa-Mok and Son Dong-In, children’s literature authors born in 1924, each endeavored to discover the child’s heart amidst chaotic realities in their own ways. Park Hwa-Mok sang of the child’s heart based on poetic imagination, and especially since the 1970s, he strived to help children, whose local/rural landscapes were destroyed by industrialization, recover their emotions. As an alternative, Park Hwa-Mok reflected his own religious beliefs of Christian idealism in his literature, aiming not only to long for the lost local/rural emotions but also to capture the emergence(resurrection) of the child’s heart as new over the ruins and death. Son Dong-In, based on the prose world and reality, aimed to portray the mind of children as the weak, and around the 1970s, explored national connectivity through the study of traditional fairy tales. Initially, Son Dong-In defended the child’s heart as an id, but later his perspective seemed to shift toward emphasizing a moralistic approach in children’s literature. However, from a realist perspective, by portraying the reality of children as the weak and supporting their will to overcome, Son Dong-In’s fundamental points of view on the child’s heart and children’s literature were affirmed to be steadfast. 1924년생 아동문학가인 박화목과 손동인은 혼란한 현실 속에서 각자의 방식으로 동심을 발견하고 문학적으로 형상화하고자 노력했다. 박화목은 시적 상상력에 기초한 동심을 노래하되, 특히 1970년대 이후부터는 산업화로 인해 향토적 정경이 파괴되어버린 시대의 어린이들이 정서와 서정을 회복할 수 있도록 노력을 기울였다. 그 대안으로 박화목은 본인의 종교적 신념이기도 한 기독교적 이상주의를 자기 문학에 반영하여, 사라진 향토적 정취를 그리워하는 데서 그치지 않고 그 파괴와 죽음의 자리 위에서 새로운 동심의 출현(부활)을 포착하고자 했다. 손동인은산문적 세계와 현실성에 입각하여 당대 약자로서의 어린이의 마음을 그리고자 했으며, 1970년대를 전후해서는 전래동화 연구를 통해 동심을 화두로 민족적 차원의 연결성을 탐색한다. 초기창작과 연구에서 손동인은 이드로서의 동심을 옹호해왔으나, 후기에는 얼마간 교화성을 강조하는 아동문학관으로 방향이 전환된 듯한 모습도 보인다. 그러나 현실주의적 관점에서 약자로서의 어린이의 현실을 그려내고 이들의 극복 의지를 응원한다는 점에서, 손동인의 근원적인 동심관ㆍ아동문학관은 굳건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아리랑의 정신분석-상실에 맞서는 애도, 우울증, 열락(jouissance)의 언어

        김승희 ( Seung Hee Kim ) 국제비교한국학회 2012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Vol.20 No.2

        As the lyrics of Arirang show, it is a song about the trauma of loss and deprivation. It expresses the heart-felt lament rising from deep inside when a person is deprived of something that had constituted the central foundation of their being, be it the loss of a loved one, of home or of nation, of un-representable ``Chose``. Historically, Arirang was the song of Koreans living in Diaspora, wandering through foreign lands after losing their homelan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occupation, a song of loss of home and also a song of healing. For the simple people, Arirang was a ``talking cure.`` This study considers Arirang as language with an emotive function focused on the first-person speaker, interpreting it as showing the three responses to loss found in Freud`s psychoanalytic theory: mourning, melancholy and jouissance. They are labeled at the Arirang of Mourning, the Arirang of Melancholy and the Arirang of Jouissance. This corresponds precisely with the three characteristics of the refrain at the heart of Arirang. According to Freud, both mourning and melancholy are responses to the loss of someone, but among various forms of sorrow, mourning accepts the loss of a beloved one, withdraws the previously committed libido from that engagement and redirects it toward another object or transforms it into vital energy. Mourning follows the principles of reality. On the other hand, melancholy fetishizes the loss of the other, places the ego in its place, then torments it. It makes one fall into a negative narcissism, dark masochism, aggressive urges, death urges, contradictory and ambivalent feelings etc. The Arirang of Mourning sublimates the loss of the beloved according to the cosmic laws of nature, strategically utilizing a rhetoric of two kinds of transcendence. The Arirang of Melancholy, exemplified by the New Arirang, reveals contradictory and ambivalent feelings, as in the love / aggression psychology of The lover who left me and went away / will have sore feet before he goes far, showing withdrawal into deep depression, sometimes even a death wish. The Arirang of Jouissance dispells the fear of mortality sensed in anticipations of loss through sexual hedonism, resolutely singing in praise of sexuality liberated from the gender attributed to women by Confucian ideology. Thus, returning to what came before the formation of the main agent, pre-oedipal energies are plentifully released and the delight experienced prior to loss is celebrated. In addition, Arirang expresses resistance to colonial modernity or anti-colonial longings. The way this one song`s form varies with time and place, constantly producing new versions, shows that it contains within itself a kind of modernity, capable of producing and maintaining its identity. Finally, since its origin in the past, whether the end of Goryeo (c.1392) or the time of Daewon-gun (c. 1865), passed down from mouth to mouth, the modernity which Arirang is reckoned to possess as the agent of its tenacious vitality is analyzed in 5.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