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어휘 의미망의 형태 의미 관계 설정 -국어의 사건 명사를 중심으로-

        차준경 ( Joon Kyun Cha ),임해창 ( Hae Chang Rim ) 한민족문화학회 2010 한민족문화연구 Vol.34 No.-

        이 논문은 국어의 사건 명사를 대상으로 형태 의미 관계를 고찰하고 그 의미 관계를 어휘 의미망에 설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형태 의미 관계는 형태론적으로 파생 관계에 있으면서 의미론적으로 유의 관계 등의 관련성을 갖는다. 이러한 의미 관계를 기존의 국어사전에서는 충분히 다루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서술성 명사의 파생 용언의 경우, 명사의 부표제어로 다루어져 용언으로서의 용법을 충분히 제공하지 못하였다. 또한 다의적인 사건 명사의 경우, 어떤 의미에서 용언이 파생되었는지 명확히 제시하지 않고 있다. 본고에서는 <사건>과 <실체> 유형이 복합된 사건 명사를 대상으로 하여 이러한 형태 의미 관계를 고찰하였다. 그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건 명사의 다의를 유의관계인 파생어로 나타낼 수 있고 이러한 관계를 국어사전의 유의 관계로 명시해야 한다. 둘째, 사건 명사에서 사건성과 실체성이 복합되어 실체로 해석되는 경우, 사건 명사의 의미 구조에서 참여자(논항) 중의 하나가 실체로 해석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셋째, 사건 명사를 어기로 하는 파생어들은 사건 명사와 일정한 의미 관계를 갖고 있다. 즉, 사건 명사의 의미 구조의 참여자에 해당하며 이러한 의미를 파생어를 형성하여 나타내는 것이다. 이러한 형태 의미 관계를 어휘 의미망에 표상한다면 다의어의 의미를 문맥에서 자동적으로 생성하고 해석하는 등의 국어 정보 처리에 도움이 될 것이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describe the morpho―semantic relations in Korean event type nouns and to apply to developing a Korean lexical―semantic network. Morpho―semantic relations are related to derivational morphology and synonymy. These semantic relations have been overlooked in Korean dictionary. For instance, denominal verbs have been dealt with as sub―headwords of predicate nouns, and the usage of verbs was not provided in dictionary. In case of polysemous event nouns, dictionary do not provide enough information such as which meaning of a word can be a base form of a denominal verb. We focus on the complex type of nominals which can be interpreted to <event> and <entity> types. We find the interpretation of event types can be a base form of denominal verb, and the interpretation of entity types can be referred to synonymous derivational words. In addition, the meaning of entity types can be realized as a participant of semantic structure of event nouns such as actor, theme, result, time, place etc. These regular semantic relations can be described to between derivational words and base event nouns. If these morpho―semantic relations are represented to the lexical semantic network, we can automatically generate and interpret the contextual meaning of polysemous words.

      • KCI등재

        읽기 교수-학습을 위한 텍스트구조의 전개과정 고찰

        박진용 청람어문교육학회 2003 청람어문교육 Vol.27 No.-

        이 글은 학습자의 읽기능력을 신장하기 위하여 텍스트구조를 탐색하는 연구의 일환이다. 텍스트구조를 탐색하는 여러 연구 영역 품에서, 이 글은 텍스트 의미구조를 형성하는 원리나 의미관계의 유험 연구를 바탕으로 의미관계의 전개과정을 살펴보았다. 텍스트 의미구조는 구성요소들이 다양한 층위에서 ‘의미관계의 전개과정'을 거치면서 대등적이거나 종속적인 ’의미관계'를 맺으며 연결되는 위계적인 응집성(coherence) 구조이다. 텍스트 수용자가 텍스트 의미구조를 제대로 표상하기 위해서는, 텍스트 구성요소들 을 서로 연결하여 응집성을 지니게 하는 ‘의미관계’의 양상을 알아야 하고, 동시에 다양한 층위에서 의미관계를 맺으며 일정한 구조를 이루어가는 ‘의미관계의 전개과정'을 알아야 한다. 텍스트 구성요소들이 의미관계를 맺어 나가는 전개과정은 확장의 원리를 바탕으로 ① 상위적 전개과정 유형, ② 대등적 전개과정 유형, ③ 종속적 전개과정 유험, ④ 전환적 전개과정 유험으로 분류됨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is the link of research which searches the text structure to extend the reading ability of the learner. Among many research area which searches the text structure, this writing looked into the progression of meaning relation with researches on the principle to form meaning structure and pattern of meaning relation. Text meaning structure is the hierarchic coherence structure that the components are connected to the meaning relation to be the equality and subordination according to the progression of the meaning relation in various stage. Reader must know the meaning relation that makes text components have the coherence by connecting components each other. And reader must know the progression of meaning relation that constructs a text structure by meaning relation in various stage. The patterns of text structure progression are next four. These do with principle of extension. ① the upper pattern of meaning relation progression, ② the equal pattern of meaning relation progression, ③ the subordinate pattern of meaning relation progression, ④ the turning pattern of meaning relation progression.

      • KCI등재

        어휘 의미관계의 발현과 규범화에 대하여

        이동혁 우리말학회 2011 우리말연구 Vol.29 No.-

        이 글은 유의관계, 반의관계, 상하의관계, 부분·전체관계가 우 리 머릿속에 생득적으로 내재된 어휘 구조가 아니라 단어의 사용 패턴 에 의해 경험적으로 구성된 것이며, 특정한 구문 환경에서 공기하는 빈도에 따라 우리 머릿속에서 저장되는 양상이 달라질 수 있음을 밝히 는 것이 목적이다. 이들 관계는 계열적 어휘 의미관계의 종류로 알려 져 왔지만 사실은 결합적 어휘 의미관계로도 실현된다. 그래서 이 글 에서는 저장부의 의미관계와 운용부의 의미관계로 나누고, 유의관계 등을 저장부의 의미관계의 종류로 간주하였다. 이들 의미관계가 운용 부에서 실현될 때 특정한 구문 환경에서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그리 고 전형적으로 어떤 의미관계에 있다고 기억하지 못한 두 단어가 특정 한 구문 환경에서 모종의 의미관계로 해석되기도 한다. 이는 공기 현 상으로 대표되는 단어의 사용 패턴이 저장부의 의미관계를 경험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반영한다. 특히 두 단어가 공기하는 특정한 구문 패턴은 두 단어 사이의 의미관계 정체를 해석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같다‘와 ‘다르다‘의 관계처럼 이미 머릿속에 저장되어 있는 의미관계는 규범적인 의미관계이다. 그런데 이런 규범적인 의미관 계는 고정적이지 않고 유동적이다. ‘같다‘와 ‘틀리다‘처럼 둘이 특정한 구문에서 자주 공기하게 되면 규범적인 의미관계의 지위를 획득할 수 도 있다. 이에 비해 특정한 구문 환경에 나타날 수 있다고 해도 두 단 어가 공기하는 횟수가 아주 적어서 일시적이라면 두 단어 사이의 관계 는 저장부로서 우리 머릿속에 저장되기가 어렵다. 이런 관계는 화용론 적 의미관계라고 부를 수 있다.

      • 결합적 어휘 의미관계의 독립성과 특성에 대하여

        이동혁(Lee, Dong-hyeok) 한국어문교육학회 2011 어문학교육 Vol.43 No.-

        이 글에서는 어휘 의미관계로서 결합적 어휘 의미관계가 독립적임을 주장했고, 결합적 어휘 의미관계가 성립할 조건과 저장의 방식, 그리고 결합적 어휘 의미핀계의 유형을 살펴보았다. 어휘 의미관계를 흔히 계열적 어휘 의미관계(이하, 계열관계)와 결합적 어휘 의미관계(이하, 결합관계)로 구분하지만 결합관계의 지위는 매우 미약하다. 이 글에서는 결합관계와 계열관계가 다르다는 점, 그리고 결합관계와 선택제약이 다르다는 점을 분명히 하여 결합관계의 독립성을 증명하였다. 결합관계는 연어관계로 성립할 수 있을 때 우리 머릿속에 어휘망이나 구문으로 기억될 수 있다. 그리고 여느 언어 단위의 결합과 마찬가지로 결합관계는 대등과 종속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계열관계에 있는 단어들이 특수한 구문 환경에서 공기할 때 두 단어는 대등적으로 연결되는 것이고, 나머지는 종속적으로 연결된 것이다. 종속적으로 연결된 단어들은 다시 의미역과 틀 구조와 같은 조합 패턴에 의해 결합관계가 해석된다. This paper aims to reveal the independence of syntagmatic lexical relation and explain the properties of syntagmatic lexical relation. It has been dealt with that paradigmatic lexical relation is on a par with lexical semantic relation and syntagmatic lexical relation is included in selection restriction or subspeicification sofar. Therefore the independence of syntagmatic lexical relation has been weakened. However syntagmatic lexical relation is an independent kind of lexical semantic relation as a rival of paradigmatic lexical relation. The properties of syntagmatic lexical relation are as follows. First, two words hold a meaning element in common to form syntagmatic lexical relation. Second, collocation out of syntagmatic lexical relations remains in our memory in the form of a lexical network or construction. Third, syntagmatic lexical relation is classified with coordinate relation and subordinate relation, and defined with a combination pattern such as a semantic role structure and a frame structure.

      • KCI등재

        漢韓同形動詞語義對應關系的分析層面及關系類型

        이미향 ( Lee Mihyang ) 한국중국언어학회 2016 중국언어연구 Vol.0 No.66

        선행 한중동형어 비교 연구들은 주로 단어의 전체적인 의미구조가 어떻게 대응하는 지를 고려하지 않고, 한 의미항의 의미가 같거나 비슷한 동형어쌍을 동의관계에 있다고 보았다. 이 영향으로 종종 제2언어 교육에서 교수자는 전체 의미구조가 완전히 같지 않은 대응어를 동의어라고 오도하고, 학습자는 한 의미항에서만 동의관계를 가지는 대응어에 대해 모국어의 다른 의미까지 목표어에 잘못 대응시키는 오류를 범하기도 한다. 이에 따라 본고는 한중동형동사를 예로 들어 중국어와 한국어 말뭉치의 실제 용례를 사용하고, 연어 군집관찰과 용례 번역을 통해 “의미항”과 “전체 의미구조” 이 두 층위에서 한중동형동사의 의미 대응관계를 고찰하였다. 우선, 한중동형동사의 대역관계 분석 결과와 모든 경우의 수를 고려하여 의미항 층위에서 한중동형동사의 의미 대응관계를 “전체대응”, “부분대응”, “전체와 부분대응 병존”, “비대응”으로 나누었다. 그리고 다의어의 각종 의미항간 대응상황을 고려하여 전체대응과 부분대응을 다시 “일대일대응”, “일대다혹은 다대일대응”, “혼합대응” 세 가지 소 부류로 나누었다. 의미항 층위의 의미 대응관계 분석을 통해 단어의 전체 의미구조 층위에서 한중동형동사의 의미 대응관계를 크게 “단어의미구조 전체대응”, “단어의미구조 부분대응”, “단어의미구조 비대응” 세 부류로 나누었다. 마지막으로 의미항 층위의 대응관계와 단어 전체 의미구조 층위의 대응관계를 종합하여 한중동형동사의 의미 대응관계를 총 11류로 자세히 분류하고, 각 유형별로 존재 가능한 대응관계의 예와 해당 유형에 속하는 한중동형동사의 구체적인 대응관계를 예로 제시하였다. The advanced Korean Chinese same form language comparative studies viewed semantically same or similar same form words couple as in the synonymous relation, without considering how the overall semantic structure of the words corresponds. Due to this influence, teachers of the secondary education frequently mislead the correspondent word, of which overall semantic structure is not perfectly the same, as the synonym word, and sometimes make error in substituting the responding word which has the synonym relation only in one semantic item for the target language. Accordingly, this research utilized the actual practice case of the corpus of Chinese and Korean language based on the example of Korean and Chinese same form verb, and considered semantic corresponding relation of Korean and Chinese fame form verb from the semantic item layer, considering the substitution relation analysis result of Korean and Chinese same form verb and the number of all cases, and considered the semantic corresponding relation of Korean and Chinese same form verb from the two layers, i.e. “semantic item” and “overall semantic structure” through the consecutive language gathering observation and example translation. Above all, this research divided the semantic corresponding relation of Korean and Chinese same form verb from the semantic item layer into “whole correspondence”, “partial corresondence”, “coexistence of the whole and partial correspondence”, “non-correspondence”, considering the substitution relation analysis result of Korean and Chinese same form verb and the number of all cases. Also, again divided the whole correspondence and partial correspondence into “one-to-one correspondence”, “one-to-several or several-to-one correspondence”, and “combined correspondence”, considering the correspondent situation of various semantic items of multisense words. And largely divided semantic corresponding relation of Korean and Chinese same form verb from the whole semantic structure layer of word into “overall correspondence to word semantic structure”, “word semantic structure partial response”, and “word semantic structure non-correspondence”, through the semantic corresponding relation analysis of semantic item layer. Lastly, this research classified Korean and Chinese same form verb semantic correspondent relation by synthesizing semantic corresponding relation of semantic item layer and the correspondent relation of word overall semantic structure layer into total 11 types in detail, suggesting the example of the correspondence that can exist per each type and concrete corresponding relation of Korean and Chinese same form verb that belongs to the relevant type.

      • KCI등재

        대립적 의미 관계에 대하여

        도재학 ( Doh Jae-hak ) 국어학회 2013 국어학 Vol.66 No.-

        본 논문에서는 언어의 의미 연구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어휘의 의미 연구, 그 중에서도 한 중심축이라 할 수 있는 의미 관계에 대해 주목하였다. 그리고 그 하위에 있는 대립적 의미 관계에 대해 집중적으로 논의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적으로 어휘의 의미 관계의 전체적인 체계 수립을 시도하였고 각 관계들의 위상을 다음과 같이 보였다. 어휘의 의미 관계는 먼저 어휘소 내부의 관계와 외부의 관계로 나뉜다. 전자는 다의의 파생 관계로서 유사 이의 관계와 대립 이의 관계로 나뉜다. 후자는 계열적 관계와 결합적 관계로 나뉘고, 계열적 관계는 유의 관계, 반의 관계, 상하의 관계, 대조 관계로, 결합적 관계는 연어 관계, 비(非) 연어 관계(선택제약 관계), 포용 관계로 나뉜다. 이 중 여러 선행 연구들에서 이견을 보여 온 반의 관계와 대립 이의 관계를 살폈다. 이 둘은 ‘대립’이라는 성격을 공유하는데, 대립은 본질적 속성인 방향성에 따라 상보적, 상반적, 상관적, 정도적 대립으로 나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둘 이상의 항목들 사이에 이러한 특성이 확인되면 대립적 의미 관계인 것으로 보고 체계를 세워보았다. 본 논문에서는 지금까지 외연과 체계가 분명하게 규정되지 못한 채 어휘 관계의 차원에만 집중되어 온 의미 관계에 대한 논의의 외연을 다의어의 이의 차원으로까지 확장시키고자 하였다. 유의 관계, 반의 관계, 상하의 관계 등이 의미 관계 논의의 대요인 것은 사실이지만 이것이 온전히 의미 관계 전체에 상당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This study aims to discuss a system of semantic relation of vocabulary and elaborate on the so-called "oppositive relation". While discussing this theme, I attempted to set up a system of semantic relation which is a superordinate concept of a lexical relation, and treated each several subordinate relations in more detail. The semantic relation of vocabulary could fall into internal and external relation of the lexeme. The former which is a derivational relation of polysemous senses could be divided into syn-allosemy and anti-allosemy (enantiosemy). The latter split into syntagmatic and paradigmatic relation. Syntagmatic relation covers synonymy, antonymy, hyponymy and contrastive relation and paradigmatic relation does collocation, non-collocation(selectional restriction), and encapsulated relation. From among these, oppositive relation that includes anti-allosemy and antonymy has been a subject for debate. I discussed precedent studies, and argued that oppositive relation is divided into complementary, contrary, correlative, gradual relation according to a directionality that is an intrinsic property of opposition.

      • KCI등재

        단어 내부의 의미 관계에 대한 연구

        이민우(Lee, Min-woo) 중앙어문학회 2016 語文論集 Vol.66 No.-

        이 연구는 문맥주의적 관점에 따라 의미는 고정적이거나 개념적으로 총체적 완결성을 갖추고 있지 않으며, 역동적이고 변화무쌍하다는 점을 주장한다. 또한 이전 연구에서 고민해 왔던 기본의미와 확장의미, 의미와 의의, 그리고 그 이하 다양한 층위에서 발생하는 가변적 의미들에 대한 구분은 사실 모두 동등한 의미이며, 그러한 의미들이 단어 내부에서 다양한 관계로 해석된다는 점을 주장한다. 그리고 어휘 관계를 중심으로 설정된 의미 관계를 의미 자체의 관계로 돌리고, 이들이 어떤 방식으로 이해되는지 살펴보았다. 어휘는 구체적인 의미를 어휘 자체의 특성과 관련된 다양한 의미들의 통합을 통해 획득하게 되며 이 속에서 다양한 의미들이 생성되고 변화한다. 이는 의미가 구, 절, 문장, 담화로 이어지는 더 큰 틀 속에서 다른 의미들과 결합하면서 다양한 의미들을 생성해 낸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어휘는 그 자체로서 다양한 해석이 가능한 의미의 집합체가 될 수 있다. 어휘의 의미가 관련된 의미들이 이루는 망 속의 특정 범위에 의해 규정되는 집합적 개념으로 정의되는 것처럼, 다의는 어휘의 개념들이 이루는 관계의 망 속에 의미를 부려 놓는다. 어휘 개념은 다양한 해석이 가능한 의미의 집합체로 존재한다. 이 속에서 의미는 복잡한 그물망처럼 얽혀있다. 따라서 다의에 대한 연구는 의미들 간의 관계에 대한 관찰이며 의미의 구조를 드러내는 작업이 된다. 어휘의 의미를 개념적 차원으로 옮겨놓는 것은 온 세계를 한 낱말 속에 옮겨 놓는 것과 동일하다. 이는 어휘 의미를 한정할 수 없다는 것을 말하며 따라서 우리는 어휘 의미를 알기 위해 어휘와 연결되는 개념 사이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에 집중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sserts that meaning is not fixed or that meaning does not possess overall integration conceptually from a contextual perspective, but rather is dynamic and ever changing. It also asserts that basic meaning and expanded meaning, meaning and significance, and variable meanings, which occur in various layers, are all actually equal meanings, and that these meanings are interpreted by various relationships within words. The study attributed meaning in itself to semantic relationships established around lexical relationships and observed the methods by which these were understood. Vocabulary is acquired through the integration of specific meanings and various meanings rela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vocabulary in itself, and in that, various meanings form and change. This signifies that meanings give rise to various meanings as they combine with other meanings in larger frames that extend into phrases, paragraphs, sentences, and discourses. Therefore, vocabulary in itself can become an assembly of meanings that can be interpreted diversely. As meanings of words can be defined as a collective concept regulated by specific ranges within networks formed by related meanings, polysemy places meaning into the network of relationships formed by the concepts of one word. Word concepts exist as the assembly of meanings that can be interpreted in various ways. Within this, meaning is entangled like a complicated net. Therefore, studies on polysemy involve observation of relationships between meanings and the operations that reveal the structure of meaning. Moving the meaning of vocabulary into a conceptual dimension is the same as moving the entire world into one word. This implies that lexical meaning cannot be limited and, therefore, we must focus on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concepts that are connected by vocabulary to know the lexical meaning.

      • KCI등재

        복합어 構詞의 구조와 의미관계 고찰- 중국어 가열조리동사를 중심으로 -

        김시현 중국인문학회 2023 中國人文科學 Vol.- No.83

        언어는 형식과 의미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복합어의 내부 형태소들 또한 형식과 의미의 관계를 고려해야 한다. 이는 형태소 간에 반드시 어떤 관계를 형성하고 있다는 것을 뜻한다. 또한 이러한 형식과 의미관계는 어휘교육의 중요한 내용 중 하나이다. 어휘군 중에서도 중국어 조리동사 어휘군은 대부분 단음절로 구성된 글자이자 단어이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의미를 가지고 있는 형태소로 비교적 높은 생산성을 가지며 構詞 능력이 강하다. 본고에서는 동소(動素) 개념을 사용하여, 실질적으로 조리의미를 가진 형태소를 조리동소라고 명명하고, 이 조리동소에 의해 새로 만들어진 어휘의 구성 성분, 형식(구조)과 의미 간의 관계를 고찰하여 構詞 상황을 탐구하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한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중국어에서는 복합어 수량이 많고 유형이 풍부하며 합성어의 구조와 통사적 구조가 일치하는데, 중국어 조리동소로 구성된 복합어의 構詞 방면에서 가장 생산성이 높은 구조는 합성어에서의 수식형(偏正型) 구조이었고, 의미관계에 있어서 가장 생산성이 높은 관계는 관련(關聯)관계였으나, 일치(一致)관계 또한 상당히 생산성이 높았다. 이는 의미확대보다는 기본의미를 최대한 유지하며 단어 형성에 참여하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대부분 조리동소의 構詞 능력의 가장 핵심적인 의미는 기본의미인 ‘조리의’였으나, 예외적으로 ‘扒’, ‘燒’는 ‘비조리의(非烹飪義)’가 기본의미로 복합어를 구성하고 있었고, ‘熬’와 ‘涮’은 주변의미로부터 확장된 ‘비유의’로 복합어를 구성하고 있었다.

      • KCI등재

        동요를 활용한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가 발달지체 유아의 어휘력과 발화 의미유형 및 의미관계에 미치는 효과

        조윤미,최상배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2022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연구 Vol.1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nhanced milieu teaching using children’s song on the improvement of vocabulary, semantic patterns and semantic relation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This study compared the vocabulary, semantic patterns and semantic relations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after 20 interventions in 5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enhanced milieu teaching using children’s song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vocabulary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During the 20th session, not only the ability to understand and express the target vocabulary improved, but also the vocabulary development age increased after the intervention. As a result of the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Test, the equivalent age of acceptance improved by 9~21 months, and the equivalent age of expression improved by 2~18 months. Second, enhanced milieu teaching using children’s song influenced the semantic patterns and semantic relation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Most of th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had more utterances than before intervention and used multiple words rather than single words. Compared to the limited type of semantic patterns and semantic relationship types before intervention, various types of semantic patterns and semantic relationships were used after intervention. This study suggests the effect of enhanced milieu teaching using children’s song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suggesting that the enhanced milieu teaching is meaningful in improving vocabulary and semantic patterns and semantic relationships. 이 연구의 목적은 동요를 활용한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가 발달지체 유아의 어휘력과 발화의 의미유형 및 의미관계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며, 이를 위해 발달지체 유아 5명을 대상으로 중재 전후의 어휘력과 발화의 의미유형 및 의미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요를 활용한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는 발달지체 유아의 어휘력 향상에 효과가 있어, 20회기 동안 목표어휘를 이해하고 표현하는 능력이 향상되었을 뿐만 아니라 중재 후 어휘발달연령도 증가하였다. 둘째, 동요를 활용한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는 발달지체 유아의 발화 의미유형과 의미관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대부분의 발달지체 유아는 중재 전보다 발화수가 증가하였고 단단어보다는 다단어를 사용하게 되었으며, 중재 후 다양한 의미유형과 의미관계를 사용하였다. 이 연구는 발달지체 유아를 대상으로 동요를 활용한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의 효과를 제시하는 것으로,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가 어휘력과 발화의 의미유형 및 의미관계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중국 조선족 아동의 초기 다단어 발화의 의미관계 분석

        이귀옥,이혜련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04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1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ategories of semantic relations between words in the early multiword utterances in order to examine the semantic relations' development of Korean-Chinese bilingual children and difference with monolingual of semantic relations categori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5 children from 1 to 3 years of age and divided two groups using Brown's I stage and II stage. Each child's spontaneous natural speech during interaction with his/her caregiver was videotaped for about 30 minutes in which the same toys were provided as those at the nursery school attended by the child. The children's spontaneous utterances were transcribed and analysed for the semantic relations using Retherford's(1987) 20 semantic roles and KCLA(Korean Computerized Language Analysis 2.0, 2000). According the semantic roles, we analysed children's two-unit and three-unit semantic relations, then analyzed percentage of children and ranking of categories in terms of the frequency of occurrence and compared this data with studies of monolingual children. The result showed that children of II stage more used almost semantic relations than of I stage, especially in three-unit semantic relations children of II stage more frequently used than children of I stage. This result indicated that there was a similar developmental sequence in the several semantic categories. Comparing this data with monolingual children identified that bilingual children's development of relation delayed than monolingual. So, this study is consistent with De Houwer(1995) and Gathercole(in press). 본 연구의 목적은 언어체계가 상이한 한국어-중국어 이중언어를 습득하는 중국조선족 아동들의 제1 언어인 한국어 의미관계 습득을 조사하고, 단일언어아동인 한국아동의 의미관계 습득유형과 비교하여 이중언어아동의 언어발달과정을 조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중국연변의 조선족 1,2,3세 아동 총 35명을 대상으로 동일한 장난감세팅하에서 약 30분동안 아동과 주양육자의 상호작용과정에서의 아동의 자발발화를 비디오로 녹화하여 전사하였다. 이 아동들의 자발발화 중 두 단어 이상 발화를 발췌하여 Retherford 등(1981)의 의미유형 분석범주에 따라 의미유형을 분류한 후 2어와 3어 의미관계를 분석하여 아동들이 사용하는 의미관계 유형을 백분율로 계산하여 순위를 매겨서 발달과정을 살펴보고, 단일언어아동의 의미관계 분석(Brown, 1973; 김영태, 1997, 조명한, 1982)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 II단계 아동들이 I단계 아동들보다 2어 의미관계와 3어 의미관계 모두 더 빈번하게 사용하였다. 특히 3어 의미관계는 II단계 아동들이 I단계아동들보다 훨씬 더 많이 사용하여 의미관계 발달과정은 단일언어아동과 유사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단일언어아동들과 비교한 결과 이중언어아동들인 중국 조선족 아동들의 의미관계 발달이 단일언어아동들보다 다소 늦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언어를 습득하는 초기에는 이중언어아동들이 단일언어아들보다 언어발달이 늦지만, 이중언어아동들의 언어발달 과정은 단일언어 아동과 동일하다는 선행연구(De Houwer, 1995; Gathercole, in press)의 연구를 지지하는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